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3637U - Spare tire storage structure of car - Google Patents

Spare tire storage structure of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3637U
KR19980023637U KR2019960037025U KR19960037025U KR19980023637U KR 19980023637 U KR19980023637 U KR 19980023637U KR 2019960037025 U KR2019960037025 U KR 2019960037025U KR 19960037025 U KR19960037025 U KR 19960037025U KR 19980023637 U KR19980023637 U KR 199800236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e tire
storage structure
shaft
shaft ro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702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채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7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3637U/en
Publication of KR199800236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637U/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B62D43/1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and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02Handling devices, mainly for heavy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타이어 교체 작업시 힘이 약한 여성 및 노약자의 경우 매우 힘이 드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re tire storage structure of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related art, a problem such as a very hard work for women and the elderly who are weak when replacing tires has occurred.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트렁크룸 바닥의 표면에는 상단부 둘레에 단턱부를 갖도록 스페어 타이어의 수납실이 원형으로 포밍 형성되고, 그 수납실의 단턱부에 덮개가 안치되면서 그 상부로는 카페트가 덮여지도록 된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의 바닥에는 외주면과 상단부에 나사부와 삽지홈이 형성된 축봉의 하단을 베어링 결합하여 회전 자재되면서 승하강되게 하되, 그 축봉의 나사부에는 스페어 타이어의 적재판을 치합하고, 상기 축봉의 삽지홈에 끼워지도록 삽지돌기를 하단에 형성한 보조봉의 상단에는 조절레버의 고정홈에 끼워져 착탈되도록 고정돌기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비교적 힘이 약한 여성 운전자나 노약자인 경우라도 쉽게 스페어 타이어를 인출할 수 있게 하여 보다 손 쉬운 타이어 교체 작업을 수행하도록 된 고안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the luggage compartment floor is formed in a circular forming chamber of the spare tire to have a stepped portion around the upper end, the car is covered with the carpet while the cover is placed on the stepped portion of the storage compartment In the spare tire storage structure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upper end of the shaft and the upper end of the shaft rod formed with the insertion groove is coupled to the bearing by the rotating material to move up and down, but the screw portion of the shaft rod mounting plate of the spare tire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rod formed with the insertion protrusion to the lower end so as to fit in the insertion groove of the shaft rod, the fixing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to be inserted and detached into the fixing groove of the control lever, the female driver or the elderly who are relatively weak Easier tire replacement even with the spare tire It is designed to perform karma.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Spare tire storage structure of car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렁크룸 바닥으로 포밍 형성된 수납실에는 스페어 타이어를 안치하게 된 적재판과 치합된 축봉을 회전 자재되게 베어링 결합하는 한편, 그 축봉의 선단에는 보조봉과 조절레버를 차례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므로써, 스페어 타이어 교환시 조절레버의 간단한 회전 동작에 의해 스페어 타이어를 인출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연약한 여성 운전자나 노약자라도 간단히 스페어 타이어를 쉽고 편리하게 인출하게 된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re tire storage structure of an automobile, and in particular, a storage compartment formed with a floor of a trunk room, bearing shafts engaged with a loading plate on which spare tires are placed, and a shaft coupled with a rotating material, while auxiliary to the tip of the shaft By installing the rod and the control lever in a detachable manner, the spare tire can be taken out by the simple rotation of the control lever when replacing the spare tire. A spare tire storage structure.

일반적으로 스페어 타이어(Spare tire)는 자동차가 주행중 도로의 상태에 따라 돌출된 자갈이나 날카로운 물체에 의해 타이어가 파손되었을 경우 각 타이어의 높이가 맞지 않기 때문에 운전자가 정상적인 조향 조작을 하지 못함으로 인해 안전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됨에 따라 파손된 타이어를 곧바로 교체해 주어야 하는 데, 여분의 타이어가 구비된 정비소로부터 멀리 떨어진 후미진 장소에서는 스페어 타이어가 없어 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차량에 미리 한 두 개의 스페어 타이어를 장착한 상태에서 주행을 하고 있다.In general, spare tires are safe to operate due to the driver's failure to operate the steering wheel because the height of each tire is not correct when the tires are damaged by protruding gravel or sharp objects depending on the road condition while the car is driving. The damaged tire must be replaced immediately as it causes a problem.In the rear area far away from the workshop where the spare tire is equipped, spare tires are not available, so it is impossible to replace them. I'm driving with two spare tires.

그 스페어 타이어는 보통 트렁크룸에 장착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나, 트럭의 경우에는 차체의 하부에, 지프의 경우에는 차량의 후방에 장착하여 보관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중 트렁크룸에 스페어 타이어를 보관하게 된 것에 있어, 종래에는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의 트렁크룸 바닥(10)에는 상단 주연으로 단턱부(14)가 형성된 수납실(12)이 스페어 타이어(20)를 장착 보관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하되 그 스페어 타이어(20)는 수납실(12)에 스크류(30)와 같은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고, 그 수납실(12)의 단턱부(14)에는 덮개(40)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여 보관된 스페어 타이어(2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며, 상기 트렁크룸 바닥(10)에는 보호용 카페트(50)를 안착하도록 되어 있었다.The spare tires are usually mounted in the luggage compartment, but in the case of trucks, the tires are sometimes stor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and in the case of the jeep, in the rear of the vehicle. In the spare tire is stored in the double trunk room, 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ure 1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runk room 10 of the vehicle storage compartment 12 is formed with a stepped portion 14 is formed in the upper periphery The spare tire 2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spare tire 20 can be mounted and stored, and the spare tire 20 is fixed to the storage chamber 12 by using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30 so as not to move, and the storage chamber 12 In the stepped portion 14 of the cover 40 is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stored spare tire 20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the trunk room floor 10 was to be seated on the protective carpet 50.

이렇게 된 종래의 기술에서는 상기 수납실(12)에 스페어 타이어(20)를 넣어 스크류(30)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 다음 덮개(40)를 이용하여 수납실(12)을 폐쇄시키게 되는 데, 상기 덮개(40)는 수납실(12)에 형성된 단턱부(14)에 안치될 수 있도록 했었다. 그 위에 통상의 카페트(50)를 덮어 외부에서 볼 때 평탄한 바닥을 이루도록 한 후 청소도구 및 각종 물건을 보관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후 자동차의 주행도중 타이어에 펑크가 발생할 경우 차량을 정차시키고 나서, 파손된 타이어를 스페어 타이어(20)로 교체해 주는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트렁크룸의 리드를 열고 난 다음, 그 트렁크룸 바닥(10)에 덮여진 카페트(50)를 걷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덮개(40)를 열어 스페어 타이어(20)가 보일 수 있도록 한다. 이어, 그 스페어 타이어(20)를 고정하고 있는 스크류(30)를 풀어 탈거시켜 주어야 하므로, 그 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무엇보다도 특히, 연약한 여성이나 노약자인 경우 트렁크룸 바닥(10)으로 형성된 수납실(12)에서 스페어 타이어(20)를 꺼낼 때 일정한 높이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힘이 드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In the related art, the spare tire 20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chamber 12 to be fixed by the screw 30 so as not to move, and then the storage chamber 12 is closed by using the cover 40. 40 was to be placed in the stepped portion 14 formed in the storage chamber (12). Cover the usual carpet (50) thereon to achieve a flat bottom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was to store the cleaning tools and various objects. Then, if a puncture occurs in the tire while driving the vehicle, the vehicle is stopped, and then the lid of the trunk room is first opened in order to replace the damaged tire with the spare tire 20, and then the trunk room floor 10 Walk on the carpet 50 covered. Then, the cover 40 is opened so that the spare tire 20 can be seen. Subsequently, since the screw 30 fixing the spare tire 20 needs to be released and removed, the process is complicated and cumbersome. Above all,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weak woman or an elderly person, there is a problem such that it is difficult because a certain height is formed when the spare tire 20 is taken out of the storage compartment 12 formed of the trunk room bottom 10.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타이어 펑크 발생시 트렁크룸 바닥에 포밍 형성된 수납실에서 스페어 타이어를 꺼낼 때 조절레버의 간단한 회전 동작으로 스페어 타이어의 적재판이 승하강되게 하므로써, 연약한 여성 운전자나 노약자라도 쉽고 편리하게 스페어 타이어 인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tire puncture occurs, when the spare tire is removed from the storage compartmen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runk room, the loading plate of the spare tire is raised and lowered by a simple rotation of the control lever, so that even a weak female driver or the elderly can easily and convenient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re tire storage structure for a vehicle that is capable of taking out spare tires.

이러한 본 고안은 트렁크룸 바닥의 표면에는 상단부 둘레에 단턱부를 갖도록 스페어 타이어의 수납실이 원형으로 포밍 형성되고, 그 수납실의 단턱부에 덮개가 안치되면서 그 상부로는 카페트가 덮여지도록 된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의 바닥에는 외주면과 상단부에 나사부와 삽지홈이 형성된 축봉의 하단을 베어링 결합하여 회전 자재되면서 승하강되게 하되, 그 축봉의 나사부에는 스페어 타이어의 적재판을 치합하고, 상기 축봉의 삽지홈에 끼워지도록 삽지돌기를 하단에 형성한 보조봉의 상단에는 조절레버의 고정홈에 끼워져 착탈되도록 고정돌기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므로써 달성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uggage compartment floor,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spare tire is formed to have a rounded circumference around the upper end, the cover is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compartment while the carpet is covered with the upper In the spare tire storage structu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chamber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haft rod formed with the threaded portion and the insertion groove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chamber to be raised and lowered while being rotated, and the mounting portion of the spare tire is mounted on the screw portion of the shaft. And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rod formed with the insertion protrusion to the lower en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shaft rod is achieved by forming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of the control lever.

도 1은 종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를 보인 일부절결 요부측면도.1 is a partially cut-out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pare tire storage structure.

도 2는 본 고안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를 보인 일부절결 요부측면도.Figure 2 is a partially cut-out side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spare tire storage structure.

도 3은 도 2의 오부확대 단면도로, (a)는 스페어 타이어를 장착할 때이고, (b)는 스페어 타이어를 탈거할 때이다.FIG. 3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FIG. 2, (a) is when the spare tire is mounted, and (b) is when the spare tire is removed.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10 : 트렁크룸 바닥120 : 스페어 타이어110: trunk room floor 120: spare tire

130 : 축봉140 : 덮개130: shaft 140: cover

150 : 카페트160 : 적재판150: carpet 160: loading plate

170 : 보조봉180 : 조절레버170: auxiliary rod 180: control lever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3(a)(b)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는 트렁크룸 바닥(110)의 표면에는 상단부 둘레에 단턱부(114)를 갖도록 스페어 타이어(120)의 수납실(112)이 원형으로 포밍 형성되고, 그 수납실(112)의 단턱부(114)에 덮개(140)가 안치되면서 그 상부로는 카페트(150)가 덮여지도록 된다.As shown in FIGS. 2 to 3 (a) and (b), the spare tire storage structure of the inventive vehicle has a spare tire (not shown) having a stepped portion 114 around an upper end of the trunk room floor 110. The storage chamber 112 of the 12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cover 140 is placed on the stepped portion 114 of the storage chamber 112 so that the carpet 150 is covered thereon.

상기 수납실(112)의 바닥(112a)에는 외주면과 상단부에 나사부(132)와 삽지홈(134)이 형성된 축봉(130)의 하단을 베어링 결합하여 회전 자재되면서 승하강되게 한다.The bottom 112a of the storage chamber 112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haft rod 130, the threaded portion 132 and the insertion groove 134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upper end, while being rotated to move up and down.

그 축봉(130)의 나사부(132)에는 스페어 타이어(120)의 적재판(160)을 치합하고, 상기 축봉(130)의 삽지홈(134)에 끼워지도록 삽지돌기(172)를 하단에 형성한 보조봉(170)의 상단에는 조절레버(180)의 고정홈(182)에 끼워져 착탈되도록 고정돌기(174)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mounting plate 160 of the spare tire 120 is fitted to the threaded portion 132 of the shaft rod 130,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172 is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so as to fit into the insertion groove 134 of the shaft rod 130. The fixing protrusion 174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rod 170 so as to be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fixing groove 182 of the control lever 180.

상기 수납실(112)의 바닥(112a)에는 안내공(112b)을 형성하고, 그 안내공(112b)과 상응한 위치의 적재판(160)에는 안내봉(162)이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승하강 작용을 돕게 한다.A guide hole 112b is formed at the bottom 112a of the storage chamber 112, and a guide rod 162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loading plate 16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hole 112b. Helps to lift and lower the action.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즉, 본 고안에서는 자동차 주행도중 타이어 펑크가 발생했을 경우 그 파손된 타이어를 교체해 주기 위해서는 수납실(112)의 바닥(112a)으로 베어링 결합된 축봉(130)에 보조봉(170)과 조절레버(180)를 차례로 끼운 다음, 조절레버(18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축봉(130)을 회전시킴에 따라 스페어 타이어(120)를 수납실(112)의 바닥(112a)으로부터 이격/ 비이격시키는 동작을 하므로써, 손이 닿을 수 있는 거리를 좁혀 주기 때문에 힘이 비교적 약한 여성 운전자 및 노약자라도 별도 힘들이지 않고 스페어 타이어(120)를 쉽게 인출할 수 있게 된 고안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ire puncture occurs while driving a vehicle, in order to replace the damaged tire, the auxiliary rod 170 and the control lever are mounted on the shaft rod 130 which is bearing-coupled to the bottom 112a of the storage compartment 112. 180) in turn, and then rotates the adjustment lever 180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o rotate the shaft 130 so that the spare tire 120 is spaced / non-spaced from the bottom 112a of the storage compartment 112. By operating, narrowing the reachable distance, even the female driver and the elderly who are relatively weak in strength is designed to be able to easily withdraw the spare tire 120 without effort.

그 스페어 타이어(120)의 보관 및 꺼내는 과정은 도면 3(a)(b)를 참조로 하여 자세히 기술한다. 우선 자동차 주행도중 도로면의 상태에 따라 타이어 펑크가 발생시 운전자는 스페어 타이어(120)를 보관 장소에서 꺼내기 위해 우선적으로 상기 수납실(112)의 바닥(112a)으로 베어링 결합된 축봉(130)의 삽지홈(134)에 보조봉(170)의 삽지돌기(172)를 끼우게 된다. 이어, 상기 보조봉(170)의 상부로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174)에 조절레버(180)를 끼우게 되는 데, 이때 그 조절레버(180)에는 고정홈(182)이 형성되어 있어 보조봉(170)의 고정돌기(174)에 끼워지는 상태가 된다. 특히 상기 축봉(130)의 외주면으로 형성된 나사부(132)에는 스페어 타이어(120)가 상치된 적재판(160)이 치합 상태로 있게 되는 것이다.The process of storing and taking out the spare tire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a) (b). First, when a tire puncture occur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oad surface while driving a vehicle, the driver first inserts the shaft 130 bearing-coupled to the bottom 112a of the storage compartment 112 to remove the spare tire 120 from the storage place. The insertion protrusion 172 of the auxiliary rod 17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34. Subsequently, the control lever 18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rotrusion 174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rod 170. At this time, the adjusting lever 180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182 is formed in the auxiliary rod ( It will be in the state fitted to the fixing protrusion 174 of 170. In particular, in the threaded portion 132 formed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rod 130, the mounting plate 160 on which the spare tire 120 is placed is in a mating state.

그리고 나서, 상기 조절레버(18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보조봉(170)과 축봉(130)이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축봉(130)은 수납실(112) 바닥(112a)에서 베어링 결합된 상태에 있으므로 자체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에 있다. 이에 상기 수납실(112)의 바닥(112a)에 근접된 위치에 있던 적재판(160)은 축봉(130)의 나사부(132)를 따라 승강하여 수납실(112)의 입구 근처까지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때까지는 상기 조절레버(180)를 계속 회전시키고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나서, 조절레버(180)의 회전 동작을 멈춘 후 상기 보조봉(170)과 조절레버(180)를 각각 탈거하게 된다. 다음으로 적재판(160)에 상치되어 있던 스페어 타이어(120)를 꺼내 원하는 교체 작업을 수행하면 되는 것이다. 조절레버(180)의 회전 동작시 주의할 점은, 상기 스페어 타이어(120)를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조절레버(180)를 회전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조절레버(180)와 함께 적재판(160)이 회전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Then, when the control lever 18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auxiliary rod 170 and the shaft rod 130 is rotated along. At this time, the shaft rod 130 is in a state in which the bearing is coupled to the bottom 112a of the storage chamber 112, so that it can be rotated by itself. Accordingly, the loading plate 160 located in the position close to the bottom 112a of the storage compartment 112 is lifted along the threaded portion 132 of the shaft rod 130 to reach near the entran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112. . Of course, until this time, the control lever 180 continues to rotate. Then, after stopp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control lever 180 to remove the auxiliary rod 170 and the control lever 180, respectively. Next, take out the spare tire 120 placed on the mounting plate 160 to perform the desired replacement operation. Note that when the adjustment lever 180 rotates, the adjustment lever 180 should be rotated while the spare tire 120 is held by one hand. This is because the mounting plate 160 may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control lever 180.

이와는 반대로, 상기 스페어 타이어(120)를 수납실(112)에 보관할 경우 먼저 상기 적재판(160)에 스페어 타이어(120)를 상치한 다음, 상기 축봉(130)에 보조봉(170)과 조절레버(180)를 차례로 설치하게 된다. 이후 앞서와는 반대 방향으로 조절레버(18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적재판(160)은 축봉(130)의 나사부(132)를 따라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적재판(160)이 수납실(112)의 바닥(112a)에 완전히 근접했 경우 조절레버(180)의 회전을 멈추게 된다. 이어, 조절레버(180)와 보조봉(170)을 차례로 탈거한 후 수납실(112)에 형성된 단턱부(114)에 덮개(140)를 얹는 한편, 그 덮개(140)의 상부로 카페트(150)를 깔게 되는 것이다.On the contrary, when the spare tire 120 is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112, the spare tire 120 is first placed on the loading plate 160, and then the auxiliary rod 170 and the control lever are mounted on the shaft rod 130. 180 will be installed in sequence. After rotating the control lever 180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before, the loading plate 160 is to be lowered along the threaded portion 132 of the shaft 130. In this process, when the loading plate 160 is completely close to the bottom 112a of the storage chamber 112, the rotation of the control lever 180 is stopped. Subsequently, after removing the adjusting lever 180 and the auxiliary rod 170, the cover 140 is placed on the stepped portion 114 formed in the storage chamber 112, and the carpet 150 is placed on the top of the cover 140. ) Will be laid.

본 고안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에 따르면, 트렁크룸 바닥에 포밍 형성된 수납실 바닥으로 적재판이 외주면으로 치합 축봉을 베어링 결합하면서 그 축봉에는 보조공과 조절레버를 설치하므로써, 스페어 타이어 인출시 조절레버의 회전 동작에 의해 적재판이 승하강됨에 따라 비교적 힘이 약한 여성 운전자나 노약자인 경우라도 쉽게 스페어 타이어를 인출할 수 있게 하여 보다 손 쉬운 타이어 교체 작업을 수행하도록 된 고안이다.According to the spare tire storag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ring plate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luggage compartment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uggage compartment, and the bearing plate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ile the auxiliary rod and the control lever are installed on the shaft, so As the loading plate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rotation operation, even when the female driver or the elderly are relatively weak, the spare tire can be easily taken out, thereby making it easier to replace the tire.

Claims (2)

트렁크룸 바닥(112a)의 표면에는 상단부 둘레에 단턱부(114)를 갖도록 스페어 타이어(120)의 수납실(112)이 원형으로 포밍 형성되고, 그 수납실(112)의 단턱부(114)에 덮개(140)가 안치되면서 그 상부로는 카페트(150)가 덮여지도록 된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에 있어서,The storage compartment 112 of the spare tire 12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on the surface of the luggage compartment floor 112a so as to have a stepped portion 114 around the upper end thereof, and to the stepped portion 114 of the storage compartment 112. In the spare tire storage structure of the car is to cover the carpet 140 while the cover 140 is placed, 상기 수납실(112)의 바닥(112a)에는 외주면과 상단부에 나사부(132)와 삽지홈(134)이 형성된 축봉(130)의 하단을 베어링 결합하여 회전 자재되면서 승하강되게 하되, 그 축봉(130)의 나사부(132)에는 스페어 타이어(120)의 적재판(160)을 치합하고, 상기 축봉(130)의 삽지홈(134)에 끼워지도록 삽지돌기(172)를 하단에 형성한 보조봉(170)의 상단에는 조절레버(180)의 고정홈(182)에 끼워져 착탈되도록 고정돌기(174)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The bottom 112a of the storage chamber 112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haft rod 130, the threaded portion 132 and the insertion groove 134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upper end to rotate while being rotated, the shaft rod 130 The auxiliary rod 170 formed by inserting the insertion plate 172 of the spare tire 120 into the lower end of the shaft 132 to the threaded portion 132 of the spare tire 120 to be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34 of the shaft rod 130. Spare tire storage structur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rotrusion 174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to be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fixing groove 182 of the control lever 18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112)의 바닥(112a)에는 안내공(112b)을 형성하고, 그 안내공(112b)과 상응한 위치의 적재판(160)에는 안내봉(162)이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승하강 작용을 돕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The guide rod 112b is formed in the bottom 112a of the storage chamber 112, and the guide rod 162 is formed in the loading plate 16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hole 112b. Spare tire storage structur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protrude upward to help the lifting and lowering action.
KR2019960037025U 1996-10-31 1996-10-31 Spare tire storage structure of car KR1998002363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025U KR19980023637U (en) 1996-10-31 1996-10-31 Spare tire storage structure of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025U KR19980023637U (en) 1996-10-31 1996-10-31 Spare tire storage structure of c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637U true KR19980023637U (en) 1998-07-25

Family

ID=53981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7025U KR19980023637U (en) 1996-10-31 1996-10-31 Spare tire storage structure of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3637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973B1 (en) * 2000-12-21 2003-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Handel for fixing and swing of Spare Tire
US9638729B2 (en) 2012-11-14 2017-05-02 Lasertec Corporation Analysis apparatus and analysis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973B1 (en) * 2000-12-21 2003-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Handel for fixing and swing of Spare Tire
US9638729B2 (en) 2012-11-14 2017-05-02 Lasertec Corporation Analysis apparatus and analysis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8540A (en) Spare tire securing apparatus
KR101773640B1 (en) Vehicle lifting system
KR19980023637U (en) Spare tire storage structure of car
KR19980031445A (en) Spare tire storage structure of car
US2257543A (en) Vehicle wheel attachment
KR100558409B1 (en) console box of automobile
KR200384373Y1 (en) Auto Locking Apparatus for Container of Trailer
US4615147A (en) Machine for tumbling, deburring and/or polishing bulk products
US2022131A (en) Combination fender well tire holding and covering means
KR19980031444A (en) Spare tire storage structure of car
KR0141387B1 (en) Escalation device of spare wheel
JPH09188143A (en) Structure for attaching battery frame onto vehicle body and method therefor
KR100552165B1 (en) A lift for spare tire exchage
KR100337825B1 (en) Spare tire safekeeping structure
KR19990019863A (en) Spare tire fixing structure of car
KR20020047960A (en) Apparatus for fixing spare tire using bevel gear for automobiles
KR200177407Y1 (en) Electric lifter for a car
KR200171193Y1 (en) A take-away apparatus of spare tire in a car
KR200204149Y1 (en) A fixing structure for spare tire of a car
KR100197224B1 (en) Spare tire feeding out device
KR200197185Y1 (en) Spare tire take-off of car
KR900006173Y1 (en) Rotation apparatus of car
KR200275121Y1 (en) Spare tire chucking for vehicle
KR19990020943U (en) Spare tire compartment
KR0111718Y1 (en) Elevating apparatus for spate wheel using hydraulic pres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