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9251B1 - 다기능 세차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세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251B1
KR100439251B1 KR10-2002-0015382A KR20020015382A KR100439251B1 KR 100439251 B1 KR100439251 B1 KR 100439251B1 KR 20020015382 A KR20020015382 A KR 20020015382A KR 100439251 B1 KR100439251 B1 KR 100439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ss
car wash
wax
cover member
cylindrica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5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5904A (ko
Inventor
이수용
Original Assignee
이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용 filed Critical 이수용
Priority to KR10-2002-0015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9251B1/ko
Publication of KR20030075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5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5Other 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e.g. with sponges, brushes, scrapers or the like
    • B60S3/048Other 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e.g. with sponges, brushes, scrapers or the like with rotary or vibrato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세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11) 및 그 모터(11)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12)가 설치되는 본체(10); 감속기(12)와 연결되어 회전되며, 단부에 바아끼움홈(22a)이 형성된 원통형바아(20); 및 모터(1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세차장치{Multi-function car wash apparatus}
본 발명은 다기능 세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을뿐더러 광택을 낼 수 있는 다기능 세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항상 외부를 주행하거나 주차하기 때문에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에 의하여 쉽게 더럽혀지고, 자동차의 외관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자동차의 외관을 깨끗이 하기 위하여 자동세차를 하거나 직접 손세차를 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자동세차를 하는 경우에 자동차 표면에 많은 잔기스가 형성되고, 그 잔기스에 의하여 자동차의 표면은 금방 노화될 뿐만 아니라 더욱 쉽게 더럽혀졌다. 또한, 손세차의 경우에 잔기스가 잘 형성되지 않지만,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기 때문에 바뿐 현대인들이 쉽게 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나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 표면에 광택을 보다 용이하게 낼 수 있는 다기능 세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세차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본체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광택기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원통형바아에 광택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원통형바아에 먼지털이포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원통형바아에 광택용스펀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모터
12 ... 감속기 12a ... 감속기끼움홈
13 ... 스위치 20 ... 원통형바아
22 ... 바아축부 22a ... 바아끼움홈
30 ... 전원부 31 ... 충전지
32 ... 시가소켓 40 ... 광택기
42 ... 광택기축부 43 ... 광택용스펀지
44 ... 베어링 45 ... 커버부재
45a ... 서브커버부재 45b ... 볼트
46 ... 손잡이 47 ... 왁스공급부
47a ... 왁스부착부 47b ... 볼트
47c ... 놉 48 ... 롤러
50 ... 먼지털이포대 51, 52 ... 조임부
53 ... 털부 60 ... 후레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세차장치는,
모터(11) 및 그 모터(11)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12)가 설치되는 본체(10); 상기 감속기(12)와 연결되어 회전되며, 단부에 바아끼움홈(22a)이 형성된 원통형바아(20); 및 상기 모터(1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바아(20)에 설치되어 자동차를 광택시키기 위한 광택기(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택기(40)는, 상기 바아끼움홈(22a)에 끼어져 고정되는 광택기축부(42)와, 상기 광택기축부(42)에 설치되는 광택용스펀지(43)와, 상기 광택기축부(42)의 단부가 고정 또는 착탈가능한 베어링(44)과, 상기 베어링(44)이 고정되며 상기 광택용스펀지(43)가 일부가 노출되도록 감싸는 커버부재(45)와, 상기 커버부재(45)에 형성된 손잡이(4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45)에는 상기 광택용스펀지(43)로 왁스(w)를 공급하기 위한 왁스공급부(47)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왁스공급부(47)는, 상기 커버부재(45)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왁스(w)가 부착되는 왁스부착부(47a)와, 상기 왁스부착부(47a)를 상기 광택용스펀지(43) 방향으로 승강 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부재(45)와 상기 왁스부착부(47a) 사이에 설치되는 볼트(47b)와, 상기 볼트(47b)의 헤드에 고정되는 놉(47c)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45)의 하단에는 자동차 표면에서 롤링되는 롤러(48)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바아(20)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양단에 그 원통형바아(20)의 외측을 조여주는 조임부(51)(52)와, 외측에 마련된 부드러운 털부(53)를 가지는 먼지털이포대(5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30)는 상기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충전지(31) 또는 배터리를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30)는 자동차의 시가잭에 끼어지는 시가소켓(32)을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후레쉬(60)가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세차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세차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의 본체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광택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원통형바아에 광택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원통형바아에 먼지털이포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에 따른 다기능 세차장치는, 본체(10)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바아(20)와, 본체(10)로 전원을 공급하는전원부(30)를 포함한다. 이때, 원통형바아(20)에는 자동차 표면에 광택을 낼 수 있는 광택기(40)가 설치되거나,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먼지털이포대(50)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10)의 선단 또는 후단에는 어두운 곳에서도 작업할 수 있도록 후레쉬(60)가 설치되며, 후레쉬는 램프와 반사경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1)와, 그 모터(11)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12)가 설치된다. 감속기(12)에 회전축에는 후술할 원통형바아(20)의 바아축부(22)가 끼어져 고정되는 감속기끼움홈(12a)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원통형바아(20)는 감속기끼움훔(12a)에서 탈착 가능하므로, 보관시에는 원형통바아와 본체를 분리한다.
또, 본체(10)의 표면에는 모터(11)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13)가 설치되며, 스위치(13)는 손으로 눌렀을 때 모터(11)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누름 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형바아(20)는 감속기끼움홈(12a)에 끼어져 고정되거나 분리가 가능한 바아축부(22)를 가지며 바아축부(22)의 단부에는 후술할 광택기의 광택기축부(42)가 탈착될 수 있는 바아끼움홈(2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원통형바아(20)는 푹신푹신한 스펀지 타입을 하고 있으며, 감속기(12)에 의하여 서서히 회전한다.
전원부(30)는 모터(11)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30)는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충전지(31) 또는 배터리이거나, 자동차의 시가잭에 끼어지는 시가소켓(32)이다. 이 경우, 시가잭을 통하여 공급된 전원이 충전지에 충전되거나배터리를 이용할 경우에, 휴대가 용이하기 때문에 세차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방전되었을 때에는 시가잭을 통하여 직접 공급받는 전원에 의하여 세차 작업이 가능하다.
광택기(40)는, 원통형바아(20)에 설치되어 광택 작업을 수행한다. 광택기(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바아의 바아끼움홈(22a)에 끼어져 고정되는 광택기축부(42)와, 광택기축부(42)에 설치되며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광택용스펀지(43)와, 광택기축부(42)의 단부가 고정 또는 착탈가능한 베어링(44)과, 베어링(44)이 고정되며 광택용스펀지(43)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감싸는 커버부재(45)와, 커버부재(45)에 형성된 손잡이(46)를 포함한다.
이때, 커버부재(45)의 상부에는 서브커버부재(45a)가 설치되는데, 서브커버부재(45a)는 볼트(45b)에 의하여 커버부재(45)에 탈부착된다. 이러한 서브커버부재(45a)에는 광택용스펀지(43)로 왁스(w)를 공급하기 위한 왁스공급부(47)가 설치된다. 왁스공급부(47)는, 서브커버부재(45a) 내부에 설치되며 왁스(w)가 부착되는 왁스부착부(47a)와, 왁스부착부(47a)를 광택용스펀지(43) 방향으로 승강 시키는 것으로서 서브커버부재(45a)와 왁스부착부(47a) 사이에 설치되는 볼트(47b)와, 볼트(47b)의 헤드에 고정되는 놉(47c)을 포함한다. 이 경우, 놉(47c)을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왁스부착부(47a)에 부착된 왁스(w)는 광택용스펀지(43) 방향으로 승강된다.
본 실시예에서, 볼트는 서브커버부재(45a)에 나사결합되고, 그 볼트의 단부는 왁스부착부(47a)에 공회전되게 설치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거꾸로 볼트가 서브커버부재에 공회전되게 결합되고, 왁스부착부에 나사결합될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커버부재(45)의 하단에는 자동차에서 롤링되는 롤러(48)기 설치되고, 롤러(48)를 채용함으로써 광택기(40)가 자동차 표면에서 용이하게 움직일 뿐만 아니라 광택용스펀지(43)와 자동차 표면 사이에는 일정한 가압력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광택기(40)는 광택기축부(42)를 원통형바아의 바아끼움홈(22a)에 끼움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바아(20)에 설치된다. 이때, 커버부재(45)는 원통형바아(20)의 일부를 감싸도록 위치되되 원통형바아(20)와는 접촉되지는 않는다.
먼지털이포대(50)는 원통형바아(20)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양단에 원통형바아(20)의 외주측을 조여주는 조임부(51)(52)와, 외측에 형성된 털부(53)로 구성된다. 먼지털이포대(50)는 조임부(51)(52)를 넓혀 원통형바아(20)에 끼어넣음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바아(20)에 설치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바아(20)에 광택기의 광택용스펀지(43)를 끼울 수 있다. 즉, 광택기의 베어링(44)으로부터 광택용스펀지(43)를 분리한 후, 광택기축부(42)를 바아끼움홈(22a)에 끼움으로서, 광택용스펀지(43)를 원통형바아(20)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자동차의 표면에 간이 광택을 내는 경우에, 이와 같이 광택용스펀지(43)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다기능 세차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자동차 표면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할 때에는, 원통형바아(20)에 먼지털이포대(50)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어넣어 설치한다. 이후에, 스위치(13)를 온(on) 하여 먼지털이포대(50)를 서서히 회전시키고, 이 상태에서 먼지털이포대(50)를 자동차 표면에 접촉시킴으로써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먼지털이포대(50)에 먼지나 이물질이 잔뜩 묻어있을 경우에는, 먼지털이포대(50)를 원통형바아(20)에서 분리시킨 후, 탁탁 털면 먼지나 이물질이 제거되어 재사용할 수 있다.
자동차 표면에 광택을 내고자 할 때에는, 원통형바아(20)에 광택기(4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한다. 광택기(40)는 광택기축부(42)를 원통형바아의 바아끼움홈(22a)에 끼움으로써 설치되고, 놉(47c)을 회전시켜 왁스공급부(47)를 하강시킴으로써 왁스부착부(47a)에 부착된 왁스(w)가 광택용스펀지(43)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본체(10)와 광택기(40)의 손잡이(46)를 잡고 스위치를 온(on)하여 원통형바아(2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원통형바아의 바아끼움홈(22a)에 끼어진 광택용스펀지(43)가 회전하는데, 이때 광택용스펀지(43)의 표면에는 왁스(w)가 묻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광택용스펀지(43)를 자동차 표면에 접촉시킴으로써 광택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롤러(48)가 자동차 표면에 지지됨으로써 광택기(40)를 보다 쉽게 움직일 수 있으며, 따라서 광택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 원통형바아(20)는 스펀지 타입이기 때문에 그 자체로 간단한 먼지털이나 광택작업도 수행할 수 있다. 즉, 광택기(40)는 먼지털이포대(50)가 없을 경우에도, 그 자체로 사용용도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따른 다기능 세차장치에 따르면, 자동차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나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 표면의 광택을 보다 용이하게 낼 수 있다. 특히, 먼지, 이물질의 제거 및 광택을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손쉽게 세차를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모터(11) 및 그 모터(11)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12)가 설치되는 본체(10);
    상기 감속기(12)와 연결되어 회전되며, 단부에 바아끼움홈(22a)이 형성된 원통형바아(20); 및 상기 모터(1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바아(20)에 설치되어 자동차를 광택시키기 위한 광택기(40)를 더포함하며,
    상기 광택기(40)는, 상기 바아끼움홈(22a)에 끼어져 고정되는 광택기축부(42)와, 상기 광택기축부(42)에 설치되는 광택용스펀지(43)와, 상기 광택기축부(42)의 단부가 고정 또는 착탈가능한 베어링(44)과, 상기 베어링(44)이 고정되며 상기 광택용스펀지(43)가 일부가 노출되도록 감싸는 커버부재(45)와, 상기 커버부재(45)에 형성된 손잡이(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45)에는 상기 광택용스펀지(43)로 왁스(w)를 공급하기 위한 왁스공급부(4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공급부(47)는, 상기 커버부재(45)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왁스(w)가 부착되는 왁스부착부(47a)와, 상기 왁스부착부(47a)를 상기 광택용스펀지(43) 방향으로 승강 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부재(45)와 상기 왁스부착부(47a) 사이에 설치되는 볼트(47b)와, 상기 볼트(47b)의 헤드에 고정되는 놉(47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차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45)의 하단에는 자동차 표면에서 롤링되는 롤러(4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바아(20)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양단에 그 원통형바아(20)의 외측을 조여주는 조임부(51)(52)와, 외측에 마련된 부드러운 털부(53)를 가지는 먼지털이포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30)는 상기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충전지(31) 또는 배터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30)는 자동차의 시가잭에 끼어지는 시가소켓(3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차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후레쉬(6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차장치.
KR10-2002-0015382A 2002-03-21 2002-03-21 다기능 세차장치 KR100439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382A KR100439251B1 (ko) 2002-03-21 2002-03-21 다기능 세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382A KR100439251B1 (ko) 2002-03-21 2002-03-21 다기능 세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904A KR20030075904A (ko) 2003-09-26
KR100439251B1 true KR100439251B1 (ko) 2004-07-05

Family

ID=32225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382A KR100439251B1 (ko) 2002-03-21 2002-03-21 다기능 세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92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321B1 (ko) 2016-03-17 2017-03-13 주식회사 유스랩 공동주택 주차장을 이용한 세차 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9327U (ko) * 1984-12-23 1986-07-11
JPH0958422A (ja) * 1995-08-28 1997-03-04 Arakawa Katsuyo 可動型電気洗車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9327U (ko) * 1984-12-23 1986-07-11
JPH0958422A (ja) * 1995-08-28 1997-03-04 Arakawa Katsuyo 可動型電気洗車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904A (ko) 200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4447B1 (en) Cordless rechargeable powered washing system
US5450646A (en) Pot washer
KR100439251B1 (ko) 다기능 세차장치
US20080083079A1 (en) Portable buffing and waxing tool
KR20160150432A (ko) 자동 회전형 걸레 청소기
CN212073823U (zh) 鞋底清洁装置及汽车
KR100543876B1 (ko) 회전 벨트식 전동 청소기
KR200297763Y1 (ko) 차량용 자동 청소기.
KR200330279Y1 (ko) 스폰지를 이용한 구두광택기
KR200210916Y1 (ko) 반자동 구두 닦는 기계
KR20080004917U (ko) 휴대용 자동차 외부 판넬 청소기
CN212281281U (zh) 一种手持车用鞋底清洁器
KR200348525Y1 (ko) 전동식 구두닦기 장치
CN214180281U (zh) 一种清洁效果优异的玻璃清洗装置
JP2005230496A (ja) ハンデイ型靴洗い電動ブラシ
KR960005561Y1 (ko) 차량용 전동 광택기
KR20080079547A (ko) 휴대용 세차기
JPH03104757A (ja) 多機能クリーナ
KR200241588Y1 (ko) 차량용 자동청소기
KR970001402Y1 (ko) 구두약이 내장된 전동 구두솔
KR200276519Y1 (ko) 구두닦기
KR920004144Y1 (ko) 세차용 자동 분수 청소기
KR200184953Y1 (ko) 자동차용 전동식 먼지털개
KR20050076196A (ko) 전동식 구두닦기 장치
JP3036645U (ja) 屋根の高い自動車に適した洗車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