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5577U - 공급롤러 표면의 잔류토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공급롤러 표면의 잔류토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5577U
KR19980015577U KR2019960028813U KR19960028813U KR19980015577U KR 19980015577 U KR19980015577 U KR 19980015577U KR 2019960028813 U KR2019960028813 U KR 2019960028813U KR 19960028813 U KR19960028813 U KR 19960028813U KR 19980015577 U KR19980015577 U KR 199800155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roller
photosensitive drum
residual toner
supply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88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남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288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5577U/ko
Publication of KR199800155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577U/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handling means after the developing zone and before the supply, e.g. developer recovering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onor member, e.g. surface propert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현상롤러에 토너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공급롤러의 눈메움 현 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급롤러 표면의 잔류토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공급롤러의 눈메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급롤러 표면의 잔류토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공급롤러의 표면에 쌓인 잔류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청소부의 일측면에 상기 잔류토너가 현상기-프레임 바닥면에 적체되지 않고 상기 교반기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1개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Description

공급롤러 표면의 잔류토너 제거 장치.
본 고안은 레이져 프린터, 복사기, 일반용지 팩시밀리등의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상롤러에 토너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공급롤러의 눈메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급롤러 표면의 잔류토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공급롤러의 표면에 쌓인 잔류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없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일정한 주속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18)과, 상기 감광드럼(18)의 상부면 일측에는 감광드럼(18) 표면에 전기적으로 전하층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대전롤러(16)가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18)의 상부 타측에는 전기적으로 대전된 상기 감광드럼(18)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노광부(20)가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18)의 하부에는 상기 감광드럼(18) 표면에 형성된 토너(30a)를 기록용지(36)상에 전사시키는 전사롤러(34)가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18)의 일측에는 상기 감광드럼(18)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상기 토너(30a)를 현상시키는 현상롤러(22)가 설치된다. 상기 현상롤러(22)의 상부에는 상기 현상롤러(22) 표면에 형성된 토너(30a)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독터-블레이드(24)가 설치된다.
상기 현상롤러(22)의 일측에는 교반된 토너(30a)를 현상롤러(22) 측으로 공급하고 상기 감광드럼(18)상에 정전잠상을 가시상으로 만들고 남은 잔류토너(30b)를 상기 현상롤러(22)에서 회수하는 공급롤러(32)가 설치된다. 상기 공급롤러(32)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토너(30a)를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교반시키는 교반기(26)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인쇄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현상기-프레임(28)의 상단부에 형성된 토너적재부에 토너(30a)가 공급되어지면, 상기 토너(30a)는 교반기(26)에 의해 교반되어져 마찰에 의한 정전기를 발생하게 되어 일정 전하를 가지게 된다. 그후, 상기 교반된 토너(30a)는 공급롤러(32)에 의해 현상롤러(22) 측으로 공급되어지며, 상기 현상롤러(22) 표면에 형성된 토너(30a)는 독터-블레이드(24)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되어 진다.
그후, 대전롤러(16)의 전기적 작용에 의해 감광드럼(18)의 표면은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후, 상기 감광드럼(18) 표면에서 대전된 부분은 노광부(20)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받아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은 정전잠상이 형성되어진다. 그후, 상기 감광드럼(18)의 정전잠상은 상기 현상롤러(22)를 지나는 동안 토너(30a)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된다.
그후, 카세트에 장착된 기록용지(36)가 픽업롤러에 의해 전사롤러(34) 측으로 급지되어진다. 그후, 상기 전사롤러(34)의 고압작용으로 인해 상기 감광드럼(18) 표면에 형성된 토너(30a)의 전량이 기록용지(36)상으로 전사되어진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36)는 이송되어져 정착부의 히팅롤러와 압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 열과 압력에 의해 기록용지(36)면에 상(image)이 정착되어 인쇄된 용지가 스태커 측으로 이송되어 원하는 인쇄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공급롤러(32)는 상기 감광드럼(18)상에 정전잠상을 가시상으로 만들고 남은 잔류토너(30b)를 상기 현상롤러(22)로 부터 회수한다.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시 상기 현상롤러(22)에 토너(30a)를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감광드럼(18)상에 정전잠상을 가시상으로 만들고 남은 잔류토너(30b)를 상기 현상롤러(22)에서 크리닝(cleaning)하여 회수하는 공급롤러(32)는 스폰지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현상롤러(22)의 표면과 밀착되어 마찰 대전하기 때문에 상기 잔류토너(30b)가 스폰지 재질의 공급롤러(32)의 구멍속에 틀어박혀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고화되어서(즉, 눈메움 현상) 상기 공급롤러(32)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으며, 이로인해 기록용지(36)상에 형성된 화상에 백-그라운드(back ground) 현상이 나타나며, 또한 토너(30a)의 농도 불균일 현상으로 인해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공급롤러의 눈메움 현상(공급롤러의 구멍속에 틀어박혀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고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급롤러 표면의 잔류토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상상의 백-그라운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급롤러 표면의 잔류토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토너의 대전 및 좌 우 농도차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공급롤러 표면의 잔류토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시킬 수 있는 공급롤러 표면의 잔류토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잔류토너와 토너를 골고루 균일하게 교반시킬 수 있는 공급롤러 표면의 잔류토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한 주속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롤러와, 상기 감광드럼상의 정전잠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롤러와, 토너를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교반시키는 교반기와, 상기 교반기에 의해 교반된 토너를 공급하고 상기 감광드럼상에 정전잠상을 가시상으로 만들고 남은 잔류토너를 상기 현상롤러에서 회수하는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의 표면에 쌓인 잔류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청소부와, 상기 청소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잔류토너가 현상기-프레임 바닥면에 적체되지 않고 상기 교반기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1개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급롤러 표면의 잔류토너 제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청소부12: 구멍
14: 접촉면16: 대전롤러
18: 감광드럼20: 노광부
22: 현상롤러24: 독터-블레이드
26: 교반기28: 현상기-프레임
30a: 토너30b: 잔류토너
32: 공급롤러34: 전사롤러
36: 기록용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급롤러의 표면에 쌓인 잔류토너를 제거할 수 있는 청소장치가 설치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급롤러의 표면에 형성된 잔류토너를 제거할 수 있는 청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일정한 주속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18)과, 상기 감광드럼(18)의 상부면 일측에는 감광드럼(18) 표면에 전기적으로 전하층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대전롤러(16)가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18)의 상부 타측에는 전기적으로 대전된 상기 감광드럼(18)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노광부(20)가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18)의 하부에는 상기 감광드럼(18) 표면에 형성된 토너(30a)를 기록용지(36)상에 전사시키는 전사롤러(34)가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18)의 일측에는 상기 감광드럼(18)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상기 토너(30a)를 현상시키는 현상롤러(22)가 설치된다. 상기 현상롤러(22)의 상부에는 상기 현상롤러(22) 표면에 형성된 토너(30a)를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하는 독터-블레이드(24)가 설치된다. 상기 현상롤러(22)의 일측에는 교반된 토너(30a)를 현상롤러(22) 측으로 공급하고 상기 감광드럼(18)상에 정전잠상을 가시상으로 만들고 남은 잔류토너(30b)를 상기 현상롤러(22)에서 회수하는 공급롤러(32)가 설치된다.
상기 공급롤러(32)의 일측면에는 상기 공급롤러(32)의 표면에 쌓인 잔류토너(30b)를 제거하여 눈메움 현상(공급롤러의 구멍속에 틀어박혀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고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청소부(10)가 현상기-프레임(28)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청소부(32)는 상기 공급롤러(32)의 표면과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하기 위해 탄성체 재질로 형성되고, 또는 상기 청소부(10)는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공급롤러(32) 표면의 잔류토너(30b)를 제거하기 위해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부(10)는 상기 현상기-프레임(28)과 일체형인 몰드물(mold)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청소부(10)의 일측면에는 상기 공급롤러(32)로 부터 수거된 상기 잔류토너(30b)가 현상기-프레임(28)의 바닥면에 적체되지 않고 상기 교반기(26)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1개 이상의 구멍(12)이 형성된다.
상기 공급롤러(32)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토너(30a)를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교반시키는 교반기(26)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프레임(28)의 상단부에 형성된 토너적재부에 토너(30a)가 공급되어지면, 상기 토너(30a)는 교반기(26)에 의해 교반되어져 마찰에 의한 정전기를 발생하게 되어 일정 전하를 가지게 된다. 그후, 상기 교반된 토너(30a)는 공급롤러(32)에 의해 현상롤러(22) 측으로 공급되어지며, 상기 현상롤러(22) 표면에 형성된 토너(30a)는 독터-블레이드(24)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균일하게 규제되어 진다.
그후, 대전롤러(16)의 전기적 작용에 의해 감광드럼(18)의 표면은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후, 상기 감광드럼(18) 표면에서 대전된 부분은 노광부(20)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받아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은 정전잠상이 형성되어진다. 그후, 상기 감광드럼(18)의 정전잠상은 상기 현상롤러(22)를 지나는 동안 토너(30a)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된다.
그후, 카세트에 장착된 기록용지(36)가 픽업롤러에 의해 전사롤러(34) 측으로 급지되어진다. 그후, 상기 전사롤러(34)의 고압작용으로 인해 상기 감광드럼(18) 표면에 형성된 토너(30a)의 전량이 기록용지(36)상으로 전사되어진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36)는 이송되어져 정착부의 히팅롤러와 압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 열과 압력에 의해 기록용지(36)면에 상(image)이 정착되어 인쇄된 용지가 스태커 측으로 이송되어 원하는 인쇄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공급롤러(32)는 상기 감광드럼(18)상에 정전잠상을 가시상으로 만들고 남은 잔류토너(30b)를 상기 현상롤러(22)로 부터 회수한다. 그후, 상기 공급롤러(32)의 표면에 쌓인 잔류토너(30b)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청소부(10)에 의해 제거되어진다. 그후, 상기 청소부(10)에 의해 제거된 잔류토너(30b)는 현상기-프레임(28)의 바닥면에 계속해서 쌓이게 된다. 그후, 상기 잔류토너(30b)가 일정량 이상 쌓이게 되면, 상기 잔류토너(30b)는 청소부(11)의 일면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12)을 통하여 교반기(26) 측으로 이동되어져 상기 일반 토너(30a)과 골고루 균일하게 교반되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급롤러 표면의 잔류토너 제거 장치는 공급롤러의 일측면에 청소부를 설치하므로서 상기 공급롤러 표면의 구멍에 회수된 잔류토너가 쌓이는 현상인 눈메움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기록용지상에 형성된 화상에 백-그라운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토너의 대전 및 좌 우 농도차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일정한 주속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롤러와, 상기 감광드럼상의 정전잠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롤러와, 토너를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교반시키는 교반기와, 상기 교반기에 의해 교반된 토너를 공급하고 상기 감광드럼상에 정전잠상을 가시상으로 만들고 남은 잔류토너를 상기 현상롤러에서 회수하는 공급롤러를 구비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롤러(32)의 일측에는 상기 공급롤러(32)의 표면에 쌓인 잔류토너(30b)를 제거하기 위한 청소부(1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롤러 표면의 잔류토너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10)와 공급롤러(32)는 서로 접촉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롤러 표면의 잔류토너 제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10)는 상기 공급롤러(32)와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하기 위해 탄성체 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롤러 표면의 잔류토너 제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10)는 현상기-프레임(28)과 일체형인 몰드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롤러 표면의 잔류토너 제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10)는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공급롤러(32) 표면의 잔류토너(30b)를 제거하기 위해 금속 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롤러 표면의 토너층 두께 규제 장치.
  6. 일정한 주속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롤러와, 상기 감광드럼상의 정전잠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롤러와, 토너를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교반시키는 교반기와, 상기 교반기에 의해 교반된 토너를 공급하고 상기 감광드럼상에 정전잠상을 가시상으로 만들고 남은 잔류토너를 상기 현상롤러에서 회수하는 공급롤러로 구성되어진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롤러(32)의 일측면에는 상기 공급롤러(32)의 표면에 쌓인 잔류토너(30b)를 제거하기 위한 청소부(10)가 현상기-프레임(28)에 설치되며, 상기 청소부(10)의 일측면에는 상기 잔류토너(30b)가 현상기-프레임(28) 바닥면에 적체되지 않고 상기 교반기(26)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1개 이상의 구멍(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롤러 표면의 잔류토너 제거 장치.
KR2019960028813U 1996-09-10 1996-09-10 공급롤러 표면의 잔류토너 제거장치 KR199800155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813U KR19980015577U (ko) 1996-09-10 1996-09-10 공급롤러 표면의 잔류토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813U KR19980015577U (ko) 1996-09-10 1996-09-10 공급롤러 표면의 잔류토너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577U true KR19980015577U (ko) 1998-06-25

Family

ID=53975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8813U KR19980015577U (ko) 1996-09-10 1996-09-10 공급롤러 표면의 잔류토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557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1631A (en) Vertically oriented photoconductive drum
CN101187798B (zh) 清洁装置和成像装置
KR0174689B1 (ko) 현상롤러의 고스트 방지장치
KR200257332Y1 (ko) 화상형성장치의클리닝블레이드
KR19980021698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 장치
KR19980015577U (ko) 공급롤러 표면의 잔류토너 제거장치
JP3320954B2 (ja) 電子写真装置の作像プロセスユニット
KR100636214B1 (ko) 정전기가 제전되는 화상형성장치
KR19980056525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200144674Y1 (ko) 현상롤러의 토너층 두께 규제장치
KR19980051634A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KR200318540Y1 (ko) 화상형성부의 롤러 클리닝 장치
KR100243237B1 (ko) 전사사진방식프린터용현상기
KR19990000831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롤러 클리닝장치
KR19990020320A (ko) 전자사진 프로세스의 대전장치
KR19980049484U (ko) 도전성 재질이 부착된 공급롤러
KR200158212Y1 (ko) 독터 블레이드 청소장치
KR200186329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KR19980067300U (ko) 화상형성장치의 대전롤러 오염 방지장치
KR19980077407A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전사롤러 청소장치
KR19990040037U (ko) 현상기의 토너 공급장치
KR19980064075U (ko) 현상기의 토너 대전향상장치
KR19980057096U (ko) 현상롤러의 토너층 두께 규제장치
KR19990029330U (ko) 화상형성장치의 대전롤러 오염 방지장치
KR19980036478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