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0776U - 자동 구두 닦이 - Google Patents

자동 구두 닦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0776U
KR19980020776U KR2019960034027U KR19960034027U KR19980020776U KR 19980020776 U KR19980020776 U KR 19980020776U KR 2019960034027 U KR2019960034027 U KR 2019960034027U KR 19960034027 U KR19960034027 U KR 19960034027U KR 19980020776 U KR19980020776 U KR 199800207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battery
rotating
mo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4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원배
Original Assignee
홍원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원배 filed Critical 홍원배
Priority to KR2019960034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0776U/ko
Publication of KR199800207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776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2Shoe-cleaning machines,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모터를 이용하여 솔부와 광택부를 회전시키면서 구두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구두약을 칠한 후 광택이 나도록 하는 것이다.
구두 닦기부의 내측에 배터리를 구비함과 아울러 모터를 설치하고, 모터의 회전축에는 회전부를 구비하여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부가 회전되게 하며, 회전부에는 솔이 구비되어 있는 솔부와, 완충재가 구비되어 있는 광택부를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하며, 광택부에는 천을 덮어 씌울 수 있도록 하여, 모터의 구동에 따라 솔부가 회전하면서 구두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구두약을 바르며, 광택부를 회전시키면서 광택이 나도록 하는 것으로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여 사용자가 간편히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솔 및 천을 간단히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솔 및 천을 착탈식으로 간단히 끼워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구두 닦이
본 고안은 구두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구두약을 칠한 후 광택이 나도록 손질하는데 사용되는 자동 구두 닦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두는 가죽으로 제조되는 것으로서 이물질이 묻거나 건조하게 되면, 가죽이 갈라지게 되어 사용 수명이 단축된다.
그러므로 구두에 흙 등의 이물질이 묻었을 경우에 솔 등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털어내고 있다.
그리고 구두에 붙은 이물질이 제거되었을 경우에는 구두약을 칠하고, 광택이 나도록 하여 구두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두를 닦기 위하여 종래에는 사용자가 직접 솔을 잡고, 이물질을 제거한 후 구두약을 칠하며, 융 등의 천을 이용하여 광택이 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구두를 닦는데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과 번거로움을 주었음을 물론 사용자의 손 등에 이물질이나 구두약 등이 묻었다.
최근에는 자동으로 구두를 닦을 수 있도록 하는 여러 가지의 구두 닦기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1987년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 19377호, 1984년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 2134호 등에서는 모터를 이용하여 솔을 회전시키면서 구두를 닦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교류 전원 전압을 이용하여 모터를 회전하면서 구두를 손질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없고, 장기간 사용하여 솔이나 광택이 나도록 하는 융 등의 천이 마모되었을 경우에 솔 및 천만을 교체할 수 없고, 구두 닦기 전체를 교환해야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여 사용자가 간편히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구두 닦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솔 및 천을 간단히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구두 닦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솔 및 천을 착탈식으로 간단히 끼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구두 닦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 구두 닦기는 구두 닦기부의 내측에 배터리를 구비함과 아울러 모터를 설치하고, 모터의 회전축에는 회전부를 구비하여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부가 회전되게 한다.
회전부에는 솔이 구비되어 있는 솔부와, 완충재가 구비되어 있는 광택부를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하고, 광택부에는 천을 덮어 씌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회전부에 솔부 및 광택부를 선택적으로 끼우면서 구두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구두약을 바른 후 광택이 발생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두 닦기의 전체 구성을 보인 일부 절결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두 닦기에서 솔부 및 회전부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두 닦기에서 광택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두 닦기의 제어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구두 닦기 본체
11 : 도어
20 : 구두 닦기부
21 : 배터리
24 : 모터
25 : 회전축
26 : 속도 조절용 스위치
30 : 회전부
31 : 중공부
32 : 고정 구멍
40 : 솔부
41 : 솔
51 : 걸림부
52 : 이탈용 레버
60 : 광택부
71 : 전원 공급부
72 : 충전 제어부
73 : 배터리 체크부
74 : 조절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자동 구두 닦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두 닦기의 전체 구성을 보인 일부 절결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구두 닦기에서 솔부 및 회전부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여기서, 부호 10은 후술하는 구두 닦기부(20)를 장착하는 구두 닦기 본체이다. 본체(10)에는 도어(11)가 구비되고, 도어(11)의 내측에는 보관함(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솔부 및 광택부를 비롯하여 각종 부품을 저장할 수 있게 하였으며, 리드선(12) 및 전원 플러그(13)를 통해 전원을 공급되게 하였다.
부호 20은 구두 닦기부이다. 구두 닦기부(20)는, 내부에 배터리(21)가 구비되어 상기 리드선(12) 및 전원 플러그(13)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충전되게 하고, 배터리(21)의 외측에는 배터리(21)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뚜껑(22)과 배터리(21)의 전원 충전량을 표시하는 표시 램프(23)가 설치된다. 그리고 구두 닦기부(20)의 내측 전방에는 회전축(25)이 전방 외측으로 연장되게 모터(24)가 설치되고, 측면에는 모터(24)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용 스위치(26)가 구비된다.
구두 닦기부(20)의 전방 외측으로 연장된 모터(24)의 회전축(25)에는 회전부(30)가 설치된다.
회전부(30)는, 장방형의 함체에 내측이 중공부(31)로 형성되고, 각각의 면에는 고정 구멍(32)이 형성된다.
부호 40은 구두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구두약을 칠하는 솔부이다. 솔부(40)는 전면에 솔(41)이 구비되고, 배면에는 상기 회전축(30)의 중공부(31)에 끼워져 고정 구멍(32)에 고정되는 걸림부(51)가 구비됨과 아울러 걸림부(51)를 고정 구멍(31)에서 이탈시키기 위한 이탈용 레버(52)와, 상기 걸림부(51)가 고정 구멍(31)에서 이탈될 경우에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30)에서 전방으로 인출되게 하는 탄성부(53)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구두 닦기에서 광택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택부(60)는 전면에 스펀지 등의 완충재(61)가 부착되고, 완충재(61)에는 융 등의 천(62)이 탄성 밴드(63)에 의해 끼워지며, 광택부(60)의 배면에는 상기 걸림부(51) 및 이탈용 레버(52)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구두 닦기의 제어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전원(AC)을 정류하여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71)와, 상기 전원 공급부(71)의 출력 전원이 상기 리드선(12) 및 전원 플러그(13)를 통해 상기 구두 닦기부(20)의 배터리(21)에 충전되는 것을 제어하여 과충전을 방지하는 충전 제어부(72)와, 상기 배터리(21)의 충전 전원 레벨을 검출하여 미리 설정된 레벨 이하일 경우에 상기 표시 램프(23)를 점등시키는 배터리 체크부(73)와, 상기 배터리(21)의 전원으로 동작하고 상기 속도 조절용 스위치(26)의 절환에 따라 상기 모터(24)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부(74)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 구두 닦기는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을 전원 공급부(71)가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71)가 출력하는 직류 전원은 충전 제어부(72), 리드선(12) 및 전원 플러그(13)를 통해 배터리(21)에 인가되어 충전된다.
이때, 충전 제어부(72)는 배터리(21)의 전원의 충전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한 충전 레벨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일 경우에 직류 전원을 차단하여 배터리(72)에 전원이 과충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배터리(21)의 충전 전원 레벨을 배터리 체크부(73)가 체크하고, 체크한 충전 전원 레벨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하일 경우에 배터리 체크부(73)가 표시 램프(23)를 점등시켜 배터리(21)의 충전 전원 부족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배터리(21)에는 장기간 동안 전원이 충전 및 방전됨에 따라 충전 능력이 저하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배터리(21)에 전원을 충전시킬 경우에 충전이 되지 않아 표시 램프(23)가 계속 점등되거나 또는 약간의 전원만 충전될 경우에 배터리(21)를 교체해야 한다.
배터리(21)의 교체는 구두 닦기부(20)에 구비되어 있는 뚜껑(22)을 열고, 통상의 방법으로 배터리(21)를 분리시킨 후 새로운 배터리(21)를 장착하면 된다.
배터리(21)에 전원이 충전된 상태에서 구두를 닦을 경우에 사용자는 먼저 솔부(40)를 회전부(30)에 장착해야 되는 것으로서 솔부(40)의 배면에 구비되어 있는 걸림턱(51)이 회전부(30)의 중공부(31)에 끼워지게 위치시킨 후 압입하게 되면, 걸림턱(51)의 부위가 오무라들면서 중공부(31)의 내측에 끼워지게 되고, 중공부(31)의 내측으로 완전히 끼워지게 되면, 걸림턱(51) 부위가 원상 복귀되면서 고정 구멍(32)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속도 조절용 스위치(26)를 조절하여 모터(24)가 소정의 속도로 회전되게 하고, 솔부(40)의 솔(41)을 이용하여 구두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예를 들면, 일반 가죽 구두는 솔(41)이 굵은 솔부(40)를 장착한 후 회전시키면서 구두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무 구두는 솔(41)이 가는 솔부(40)를 장착한 후 회전시키면서 구두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하여 구두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는 솔부(40)를 회전부(30)에서 분리한다.
솔부(40)의 분리는 사용자가 이탈용 레버(52)의 양측을 무르면, 걸림턱(51)이 오무라들면서 고정 구멍(32)에서 이탈되어 분리시킬 수 있다.
이물질을 제거하는 솔부(40)가 분리되면, 다음에는 구두에 바를 구두약의 색상에 따라 적정한 솔부(40)를 선택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부(30)에 장착한 후 구두에 구두약을 바르고, 이탈용 레버(52)를 눌러 분리시킨다.
즉, 구두약은 통상적으로 흑색, 갈색 및 백색이 있는 것으로서 구두에 칠할 구두약의 색상에 따라 적정한 솔부(40)를 선택한 후 회전부(30)에 장착하여 구두약을 바르고, 분리시킨다.
다음에는 구두에 광택이 나도록 해야 되는 것으로 광택부(60)의 완충재(61)에 천(62)을 씌우고, 걸림부(51)가 고정 구멍(32)에 걸리도록 장착한다.
이때, 완충재(61)에 씌운 천(62)은 탄성 밴드(63)에 의해 임의로 완충재(61)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속도 조절용 스위치(26)를 조작하여 모터(24)를 구동시키고, 모터(24)의 구동에 따라 광택부(60)가 회전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광택부(60)의 천(62)을 구두약이 칠해진 구두의 표면에 접촉시켜 광택이 나도록 한다.
이때, 구두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구두약을 바르며, 광택이 발생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는 속도 조절용 스위치(26)를 조작하여 모터(24)의 구동속도를 조절해야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광택이 나도록 할 경우에는 모터(24)를 고속으로 회전시키고, 구두약을 바를 경우에는 저속으로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구두의 손질이 완료되면, 솔부(40) 및 광택부(60)와 천(62)을 분리시키고, 구두 닦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있는 도어(11)를 열고, 내측의 중공부에 넣어 보관하면 된다.
그리고 구두의 손질에 따라 천(62)에는 구두약 등이 묻어 지저분하게 되는 것으서 본 고안에서는 천(62)을 광택부(60)의 완충재(61)에서 분리시키고, 깨끗하게 세척한 후 재사용하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으로 솔부 및 광택부를 회전시키면서 구두를 손질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간단히 구두를 손질할 수 있음은 물론 손 등에 구두약 등의 이물질을 묻히지 않고, 깨끗하게 손질할 수 있으며, 솔부 및 천 등이 마모되었을 경우에 그 마모된 솔부 및 천 등을 구입하여 사용하면 된다.

Claims (3)

  1. 배터리가 내장되고 속도 조절용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는 모터가 구비되는 구두 닦기부와, 도어의 내측에 부품이 저장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두 닦기부가 안착되는 구두 닦기 본체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장착되어 함께 회전되면서 구두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구두약을 바르는 솔이 구비되는 솔부와,
    상기 회전부에 장착되어 함께 회전되면서 광택이 나도록 하는 광택부와, 상기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고 충전 전원량을 검출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속도 조절용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를 회전시키는 제어 회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구두 닦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장방형체의 회전부는,
    함체에 내측이 중공부로 형성되고 각각의 면에는 고정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솔부 및 광택부의 배면에는 상기 회전부의 중공부에 끼워져 고정 구멍에 고정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를 고정 구멍에서 이탈시키는 이탈용 레버와, 상기 걸림부가 상기 고정 구멍에서 이탈될 경우에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에서 전방으로 인출되게 하는 탄성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구두 닦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출력 전원이 상기 배터리에 충전되는 것을 제어하여 과충전을 방지하는 충전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원 레벨을 검출하여 미리 설정된 레벨 이하일 경우에 이를 표시하는 배터리 체크부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으로 동작하고 상기 속도 조절용 스위치의 절환에 따라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구두 닦기.
KR2019960034027U 1996-10-16 1996-10-16 자동 구두 닦이 KR199800207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027U KR19980020776U (ko) 1996-10-16 1996-10-16 자동 구두 닦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027U KR19980020776U (ko) 1996-10-16 1996-10-16 자동 구두 닦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776U true KR19980020776U (ko) 1998-07-15

Family

ID=5397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4027U KR19980020776U (ko) 1996-10-16 1996-10-16 자동 구두 닦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077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20776U (ko) 자동 구두 닦이
US20080083079A1 (en) Portable buffing and waxing tool
KR100439251B1 (ko) 다기능 세차장치
KR200210916Y1 (ko) 반자동 구두 닦는 기계
KR200348525Y1 (ko) 전동식 구두닦기 장치
KR20050076196A (ko) 전동식 구두닦기 장치
KR970001402Y1 (ko) 구두약이 내장된 전동 구두솔
KR850002802Y1 (ko) 전기 구두솔
KR200281703Y1 (ko) 세탁용 전동솔
CN201316250Y (zh) 家庭自动刷鞋机
CN218390178U (zh) 一种新型电动刷子
KR200276519Y1 (ko) 구두닦기
CN2141256Y (zh) 亮鞋机
KR200330279Y1 (ko) 스폰지를 이용한 구두광택기
KR200210912Y1 (ko) 구두 광택기
CN221012316U (zh) 一种磨甲机
KR200300684Y1 (ko) 전동식 구두 브러싱 기구
KR200356007Y1 (ko) 전동 구두솔
CN208030612U (zh) 一种自动刷鞋器
CN211632301U (zh) 一种具有鞋底清洁功能的鞋柜
KR860003694Y1 (ko) 구두 소재구
KR20080004917U (ko) 휴대용 자동차 외부 판넬 청소기
CN2389497Y (zh) 带有鞋油鞋刷的皮鞋
KR960007859B1 (ko) 자동 구두 소제구
KR200298841Y1 (ko) 전동 브러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