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164A - 영상정보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정보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164A
KR19980025164A KR1019970050304A KR19970050304A KR19980025164A KR 19980025164 A KR19980025164 A KR 19980025164A KR 1019970050304 A KR1019970050304 A KR 1019970050304A KR 19970050304 A KR19970050304 A KR 19970050304A KR 19980025164 A KR19980025164 A KR 19980025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information
merging
coeffici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5563B1 (ko
Inventor
권지현
박철수
김해광
문주희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ublication of KR19980025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5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3068Precoding preceding compression, e.g. Burrows-Wheeler transformation
    • H03M7/3071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2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블록합병기술의 적용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이 된 블록의 DC계수와 AC 계수를 합병정보에 의해 설정하고 그 설정된 계수를 이용하여 주변블록의 DC계수와 AC 계수를 예측하는 영상정보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영상정보 부호화장치는 합병정보에 의해 DC성분과 AC성분들에 대한 값을 설정하여 주변블록의 DC계수와 AC계수를 예측 부호화하는데 이용한다. 영상정보 복호화장치는 합병정보에 의해 DC성분과 AC성분들에 대한 값을 설정하여 주변블록의 DC계수와 AC계수를 예측 복호화하는데 이용한다. 그 방법으로서는 물체 합병기술을 수행후, 합병에 의해 물체밖 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은 예측을 하지않고, 합병에 의해 합쳐진 신호를 포함한 블록을 DCT변환하고 그 DC값을 이용하여 DC예측을 한다. 또한 물체밖 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은 예측을 하지않고, AC/DC 예측을 위해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DC 및 AC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한다. 다른 방법은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중 DC계수만을 복사하고, AC계수는 0으로 설정한다. 또 다른 방법은 DC계수는 2(bits_per_pixel-1)로 설정하고 AC계수는 0으로 설정한다. 또 다른 방법은 좌측블록과 상측블록중에 물체밖블록이 아닌 블록이 있다면 그 블록의 AC계수 및 DC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한다.

Description

영상정보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영상정보 부호화 및 복호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체경계 합병기술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하는 블록의 DC계수와 AC 계수를 합병정보에 의해 설정하고 그 설정된 계수를 이용하여 주변블록의 DC계수와 AC 계수를 예측하는 영상신호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신호의 각 화소를 소정비트의 (예를들면, 8비트, 16비트등) 디지털 데이터로 표시하면 그 정보량이 과다해져서 통신망을 이용하여 송신 및 수신하거나, CD-ROM과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하려면 비용이 많이 들며 영상품질이 나빠지고 종래의 공중통신망등으로 통신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통신하고,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영상정보를 압축할 필요성이 있다.
영상정보를 압축하기 위하여 도1(A)-(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정보를 계층별로 나눈다. 도1(A)는 영상 시퀀스층(Video Sequence Layer)을 도시하며 다수의 화면그룹(GOP:Group of Pictures)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GOP는 I픽쳐,B픽쳐,P픽쳐로 구성된다(도1(B) 참조). 하나의 픽쳐는 다수의 슬라이스(Slice)로 구성되며(도1(C)참조), 하나의 슬라이스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매크로 블록(Macro Block)으로 구성되며, 매크로 블록은 16×16 픽셀(Pixels)로 구성된다. 하나의 매크로 블록은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휘도 서브블록(B1-B4), 8개의 색차신호 서브블록(B5-B12)으로 구성되며, 하나의 서브블록은 8×8 픽셀(Pixels)로 구성된다(도1(F)참조).
도 2에 영상 부호화를 위해 매크로블록(16×16 화소)들로 구성된 임의 모양을 가진 물체를 보이는 픽쳐의 한 예를 도시한다. 도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세가지 종류의 매크로블록이 존재하게 된다. 즉, 물체내의 정보만으로 구성되는 물체내 매크로블록(22)과, 물체내의 정보를 하나도 갖지 않는 물체밖 매크로블록(23)과, 물체내의 정보를 부분적으로 갖는 물체경계매크로블록(21)의 3종류이다.
이렇게 구성된 매크로 블록에 영상정보 부호화 기술을 적용한다. 오차신호가 아닌 원영상신호를 부호화하는 인트라 모드일 때 8×8 블록을 이산여현 변환하고 DC계수를 양자화한 후, DC 예측을 하게 된다. DC예측방법에는 도3과 같이 지그재그 순서로 주변블록과 DPCM을 적용하여 비손실 부호화를 하는 DC예측방법이 있다. 여기서,흰색블록은 물체내 블록이고, 회색블록은 물체경계 블록이며, 흑색블록은 물체밖 블록이다.
DC계수의 부호화를 위해서 현재 부호화할 매크로 블록(MB2)의 블록B에 대해 이웃한 매크로블록(MB1)의 서브블록(B4)의 양자화된 DC계수(DC_B4)를 현재 부호화할 매크로 블록(MB2)의 블록B의 예측값(DC_P)으로 한다.
또한, 도 4와 같이 코드화될 현재블록(X)의 이전블록(A),좌상블록(B) 및 상측블록(C)을 선택하고, 이전블록(A)과 좌상블록(B)의 DC계수의 수직 기울기(gradients)의 절대값과 좌상블록(B)과 상측블록(C)의 DC계수의 수평 기울기의 절대값을 비교하여 수직기울기의 절대값이 수평기울기의 절대값보다 더 작을 때는 이전블록(A)의 DC계수를 현재블록(X)의 DC계수값 부호화를 위한 DC예측값으로 하고,수평기울기의 절대값이 수직기울기의 절대값보다 더 작을 때는 상측블록(C)의 DC계수를 현재블록(X)의 DC계수값 부호화를 위한 DC계수값으로 하여 현재블록(X)의 DC계수값에서 DC예측값을 뺀 차분(differential)을 부호화하는 방법이 있다.
도 5와같이 AC계수의 예측은 도 4에서 결정된 DC예측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이전블록의 첫째 행계수(상측블록(C)로부터 예측시) 또는 첫째 열계수(좌측블록(A)으로부터 예측시)가 현재블록(X)의 첫째행 계수 또는 첫째 열 게수의 예측값들로 삼아 차분 부호화한다.
상기와 같이 DC계수와 AC계수를 예측할 때, 매크로 블록내의 물체내 서브블록과 물체경계 서브블록에 대해서만 스캔하며 예측하여 부호화하고 물체밖 서브블록에 대해서는 부호화하지 않는다.
각 물체경계매크로 블록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가지 종류의 서브블록, 즉 물체내 서브블록(61), 물체밖 서브블록(63) 및 물체경계 서브블록(62,64)이 있다. 두 물체경계 서브블록(62)와 (64)는 서로 합병될 수 있으며, 합병하여 부호화 과정을 수행하면 부호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물체경계블록 합병(BBM:Boundary Block Merge)기술을 적용하게 되면, 합병되어 합쳐진 상태의 서브블록,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밖 서브블록으로 된 블록과 합병전과 후에 변함없이 물체밖 블록인 서브블록이 생기게 된다. 물체경계블록 합병기술이 적용되면 일례로 도 7(A)의 블록4가 물체경계블록 합병과정을 통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서브블록으로 변하게 된다.
물체경계블록 합병기술을 적용할 경우, 물체합병과정에 의해 물체 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한 블록이 존재하게 된다. 이와같이 BBM 기술을 적용하고 DC계수 및 AC 계수를 예측할 경우,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밖 블록으로 된 블록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정의되어 있지 않았으며, 그대로 물체경계 블록으로 취급하면 불필요한 이산여현 변환과정을 수행할 뿐만아니라 그 변환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하더라도 에러를 유발함은 물론 영상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정보의 매크로블록에 대해 물체경계 블록합병기술을 적용하고,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이 된 블록의 DC계수와 AC계수를 좌측블록과 상측블록 중에 물체밖블록이 아닌 블록이 있다면 그 블록의 DC계수 및 AC계수를 복사하여 설정하고, 그 설정된 계수를 이용하여 주변 서브블록의 DC계수와 AC계수를 예측하여 영상정보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영상정보 부호화/복호화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체경계 블록합병기술의 적용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이 된 블록의 DC계수와 AC계수를 합병정보에 의해 설정하고 그 설정된 계수를 이용하여 주변블록의 DC계수와 AC계수를 예측하여 영상정보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영상정보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부호화 장치는 영상신호 부호화부를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각 블록간에 대응되는 화소의 값을 비교하여 물체경계블록인지를 판단하여 물체경계블록 합병과정을 수행하는 물체경계블록 합병부와;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이산여현 변환을 수행하는 이산여현변환부와; 상기 이산여현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양자화하여 출력하는 양자화부와; 상기 양자화부에서 출력되는 양자화된 변환계수와 상기 물체경계블록 합병부에서 출력되는 합병정보를 입력받아 텍스처 정보를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변환계수 및 부호화블록 패턴 부호화부와; 상기 양자화부에서 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역양자화하여 변환계수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역양자화부와; 상기 역양자화부에서 출력되는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역이산여현 변환을 수행하는 역이산여현변환부와; 역이산여현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상기 물체경계블록 합병부에서 합병정보를 입력받아 복호화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물체경계블록 분리부로 구성한다.
또한 부호화 장치의 영상신호 부호화부를 영상신호와 원래의 모양정보를 입력받아 서브블록에서 물체가 아닌 부분을 물체부분의 평균값과 필터링하거나 0값으로 설정하는 물체경계블록 패딩부와; 상기 물체경계블록 패딩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재현된 모양정보를 입력받아 물체경계 블록 합병과정을 수행하는 물체경계블록 합병부와; 상기 물체경계블록 합병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이산여현 변환을 수행하는 이산여현변환부와; 상기 이산여현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양자화하여 출력하는 양자화부와; 상기 양자화부에서 출력되는 양자화된 변환계수와 상기 물체경계블록 합병부에서 출력되는 합병정보를 입력받아 텍스처 정보를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변환계수 및 부호화블록 패턴 부호화부와; 상기 양자화부에서 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역양자화하여 변환계수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역양자화부와; 상기 역양자화부에서 출력되는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역이산여현 변환을 수행하는 역이산여현변환부와; 역이산여현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상기 재현된 모양정보를 입력받아 복호화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물체경계블록 분리부로 구성한다.
그리고, 복호화 장치의 영상신호 재현부를 움직임 보상부에서 입력되는 움직임 정보와 영상신호 복호부에서 입력되는 복호화된 영상정보를 입력받아 예측과정을 수행하여 영상정보를 복호하여 출력하는 변환계수 및 부호화패턴 복호부와; 상기 변환계수 및 부호화 패턴 복호부에서 복호화되어 출력되는 영상정보에 양자화 계수를 곱하여 역양자화하는 역양자화부와; 상기 역양자화부에서 출력되는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역변환하여 공간역역의 영상데이타로 출력하는 역이산여현 변환부와; 상기 역이산여현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복호화된 매크로 블록 단위의 영상데이터를 영상표시부로 출력하는 물체경계블록 분리부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은 물체 합병기술을 수행후, 합병에 의해 물체밖 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은 예측을 하지않고, 합병에 의해 합쳐진 신호를 포함한 블록을 DCT변환하고 그 DC값을 이용하여 DC예측을 한다.
다른 방법은 물체경계블록 합병기술이 적용되고 AC/DC 예측부호화가 적용될 경우, 물체경계블록 합병기술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바뀐 블록에 대해 물체밖 블록으로 취급하여 DCT 부호화는 하지 않고, AC/DC 예측부호화를 위해 임의의 값들로 DC성분과 AC성분들에 대한 값으로 지정해준다.
또 다른 방법은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의 DC계수와 AC계수들을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한다.
또 다른 방법은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의 DC계수만을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고 AC계수는 0으로 설정한다.
또 다른 방법은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원래의 물체밖블록과 같이 DCT부호화하지 않고 DC계수는 중간값, 즉 2(bits_per_pixel-1)로 설정하고 AC계수는 0으로 설정한다.
또 다른 방법은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물체밖블록과 같이 DCT부호화하지 않고 좌측블록과 상측블록중에 물체밖블록이 아닌 블록이 있다면 그 블록의 AC계수 및 DC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한다.
도 1(A)-(F)는 영상신호의 계층적 구조를 보인다.
도 2는 영상 부호화를 위해 매크로블록(16×16 화소)들로 재구성된 임의 모양을 가진 영상의 일 실시예이다.
도 3은 물체경계블록 합병기술의 적용전의 스캔방법을 보인다.
도 4는 DC계수의 예측방법을 보이는 일실시예이다.
도 5는 AC계수의 예측방법을 보이는 일실시예이다.
도 6은 매크로블록 내의 서브블록의 종류를 보인다.
도 7(A)는 물체경계블록 합병기술이 적용되기 전의 서브블록이다.
(B)는 물체경계블록 합병과정을 통해 서브블록4가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하는 것을 보인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정보 부호화기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 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신호 부호화부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B)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신호 부호화부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0는 물체경계블록 합병기술을 적용후 DC계수 및 AC계수를 예측하는 스캔방법이다.
도 11은 합병후 DC계수 및 AC계수 예측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신호 부호화부의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정보 복호기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합병 및 예측과정에 의해 부호화된 영상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기의 영상신호 재현부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VOP부호화기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합병후 DC계수 및 AC계수 예측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신호 부호화부의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VOP복호기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합병 및 예측과정에 의해 부호화된 영상정보를 복호화하는 VOP복호 기의 영상신호 복호부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합병후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부호화 방법의 일실시 예를 보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합병후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부호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합병후 예측과정을 수행하여 복호화하는 복호화 방법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1는 본 발명에 의한 합병후 예측과정을 수행하여 복호화하는 복호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1....물체경계블록 패딩부 152....물체경계블록 합병부
153....이산여현 변환부 154....양자화부
155....변환계수 부호화부 156....역양자화부
157....역이산여현 변환부 158....물체경계블록 분리부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8에 본 발명에 의한 영상정보 부호화기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가 도시된다. 카메라(도시생략)로 부터 대상물 영상신호가 매크로 블록단위로 움직임 추정(Motion Estimation)부(81)에 입력되어 매크로 블록의 단위로 움직임이 추정된다. 상기 움직임 추정부(81)에서 추정된 매크로 블록의 움직임 정보는 움직임 보상(Motion Compensation)부(82)에 입력되어 움직임이 보상된다. 상기 움직임 보상부(82)에서 움직임이 보상된 매크로 블록단위의 영상신호는 상기 매크로 블록단위의 대상물 영상신호와 함께 감산기(83)에 입력되어 차이값이 검출되고, 상기 감산기(83)에서 검출된 차이값은 영상신호 부호화부(84)에 입력되어 서브블록 단위로 대상물의 영상신호가 부호화된다. 예를들면, 영상신호 부호화부(84)는 매크로 블록의 X축 및 Y축을 각기 8개의 화소를 가지는 8×8의 서브 블록으로 세분화한 후 대상물의 영상신호를 부호화한다.
상기 움직임 보상부(82)에서 움직임이 보상된 매크로 블록단위의 영상신호와 영상신호 부호화부(84)에서 부호화된 대상물의 내부 정보가 가산기(85)에 입력되어 가산되고, 상기 가산기(85)의 출력신호는 이전 영상신호 검출부(86)에 입력되어 이전 영상신호가 검출된다. 이전 영상신호 검출부(86)에서 검출된 상기 이전 매크로 블록의 영상신호는 움직임 추정부(81) 및 움직임 보상부(82)에 입력되어 움직임 추정 및 움직임 보상에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움직임 추정부(81)에서 추정된 움직임 정보, 영상신호 부호화부(84)에서 부호화된 대상물의 내부정보는 다중화부(88)에서 다중화되고, 버퍼부(89)를 통해 비트 스트림으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매크로 블록을 기반으로 합병과정을 수행한 후, 부호화하도록 영상신호 부호화부(84)를 구성하며 그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의 일 실시예가 도9(A)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의 영상신호 부호화부는 매크로 블록을 서브블록 단위로 스캔하여 영상정보를 스캔하는 매크로 블록스캔부(91)와, 상기 매크로 블록 스캔부(91)가 스캔한 서브블록이 합병조건을 만족할 경우에 합병하는 매크로 블록내의 합병과정수행부(92)와, 상기 매크로 블록 내의 합병과정 수행부(92)에서 합병된 블록을 부호화하는 영상정보 부호화부(93)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7(A)및(B)를 참고로 하여 상기 합병조건을 설명한다. 매클로블록 스캔부(91)는 매크로블록을 도 7(A)및(B)에 도시된 바와같이 블록1-블록4로 나누어 각 서브블록을 스캔하면서 물체의 윤곽정보를 저장한다. 예를들면, 윤곽정보는 각 픽셀값을 임계치(threshold)와 비교하여 작으면 0, 크면 1로 놓아 윤곽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저장된 윤곽정보에 의해 상기 합병과정수행부(92)는 경계블록을 검색하고, 각 경계블록사이에서 대응되는 좌표의 윤곽정보를 비교하여 합병과정을 수행하다. 즉, 블록1과 블록4가 물체경계블록이고 블록4를 180°회전한 것과 블록1간에 중첩된 픽셀이 없다면, 블록4를 회전시킨 물체 및 모양정보를 블록1에 합병하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4를 물체밖블록으로 변화시킨다. 이렇게 합병된 블록을 영상 부호화부(93)가 부호화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영상신호 부호화부(84)를 도9(B)와 같이 구성한다. 움직임 정보와 영상정보의 독립부호화 모드에서처럼 매크로 블록에 제한받지않고 영상의 전영역에 걸쳐 합병과정을 수행하여 부호화한다. 여기서, 영상신호 부호화부(84)는 전체영상 내의 합병과정을 수행하는 전체 영상합병부(94)와, 상기 전체영상합병부(94)에서 합병되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부호화하는 영상부호화부(95)로 구성된다.
DC계수 및 AC계수 예측은 영상신호 부호화부(84)에서 이루어지며 물체경계 합병기술이 적용될 때 기존영상신호를 입력으로 받지않고 합병된 신호와 블록형태를 입력받는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물체경계 블록 합병기술을 적용한 후, DC계수 및 AC계수의 예측시에 스캔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흰색블록은 물체내 블록이고, 회색블록은 물체경계 블록이며, 흑색블록은 물체밖 블록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서 물체경계 블록이던 매크로 블록(MB2)의 네 번째 블록이 물체밖블록으로 변한 것을 표시하며, 예측순서를 표시하는 점선에서 알수 있듯이 이러한 블록은 본 발명에 의한 예측방법에서는 예측하지 않게 된다.
도 11에 합병후 DC계수 및 AC계수 예측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신호 부호화부의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영상신호 부호화부(84)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각 서브블록간에 대응되는 화소의 값을 비교하여 물체경계블록인지를 판단하여 물체경계 블록 합병과정을 수행하는 물체경계블록 합병부(111)와, 상기 물체경계블록 합병부(111)에서 합병과정이 행해진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이산여현 변환을 수행하는 이산여현변환부(112)와, 상기 이산여현 변환부(112)에서 출력되는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양자화하여 출력하는 양자화부(113)와, 상기 양자화부(113)에서 출력되는 양자화된 변환계수와 상기 물체경계블록 합병부(111)에서 출력되는 합병정보를 입력받아 텍스처 정보를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변환계수 및 패턴부호화부(114)와, 상기 양자화부(113)에서 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역양자화하여 변환계수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역양자화부(115)와, 상기 역양자화부(115)에서 출력되는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역이산여현 변환을 수행하는 역이산여현변환부(116)와, 역이산여현 변환부(116)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상기 물체경계블록 합병부(111)에서 합병정보를 입력받아 복호화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물체경계블록 분리부로 구성한다.
도12에 본 발명에 의한 영상정보 복호기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가 도시된다.
부호부에서 입력되는 다중화된 영상신호정보와 움직임 정보가 디멀티플렉서(111)에 입력되어 다중화가 분리되어 출력된다. 상기 디멀티플렉서(111)에서 출력되는 움직임정보가 움직임 복호부(122)에 입력되어 움직임 정보가 검출된다. 영상신호 정보는 영상신호 복호부(125)에 입력되고, 상기 영상신호 복호부(125)는 각 블록간에 대응되는 화소의 값을 비교하여 물체경계블록인지를 판단하여 물체경계블록 분할과정을 수행하고 예측과정을 수행하여 복호화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영상신호 복호부(125)는 매크로블록을 도7(A)및(B)에 도시된 바와같이 블록1-블록4로 나누어 각 서브블록들 간에 대응되는 화소의 값을 비교하여 물체경계블록을 검색하고, 분할과정을 수행한다. 즉, 블록1과 블록4가 물체경계블록이고 블록4를 회전한 것과 블록1간에 중첩된 픽셀이 없다면, 블록1에서 블록4를 회전시킨 물체 및 모양정보를 분할하고, 그 분할한 정보를 다시 180°회전시켜 블록4를 구성한다. 블록1과 블록2, 블록1과 블록3, 블록2와 블록3, 블록2와 블록4, 블록3과 블록4 사이의 분할과정도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움직임 보상부(123)는 움직임 복호부(122)에서 검출된 움직임 정보와 영상 저장부(126)에서 영상데이타를 입력받아 움직임을 보상한다. 영상재현부(124)는 상기 움직임 보상부(123)에서 출력되는 움직임 보상정보와 영상신호 복호부(125)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을 재현하여 영상표시부(예;모니터,TV등)로 출력한다.
도 13에 합병 및 예측과정에 의해 부호화된 영상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기의 영상신호 복호부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가 도시된다.
변환계수 및 부호화패턴 복호부(131)는 디멀티플렉서(121)에서 입력되는 복호화된 영상정보를 입력받아 각 블록간에 대응되는 화소의 값을 비교하여 물체경계블록인지를 판단하여 물체경계블록 분할과정을 수행하여 복호화하고 예측과정을 수행하여 영상정보를 복호하여 출력한다. 역양자화부(132)는 상기 변환계수 및 부호화 패턴 복호부(131)에서 복호화되어 출력되는 영상정보에 양자화 계수를 곱하여 역양자화한다. 역이산여현 변환부(133)는 상기 역양자화부(132)에서 출력되는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역변환하여 공간역역의 영상데이타로 출력한다. 물체경계블록 분리부(134)는 상기 역이산여현 변환부(133)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복호화된 매크로 블록 단위의 영상데이터를 영상표시부(예;모니터,TV등)로 출력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영상정보를 압축하기 위하여 임의의 모양정보를 갖는 단위블록으로 VOP (VIDEO OBJECT PLANE : 이하 VOP라 한다)의 개념을 도입 할 수 있다.
상기 VOP는 인가되는 영상을 배경 영상과 각각의 대상물 영상으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한 배경 영상과 대상물 영상을 포함하는 사각형으로 정의되는 것으로, 영상 내에 소정의 물체, 또는 소정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대상물의 영역이 존재할 경우, 그 대상물의 영상을 각각의 VOP로 분리하고, 분리한 상기 VOP를 각기 부호화 할 수 있다.
도 2를 영상 부호화를 위해 매크로블록(16×16 화소)들로 재구성된 임의 모양을 가진 VOP의 한 예로 볼 수 있으며, 재구성된 VOP내에는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세가지 종류의 매크로블록, 즉 물체내의 정보만으로 구성되는 물체내 매크로블록과, 물체내의 정보를 하나도 갖지 않는 물체밖 매크로블록과, 물체내의 정보를 부분적으로 갖는 물체경계매크로블록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 VOP를 구성하는 물체경계매크로 블록(21)내에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가지 종류의 서브블록이 있으며, 물체경계 서브블록을 합병하여 부호화 과정을 수행하면 부호화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4에 본 발명에 의한 VOP부호화기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가 도시된다. VOP형성부(140)에서 형성된 각각의 대상물 영상에 대한 VOP가 움직임 추정(Motion Estimation)부(141)에 입력되어 매크로 블록의 단위로 움직임이 추정된다.
상기 움직임 추정부(141)에서 추정된 매크로 블록의 움직임 정보는 움직임 보상(Motion Compensation)부(142)에 입력되어 움직임이 보상된다. 상기 움직임 보상부(142)에서 움직임이 보상된 매크로 블록단위의 VOP는 VOP형성부(140)에서 형성된 VOP와 함께 감산기(143)에 입력되어 차이값이 검출되고, 상기 감산기(143)에서 검출된 차이값은 모양정보 부호화부(147)에서 입력되는 모양정보와 함께 영상신호 부호화부(144)에 입력되어 합병과정과 DC계수및AC 계수예측과정에 의해 서브블록 단위로 대상물의 영상신호가 부호화된다.
상기 움직임 보상부(142)에서 움직임이 보상된 매크로 블록단위의 VOP와 영상신호 부호화부(144)에서 부호화된 대상물의 내부 정보가 가산기(145)에 입력되어 가산되고, 상기 가산기(145)의 출력신호는 이전 VOP검출부(146)에 입력되어 이전화면의 VOP가 검출된다. 이전VOP검출부(146)에서 검출된 상기 이전 화면의 VOP는 움직임 추정부(141) 및 움직임 보상부(142)에 입력되어 움직임 추정 및 움직임 보상에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VOP형성부(140)에서 형성된 VOP는 모양정보 부호화부(147)에 입력되어 모양정보가 부호화된다.
여기서, 모양정보 부호화부(147)의 출력신호는 VOP부호화부가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사용여부가 결정되는 것으로 모양정보 부호화부(147)의 출력신호를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추정부(141), 움직임 보상부(142) 및 영상신호 부호화부(144)에입력시켜 움직임 추정, 움직임 보상 및 대상물의 내부 정보를 부호화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추정부(141)에서 추정된 움직임 정보, 영상신호 부호화부(144)에서 부호화된 대상물의 내부정보 및 모양정보 부호화부(147)에서 부호화된 모양정보는 다중화부(148)에서 다중화되고, 버퍼부(149)를 통해 비트 스트림으로 전송된다.
DC계수 및 AC계수 예측은 영상신호 부호화부(144)에서 이루어지며 물체경계 합병기술이 적용될 때 기존영상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물체경계블록합병부(152)에서 합병에 의해 변화된 신호와 블록형태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도 15에 합병후 DC계수 및 AC계수 예측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신호 부호화부의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VOP부호화기의 영상신호 부호화부(144)는 영상신호와 원래의 모양정보를 입력받아 서브블록(즉,8×8블록)에서 물체가 아닌 부분을 물체부분의 평균값과 필터링하거나 0으로 설정하는 물체경계블록 패딩부(151)와, 상기 물체경계블록 패딩부(151)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재현된 모양정보를 입력받아 물체경계 블록 합병과정을 수행하는 물체경계블록 합병부(152)와, 상기 물체경계블록 합병부(152)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이산여현 변환을 수행하는 이산여현변환부(153)와, 상기 이산여현 변환부(153)에서 출력되는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양자화하여 출력하는 양자화부(154)와, 상기 양자화부(154)에서 출력되는 양자화된 변환계수와 상기 물체경계블록 합병부(152)에서 출력되는 합병정보를 입력받아 텍스처 정보를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변환계수 및 패턴 부호화부(155)와, 상기 양자화부(154)에서 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역양자화하여 변환계수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역양자화부(156)와, 상기 역양자화부(156)에서 출력되는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역이산여현 변환을 수행하는 역이산여현변환부(157)와, 상기 역이산여현 변환부(157)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상기 재현된 모양정보를 입력받아 복호화된 매크로 블록 단위의 VOP데이터를 출력하는 물체경계블록 분리부(158)로 구성된다.
도16에 본 발명에 의한 VOP복호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가 도시된다.
VOP부호부에서 출력되어 수신측으로 전송되어온 다중화된 영상정보가 디멀티플렉서(161)에 입력되어 다중화가 분리되어 출력된다. 상기 디멀티플렉서(161)에서 출력되는 영상정보가 모양정보 복호부(162)에서 복호되어 출력된다. 또한 상기 디멀티플렉서(161)에서 출력되는 움직임정보와 상기 모양정보 복호부(162)에서 출력되는 모양정보가 움직임정보 복호부(163)에 입력되어 움직임 정보가 검출된다. 상기 디멀티플렉서(161)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정보와 상기 모양정보복호부(161)에서 출력되는 모양정보가 영상신호 복호부(166)에 입력되며, 상기 영상신호복호부(166)는 병합된 블록을 분할하고 에측과정을 수행하여 영상신호를 복호하여 출력한다. 움직임 보상부(164)는 움직임정보 복호부(163)에서 검출된 움직임 정보, 모양정보 복호부(162)에서 출력되는 모양정보와 VOP 저장부(167)에서 입력되는 VOP데이타를 입력받아 움직임을 보상한다. VOP 재현부(165)는 상기 모양정보 복호부(162)에서 출력되는 모양정보, 움직임 보상부(164)에서 출력되는 움직임 보상정보와 영상신호 복호부(166)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VOP를 재현한다. 합성부(168)는 VOP 재현부(155)에서 출력되는 VOP신호를 입력받아 화면을 합성한다.
도 17에 합병 및 예측과정에 의해 부호화된 영상정보를 복호화하는 VOP복호기의 VOP재현부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가 도시된다.
합병정보 추출부(175)는 모양정보 복호부(162)에서 출력되는 모양정보를 입력받아 부호화부와 동일한 합병과정에 의해 합병정보를 추출하여 변환계수 및 부호화패턴 복호부(171)와 물체경계블록 분리부(174)로 출력한다. 변환계수 및 부호화패턴 복호부(171)는 합병정보 추출부(175)에서 출력되는 합병정보와 상기 디멀티플렉서(161)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병합된 블록을 분할하고 예측과정을 수행하여 부호화된 영상정보를 복호화하여 출력한다. 역양자화부(172)는 상기 변환계수 및 부호화 패턴 복호부(171)에서 복호화된 영상정보에 양자화 계수를 곱하여 역양자화한다. 역이산여현 변환부(173)는 상기 역양자화부(172)에서 출력되는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역변환하여 공간역역의 영상데이타로 출력한다. 물체경계블록 분리부(174)는 상기 역이산여현 변환부(173)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상기 합병정보 추출부(175)에서 출력되는 합병정보를 입력받아 복호화된 매크로 블록 단위의 VOP데이터를 출력한다.
물체경계블록 합병과정과 DC 및 AC계수 예측과정은 부호화기에서는 영상신호 부호화부(84)와(144)에서 수행되며, 복호화기에서는 영상재현부(124)와 VOP재현부(165)에서 수행된다.
상기 변환계수 및 부호화 패턴 부호화부(114)와 (155)가 텍스처 정보를 생성할 때, 상기 물체경계블록 합병부(111)와 (152)에서 출력되는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현재의 서브블록은 DCT부(112)와 (153)에서 DCT하지 않게 하고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DC 및 AC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여 예측과정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들면, 도3과 도10에서 매크로블록(MB2)의 블록4가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되었으므로, 합병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매크로블록(MB2)의 블록2에서 DCT계수를 복사하고 그 값을 이용하여 매크로 블록(MB3)의 블록1을 예측한다.
도 4에 설명된 방법인 경우에는 현재블록(X)에 대한 DC계수를 에측부호화하고자할 때, 이전블록(A)과 좌상블록(B)의 DC계수의 수직기울기(gradient)의 절대값과 좌상블록(B)과 상측블록(C)의 DC계수의 수평기울기의 절대값을 비교하여 수직기울기의 절대값이 수평기울기의 절대값보다 더 작을때는 상측블록(C)의 DC계수를 현재블록(X)의 DC계수의 부호화를 위한 DC예측값으로 하고, 수평기울기의 절대값이 수직기울기의 절대값보다 더 작을때는 좌측블록(A)의 DC계수를 현재블록(X)의 DC계수의 부호화를 위한 DC예측값으로 하여 현재블록(X)의 DC계수를 예측부호화한다.
이때 DC계수 예측부호화를 위해 사용되는 블록들(블록 A,B,C )이 물체경계블록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불체밖블록으로 변화되었다면, 블록이 포함된 매크로블록 내에서 그블록의 정보를 합병하여 부호화한 블록의 DCT계수를 복사한 후의 정보를 이용하게 된다.
도 5에 설명된 방법인 경우에는 도 4에 설명된 방법에서 결정된 DC계수예측을 위해 사용된 좌측블록(A)의 첫째열 계수혹은 상측블록(C)의 첫째 행계수를 현재블록(X)의 첫째 열게수 또는 행게수를 예측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 AC게수 예측부호화를 위해 사용되는 블록들(블록 A,C)이 물체경계블록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불체밖블록으로 변화되었다면, 그 블록이 포함된 매크로블록 내에서 그블록의 정보를 합병하여 부호화한 블록의 DCT계수를 복사한 후의 정보를 이용하게 된다.
도 18에 본 발명에 의한 합병후 예측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수행하는 부호화 방법을 보이는 플로우 차트가 도시된다.
단계 S181에서 부호화기의 영상신호 부호화부(84)를 구성하는 물체경계블록 합병부(111)(VOP부호화기의 영상신호 부호화부(144)인 경우 물체경계블록 합병부(152))에서 출력되는 합병정보를 입력받는다. 단계 S182에서 상기 합병정보로 부터 블록1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했는지를 판단한다. 블록1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한 경우, 상기 합병정보를 이용하여 단계 S183에서 블록1의 정보를 합병하여 부호화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값을 블록 1에 복사하고, 단계 S184로 진행한다. 또한 블록1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하지 않은 경우에도 단계 S184로 진행한다.
단계 S184에서 상기 합병정보로 부터 블록2가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했는지를 판단한다. 블록2가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한 경우, 상기 합병정보를 이용하여 단계 S185에서 블록2의 정보를 합병하여 부호화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값을 블록 2에 복사하고, 단계 S186으로 진행한다. 또한 블록2가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하지 않은 경우에도 단계 S18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86에서 상기 합병정보로 부터 블록3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했는지를 판단한다. 블록3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한 경우, 단계 S187에서 상기 합병정보를 이용하여 블록3의 정보를 합병한 블록을 찾아내고, 그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값을 블록 3에 복사하고, 단계 S188로 진행한다. 또한 블록3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하지 않은 경우에도 단계 S188로 진행한다.
단계 S188에서 상기 합병정보로 부터 블록4가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했는지를 판단한다. 블록4가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한 경우, 단계 S189에서 상기 합병정보를 이용하여 블록4의 정보를 합병하여 부호화한 블록을 찾아내고 그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값을 블록 4에 복사하고, 단계 S190으로 진행한다. 또한 블록4가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하지 않은 경우에도 단계 S19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90에서 DC계수 및 AC계수의 예측과정을 수행한다. 단계 S191에서 부호화한 현재 매크로블록이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마지막 매크로블록인지를 판단하고,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마지막 매크로블록이 아니라면 S181로 복귀하여 그 이하의 과정을 수행하고,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마지막 매크로블록이었다면 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도 19에 본 발명에 의한 합병후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부호화 방법을 보이는 플로우 차트가 도시된다. 블록1은 물체경계블록인 경우, 물체경계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밖블록으로 변하지않으므로 제외한다.
단계 S201에서 부호화기의 영상신호 부호화부(84)를 구성하는 물체경계블록 합병부(111)(VOP부호화기의 영상신호 부호화부(144)인 경우 물체경계블록 합병부(152))에서 출력되는 합병정보를 입력받는다. 단계 S202에서 상기 합병정보로 부터 블록2가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했는지를 판단한다. 블록2가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한 경우, 단계 S203에서 블록1의 양자화된 DCT계수값을 블록2의 DCT계수에 복사하고, 단계 S204로 진행한다.
블록2가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하지 않은 경우, 단계 S204에서 상기 합병정보로부터 블록3이 물체밖 블록으로 변했는지를 판단한다. 블록3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한 경우, 단계 S205에서 수직방향 합병인지를 판단한다. 수직방향 합병인 경우, 단계 S207에서 블록1의 양자화된 계수값을 블록3에 복사하고, 단계 S208로 진행한다. 수직방향 합병이 아닌 경우,단계 S206에서 블록2의 양자화된 계수값을 블록3에 복사하고, 단계 S208로 진행한다.
블록3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하지 않은 경우, 단계 S208에서 블록4가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했는지를 판단한다. 블록4가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한 경우, 단계 S209에서 수평방향 합병인지를 판단한다. 수평방향 합병인 경우, 단계 S210에서 블록3의 양자화된 DCT계수값을 블록4에 복사하고, 단계 S214로 진행하여 DC계수 및 AC계수 예측과정을 수행한다.
수평방향 합병이 아닌 경우, 단계 S211에서 수직합병인지를 판단한다. 수직방향 합병이 아닌 경우, 단계 S212에서 블록1의 양자화된 DCT게수값을 블록4에 복사하고 단계 S214로 진행한다. 수직방향 합병인 경우, 단계 S213에서 블록2의 양자화된 DCT계수값을 블록4에 복사하고 단계 S214로 진행한다.
단계 S214에서 DC계수 및 AC계수의 예측과정을 수행한다. 단계 S215에서 영상정보가 포함된 마지막 매크로블록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입력되면 단계 S201로 복귀하여 그 이하의 과정을 수행하고, 입력되지 않으면 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상기 플로우차트의 단계 S214에서 수행되는 DC계수 및 AC계수의 예측과정을 각 블록에 대해 적용하여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호화기의 영상신호 부호화부(84)를 구성하는 물체경계블록 합병부(111)(VOP부호화기의 영상신호 부호화부(144)인 경우 물체경계블록 합병부(152))에서 출력되는 합병정보에 의해 블록2가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했다는 정보가 입력되면, 블록2는 블록1로만 합병되어지므로, AC/DC 예측부호화를 위해 블록1의 양자화된 DCT 계수값들을 블록2에 복사(COPY)하여(S202-S203) 예측과정(S214)을 위해 사용한다.
둘째, 물체 경게블록 합병부(111,152)에서 출력되는 합병정보에 의해 블록3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했다는 정보가 입력되면(S204), 블록3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합병된 블록을 찾아 그 블록의 양자화된 DCT 계수값들을 복사하여 예측과정을 위해 사용한다.
1) 합병정보를 판단하여 수직방향 합병에 의해 블록1에 합병되었는지를 먼저 검사한 후(S205), 블록1과 합병되어졌다면 블록3에 블록1의 양자화된 DCT 계수값들을 복사한다(S207).
2) 합병정보를 판단하여 상기 1)의 과정에서와 같이 합병되지 않았다면, 대각선 방향으로 블록2로 합병되어졌으므로, 블록3에 블록2의 양자화된 DCT 계수값들을 복사한다(S206).
셋째, 합병정보에 의해 블록4가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했다는 정보가 입력되면, 블록4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합병된 블록을 찾아 그 블록의 양자화된 DCT 계수값들을 복사하여 예측과정을 위해 사용한다(S209-S213).
1)합병정보를 판단하여 수평방향 합병에 의해 블록3에 합병되었는 지를 먼저 검사한 후, 블록3과 합병되어졌다면 블록4에 블록3의 양자화된 DCT 계수값들을 복사한다(S210).
2) 합병정보를 판단하여 상기 1)의 과정과 같이 합병되지 않았다면 수직방향 합병에 의해 블록2에 합병되었는 지를 검사한 후(S211), 블록2와 합병되어졌다면 블록4에 블록2의 양자화된 DCT 계수값들을 복사한다(S213).
3) 합병정보를 판단하여 상기 1)과, 2)의 과정과 같이 합병되지 않았다면, 대각선방향으로 블록1에 합병되어졌으므로, 블록4에 블록1의 양자화된 DCT 계수값들을 복사한다(S212).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변환계수 및 부호화 패턴 부호화부(114,155)가 텍스처 정보를 생성할 때, 상기 물체경계블록 합병부(111,152)에서 출력되는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의 DC계수만을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고 AC계수는 0으로 설정한다.
본 실시예도 도18에 도시된 부호화방법이 적용되며 단계 S181-단계 S189는 동일하며, 단계 S190의 예측과정에서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의 DC계수만을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고 AC계수는 0으로 설정한다.
또한 도19에 도시된 부호화방법이 적용되며 단계 S201-단계 S1213는 동일하며, 단계 S214의 예측과정에서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의 DC계수만을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고 AC계수는 0으로 설정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원래의 물체밖블록과 같이 DCT부호화하지 않고 DC계수는 2(bits_per_pixel-1)로 설정하고 AC계수는 0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bits_per_pixel은 한 픽셀의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표시하는 비트 수이다.
즉, 물체경계블록 합병과정이 적용되어 물체경계블록이 물체밖블록으로 변했을 경우, 그블록을 기존의 물체밖 블록과 같이 DCT부호화하지는 않고, 다만 AC/DC 예측부호화를 위해 DC성분은 2(bits_per_pixel-1)로, AC성분은 0으로 설정한다. 본 실시예도 도18 및 도19에 도시된 부호화방법이 적용되며 단계 S181-단계 S189, 단계 S201-단계 S1213는 동일하며, 단계 S190과 단계 S214의 예측과정만이 상기와 같이 수행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물체밖블록과 같이 DCT부호화하지 않고 좌측블록과 상측블록중에 물체밖블록이 아닌 블록이 있다면 그 블록의 AC계수 및 DC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한다. 본 실시예도 도18 및 도19에 도시된 부호화방법이 적용되며 단계 S181-단계 S189, 단계 S201-단계 S1213는 동일하며, 단계 S190과 단계 S214의 예측과정만이 상기와 같이 수행된다. 복호화 방법도 도18과 도 19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와 같은 과정으로 수행되며 합병정보 추출부(175)에서 추출된 합병정보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한 블록을 검사하여 도18과 도 19에 설명되는 복사과정 수행하여 복호화한다.
도 20과 도 21에 본 발명에 의한 합병후 예측과정을 수행하여 복호화하는 복호화 방법의 실시예를 보이는 플로우 차트가 도시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정보 부호화/복호화부에 물체경계블록 합병기술이 적용될 경우, 합병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이 된 블록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부호화/복호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9)

  1. 영상을 부호화하는 영상정보 부호화장치에 있어서,
    대상물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매크로 블록단위로 움직임을 추정하는 움직임 추정부와,
    상기 움직임 추정부에서 추정된 매크로 블록의 움직임 정보의 움직임을 보상하는 움직임 보상부와,
    상기 움직임 보상부에서 움직임이 보상된 매크로 블록단위의 영상신호를 상기 매크로 블록단위의 대상물 영상신호와 함께 차이값을 검출하는 감산기와,
    상기 감산기에서 검출된 차이값을 입력받아 각 블록간에 대응되는 화소의 값을 비교하여 물체경계블록인지를 판단하여 물체경계 블록 합병과정을 수행하는 영상신호 부호화부와,
    상기 움직임 보상부에서 움직임이 보상된 매크로 블록단위의 영상신호와 영상신호 부호화부에서 부호화된 대상물의 내부 정보를 가산하는 가산기와,
    상기 가산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이전 영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움직임 추정부 및 움직임 보상부에 출력하는 이전 영상신호 검출부와,
    상기 움직임 추정부에서 추정된 움직임 정보, 영상신호 부호화부에서 부호화된 대상물의 내부정보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와,
    상기 다중화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버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부호화부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각 블록간에 대응되는 화소의 값을 비교하여 물체경계블록인지를 판단하여 물체경계 블록 합병과정을 수행하는 물체경계블록 합병부와;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이산여현 변환을 수행하는 이산여현변환부와;
    상기 이산여현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양자화하여 출력하는 양자화부와;
    상기 양자화부에서 출력되는 양자화된 변환계수와 상기 물체경계블록 합병부에서 출력되는 합병정보를 입력받아 각 블록간에 대응되는 화소의 값을 비교하여 물체경계블록인지를 판단하여 텍스처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변환계수 및 부호화블록 패턴 부호화부와;
    상기 양자화부에서 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역양자화하여 변환계수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역양자화부와;
    상기 역양자화부에서 출력되는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역이산여현 변환을 수행하는 역이산여현변환부와;
    역이산여현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상기 물체경계블록 합병부에서 합병정보를 입력받아 복호화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물체경계블록 분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부호화부는
    매크로 블록을 서브블록 단위로 스캔하여 영상정보를 스캔하는 매크로 블록스캔부와;
    상기 매크로 블록 스캔부가 스캔한 서브블록이 합병조건을 만족할 경우에 합병하는 매크로 블록내의 합병과정수행부와;
    상기 매크로 블록 내의 합병과정 수행부에서 합병된 블록을 부호화하는 영상 부호화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부호화부는
    전체영상 내의 합병과정을 수행하는 전체 영상합병부와;
    상기 전체영상합병부에서 합병되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부호화하는 영상 부호화부로 구성되어 움직임 정보와 영상정보의 독립부호화 모드에서처럼 매크로 블록에 제한받지않고 전영역에 걸쳐 합병과정을 수행하여 부호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매클로블록 스캔부는 매크로블록을 블록1-블록4로 나누어 각 서브블록을 스캔하면서 물체의 윤곽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윤곽정보에 의해 상기 합병과정수행부는 경계블록을 검색하고, 각 경계블록사이에서 대응되는 좌표의 윤곽정보를 비교하여 합병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임의의 두 물체경계블록에서 하나의 블록을 180°회전한 것과 다른 블록1간에 중첩된 픽셀이 없다면, 전자의 블록을 후자의 블록에 합병하고,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장치.
  7. 부호화된 영상정보를 복호화하는 영상정보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
    부호부로 부터 입력되는 다중화된 영상신호정보와 움직임 정보를 다중화 분리하는 디멀티플렉서와;
    상기 디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움직임정보를 입력받아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는 움직임 복호부와;
    상기 디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 정보를 입력받아 각 블록간에 대응되는 화소의 값을 비교하여 물체경계블록인지를 판단하여 물체경계 블록분할과정을 수행하고 예측과정을 수행하여 복호화하는 영상신호 복호부와;
    상기 움직임 복호부에서 검출된 움직임 정보와 영상데이타를 입력받아 움직임을 보상하는 움직임 보상부와;
    상기 움직임 보상부에서 출력되는 움직임 보상정보를 입력받아 영상을 재현하여 출력하는 영상 재현부와;
    상기 영상재현부로부터 재현된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움직임 보상부로 그 저장된 영상데이타를 출력하는 영상저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복호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복호부는
    상기 디멀티플렉서에서 입력되는 영상정보를 입력받아 각 블록간에 대응되는 화소의 값을 비교하여 물체경계블록인지를 판단하여 물체경계 블록분할과정을 수행하고 예측과정을 수행하여 영상정보를 복호하여 출력하는 변환계수 및 부호화패턴 복호부와;
    상기 변환계수 및 부호화 패턴 복호부에서 복호화되어 출력되는 영상정보에 양자화 계수를 곱하여 역양자화하여 출력하는 역양자화부와;
    상기 역양자화부에서 출력되는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역변환하여 공간역역의 영상데이타로 출력하는 역이산여현 변환부와;
    상기 역이산여현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복호화된 매크로 블록 단위의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물체경계블록 분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복호화 장치.
  9. 영상을 임의의 모양 정보를 갖는 대상물 영상과 배경 영상으로 분리하여 부호화하는 영상정보 부호화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VOP를 형성하는 VOP형성부와,
    상기 VOP형성부에서 출력되는 매크로블록 단위의 영상에 대해 움직임을 추정하는 움직임 추정부와,
    상기 움직임 추정부에서 출력되는 움직임 정보를 입력받아 움직임 보상하는 움직임 보상부와,
    상기 움직임 보상부에서 출력되는 움직임이 보상된 VOP와 상기 VOP형성부에서 형성되어 출력되는 VOP를 감산하는 감산기와,
    상기 감산기에서 출력되는 차이값과 모양정보를 입력받아 매크로블록에 대해 물체경계 합병기술을 적용하여 합병과정을 수행하고, 그 합병된 매크로블록을 서브블록 단위로 부호화하는 영상신호 부호화부와,
    상기 움직임 보상부에서 움직임이 보상된 VOP와 상기 영상신호 부호화부에서 부호화된 대상물의 내부 정보를 가산하는 가산기와,
    상기 가산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이전화면의 VOP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이전화면의 VOP를 상기 움직임 추정부 및 움직임 보상부에 출력하는 이전 VOP검출부와,
    상기 VOP형성부에서 출력되는 매크로블록 단위의 영상에 대해 모양정보를 부호화하는 모양정보 부호화부와,
    상기 움직임 추정부에서 추정된 움직임 정보, 영상신호 부호화부에서 부화화된 대상물의 내부정보 및 모양정보 보호화부에서 부호화된 모양정보를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다중화부와,
    상기 다중화부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 전송하는 버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모양정보 부호화부의 출력신호는 상기 움직임 추정부, 움직임 보상부 및 영상신호 부호화부에 입력시켜 움직임 추정, 움직임 보상 및 대상물의 내부 정보를 부호화하는데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부호화부는
    매크로 블록을 서브블록 단위로 스캔하여 영상정보를 스캔하는 매크로 블록스캔부와;
    상기 매크로 블록 스캔부가 스캔한 서브블록이 합병조건을 만족할 경우에 합병하는 매크로 블록내의 합병과정 수행부와;
    상기 매크로 블록 내의 합병과정 수행부에서 합병된 블록을 부호화하는 영상부호화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부호화부는 전체영상 내의 합병과정을 수행하는 전체 영상합병부와, 상기 전체영상합병부에서 합병되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부호화하는 영상기반의 영상정보 부호화부로 구성되어 움직임 정보와 영상정보의 독립부호화 모드에서처럼 매크로 블록에 제한받지않고 VOP 전영역에 걸쳐 합병과정을 수행하여 부호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부호화부는
    영상신호와 원래의 모양정보를 입력받아 서브블록에서 물체가 아닌 부분을 물체부분의 평균값으로 설정하는 경계블록 패딩부와,
    상기 경계블록 패딩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재현된 모양정보를 입력받아 물체경계 블록 합병과정을 수행하는 경계블록 합병부와,
    상기 물체경계블록 합병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이산여현 변환을 수행하는 이산여현변환부와,
    상기 이산여현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양자화하여 출력하는 양자화부와,
    상기 양자화부에서 출력되는 양자화된 변환계수와 상기 물체경계블록 합병부에서 출력되는 합병정보를 입력받아 텍스처 정보를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변환계수및 부호화 패턴 부호화부와,
    상기 양자화부에서 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역양자화하여 변환계수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역양자화부와,
    상기 역양자화부에서 출력되는 변환계수를 입력받아 역이산여현 변환을 수행하는 역이산여현변환부와,
    역이산여현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상기 재현된 모양정보를 입력받아 복호화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물체경계블록 분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변환계수및 부호화 패턴 부호화부가 텍스처 정보를 생성할 때, 상기 물체경계블록 합병부에서 출력되는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DC 및 AC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변환계수및 부호화 패턴 부호화부가 텍스처 정보를 생성할 때,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원래의 물체밖블록과 같이 DCT부호화하지 않고 DC계수는 2(bits_per_pixel-1)( 여기서 bits_per_pixel은 한 픽셀의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표시하는 비트 수이다.)로 설정하고 AC계수는 0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부호화 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변환계수및 부호화 패턴 부호화부가 텍스처 정보를 생성할 때,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물체밖블록과 같이 DCT부호화하지 않고 좌측블록과 상측블록중에 물체밖블록이 아닌 블록이 있다면 그 블록의 AC계수 및 DC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여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 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계수및 부호화 패턴 부호화부가 텍스처 정보를 생성할 때,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고 AC계수는 0로 설정하여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 장치.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계수및 부호화 패턴 부호화부가 텍스처 정보를 생성할 때,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여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 장치.
  19. 임의의 모양 정보를 갖는 대상물 영상과 배경 영상으로 분리하여 부호화된 영상정보를 복호화하는 영상정보 복호화장치에 있어서,
    전송되어온 다중화된 영상정보를 다중화 분리하여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와;
    상기 디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영상정보를 복호하여 출력하는 모양정보 복호부와;
    상기 디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영상정보에서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는 움직임 복호부와;
    상기 디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영상정보에서 영상신호를 복호하여 출력하는 영상신호 복호부와;
    상기 움직임 복호부에서 검출된 움직임 정보, 모양정보 복호부에서 출력되는 모양정보와 VOP데이타를 입력받아 움직임을 보상하는 움직임 보상부와;
    상기 모양정보 복호부에서 출력되는 모양정보, 움직임 보상부에서 출력되는 움직임 보상정보와 영상신호 복호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병합된 블록을 분리하고 예측과정을 수행하여 VOP를 재현하는 VOP 재현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복호화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VOP재현부는
    상기 모양정보 복호부에서 출력되는 모양정보를 입력받아 부호화부와 동일한 합병과정에 의해 합병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합병정보 추출부와;
    상기 합병저보 추출부에서 출력되는 합병정보, 움직임 보상부에서 출력되는 움직임 보상정보와 영상신호 복호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부호화된 영상정보를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변환계수 및 부호화패턴 복호부와;
    상기 변환계수 및 부호화 패턴 복호부에서 복호화된 영상정보에 양자화 계수를 곱하여 역양자화하는 역양자화부와;
    상기 역양자화부에서 출력되는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역변환하여 공간역역의 영상데이타로 출력하는 역이산여현 변환부와;
    상기 역이산여현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상기 모양정보 복호부에서 출력되는 재현된 모양정보를 입력받아 복호화된 매크로 블록 단위의 VOP데이터를 출력하는 물체경계블록 분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복호화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계수 및 부호화패턴 복호부는 텍스처 정보를 생성할 때,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원래의 물체밖블록과 같이 DCT부호화하지 않고 DC계수는 2(bits_per_pixel-1)( 여기서 bits_per_pixel은 한 픽셀의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표시하는 비트 수이다.)로 설정하고 AC계수는 0으로 설정하여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복호화 장치.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계수 및 부호화패턴 복호부는 텍스처 정보를 생성할 때,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물체밖블록과 같이 DCT부호화하지 않고 좌측블록과 상측블록중에 물체밖블록이 아닌 블록이 있다면 그 블록의 AC계수 및 DC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고 예측과정을 수행하여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복호화 장치.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계수 및 부호화패턴 복호부는 텍스처 정보를 생성할 때,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고 AC계수는 0로 설정하고 예측과정을 수행하여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복호화 장치.
  24.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계수 및 부호화패턴 복호부는 텍스처 정보를 생성할 때,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고 예측과정을 수행하여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복호화 장치.
  25. 영상을 임의의 모양 정보를 갖는 대상물 영상과 배경 영상으로 분리하여 부호화하는 영상정보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텍스처 정보를 생성할 때,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원래의 물체밖블록과 같이 DCT부호화하지 않고 DC계수는 2(bits_per_pixel-1)( 여기서 bits_per_pixel은 한 픽셀의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표시하는 비트 수이다.)로 설정하고 AC계수는 0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부호화 방법.
  26. 영상을 임의의 모양 정보를 갖는 대상물 영상과 배경 영상으로 분리하여 부호화하는 영상정보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텍스처 정보를 생성할 때,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물체밖블록과 같이 DCT부호화하지 않고 좌측블록과 상측블록중에 물체밖블록이 아닌 블록이 있다면 그 블록의 AC계수 및 DC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여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 방법.
  27. 영상을 임의의 모양 정보를 갖는 대상물 영상과 배경 영상으로 분리하여 부호화하는 영상정보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텍스처 정보를 생성할 때,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고 AC계수는 0로 설정하여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 방법.
  28. 영상을 임의의 모양 정보를 갖는 대상물 영상과 배경 영상으로 분리하여 부호화하는 영상정보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텍스처 정보를 생성할 때,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여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 방법.
  29. 제25항 내지 제28항에 있어서, 물체경계블록 합병정보가 블록2가 물체경계블록합병과정에 의해 물체밖 블록으로 변했다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블록2에 합병되어진 블록1의 양자화된 DCT 계수값들을 복사하여 예측과정을 수행하고,
    블록3이 물체경계블록합병과정에 의해 물체밖 블록으로 변했다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합병된 블록을 찾아 그 블록의 양자화된 DCT 계수값들을 복사하여 예측과정을 수행하고,
    1) 물체경계블록합병정보를 이용해 수직방향 합병에 의해 블록1에 합병되었는 지를 먼저 검사한 후, 블록3을 블록1의 양자화된 DCT 계수값들을 복사한다.
    2) 물체경계블록합병정보를 이용해 상기 1)에서와 같이 합병되지 않았다면, 대각선 방향으로 블록2로 합병되어졌으므로, AC/DC 예측부호화를 위해 블록3에 블록2의 양자화된 DCT 계수값들을 복사한다.
    블록4가 물체경계블록합병과정에 의해 물체밖 블록으로 변했다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합병된 블록을 찾아 그 블록의 양자화된 DCT 계수값들을 복사하여 예측과정을 수행하고,
    1) 물체경계블록합병정보를 이용해 수평방향 합병에 의해 블록3에 합병되었는 지를 먼저 검사한 후, 블록3과 합병되어졌다면 블록4에 블록3의 양자화된 DCT 계수값들을 복사한다.
    2) 물체경계블록합병정보를 이용해 상기 1)의 과정과 같이 합병되지 않았다면 수직방향 합병에 의해 블록2에 합병되었는 지를 검사한 후, 블록2과 합병되어졌다면 블록4에 블록2의 양자화된 DCT 계수값들을 복사한다.
    3) 물체경계블록 합병정보를 이용해 상기 1), 2)에서와 같이, 합병되지 않았다면, 대각선방향으로 블록1로 합병되어졌으므로, 블록4에 블록1의 양자화된 DCT 계수값들을 복사하여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 방법.
  30. 영상을 부호화하는 영상정보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물체경계블록 합병부에서 출력되는 합병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합병정보로 부터 블록2가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블록1의 양자화된 DCT계수값을 상기 블록2의 DCT계수에 복사하는 단계와;
    블록2가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하지 않은 경우, 상기 합병정보로부터 블록3이 물체밖 블록으로 변했다고 판단한 경우, 수직방향 합병인지를 판단하고, 수직방향 합병인 경우, 블록1의 양자화된 계수값을 블록3에 복사하는 단계와;
    수직방향 합병이 아닌 경우, 블록2의 양자화된 계수값을 블록3에 복사하는 단계와;
    상기 합병정보로부터 블록3이 물체밖 블록으로 변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블록4가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했는지를 판단하여 블록4가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한 경우, 수평방향 합병인지를 판단하여 수평방향 합병인 경우, 블록3의 양자화된 DCT계수값을 블록4에 복사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수평방향 합병이 아닌 경우, 수직합병인지를 판단하여 수직방향 합병이 아닌 경우, 블록1의 양자화된 DCT게수값을 블록4에 복사하고 DC계수 및 AC계수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수직방향 합병인 경우, 블록2의 양자화된 DCT계수값을 블록4에 복사하고 DC계수 및 AC계수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DC계수 및 AC계수의 예측과정을 수행한 후, 다음에 입력되는 매크로블록 영상정보가 영상정보가 포함된 마지막 매크로블록인지를 판단하고 마지막 매크로블록이 아니면 상기 물체경계블록 합병부에서 출력되는 합병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로 복귀하여 그 이하의 과정을 수행하고 마지막 매크로블록이면 본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 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DC계수 및 AC계수의 예측과정은 상기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원래의 물체밖블록과 같이 DCT부호화하지 않고 DC계수는 2(bits_per_pixel-1)( 여기서 bits_per_pixel은 한 픽셀의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표시하는 비트 수이다.)로 설정하고 AC계수는 0으로 설정하여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부호화 방법.
  3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DC계수 및 AC계수의 예측과정은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물체밖블록과 같이 DCT부호화하지 않고 좌측블록과 상측블록중에 물체밖블록이 아닌 블록이 있다면 그 블록의 AC계수 및 DC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여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 방법.
  33.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DC계수 및 AC계수의 예측과정은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고 AC계수는 0로 설정하여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 방법.
  34.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DC계수 및 AC계수의 예측과정은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여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 방법.
  35. 영상을 부호화하는 영상정보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물체경계블록 합병부에서 출력되는 합병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합병정보로 부터 블록1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했는지를 판단하여 변한경우, 블록1의 정보가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값을 상기 블록1에 복사하고 다음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판단에서 변하지 않은 경우, 직접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합병정보로부터 블록2가 물체밖 블록으로 변했는지를 판단하여 변한 경우, 블록2의 정보가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값을 상기 블록2에 복사하여 다음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판단에서 변하지 않은 경우, 직접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합병정보로부터 블록3이 물체밖 블록으로 변했는지를 판단하여 변한 경우, 블록3의 정보가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값을 상기 블록3에 복사하여 다음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판단에서 변하지 않은 경우, 직접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합병정보로부터 블록4가 물체밖 블록으로 변했는지를 판단하여 변한 경우, 블록4의 정보가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값을 상기 블록4에 복사하여 다음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판단에서 변하지 않은 경우, 직접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DC계수 및 AC계수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 방법.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DC계수 및 AC계수의 예측과정은 상기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원래의 물체밖블록과 같이 DCT부호화하지 않고 DC계수는 2(bits_per_pixel-1)( 여기서 bits_per_pixel은 한 픽셀의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표시하는 비트 수이다.)로 설정하고 AC계수는 0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부호화 방법.
  37.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DC계수 및 AC계수의 예측과정은 상기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물체밖블록과 같이 DCT부호화하지 않고 좌측블록과 상측블록중에 물체밖블록이 아닌 블록이 있다면 그 블록의 AC계수 및 DC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여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 방법.
  38.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DC계수 및 AC계수의 예측과정은 상기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고 AC계수는 0로 설정하여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 방법.
  39.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DC계수 및 AC계수의 예측과정은 상기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여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부호화 방법.
  40. 영상정보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합병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합병정보로 부터 블록1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했는지를 판단하여 변한경우, 블록1의 정보가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값을 상기 블록1에 복사하고 다음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판단에서 변하지 않은 경우, 직접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합병정보로부터 블록2가 물체밖 블록으로 변했는지를 판단하여 변한 경우, 블록2의 정보가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값을 상기 블록2에 복사하여 다음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판단에서 변하지 않은 경우, 직접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합병정보로부터 블록3이 물체밖 블록으로 변했는지를 판단하여 변한 경우, 블록3의 정보가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값을 상기 블록3에 복사하여 다음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판단에서 변하지 않은 경우, 직접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합병정보로부터 블록4가 물체밖 블록으로 변했는지를 판단하여 변한 경우, 블록4의 정보가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값을 상기 블록4에 복사하여 다음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판단에서 변하지 않은 경우, 직접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DC계수 및 AC계수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복호화 방법.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DC계수 및 AC계수의 예측과정은 상기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원래의 물체밖블록과 같이 DCT부호화하지 않고 DC계수는 2(bits_per_pixel-1)( 여기서 bits_per_pixel은 한 픽셀의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표시하는 비트 수이다.)로 설정하고 AC계수는 0으로 설정하여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복호화 방법.
  42.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DC계수 및 AC계수의 예측과정은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물체밖블록과 같이 DCT부호화하지 않고 좌측블록과 상측블록중에 물체밖블록이 아닌 블록이 있다면 그 블록의 AC계수 및 DC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여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복호화 방법.
  43.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DC계수 및 AC계수의 예측과정은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고 AC계수는 0로 설정하여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복호화 방법.
  44.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DC계수 및 AC계수의 예측과정은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여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복호화 방법.
  45. 영상정보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합병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합병정보로 부터 블록2가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블록1의 양자화된 DCT계수값을 상기 블록2의 DCT계수에 복사하는 단계와;
    블록2가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하지 않은 경우, 상기 합병정보로부터 블록3이 물체밖 블록으로 변했다고 판단한 경우, 수직방향 합병인지를 판단하고, 수직방향 합병인 경우, 블록1의 양자화된 계수값을 블록3에 복사하는 단계와; 수직방향 합병이 아닌 경우, 블록2의 양자화된 계수값을 블록3에 복사하는 단계와;
    상기 합병정보로부터 블록3이 물체밖 블록으로 변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블록4가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했는지를 판단하여 블록4가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 블록으로 변한 경우, 수평방향 합병인지를 판단하여 수평방향 합병인 경우, 블록3의 양자화된 DCT계수값을 블록4에 복사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수평방향 합병이 아닌 경우, 수직합병인지를 판단하여 수직방향 합병이 아닌 경우, 블록1의 양자화된 DCT게수값을 블록4에 복사하고 DC계수 및 AC계수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수직방향 합병인 경우, 블록2의 양자화된 DCT계수값을 블록4에 복사하고 DC계수 및 AC계수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DC계수 및 AC계수의 예측과정을 수행한 후, 다음에 입력되는 매크로블록 영상정보가 영상정보가 포함된 마지막 매크로블록인지를 판단하고 마지막 매크로블록이 아니면 상기 물체경계블록 합병부에서 출력되는 합병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로 복귀하여 그 이하의 과정을 수행하고 마지막 매크로블록이면 본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복호화 방법.
  46.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DC계수 및 AC계수의 예측과정은 상기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원래의 물체밖블록과 같이 DCT부호화하지 않고 DC계수는 2(bits_per_pixel-1)( 여기서 bits_per_pixel은 한 픽셀의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표시하는 비트 수이다.)로 설정하고 AC계수는 0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복호화 방법.
  47.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DC계수 및 AC계수의 예측과정은 상기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물체밖블록과 같이 DCT부호화하지 않고 좌측블록과 상측블록중에 물체밖블록이 아닌 블록이 있다면 그 블록의 AC계수 및 DC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여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복호화 방법.
  48.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DC계수 및 AC계수의 예측과정은 상기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고 AC계수는 0로 설정하여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복호화 방법.
  49.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DC계수 및 AC계수의 예측과정은 상기 합병정보가 현재의 서브블록이 합병과정에 의해 물체경계블록에서 물체밖블록으로 변화된 블록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합병된 블록의 양자화된 DCT계수를 현재의 서브블록에 복사하여 예측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복호화 방법.
KR1019970050304A 1996-09-30 1997-09-30 영상정보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525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6-45056 1996-09-30
KR1019960045056 1996-09-30
KR97-33832 1997-07-19
KR19970033832 1997-07-19
KR1019970033832 1997-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164A true KR19980025164A (ko) 1998-07-06
KR100525563B1 KR100525563B1 (ko) 2006-01-12

Family

ID=26632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304A KR100525563B1 (ko) 1996-09-30 1997-09-30 영상정보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56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909A (ko) * 2002-03-07 2003-09-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동영상 디코더의 객체 세그멘테이션 방법
KR100576759B1 (ko) * 1999-06-21 2006-05-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영상정보 부호화장치 및 그 방법
KR100727988B1 (ko) * 2005-10-01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변환 영역에서의 dc 계수 예측 방법 및 장치
KR100771596B1 (ko) * 2001-01-05 2007-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캠코더 포맷 영상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775019B1 (ko) * 2007-06-18 2007-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개의 주사 패턴을 이용한 부호화 방법, 복호화 방법,및 그 장치
KR100849730B1 (ko) * 2002-04-04 2008-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2차 계획법을 이용하는 객체기반 영상 압축 방법
KR101418098B1 (ko) * 2009-02-12 2014-07-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CN111953975A (zh) * 2020-07-03 2020-11-17 西安万像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渐进式解编码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916B1 (ko) 2006-06-21 2013-10-21 박상래 움직임 추정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방법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1395A (en) * 1989-08-07 1993-08-31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Adaptive transform coding using variable block size
JP3895431B2 (ja) * 1996-07-08 2007-03-22 株式会社ハイニックスセミコンダクター 物体境界ブロック合併/分割を利用した映像情報符号化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759B1 (ko) * 1999-06-21 2006-05-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영상정보 부호화장치 및 그 방법
KR100771596B1 (ko) * 2001-01-05 2007-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캠코더 포맷 영상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030072909A (ko) * 2002-03-07 2003-09-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동영상 디코더의 객체 세그멘테이션 방법
KR100849730B1 (ko) * 2002-04-04 2008-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2차 계획법을 이용하는 객체기반 영상 압축 방법
KR100727988B1 (ko) * 2005-10-01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변환 영역에서의 dc 계수 예측 방법 및 장치
KR100775019B1 (ko) * 2007-06-18 2007-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개의 주사 패턴을 이용한 부호화 방법, 복호화 방법,및 그 장치
KR101418098B1 (ko) * 2009-02-12 2014-07-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CN111953975A (zh) * 2020-07-03 2020-11-17 西安万像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渐进式解编码方法及装置
CN111953975B (zh) * 2020-07-03 2024-05-17 西安万像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渐进式解编码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5563B1 (ko)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7929B2 (ja) 映像情報符号化/復号化装置
KR100303685B1 (ko) 영상 예측부호화 장치 및 그 방법
JP5107649B2 (ja) ビデオの映像コード化およびイントラ・コード化のための固定型または適応型デインターリープドトランスフォームコード化方法及び装置
KR100488422B1 (ko) 그레이스케일모양정보부호화/복호화장치및그방법
US7054494B2 (en) Coded block pattern decoding with spatial prediction
US6944351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encoding/decoding a coded block pattern
KR100501902B1 (ko) 영상정보부호화/복호화장치및방법
US771119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coded block pattern for alpha channel image and alpha channel image encoding/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JP4226172B2 (ja) 適応的変換方法を用いる映像圧縮符号化装置および復号化装置ならびにその方法
KR19990036188A (ko) 부호화된 디지탈 비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040050876A (ko) 비디오 부호화 방법, 비디오 복호화 방법, 비디오 부호화프로그램, 비디오 복호화 프로그램, 비디오 부호화 장치및 비디오 복호화 장치
JP2007521740A (ja) 変換ドメイン内のゼロを早期に発見する方法
KR100525563B1 (ko) 영상정보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JP3518733B2 (ja) 物体単位映像信号符号化/復号化装置及び方法
EP0926899A2 (en) An apparatus and process for decoding motion pictures
JP5080304B2 (ja) 秘匿データが挿入された画像データの表示方式
JP4165752B2 (ja) 画像データへの秘匿データ挿入方式および秘匿データ検出方式
US7426311B1 (en) Object-based coding and decoding apparatuses and methods for image signals
KR100417131B1 (ko) 매크로블록의합병과패딩을이용한모양적응영상부호화장치
KR100559713B1 (ko) 격행주사를 위한 색상 정보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424680B1 (ko) 매크로블록의합병을이용한모양적응부호화시스템
KR100417133B1 (ko) 매크로블록의합병을이용한모양적응부호화시스템
KR100549926B1 (ko) 영상의 영역별 움직임 벡터 추정장치와 영상의 영역별 움직임보상 예측 부호화/복호화 방법
JPH06197326A (ja) 画像信号符号化方法および復号化方法並びに画像信号符号化装置および復号化装置
JP2003052054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