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0353U -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0353U
KR19980020353U KR2019960033571U KR19960033571U KR19980020353U KR 19980020353 U KR19980020353 U KR 19980020353U KR 2019960033571 U KR2019960033571 U KR 2019960033571U KR 19960033571 U KR19960033571 U KR 19960033571U KR 19980020353 U KR19980020353 U KR 199800203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washer
groove
fitted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3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36176Y1 (ko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600335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176Y1/ko
Publication of KR199800203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3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1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1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Abstract

본 고안은 부시의 내부 양 단부에 압입된 오일리스 베어링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회전하는 동시에 일측에 밴드형태의 홈이 형성된 샤프트를 지지하되, 샤프트의 외측에 외삽되어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과 접촉되는 제1 와셔와, 상기 제1 와셔의 상측에 접촉되고 상기 샤프트의 홈에 끼워지는 제2 와셔와,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부가 하측에서 압입되는 동시에 상기 샤프트의 홈 상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끼워지도록 위치하는 돌기부가 형성된 안내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와셔가 샤프트와 같이 회전하거나 샤프트의 홈 상면과 제2 와셔의 상면 사이에 갭이 존재하기 때문에 마찰력이 작아져 샤프트 및 와셔의 마모를 방지함으로서 오일리스 베어링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
본 고안은 헤드폰 데크 메카니즘에 사용되는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캡스턴 샤프트의 낙하 및 샤프트와 고정물 사이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폰 데크 메카니즘에서는 테이프를 구동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캡스턴 샤프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때, 헤드폰 데크 메카니즘은 휴대용이기 때문에 위아래의 방향 반전이 수시로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캡스턴 샤프트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의 필요하다.
도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2는 샤프트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의 일부 발췌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1은 샤시를 나타내고, 12는 상기 샤시(11)에 결합된 부시를 나타내고, 13은 상기 부시(12)의 내부 양 단부에 압입된 오일리스 베어링을 나타내고, 14는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13)의 내부에서 가이드 되면서 회전하는 샤프트를 나타내고, 14A는 상기 샤프트(14)의 일측 단부에 외주면을 따라 밴드형태(band type)로 형성된 홈을 나타내고, 15는 상기 샤프트(14)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 풀리를 나타내고, 16은 상기 풀리(15)에 연결되어 외부의 모터(미도시)로부터 상기 풀리(15)에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부시(2)는 핀치롤러(미도시)가 상기 샤프트(4)에 접촉될 수 있도록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참조번호 17 및 18은 상기 부시(12)의 외측에서 상기 샤프트(14)의 홈(14A)에 결합되는 고정물로서, 상기 17은 내경이 상기 샤프트(14)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13)에 접촉되어 상기 부시(12) 내부에서 오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와셔이고, 상기 18은 내경이 상기 샤프트(14)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상기 홈(14A)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샤프트(14)의 낙하에 대한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와셔이다.
참조번호 19는 상기 샤프트(14)의 단부가 하측에서 압입되고 상측은 완만한 곡면의 형태를 갖고 있는 안내캡으로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A)의 안착시 테이프가 상기 샤프트(14)에 걸리기 않고 부드럽게 안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4의 참조부호 ⓐ는 카세트(A)의 안착시 테이프의 경로를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는 테이프의 구동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상기 제2 와셔(18)와 안내캡(19)의 하단부가 소정의 갭K를 이루면서 회전되는 데, 이때 상기 샤프트(14)의 홈(14A) 및 제2 와셔(18)의 사이, 상기 제1 와셔(17) 및 제2 와셔(18)의 사이, 상기 제1 와셔(17) 및 오일리스 베어링(13)의 사이가 접촉되어 마찰에 의해 마모가 발생된다.
상기 마모가 발생되면 마모가루가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3)으로 침투되고, 마찰열에 의해 녹아서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3)의 내부 기공을 막게 된다. 그에 따라 오일리스 베어링(3)의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며 소비전류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와셔와 안내캡의 접촉면을 넓혀 와셔가 샤프트와 같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안내캡의 하단 외주면을 따라 부시와 접촉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샤프트의 홈 상면과 제2 와셔의 상면 사이에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2는 샤프트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의 일부 발췌 단면도.
도4는 헤드폰 데크 메카니즘에서 카세트의 안착시 안내캡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의 일부 발췌 단면도.
도6은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부시 3 : 오일리스 베어링
4 : 샤프트 7 : 제1 와셔
8 : 제2 와셔 9 : 안내캡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부시의 내부 양 단부에 압입된 오일리스 베어링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회전하는 동시에 일측에 밴드형태의 홈이 형성된 샤프트를 지지하기 위한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외삽되어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과 접촉되는 제1 와셔와, 상기 제1 와셔의 상측에 접촉되고 상기 샤프트의 홈에 끼워지는 제2 와셔와,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부가 하측에서 압입되는 동시에 상기 샤프트의 홈 상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끼워지도록 위치하는 돌기부가 형성된 안내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부시의 내부 양 단부에 압입된 오일리스 베어링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회전하는 동시에 일측에 밴드형태의 홈이 형성된 샤프트를 지지하기 위한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외삽되어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과 접촉되는 제1 와셔와, 상기 제1 와셔의 상측에 접촉되고 상기 샤프트의 홈에 끼워지는 제2 와셔와,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부가 하측에서 압입되는 동시에 상기 하측 외주면을 따라 상기 부시와 접촉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안내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내캡의 돌기부와 부시 사이에는 슬라이드용 와셔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샤프트 및 와셔의 마모가 방지되어 오일리스 베어링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 단면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부시(2)의 내부 양 단부에 압입된 오일리스 베어링(3)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회전하는 동시에 일측에 밴드형태의 홈이 형성된 샤프트(4)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샤프트(4)의 외측에 외삽되어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3)과 접촉되는 제1 와셔(7)와, 상기 제1 와셔(7)의 상측에 접촉되고 상기 샤프트(4)의 홈에 끼워지는 제2 와셔(8)와, 상기 샤프트(4)의 일측 단부가 하측에서 압입되는 동시에 상기 샤프트(4)의 홈 상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끼워지도록 위치하는 돌기부가 형성된 안내캡(9)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동작시에는, 상기 샤프트(4)의 홈 상면과 안내캡(9)의 돌기부 사이에 소정의 갭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4)의 자중에 의해 상기 안내캡(9)의 하측면과 제2 와셔(8)의 상면이 접촉되어 상기 샤프트(4)의 회전시 상기 제1 와셔(7) 및 제2 와셔(8)도 동시에 회전된다. 그에 따라 마찰력이 감소되고 마모가 방지된다.
한편,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샤프트(4)의 외측에 외삽되어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3)과 접촉되는 제1 와셔(7)와, 상기 제1 와셔(7)의 상측에 접촉되고 상기 샤프트(4)의 홈에 끼워지는 제2 와셔(8)와, 상기 샤프트(4)의 일측 단부가 하측에서 압입되는 동시에 상기 하측 외주면을 따라 상기 부시(2)와 접촉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안내캡(9)과, 상기 안내캡(9)의 돌기부와 부시(2) 사이에 결합되는 슬라이드용 와셔(1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동작시에는, 상기 샤프트(4)의 홈 상면과 제2 와셔(8)의 상면 사이에 소정의 갭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캡(9)의 돌기부가 상기 부시(2)에 의해 가이드 되며 회전함으로써 상기 샤프트(4) 및 와셔(7,8)의 마찰력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와셔와 안내캡의 접촉면을 넓혀 와셔가 샤프트와 같이 회전하도록 하기 때문에 마찰력이 작아져 샤프트 및 와셔의 마모를 방지함으로서 오일리스 베어링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내캡의 하단 외주면을 따라 부시와 접촉되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경우는 샤프트의 홈 상면과 제2 와셔의 상면 사이에 갭이 존재하기 때문에 마찰력을 최소화되어 샤프트 및 와셔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부시(2)의 내부 양 단부에 압입된 오일리스 베어링(3)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회전하는 동시에 일측에 밴드형태의 홈이 형성된 샤프트(4)를 지지하기 위한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4)의 외측에 외삽되어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3)과 접촉되는 제1 와셔(7)와, 상기 제1 와셔(7)의 상측에 접촉되고 상기 샤프트(4)의 홈에 끼워지는 제2 와셔(8)와, 상기 샤프트(4)의 일측 단부가 하측에서 압입되는 동시에 상기 샤프트(4)의 홈 상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끼워지도록 위치하는 돌기부가 형성된 안내캡(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
  2. 부시(2)의 내부 양 단부에 압입된 오일리스 베어링(3)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회전하는 동시에 일측에 밴드형태의 홈이 형성된 샤프트(4)를 지지하기 위한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4)의 외측에 외삽되어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3)과 접촉되는 제1 와셔(7)와, 상기 제1 와셔(7)의 상측에 접촉되고 상기 샤프트(4)의 홈에 끼워지는 제2 와셔(8)와, 상기 샤프트(4)의 일측 단부가 하측에서 압입되는 동시에 상기 하측 외주면을 따라 상기 부시(2)와 접촉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안내캡(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캡(9)의 돌기부와 부시(2) 사이에 결합되는 슬라이드용 와셔(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
KR2019960033571U 1996-10-11 1996-10-11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 KR2002361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571U KR200236176Y1 (ko) 1996-10-11 1996-10-11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571U KR200236176Y1 (ko) 1996-10-11 1996-10-11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353U true KR19980020353U (ko) 1998-07-15
KR200236176Y1 KR200236176Y1 (ko) 2001-10-25

Family

ID=53978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3571U KR200236176Y1 (ko) 1996-10-11 1996-10-11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1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176Y1 (ko) 200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61444A (ja) リブ付きすべり軸受輪を備えたベルトテンション装置
JP2768931B2 (ja) エアベアリングを使用するスピンドルモーター
KR940010188B1 (ko) 스핀들 축용 베어링 구조
US4077683A (en) Roller thrust bearing cage and roller assembly
KR0181091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
KR200236176Y1 (ko)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
US6250809B1 (en) Bearing structures for a motor rotor
KR920000437Y1 (ko) 모터의 스러스트축수기구
JP3970480B2 (ja) ガイドローラ装置
KR100390428B1 (ko) 스크롤 압축기용 자전 방지기구의 윤활장치
KR100626735B1 (ko) 전동기의 회전축의 베어링 지지 구조
KR200323549Y1 (ko) 베어링 구조
KR100196924B1 (ko) 가변 간극을 갖는 저어널 베어링 장치
JPH05106622A (ja) 回転輪体における座金回転防止装置
KR200159417Y1 (ko) 컴팩트 디스크 드라이브용 나사축의 축받침구조
KR0174458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
KR200160861Y1 (ko) 투포원연사기의 스핀들 구동벨트
KR100219679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조립체
KR20000007152U (ko) 캡스턴 모터
JP2000266041A (ja) セラミックス軸受
JPH1182496A (ja) スラスト自動調心ころ軸受
KR890000475Y1 (ko) Dc 모우터 와인딩 기의 권선장치
KR19980078559A (ko) 모터의 동압베어링장치
JPS636509Y2 (ko)
KR970001838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테이프 가이드 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