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7803U - 전자렌지 - Google Patents

전자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7803U
KR19980017803U KR2019960031191U KR19960031191U KR19980017803U KR 19980017803 U KR19980017803 U KR 19980017803U KR 2019960031191 U KR2019960031191 U KR 2019960031191U KR 19960031191 U KR19960031191 U KR 19960031191U KR 19980017803 U KR19980017803 U KR 199800178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air
protective cover
hole
microwav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11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311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7803U/ko
Publication of KR199800178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803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73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본체의 후방에 설치되어 송풍팬과 냉각팬을 구동시키는 모터의 냉각성능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는 후방에 설치된 모터(50)와 송풍팬(41), 냉각팬(52) 등을 감싸며 중심부에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공(61)과 테두리부분에 배출공(62)이 형성된 보호커버(60)의 외부에 유입공(61)과 배출공(62)을 구획하는 차단부재(70)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모터(50)를 냉각시킨 후 배출공(6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공기가 차단부재(70)에 의해 유입공(61)으로 재유입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모터(50)의 냉각성능과 이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렌지
본 고안은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후방에 설치되어 냉각팬과 모터 등을 감싸는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마그네트론에서 기본파 2450MHz의 고주파를 조리실 내부로 방사하여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의 분자배열을 반복 변환시킴으로써, 음식물이 조리되는 기구이다. 한편, 최근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의해 조리실 내부에 별도로 열을 발생하는 전기히터봉이 설치된 컨백션 전자렌지가 시판되고 있는데, 이의 구조는 도 1에 보인 바와 같다.
컨백션 전자렌지는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는 본체(10) 내부에 전면이 개구된 조리실(20)과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30)가 힌지결합되어 있다. 조리실(20)은 마그네트론(미도시)에 의해 고주파가 조사되어 음식물이 조리되는 곳인데, 하부에 턴테이블 방식의 조립접시(21)와 상측에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히터봉(2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를 이루며 외부로 노출된 후면판(11)의 후방에는 조리실(20)의 열풍을 강제 순환시키는 송풍팬(41)과 모터(50), 모터(50)를 냉각시키는 냉각팬(2)과 이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커버(60) 등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의 구조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체(10)의 후면판(11)에는 열풍의 강제대류룰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흡입공(13)과 토출공(12)이 형성되고, 후면판(11)의 외측면에는 덕트(40)가 설치됨으로써, 흡입공(13)과 토출공(12)에 의해 조리실(20)과 덕트(40)가 연통된다. 그리고 덕트(40)에는 대류수단과 냉각수단이 마련되어 있는데, 대류수단은 덕트(40)의 내측에 설치된 송풍팬(41), 일단부에 송풍팬(41)이 결합되며 덕트(40)를 관통하여 설치된 회전축(51)과 이의 타단에 설치된 모터(50)로 구성된다. 냉각수단은 덕트(40)와 모터(50)사이의 회전축(51)에 설치된 냉각팬(52)으로 모터(5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보호커버(60)는 중심부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성형되어 이러한 본체(10)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대류수단과 냉각수단을 감싸도록 구성되는데, 이의 중심부에는 냉각팬(52)의 흡입력에 의해 외기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유입공(61)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10) 후면판(11)과 접하는 테두리부분에는 모터(50)를 냉각시킨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배출공(6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컨백션 전자렌지는 조리접시(21)에 피조리물을 놓고 도어(30)를 닫은 상태에서 작동시키면, 미도시된 마그네트론에서 조리실(20)로 고주파가 조사되며, 아울러 전기히터봉(22)에서 열이 발생함과 동시에 모터(50)가 작동하여 송풍팬(41)이 회전한다. 송풍팬(41)의 작동으로, 조리실(20)내의 공기가 하측의 흡입공(13)을 통해 흡입되어 덕트(40)에 의해 상방으로 안내된 후 토출공(12)을 통해 다시 조리실(20)내부로 토출된다. 토출된 공기는 전기히터봉(22)에서 발생된 열을 대류시킴으로써, 피조리물은 고주파와 전기히터봉(22)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조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모터(50)가 회전함에 따라 송풍팬(41)과 동시에 냉각팬(52)이 회전하여 모터(5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냉각팬(52)의 흡입력에 의해 외기의 공기는 보호커버(60) 중심부에 형성된 유입공(61)을 통해 들어와 모터(50)를 지나면서 냉각시키고, 열교환된 공기는 다시 보호커버(60) 테두리부분에 형성된 배출공(62)을 통해 빠져나간다.
이 때, 보호커버(60)의 배출공(6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상대적으로 따뜻한 공기인데, 이 일부가 냉각팬(52)의 흡입력에 의해 유입공(61)을 통해 재유입됨으로써, 모터(50)의 냉각성능이 저하되며 이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즉, 보호커버(60)에 형성된 유입공(61)과 배출공(62)이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50)를 냉각시키고 배출공(6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공기의 일부는 냉각팬(52)의 흡입력에 의해 다시 유입공(61)을 통해 모터(50)가 설치된 보호커버(60)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이 때, 유입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따뜻한 공기이므로 모터(50)의 냉각성능이 저하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모터(50)에 권선된 코일(미도시)이 소손되어 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입공과 배출공이 형성된 보호커버의 외측면에 이들을 구획하는 판상의 차단부재를 설치하여 배출공을 배출된 공기가 유입공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모터의 냉각성능과 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컨백션 전자렌지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컨백션 전자렌지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본체 11..후면판 20..조리실 30..도어
40..덕트 41..송풍팬 50..모터 51..회전축
52..냉각팬 60..보호커버 61..유입공 62..배출공
70..차단부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 조리실에 열을 발산하는 전기히터봉, 조리실의 후방에 설치되어 조리실의 공기를 대류시키는 송풍팬, 송풍팬을 구동하는 회전축이 마련된 모터, 회전축에 마련되어 모터를 냉각시키는 냉각팬, 본체후방에 모터를 감싸도록 마련된 보호커버, 보호커버의 중심부와 테두리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냉각팬의 흡입력에 의해 외기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과 모터를 냉각시킨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을 갖춘 전자렌지에 있어서,
보호커버의 외측에는 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공기가 유입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컨백션 전자렌지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는 보호커버의 외부에 마련된 차단부재를 제외하고는 종래의 구성요소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명칭과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는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는 본체(10) 내부에 전면이 개구된 조리실(20)과 이를 개폐하는 도어(30)가 마련되어 있다. 조리실(20)은 고주파가 조사되어 피조리물이 조리되는 곳으로, 턴테이블 방식의 조리접시(21)가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발산하는 전기히터봉(22)이 설치된다.
본체(10)를 이루는 후면판(11)에는 다수의 토출공(12)과 흡입공(13)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천공되어 있고, 이를 통해 전기히터봉(22)에서 발생되는 열을 강제대류시키는 송풍팬(41)이 후면판(11)의 후방에 설치된다. 즉, 후면판(11)의 외부에는 그 내부에 송풍팬(41)이 설치된 덕트(40)가 설치되어 있고, 흡입공(13)과 토출공(12)을 통해 덕트(40)의 내부는 조리실(20)과 연통된다. 한편, 송풍팬(41)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50)와 회전축(51)이 구성되는데, 모터(50)는 덕트(40)의 외부에 설치되고, 회전축(51)의 일단부가 덕트(40)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송풍팬(4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모터(50)와 덕트(40)사이의 회전축(51)에는 모터(50)를 냉각시키는 냉각팬(52)이 설치되고, 이러한 모터(50)와 냉각팬(52), 덕트(40) 등을 감싸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커버(60)가 마련되는데, 이것은 중심부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성형되며 테두리 부분이 후면판(11)에 결합된다. 보호커버(60)의 중심부에는 냉각팬의(52) 회전 흡입력에 의해 외기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다수의 유입공(61)이 형성되어 있고, 보호커버(60) 내부로 유입되어 모터(50) 등을 냉각시킨 공기가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공(62)이 테두리부분에 천공되어 있다.
또한 보호커버(60) 외측면에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로 사각 판상의 차단부재(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배출공(62)을 통해 배출된 공기가 유입공(61)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차단부재(70)의 중심부는 중공되어 있어서 보호커버(60)의 돌출된 중심부에 결합되고 끝단부는 외향 연장되게 마련된다. 즉, 이의 중심부분이 유입공(61)과 배출공(62) 사이에 결합되어 있어서, 보호커버(60) 외부에서 유입공(61)과 배출공(62)을 구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피조리물을 조리접시(21)에 놓고 도어(22)를 닿은 후 전자렌지를 작동시키면, 마그네트론(미도시)에서 조사되는 기본파 2450 MHz의 고주파가 조리실(20)로 방사되어 피조리물에 함유된 분자배열이 순간적으로 반복 변환되면서 이들의 마찰열에 의해 조리가 수행된다. 아울러 전기히터봉(22)에서 열이 발생함과 동시에 모터(50)가 작동하여 송풍팬(41)이 회전함으로써, 조리실(20)내의 공기가 흡입공(13)을 통해 흡입되어 덕트(40)에 의해 상방으로 안내된 후 토출공(12)을 통해 다시 조리실(20)내부로 토출된다. 이 때, 토출되는 공기는 전기히터봉(22)에서 발생되는 열을 대류시킴으로써, 피조리물은 전기히터봉(22)에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도 조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송풍팬(41)과 함께 모터(50)와 덕트(40) 사이에 마련된 냉각팬(52) 역시 회전하여 모터(50)를 냉각시킨다. 즉, 냉각팬(52)의 흡입력에 의해 보호커버(60)의 중심부에 형성된 유입공(61)을 통해 외기의 공기가 유입되며, 모터(50)를 지나면서 이를 냉각시킨다. 그리고 모터(50)를 냉각하여 따뜻해진 공기는 보호커버(60)의 테두리부분에 형성된 배출공(62)을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배출된 공기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작용으로 차단부재(70)에 의해 유입공(61)을 통해 보호커버(60) 내부로 다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차단부재(70)는 보호커버(60) 외부에서 유입공(61)과 배출공(62)을 구획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공(62)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차단부재(70)에 의해 본체(10) 외측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냉각팬(52)의 흡입력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는 항상 실온의 공기가 유입되어 모터(50)의 냉각성능이 향상된다. 결국, 모터(50)가 과열되는 것이 방지되어 이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는 모터와 냉각팬을 감싸며 중심부에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공과 테두리부분에 배출공이 형성된 보호커버의 외부에 유입공과 배출공을 구획하는 차단부재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모터를 냉각시킨 후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공기가 차단부재에 의해 유입공으로 재유입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모터의 냉각성능과 이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내부에 조리실(20)이 형성된 본체(10), 상기 조리실(20)에 열을 발산하는 전기히터봉(22), 상기 조리실(20)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20)의 공기를 대류시키는 송풍팬(41), 상기 송풍팬(41)을 구동하는 회전축(51)이 마련된 모터(50), 상기 회전축(51)에 마련되어 상기 모터(50)를 냉각시키는 냉각팬(52), 상기 본체(10)후방에 상기 모터(50)를 감싸도록 마련된 보호커버(60), 상기 보호커버(60)의 중심부와 테두리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냉각팬(52)의 흡입력에 의해 외기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61)과 상기 모터(50)를 냉각시킨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62)을 갖춘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60)의 외측에는 상기 배출공(62)을 통해 배출된 공기가 상기 유입공(6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재(7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70)는 중심부가 중공되어 상기 유입공(61)과 상기 배출공(62) 사이에 결합되며 선단부가 외부로 연장된 판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랜지.
KR2019960031191U 1996-09-24 1996-09-24 전자렌지 KR199800178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191U KR19980017803U (ko) 1996-09-24 1996-09-24 전자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191U KR19980017803U (ko) 1996-09-24 1996-09-24 전자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803U true KR19980017803U (ko) 1998-07-06

Family

ID=53977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1191U KR19980017803U (ko) 1996-09-24 1996-09-24 전자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780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8505A (en) Microwave oven with upwardly directed air discharge duct
KR100858721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
KR0120669Y1 (ko) 강제대류식 전자렌지의 모터보호덮개
US6127666A (en) Cooling device for halogen lamp in microwave ovens
KR100395559B1 (ko) 히터를 가지는 전자렌지
KR100402587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JP2004077107A (ja) 電子レンジ
KR19980017803U (ko) 전자렌지
KR100395929B1 (ko) 강제 대류식 전자렌지
KR100633173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구조
JP3304660B2 (ja) ターンテーブルつき加熱調理器
JP2001311519A (ja) 加熱調理器
CN216114183U (zh) 烹饪装置
KR100390490B1 (ko) 전자렌지의 히팅장치
JP2000161671A (ja) 加熱調理器
KR100762336B1 (ko) 멀티 도어형 전자레인지
KR100303534B1 (ko) 전자렌지
KR200194091Y1 (ko) 전자레인지의 배기덕트구조
KR900006881B1 (ko) 고주파 가열장치
KR200157111Y1 (ko) 전자렌지의 마이크로파방사장치
KR20060082258A (ko) 전기오븐
KR20060037664A (ko) 전자 레인지
KR100671832B1 (ko) 전자렌지의 배기구조
CN116234446A (zh) 烤箱
KR19990033665A (ko) 전자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