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0023A - 접힘식 휠체어 - Google Patents

접힘식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0023A
KR19980020023A KR1019960038352A KR19960038352A KR19980020023A KR 19980020023 A KR19980020023 A KR 19980020023A KR 1019960038352 A KR1019960038352 A KR 1019960038352A KR 19960038352 A KR19960038352 A KR 19960038352A KR 19980020023 A KR19980020023 A KR 19980020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er
wheelchair
main frame
seat plat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8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로 미주노
Original Assignee
미즈노 지로
레이버 세이빙 머신 가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즈노 지로, 레이버 세이빙 머신 가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미즈노 지로
Priority to KR1019960038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0023A/ko
Publication of KR19980020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023A/ko

Link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휠체어는 탈착 가능한 뒤쪽 지지부에 의한 후면측과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중앙 힌지부를 따라 접힐 수 있는 발판에 의한 정면축상에 서로 연결된 한쌍의 평행한 주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 프레임에는 큰 휠과 좌석판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좌석판은 지레작용에 의해 레벨이 변경가능하다. 큰휠의 탈착과 뒤쪽 지지대의 고정해제 후에, 휠체어는 침대에 누워있는 사용자에게 매우 근접하게 접근할 수가 있다. 큰 휠을 탈착 시키는 경우에는, 휠체어는 통상의 크기의 분을 통과할 수가 있다. 발판을 함께 접음으로써, 주 프레임은 운반에 편리하게 나란히 함께 놓여질 수가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접힘식 휠체어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접힘식 휠체어의 완전히 조립된 한 실시예의 사시도.
제 2도는 접힘식 휠체어의 측면도.
제 3도는 접힘식 휠체어의 평면도.
제 4도는 접힘식 휠체어의 부분정면도.
제5도는 제 1도에 도시한 휠체어에 사용되는 큰 휠장치의 확대 측면도.
제 6도는 제 1도에 도시한 휠체어에 사용되는 캐스터(caster) 장치의 확대 측면도.
제 7도는 일본 해제된 상태의 접힘식 휠체어의 사시도.
제 8도는 완전히 접혀진 상태의 접힘식 휠체어의 사시도.
제 9도는 본 발명의 휠체어에 사용되는 리프터(lifter)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제 10도는 동일한 구성의 평면도.
제 11도는 동일한 구성의 정면도.
제 12도는 본 발명의 휠체어에 사용되는 리프터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접힘식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로 평행하게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한쌍의 주 프레임(frame), 각각의 주프레임에 탈착 가능케 결합되는 큰 휠, 및 주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좌석판(seat plate)을 포함하는 휠체어의 조작성능과 운반성능을 개량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사용자란 떨어진 두 지점간을 이동하기 위해 사용할 필요가 있는 환자, 노인 또는 신체 불구자를 가리킨다.
더우기, 종방향이란 휠체어 에서의 정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수평 방향을 가리키며, 횡방향이란 종방향과 거의 수직한 수평방향을 가리킨다.
종래의 휠체어는 2개이상의 횡바(bar)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간된 한쌍의 주 프레임을 포함한다. 휠체어의 후면측은 주프레임의 뒷쪽 덮개에 걸치는 직립 지주부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한쌍의 큰 휠은 주프레임의 양측면 측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대응하는 큰 휠의 정면측의 주 프레임에는 한쌍의 캐스터(caster)가 결합되어 있다.
주 프레임의 정면 하단부에는 한쌍의 발판이 나란히 앞으로 돌출한 구조로 부착되어 있다.
휠체어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그 사용자가 큰휠에 부착된 푸쉬림(pushrim)에 의해 큰 휠을 회전 시킬 수가 있다. 또는 조력자가 뒤쪽 덮개에 부착된 손잡이부에 의해 휠체어를 밀수가 있다.
어느 경우에도, 휠체어의 비교적 단단한 구성과 큰휠의 존재로 인하여 실용상 큰 불편감이 있다.
첫째로, 2개의 주 프레임에 걸치는 횡바의 존재로 인하여, 침대에 누워있는 사용자의 위치에 가능한 근접하게 휠체어를 갖고오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휠체어를 침대 사이에 사용자를 옮기기 위하여는, 2명 이상의 조력자가 사용자를 손으로 운반할 필요가 있다. 이와같이 손으로 옮기는 일은 조력자에게는 상당히 부담감을 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물리적 고통을 가중 시킬 수 있다.
둘째로, 주 프레임에서 측면으로 돌출한 2개의 큰휠의 존재로 인하여, 휠체어는 욕실문 또는 화장실의 통로를 통과할 수 있을 만큼 특별히 넓게 설계되어진 욕실문 또는 화장실 문만을 통과할 수 있다. 여기서 다시, 사용자는 2명 이상의 조력자에 의해 원조받을 필요가 있다.
발판등의 여러가지 부속품의 존재와 비교적 단단한 구조에 의하여 휠체어가 매우 다루기 힘들정도로 제작됨으로써, 휠체어의 운반에 번거로움을 느낀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침대에 누워있는 사용자에게 휠체어를 가능한 근접하게 접근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휠체어를 위해 특별히 설계되어 지지 않은 통상의 문을 통과하는 경우에도 휠체어를 자유롭게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운반에 아주 적합한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 프레임은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뒤쪽 지지대에 의해 그 후단부에 서로 탈착 가능케 연결되어 있고, 좌석판은 리프터 수단의 원조에 의해 수직으로 바꾸어 놓을 수 있는 구성으로 주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고, 이리프터 수단은 각각의 주 프레임에 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결합된 한쌍의 리프터 축과 축방향 회전용의 리프터 축을 구동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리프터 축은 리프터 축의 축방향 회전에 의해 좌석판을 수직으로 바꾸어 놓을 수 있도록 버팀대(suspension) 벨트에 의해 좌석판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접힘식 휠체어의 기본적인 실시예는 제 1도-제 4도에 도시되어 있다. 주 구성요소로서, 휠체어는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한쌍의 주 프레임 1, 후상단부에 주 프레임 1을 탈착가능케 연결하는 뒤쪽 지지대 6, 좌석판 21을 포함하는 좌석수단 2, 주 프레임 1에서 좌석판 21을 탈착가능케 매달은 리프터 수단, 주 프레임 1에 큰 휠 43을 탈착가능케 결합하는 한쌍의 큰 휠수단 4, 주프레임 1의 정면 하단부에 결합된 접힘식 발판수단 7, 및 주 프레임 1의 후면 하단부에 결합된 한쌍의 캐스터 수단 8을 포함한다.
제 2도에서 최상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각 주 프레임 1은 수평의 상부프레임 11, 수평의 하부프레임 12 및 수직의 상부 프레임 13이 서로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주 프레임 1의 후면측은 개방된 상태로 있다. 주 프레임 1의 이러한 후면측의 개방구조는 사용자가 누워있는 침대에 휠체어를 근접하게 접근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다. 상부 프레임(11)의 후단부 근처에는 팔걸이대 14와 큰 휠 수단 4용의 상단 제륜장치 15가 구비되어 있다.
더우기, 상부 프레임 11은 후면측에는 뒤쪽 지지대 17이 구비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 프레임 12의 후단부 근처에는 큰 휠수단 4용의 하부 제륜장치 16이 구비되어 있다.
리프터 수단 3은 주 프레임 1의 결합된 상부 프레임 11에 평행하게 각각 이어지는 한쌍의 리프터 축 31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리프터축 31은 상부프레임 11에 헛돌게 삽입되는 다수개의 보스(boss) 32에 의해 결합된 상부 프레임 11에 의해 지지된다. 즉, 리프터축 31은 상부 프레임 11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각 리프터 축 31의 정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연결된 리프터 아암(arm) 33이 결합되어 있다. 그래서 리프터 아암 33이 종방향과 수직한 평면으로 수동으로 회동되는 경우에, 결합된 리프터 축 31은 상부 프레임 11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한쌍의 리프터 아암 33의 발단에는 상호 단부연결용의 죔쇠(buckle) 34가 구비되어 있다.
제 2도와 제 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석수단 2는 바람직하게는 중앙 개구가 형성된 평평한 좌석판 21을 포함한다.
좌석판 21은 4개의 모서리 근처에서 버텀대 벨트 22에 의해 리프터 수단 3의 리프터 축 31에 연결되어 있다. 각 버팀대 벨트 22에는 중간 죔쇠 23이 구비되어 있어, 좌석판 21이 죔쇠 23을 해제 시킴으로서 리프터수단 3에서 탈착될 수가 있다. 좌석판 21이 리프터 수단 3에 의해 승강됨이 없이 그 하부 위치에 놓여지는 경우에, 좌석판 21이 통상의 양변기의 높이에 위치되도록 시스템이 조정된다.
각 큰 휠수단 4는 림축 41을 포함한다(제 5도 참조) 림축 41의 중간에는 큰 휠 42을 운반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이어지는 휠 브래킷(bracket) 42가 구비되어 있다.
휠 브래킷 42아래에는, 제륜장치 슬리브(sleeve) 44가 림축 42에 헛돌게 삽입되어 있다. 림축 41의 하단부에는 전방으로 이어지는 제륜장치 핀 45가 구비되어 있다. 상단부에서 림축 41은 상부제륜장치의 15의 원조에 의해 주 프레임 1의 상부 프레임 11의 후단부에 탈착가능케 결합되어 있다. 반면에, 하단부에서, 림축 41은 하부 제륜장치 제륜장치 및 핀 45 및 제륜장치 슬리브 44의 원조에 의해 주 프레임 1의 하부 프레임 12의 후단부에 탈착가능케 결합되어 있다. 이와같이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고정된 것이 해제될때, 림축 41은 큰 휠 43과 함께 결합된 주 프레임 1에서 탈착될 수가 있다.
각 주 프레임 1쌍에, 팔걸이 5는 바람직하게는 11 상의 팔걸이대 14에 대해 그 후단부에서 회동하여, 상부 프레임 11과 그 하부 위치 보스 32를 덮는다. 팔걸이 5는 결합된 상부 프레임 11의 축을 중심으로 리프터 축 31의 자유회전을 허용하도록 상방으로 회동한다.
구부러진 뒤쪽 지지부 6은 주 프레임 1의 후면 상단부에 걸려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뒤쪽 지지부 6을 일단에서 상부 프레임 11상에 하나의 뒤쪽 지지대 17에 탈착 가능케 결합되어 있다. 제륜장치 슬리브 61이 그 하부 위치에 놓일때, 뒤쪽 지지부 6은 양쪽의 주 프레임 1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주 프레임 1간의 횡거리를 규정한다. 제륜장치 슬리브 61이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뒤쪽 지지부 61은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다른 상부 프레임 11의 대응하는 후단부에서 그 타단이 탈착된다.
발판 수단 7은 주 프레임 1의 하부 프레임의 후단부에서 전방으로 이어지는 한쌍의 평행한 측면판 71을 포함한다. 각 측면판 71은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측면 힌지부(hinge) 74를 따라 발판 72에 연결되어 있다. 2개의 측면판 72는 측면 힌지부 74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중앙 힌지부 72를 따라 서로 결합되어 있다. 횡방향의 제륜장치 아암 75는 하나의 측면판 71에 타단은 제륜장치 손잡이부 76과 다른 측면판 71에 형성된 제륜장치 구멍 77의 원조에 의해 다른 측면판 71에 탈착 가능케 고정되어 있다. 제륜장치 아암 75가 그 정지 위치에 놓여 있는 경우에는, 발판 72를 평평한 상태로 유지시킨다. 제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륜 장치 아암 72가 그 개방 위치로 회동됨에 따라 힌지부 73과 74를 따라 발판 72가 접혀지게 된다. 작은 휠 78은 측면판 71의 아래측 부착되어 있다.
캐스터 수단 8은 제 6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캐스터 수단 8은 캐스터 81을 개재하는 분기된 캐스터 프레임 85에 의해 주 프레임 1의 각 하부 프레임 12의 후단부의 아래측의 고정되어 있다.
캐스터 81은 분기된 캐스터 프레임 85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된 횡방향의 캐스터 축 82상에 회전 가능케 장착 되어 있다. 캐스터 프레임 85를 개재하는 구성으로, 분기된 스탠드(stand) 83은 캐스터 축 82에 회전 가능케 장착 되어 있다. 재크 레버(jack lever) 89도 그 선단부를 스탠드 83과 맞물려지게 하여 캐스터축 82에 회전가능케 장착되어 있다. 인장 스프링 88은 캐스터 프레임 85에 고정된 하나의 스프링 핀 86과 스탠드 83에 고정된 다른 스프링 87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재크레버 89는 인장 스프링 88의 작동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 되어 캐스터 81은 바닥에 놓여지며, 스탠드 83은 바닥위에 지지된다. 재크레버 89가 인장 스프링 88의 작동에 대하여 하방으로 수동으로 회동되어, 스탠드 83은 바닥에 놓여지고 캐스터 81은 바닥에서 들어올려진다. 스탠드 83의 크기는 큰 휠 43이 바닥에 놓여질때 바닥에서 들어올려지도록 설계된다. 즉, 큰 휠 43은 주 프레임 1에서 탈착 하는데 적합한 상승위치로 유지된다.
휠체어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사용자를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하기 위하여, 먼저 큰 휠 43을 주 프레임 1에서 탈착시켜야 한다.
큰휠 43을 바닥에서 들얼 올리기 위하여 조력자에 의해 재크레버 89를 하방으로 밀어 낸다.
다음에 주 프레임 1상에 상부 및 하부 제륜 장치 15, 16을 해제 시켜서, 림축 41을 큰 휠 43과 함께 주 프레임 1에서 재크래버 89를 하방으로 밀어내어 캐스터 81이 바닥위에 놓여지게 한다.
4개의 버팀대 벨트 2상의 죔쇠 23을 결합시켜서 주 프레임 1에서 좌석판 21을 탈착 시킨다.
제륜장치 슬리브 61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뒤쪽 지지부 6의 하단을 해제시키고 나서, 그 타단(제 3도의 상부 측단부)를 지지하는 뒤쪽 지지대 17에 대하여 개방위치로 후방으로 회동 시킨다.
이 상태에서, 한쌍의 주 프레임 1은 그 중간 거리를 변경 시킬 수 있다.
침대에 누워 있는 사용자의 히프 아래에 좌석판 21을 삽입 시키고 사용자의 신체의 상반부를 전방으로 뻗은 다리로 들어 올린다. 다음에, 사용자의 신체를 약 90℃중심으로 회전시키고 휠체어에 접히게 하면서 다리를 침대에서 아래쪽으로 걸친다.
그 다음에 이제 침대위에 앉은 사용자의 양측면에 상부 프레임 11이 위치 될때 까지 침대쪽으로 휠체어를 이동 시킨다. 림축 41이 주 프레임 1에서 이미 탈착 되었고 뒤쪽 지지부 6이 개방 위치로 이미 회동 하였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휠체어의 후방 이동이 저지되는 일은 없다. 이제 침대 아래에 하부 프레임 12를 위치 시킨다.
다시 뒤쪽지지부 6을 그 폐쇄위치로 전방으로 회동 시켜서 상부 프레임 11의 후단부와 함께 연결한다. 그 다음에, 사용자의 발을 발판 72위에 놓는다.
각각의 팔걸이대 14에 대하여 팔걸이 5를 상방으로 회동 시키고 버팀대 벨트 22에 의해 좌석판 21을 리프터 축 31에 연결한다. 다음에, 리프터 아암 33을 상방으로 회동 시켜서 말단의 죔쇠 34에 의해 서로 연결한다. 이것에 의하여 리프터축 31은 주 프레임 1의 대응하는 상부 프레임 11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제 좌석판 21을 침대에서 들어 올려서 사용자를 그 위로 운반한다. 이와같이 사용자를 침대에서 들어올리는 일은 리프터 아암 33의 지레 작용을 이용하기 때문에 조력자의 강력한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다음에, 휠체어를 침대에서 떨어져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리프터 아암 33은 서로 해제시키고 하방으로 회동시켜서 리프터 축 31을 회전시킨다. 이제, 통상의 양변기의 높이와 유사한 표준 레벨 위치로 좌석판 21을 위치 시킨다.
휠체어의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신에 의해 또는 조력자의 원조에 의해 화장실로 이동할 수가 있다. 화장실에 도착시에 휠체어는 큰 휠 43이 주 프레임 1에서 이미 탈착 되었기 때문에 통상 크기의 화장실 문을 통과할 수가 있다. 이제 좌석판 21의 조절된 통상의 레벨 위치로 인하여 양변기 바로 위에 좌석판 21을 위치 시킬 수가 있다.
휠체어의 접힘은 다음 순으로 실행된다.
먼저, 발판 수단 7의 제륜 장치 손잡이부 76을 해제 시키고 제륜 장치 아암 75를 발판 72에서 떨어져 그 개방 위치로 회동 시킨다. 다음에, 뒤쪽 지지부 6을 해제 시키고 주 프레임 1의 하나의 뒤쪽 지지대 17을 중심으로 그 개방위치로 회동 시킨다. 마지막으로 발판 72을 힌지부 73과 74에 대하여 함께 접는다. 필요에 따라, 큰 휠수단 4도 제 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착 시킬 수도 있다.
휠체어의 조립은 다음의 순으로 실시된다. 먼저, 발판 72를 힌지부 73과 74에 대하여 접어서 2개의 주 프레임 1을 서로 분리 시키고 주 프레임 1과 고정 연결을 위해 뒤쪽 지지부 6을 그 폐쇄위치로 회동한다. 다음에, 제륜장치아암 75를 그 폐쇄위치로 회동시켜 발판 72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재크래버 89를 아래로 밀어내어 캐스터 81을 바닥에서 들어 올린다.(제 7도 참조).
마지막으로, 큰 휠 수단 2을 각각의 주 프레임 1에 부착하고 재크레버 89를 상방으로 회동 시켜서 캐스터 81과 큰휠 43을 바닥에 내리게 한다.
사용자에 의한 샤워는 다음의 순으로 실시된다.
사용자는 큰 휠수단 4의 탈착후에 자신 또는 조력자의 원조에 의해 샤워실로 이동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큰 휠 수단 4를 샤워실에 도착시에 탈착시킬 수도 있다. 큰 휠 수단 4없이 휠체어의 감소된 폭으로 인하여, 휠체어는 통상크기의 샤워실문을 통과할 수가 있다. 그 다음에, 휠체어의 좌석 판 21 아래에 간단한 의자를 놓고 리프터 수단 3의 리프터 아암 33을 하방으로 회동 시켜서 좌석판 21을 간단한 의자위에 내리게 한다.
그 다음에, 좌석판 21을 리프터 수단에서 해제시키고 휠체어를 샤워실에서 꺼낸다. 사용자는 좌석판 21에 의해 간단한 의자위에 앉아 샤워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휠체어는 휠체어의 개방된 후면 구성으로 인하여 침대에 누워있는 사용자에 매우 근접하게 접근시킬 수가 있다. 휠체어는 큰 휠 수단의 탈착가능한 구성으로 인하여, 표준크기, 특히 표준폭의 각종의 문을 통과할 수가 있다. 휠체어는 그 접힘식 구성으로 인하여 매우 용이하게 운반될 수가 있다.
더우기, 리프터 수단의 지레작용을 이용하면은 침대에서 사용자를 들어올리는데 강력한 수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발 작용에 의해 작동할 수 있는 재크 레버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큰 휠 수단의 착탈이 간소화 된다.
본 발명의 휠체어에 사용되는 리프터 수단 3의 다른 실시에는 제 9도-제 11도에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웜-휠(warm-wheel) 수단은 리프터 수단의 리프터 축의 축 방향 회전을 일으키는데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휠 111은 웜 112와 맞물린 상태로 각 리프터 축 31의 정단부에 견고하게 장착 되어 있다. 웜 112에는 구동기어 113이 동축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구동기어 113은 작동중에 타이밍 벨트(timing belt) 114에 의해 구동기어 115에 연결된다. 작동레버 116은 구동기어 115에 동축방향으로 고정되어 구동기어 115를 수동회전 시킨다.
지어-벨트 결합 구성은 회전전달용의 사슬톱니바퀴-사슬 결합 구성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제 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리프터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작동레버 116이 상방으로 돌출되게 폐쇄된 하우징(housing) 118내에 수용되어 있다. 하우징 118은 좌석판 21에 앉은 사용자의 바로 정면에서 주 프레임 1의 정면 상부측에 위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휠체어의 후면측을 통하여 휠체어에서 탑승하므로 주 프레임의 정면 상부측의 이러한 하우징의 존재에 의하여 사용자간 휠체어의 안밖으로 윈활하게 통과하는 일이 저지 되지 않는다.
좌석판 21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작동레버 116을 회전시켜서 축방향을 회전용의 리프터축 31을 구동시킨다. 이 축 방향의 회전에 위하여, 각 리프터축 31은 대응하는 버팀대 벨트 22를 감고 풀어서 좌석판 21의 대응하는 수직 이동을 일으킨다.
발명자에 의해 행해진 활동범위 시험에 의하면, 지레작용을 이용하는 제 1실시예의 경우에 리프터 아암 33을 약 270°로 회동 하였을 때 좌석판 21은 약 120㎜의 거리만큼만 상하로 이동 되었다.
이 실시예의 웜-휠 시스템을 이용하였을 때, 좌석판은 바닥 레벨과 소망의 어떠한 레벨 사이에 상하로 이동될 수 있었다.
리프터 축 31의 구동 시스템은 제 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에서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는데, 구동기어 115는 구동모터 117의 출력축에 고정된다.
제 1실시예의 웜-휠 수단은 크게 이동하는 기계적 구성 요소를 포함 하지 않는다. 그 결과, 시스템은 어떠한 공간 제한 영향없이도 매우 자유롭게 작동 할 수가 있다. 리프터 축을 구동 하기 위하여 기어 시스템이 사용되므로, 시스템에서의 기어비율을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작동 구동력으로 좌석판을 수직으로 이동할 수가 있다. 더우기, 좌석판을 구동하는데 웜과 휠과의 구성을 사용하기 때문에, 좌석판의 수직 이동시에 좌석판을 소망의 어떠한 레벨에서도 정지시킬 수가 있다.

Claims (5)

  1. 서로 평행하게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한쌍의 주 프레임(1), 각각의 주 프레임에 탈착 가능케 결합된 큰 휠(43) 및 주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좌석판(21)을 포함하는 접힘지 휠체어에 있어서,
    주 프레임(1) 이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뒤쪽 지지부(6)에 의해 그 후단 부에 서로 탈착 가능케 연결되고,
    좌석판(21)이 리프터 수단(3)의 원조에 의해 수직으로 변위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주 프레임에 연결되고,
    리프터수단이 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케 구성으로 각각의 주 프레임에 결합된 한쌍의 리프터 축(31)과 축 방향의 회전을 위한 리프터축을 구동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리프터 축의 축방향 회전으로 좌석판을 수직으로 변위시키도록 리프터 축이 버팀대 벨트(22)에 의해 좌석판(21)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휠체어.
  2. 제 1항에 있어서,
    구동 수단이 각 리프터 축(31)의 정단부에 연결되되, 반경방향으로 이어지는 리프터 아암(33)을 포함하여, 이 리프터 아암의 수직 회동에 의해 리프터 축을 축 방향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휠체어.
  3. 제 1항에 있어서,
    구동수단이 리프터 축(31)의 정단부에 연결된 웜-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휠체어.
  4. 웜-휠 수단이 각 리프터 축의 정단부에 고정된 휠, 휠과 맞물리는 구조로 배열된 웜, 및 웜 회전용의 구동원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휠체어.
  5. 제 1항에 있어서,
    주 프레임(1) 그 정면 하단부에 발판 수단(7)과 결합되어 있고, 발판 수단이 종 방향으로 이어지는 중앙 힌지부(73)을 따라 함께 결합된 한쌍의 발판(7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휠체어.
KR1019960038352A 1996-09-05 1996-09-05 접힘식 휠체어 KR199800200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352A KR19980020023A (ko) 1996-09-05 1996-09-05 접힘식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352A KR19980020023A (ko) 1996-09-05 1996-09-05 접힘식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023A true KR19980020023A (ko) 1998-06-25

Family

ID=66322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8352A KR19980020023A (ko) 1996-09-05 1996-09-05 접힘식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002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966B1 (ko) * 2009-11-06 2012-05-11 고길환 보조바퀴가 부착된 안전휠체어
KR20160059373A (ko) * 2014-11-18 2016-05-26 박경수 접을 수 있는 바퀴,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KR101939344B1 (ko) * 2018-06-14 2019-01-16 전길자 환자용 휠체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966B1 (ko) * 2009-11-06 2012-05-11 고길환 보조바퀴가 부착된 안전휠체어
KR20160059373A (ko) * 2014-11-18 2016-05-26 박경수 접을 수 있는 바퀴,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KR101939344B1 (ko) * 2018-06-14 2019-01-16 전길자 환자용 휠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8933A (en) Foldable wheelchair
CN104706480B (zh) 一种多功能轮椅
US5373591A (en) Shower-commode chair and transfer track
US5517704A (en) Combined commode and shower chair apparatus
US5333333A (en) Transportation, sanitation and therapy system for handicapped people
US5419571A (en) Wheel chair with provisions for patient walker
US5365621A (en) Invalid lift
US4334330A (en) Bedside commode
US5148559A (en) Patient conveyance device
US5577753A (en) Wheelchair and commode seat therefor
JP2748227B2 (ja) 電動式車椅子
US4023218A (en) Invalid bed arrangement
JP4051926B2 (ja) 車椅子
KR100757649B1 (ko) 승강장치를 구비한 휠체어
GB2113086A (en) Mobile chair
US20030151232A1 (en) Multiple purpose device to assist physically disabled persons
KR200423562Y1 (ko) 자활능력 강화용 휠체어
KR100932840B1 (ko) 보행보조장치
KR19980020023A (ko) 접힘식 휠체어
JP2628568B2 (ja) 介護用バス
JP2561199B2 (ja) 電動車椅子
EP0826355B1 (en) A foldable wheelchair
JPH0455704B2 (ko)
CN114190809A (zh) 坐便器框架
GB2296901A (en) Patient handling hoist and chair comprising a parallelogram linkage on a wheeled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