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0689U - 자동차 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 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0689U
KR19980020689U KR2019960033932U KR19960033932U KR19980020689U KR 19980020689 U KR19980020689 U KR 19980020689U KR 2019960033932 U KR2019960033932 U KR 2019960033932U KR 19960033932 U KR19960033932 U KR 19960033932U KR 19980020689 U KR19980020689 U KR 199800206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assembly
ignition distributor
detection
housing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39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김욱한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욱한,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욱한
Priority to KR20199600339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0689U/ko
Publication of KR199800206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689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7/00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 F02P7/06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of circuit-makers or -breakers, or pick-up devices adapted to sense particular points of the timing cycle
    • F02P7/073Optical pick-up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점화배전기의 하우징내에 축지지되어 배전기샤프트에 의하여 회전하며 그 전면에 검출슬리트를 구비하는 광검출용의 검출디스크 및 상기 검출디스크의 검출슬리트의 유무를 판독하는 2 쌍의 송수광소자에 의하여 실린더신호 및 크랭크각신호를 검출하는 자동차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의 검출디스크(3)의 일측향에 광송수신소자(10,11,20,21)를 하우징수용체(20)내방부에 모두 구비하고, 상기 광송수신소자(10,11,20,21)의 하우징수용체(20) 내방단부로부터 검출디스크(3)에 슬리트(4) 형성부(S)로 연장되는 한쌍의 송수신반사광전도체(30,31)를 반사에 의하여 광전도되게 하되, 상기 송수신반사광전도체(30,31)는 광화이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 고안의 자동차 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는 검출디스크에 대하여 일측에서 광섬유 등의 전도성 소자를 개재하여 반상형의 송수광을 수행함으로서 일측에서 모든 송수관부재의 조립이 가능하고 극히 미세한 직경의 광화이버를 사용함으로서 신호판도의 신뢰성을 증대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
제 1 도 A는 본 고안의 자동차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에 사용되는 디스크형 검출수단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
제 1 도 B는 본 고안의 자동차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검출구성 및 회로도,
제 1 도 C는 본 고안의 자동차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의 검출수단에 발생된 신호도의 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점호배전기) 하우징
3:검출디스크
4:슬리트
10,11,20,21:광송수신소자
20:하우징수용체
30,31:송수신반사광전도체
본 고안은 자동차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의 전기계에서의 실린더 및 크랭크각의 타이밍을 검출하기 위한 배전기의 신호검출수단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점화배전기는 실린더위치신호 및 크랭크 각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서 신호발생수단과, 신호발생수단을 기계적으로 차단하여 소정 타이밍에 의한 검출신호를 발하는 차단검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통상적인 구성이다.
이러한 검출에 있어서 종래에는 자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픽업코일을 이용하여 검출하였으나 근래에는 신뢰성이 높은 광검출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인 구성의 광검출수단은 타이밍벨트에 의하여 회동하는 배전기샤프트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다수의 검출슬리트를 원주방향으로 배설한 검출디스크를 구비하고 이 검출되 스크의 검출슬리트를 대향하는 한쌍이상의 광송수신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로부터 상기의 광송수신소자는 포토트랜지스터 등의 소자를 사용하고 있으나 하기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우선, 포토트랜지스터 등의 소자는 그 직경이 상당한 것이어서 장착되는 공간이 배전기하우징은 한쌍의 포토트랜지스터를 배설하기에는 너무나 협소한 공간이고 더욱이 인접하여 한쌍이상을 구비하는 경우, 포토트랜지스터 자체의 폭으로 인하여 최소근접거리가 제한됨으로서 이에 따른 광검출용의 슬리트의 폭 또한 일정값이하로는 설정할 수 없고, 대향하는 포트트랜지스터 사이의 광검출용의 디스크가 회동하여야 하므로 최소한의 기계적인 간극은 보장되어야 하고 이 간극에 의한 포토트랜지스터의 송수광상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상과 같은 종래 구성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자는 선원으로서 출원하는 자동차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에서 광섬유를 사용하는 장착구성을 개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구성에서도 대향하는 두쌍의 검출소자를 구성하기에는 많은 조립공수가 필요하여 조립성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보여진다.
이상과 같은 종래 구성의 자동차 점화배전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자동차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에서는 협소한 공간에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일측에 수용되는 구성을 구비함으로서 장착성을 증대하는 구성의 자동차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는; 점화배전기의 하우징내에 축지지되어 배전기샤프트에 의하여 회전하며 그 전면에 검출슬리트를 구비하는 광검출용의 검출디스크 및 상기 검출디스크의 검출슬리트의 유무를 판독하는 2 쌍의 송수광소자에 의하여 실린더신호 및 크랭크각신호를 검출하는 자동차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검출디스크의 일측향에 광송수신자를 하우징수용체 내방부에 모두 구비하고, 상기 광송수신소자의 하우징수용체 내방단부로 검출디스크에 슬리트 형성부로 연장되는 한쌍의 송수신반사광전동체를 반사에 이의하여 광전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하의 부수된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자동차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도 A는 본 고안의 자동차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에 사용되는 디스크형 검출수단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 제 1 도 B는 본 고안의 자동차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검출구성 및 회로도, 제 1 도 C는 본 고안의 자동차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의 검출수단에 의하여 발생된 신호도의 예이다.
본 고안의 자동차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에서는 통상적으로 일부만을 도시하는 점화배전기의 하우징(1)내에 배전기샤프트(2)와 함께 회동하는 검출디스크(3)를 구비하고, 상기의 검출디스크(3)상에는 다수의 원주상 슬리트(4)가 천공된다.
본 고안의 자동차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는 제 1 B 도에서와 같이, 하우징(1)의 검출디스크(3)의 일측향에 두쌍의 광송수신소자(10,11,20,21)를 하우징수용체(20)내방부에 구비하며, 실린더신호검출용 송수광소자(2)와 크랭크각검출송수광소자(3)가 각각 한쌍 구비된다.
상기의 이 광송수신소자(10,11,20,21)의 단부로부터 검출디스크(3)에 슬리트(4) 형성부(S)로 연장되는 한쌍의 송수신반사광전도체(30,31)를 더 구비하게 한다.
상기의 송수신반사광전도체(30,31)는 통상적인 광전송수단, 즉 광화이버 등의 직경이 작은 광전도부재로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광송수신소자(10,11,20,21)의 각 송광소자(10,20)로부터 전도되는 광을 검출디스크(3)의 슬리트(4)에서의 반사여부에 의하여 수광소자(11,21)로 광이 인입 또는 차단되게 함으로서 신호를 검출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검출되는 크랭크각에 의한 타이밍신호와 실린더신호가 제 1 도 C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40은 통상적인 검출회로부이다.
따라서, 송수신반사광전도체(30,31)는 검출디스크(3)에 의하여 반사된 광이 방출 및 인입하기에 적합한 각도로서 배설되는 통상의 구성을 가져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자동차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는 검출디스크에 대하여 일측에서 광섬유 등의 전도성 소자를 개재하여 반상형의 송수광을 수행함으로서 일측에서 모든 송수관부재의 조립이 가능하고 극히 미세한 직경의 광화이버를 사용함으로서 신호판독의 신뢰성을 증대하게 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점화배전기의 하우징내에 축지지되어 배전기샤프트에 의하여 회전하며 그 전면에 검출슬리트를 구비하는 광검출용의 검출디스크 및 상기 검출디스크의 검출슬리트의 유무를 판독하는 2 쌍의 송수광소자에 의하여 실린더신호 및 크랭크각신호를 검출하는 자동차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의 검출디스크(3)의 일측향에 광송수신소자(10,11,20,21)를 하우징수용체(20)내방부에 모두 구비하고,
    상기 광송수신소자(10,11,20,21)의 하우징수용체(20) 내방단부로부터 검출디스크(3)에 슬리트(4) 형성부(S)로 연장되는 한쌍의 송수신반사광전도체(30,31)를 반사에 의하여 광전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반사광전도체(30,31)는 광화이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
KR2019960033932U 1996-10-10 1996-10-10 자동차 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 KR199800206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932U KR19980020689U (ko) 1996-10-10 1996-10-10 자동차 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932U KR19980020689U (ko) 1996-10-10 1996-10-10 자동차 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689U true KR19980020689U (ko) 1998-07-15

Family

ID=53979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3932U KR19980020689U (ko) 1996-10-10 1996-10-10 자동차 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068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86929A2 (en) Reflective shaft angle encoder
US200803048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interchangeable lenses
JP2011089993A (ja) 光学エンコーダ装置
JPH03140821A (ja) 光ロータリーエンコーダ
JPWO2016092599A1 (ja) 光学式ロータリーエンコーダ
US4591712A (en) Photoelectric fiber optic sensing apparatus with illuminated actuator
EP1178457B1 (en) Contiguously mountable sensor unit
KR19980020689U (ko) 자동차 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
JPS6041494B2 (ja) 光フアイバ端末装置の動作検知方式
JP2006135314A (ja) 光電検出器
CN210629444U (zh) 一种超薄光学编码器
JP3163446B2 (ja) 回転式光コネクタ
KR100227017B1 (ko) 광파이버식 이동 체감시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내연기관의 회전수 검출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광파이버어 쌤블리
KR200244529Y1 (ko) 자동차점화배전기의 센서어셈블리
JPH05268164A (ja) 相対的に回転する物体間の信号伝送装置
KR100334446B1 (ko) 매체검출장치
JPS6226079B2 (ko)
JPH08184556A (ja) 光式ガス検知装置
CN110132227A (zh) 三角测量光传感器
KR100777499B1 (ko) 회전체와 고정체 간의 송수신을 위한 신호전달장치
JP2601701Y2 (ja) 光ファイバエンコーダ
JPS60206334A (ja) 回転体と静止体間の信号伝送装置
SU125932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ов между неподвижным и вращающимс объектами
JP2000332698A (ja) 光通信装置
JPH1029540A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