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4996A - 응급처리용 광접속함 - Google Patents

응급처리용 광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4996A
KR19980014996A KR1019960034203A KR19960034203A KR19980014996A KR 19980014996 A KR19980014996 A KR 19980014996A KR 1019960034203 A KR1019960034203 A KR 1019960034203A KR 19960034203 A KR19960034203 A KR 19960034203A KR 19980014996 A KR19980014996 A KR 19980014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fiber
tray
connection box
emergency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4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복
이현준
Original Assignee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준
Priority to KR1019960034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4996A/ko
Publication of KR19980014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996A/ko

Links

Landscapes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급처리용 광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자연재해나 광케이블 포설 공사시의 사고 등을 광케이블이 절단되었을 경우 빠른 시간내에 복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광섬유 접속함체로서, 그 외측에는 무게가 가벼워 휴대가 용이하고 내부에 분리된 광섬유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내부 구성부품들을 수용하는 상하 외부함체가 위치하고, 상기 상하 외부함체 내에는 광케이블의 인장선을 이용하여 광케이블 외피를 고정시키는 하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의 상부에 장착되어 광섬유를 결착시키는 광접속자가 안착되는 광접속자 결착부 및 상기 결착된 광섬유의 잔여 길이를 여장처리하도록 지지대가 구비되어 있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를 하부기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트레이 덮개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별도의 다른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빠른 시간내에 절단된 광섬유를 연결시켜 광케이블 절단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응급처리용 광접속함
본 발명은 응급처리용 광접속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연재해나 상수도 복구나 하수도 설치 등의 타공사 등에 의하여 광케이블이 절단되었을 때 빠른 시간내에 복구할 수 있도록 외부함체 내에 광섬유 결착을 위한 내부 구성부재를 구비하여 광케이블 절단으로 인한 많은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응급처리용 광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케이블의 포설량이 점점 증가하는 실정에서 부주의한 공사나 자연재해 등으로 인하여 광케이블이 절단되는 사고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광케이블의 절단은 많은 데이타를 전송하고 있는 광케이블의 역할이 일시에 중단되게 되는 것이므로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매우 큰 피해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광케이블 절단시 절단된 광케이블을 복구할 수 있는 대첵 또는 장비 등이 제대로 구비되어 있지 않아 광케이블 복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로 인한 데이타 전송 중단으로 결국 사회적, 경제적으로 많은 피해를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외측에 위치한 상하 외부함체와, 상기 상하함체 내부에 절단된 광섬유의 결합을 위한 다수개의 내부 구성부재들을 구비하여 별도의 다른 공구없이 간단한 장비만으로도 용이하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하여 광섬유 접속시간을 최소화시키고 광케이블 절단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가 가능한 응급처리용 광접속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광케이블 절단시 본 발명에 따른 응급처리용 광케이블 접속함이 설치되는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처리용 광접속함의 내부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상부함체를 제거한 광접속함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처리용 광접속함의 결착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리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 하부기판과 트레이의 결착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케이블 클립의 사시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처리용 광접속함에 외부 구조물에 결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상부함체2:하부함체
3:그로메트(Gromet)4:볼트
5:하부기판6:트레이(Tray)
7:트레이 덮개8:트레이 고정너트
9:케이블 클립10:인장선 지지대
11:고리12:벽설치 고리형 경칩
13:광케이블14:광섬유
15:인장선16:결착핀
17:관통공18:측면 지지대
19:전후방 지지대20,22:보호커버
23:광섬유 접속자24:지지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응급처리용 광접속함에 의하면, 자연재해 또는 케이블 포설공사시 사고로 인해 절단된 광케이블을 응급으로 복구시키기 위한 응급처리용 광섬유 접속함에 있어서, 최하부 및 최상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절단된 광섬유를 연결시키기 위한 내부 구성부품들을 수용하고, 외측면에 부착된 결착부재에 외부구조물 등에 고정이 되는 상부 및 하부함체와; 상기 최하부에 위치한 하부함체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부면에 연결하고자 하는 광케이블의 외피를 케이블 클립에 의해 양측면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하부 기판과; 상기 하부기판상에 고정된 절단된 광케이블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이격된 위치에 삽입되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그로메트와; 상기 하부기판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하부기판상에 고정된 광케이블의 양측단부로부터 인출된 광섬유를 연결하는 광섬유 접속자가 안착될 수 있는 광접속자 결착부가 내측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분리된 다수개의 광섬유가 광접속자에 의해 연결된 후, 허용곡률반경 범위내에서 여장처리되도록 상부에 원형의 지지대를 구비한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서 트레이를 하부기판상에 고정시키는 트레이 덮개와; 상기 트레이 덮개를 고정하는 결착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1은 광케이블 절단시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접속함이 설치되는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광케이블(13)이 절단되어 분리된 위치에 본 발명의 응급처리용 광접속함(50,50')이 두개 설치되되, 상기 두개의 광접속함(50,50')간에는 별도의 준비된 다른 광케이블(13')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분리된 상태의 케이블(13) 내에 수용되는 있는 광섬유(14)들은 상기 두개의 광접속함(50,50')내에 마련된 접속단에 각각 결착됨으로써 상호 연결되어 복구가 이뤄진다.
이때, 상기 두개의 광접속함(50,50')의 사이에 연결되는 광케이블(13')내에는 일정한 수의 광섬유가 수용되어 있어 복구시 필요한 광섬유의 개수만큼을 적절히 연결시킴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처리용 광접속함의 내부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상부함체를 제거한 광접속함의 평면도로서, 광접속함내에 절단된 광섬유가 결착되어 여장처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는 분리된 광케이블(13)로부터 나온 광섬유들(14)과 광접속함(50,50')간에 설치된 광케이블(13')로부터 나온 광섬유들(14')이 광섬유 접속자(23)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접속된 광섬유의 전체길이를 허용곡률범위내에서 광접속함(50)내의 트레이(6)내에 여장처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처리용 광접속함(50,50')을 구성하는 내부 구성부재들을 도시하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응급처리용 광접속함(50)은 크게 두개의 상부 및 하부외부함체(1,2)와, 상기 외부함체(1,2) 내부에 구비되며 절단된 광케이블(13)을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는 다수의 내부 구성부품들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함체(2)의 하단 상단 부분에는 기판(5)이 장착되고 상기 기판(5) 상부에는 다시 트레이(6)와 케이블 그립(9)이 부착된다.
또한 광섬유 접속자(도 2의 23)와 광섬유(14)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트레이(6)의 상부에 트레이 덮개(7)가 구비되고, 상기 트레이 덮개(7)는 트레이 고정너트(8)에 의해 하부기판(5)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응급처리용 광접속함(50,50')의 최상부와 최하부에 위치한 상기 상하 외부함체(1,2)는 내충격성, 내압착성 등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재질 예컨대, 두랄루민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여 무게가 가볍고 휴대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외부함체(1,2)의 크기를 되도록 소형화하여 운반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상하 외부함체(1,2)의 결착은 내부에 절단된 광섬유를 결착시키는 작업이 완료된 후에 이뤄지게 되며, 체결수단인 볼트(4)를 이용하되, 볼트(4)의 광접속함(50)의 조립시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가능한 최소의 수가 되도록 하여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체결볼트(4)를 렌치볼트 등으로 하여 결합과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하 외부함체(1,2)의 외부모형을 유선형으로 하여 외부충격 등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응급처리용 광접속함(50,50')의 내부에는 절단된 광케이블의 광섬유들을 용이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내부구성부품들이 수용되어진다.
한편, 상기 광접속함 하부함체(2)의 최하부에 위치한 하부기판(5)은 광접속함의 하부함체(2) 내측치수보다 동일하거나 작게 하여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광접속함의 하부함체(2)의 외부에서 광섬유를 접속 및 정렬한 후 함체(2)와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하부기판(5)은 무게가 가벼운 재질 예컨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계열로 형성하여 무게를 가볍게 함과 아울러, 외부충격에 대해서도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판(5)의 상부에는 케이블 그립(9)과 트레이(6) 등이 부착될 수 있게 한다.
하부함체(2) 내부에 위치한 인장선 지지대(도 4의 10)는 힘이 받는 평행선상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각 부품은 기판(5)상에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구성되게 한다.
특히 상기 트레이(6)는 2단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하나의 트레이(6)에 12개의 광섬유 심선이 수용될 수 있어 최대 수용가능한 심선수는 24심이 된다.
하부기판(5)상에 고정되는 케이블 외피(13)에 삽착되는 그로메트(Gromet)(3)는 상하 원형구조로 되어 있고, 상부 및 하부 함체(1,2)의 결합은 4개의 볼트(4)로 체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 하부기판(5)과 트레이(6)의 결착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6)는 분리된 상태의 광케이블(13)의 일측단부가 광케이블(13)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인장선(15)이 하부기판의 인장선 지지대(1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기판(5)의 상부에 결착된다.
이때, 상기 트레이(6)와 하부기판(5)과의 결착은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5)상에 형성되어 있는 결착핀(16)과 트레이(6)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홈(17)에 의해 결착된다.
케이블 클립(9)에 의해 절단된 광케이블(13)의 일측단이 하부기판(5)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6)가 결착되면, 상기 분리된 상태의 케이블(13)로부터 소정길이 절단되어 나온 광섬유(14)는 광섬유 접속자(도 2의 23)에 의해 트레이(6)상에서 용이하게 결착이 이뤄지게 된다.
광섬유(14,14')를 연결시키는 광섬유 접속자(도 2의 23)는 하부기판(15)상에 고정된 광케이블(13)로부터 나온 하나의 광섬유(14)와, 광접속함(50,50')간에 설치된 광케이블(13')로부터 나온 또 다른 강섬유(14')를 양측에서 수용하여 기계적인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개의 광섬유(14,14')들을 각각 접속시킨 접속자(23)는 트레이(6)에 형성된 광접속자 결착부(21)에 수용되어 안착된다.
상기 광접속차(23)에 의해 접속된 광섬유는 트레이(6)에 형성된 지지대(18,19) 내부 둘레로 원형으로 감겨져 허용곡률반경 이상으로 굴곡될 경우 광섬유가 파손될 위험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6)는 광섬유(14,14')를 접속하는 광접속자(23)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저주파 진동에도 손실이 없도록 하부기판(5)상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충분한 보관력이 있도록 하며, 동시에 내부가 최소한의 부피를 갖도록 여장되는 케이블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보관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다른 트레이와 혼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광섬유(14,14')는 물의 침투에 의하여 손실이 발생되므로 방수는 함체 설계시에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문제이기도 하다. 특히 본 발명의 간이 응급처리용 함체(50,50')의 설치장소는 매우 다양하므로 물의 침투로 인한 광섬유의 손실을 막을 수 있도록 확실한 실링(Sealing)을 해야 한다.
실링을 위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그로메트(3)는 광케이블(13,13')의 일측 단부 외측에 설치되어 광접속함(50,50') 상부 및 하부함체(1,2)가 서로 결착되었을 경우, 광접속함(50,50')의 외부로부터 물이나 기타 이물질 등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그로메트(3)는 원형의 형태로 되고 그 외측 원주면상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이물질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또한 트레이(6)의 전방과 후방 및 좌우 측방에는 지지대(18)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지지대(18,19)의 소정 위치에는 지지대(18,19) 측면부로 설치되는 광섬유(14,14')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커버(20,22)가 설치된다. 상기 보호커버(20,22)는 상기 지지대(18,19)의 상부면으로부터 트레이(6) 내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나온 형태로 지지대(18,19) 측면에 설치되는 각 광섬유(14,14')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활을 한다.
도 5는 하부기판(5)상의 양측단에 설치되어 광케이블(13,13')을 고정시키는 케이블 그립(9)의 사시도이다.
상기 케이블 그립(9)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3,13')의 심선에 외부압력을 주지 않고 케이블 외피를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강한 파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내부가 지름방향으로 굴곡이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응급처리용 광접속함(50,50')을 이용하여 분리된 광섬유간의 접속을 위한 접속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광섬유의 접속이 이뤄지는 장소를 작업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보다 청결하게 한다. 즉 바람이나 먼지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텐트 등을 설치하고 작업의 안전을 위해 안전 표지판 등을 설치한다.
다음, 절단된 상태의 광섬유 케이블(13)의 외피를 절단한 후 응급용 광 케이블(13')과 함께 그 접합 단부를 헝겊이나 걸레 등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한다.
그 다음 케이블의 외피를 일정길이 예컨대, 양 케이블(13,13')의 종단부로부터 약 50∼60Cm 정도 탈피한다.
그리고 응급용 접속함체용 그로메트(3)를 상기 양케이블(13,13') 종단부로부터 일정길이 예컨대, 약 65∼70Cm 정도되는 위치에 삽입해 넣는다.
다음, 광섬유 케이블(13)의 외피를 탈피시켜 노출되어 있는 광섬유 인장선(15)의 끝부분에 압착 스리브(미도시)를 끼운 다음 인장선 지지대(10)로 하부 기판(5)상에 견고히 압착시킨다.
다음 케이블 그립(9)를 볼트로 단단하게 조여 광섬유 케이블(13,13')을 하부기판(5)에 고정시킨다.
다음 광케이블(13)로부터 광섬유를 각각 분리하여 부드러운 종이나 알코올 등으로 광섬유에 부착된 젤리를 깨끗이 닦아낸다. 그후 광섬유(14)를 보호하기 위하여 각 유니트의 광섬유(14)를 보호튜브(미도시)에 끼워넣는다.
다음 하부함체(2)의 상부에 광섬유 보호지지판인 트레이(6)를 설치한다.(도 4 참조).
그 다음 트레이(6)상에서 광섬유 접속자(도 2의 23)를 사용하여 광섬유(14,14')를 하나씩 접속시킨다.
상기 광섬유(14,14')의 접속이 이루어진 다음, 트레이(6)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후방 및 측면 지지대(18,19)를 이용하여 광섬유의 여장처리를 한다. 이때 광섬유의 여장은 트레이(6)상에 형성된 지지대(18,19)의 곡률반경을 이용하여 광섬유의 허용곡률반경 범위내에서 않게 잘감아서 여장처리를 한다.
한편, 상기 트레이(6)는 케이블(13)의 광섬유 수에 따라서 트레이(6)를 1개 더 추가시킬 수 있다.
광섬유의 접속이 완료되면 하부기판(5)과 트레이(6)를 동시에 광접속함 하부함체(2)내로 삽입시키고 그 후 다수 상부함체(1)를 덮어 볼트 등을 이용하여 서로 결착시킨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응급처리용 광접속함(50)의 외부 구조물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외부함체(1,2)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설치고리(11)를 이용하여 접속함체 지지봉(24)에 설치하는 경우이다.
상기의 경우는 응급함 접속함체 지지봉(24)을 설치고리(11) 내에 간단히 삽입하여 끼움으로써 본 발명의 응급처리용 광접속함(5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응급처리용 광접속함(50)이 벽면에 고정되는 경우로서, 광접속함(50)이 하부 접속함체(2) 양측면에 부착된 고리형 경첩(12)을 못으로 벽면에 고정시키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함(50)은 절단된 광섬유의 접속을 빠른 시간내에 접속한 후, 벽면이나 철선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외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함체(50)는 인수공내와 지중에도 매립이 가능하며 가공에도 설치가능하다.
이상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응급처리용 광접속함은 외부함체의 재질 및 형상을 보다 가볍고 운반이 용이한 형태로 구성하고, 종래의 광섬유 접속자를 이용해 분리된 상태의 광섬유를 상호 접속시킨 후 트레이내에 마련된 접속자 결착부에 안착시킴과 아울러, 광섬유의 허용곡률반경을 고려하여 트레이의 상부에 형성된 전후방 및 좌우 측면 지지대를 따라 원형으로 여장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부주의한 공사나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광케이블 절단사고 발생시 최소한의 시간과 작업인원으로도 복구가 가능하며 또한 별도의 다른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복구가 가능하다.

Claims (14)

  1. 자연재해 또는 케이블 포설공사시 사고로 인해 절단된 광케이블을 복구시키기 위한 응급처리용 광섬유 접속함에 있어서,
    최하부 및 최상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절단된 광섬유를 연결시키기 위한 내부 구성부품들을 수용하고, 외측면에 부착된 결착부재에 외부 구조물 등에 고정이 되는 상부 및 하부함체와;
    상기 최하부에 위치한 하부함체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부면에 연결하고자 하는 광케이블의 외피를 케이블 클립에 의해 양측면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하부 기판과;
    상기 하부기판상에 고정된 절단된 광케이블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이격된 위치에 삽입되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그로메트와;
    상기 하부기판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하부기판상에 고정된 광케이블의 양측단부로부터 인출된 광섬유를 연결하는 광섬유 접속자가 안착될 수 있는 광접속자 결착부가 내측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분리된 다수개의 광섬유가 광접속자에 의해 연결된 후 허용곡률반경 범위내에서 여장처리되도록 상부에 원형의 지지대가 구비된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서 트레이를 하부기판상에 고정시키는 트레이 덮개와;
    상기 트레이 덮개를 고정하는 결착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접속함의 상하 외부함체의 재질은 두랄루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처리용 광접속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외부함체를 상하로 결착하기 위한 결착수단은 체결볼트 및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처리용 광접속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외부함체의 외부모형은 외부충격 등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처리용 광접속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함체의 외측면부에 부착된 결착부재는 벽면에 부착할 수 있는 고리모양의 경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처리용 광접속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함체의 상단 양측면부에 함체 지지봉 등에 고정할 수 있는 고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처리용 광접속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은 광접속함의 하부함체 내측치수보다 동일하거나 작게 하여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광접속함 외부에서 광섬유를 접속 및 정렬한 후 함체와 결합시키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처리용 광접속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은 무게가 가벼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처리용 광접속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과 트레이와의 결착은 하부기판 상부면상에 일정길이 돌출되어 나온 결착핀과, 상기 결착핀과 대응된 위치에 트레이상에 형성된 관통홈에 의해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처리용 광접속함.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의 상부에 부착되는 케이블 그립은 케이블 외피와 접촉하는 내부면상에 케이블과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처리용 광접속함.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하방향 2단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처리용 광접속함.
  12.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개의 트레이에 수용되는 광섬유의 심선수는 1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처리용 광접속함.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로메트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외측 원주면상에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처리용 광접속함.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광섬유의 여장처리시 허용곡률반경 범위내에서 원형으로 여장처리될 수 있도록 전방과 후방 및 좌우 측방에 원형의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측면으로 여장처리되는 광섬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커버가 상기 지지대 상부면으로부터 트레이 내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나온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처리용 광접속함.
KR1019960034203A 1996-08-19 1996-08-19 응급처리용 광접속함 KR19980014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203A KR19980014996A (ko) 1996-08-19 1996-08-19 응급처리용 광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203A KR19980014996A (ko) 1996-08-19 1996-08-19 응급처리용 광접속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996A true KR19980014996A (ko) 1998-05-25

Family

ID=66250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4203A KR19980014996A (ko) 1996-08-19 1996-08-19 응급처리용 광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49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85271C (en) Optical fiber closure
US5657412A (en) Splice case for fibre optic cables
US5845026A (en) Pull-proof fiber optic array connector
ES2710111T3 (es) Recubrimiento de tracción mejorado para jalar un cable de fibra óptica a lo largo de un conducto
US20120106913A1 (en) Impact resistant fiber optic enclosures and related methods
PT2772778E (pt) Ficha de fibra ótica
CN101669057A (zh) 带有保持连接电缆用的固定座的引入终端
CN101006376A (zh) 具有对准和键合机构的光纤插座和插头组件
BRPI0621975A2 (pt) Adaptador de cabo para um cabo de fibras ópticas, sistema para plugar um cabo de fibra óptica em um receptáculo de fibra óptica, e, método para instalar um cabo de fibras ópticas em um receptáculo de fibras ópticas
US5212750A (en) Fiber optic harness having reduced weight and bulk, and method
CA1302137C (en) Fiber optic cable termination
US4738504A (en) Fiber optic cable termination
US5335304A (en) Connector distribution assembly for a fiber optic detector system
CA2388460C (en) Fiber retaining system
KR19980014996A (ko) 응급처리용 광접속함
US6381397B1 (en) Fiber optic array breakout housing
EP1012642B1 (en) Submarine fiber-optic cable joint with load-bearing casing
JP4652263B2 (ja) 光クロージャ、光ケーブル分岐方式
JP4800085B2 (ja) 光クロージャ
KR101228447B1 (ko) 광드롭케이블 접속함
IES64144B2 (en) An optical fibre management system
JPS63125903A (ja) 光コネクタ付きケ−ブルのけん引部
KR100429391B1 (ko) 분리형 광접속함
JPH0350242B2 (ko)
JP2661960B2 (ja) 多心光コード分岐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