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0674U - 충전용 아답터의 충전단자 결합구조물 - Google Patents

충전용 아답터의 충전단자 결합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0674U
KR19980020674U KR2019960033917U KR19960033917U KR19980020674U KR 19980020674 U KR19980020674 U KR 19980020674U KR 2019960033917 U KR2019960033917 U KR 2019960033917U KR 19960033917 U KR19960033917 U KR 19960033917U KR 19980020674 U KR19980020674 U KR 199800206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adapter
charging
charging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39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일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2019960033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0674U/ko
Publication of KR199800206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674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전용 아답터에 충전시키는 제품의 접속단자와 접촉이 용이하도록 충전단자를 결합시키는 결합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스프링(16)이 내장되어 충전단자(14b)가 신축적으로 동작되도록 결합된 리드프레임(28)과; 자유단에 상기 리드프레임(28)이 결합되는 비드(22)에 관통구멍이 배치되고, 양측면에 대칭되게 스냅피트(24)를 갖는 홀더(20)와; 상기 리드프레임(28)이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도록 결합되고, 상기 스냅피트가 결합되는 체결공(18)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13)과; 상기 비드(22)가 삽입고정되는 고정구(19)가 형성된 아답터(10)의 안착부(12)로 구성되어 아답터의 조립공정이 간단하고 충전단자와 접속단자의 접속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충전용 아답터의 충전단자 결합구조물
본 고안은 충전용 아답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답터에 충전단자가 결합된 구조물을 독립적으로 결합시켜 충전되는 전기제품의 접속단자와 충전단자와의 접속이 용이한 아답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과 같이 이동시 전원을 사용하는 제품에는 재충전이 가능한 충전지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이 충전기는 전원의 방전시 충전용 아답터를 통해 재충전하게 된다. 충전지의 재충전시에는 충전지의 외부에 충전지와 연결된 접속단자를 아답터에 수직으로 안착시켜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되게 된다. 물론, 아답터는 외부전원이 공급된다.
이와 같은 충전단자는 충전지의 접속단자와 충전단자와의 접촉시 그 밀착력이 안정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충전단자에 탄성력이 내재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해 충전단자가 부착된 종래의 아답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는 종래의 휴대폰의 충전지를 재충전시키기 위해 아답터에 안착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휴대폰(30)의 하단부에 충전지(3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34)가 결합되어 있고, 충전용 아답터(10)에는 휴대폰(30)이 고정되는 안착부(12)가 형성되고, 안착부(12)에는 외부전원과 전기적 접속을 이루고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16)이 결합된 충전단자(14a)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충전지(32)를 갖는 휴대폰(30)을 아답터(10)의 안착홈(12)에 안착시키면 접속단자(32)를 충전단자(14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이 경우 충전단자(14a)의 하단에 부착된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충전단자는 접속단자(32)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그 전기적인 접속을 강화시키게 된다. 상기 충전단자(16a)에는 아답터(10)로 인가되는 외부전원이 유도되어 접속단자(32)를 통해 충전지(32)를 충전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충전단자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아답터에 조립되게 됨으로 스프링과 충전단자를 조립하기가 번거롭고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충전단자의 조립에 따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을 안출하게 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아답터에 조립되는 충전단자를 어셈블리화하여 아답터에 조립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충전단자를 조립할 수 있는 충전용 아답터의 충전단자 결합구조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아답터에 조립되는 충전단자에 충전지를 탑재시켰을 때, 사소한 충격에도 충전단자와 접속단자의 접속이 유지될 수 있는 충전용 아답터의 충전단자 결합구조물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아답터에 휴대폰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아답터에 결합되는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충전용 아답터가 결합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충전용 아답터에 휴대폰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 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아답터 12 : 안착부
13 : 인쇄회로기판 14a,14b : 충전단자
16 : 스프링 18 : 체결공
19 : 고정구 20 : 홀더
22 : 비드 24 : 스냅피트
26 : 걸림턱 28 : 리드프레임
30 : 휴대폰 32 : 축전지
34 : 접속단자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충전용 아답터의 충전단자 결합구조물은
스프링이 내장되어 충전단자가 신축적으로 동작되도록 결합된 리드프레임과;
자유단에 상기 리드프레임이 결합되는 비드에 관통구멍이 배치되고, 양측면에 대칭되게 스냅피트를 갖는 홀더와;
상기 리드프레임이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도록 결합되되고, 상기 스냅피트가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충전단자가 결합된 비드가 고정되는 고정구가 형성된 아답터 안착부로 달성될 수 있다.
전술된 구성으로 결합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충전용 아답터에 조립되는 어셈블리화된 충전단자가 결합된 홀더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홀더(20)는 양측면으로 서로 대칭되게 걸림턱(26)이 형성된 스냅피트(24)가 결합되어 있고, 상면에는 일정높이의 비드(22)가 결합되어 있고 전면보다 후면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었다. 비드(22)내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관통구멍에 충전단자(14b)가 결합된 리드프레임(28)이 삽입고정된다.
리드프레임(28)은 일정길이를 가진 바 형태로 내부의 상측에 스프링(16)이 내장된 홈에 충전단자(14b)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충전지에 휴대폰이 결합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참조번호 10은 휴대폰이 결합되는 안착부(12)가 형성된 아답터이고, 20은 안착홈에 결합되는 홀더이고, 30은 하단면에 접속단자(34)가 결합된 휴대폰이다.
아답터(10)는 상면에 안착부(12)가 형성되되, 그 일측벽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고정구(19)가 형성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13)은 외부전원과 전기적인 접속을 이룬 일정모양의 플레이트로 체결공(18)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아답터(10)에 휴대폰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홀더(20)의 비드(22)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충전단자(14b)가 결합된 리드프레임(28)을 삽입시킨 후에 아답터(10)의 내부에 결합된 전기적 접속을 이루는 인쇄회로기판(13)의 체결공(18)에 스냅피트(24)를 삽입고정시킨다. 이때, 충전단자(14b)가 돌출된 비드(22)를 안착부(12)의 고정구(19)에 삽입시켜 충전단자가 안착부에 돌출되고, 홀더(20)의 비드(22)에서 연장된 리드프레임(28)의 하단부를 인쇄회로기판(13)의 접점에 납땜등으로 결합시킨다. 그리고, 아답터(10)의 안착부(12)에 휴대폰(30)의 접속단자(34)가 결합된 고정홈에 비드(22)를 삽입시켜 충전단자(14b)와 접속단자(34)가 접촉되도록 안착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작동상태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의 충전시 외부전원과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인쇄회로기판(13)과 연결된 리드프레임(28)을 통해 전기적인 접속을 가지는 충전단자(14b)와 접속단자(32)가 접촉되어 휴대폰(30)을 충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충전단자(14b)가 결합된 홀더(20)를 별도로 결합시켜 아답터(10)를 조립하는데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스프링(16) 등을 조립하는 과정이 생략되고 홀더(20)의 양측면에 부착된 스냅피트(24)에 의한 조립으로 조립공정이 간단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스프링(16)이 내장되어 충전단자(14b)가 신축적으로 동작되도록 결합된 리드프레임(28)과;
    자유단에 상기 리드프레임(28)이 결합되는 비드(22)에 관통구멍이 배치되고, 양측면에 대칭되게 스냅피트(24)를 갖는 홀더(20)와;
    상기 리드프레임(28)이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도록 결합되고, 상기 스냅피트가 결합되는 체결공(18)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13)과;
    상기 비드(22)가 삽입고정되는 고정구(19)가 형성된 아답터(10)의 안착부(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아답터의 충전단자 결합구조물.
KR2019960033917U 1996-10-15 1996-10-15 충전용 아답터의 충전단자 결합구조물 KR1998002067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917U KR19980020674U (ko) 1996-10-15 1996-10-15 충전용 아답터의 충전단자 결합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917U KR19980020674U (ko) 1996-10-15 1996-10-15 충전용 아답터의 충전단자 결합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674U true KR19980020674U (ko) 1998-07-15

Family

ID=53979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3917U KR19980020674U (ko) 1996-10-15 1996-10-15 충전용 아답터의 충전단자 결합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067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8094A (en) Charger with universal battery pack receptacle
US6829495B2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a mobile telephone
WO2003010840A1 (en) Terminal structure and mounting part
JP3696070B2 (ja) 弾性接点を備える機器
JP4212637B2 (ja) 充電器
KR19980020674U (ko) 충전용 아답터의 충전단자 결합구조물
KR100418118B1 (ko) 배터리 사용 기기용 리셉터클
JPH0594953U (ja) バッテリパック
US20040018426A1 (en) Terminal and battery containing said terminal
KR200190479Y1 (ko) 충전용 아답터의 단자편 결합구조물
JPS5850562Y2 (ja) 充電器付携帯電灯
CN214542619U (zh) micro usb插头及充电线
KR1005857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구조
KR200363642Y1 (ko)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JPH0613069A (ja) バッテリパック装置
KR200311404Y1 (ko) 배터리-팩 충전장치의 어댑터 터미널 단자 구조
KR200286622Y1 (ko) 휴대전화기와충전기의충전및단자결합구조
KR200210437Y1 (ko) 충전기의 충전 단자 고정 구조
KR100267062B1 (ko) 휴대 전화기용 전원 충전장치
KR200216666Y1 (ko) 충전기
KR200374898Y1 (ko) 외부 충격에 강한 플러그 연결 소자
KR200264016Y1 (ko) 휴대폰용 컨넥터
KR20040016599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와 배터리팩의 접속장치
JPH0677182U (ja) コネクタ
KR19980067729A (ko) 캠코더의 배터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