KR19980026199A - 직류형 전자 안정기 회로 - Google Patents

직류형 전자 안정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6199A
KR19980026199A KR1019960044564A KR19960044564A KR19980026199A KR 19980026199 A KR19980026199 A KR 19980026199A KR 1019960044564 A KR1019960044564 A KR 1019960044564A KR 19960044564 A KR19960044564 A KR 19960044564A KR 19980026199 A KR19980026199 A KR 19980026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rigger
load means
electronic ballast
puls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4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8802B1 (ko
Inventor
남미숙
우정원
윤기혁
이종철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44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8802B1/ko
Publication of KR19980026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8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8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out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high-intensity discharge lamps, high-pressure mercury or sodium lamps or low-pressure sodium lamps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강압형 변환기를 가지는 전원 회로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직류형 전자 안정기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소정의 부하수단에 접속되는 전자 안정기 회로에 있어서, 교류 상용 주파수 전압을 입력하여 라인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상기 라인 필터링된 전원을 정류하여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와, 상기 직류 전압으로써 고 전압 트리거를 발생하는 트리거 발생부와,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직류 전압을 펄스 폭 변조하여 강압된 전압을 발생하고 이를 상기 상기 부하수단에 전달하는 강압 변환부와, 상기 강압 변환을 수행하기 위한 펄스폭변조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강압된 전압과 상기 부하수단으로부터의 전류감지전압을 궤환증폭하고 그 증폭된 전압으로 상기 펄스폭변조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전력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직류방식 전자 안정기 회로의 구현에 사용한다.

Description

직류형 전자 안정기 회로
본 발명은 전원회로에 있어서 강압 변환기를 가지는 전자 안정기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류(DC)형 부하수단의 구동을 위한 전자 안정기 회로에 관한 것이다.
강압 변환기를 가지는 전자 안정기 회로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램프 구동회로도 그 한 예이다. 상기 램프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야 하고, 그 제어방법은 다양하다. 램프를 이용하는 예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액정표시기(LCD)로써 프로젝션(projection) TV를 구현할 때 상기 액정표시기에 필요한 빛을 발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램프도 그중 하나가 된다.
도 1은 종래의 교류형 램프 구동용 전자 안정기 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그 구성 및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AC) 입력 전원 VI가 퓨즈 F1과 코일 L1로 이루어진 필터부 11을 통과하여 전파정류부 12를 거치게 되면 제1직류전압 VDC1이 발생한다. 단, 220V의 경우에는 전파 정류하고 110V이면 변환된 직류 전압을 높게 하기 위하여 배전압회로를 사용한다. 상기 전파 정류부 12는 브리지다이오드 D11∼D14, C11로 이루어진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이하 FET라 함) Q1, 다이오드 D1, 코일 L2, 콘덴서 C1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강압 변환부 13은 상기 전파정류된 직류전압의 펄스 폭을 변조하여 제2직류전압 VDC2로 변화시킨다. 램프구동부 14는 FET Q2∼FET Q5로 구성되며, FET Q2 및 Q5, FET Q3 및 Q4 두 쌍은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호 배타적으로 동작한다. 다시 말해서, 전자가 온되면 후자는 오프되고 후자가 온되면 전자는 오프된다. 상기 램프구동부 14는 소정의 제어를 받아 고전압 트리거 발생 시간과 정상적인 상태일 때를 구분하여 상기 FET Q2∼FET Q5의 온/오프를 스위칭함으로써 램프 LP를 구동한다. 즉 고전압 트리거 발생 시간에는 FET Q2, Q5가 온되고 FET Q3, Q4가 오프되어 램프 LP에 제2직류전압 VDC2가 인가되도록 한다. 그리고 정상적인 상태일 때에는 FET Q2, Q5와 FET Q3, Q4간의 온/오프를 반복 스위칭함으로써 램프 LP에 교류전압이 인가되도록 한다. 전력제어부 15는 PWM(Pulse Width Modulation)제어부 27과 궤환증폭기 28(연산증폭기를 사용할 수 있을 것 임.)과 저항 R34, R35 및 기준전압 Vref로 구성되며, 램프전류 감지전압 Vise와 제3직류전압 VDC3을 궤환증폭하고 이로부터 온/오프 펄스 즉 펄스폭변조신호를 출력단을 통해 출력한다. 상기 펄스폭변조신호는 전술한 강압변환부 13의 FET의 온/오프 듀티(duty)를 제어함으로써 전자 안정기 회로의 전체 전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저항 Rise는 상기 강압변환부 13의 평균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류 감지용 저항이다. 고전압 트리거(trigger)발생부 16은 두 승압 트랜스포머 T2, T3, 다이오드 D4, 콘덴서 C2, 방전관 S. G로 이루어져 상기 램프 LP가 초기에 방전을 일으키게 한다. 트리거구동부 17은 저항 R4, 콘덴서 C4, FET Q6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전압 트리거발생부 16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2 직류전압 VDC2는 상기 저항 R4와 콘덴서 C4의 시정수에 의해 상기 콘덴서 C4에 충전된다. 이렇게 충전된 전하량은 상기 FET Q6이 온되는 순간 방전된다. 상기 콘덴서 C4에서 방전된 전압이 고전압 트리거 발생부 16은 트랜스포머 T3을 통하여 다이오드 D4를 통과후 콘덴서 C2에 충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의 반복으로 상기 콘덴서 C2에는 높은 전위의 전하량이 충전되는데, 상기 콘덴서 C2의 양단에 일정한 크기의 전위차가 날 만큼 충전되면 방전관 S.G에서 순간적 단락(short) 상태의 스파크(spirk)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래서 상기 콘덴서 C2에 충전된 전하량은 승압 트랜스포머 T2의 1차측 코일을 통과하여 짧은 시간에 방전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트랜스포머 T2의 2차측 코일에는 순간적 고전압 펄스가 유기되며, 이 고전압 트리거 펄스는 램프 LP의 양단에 고전압을 발생시킨다. 결국, 상기 램프 LP에서는 상기 고전압 트리거 펄스에 의해 초기 방전이 일어나며 이어서 점등이 시작된다.
그런데 상기 램프 LP가 방전을 하기 전에는 상기 제1 및 제2직류전압 VDC1, VDC2가 같지만, 상기와 같이 램프 LP가 고전압 트리거에 의해 방전을 개시하면 상기 제2직류전압 VDC2이 상기 제1직류전압 VDC1보다 높아진다. 이때 상기 전력제어부 15에서는 강압 변환부 13을 통하여 상기 제2직류전압를 상기 제1직류전압보다 낮추어 공급함으로써 상기 램프 LP에 흐르는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램프 구동용 안정기 회로는 교류형이다. 그러므로 직류형 램프 구동에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필요한 부품의 개수도 많고, 그런 만큼 제조 원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실장 크기 측면에서도 효과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류형 전자 안정기의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류형 램프 구동용 안정기의 전원회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류형 램프 구동용 전자 안정기 회로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류형 램프 구동용 전자 안정기의 회로도이다.
교류(AC) 입력 전원 VI가 퓨즈 F1과 코일 L1로 이루어진 필터부 11을 통과하여 전파정류부 12를 거치게 되면 제1직류전압 VDC1이 발생한다. 단, 220V의 경우에는 전파 정류하고 110V이면 변환된 직류 전압을 높게 하기 위하여 배전압회로를 사용한다. 상기 전파 정류부 12는 브리지다이오드 D11∼D14, C11로 이루어진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이하 FET라 함) Q1, 다이오드 D1, 코일 L2, 콘덴서 C1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강압 변환부 13은 상기 전파정류된 직류전압의 펄스 폭을 변조하여 제2직류전압 VDC2를 발생하고, 상기 제2직류전압 VDC2는 램프 LP의 양단에 직접 인가된다.
전력제어부 15는 램프 LP의 전류감지전압와 상기 제2직류전압의 감지전압인 제3직류전압을 입력하여 출력단을 통해 온/오프 펄스를 발생한다. 이 펄스는 램프 LP의 전력을 제어하도록 FET의 온/오프 듀티(duty)를 제어한다. 다시 말해서, 제1트랜스포머 T1의 1차측에 제공되는 상기 온/오프 펄스는 2차측에 유기되어 FET Q1을 온/오프시킨다. 이때 상기 제2트랜스포머 T1의 2차측 양단- FET Q1의 게이트와 소오스 사이에 연결된 제너다이오드 D2는 정전압용이다.
고전압 트리거발생부 16은 램프 LP가 정상적인 방전을 하기에 앞서 초기 방전을 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높은 트리거 전압을 발생한다. 상기 고전압 트리거발생부 16은 두 트랜스 T2, T3, 다이오드 D4, 콘덴서 C2, 방전관 S. G로 이루어진다.
트리거구동부 17은 저항 R4, 콘덴서 C4 및 FET Q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저항 R4와 콘덴서 C4의 시정수에 의해 상기 콘덴서 C4에 충전(charge)된 전하량은 상기 FET Q6이 온되는 순간 방전된다. 이 방전된 전압은 트랜스포머 T3을 통하여 다이오드 D4를 통과후 콘덴서 C2에 충전된다. 이와 같은 동작의 반복으로 상기 콘덴서 C2에는 높은 전위의 전하량이 충전되는데, 상기 콘덴서 C2의 양단에 일정한 크기의 전위차가 날 만큼 충전되면 방전관 S.G에서 순간적 단락상태의 스파크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래서 상기 콘덴서 C2에 충전된 전하량은 트랜스포머 T2의 코일을 통과하여 짧은 시간에 방전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트랜스포머 T2의 2차측 코일에는 순간적 고전압 펄스가 유기되며, 이 고전압 트리거 펄스는 램프 LP의 양단에 고전압을 발생시킨다. 결국, 상기 램프 LP에서는 상기 고전압 트리거 펄스에 의해 초기 방전이 일어나며 이어서 점등이 시작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램프 LP가 방전을 하기 전에는 상기 제1 및 제2직류전압 VDC1, VDC2가 같지만, 상기와 같이 램프 LP가 고전압 트리거에 의해 방전을 개시하면 상기 제2직류전압 VDC2이 상기 제1직류전압 VDC1보다 높아진다. 이때 상기 전력제어부 15에서는 강압 변환부 13을 통하여 상기 제2직류전압를 상기 제1직류전압보다 낮추어 공급함으로써 상기 램프 LP에 흐르는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시말해서, 본 실시 예에서는 램프 구동용 전자 안정기 회로를 직류형으로 구현하고 있으나 모터 구동 회로와 같이 통상적인 강압형 변환을 이용하는 것이라면 모든 전원회로에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안정기 회로를 직류형으로 구현하면 필요한 부품의 개수가 줄어든다. 그래서 제조 원가가 낮아질 뿐만 아니라 실장 크기 측면에서도 효과적이다.

Claims (3)

  1. 소정의 부하수단에 접속되는 전자 안정기 회로에 있어서,
    교류 상용 주파수 전압을 입력하여 라인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상기 라인 필터링된 전원을 전파 정류하여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와,
    상기 직류 전압으로써 고 전압 트리거를 발생하는 트리거 발생부와,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직류 전압을 펄스 폭 변조하여 강압된 전압을 발생하고 이를 상기 부하수단에 전달하는 강압 변환부와,
    상기 부하수단이 초기 방전을 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소정의 제어를 받아 고전압 트리거 펄스를 발생하는 트리거 발생부와,
    상기 강압 변환을 하기 위한 펄스폭변조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강압된 전압과 상기 부하수단으로부터의 전류감지전압을 궤환증폭하고 그 증폭된 전압으로 상기 펄스폭변조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전력 제어부와,
    상기 강압된 전압을 충전하고 있다가 소정의 제어를 받으면 순간적으로 방전하여 상기 트리거 발생부를 구동하는 트리거 구동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안정기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수단이 램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안정기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발생부가 방전관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안정기 회로.
KR1019960044564A 1996-10-08 1996-10-08 직류형 전자 안정기 회로 KR100208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564A KR100208802B1 (ko) 1996-10-08 1996-10-08 직류형 전자 안정기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564A KR100208802B1 (ko) 1996-10-08 1996-10-08 직류형 전자 안정기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199A true KR19980026199A (ko) 1998-07-15
KR100208802B1 KR100208802B1 (ko) 1999-07-15

Family

ID=19476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4564A KR100208802B1 (ko) 1996-10-08 1996-10-08 직류형 전자 안정기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88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109A (ko) * 2001-04-02 2002-02-15 이영섭 전자식 안정기 절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190B1 (ko) 2012-11-29 2014-02-2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직렬 다단 scr을 이용한 2-hvs 스파크 회로
KR102128527B1 (ko) 2019-06-14 2020-06-30 주식회사 삼안 배수플레이트를 구비한 교량받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109A (ko) * 2001-04-02 2002-02-15 이영섭 전자식 안정기 절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8802B1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4935A (en) Lighting circuit for vehicular discharge lamp
KR100872467B1 (ko) 액정 표시 장치
JP3224948B2 (ja) 放電灯の点灯回路
US5175474A (en) Power source for lighting apparatus
KR100208803B1 (ko) 전자 안정기 회로
US5973483A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with over voltage stabilizer
US7495398B2 (en)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US5635800A (en) Ballast circuit with a japped transformer flyback converter providing driving energy for start, glow and run modes of a lamp
KR100208802B1 (ko) 직류형 전자 안정기 회로
US6707261B2 (en) Discharge lamp lighting circuit
KR970002285B1 (ko) 입력 교류 흐름을 제어하므로써 고전력 요소를 구비하는 전원장치
GB2208980A (en) Power supply for fluorescent lamp
KR0139904Y1 (ko) 전자식 안정기
JPH0765974A (ja) 電子式安定器
JPH08335497A (ja) 放電管点灯回路
KR100351436B1 (ko) 고압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
KR960010372Y1 (ko) 배터리 충전회로
JP3329075B2 (ja) 放電灯点灯装置
US6492780B1 (en) Lamp ballast system
JP2643164B2 (ja) 電源装置
JP2000262065A (ja) インバータ装置
KR100413218B1 (ko) 신호등 전원공급장치
JP3328784B2 (ja) 交流放電灯点灯装置および直流放電灯点灯装置
JP3295819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200222419Y1 (ko) 직류 증폭 변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