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1639U - 내압상승 방지에 유리한 극판탭을 갖는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내압상승 방지에 유리한 극판탭을 갖는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1639U
KR19980021639U KR2019960034942U KR19960034942U KR19980021639U KR 19980021639 U KR19980021639 U KR 19980021639U KR 2019960034942 U KR2019960034942 U KR 2019960034942U KR 19960034942 U KR19960034942 U KR 19960034942U KR 19980021639 U KR19980021639 U KR 199800216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secondary battery
tab
pole plat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49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동
채승석
이종욱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2019960034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1639U/ko
Publication of KR199800216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639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24Alkaline accumulators
    • H01M10/2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286Cells or batterie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4Gastight accumulators
    • H01M10/345Gastight metal hydride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일정크기의 캔 내부 공간을 증가시켜 내압 상승으로 인한 전지 특성 저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캔 내부로 삽입되는 양극판 또는 음극판을 극판탭으로 각 단자에 연결되도록 하고 있는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극판탭 내부에 다수의 구멍부가 형성된 이차 전지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내압상승 방지에 유리한 극판탭을 갖는 이차전지
본 고안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음극판의 극판탭을 전지의 내압상승 방지에 유리하도록 형성하고 있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니켈-수소 전지를 포함한 이차 전지에서 그 전극부을 구성하는 양극판 및 음극판은, 전지의 구성시 각기 전지의 (+), (-) 단자인 캡 어셈블리와 캔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에, 종래의 이차 전지 양,음극판에는 소정의 크기를 이루는 도전성 극판탭에 부착되어지는 바, 즉, 원통형 이차 전지에는 양극판의 상단부로 캡 어셈블리로 연결되는 양극탭이 부착되는 반면, 각형 이차 전지에는 다수의 양극판과 음극판 끼리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양극탭 및 음극탭이 각 양극판과 음극판의 상단부로 부착되어진다.
이를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이차 전지를 예로 할 때, 양극판(1)의 상단부 소정의 위치에는 상기한 용도의 양극탭(3)이 부착되어 있는 바, 이 양극탭(3)의 일면으로는 쇼트 방지용 절연 테이프(5)가 상기 양극탭(3)과 양극판(1)에 걸쳐 더욱 부착된다.
이러한 상기 양극판(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판(7) 및 세퍼레이터(9)와 함께 권선되어 캔(11) 내부에 삽입될 때에, 상기 양극탭(3)이 그 일측을 캡 어셈블리(13) 측으로 연결시키게 되므로, 이에 캡 어셈블리(13)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차 전지는 작용시에는, 상기 양,음극판과 상기 캔 내부에 주입된 전해액의 화학적인 반응에 따라 상기 캔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러한 내압 상승이 전지에서 지속적으로 일어나게 되면, 전지의 특성은 저하될 우려가 많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이차 전지를 구성시, 한정된 크기의 캔 내부 공간을 넓혀 내압 상승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려하고 있는데, 이러한 점으로 비추어 볼 때 종래의 이차 전지 극판탭을 캔 내부 공간을 넓히는 노력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즉, 상기 극판탭이 그 내부를 밋밋하게 형성하고 있는 관계로 캔 내부로 배치될 때, 자체 공간을 별도로 차지하여 캔 내부 공간을 축소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이차 전지가 안고 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캔 내부 공간의 확대로 내압 상승이 방지되어 전지 특성이 향상되도록 한 내압상승 방지에 유리한 극판탭을 갖는 이차 전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캔 내부로 삽입되는 양극판 또는 음극판을 극판탭으로 각 단자에 연결되도록 하고 있는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극판탭 내부에 다수의 구멍부가 형성된 이차 전지를 제안한다.
이때, 상기 극판탭이 연결되는 극판으로는 쇼트 방지용 절연 테이프가 상기 극판탭과 극판으로 연결 부착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극판탭에 관통되는 다수의 구멍부가 형성되는데, 이 구멍부는 상기 극판탭의 구멍부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고 형성되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극판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이차 전지 극판을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이차 전지 일례를 도시한 반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이해를 더욱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통해 구비된 이차 전지의 극판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상기 극판(31)은 본 실시예에서 예로 할 원통형 이차 전지의 양극판을 가리킨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극판(31)은 그 상단부위 소정의 위치에 극판탭(33)을 연결시킨 뒤,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와 함께 권선되어 일정 크기의 캔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이차 전지의 전극부를 구성하게 되는 바, 이때, 상기 극판탭(33)은 그 일단을 이차 전지의 캡 어셈블리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극판(31)이 캡 어셈블리 즉, 전지의 (+) 단자에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통상의 이차 전지 구성에 본 고안은 상기 극판탭(33)에 다수의 구멍부(33a)를 형성해 놓고 있는데, 이 구멍부(33a)는 캔 내부 공간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극판탭(33)의 도전역할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이 극판탭(3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극판탭(33)과 이 극판탭(33)이 연결되는 상기 극판(31) 부위로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쇼트 방지용 절연 테이프(35)가 부착되어지는데, 이 절연 테이프(35) 내부에도 상기 극판탭(33)의 구멍부(33a)와 관통되는 구멍부(35a)가 각기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절연 테이프(35)의 구멍부(35a)는 상기 극판탭(33)의 구멍부(33a)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에,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극판탭(33)을 보유한 극판(31)이 전지의 캔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극판탭(35)이 캔 내부 공간에 배치될 때, 상기 구멍부(33a)에 형성하는 공간은 상기 캔 내부 공간으로 적용됨에 따라 이에 캔 내부의 공간은 종래의 동일 캔 내부 공간에 비해 증가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으로 구비된 이차 전지는, 그 캔 내부 공간의 확장으로 전지 작용시 일어나는 내압 상승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이차 전지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형 전지를 포함하여 극판탭을 보유하는 모든 이차 전지에 적용됨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을 통해 알아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이차 전지는 극판탭의 형상에 따른 캔 내부 공간의 증가로 내부 압력 상승 방지에 효과를 지니게 되어 양호한 전지 특성을 유지하면서 장시간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을 지니게 된다.

Claims (2)

  1. 캔 내부로 삽입되는 양극판 또는 음극판을 극판탭으로 각 단자에 연결되도록 하고 있는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극판탭(33) 내부에 다수의 구멍부(33a)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상승 방지에 유리한 극판탭을 갖는 이차 전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극판탭(33)이 연결되는 극판(31)으로는 쇼트 방지용 절연 테이프(35)가 상기 극판탭(33)과 극판(31)으로 연결 부착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극판탭(33)에 관통되는 다수의 구멍부(35a)가 형성되어지되, 이 구멍부(35a)는 상기 극판탭(33)의 구멍부(33a)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고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상승 방지에 유리한 극판탭을 갖는 이차 전지.
KR2019960034942U 1996-10-22 1996-10-22 내압상승 방지에 유리한 극판탭을 갖는 이차전지 KR199800216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942U KR19980021639U (ko) 1996-10-22 1996-10-22 내압상승 방지에 유리한 극판탭을 갖는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942U KR19980021639U (ko) 1996-10-22 1996-10-22 내압상승 방지에 유리한 극판탭을 갖는 이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639U true KR19980021639U (ko) 1998-07-15

Family

ID=53979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4942U KR19980021639U (ko) 1996-10-22 1996-10-22 내압상승 방지에 유리한 극판탭을 갖는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163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933B1 (ko) * 2002-02-06 2004-07-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리튬폴리머전지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933B1 (ko) * 2002-02-06 2004-07-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리튬폴리머전지와,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3836B2 (en) Secondary battery including improved cap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ap assembly
EP2924767A2 (en) Rechargeable battery
JP4292089B2 (ja) 二次電池
KR100599641B1 (ko) 이차 전지
CA1196376A (en) Elliptical column type battery with non-aqueous electrolyte
KR100930473B1 (ko) 억지끼움 결합 방식의 리벳을 이용한 무용접 방식의 전지팩
US6677079B2 (en) Electrochemical cell formed with can having inwardly curved groove
JP2009094045A (ja) 二次電池及び電池モジュール
KR101893954B1 (ko) 이차 전지
US6168879B1 (en) Cap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KR100322100B1 (ko) 밀폐전지
KR20000009697A (ko) 원통형 전지의 열 발산장치
KR19980021639U (ko) 내압상승 방지에 유리한 극판탭을 갖는 이차전지
KR100366079B1 (ko) 이차 전지
KR970077778A (ko) 전지용 단자 케이스
KR100529098B1 (ko) 이차 전지
KR19990041761A (ko)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KR100319110B1 (ko) 각형 이차 전지
KR100858793B1 (ko) 보강용 비이드가 형성된 캡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라운드형 2 차 전지
KR100274896B1 (ko) 이차전지
KR100300429B1 (ko) 이차전지
KR100325861B1 (ko) 밀폐전지
KR20030043407A (ko) 각형 이차 전지
KR100319107B1 (ko) 밀폐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544111B1 (ko) 각형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