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3803A - 건축물의 외벽면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외벽면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3803A
KR19980013803A KR1019960032444A KR19960032444A KR19980013803A KR 19980013803 A KR19980013803 A KR 19980013803A KR 1019960032444 A KR1019960032444 A KR 1019960032444A KR 19960032444 A KR19960032444 A KR 19960032444A KR 19980013803 A KR19980013803 A KR 19980013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construction
board member
pane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2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2840B1 (ko
Inventor
윤건혁
Original Assignee
윤건혁
주식회사 티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건혁, 주식회사 티이씨 filed Critical 윤건혁
Priority to KR1019960032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2840B1/ko
Publication of KR19980013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840B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면을 시공함에 있어 건물의 외벽면에 해당되는 일정크기의 독립된 형태의 판넬을 제조하여서, 이의 판넬들을 건물의 골조에 해당되는 강철빔에 간단히 조립하는 것만으로 건축물의 외벽체 시공과 외장시공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공에 따른 작업성 및 안전성을 좋게하고 또한 공사기간을 단축시켜 경제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건축물의 외벽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는 C. R. C보드(12)(13) 사이에 압축발포 단열재의 방수지(ISO)(14)가 접합되어 일체화를 이루면서 사각형으로 구비되는 보드부재(10)의 후면에 체결브라켓트(11)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의 내부에 유리섬유(50)를 충진하고, 상기 보드부재(10)의 전면상에는 다수개의 고정구(20)를 이용하여 외장재를 이루는 여러개의 사각형 석재판부재(30)을 부착하며, 이들 사이에는 에폭시 및 시멘트, 또는 우레탄 홈계열로 이루어지는 접착제(40)를 충진하여 하나의 판넬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외벽면 시공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건축물의 벽면구성을 보인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 판넬의 구성을 상세히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 판넬의 구성을 보인 단면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 판넬의 보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5도는 종래의 건축물 외벽시공구조를 보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판넬10: 보드부재11:체결브라켓트
12,13: C. R. C보드14: 방수지20: 고정구
21: 절곡면22: 걸림턱30: 석재판부재
31: 체결홈40: 접착제50: 매지
60: 유리섬유B: 골조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시공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건축물의 외벽면을 시공함에 있어 건물의 외벽면에 해당되는 일정크기의 독립된 형태의 판넬을 제조하여서, 이의 판넬들을 건물의 골조에 해당되는 강철빔에 간단히 조립하는 것만으로 건축물의 외벽체 시공과 외장시공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공에 따른 작업성 및 안전성을 좋게하고 또한 공사기간을 단축시켜 경제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의 건물을 건축시에는 주로 조립식건축공법을 이용하여 시공하고 있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는 것이었고, 이러한 대형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은 대략 “H”형등의 강철빔을 사용하여 우선 건물의 골조를 구축한 다음, 이의 건물의 각층에 해당되는 부분에 슬라브를 타설함과 동시에 옹벽을 타설하는 방법으로 시공하고 있는 것이었다.
또한, 근래에는 건물의 외벽면에 대리석과 같은 자연석이나 또는 인조석 등을 부착시공하여 건물의 품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비바람 등의 자연환경으로부터 건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면서도 단열 및 방수효과를 갖도록 하는 외장 시공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건물의 외벽면에 석재판넬을 부착시공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겠으나 지금까지 알려져 가장 보편적이고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외벽면에 해당되는 옹벽을 타설한 후에 이의 옹벽에 석재판넬을 부착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고, 또한 석재판넬을 골조에 먼저 부착시공한 후 외벽면을 타설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어떤 시공방법을 택하더라도 종래의 석재판넬 시공방법은 건물의 외벽면과는 별도의 공정으로 부착시공되는 방법임으로써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야기되고 있는 것이었다.
즉, 전자의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의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물의 외벽면을 먼저 타설한 후 이의 외벽면에 사각파이프형으로 이루어지는 하지철물(1)을 격자형으로 설치하고, 이의 하지철물(1)에 다수개의 고정구(2)들을 이용하여 석재판넬(3)을 일일히 부착시공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날개로 이루어지는 석재판넬(3)을 직접 현장에서 일일히 부착시공하여야 함으로써 그 작업성이 좋지 못하고 공사기간과 이에 따른 공사비도 상당히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 시공이 완료되더라도 먼저 타설된 옹벽 및 하지철물(1), 그리고 석재판넬(3)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필연적으로 발생됨으로써 단열 및 방수에도 상당한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을 뿐 아니라 석재판넬의 고정력도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석재판넬 시공과정과는 별도로 옹벽의 내부면에 다시 단열 및 방수를 위한 별도의 공사를 필연적으로 행하여야 함은 물론이고 마무리 공사도 병행하여야 함으로써 시공과정이 복잡할 뿐 아니라 외벽면의 두께도 그만큼 두꺼워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후자의 시공방법을 적용하여 공사를 하는 경우에는 강철빔 등으로 건물의 골조가 구축된 상태에서 슬라브를 타설하고, 상기 골조에 석재판넬을 부착하기 위한 사각파이프형의 하지철물을 격자형으로 설치한 다음, 이의 하지철물에 고정구들을 이용하여 석재판넬을 일일히 부착시공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공방법에 있어서도 전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건물의 외벽면과는 별도로 석재판넬을 부착시공하는 방법임에 따라 일정한 크기로 가공된 석재판넬을 일일히 하지철물에 부착시공하여야 함으로써 이역시 그 작업성이 좋지 못할 뿐 아니라 공사기간 및 공사비가 상당히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지철물에 석재판넬을 부착시공한 후 이의 시공과는 별도로 벽돌 등을 이용하여 건물의 외벽면을 필연적으로 구축하여야 함으로써 공사방법이 복잡할 뿐 아니라 타설된 외벽면 및 하지철물, 그리고 석재판넬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필연적으로 발생됨으로써 단열 및 방수에도 상당한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것이고, 석재판넬의 고정력도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다시말해서, 지금까지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전술한 종래 조립식건물의 외벽면 공사방법에 있어서는 어떠한 시공방법을 택하더라도 건물의 외벽면 구축공사와 이의 외벽면에 석재판넬을 부착공사를 완전히 별도의 공사로 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술한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야기되었던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외벽면의 구축공사와 석재판넬의 부착공사를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혀 새로운 개념의 건축물의 외벽시공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물의 외벽면을 구성하는 새로운 소재의 보드에 다수개의 석재판넬을 부착한 독립된 외벽시공용 판넬을 구성하여서 이러한 판넬을 건물의 골조에 부착시공하는 것만으로 외벽면과 석재판넬의 부착시공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건축물의 외벽시공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자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마감되면서도 건물의 외벽을 형성하도록 하는 독립된 부재로서의 판넬을 미리 제조하여 이를 현장에서 연속적으로 시공하도록 함으로써 시공의 간편화와 경량성, 방수성, 내구성 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새로운 형태의 건축물 외벽시공용 판넬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즉, 본 발명의 판넬은 건물의 외벽면에 해당되는 특수한 보드부재를 구비하고, 이의 보드부재의 외측면에 일정한 크기로 가공된 석재판넬을 다수의 고정구 등을 이용하여 부착하며, 이들 보드부재와 석재판넬 사이에 단열 및 방수효과들 갖는 접착부재를 충진하여서 된 하나의 독립된 판넬을 구비하여 이들을 건축물의 골조상에 체결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의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벽시공용 판넬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의 도면중 부호 100은 본 발명에 따른 판넬(PANEL)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판넬의 본체(100)는 후면에 체결브라켓트(11)가 횡 또는 종방향으로 구비되는 사각형의 보드(BOARD)부재(10)와, 상기 보드부재(10)의 전면에 다수의 고정구(20)들에 의해 격자형으로 다수개가 고정되면서 사각형상을 가지는 석재판부재(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드부재(10)는 첨부도면의 제4도에 더욱 상세히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전체판넬의 크기를 가지는 사각형으로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보드부재(10)는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3층이 서로 겹쳐져서 일체로 경화되어 있는 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의 각층의 전, 후면에는 C. R. C보드(Compressed Cellulose Reinferced Cement Board)(12)(13)로 이루어져 있음과 동시에 이들 사이의 중심에는 압축발포 단열재의 방수지(ISO PINK)(14)가 접합되어 하나의 완전한 보드를 이루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C. R. C보드(12)(13)는 몰탈 또는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질을 개선 보강하기 위하여 포클랜드 시멘트, 토사, 내알칼리에 우수한 셀룰로이스(Cellulose) 섬유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고밀도 섬유질 시멘트 보드로서 양면이 곱고 매끄럽게 마감처리되어 있으며, 이는 인장강도, 내충격성 등이 좋은 것이고, 또한 단열, 방수는 물론 고강도의 경량제품으로 내구성이 뛰어나면서도 화재에 강한 제품으로 시험에 의해 입증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드부재(10)의 후면에는 판넬(100)의 본체를 건축물의 골조상에 체결고정하기 위한 체결브라켓트(11)가 다수개로 고정되어 있고, 이의 체결브라켓트(11)는 아연도금이 되거나 부식 방지용 프라이머로 도장되어 있으면서도 판넬(100)이 설치되는 패턴에 따라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고정됨으로써 그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드부재(10)의 전면상에는 다수개의 석재판부재(30)가 일체형으로 고정된다.
이의 석재판부재(30)는 주로 대리석과 같은 자연석이나 인조석을 일정한 두께와 크기로 가공하여서 사용되는 것으로, 이는 사각형상을 가지면서 그 사방향의 측면 중심부에는 둘레면을 따라 일정한 크기의 체결홈(31)이 가공되어 있다.
체결홈(31)은 상기 석재판부재(30)를 다수개의 고정구(20)를 사용하여 보드부재(10)에 체결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구(20)는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지면서도 절곡되게 구비됨으로써 보드부재(10)의 전면에 접면되어 고정스크류로 고정되는 절곡면(21)과 상기 석재판부재(30)의 체결홈(31)에 삽입체결되는 걸림턱(22)을 갖춘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20)들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석재판부재(30)를 보드부재(10)의 전면상에 고정하고, 이의 석재판부재(30)와 보드부재(10) 사이에 발생되는 공간에는 접착제(40)를 발포성형하여 이들 양부재를 일체화 시킴으로써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하나의 판넬(100)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접착제(40)는 에폭시 계열의 접착제 및 시멘트 계열의 접착제, 또는 우레탄 홈계열의 접착제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접착력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드부재(10)에는 다수개의 석재판부재(30)가 체결고정됨으로써 이들 각 석재판부재(30)들의 사이에는 고정구(20)로 인한 일정한 간격의 이음새가 발생되어 지는 것이고, 이의 이음새에는 방수를 위한 매시(MESH)(50)를 충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판넬(100)은 제조처에서 일정한 크기, 즉, 건물의 형태나 설치위치 등에 따른 여러가지 형태나 크기로 제조된 후 현장으로 공급되어 질 것이고, 이를 설치시에는 첨부도면의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넬(100) 후면의 체결브라켓트(11)를 이용하여 건물의 골조상에 체결하게 된다.
즉, 통상에서와 같이 강철빔으로 건물의 골조(B)를 구축하고 각 층의 슬라브를 타설한 상태에서 상기 골조(B)에 본 발명 판넬(100)을 체결브라켓트(11)등을 이용하여 체결한다.
이때 상기 판넬(100)은 건물의 형태나 설치위치에 따라 그 형태가 다를 수는 있으나 설치구조는 동일한 것으로, 즉, 판넬(100)의 체결브라켓트(11)를 이용하여 골조(B)에 연속적으로 체결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판넬(100)이 골조(B)상에 체결완료되면, 체결브라켓트(11)와 골조(B)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필연적으로 발생되어 지는 것이고, 이의 공간에는 단열을 위하여 24kg/m 이상의 밀도를 가지는 유리섬유(Glass Wool)(60)를 충진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시공이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외장 및 외벽체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이며, 이와 같은 공정이 완료되면, 통상에서와 같이 건물의 내부에서 내장에 따른 공사를 마무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면을 건축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외장, 외벽체, 단열공사로 이어지는 복합한 공정을 단한번의 시공으로 마무리할 수가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즉, 외장 및 외벽면을 동시에 수용하는 하나의 독립된 판넬을 제조하여 이를 건물의 골조상에 연속적으로 조립하는 것만으로 외장 및 외벽체, 그리고 단열 및 방수 등의 공사를 이루도록 할 수가 있음으로서 우선 공사기간을 대폭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에 따른 인건비 및 원가절감을 실현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외장을 이루는 석재판부재와 벽면체를 이루는 보드부재들의 사이에 고품질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일체화함으로서 구조상 열손실 경로를 완벽하게 차단해 주어 에너지 절감의 효과를 가지게 됨은 물론 내구성 및 방수성 등이 향상되어 지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는 전체적으로 외벽의 두께가 종래에 비해 얇게 시공이 이루어지더라도 보드부재의 성능에 따라 이중 삼중으로 단열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판넬은 C. R. C보드와 석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이기 때문에 내화성능이 좋을 뿐 아니라 경량화를 실현할 수가 있고, 또 대형건물은 물론 중,소건물에도 적용이 가능하는 등의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1)

  1. 건물의 외벽에 자연석 또는 인조석 등의 외장재를 부착시공하는 것에 있어서,
    건물의 외장 및 외벽면, 그리고 단열 및 방수 등의 공사를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 판넬은,
    전, 후단의 C. R. C보드(12)(13) 사이에 압축발포 단열재의 방수지(ISO)(14)가 접합되어 일체화를 이루면서 사각형으로 구비되고, 후면상에 체결브라켓트(11)가 구비됨과 동시에 이의 내부에 유리섬유(50)가 충진되는 보드부재(10)와;
    상기 보드부재(10)의 전면상에 다수개의 고정구(20)에 의해 여러개가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사각형으로 가공되면서 측면상에는 둘레방향으로 체결홈(31)이 갖추어서 되는 석재판부재(30)와;
    상기 보드부재(10)에 다수개가 체결고정되고, 보드부재(10)의 전면에 고정되는 절곡면(21)과 석재판부재(30)의 체결홈(31)에 삽입체결되는 걸림턱(22)을 가지는 고정구(20)와;
    상기 보드부재(10)와 석재판부재(30)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어 접착력을 제공하는 에폭시 및 시멘트, 또는 우레탄 홈계열로 이루어지는 접착제(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시공구조.
KR1019960032444A 1996-08-03 1996-08-03 건축물의 외벽면 시공구조 KR100202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444A KR100202840B1 (ko) 1996-08-03 1996-08-03 건축물의 외벽면 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444A KR100202840B1 (ko) 1996-08-03 1996-08-03 건축물의 외벽면 시공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803A true KR19980013803A (ko) 1998-05-15
KR100202840B1 KR100202840B1 (ko) 1999-06-15

Family

ID=1946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2444A KR100202840B1 (ko) 1996-08-03 1996-08-03 건축물의 외벽면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28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183A (ko) * 2002-01-26 2003-07-31 강성필 구조용 각형 강관을 이용한 석재 패널의 제조방법 및 그제조물
KR101347507B1 (ko) * 2013-03-25 2014-01-06 주식회사 서린 프레임 유닛 건식 외단열 패널
KR102443116B1 (ko) * 2022-02-25 2022-09-14 (주)대한지오이엔씨 천연석재를 이용한 옹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531151B1 (ko) * 2022-11-15 2023-05-09 전남수 층간 방화기능을 구비한 외장판넬용 선형조인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183A (ko) * 2002-01-26 2003-07-31 강성필 구조용 각형 강관을 이용한 석재 패널의 제조방법 및 그제조물
KR101347507B1 (ko) * 2013-03-25 2014-01-06 주식회사 서린 프레임 유닛 건식 외단열 패널
KR102443116B1 (ko) * 2022-02-25 2022-09-14 (주)대한지오이엔씨 천연석재를 이용한 옹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531151B1 (ko) * 2022-11-15 2023-05-09 전남수 층간 방화기능을 구비한 외장판넬용 선형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2840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0066B2 (en) Structure formed of foaming cement and lightweight steel and a structural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the structural system
US20080196349A1 (en) Connected structural panels for buildings
KR20200035815A (ko)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의 상하 결합구조
EP1736609B1 (en) System for construction with pre-fabricated panels, and pre-fabricated panel
KR200158855Y1 (ko) 건축물의 내, 외장용 판넬구조
KR101995382B1 (ko) 단열패널유닛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결합구조
KR19980013803A (ko) 건축물의 외벽면 시공구조
KR20050073708A (ko) 건물 벽체용 일체형 적층 복합패널과 이를 이용한 건물의벽체 시공 방법
KR20050013663A (ko) 단열보드를 이용한 외장 시공 방법
KR20200035817A (ko)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의 하부 결합구조
KR200141558Y1 (ko) 건축물의 외벽시공용 타일판넬구조
CN112609871A (zh) 一种替代传统加强梁、构造柱的密肋筋墙体及施工方法
RU2544181C2 (ru) Система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изоляции и способ изоляции фасада
KR20210126642A (ko) 시멘트 패널을 포함하는 방폭 벽
KR20060107480A (ko) 건축물의 벽체 시공방법
JPH05171725A (ja) 外壁パネル
KR930004843Y1 (ko) 건축용 경량 판넬
JPH02200940A (ja) 内外壁複合壁パネル
KR102136756B1 (ko)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결합구조
JP2003301546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外断熱建築物
KR200153031Y1 (ko) 건축물의 내, 외장용 법랑 철판판넬구조
KR20220127012A (ko) 곡면 형상의 건물 벽체 마감용 마감 조립체
RU2597038C1 (ru)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RU163417U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KR20220142217A (ko) 복합 외장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30306

Effective date: 20041030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