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0052A - 다층구조로 되는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다층구조로 되는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0052A
KR19980020052A KR1019960038391A KR19960038391A KR19980020052A KR 19980020052 A KR19980020052 A KR 19980020052A KR 1019960038391 A KR1019960038391 A KR 1019960038391A KR 19960038391 A KR19960038391 A KR 19960038391A KR 19980020052 A KR19980020052 A KR 19980020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attress
upper layer
intermediate lay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8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 와이어트 찰즈
Original Assignee
시. 와이어트 찰즈
에이엠에프 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 와이어트 찰즈, 에이엠에프 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시. 와이어트 찰즈
Priority to KR1019960038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0052A/ko
Publication of KR19980020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052A/ko

Link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이나 병원에서 사용되는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매트리스의 구성을 다층구조로 하여 사용시에 신체의 하중에 따라 각각의 다층구조가 적용토록 되면서 몸의 하중을 떠받히도록 함으로서 피로도를 줄이고 장시간 누어있을 경우에도 욕창이 발생되지 않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매트리스의 구성을 강도와 구조 및 재질이 서로 다르게 하여 2층이나 3층으로 하여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의 상층으로는 부드러운 재질로 하고 바닦과 접촉되는 부분의 지층으로는 단단한 재질로 하여 지지를 하게 하고 중간층으로는 사방으로 일정한 골이 형성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신체의 하중에 따라 돌출부가 골에 의하여 이즈러지면서 자연스럽게 신체를 받쳐지도록 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층구조로 되는 매트리스
본 발명은 가정이나 병원에사 사용되는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매트리스와 신체의 접촉시에 신체가 돌출된 부분으로는 매트리스에 하중이 많이 전달되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에는 표면압력이 상승하고 이로 인한 신체의 혈압흐름을 막게 되어 피가 통하지 못하게 됨으로 이러한 부분으로는 피부의 손상을 입게 되는 것이어서 이러한 부위를 보다 푹신하게 함으로서 혈액순환이 원활토록 하여 피부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코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신체의 굴곡이나 하중에 따라 신체가 적당하게 유지토록 적응되는 매트리스의 제공을 위한 것이다.
종래의 매트리스는 폴리우레탄(일명:스폰지)으로 발포되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단층의 품을 이용하여 상하면이 평평한 모양으로 되는 매트리스를 사용하거나 또는 매트리스 상면의 전체에 일정한 깊이를 갖는 요홈을 일정한 배열이나 불규칙한 배열로 요설하여 사용토록 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재질이나 성형시에 제품의 밀도의 차이에 따라 촉감이 딱딱한 것과 부드러운 것을 선택하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부드러운 재질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반듯이 나무나 플라스틱판 또는 이불등 딱딱한 재질의 깔판을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고, 좀 단단한 재질의 매트리스를 사용할 경우에는 등이 베기기 때문에 그 상부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부드러운 천을 깔아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이 일체로 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매트리스와 깔판이 임의대로 탈리되어 버리기 때문에 사용시에 향상 불편한 점이 있는 것이고 재질과 층이 단층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신체의 굴곡에 따르는 하중의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에는 혈액순환이 순조롭지 못한 부분으로는 욕창이 발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해소를 위하여 재질이 서로 다른 구조를 갖는 다층의 폼층이나 재질이 서로다른 다층의 폼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폼층의 특징은 신체부위에 선택적으로 표면지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견고성 및 밀도에 차이가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표면지지의 효과를 얻기 위하여는 폭신하고 압력을 분산시켜 주는 층이 피부와 접촉되게 하여야 하며 피부와 접촉되지 않은 부위로는 보다 단단한 재질의 지층을 사용하여 신체를 지지토록 하였다.
또한 매트리스의 전체에 걸쳐 해부학적으로 구조를 다르게 변화를 주는 것이고 특히 평균적인 외형에 적합하도록 일정부위에도 깊이를 서로 다르게 제공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지지압력 분산을 최적화하고 압력초점을 제거해 주는 것이다.
특히 또다른 고유기능으로는 발 뒤꿈치를 지지하는 부위의 폼(상층과 중간층)을 제거하여 다른 재질의 지지폼을 사용하는 것이고 이는 그 부분을 더욱 푹신하게 해주고 상부의 푹신한 폼층이 발꿈치를 더욱 잘 감쌀 수 있도록 도와 주며 푹신한 부위의 깊이 또한 더 깊도록 하여 신체 부위에 대한 압력도 최대한 분산시켜 주는 것이다.
감압이나 표면지지 분산의 또다른 방법으로는 중간층의 돌출부의 상부를 제거하여 면을 평평하게 하여 그 상층으로 박판(또다른 폼층을 접착시키는 것)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압력분산의 또다른 방법으로는 폼층으로 되는 상층을 일정한 크기의 블록으로 절단하는 것으로 이는 블록이 서로 다른 너비의 판을 갖도록 하여 이러한 블럭의 형성을 위하여 절단되는 폭의 넓이를 넓게 또는 좁게 절단하여 서로다른 사각형의 크기가 되어 지지용적을 얻을 수 있도록 매트리스를 가로 세로로 블록이 형성되도록 상층의 표면속으로 절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절단은 깊이와 폭을 서로 다르게 하여 해당부위에 대한 적정한 강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매트리스의 또다른 기능은 일정한 깊이와 폭으로 절단되어 돌출되는 중간층의 상층으로는 폼층에 점탄성과 고밀도의 폼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폼의 특성이 압력의 촛점을 피할 수 있도록 해주고 지지압력을 분산시켜 주며 탄력성이 보다 강한 폼에 비하여 신체의 돌출부를 보다 잘 감싸준다는 점이다.
이러한 폼의 최적밀도로는 10-20파운드 정도에서 1큐빅 피트당 2.5-4.0파운드이다.
이와 같은 폼층의 저표면 압력을 얻기 위하여는 푹신한 폼이 신체의 돌출되는 부분을 감싸주고 압력을 최대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는 푹신하고 유연한 직물을 반듯이 포함하고 있는 외부커버가 요구되며 이러한 커버는 매트리스의 내부로 불순물이나 액체성의 물질이 스며되는 것을 막아 줄 수 있는 방수 및 방습이 되어야 하고 특히 미생물의 성장을 막아주는 항미생물 약제를 함유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커버는 내부를 열어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퍼를 형성하나 이러한 지퍼에는 그 상면으로 넓은 천을 달아 지퍼를 통하여 내부로 액체가 스며드는 것을 막아주어야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매트리스가 카바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
제1a도는 매트리스에 신체가 위치되는 상태의 측면도.
제2도는 매트리스카바에 지퍼가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제3도는 매트리스 천을 고정시킬 수 있는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2층의 다른 폼으로 된 매트리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4a도는 제4도의 측면도.
제5도는 서로다른 세층의 매트리스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절개사시도.
제5a도는 제5도의 사시도.
제6도는 양면사용이 가능한 매트리스의 사시도.
제6a도는 제6도의 정면도.
제6b도는 제6도의 평면도.
제7도는 종래의 매트리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상층2 : 중간층
3 : 지층4 : 실린더홈
5 : 절개홈6 : 굴곡부
7 : 걸이끈8 : 지퍼덮개
9 : 골10 : 돌출부
11 : 지지폼12 : 지퍼
13 : 불록14 : 매트리스카바
15 : 매트리스카바천16 : 점탄층
본 발명의 주원료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합성수지나 라텍스를 원료로 하여 폼층으로 이용할 수 있고 용도에 따라 이러한 폼층의 밀도변화외 재질의 변화를 가했으며 이에 따르는 구조의 변화를 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의 굴곡에 따라 굴곡부(6)가 형성된 중간층(2)의 상부로는 이러한 굴곡부(6)와 밀착되도록 상면이 수평으로 되는 상층(1)을 접착시키고 하부로는 단단한 재질의 지층(3)을 접착시킨 구조이다.
이때 중간층(2)의 강도는 그 상면으로 굴곡부(6)를 따라 접착되는 상층(1)의 재질보다 강도가 단단한 것이고 특히 상층(1)의 재질은 부드러우면서 탄성이 있는 점탄성이 재질을 사용하여 중간층(2)과 접착하고 정강이와 발뒷굽치 부분으로는 측면으로 관통되는 실린더홈(4)을 천공하였고 이러한 실린더홈(4)은 상층(1)과 중간층(2)의 모두에 형성하였고 그 실린더홈(4)의 구조는 원형으로 하고 배열상태는 상층(1)과 중간층(2)에서 지그재그로 형성토록 하였다.
이러한 실린더홈(4)을 지그재그로 형성한 것은 탄성의 유지를 위한 것이나 상하로 적층되도록 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층(3)의 재질은 중간층(2)의 재질과 강도가 비슷한 것을 사용하였으나 강도가 더 단단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매트리스에 누웠을 경우에 신체의 돌출된 부분에 많은 하중이 상층(1)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으로 굴곡부(6)를 형성하여 줌으로서 힘의 분산을 주게 되고 또한 이러한 굴곡부(6)의 상부로 접착된 상층(1)의 재질이 점탄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함으로서 신체에 받는 표면지지를 줄임으로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욕창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정강이와 발뒷꿈치에도 천공된 실린더홈(4)에 의하여 완충이 증대되어 혈액순환이 용이토록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매트리스의 카바(14)에는 매트리스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지퍼(12)를 형성함에 있어서 지퍼(12)가 상부에서 하부로 덮여지도록 상측의 카바선단이 하측의 카바와 겹쳐지도록 지퍼덮개(8)를 돌출시켰고 카바(14)의 하단으로는 각 모서리에 대각선으로 탄성이 우수한 걸이끈(7)을 형성하여 매트리스카바천(15)의 고정이 용이토록 하였다.
또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층으로 되어 상층(1)으로는 표면에서 일정한 깊이로 절개홈(5)을 직교하도록 형성하고 이러한 절개홈(5)은 중앙부분으로는 절개홈(5)의 폭이 크도록 하고 양단으로는 절개홈(5)의 폭을 좁게 한 것이고 절개홈(5)으로 생기게 되는 블록(13)에 대하여도 블록(13)의 크기를 절개홈(5)에 의하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층(3)으로는 상층(1)의 재질보다 단단한 재질을 사용하고 매트리스의 굴곡이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중앙부분으로만 폭방향으로 절개홈(5a)을 형성하고 이러한 절개홈(5a)도 중앙부분으로는 그 폭을 크게 하고 양단으로 좁게 형성하였다.
이는 신체의 굴곡을 따라 가해지는 하중에 적절히 대응토록 하기 위하여 절개홈(5)을 형성하여 불록(13)을 형성하고 이러한 절개홈(5)은 하중을 많이 받는 부분으로는 힘의 분산을 유도하기 위하여 절개홈(5)의 폭을 좁게 촘촘하게 절개하여 줌으로서 힘의 분산을 유도하여 하중에 따르는 매트리스의 완충력을 변화토록 한 것이고 지층(3)에도 매트리스의 휨성을 용이토록하여 완충효과를 위하여 폭 방향으로만 절개홈(5a)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층으로 되면서 상층(1)과 중간층(2)에는 또다시 정장이 부분으로 일정부위를 서로다른 재질로 되는 지지폼(11)을 사용하였고 특히 중간층(2)의 돌출부(10)는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어지는 형상으로 하여 각각의 돌출부(10)가 형성된 열이 각각 지그재그로 형성토록 하여 골(9)을 형성하고 이러한 골(9)에 의하여 생기게 되는 돌출부(10)를 형성함으로서 신체의 굴곡에 따라 받는 하중에 부드러움을 배가토록 하였으며 상층의 정강이 부분에도 점탄층(16)을 형성함으로서 정강이 등을 감쌀 수 있는 부드로움을 갖도록 하고 지층(3)으로는 단단한 재질을 사용하여 완전하게 신체를 지탱할 수 있도록 했다.
이때 중간층(2)의 돌출부(10)의 상면으로는 상층(1)의 완전한 접착을 유도하기 위하여 일정한 위치에서 절단하여 평평하게 하여야 한다.
이는 중간층의 돌출부로 인하여 하중을 받았을 경우에 힘의 분산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고 또다른 재질의 중간층에 돌출부를 형성한 것을 사용한 것은 발뒷꿈치의 보호를 위한 것으로 그 상부에 형성된 상층으로도 유연한 재질을 사용함으로서 발뒷꿈치의 보호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발 뒤꿈치가 위치되는 부분으로는 상층(1)과 중간층(2)에 점탄성이 우수한 또다른 재질을 접착시켜 사용함으로서 발 뒤꿈치를 부드럽게 감쌀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층의 매트리스로서 상층(1)과 지층(3)을 동일한 재질로 하여 각각의 노출되는 표면으로는 골(9)을 형성한 돌출부(10)를 형성함으로서 전후면을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중간층(2)을 단단한 재질을 사용함으로서 신체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토록 한 것이다.
이때의 돌출부는 별도의 첩착이 필요없는 것이기 때문에 상부가 평평한 모양일 필요는 없으나 사용시의 편의를 위하여는 일정한 위치에서 절단하여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부드러움에 도움이 된다.
따라서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에 대하여도 힘의 하중에 따라 매트리스의 부드러운 부분을 선택적으로 지정함으로서 혈액순환이 원활토록 하면서 지층으로는 단단한 재질을 사용함으로서 신체의 지지를 안전하게 하고 또다른 방법으로 골에 의한 돌출부가 하중에 적응되면서 부드러움을 배가시키게 되고 또한 절개홈에 의한 블록의 폭의 조절에 의하여 하중에 따르는 부드러움에 반응할 수 있는 것이고 중층의 굴곡부에 따라 상층의 부드러운 재질이 접착됨으로서 신체의 굴곡에 따른 굴곡부의 완충효과를 기대토록 되는 것이다.

Claims (7)

  1. 신체의 굴곡에 따라 굴곡부(6)가 형성된 중간층(2)의 상부로는 이러한 굴곡부(6)와 밀착되도록 상면이 수평으로 되는 상층(1)을 접착시키고 하부로는 단단한 재질의 지층(3)을 접착시킨 매트리스.
  2. 제1항에 있어서, 중간층(2)의 강도는 그 상면으로 굴곡부(6)를 따라 접착되는 상층(1)의 재질보다 강도가 단단한 것이고 특히 상층(1)의 재질은 부드러우면서 탄성이 있는 점탄성의 재질을 사용하여 중간층(2)과 접착하고 정강이와 발뒷굽치 부분으로는 측면으로 관통되는 실린더홈(4)이 상층(1)과 중간층(2)에서 지그재그로 형성토록 된 매트리스.
  3. 매트리스의 카바(14)에는 매트리스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지퍼(12)를 형성함에 있어서 지퍼(12)가 덮어지도록 일측의 카바 선단이 겹쳐지도록 지퍼덮개(8)를 돌출시켰고 카바(14)의 하단으로는 각모서리에 대각선으로 걸이끈(7)을 형성하여 매트리스카바천(15)의 고정이 용이토록 한 매트리스.
  4. 2층으로 되어 상층(1)으로는 표면에서 일정한 깊이로 절개홈(5)을 직교하도록 형성하고 이러한 절개홈(5)은 중앙부분으로는 절개홈(5)의 폭이 크도록 하고 양단으로는 절개홈(5)의 폭을 좁게 한 것이고 절개홈(5)으로 생기게 되는 블록(13)에 대하여도 블록(13)의 크기를 절개홈(5)에 의하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매트리스.
  5. 제4항에 있어서, 지층(3)으로는 상층(1)의 재질보다 단단한 재질을 사용하고 매트리스의 굴곡이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중앙부분으로 폭으로만 절개홈(5a)을 형성하고 이러한 절개홈(5a)도 중앙부분으로는 그 폭을 크게 하고 양단으로 좁게 형성한 매트리스.
  6. 3층으로 되면서 상층(1)과 중간층(2)에도 또다시 일정부위를 서로 다른 재질로 되는 지지폼(11)과 점탄층(16)을 사용하고 중간층(2)의 돌출부(10)는 상면이 평평하도록 되면서 열이 각각 지그재그로 형성토록 하여 골(9)을 형성하고 그 하단으로는 단단한 재질의 지층(3)으로 된 매트리스.
  7. 제6항에 있어서, 발 뒷꿈치가 위치되는 부분으로는 상층(1)과 중간층(2)에 점탄성이 우수한 또다른 재질을 접착시켜 사용함으로서 발 뒷꿈치를 부드럽게 감쌀 수 있도록 하는 매트리스.
KR1019960038391A 1996-09-05 1996-09-05 다층구조로 되는 매트리스 KR199800200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391A KR19980020052A (ko) 1996-09-05 1996-09-05 다층구조로 되는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391A KR19980020052A (ko) 1996-09-05 1996-09-05 다층구조로 되는 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052A true KR19980020052A (ko) 1998-06-25

Family

ID=6632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8391A KR19980020052A (ko) 1996-09-05 1996-09-05 다층구조로 되는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00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238B1 (ko) * 2009-02-05 2013-09-02 헤인리히 에쎄르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세이덴베버레이 특히 돌보는 시설 및 병원에서 사용되는 매트리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238B1 (ko) * 2009-02-05 2013-09-02 헤인리히 에쎄르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세이덴베버레이 특히 돌보는 시설 및 병원에서 사용되는 매트리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4532A (en) Padding for mattresses and like articles
US5568660A (en) Wheelchair cushion and cover
EP0962171B1 (en) Modular mattress with gradually varying heights toward the center, having different rigidities and elastic responses
US6292964B1 (en) Inclined support pillow
JPH04242607A (ja) マットレス
EP1576908A2 (en) Mattress with spaced knitted fabric
WO1995022922A1 (en) Cushion, mattress or analogous element and resilient elements for use therein
JP2007061295A (ja) マットレス
JP2005312649A (ja) マットレス本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ベッド
KR19980020052A (ko) 다층구조로 되는 매트리스
JP2000023795A (ja) 寝 具
KR102378668B1 (ko) 다층구조의 침대 매트리스
JP2021003366A (ja)
JPH10146247A (ja) クッション材
JP4674943B2 (ja) 褥瘡予防用マット
RU2216264C1 (ru) Подушка под голову для сна
KR102630894B1 (ko) 2중 구조 베개
KR102331789B1 (ko) 에어룸 온돌마루 인체공학디자인 보온기능성 토퍼
JPH0141335Y2 (ko)
JPH06343535A (ja) マット部材
KR20020092275A (ko) 다경도 다탄성 해면체 (스폰지)를 이용한 목과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기위한 베개
JPS6112843Y2 (ko)
JP5200086B2 (ja) 褥瘡予防用マット
JPS6351807A (ja) ウォ−タ−ベッド用マットレス
JPH032748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