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9999U - 공냉구조를 갖는 더블 로터 방식의 비엘디씨 모터 - Google Patents

공냉구조를 갖는 더블 로터 방식의 비엘디씨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9999U
KR19980019999U KR2019960033202U KR19960033202U KR19980019999U KR 19980019999 U KR19980019999 U KR 19980019999U KR 2019960033202 U KR2019960033202 U KR 2019960033202U KR 19960033202 U KR19960033202 U KR 19960033202U KR 19980019999 U KR19980019999 U KR 199800199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rotor
stator
rotors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3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6527Y1 (ko
Inventor
김병규
김준
Original Assignee
김동훈
주식회사 아모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훈, 주식회사 아모트론 filed Critical 김동훈
Priority to KR2019960033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527Y1/ko
Priority to US08/783,908 priority patent/US5945766A/en
Priority to JP9-19921A priority patent/JP3005487B2/ja
Priority to DE19701797A priority patent/DE19701797A1/de
Publication of KR199800199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9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5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5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ushless Mo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BLDC 모터 구동시 발생되는 치명적인 온도상승에 따른 출력감소와 출력 트랜지스터의 열폭주를 방지하기 위하며, 모터 내부의 구동코일과 구동소자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을 더블 로터와 상/하부 케이스에 형성한 공냉구조를 갖는 더블 로터 방식의 BLDC 모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공냉구조를 갖는 모터는 다수 세트의 N극과 S극의 마그넷이 교대로 배치된 디스크형태로 서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로터와, 상기 로터의 중앙에 부싱을 통해 결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하부 케이스와, 외주부가 상기 상/하부 케이스 사이에 고정 결합되고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로터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설치되며 다수의 스테이터 코일이 몰딩 충전물로 지지되어 환형 디스크 형태로 형성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한 구동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부 케이스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과, 제1 및 제2 로터에 외부 공기가 모터 내부로 순환될 수 있는 다수의 환기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모터 내부의 열을 환기홀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시킴에 의해 모터의 출력 감소와 출력 트랜지스터의 열폭주를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공냉구조를 갖는 더블 로터 방식의 비엘디씨 모터
본 고안은 공냉구조를 갖는 더블 로터 방식의 BLD(Brushless DC) 모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BLDC 모터 구동시 발생되는 치명적인 온도상승에 따른 출력감소와 출력 트랜지스터의 열폭주를 방지하기 위하여, 모터 내부의 구동코일과 구동소자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을 더블 로터와 상/하부 케이스에 형성한 공냉구조를 갖는 더블 로터 방식의 BLDC 모터에 관한 것이다.
BLDC 모터는 스테이터 코어를 갖고 있는가 여부에 따라 분류하면 일반적으로 컵(원통) 구조를 갖는 코어형(또는 레이디얼형)과 코어레스형(또는 액시얼형)으로 나뉘어진다.
코어형 구조의 BLDC 모터는 내주부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에 전자석 구조를 갖기 위해 코일이 권취된 원통형의 스테이터와 원통형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로터로 구성된 내부자석형과, 또는 스테이터가 외주부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에 상/하 방향으로 코일이 권취되어 있고, 그 외부에 다극 착자된 원통형 영구자석으로 로터가 구성된 외부자석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코어형 BLDC 모터는 자기회로가 축을 중심으로 레이디얼 방향으로 대칭인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진동성 노이즈가 적고, 저속회전에 적합하며 토크가 양호한 장점을 갖고 있는 반면에 스테이터 제작시에 계철(yoke)의 재료 손실이 크고 양산시에 설비투자 비용이 높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스테이터 및 로터의 구조가 복잡하며, 박형화가 불리하고, 고효율화에 어려움이 있으며 코깅(cogging) 토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코어형 BLDC 모터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종래의 코어레스형 BLDC 모터는 환형 마그넷와 요크로 이루어진 로터가 회전축에 고정결합되고, 인쇄회로기판(PCB)에 다수의 스테이터 코일이 권선되어 이루어진 스테이터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축이 결합된 구조를 갖고 있다.
상기한 코어레스형 BLDC 모터는 다수 세트의 자석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로터와 그 하측에 배치된 다수세트의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스테이터 코일로 이루어진 스테이터 사이에 축방향과 동일방향을 갖는 상/하 방향의 자기회로가 형성되므로 스테이터의 흡입 또는 반발력과 스테이터의 불균일한 착자에 기인하여 베어링 사이에 완충 스프링을 삽입시킬지라도 축방향의 진동이 구조적으로 크게 발생한다.
또한 이 축방향의 진동은 모터 장착 회전 구동시에 전체 시스템의 공진을 유발시켜 회전소음을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고속 회전시에 모터 전체의 효율은 손실(loss)이 없는 관계로 양호한 반면에 회전소음에 진동성 소음이 합성되어 이상음을 유발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코어형 BLDC 모터에 비하여 재료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양산성이 좋으며, 박형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여 저가격 및 고효율화를 이룰 수 있으나 회전시에 축방향 진동으로 소음발생이 크다는 치명적인 결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은 1996년 1월 18일자 특허출원 제 96-976 및 977호를 통해 로터 회전시 발생되는 축방향 진동을 서로 상쇄시킴과 동시에 토크를 2배 이상 증가시킬 수 있는 더블 로터/스테이터 방식의 코어레스형 BLDC 모터를 제안한 바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특허출원 제 96-977호에서 제안된 코어레스형 BLDC 모터는 다수 세트의 N극과 S극의 마그넷이 교대로 배치된 디스크형 제1 및 제2 로터와, 상기 로터의 중앙에 부싱을 통해 결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우측 케이스와, 상기 제1 및 제2 로터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로터에 서로 반대방향의 전자기력을 인가하기 이해 다수의 보빈레스 스테이터 코일을 구비한 제1 및 제2 스테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출원에서는 제1 및 제2 더블 로터의 중간에 각각 다수의 권선된 스테이터 코일이 PCB 좌우측에 실장된 더블 스테이터 구조를 갖고 있어, 전체적으로 스테이터 및 로터 회전축에 대하여 대칭구조의 자기회로를 형성한다.
이 경우 대응하는 제1 및 제2 스테이터의 스테이터 코일은 제1 및 제2 회전로터의 대응하는 각 마그넷을 서로 흡입하거나 또는 서로 반발하게 코일의 권선 방향과 전류흐름 방향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로터는 제1 및 제2 스테이터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의 동일한 크기의 흡인력 또는 반발력을 받게 되어, 각 스테이터에 의해 제1 및 제2 로터에 작용되는 흡인력 또는 반발력은 서로 상쇄되므로 로터의 축방향 진동은 최소화된다.
한편 본 출원인은 상기한 대칭구조의 더블 로터/스테이터 방식의 코어레스형 BLDC 모터의 스테이터를 인서트 몰딩에 의한 단일체로 구성하여 내구성과 생산비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개량 발명을 특허출원 제96-18767호(1996.5.30)에 제안한 바 있다.
상기한 BLDC 모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부 케이스(71A, 71B)의 중간에 스테이터(51)의 외주부(67)가 상/하로 연장 형성되어, 이들 사이에 결합되어 원통형 케이스를 형성한다.
상기한 스테이터(51)의 상/하부에는 소정의 에어갭을 두고 자석분할 다극 배치 구조를 갖는 상부 로터(73A)와 하부로터(73B)가 중앙부의 부싱(75A, 75B)을 통하여 회전축(77)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 로터(73A, 73B)는 8개의 마그넷(81A, 81B) 즉, 4개의 디스크형 N극 마그넷과 4개의 디스크형 S극 마그넷이 교대로 비자성체, 예를 들어 PET, 나일론66 또는 PBT로 이루어지며 부싱(75A, 75B)과 일체로 형성된 지지체(79)에 원주부가 지지되고, 배면에 환형의 마그넷 요크(83A, 83B)가 일체로 부착되어 8개 마그넷(81)에 대한 자기회로가 형성된 구조이다.
한편 상기 상부로터(73A)이 마그넷 요크(83A) 상측에는 홀 소자 위치 검출용 보조 마그넷(85)이 부착되어 있고, 이 보조 마그넷(85)은 상부 케이스(71A)의 내주부에 고정 설치된 콘트롤 PCB(87)의 홀소자(89)와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한 콘트롤 PCB(87)의 일측변에은 스테이터(51)의 상부 단자(63A)가 압입 결합되는 암콘넥터(9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71A)와 하부 케이스(71B)의 중앙부에는 상/하부 베어링(93A, 93B)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이 베어링(93A, 93B)을 통하여 로터(73A, 73B)의 회전축(77)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도에서 부재번호 95는 간격 유지하기 위한 부싱이고, 97은 상부/하부 케이스(71A, 71B)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스크류(볼트)이다.
한편 상기 스테이터(51)는 플라스틱 각형 보빈(53)에 코일(55)이 각형으로 권취되어 있고, 이러한 각형 보빈 코일(55) 6개가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 방식으로 코일들에 대한 상호 결선이 이루어지게 하는 보조 인쇄회로 기판(PCB)(57)과 함께 수지 절연재료에 의해 디스크 형태로 성형된다.
여기서 보조 PCB(57)와 스테이터 몸체(59)의 중앙에는 관통구멍(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테이터 몸체(59)의 일측변에는 콘트롤 PCB(87)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상부 단자(63A)와 다단 적층구조를 채용할 경우 다른 단의 스테이터와 상호 전기적 연결을 위한 하부 단자가 매입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빈 코일(55)은 별도의 전용 권선기를 사용하지 않고 플라스틱 각형 보빈(53)을 사용하여 자동화가 용이한 일반 단축 및 다축 권신기에서 권취 가능하며, 권취에 사용되는 코일은 종래와 같은 본딩 와이어가 아니라 이보다 단가가 25%~50% 정도 싼 일반 절연 동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는 스테이터(51)를 단일체로 구성함과 동시에 보빈(53)을 이용하여 코일(55)을 권취/조립 할 수 있어 높은 생산성과 저렴한 제조비용을 실현할 수 있고 코일(55)간에도 확실한 절연이 이루어지며, 방습, 진동 흡수성 및 내식성도 우수하며 전체적인 모터의 지지강도가 증가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보빈 코일 대신에 보빈레스 코일을 사용하여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스테이터를 일체로 성형한 경우에는 모터의 출력을 더욱 증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더블 로터/스테이터 방식의 코어레스형 BLDC 모터에서는 상/하부 케이스와 스테이터의 외주부가 전체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모터를 장시간 구동하는 경우 콘트롤 PCB에 설치된 출력 트랜지스터 및 집적회로와 스테이터를 구성하는 스테이터 코일로부터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밀폐형 구조에서는 예를 들어 전원 투입후 1시간 경과시 코일과 트랜지스터 모듈의 표면온도가 100℃를 초과하여 출력 트랜지스터의 열폭주와 온도상승에 따른 출력 감소의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BLDC 모터 구동시 발생되는 치명적인 온도상승에 따른 출력감소와 출력 트랜지스터의 열폭주를 방지하기 위하여, 모터 내부의 구동코일과 구동소자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을 더블 로터와 상/하부 케이스에 형성한 공냉구조를 갖는 더블 로터 방식의 BLDC 모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더블 로터 방식의 BLDC 모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축방향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공냉구조를 갖는 더블 로터 방식의 BLDC 모터에 대한 축방향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넷과 자기 누설구멍이 형성된 마그넷 요크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 평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공냉구조 모터일 경우의 구동시간에 따른 콘덴서와 트랜지스터의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5는 종래의 밀폐형 구조 모터일 경우의 구동시간에 따른 콘덴서와 트랜지스터의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3,15,17A,17B,21A,21B : 환기홀19 : 자기 누설구멍
51 : 스테이터55 : 코일
57 : 보조 PCB 59 : 스테이터 몸체
61 : 관통구멍63 : 연결단자
65 : 관통구멍67 : 스테이터 외주부
71A/71B : 상부/하부 케이스73A/73B : 상부/하부 로터
75A/75B : 부싱77 : 회전축
79 : 지지체81A/81B : 마그넷
83A/83B : 마그넷 요크87 : 콘트롤 PCB
89 : 홀소자91 : 연결단자
93A/93B : 상부/하부 베어링97 : 고정 스크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 세트의 N극과 S극의 마그넷이 교대로 배치된 디스크형태로 서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로터와, 상기 로터의 중앙에 부싱을 통해 결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하부 케이스와, 외주부가 상기 상/하부 케이스 사이에 고정 결합되고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로터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로터에 서로 반대방향의 전자기력을 인가하기 위해 다수의 스테이터 코일이 몰딩 충전물로 지지되어 환형 디스크 형태로 형성된 스테이터와, 상기 상/하부 케이스 중 어느 일측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테이터에 대한 구동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부 케이스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과, 제1 및 제2 로터에 외부 공기가 모터 내부로 순환될 수 있느 다수의 환기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구조를 갖는 더블 로터 방식의 비엘디이씨 모터를 제공한다.
상기 다수의 환기홀은 상부/하부 케이스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과, 제1 및 제2 로터의 서로 대향한 위치로서, 가능한한 회전축에 인접한 위치에 서로 소정간력을 두고 각각 관통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상/하 케이스와 스테이터의 외주부 사이에는 다수의 환기홀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로터의 마그넷으로부터 자속이 누설될 수 있는 자기 누설구멍이 로터의 마그넷 요크에 형성되고, 이에 대향항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면에 홀소자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모터 내부의 구동코일과 구동소자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을 더블 로터와 상/하부 케이스에 형성함에 의해 모터 내부의 낮게 유지하여 모터의 출력 감소와 출력 트랜지스터의 열폭주를 막을 수 있다.
이하에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기한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공냉구조를 갖는 더블 로터 방식의 BLDC 모터에 대한 축방향 단면도로서 보빈레스 타입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넷과 자기 누설구멍이 형성된 마그넷 요크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공냉구조 모터일 경우의 구동시간에 따른 콘덴서와 트랜지스터의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5는 종래의 밀폐형 구조 모터일 경우의 구동시간에 따른 콘덴서와 트랜지스터의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먼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셀프 쿨링(Self Cooling)에 의한 공냉구조를 갖는 더블 로터 방식의 BLDC 모터는 기본적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모터와 유사한 소자와 동일한 동작원리를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1에 도시된 소자와 동일한 소자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를 참고하면, 부재번호 51은 스테이터, 55는 코일, 57은 보조 PCB, 59는 스테이터 몸체, 61은 관통구멍, 63은 연결단자, 65는 관통구멍, 67은 스테이터 외주부, 71A는 상부 케이스, 71B는 하부 케이스, 73A는 상부 로터, 73B는 하부 로터, 75A, 75B는 부싱, 77은 회전축, 79는 지지체, 81A, 81B는 마그넷, 83A, 83B는 마그넷 요크, 87은 콘트롤 PCB, 89는 홀소자, 91은 연결단자, 93A, 93B는 상부/하부 베어링, 97은 고정 스크류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달라진 점은 상부/하부 케이스(71A, 71B)와 콘트롤 PCB(87)의 서로 대향한 위치로서, 가급적 회전축(77)에 인접한 위치에 각각 다수의 환기홀(11, 13, 15)을 관통 형성하고, 또한 상부/하부 로터(73A, 73B)의 마그넷 요크(83A, 83B)와 지지체(79)에도 상기 관통홀(11, 13, 15)과 대응한 위치에 각각 다수의 환기홀(17A, 17B)를 관통 형성하였다.
이 경우 본 고안에서는 홀소자 위치 검출용 보조 마그넷은 상기 환기홀(17A, 17B)의 배치를 위해 삭제하는 대신 홀소자(89)는 설치 위치가 이동되었고 이에 대향한 마그넷 요크(83A)에 마그넷(81A)으로부터의 자기 누설구멍(19)이 형성되어 홀소자(89)가 누설자속을 검출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한 환기홀(11, 13, 15, 17A, 17B)은 원주상으로 동일 간격을 갖고 대략 4-6개소 정도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환기홀(17A, 17B)은 각가 내측으로 기울거나 회전방향으로 기울어진 구조가 방열효율이 높은 구조이며, 비 경사 구멍을 갖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스테이터 외주부(67)에도 원주를 따라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환기홀(11, 13, 15, 17A, 17B)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모터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다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환기홀(21A, 2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으 셀프 쿨링에 의한 공냉구조를 갖는 BLDC 모터의 공냉 작용을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외부로부터 콘트롤 PCB(87)에 모터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제어용 집적회로 및 출력 트랜지스터(23)로부터 스테이터 구동용 구동신호가 연결단자(91, 63A)와 보조 PCB(57)를 통하여 스테이터 코일(55)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상부/하부 로터(73A, 73B)가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상부 케이스(71A)의 환기홀(11)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콘트롤 PCB(87)의 환기홀(15)과 상부 로터(73A)의 환기홀(17A)을 통과하여, 코일(55)과 마그넷(81A) 사이의 갭을 거쳐 환기홀(21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로터(73A, 73B)의 회전에 따라 하부 케이스(71B)의 환기홀(13)로부터 유입된 외부공기는 하부 로터(73B)의 환기홀(17B)을 통과하여, 코일(55)과 마그넷(81B) 사이의 갭을 거쳐 스테이터 외주부(67)에 형성된 환기홀(21B)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더욱이 본 고안에 있어서는 로터(73A, 73B)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데 필요한 보조 마그넷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도 장공형상의 자기 누설구멍(19)을 통하여 마그넷(81A)의 누설자속을 홀소자(89)에 의해 검출할 수 있으므로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마그넷 요크(83A)의 내경(D1)에 따라 형성되는 자장의 분포 차이가 크게 일어나며, 적정한 내경(D1)의 크기는 {마그넷의 PCD(D2)-마그넷의 내경(D3)}-2로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냉구조를 형성한 결과 본 고안에 있어서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전압(V), 전류(mA), 회전수(rpm)로 모터를 구동할 경우 코일, 콘덴서, 트랜지스터의 온도(T1-T3)가 표 1에 나타나 있으며, 도3의 그래프에 콘덴서와 트랜지스터의 온도(T2, T3)가 도시된 바와 같이 5시간 연속 구동시에도 코일의 온도(T1)는 최고 61.8℃, 콘덴서의 온도(T2)는 최고 67.9℃, 트랜지스터의 온도(T3)는 최고 66.9℃를 유지하였다.
[표 1]
이에 반하여 밀폐형 구조를 갖는 종래의 모터에서는 하기 표 2에 기재된 전압(V), 전류(mA), 회전수(rpm)로 모터를 구동할 경우, 코일, 콘덴서, 트랜지스터의 온도(T1A-T3A)가 표 2에 나타나 있으며, 도4의 그래프에 콘덴서와 트랜지스터의 온도(T2A, T3A)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0min 연속 구동시 트랜지스터의 온도(T3A)가 100℃를 초과하고 있으며, 코일의 온도(T1A)는 최고 78.5℃, 콘덴서의 온도(T2A)는 최고 123.0℃, 트랜지스터의 온도(T3A)는 최고 145.0℃를 기록한 후 급격하게 온도가 하강하였다.
[표 2]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5시간 연속 구동시에도 트랜지스터의 온도(T3)가 67℃ 정도를 유지하고 있으나, 종래의 모터에서는 36min 경과시 트랜지스터가 파손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모터 내부의 구동코일과 구동소자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을 더블 로터와 상/하부 케이스에 형성함에 의해 모터 내부의 온도를 낮게 유지하여 모터의 출력 감소와 출력 트랜지스터의 열폭주를 막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1) 다수 세트의 N극과 S극의 마그넷이 교대로 배치된 디스크형태로 서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로터와, (2) 상기 로터의 중앙에 부싱을 통해 결합된 회전축과, (3)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하부 케이스와, (4) 외주부가 상기 상/하부 케이스 사이에 고정 결합되고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로터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로터에 서로 반대방향의 전자기력을 인가하기 위해 다수의 다수의 스테이터 코일이 몰딩 충전물로 지지되어 환형 디스크 형태로 형성된 스테이터와, (5) 상기 상/하부 케이스 중 어느 일측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테이터에 대한 구동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부 케이스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과, 제1 및 제2 로터에 외부 공기가 모터 내부로 순환될 수 있는 다수의 환기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구조를 갖는 더블 로터 방식의 디엘디씨 모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환기홀은 상부/하부 케이스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과, 제1 및 제2 로터의 서로 대향한 위치로서, 가능한한 회전축에 인접한 위치에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각각 관통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구조를 갖는 더블 로터 방식의 비엘디씨 모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상/하 케이스와 스테이터의 외주부 사이에 다수의 환기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구조를 갖는 더블 로터 방식의 비엘디씨 모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마그넷으로부터 자속이 누설될 수 있는 다수의 자기 누설구멍이 로터의 마그넷 요크에 형성되고, 이에 대향한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의 배면에 홀소자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구조를 갖는 더블 로터방식의 비엘디씨 모터.
KR2019960033202U 1996-01-18 1996-10-09 공냉구조를 갖는 더블 로터 방식의 비엘디씨 모터 KR2001465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202U KR200146527Y1 (ko) 1996-10-09 1996-10-09 공냉구조를 갖는 더블 로터 방식의 비엘디씨 모터
US08/783,908 US5945766A (en) 1996-01-18 1997-01-16 Coreless-type BLDC motor and method of producing stator assembly having axial vibration attenuation arrangement
JP9-19921A JP3005487B2 (ja) 1996-10-09 1997-01-17 ダブルローター/シングルステーター方式のコアレス型ブラシレスディーシーモーター
DE19701797A DE19701797A1 (de) 1996-01-18 1997-01-20 Kern- und bürstenloser Gleichstrommot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Ständergrup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202U KR200146527Y1 (ko) 1996-10-09 1996-10-09 공냉구조를 갖는 더블 로터 방식의 비엘디씨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999U true KR19980019999U (ko) 1998-07-15
KR200146527Y1 KR200146527Y1 (ko) 1999-06-15

Family

ID=19469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3202U KR200146527Y1 (ko) 1996-01-18 1996-10-09 공냉구조를 갖는 더블 로터 방식의 비엘디씨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5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381A (ko) * 1999-12-01 2000-03-06 구자홍 모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381A (ko) * 1999-12-01 2000-03-06 구자홍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6527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5766A (en) Coreless-type BLDC motor and method of producing stator assembly having axial vibration attenuation arrangement
JP2016214070A (ja) 単相モータ及びこれを有する電気装置
JPH08251891A (ja) ハイブリッド励磁式回転電機
ATE441239T1 (de) Dynamoelektrische maschine mit axialem luftspalt
TW200522480A (en) Air blower apparatus
WO2022019074A1 (ja) 電動機
JPWO2022019074A5 (ko)
KR100245124B1 (ko) 스타 권선방식 일체형 스테이터 및 이를 이용한 비엘디씨 모터
KR100213572B1 (ko) 더블 스테이터 방식의 코어레스형 비엘디씨 모터
KR101079050B1 (ko) 분할 스큐 코어 구조의 스테이터, 이를 이용한 bldc 모터 및 배터리 쿨링장치
KR100213571B1 (ko) 일체형 스테이터를 이용한 더블로터/단일스테이터방식의 코어레스형 비엘디씨 모터
KR200146527Y1 (ko) 공냉구조를 갖는 더블 로터 방식의 비엘디씨 모터
KR100688158B1 (ko) 두 개의 회전자를 갖는 전동기
KR20050116677A (ko)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
JP4004846B2 (ja) モータ
KR100570361B1 (ko) 슬롯리스 고정자를 갖는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
KR101100038B1 (ko) 스큐구조를 갖는 스테이터 및 이를 채용한 모터
KR100235099B1 (ko) 싱글 로터/더블 스테이터 방식의 비엘디씨 모터
KR20180054087A (ko) 스테이터 일체형 차량용 팬모터
JP3999358B2 (ja) 円筒ラジア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
KR20020040038A (ko) 매입형 영구자석 비엘디시 모터의 회전자
JP2002223537A (ja) Dcモータ
JP3005487B2 (ja) ダブルローター/シングルステーター方式のコアレス型ブラシレスディーシーモーター
WO2021171435A1 (ja) ステータ、電動機、送風機、空気調和装置およ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WO2023182057A1 (ja) 送風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