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148A - 빨래집게 - Google Patents
빨래집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18148A KR19980018148A KR1019970025661A KR19970025661A KR19980018148A KR 19980018148 A KR19980018148 A KR 19980018148A KR 1019970025661 A KR1019970025661 A KR 1019970025661A KR 19970025661 A KR19970025661 A KR 19970025661A KR 19980018148 A KR19980018148 A KR 199800181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gs
- contact surface
- laundry
- force
- artic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5/00—Clothes-peg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5/00—Clothes-pegs
- D06F55/02—Clothes-pegs with pivoted independent clamp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Table Equipment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집게의 각각의 일측에서 마주하는 접촉면에 그 집게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위치로부터 접촉면으로 향하는 홈을 복수 병설하고, 세탁물을 말릴 때에는 집게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한 홈에서 물려들어가도록 끼우고, 거두어 들일때에는 상기한 집게의 조작으로 접촉면의 마주보는 간격을 넓히는 일이 없이 세탁물을 홈의 방향으로 끌어당겨서 떼어내는 물건 말리는 집게.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탁물과 같은 현조물을 찝는 물건 말리는 집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물건 말리는 집게의 구조를 표시하는 사시도이고, 사용상태에서의 방향을 표시하고 있다. 물건 말리는 집게(50)는 서로 마주하는 1쌍의 집게일부(51)(51)를 그 상하방향 대략 중간부분에서 연결시켜 C형 스프링(52)의 탄성력에 의하여 집게일부(51)의 하단부분인 눌림부(54)를 접근하는 방향으로 힘을 더하고 있다. 눌림부(54)의 서로 마주하는 측의 접촉면(54a) 각각에는 단면(V)자형상을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직교하는 폭방향의 홈이 폭방향 양단면부까지 깍여지고, 이 홈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형성되어서 접촉면(54a)의 단면 형상을 톱니 형상으로 하고 있다. 마주하는 접촉면(54a)(54a)의 톱니 형상이 맞물리도록 하는 형상 즉, 서로의 접촉면(54a)의 홈의 형성부분과 비형성부분이 끼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C형스프링(52)에는 매다는 부분(53)이 부착되어 있고, 매다는 부분(53)의 상부에 설치된 루프부를 부착개소에 걸어두는 것에 의하여, 물건 말리는 집게(50)가 매달아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물건 말리는 집게(50)에, 세탁된 의류 등을 찝을 때에는, 집게일부(51)의 윗부분인 찝는 부분(55)를 찝어서 눌림부(54)를 열고, 눌림부(54)에서 세탁물을 찝는다. 세탁물은 톱니형상의 접촉면(54a)에서 양측면으로부터 눌리게되어서 고정된다.
접촉면(54a)이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세탁물의 건조중에 자신의 무게로 인해 집게(51)로부터 탈락하던가, 어떤 충격을 받아서 세탁물이 집게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세탁물이 건조되면, 찝는 부분(55)을 찝어서 눌림부(54)를 열고 세탁물을 떼어낸다.
이 작업은 세탁물을 거두어 들일 때마다에 행하여지고, 세탁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번거로운 작업이다.
이 작업이 번거로워서 세탁물을 눌림부(54)에 끼워둔 상태에서 아랫방향으로 잡아당긴 경우에는 세탁물이 찢어지던가, 집게가 손상하던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 손수건 또는 스타킹과 같은 얇은 물건을 도 1에 표시하는 물건 말리는 집게(50)에 찝는 경우는, 건조후의 손수건에 톱니자리가 남던가, 스타킹을 떼어 낼 때에 접촉면(54a)에 걸려서 파손하던가 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대상물의 취입을 간편하게 그리고 부드럽게 행할 수 있는 물건 말리는 집게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볍고 얇은 대상물이 손상하는 일 없이 간편하게 취입되고 또, 얇은 대상물에 집게의 흔적을 남기지 않는 집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물건 말리는 집게는, 중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탄성력에 의하여 각각의 일측을 상호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1쌍의 집게일부를 구비하고 상기한 집게일부의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일측 각각의 마주보는 접촉면을 보유하고 또한, 그 접촉면은 집게의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위치로부터 접촉면으로 향하는 방향의 홈을 복수병설하고 있고, 상기한 접촉면에서 대상물을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마주하는 접촉면은 홈이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접촉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세탁물을 협지한 경우에 세탁물과 접촉면과의 접촉면적이 크게 되어 세탁물을 확실하게 끼워 고정할 수 있다. 또, 협지된 세탁물의 중심 방향으로 되는 방향에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 접촉면을 여는 일없이 세탁물을 접촉면으로부터 뽑아 낼 수 있고 물건 말리는 집게로부터 간편하게 떼어낼 수가 있다. 그리고, 협지된 세탁물은 한쪽의 접촉면 홈의 형성부분과 다른 쪽의 접촉면 홈의 비형성부분에서 맞물리게 되므로, 홈의 측면에도 세탁물이 접촉한다. 이에 의하여, 세탁물과 접촉면과의 접촉면적이 더욱 커져서 세탁물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물건 말리는 집게는 중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탄성력에 의하여 각각의 일측을 상호접근 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1쌍의 집게일부를 갖추고, 상기 집게일부를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된 일측 각각은 마주하는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한 접촉면은 집게일부의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접촉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요철이 이어지는 파형곡면을 갖추고, 그 접촉면에서 대상물을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마주보는 접촉면은 요철을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접촉면이 요철의 물결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요철은 끼워진 세탁물의 중심방향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세탁물의 고정이 확실하게 된다. 또, 부착된 세탁물을 떼어낼 때에는 중심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것에 의하여 세탁물이 파형곡면을 매끄럽게 이동하여 양 접촉면을 여는 일이 없이 세탁물을 접촉면으로부터 뽑아낼 수 있고 물건 말리는 집게로부터 간편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 한쪽 접촉면의 오목부와 다른쪽 접촉면의 볼록부에서 눌리어 세탁물이 접촉면 전면과 접촉한다. 이에 의하여, 세탁물과 접촉면과의 접촉면적이 더욱 커져서, 세탁물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물건 말리는 집게는 중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탄성력에 의하여 각각의 일측을 상호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1쌍의 집게일부를 갖추고 상기한 집게일부를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일측 각각은 마주하는 접촉면을 가지며, 그 접촉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접촉면에서 대상물을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얇은 세탁물은 가볍기 때문에, 평탄한 형상의 접촉면에서도 확실하게 고정되고, 또 고정된 세탁물을 잡아 당겨서 집게로부터 떼어 낼 때에, 세탁물이 접촉면에 걸리던가, 찢어지던가 하는 우려가 없고, 스무드하게 떼어 낼 수 있다. 또, 접촉면이 평탄하므로, 손수건과 같은 얇은 물건에 흔적이 남는 일도 없다.
도 1은, 종래의 물건 말리는 집게의 구성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물건 말리는 집게의 구성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집게일부의 구조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Ⅲ-Ⅲ선에서 본 단면도.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물건 말리는 집게에 세탁물을 찝은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물건 말리는 집게의 구성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제1의 집게일부의 구조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6의 제2의 집게일부의 구조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물건 말리는 집게의 구성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집게일부의 구조를 표시하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의 형태에 표시하는 도면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제1의 실시의 형태의 물건 말리는 집게(10)의 구성을 표시하는 사시도이고, 사용상태에서의 방향으로 표시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물건 말리는 집게(10)는, 세탁물을 찝어서 부착하는 찝는 부분(1), 이것을 매달아 거는 매다는부(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찝는 부분(1)은 상하 방향 중간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1쌍의 집게일부(2)(2)와, 그 집게일부(2)(2)의 하단측을 접근 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금속제의 C형 스프링(3)을 구비하고 있다.
찝는 부분(1) 및 매다는 부분(4)를 구성하는 부분은 C형 스프링(3)을 제외하고 어는 것이나 합성수지제이다.
도 3은, 도 2에 표시하는 한쪽의 집게일부(2)의 구조를 표시하는 사시도이고, 사용상태에서의 방향을 표시하고 있다. 도 4는 도 3에 표시하는 Ⅲ-Ⅲ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쌍을 이루는 일측의 집게일부(2)는 상하 방향으로 길고, 타측의 집게일부(2)와의 이면측에 개구하는 상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집게일부(2)는 하단부분에 상하 방향 및 정배방향으로 두꺼운 눌림부(21)를 구비하고, 눌림부(21)를 제외한 주변부분에는 리브(평판부나 살이 얇은 부분을 보강하기위해 직각으로 붙이는 부분)(2a)(2b)(2c)가 있다. 리브(2a)(2c)는 상하 방향에 따라서 설치되고, 리브(2a)(2c)의 대략 중앙에는, 리브(2a)(2c)보다도 높은 제1의 맞춤부(23a) 및 제2의 맞춤부(23b)가 병설되어 있다.
제1의 맞춤부(23a)는, 선단부분에 폭방향으로 일정길이를 이격하여 평행으로 세워진 대략 반원형의 1쌍의 받음편을 구비하고, 제2의 맞춤부(23b)는 선단부분에 상기한 제1의 맞춤부(23a)의 받음편의 사이에 삽입가능한 치수의 대략 반원형상의 삽입편을 구비하고 있다.
또, 집게일부(2)의 상자형상의 밑부분의 대략 중앙에는 상하 방향에 따라서 긴 타원 형상의 공간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공간부(25)의 하단부분에는 집게일부(2)의 표면측에 C형 스프링(3)의 끝을 끼우기 위한 스프링 받이 오목부(25a)(도 2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눌림부(21)(21)는, 각각의 마주보는 측에 접촉면(21a)(21a)을 가지고 있다.
접촉면(21a)에는, 도 3도 및 도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U자 형상을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양단부까지 깍여진 홈(21b)은 폭방향으로 같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접촉면(21a)의 폭방향 양단부의 어느 것인가 한쪽에 홈(21b)이 형성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하여, 도 4의 파선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같은 모양의 집게일부(2)(2)를 마주보게 할 때에, 접촉면(21a)끼리가 나합한다. 즉, 각각의 접촉면(21a)(21a)의 홈(21b)의 형성부분과 비형성부분과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또, 쌍을 이루는 집게일부(2)(2)에, 같은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매다는 부분(4)은, 고리부분의 하단(41)에 C형 스프링(3)이 통과하는 구멍(42)를 구비하고, 고리부분의 상단에 매다는 부분(4)의 길이 방향으로 긴타원형의 구멍(43)을 구비하여 일체성형되어 있다. 매다는 부분(4)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로 소재탄성력을 가지고 있고, 루프부(43)은, 그 형상이 변형가능하고, 찝는 부분(1)이 삽통가능한 치수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물건 말리는 집게(10)를 조립하는 경우는, 동형의 집게일부(2)(2)를 서로 마주보게하여 맞춤부(23a)(23b)를 끼워 맞춘다. 그리고,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매다는 부분(4)을 부착한 C형 스프링(3)을 공간부분(25)에 삽통시켜서 C형 스프링(3)의 양단부를 스프링받이 오목부(25a)에 각각 끼운다. 이 C형 스프링(3)에 의하여 찝는 부분(1)의 눌림부(21)(21)를 접근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매다는 부분(4)을 거는 대상장소에 걸어 놓는 것에 의하여 찝는 부분(1)은 매달아진다.
이상과 같은 물건 말리는 집게(10)의 대상물인 세탁물(W)을 부착하는 경우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마주보는 집게일부(2)(2)의 상단부분인 찝는 부분(22)(22)을 찝어서 눌림부(21)(21)를 열고, 세탁물(W)을 눌림부(21)(21)사이에 배치하여 찝는 부분(22)로부터 손을 뗀다. 세탁물(W)은 마주보는 눌림부(21)(21)에 양면측으로부터 찝혀지고, 홈(21b)이 형성된 접촉면에서 눌려진다.
도 5는, 물건 말리는 집게(10)에 세탁물을 부착한 상태의 접촉면을 표시한 사시도이고, 집게일부(2)(2)의 한쪽은 생략하여 표시하고 있다. 도 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홈(21b) 내에는 세탁물(W)이 들어가고, 마주보는 접촉면(21a)의 홈의 비형성 부분에서 눌려지고 있다.
이에 의하여, 세탁물(W)과 접촉면(21a)과의 접촉면적이 크게 되어, 눌림부(21)에 의한 세탁물의 고정이 확실하게 된다.
그리고, 세탁물이 건조한 후에는, 세탁물(W)을 아랫방향(도 5에 표시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끌어당겨서 눌림부(21)로부터 뽑아 낸다.
홈(21b)은 접촉면(21a)의 상하방향으로 양단면부까지 깍여 있으므로, 아래 방향의 힘이 부여된 때에 세탁물(W)이 하향이동 할 때의 저항도 적고, 원활하게 뽑혀진다. 이와 같이, 세탁물(W)을 아래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것에 의하여, 무리하게 떼어놓는 일 없이 눌림부(21)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건조후의 세탁물을 거둬 들이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접촉면(21a)에 단면U자 형상의 홈(21)이 형성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단면 V자 형상이라도 좋고, 형상에 관계 없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접촉면(21)에 형성되는 홈(21b)의 위치는, 상기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접촉면(21)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홈이 형성된 집게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집게를 같이 사용하여도 좋다.
제2의 실시의 형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물건 말리는 집게(20)의 구성을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의 집게의 구조를 표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제1의 집게(2)와 쌍을 이루는 제2의 집게의 구조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어느 것이나 사용상태에서의 방향을 표시하고 있다.
제1의 집게(2) 및 제2의 집게(200)는 하단부분에, 상하 방향 및 정배방향에 두꺼운 눌림부(26)(260)를 구비하고 있다.
눌림부(26)(260)를 가지는 접촉면(26a)(260a)의 형상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상술한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동일하고, 같은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1의 집게(2)의 눌림부(26)는,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2의 집게(200)에 마주보는 측인 뒷쪽의 면에 접촉면(26a)을 가지고 있다. 접촉면(26a)은, 상하 방향으로 요철이 반복된 곡면을 가지고 있고, 상단 부분 및 하단부분이 블록형상이고, 중앙부분이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곡면을 가지는 접촉면(26a)은 단면시에서 파도형상을 가지며, 그 표면은 매끄럽게 성형되어 있다.
또, 제2의 집게(200)의 눌림부(260)는 도 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다른 쪽의 면에 접촉면(260a)을 가지고 있다. 접촉면(260a)은, 상하 방향으로 요철이 반복되는 곡면을 가지고 있고, 상단부분 및 하단부분이 오목형상이고, 중앙부분이 볼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곡면을 가지는 접촉면(260a)은 단면시에서 파도 형상이고, 마주보는 접촉면(26a)을 감합하는 형상을 가진다.
또 그 표면은 매끄럽게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물건 말리는 집게(20)은 제1 및 제2의 집게(2)(200)를 대향시키고, 상술한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동일하게 조립된다. C형 스프링(3)에 의해, 마주보는 집게(2)(200)의 눌림부(26)(260)는 접근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되고, 각각의 접촉면(26a)(260)의 오목형상부분과 블록형상 부분이 서로 맞물린다.(도 6 참조).
물건 말리는 집게(20)에 세탁물을 찝어서 건조시키는 경우는, 집게(2)(200)의 상단부분인 집게부(22)(22)를 찝어서 눌림부(26)(260)사이에 배치하고, 집게부(22)에서 손을 뗀다. 세탁물은 마주보는 눌림부(26)(26)에 양면측으로부터 찝혀지고, 파도형상으로 형성된 접촉면(26a)(260a)에 눌리게 된다. 이에 의해, 오목 부분 및 볼록부분에 세탁물이 들어가서 접촉면(26a)(260a)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져서 눌림부(26)(260)에 의한 세탁물의 부착이 확실하게 된다.
그리고, 세탁물이 건조한 후는, 세탁물을 아래 방향으로 당겨서 눌림부(26)(260)에서 뽑아낸다. 오목부분 및 볼록부분은 상하 방향으로 파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표면이 매끄러우므로, 세탁물에 아래 방향의 힘이 부여된 때에 하향이동시의 저항이 작고, 원활하게 뽑아진다. 이와 같이 세탁물을 아래 방향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 무리하게 잡아당기는 일 없이 눌림부(26)(260)로부터 제거시켜 건조후의 세탁물을 거둬들이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 설명한 물건 말리는 집게(20)는, 접촉면에 1주기 반의 파도형형틀을 형성한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접촉면의 표면이 곡면을 가진 정도이고 접촉면의 치수에 따라서 몇주기의 파도형 형틀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제3의 실시의 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물건 말리는 집게(30)의 구성을 표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표시하는 집게일부(2)의 구조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어느 것이나 사용상태에서의 방향을 표시하고 있다. 집게(2)는 하단부분에, 상하방향 및 정배방향으로 두꺼운 눌림부(27)를 구비하고 있고, 눌림부(27)가 가지는 접촉면(27a)의 형상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상술한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동일하고, 같은 부분에 같은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집게(2)의 눌림부(27)는, 도 1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집게(2)에서 마주보는 측인 다른 측의 면에 접촉면(27a)을 가지고 있다. 접촉면(27a)은, 요철을 갖지 않는 평탄형상이고, 그 표면은 매끄럽게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물건 말리는 집게(30)는, 동형의 집게일부(2)(2)를 대향시키고, 상술한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동일하게 조립된다. 그리고, C형 스프링(3)에 의하여, 마주보는 집게일부(2)(2)의 눌림부(27)(27)는 접근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마주보는 접촉면(27a)(27a)이 충합된다(도 9 참조).
물건 말리는 집게(30)에 얇은 세탁물을 찝어서 건조시킨다. 집게일부(2)(2)의 상단부분인 집게부(22)(22)를 쥐고서 눌림부(27)(27)를 열고, 세탁물을 눌림부(27)(27)사이에 배치하여 집게부(22)로부터 손을 뗀다. 세탁물은 마주보는 눌림부(27)(27)의 양면측으로부터 찝혀지고, 평탄하게 형성된 접촉면(27a)(27a)에 부착된다.
예컨대, 손수건, 스타킹과 같은 얇고 가벼운 세탁물은 평탄한 접촉면(27a)(27a)에서 충분하게 부착된다. 그리고, 세탁물이 건조한 후는, 세탁물을 아랫방향으로 잡아당겨서 눌림부(27)(27)에서 뽑아낸다.
접촉면(27a)은 평탄하고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세탁물에 아래 방향의 힘이 부여되어 하향이동 할 때의 저항이 작고, 작은 힘으로 간단하게 뽑아 낼 수 있다.
또, 스타킹등이 접촉면(27a)에 걸려서 파손할 우려도 없다. 또한 손수건과 같은 얇은 물질에 접촉면(27a)의 흔적이 남을 우려도 없다.
이와 같이 세탁물을 아래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것에 의해, 무리하게 떼어놓는 일이 없이 눌림부(27)(27)로부터 세탁물을 제거하고, 세탁후의 세탁물을 거둬들이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세탁물을 떼어내는 방향과 같은 방향의 홈이 접촉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잡아 당기는 것 만으로 간단하게 세탁물을 떼어낼 수 있다. 또, 접촉면이 세탁물을 떼어내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요철이 반복되는 곡면이므로, 잡아 당기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세탁물을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접촉면이 요철이 없는 평탄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얇고 파손되기 쉬운 세탁물을 부착하고, 거둬들일때는 잡아 당기는 것 만으로 간단하게 세탁물을 떼어낼 수가 있다. 그리고, 또, 얇은 세탁물에 접촉면의 흔적을 남기지 않는 등, 본 발명은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5)
- 중간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탄성력에 의하여 각각의 일측을 상호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1쌍의 집게일부와, 그 집게일부의,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전기 일측 각각은, 마주보는 접촉면을 보유하고, 상기한 접촉면은 집게일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위치로부터 그 접촉면으로 향하는 홈을 복수 병설하고 있고, 그 접촉면에서 대상물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말리는 집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마주보는 접촉면은, 그 홈을 서로 맞물림하도록 구비한 물건 말리는 집게.
- 중간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탄성력에 의하여 각각의 일측을 상호접근 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1쌍의 집게일부와, 그 집게일부의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일측 각각은 마주보는 접촉면을 보유하고, 그 접촉면은 상기한 집게일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접촉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요철을 거듭하는 파형곡면을 구비하고, 그 접촉면에서 대상물을 부착하도록 하는 물건 말리는 집게.
-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마주보는 접촉면은, 그 요철을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한 물건 말리는 집게.
- 중간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탄성력에 의하여 각각의 일측을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1쌍의 집게일부와, 그 집게일부는,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상기 일측 각각은, 마주보는 접촉면을 보유하고, 그 접촉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접촉면에서 대상물을 부착하는 물건 말리는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8227183A JPH1066800A (ja) | 1996-08-28 | 1996-08-28 | 物干し挟み |
JP96-227183 | 1996-08-2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18148A true KR19980018148A (ko) | 1998-06-05 |
Family
ID=16856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25661A KR19980018148A (ko) | 1996-08-28 | 1997-06-19 | 빨래집게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EP (1) | EP0826812A3 (ko) |
JP (1) | JPH1066800A (ko) |
KR (1) | KR19980018148A (ko) |
CN (1) | CN1174906A (ko) |
AU (1) | AU2467797A (ko) |
CA (1) | CA2208283A1 (ko) |
ID (1) | ID18120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U744379B3 (en) * | 2001-03-06 | 2002-02-21 | Janusz Frank Tekiela | Improvements in clothes pegs |
JP7313139B2 (ja) * | 2018-12-11 | 2023-07-24 | 株式会社ニトリホールディングス | 洗濯ばさみ |
CN112869307B (zh) * | 2021-01-28 | 2023-10-24 | 阮晴 | 一种注塑拉链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209697A (en) * | 1939-01-09 | 1940-07-30 | Kislingbury Maud Randel | Clothespin |
GB643244A (en) * | 1948-08-26 | 1950-09-15 | Sutcliffe Moulded Rubber Co Lt | Clothes peg |
GB714990A (en) * | 1952-01-29 | 1954-09-08 | Harry Alexander Place | Improved clothes peg |
AT293324B (de) * | 1969-05-07 | 1971-10-11 | Josef Ferra | Drahtfeder für Wäscheklammern |
US3624673A (en) * | 1969-11-19 | 1971-11-30 | Ethyl Dev Corp | Double-ended plastic clothespin |
US4063333A (en) * | 1976-11-18 | 1977-12-20 | Schweitzer Russell A | Clothespin |
CH677681A5 (en) * | 1989-02-17 | 1991-06-14 | Volaris V Castiglione | Clothes peg which can be gripped at either end - comprises two spring loaded elements with interlocking ribs and grooves, able to grip at either end |
JPH0871293A (ja) * | 1994-09-07 | 1996-03-19 | Naoyuki Aoki | ローラー付き洗濯ばさみ |
-
1996
- 1996-08-28 JP JP8227183A patent/JPH1066800A/ja active Pending
-
1997
- 1997-01-06 CN CN97101005A patent/CN1174906A/zh active Pending
- 1997-06-04 AU AU24677/97A patent/AU2467797A/en not_active Abandoned
- 1997-06-16 EP EP97401368A patent/EP0826812A3/en not_active Withdrawn
- 1997-06-19 CA CA002208283A patent/CA2208283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7-06-19 KR KR1019970025661A patent/KR1998001814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7-06-30 ID IDP972276A patent/ID18120A/id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ID18120A (id) | 1998-03-05 |
CA2208283A1 (en) | 1998-02-28 |
EP0826812A2 (en) | 1998-03-04 |
EP0826812A3 (en) | 1998-10-07 |
AU2467797A (en) | 1998-03-05 |
JPH1066800A (ja) | 1998-03-10 |
CN1174906A (zh) | 1998-03-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36486A (en) | Hanger bar | |
US3135034A (en) | Clothes pins | |
US2779076A (en) | Laundry aid | |
US5052085A (en) | Structure of clothes clip | |
US3524226A (en) | Fastener | |
KR19980018148A (ko) | 빨래집게 | |
JPH01192399A (ja) | 洗濯ばさみ | |
JPH09192393A (ja) | 折り畳み式物干し具 | |
US5097996A (en) | Clothes hanger with series of mating projections and holes on gripping surface | |
US5845414A (en) | Drying equipment with retractable rod clips | |
EP0944754A1 (en) | Device for holding socks together in pairs | |
JP2004275346A (ja) | フード付衣料用ハンガー | |
JPH1085495A (ja) | ドア用物干し器具 | |
KR100425036B1 (ko) | 빨래 누르개 | |
KR200222646Y1 (ko) | 이중 빨래집게 | |
KR200142176Y1 (ko) | 옷걸이 | |
JP3062961U (ja) | ピンチの乾燥物保護保持装置 | |
KR100267007B1 (ko) | 물건 건조구 | |
JP3299738B2 (ja) | ハンガー吊下用具 | |
JP3003143U (ja) | 洗濯ばさみ | |
JPH0532077Y2 (ko) | ||
FR2775008A1 (fr) | Pince du type pince a linge | |
JP2777779B2 (ja) | 挟持器具 | |
JP3460958B2 (ja) | 物干し装置 | |
JP4645970B2 (ja) | 物干器用フック及び物干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