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2706A - 리튬전지용 에노드의 직립교정장치 - Google Patents

리튬전지용 에노드의 직립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2706A
KR19980022706A KR1019960041980A KR19960041980A KR19980022706A KR 19980022706 A KR19980022706 A KR 19980022706A KR 1019960041980 A KR1019960041980 A KR 1019960041980A KR 19960041980 A KR19960041980 A KR 19960041980A KR 19980022706 A KR19980022706 A KR 19980022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battery
anode
calibration device
unit
upr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1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희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41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2706A/ko
Publication of KR19980022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70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05Devices for making primary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63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olid or fluid materials, e.g. insulation films, bulk material; of semiconductors or LV electronic components or parts;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Primary Ce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습기의 분무관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의 가습기(200)에 있어서, 분무관(100)몸체의 양편에 영구자석(90, 90-1)을 설치하고, 가습기(200)의 가습통중앙부에 홀소자(80)를 설치하며, 상기 분무관(100)의 몸체둘레에 성형된 기어(10)가 상기 가습통내부에 고정된 스탭모터(20)에 취부된 기어(10-1)에 맞물리도록 설치하고, 전원부(60)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주파수신호로 변환하여 모터구동부(40)로 전송하는 발진부(50)와, 상기 발진된 신호를 전송받아 스탭모터(20)를 초기상태로 구동하는 모터구동부(40)와, 상기 구동되는 스탭모터(20)의 회전방향을 분무관(100)몸체의 양편에 설치된 영구자석(90, 90-1)의 자장을 감지하는 홀소자 감지부(70)에 의해 정·역으로 전환시키는 정·역전환부(30)를 구비하여 구성된바, 본 고안은 가습기의 분무관을 좌측 및 우측으로 회전되도록 하므로서, 실내전체를 가습할 수 있어 가습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기기의 조작이 용이하여 동작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리튬전지용 에노드의 직립교정장치
본 발명은 리튬전지(Li/MnO2Battery)를 조립생산하는 공정중에서 캔(CAN)의 내부 상측에 가스켓(Gasket)을 삽입하기 위하여 캔의 중심쪽으로 절곡시켜 주었던 에노드(Anode)를 직립되게 세워 교정시켜 주도록하는 에노드의 직립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리튬전지(1)는 캔(2)의 내부에 에노드(4)가 일체로 형성된 소자(3)가 내장되고 그 상측으로는 가스켓(5)이 삽입하여 에노드(4)와 캔(2)이 절연상태가 되도록 유지시켜주는데, 가스켓(5)이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어지도록 하기위하여 소자(3)의 에노드(4)를 중심부측으로 절곡시켜주고 가스켓(5)이 삽입되어진후 그 에노드(4)를 직립상태로 세워 복귀시키게된다.
본 발명은 가스켓(5)이 삽입되어진 후 에노드(4)를 직립으로 세워주는 과정을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된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2]는 리튬전지(1)의 생산공정을 보인 일부분예시도로서 소자(3)가 내장된 캔(2)에 가스켓(5)을 자동으로 삽입시키는 공정과 가스켓(5)이 삽입된 리튬전지(1)의 절연상태를 검사하도록하는 공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송콘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리튬전지(1)는 가이드(12)를 따라 이송되어지는데 가이드(12)를 따라 이송되어지는 리튬전지(1)는 캔(2)의 내부에 소자(3)만이 내장된 채로 이송되어 인덱스테이블(13)에 순차적으로 인입되어가며 인덱스테이블(13)에 의해 회전 이송되는 과정에서 가스켓(5)이 삽입되어진다.
인덱스테이블(13)에 의해 리튬전지(1)가 하나씩 단속적으로 이송되어지면 바이브레이터(14)에 있는 가스켓(5)은 바이브레이트(14)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14-1)를 따라 공급되어진 후 삽입되어지는데 삽입공정에 따른 구체적인 작동관계의 설명은 생략키로한다.
가스켓(5)이 삽입된 리튬전지(1)는 가이드(12-1)측으로 배출되어지고 이송콘베이어(10)에 의해 가이드(12-1)를 따라 이송되어진 후 절연저항검사부(15)의 인덱스테이블(16)에 인입되어 절연저항검사장치(17)에서 절연저항상태 즉 가스켓(5)이 삽입되어 캔(2)과 에노드(4)가 절연저항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게 되며, 검사가 완료된후 가이드(12-2)를 따라 차기공정으로 이송되어진다.
이와같은 과정이 실시되는 조립공정에서 리튬전지(1)의 에노드(4)를 절곡시킨후 재차 직립시켜주는 공정을 인위적으로 실시하였다는데 문제가 있었다.
가스켓(5)이 삽입되지 않은 리튬전지(1)가 가이드(12)를 따라 인덱스테이블(13)에 인입되어지면, 작업자(18)는 리튬전지(1)의 캔(2)에 가스켓(5)이 용이하게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하기 위하여 인위적인 수단에 의해 에노드(4)를 중심부측으로 절곡시켜주게 되고, 가스켓(5)이 삽입된 리튬전지(1)가 인덱스테이블(13)을 벗어나 가이드(12-1)를 따라 이송되어지는 도중에 작업자(19)는 인위적인 수단에 의해 눕혀져있던 에노드(4)를 직립으로 세워주었었다.
이와같이 이송콘베이어(10)에 의해 가이드(12-1)를 따라 이송되어지는 리튬전지(1)의 에노드(4)를 직립시킬 때 이송중에 있는 리튬전지(1)를 억류시킨 상태에서 에노드(4)를 직립시킨후 이송시켜야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각 리튬전지(1)마다 일일히 직립교정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19)가 쉽게 피로를 느끼기 때문에 작업자(19)를 수시로 교체시켜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인위적인 수단에 의해 에노드를 직립시키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면서도 직립상태가 균일하지 못하고 차기 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와 많은 인원을 수시로 교체 투입하여야 하므로 인건비로 인하여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된 에노드의 직립교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에노드가 눕혀진 상태로 이송되어지는 리튬전지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눕혀진 에노드를 자동으로 세워줄 수 있도록된 에노드의 직립교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눕혀진 에노드를 자동으로 세워주도록하되 복수개의 교정장치를 순차적으로 구비하여 선행교정장치에 의해 에노드를 예비직립시켜주도록하고, 차기교정장치에 의해 완전히 직립상태로 교정시켜 주도록함으로써 에노드에 무리한 힘을 주지 않으면서도 직립시킬 수 있도록된 에노드의 직립교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에노드를 자동으로 직립시켜줌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차기공정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하여 주며, 인건비도 절감시켜 제조원가도 낮출수 있도록된 에노드의 직립교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리튬전지를 간략하게 보인 단면예시도.
도2는 리튬전지의 생산 공정을 보인예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직립교정장치가 생산공정중 절연저항검사부에 설치되어짐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직립교정장치에서 제1교정장치를 보인측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직립교정장치에서 제2교정장치를 보인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튬전지 2 : 캔
3 : 소자 4 : 에노드
5 : 가스켓 10 : 이송콘베이어
11 : 가스켓삽입장치부 12,12-1, 12-2 : 가이드
13, 16 ; 인덱스테이블 14 : 벼이브레이터
15 : 절연저항검사부 17 : 절연저항검사장치
20 : 직립교정장치 21 : 제1교정장치
22, 24, 31, 34 : 실린더 23 : 밀편
25, 35 : 억류편 26 : 고정플레이트
27, 28 , 36, 37 : 브라켓 30 : 제2교정장치
32 : 핑거헤드 33 : 핑거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이송콘베이어(10)에 의해 가스켓(5)이 안치된 리튬전지(1)가 가이드(12-1)를 따라 인덱스테이블(16)에 인입되고 인덱스테이블(16)에서 절연저항검사장치(17)를 거쳐 가이드(12-2)를 따라 배출되도록된 것에 있어서, 인덱스테이블(16)에서 절연저항 검사장치(17)의 선행측에 제1교정장치(21)와 제2교정장치(30)를 차례로 구비하되 제1교정장치(21)와 제2교정장치(30)는 각각의 실린더(24), (34)에 의해 억류편(25), (35)을 작동시켜 리튬전지(1)를 억류 해제 시킬수 있도록하고 다른 실린더(22), (31)에 의해 밀편(23)과 핑거(33)가 구비된 핑거헤드(32)를 작동시켜 에노드(4)를 직립시킬수 있도록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에노드의 직립교정장치(20)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같이 되어 있으므로 에노드(4)가 굽혀져 있는 리튬전지(1)가 이송콘베이어(10)의 작동에 의해 인덱스테이블(16)에 순차적으로 인입되어지고, 제1교정장치(21)에서는 실린더(24)에 의해 억류편(25)이 전진되어 리튬전지(1)를 억류시킨 상태에서 실린더(22)가 작동하여 밀편(23)에 의해 굽혀져있는 에노드(4)를 일차적으로 직립시켜주며, 제1교정장치(21)에서 1차 직립교정된 리튬전지(1)가 제2교정장치(30)측으로 이송되어오면 실린더(34)에 의해 억류편(35)으로 리튬전지(1)를 억류시킨상태에서 실린더(31)를 작동시켜 핑거헤드(32)에 의해 에노드(4)를 재차 교정시켜 직립상태로 완전히 교정시킨후 절연저항검사장치(17)를 거쳐 가이드(12-2)를 통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목적과 특징 및 효과는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에노드의 직립교정장치(20)가 이송콘베이어(10)선상에 구비되면 기존의 인덱스테이블(16)에 설치되어지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로서,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에노드의 직립교정장치(20)에서 제1교정장치(21)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5]는 제2교정장치(30)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립교정장치(20)가 구비되는 절연저항검사부(15)측의 인데스테이블(16)은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스켓삽입장치부(11)가 구비되는 동일 이송콘베이어(10)선상에 구비되어지며, 가스켓삽입장치부(11)에서 가스켓(5)이 삽입된 리튬전지(1)가 이송콘베이어(10)에 의해 절연저항검사부(15)측으로 이송되어진다.
절연저항검사부(15)의 인덱스테이블(16)에는 인입측에서부터 제1교정장치(21)와 제2교정장치(30)가 차례로 구비되고 이들 직립교정장치(20)에 의해 에노드(4)가 교정된 리튬전지(1)는 절연저항검사장치(17)에 의해 절연저항상태를 검사받은후 배출되어진다.
제1교정장치(21)는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은 구조로 되어있다.
인덱스테이블(16)의 외측에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26)에는 실린더(24)를 리튬전지측을 향하도록 브라켓(28)으로 고정시키고 그로드에 억류편(25)을 구비하여 리튬전지(1)를 억류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였는데, 상기억류편(25)은 고무제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제로 성형하여 리튬전지(1)의 캔(2)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6)에 브라켓(27)을 구비하고 그 브라켓(27)에는 에노드(4)를 밀어주도록 로드의 선단에 밀편(23)이 구비된 실린더(22)를 고정시켰는데 상기 밀편(23)은 일방향으로 작동되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않으나 리튬전지(1)를 자전시켜 에노드(4)를 동일선상에 위치시킬수 있도록 하기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상기 제1교정장치(21)의 차기공정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은 제2교정장치(30)가 구비되어 있다.
인덱스테이블(16)의 외부측에 구비된 고정플레이트(26)에 브라켓(37)에 의해 실린더(34)를 인덱스테이블(16)측으로 고정시키고 그 로드에 억류편(35)을 고정시키되 상기 억류편(35)을 고무제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레로 형성하여 리튬전지(1)의 캔(2)이 손상되지 않도록하였고, 고정플레이트(26)에 별도의 브라켓(26)을 구비하여 그 상단에 실린더를 고정시키고 실린더(31)의 로드에는 핑거(33)가 구비된 핑거헤드(32)를 구비하였는데, 리튬전지(1)의 에노드(4)가 항상 상기 핑거(33)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교정장치(21)에서와 같이 리튬전지(1)를 자전시킬 수 있도록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교정장치(30)의 후측공정에는 통상의 절연저항검사장치(17)가 구비되어지는데 상기 절연저항검사장치(17)는 캔(2)에 가스켓(5)이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로서 가스켓(5)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차기공정으로 이송시키고 가스켓(5)이 없을 경우에는 그 리튬전지(1)를 인출하여 차기공정으로 이송되지 못하도록하는 장치이며,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키로한다.
이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가스켓삽입장치부(11)에서 가스켓(5)이 삽입된 리튬전지(1)가 가이드(12-1)를 통하여 절연저항검사부(15)의 인덱스테이블(16)에 인입되고 인덱스테이블(16)의 단속적인 작동에 의해 제1교정장치(21)로 이송되어 진다.
제1교정장치(21)에서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리튬전지(1)를 자전장치에 의해 자전시켜 에노드(4)를 소정의 위치로 조정되어진 상태에서 실린더(24)가 작동하여 억류편(25)에 의해 캔(2)을 고정시키고 실린더(220가 작동하여 밀편(23)으로 절곡되어 있는 에노드(4)를 일차직립시켜준다.
일차교정이 완료된후 실린더(24)가 역으로 작동하여 억류편(25)에서 캔(2)의 억류상태를 해제시키면 인덱스테이블(16)은 한스텝회전하여 제1교정장치(21)측에는 새로운 리튬전지(1)가 공급되고 제2교정장치(30)측에는 제1교정장치(21)에 의해 일차교정된 리튬전지(1)가 이송되어진다.
제1교정장치(21)에서는 상기 과정이 반복실시됨과 동시에 제2교정장치(30)에서도 작동이 실시된다.
실린더(34)에 의해 억류편(35)이 전진하여 캔(2)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실린더(31)가 작동하여 핑거헤드(32)를 이동시킨다.
핑거헤드(32)가 이동되면 핑거(33)사이에 인입되어 있는 에노드(4)가 핑거(33)에 의해 직립상태로 곧게 펴지게 된다.
특히, 제1, 제2교정장치(21), (30)에서 실린더(22), (31)를 수회반복작동시켜 밀편(23) 또는 핑거(33)에 의해 에노드(4)를 반복직립 시켜주도록 함으로써 에노드(4)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보다 용이하게 직립교정 시킬 수 있게 된다.
제1, 제2교정장치(21), (30)에 의해 교정이 완료되어진 후 인덱스테이블(16)이 한스텝 더 회전하면, 제1교정장치(21)에는 새로운 리튬전지(1)가 공급되고, 제2교정장치(30)에 제1교정장치(21)에 의해 일차 교정된 리튬전지(1)가 이동되며 제2교정장치(30)에 의해 완전히 교정된 리튬전지(1)는 제2교정장치(30)를 벗어나게 된다.
이와같이 이동한후 제1, 제2교정장치(30)는 상기 과정을 반복실시하게 되며, 제2교정장치(30)에서 에노드(4)가 완전히 직립교정된 리튬전지(1)는 절연저항검사장치(17)에서 가스켓(4)의 삽입여부를 검사받게 되는데 가스켓(4)이 삽입되지 않는 리튬전지(1)는 자동이재 되어 별도의 보관함에 수집되어지고 가스켓(4)이 삽입된 리튬전지(1)는 가이드(12-2)를 통하여 차기공정으로 이송되어진다.
이상에서와같이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실시되면서 에노드(4)의 직립상태를 교정시키는 본 발명은, 직립교정을 제1, 제2교정장치(21), (30)에 의해 수차적으로 실시하므로 에노드(4)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으면서 직립시킬 수 있고 이러한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키실 수 있을 뿐만아니라 에노드(4)의 직립상태를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차기공정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일련의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리튬전지(1)의 생산라인을 자동화하는데 유리하고, 불필요한 인력의 낭비를 배제시킬 수 있어 제조원가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Claims (1)

  1. 이송콘베이어(10)에 의해 가스켓(5)이 안치된 리튬전지(1)가 가이드(12-1)를 따라 인덱스테이블(16)에 인입되고 인덱스테이블(16)에서 절연저항검사장치(17)를 거쳐 가이드(12-2)를 따라 배출되도록된 것에 있어서, 인덱스테이블(16)에서 절연저항 검사장치(17)의 선행측에 제1교정장치(21)와 제2교정장치(30)를 차례로 구비하되 제1교정장치(21)와 제2교정장치(30)는 각각의 실린더(24), (34)에 의해 억류편(25), (35)을 작동시켜 리튬전지(1)를 억류해제 시킬수 있도록하고 다른 실린더(22), (31)에 의해 밀편(23)과 핑거(33)가 구비된 핑거헤드(32)를 작동시켜 에노드(4)를 직립시킬 수 있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전지용 에노드의 직립교정장치.
KR1019960041980A 1996-09-24 1996-09-24 리튬전지용 에노드의 직립교정장치 KR19980022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980A KR19980022706A (ko) 1996-09-24 1996-09-24 리튬전지용 에노드의 직립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980A KR19980022706A (ko) 1996-09-24 1996-09-24 리튬전지용 에노드의 직립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706A true KR19980022706A (ko) 1998-07-06

Family

ID=66520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1980A KR19980022706A (ko) 1996-09-24 1996-09-24 리튬전지용 에노드의 직립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27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3103A (zh) * 2017-10-12 2018-01-09 重庆市灵龙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铁芯组件自动装配机
CN117380581A (zh) * 2023-12-08 2024-01-12 苏州长江睿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mcu的锂电池电芯分级测试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3103A (zh) * 2017-10-12 2018-01-09 重庆市灵龙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铁芯组件自动装配机
CN117380581A (zh) * 2023-12-08 2024-01-12 苏州长江睿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mcu的锂电池电芯分级测试设备
CN117380581B (zh) * 2023-12-08 2024-02-06 苏州长江睿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mcu的锂电池电芯分级测试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99783B (zh) 一种发光字壳体的喷漆设备
KR19980022706A (ko) 리튬전지용 에노드의 직립교정장치
CN109176003A (zh) 一种麻醉呼吸回路的接头过滤器组装机构装机
CN208007906U (zh) 一种机械加工自动上料装置
JPS55111645A (en) Automatic inserting device for magnet
CN108512014A (zh) 电子连接器插端子组装机
CN110562731B (zh) 一种正负极电芯分向筛选传输方法
KR100217402B1 (ko) 리튬전지의 단자 직립정렬장치
IT8304846A0 (it) Dispositivo di trasporto su unamacchina di stampaggio ad iniezione di materie plastiche per il trasferimento di uno stampo di iniezione nello spazio di serraggio.
CN207888159U (zh) 摄像模组全自动底座锁付设备
CN109378495A (zh) 电芯耐压测试机
FR2342837A1 (fr) Tube composite forme de deux elements tubulaires accouples et constitues de matieres plastiques differentes,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 tube
DE59504410D1 (de) Einrichtung zum Kompostieren von organischen Abfällen
CN201185205Y (zh) 圆柱电池卷芯周向定位装置
CN208939079U (zh) 电芯耐压测试机
CN207780180U (zh) 用于电路板测试的测试工装
JPS5676351A (en) Inserting device for needle roller
CN208284574U (zh) 圆柱形电池配组流转盒
CN218706415U (zh) 一种锂电池下料输送装置
CN219132584U (zh) 一种折板装置
CN218890860U (zh) 一种电芯分选配对设备
CN211970991U (zh) 一种用于燃气表铭牌激光打标的抓取装置
CN220507635U (zh) 一种干燥机进端跟板装置
CN207888160U (zh) 应用于摄像模组全自动底座锁付设备上的锁付机构
US4539746A (en) Means for presenting an electrode of a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cell to a winding arb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