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5070U - 운동화의 완충구조 - Google Patents

운동화의 완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5070U
KR19980015070U KR2019960028276U KR19960028276U KR19980015070U KR 19980015070 U KR19980015070 U KR 19980015070U KR 2019960028276 U KR2019960028276 U KR 2019960028276U KR 19960028276 U KR19960028276 U KR 19960028276U KR 19980015070 U KR19980015070 U KR 199800150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sneaker
sliders
buffer structu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8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대복
Original Assignee
위대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대복 filed Critical 위대복
Priority to KR2019960028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5070U/ko
Publication of KR199800150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070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ith metal spring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동화의 완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동화의 저면에 스프링이 내장된 다수의 지지본체(3)에 슬라이더(20)를 설치하므로서, 보행자가 보행시 상기 슬라이더와 스프링의 완충작동으로 피로를 느끼지 않게 하여 과격한 운동이나 장시간 보행시에도 발바닥이나 다리에 피로를 느끼지 않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운동화의 완충구조
본 고안은 운동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동화의 바닥에 완충역할을 할 수 있는 슬라이더를 설치하여 보행시 발바닥과 다리에 피로감을 최소화한 운동화의 완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운동화에 관한 것이고, 특히 운동화의 저면에 설치된 완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용으로 사용하는 각종 신발종류에는 구두나 운동화 및 각종 센달류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특히 운동화는 주로 등산이나 운동중에 사용하는 것으로 구보등과 같이 운동량이 과격하거나 많은 경우 사용되어져 운동화를 신고 사용하는 보행자는 상기와 같이 많은 운동량과 과격한 보행으로 이하여 발과 다리에 쉽게 피로감이 느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운동화는 주로 두꺼운 쿳션재를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바닥의 중간층에 에어를 주입하여 사용하는 운동화등과 같은 많은 종류의 완충구조가 제공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완충구조는 단시간 사용하기 에는 효과가 있지만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발과 다리에서 느끼는 충격력을 충분히 해소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운동화의 바닥에 완충역할을 할 수 있는 슬라이더를 설치하여 보행시 발바닥과 다리에 피로감을 최소화한 운동화의 완충구조에 관한 것을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화의 저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화의 일부절개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화전방에 형성된 완충구조의 확대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화후방에 형성된 완충구조의 확대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구두저면에 설치된 완충구조를 도시한 일부절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10b, 10c : 슬라이더 작동홈12, 12a, 12b, 12c : 지지턱
20,20a, 20b, 20c : 슬라이더22, 22a, 22b, 22c : 걸림턱
30, 30a, 30b, 30c : 스프링40, 40a, 40b, 40c : 완충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운동화(1)의 지지본체(3, 3a) 내부로 슬라이더 작동홈(10, 10a)과 하단에 지지턱(12, 12a)을 형성하고, 이 슬라이더 작동홈(10, 10a)에는 걸림턱(22, 22a)이 형성된 슬라이더(20, 20a)를 스프링(30, 30a)으로 탄력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화의 저면사시도로서, 상기 운동화(1)의 저면으로 바닥(2)이 형성되고 바닥(2)의 전방으로는 저면에 완충재(40)가 부착되는 다수의 슬라이더(20)가 설치된 지지본체(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본체(3)는 비교적 힘의 발생이 많은 운동화(1)의 바같방향으로 더 많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운동화(1)의 후방으로는 저면에 완충재(40a)가 부착되는 다수의 슬라이더(20a)가 설치된 지지본체(3a)가 형성되어 있다.
도3과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화의 전방과 후방에 형성된 완충구조의 확대단면도로서, 상기 지지본체(3, 3a)에 슬라이더(20, 20a)가 작동될 수 있는 슬라이더 작동홈(10, 10a)과 상기 슬라이더(20, 20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턱(12, 12a)이 각각 형성되고 있다.
상기 슬라이더(20, 20a)의 상부에는 슬라이더 작동홈(10, 10a)의 지지턱(22, 22a)에 지지되는 걸림턱(22, 22a)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더(20, 20a)는 슬라이더 작동홈(10, 10a)에 스프링(30, 30a)으로 탄력지지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발바닥은 지면과 직접 접하는 면이 부분적으로 한정되어 있고 이 한정된 발바닥의 모양에 따라 각 지지본체(3, 3a)에 내장된 각 스프링(30, 30a)의 탄성력은, 상기 발바닥이 각 지면과 접하는 정도에 따라 탄성력의 차이를 두어 지면에서 느끼는 힘이 골고루 분산되게 하므로 장시간 사용하게 되도 사용자의 발바닥과 다리에 피로감을 최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는 구두의 저면에 설치된 완충구조를 도시한 일부절개 단면도로서, 지지본체(3b, 3c)에 슬라이더(20b, 20c)가 작동될 수 있는 슬라이더 작동홈(10b, 10c)과 상기 슬라이더(20b, 20c)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턱(12b, 12c)이 각각 형성되고 있다.
상기 슬라이더(20b, 20c)의 상부에는 슬라이더 작동홈(10b, 10c)의 지지턱(22b, 22c)에 지지되는 걸림턱(22b, 22c)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더(20b, 20c)는 슬라이더 작동홈(10b, 10c)에 스프링(30b, 30c)으로 탄력지지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운동화(1)를 착용한 상태에서 발바닥이 지면에 닿을 때에는 우선 뒷굼치가 먼저 닿게 되는 데, 이때 운동화(1)후방의 지지본체(3a)에 삽입된 다수의 슬라이더(20a)가 슬라이더 작동홈(10c)에 삽입되면서 스프링(30c)을 압축하게 되고 계속하여 몸이 앞으로 쏠리면서 사용자가 발바닥의 전방을 밟게 되면 상기와 같이 지지본체(3)에 삽입된 다수의 슬라이더(20)가 슬라이더 작동홈(10)에 삽입되면서 스프링(30)을 압축하게 되어 사용자는 발바닥이 지면에 닿을 때 적당히 완충되므로 운동화(1)의 착용감이 좋은 것이며, 또한 지면으로부터 발바닥을 떼게 되면 운동화(1)가 상부로 들리면서 상기 각 슬라이더(2, 20a)가 슬라이더 작동홈(10, 10a)에 압축되어 있던 각 스프링(30, 30a) 탄발력에 의해 지지본체(3, 3a)의 외부로 빠져 나오게 되며 이때 슬라이더(20, 20a)는 걸림턱(22, 22a)에 의해 상기 지지본체(3, 3a)의 지지턱(12, 12a)에 걸리게 되므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각 슬라이더(20, 20a)가 보행시 지면에 닿는 순간 스프링(30, 30a)의 탄성동작으로 발바닥과 지면과의 충격을 최소한으로 보호해 주는 것이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구두를 착용하고 사용하게 되도 각 슬라이더(20b, 20c)와 스프링(30b, 30c)의 상호작용으로 완충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운동화의 저면에 다수의 스프링이 내장된 슬라이더를 지지본체에 설치하여 사용자의 발바닥이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최소한으로 줄여주므로서, 과격한 운동이나 장시간 보행시에도 발바닥이나 다리에 피로를 느끼지 않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

  1. 바닥(2)에 지지본체(3, 3a)가 형성된 운동화(1)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3, 3a)내부로 슬라이더 작동홈(10, 10a)과 하단에 지지턱(12, 12a)을 형성하고 이 슬라이더 작동홈(10, 10a)에는 걸림턱(22, 22a)이 형성된 슬라이더(20, 20a)를 스프링(30, 30a)으로 탄력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화의 완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구두(4)에 뒷굽(50)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구두 전방저면의 지지본체(3b)와 뒷굽(5)내부로 슬라이더 작동홈(10b, 10c)과 하단에 지지턱(12b, 12c)을 형성하고 이 슬라이더 작동홈(10b, 10c)에는 걸림턱(22b, 22c)이 형성된 슬라이더(20b, 20c)가 스프링(30b, 30c)으로 탄력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화의 완충구조.
KR2019960028276U 1996-09-05 1996-09-05 운동화의 완충구조 KR199800150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276U KR19980015070U (ko) 1996-09-05 1996-09-05 운동화의 완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276U KR19980015070U (ko) 1996-09-05 1996-09-05 운동화의 완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070U true KR19980015070U (ko) 1998-06-25

Family

ID=53975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8276U KR19980015070U (ko) 1996-09-05 1996-09-05 운동화의 완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507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441B1 (ko) * 2008-09-26 2012-05-04 주식회사 스마트워크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441B1 (ko) * 2008-09-26 2012-05-04 주식회사 스마트워크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771B1 (ko) 접선방향으로 변형가능한 밑창
US5649374A (en) Combined resilient sole of a shoe
US5937544A (en) Athletic footwear sole construction enabling enhanced energy storage, retrieval and guidance
KR100887625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이루어지는 탄성바닥재 및 이를구비한 신발
KR20190013189A (ko) 다중경도 힐 쿠션을 구비한 신발용 인솔
KR100872865B1 (ko) 충격완화 탄성신발
KR100518307B1 (ko) 신발
KR20140104210A (ko) 충격 흡수용 신발 밑창 및 그 제조 방법
WO2001017384A2 (en) Outsole of footwear
KR100825433B1 (ko)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밑창 구조
KR101933660B1 (ko) 전후방 탄성체 미드솔
KR19980015070U (ko) 운동화의 완충구조
KR19980058063U (ko) 쿠션신발창
KR19990069793A (ko) 신발의 쿠션완충장치
KR200398041Y1 (ko) 신발 중창
KR200427366Y1 (ko) 아치형 지지부를 갖는 충격완충용 샌들
KR200237469Y1 (ko) 충격흡수력과 지압기능을 가지는 신발 중간창
KR200376979Y1 (ko) 신발용 바닥판
KR200265533Y1 (ko) 완충용구두뒤창구조
KR200239041Y1 (ko) 충격흡수력과 지압기능을 가지는 신발
CN218185526U (zh) 一种气垫减震鞋底
KR910001789Y1 (ko) 신발중창
JPH02114904A (ja)
CN210960627U (zh) 一种缓冲减震鞋底
KR200364786Y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충격흡수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