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3770U - 전화기를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를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3770U
KR19980013770U KR2019960027373U KR19960027373U KR19980013770U KR 19980013770 U KR19980013770 U KR 19980013770U KR 2019960027373 U KR2019960027373 U KR 2019960027373U KR 19960027373 U KR19960027373 U KR 19960027373U KR 19980013770 U KR19980013770 U KR 199800137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information
telephone
unit
schedule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73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희태
윤병우
Original Assignee
안희태
윤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희태, 윤병우 filed Critical 안희태
Priority to KR20199600273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3770U/ko
Publication of KR199800137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770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3Telephone terminals interfacing a personal computer, e.g. using a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2Pag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28Services making use of subscriber schedule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개인정보 관리는 휴대용 노트 또는 전자수첩등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휴대의 번거러움이 있어 어차피 휴대해야 할 이동통신 장치로 일관하여 개인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면 좋을 것이다. 또한, 전화기를 이용한 개인정보 조회가 가능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이동통신 장치를 휴대하지 않더라도 전화기만 주위에 있으면 개인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화번호, 일정계획등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장치로써 전화기의 다이얼톤을 이용해 데이터를 입출력 할 수 있도록 하여 공중전화에서도 개인정보 데이터를 원격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된 개인정보는 컴퓨터의 업무일지와 연계할 수 있도록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화를 통한 대외 업무에 대한 기록을 컴퓨터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업무관리를 반자동화 한다.
본 고안은 사용중인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기록하여 재활용하고 호출기를 이용하여 지정시각에 문자를 전송하는 등의 일정계획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를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장치이다.

Description

전화기를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장치
통상 전화를 통한 대외활동은 기록이나 기억된 전화번호를 사용함으로써 시작된다. 현대문명의 이기로 필수품인 전화는 상호 왕래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여 공간상의 문제를 최소화 하였다. 계획에 따른 전화예약, 전화를 통한 업무진행상의 협의 및 점검 등은 최소의 경비로 직접 가야하는 업무를 대신하고 있다. 따라서 앉은 자리에서 아무리 먼곳이라도 업무를 처리할 수 있고 아무장소에 가서도 필요한 시점에 업무를 볼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전화 상대의 관리는 전화를 시도할 시점에 상대편이 통화중인 경우 재시도를 잊어버리는 경우, 예정된 전화시기를 놓치는 경우등과 같이 사소한 관리부주의로 인해 호미로 막을 수 있는 일을 가래로 막는 불미한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화번호, 일정계획등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장치로써 전화기의 다이얼톤을 이용해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공중전화에서도 개인정보 데이터를 원격 조회 할 수 있도록 한다.
개인정보 중 전화번호의 관리는 전화사용시 다이얼톤을 감지하여 그 데이터를 기록하고 사용한 시점, 사용시간 및 사용처 등 문자정보를 함께 입력받도록 한다. 과거 문자정보가 등록된 경우라면 재입력을 필요가 없다.
본 고안 장치를 직접 조작할 경우에는 전용 입출력부를 사용한다. 외부에서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입력할 경우에는 전화기의 자판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에 따라 조작하면 되도록 한다. 축적된 전화번호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검색대상을 입력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문자입력이 필요한 바 이러한 문자의 입력방법은 향후 정해지는 표준입력법에 의한다. 다만 필요시에는 본 고안품의 용도에 맞는 문자입력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과거의 전화시도 기록조회, 전화통화 예약상황 목록검색 등 보는관리를 통해 전화대상의 누락을 방지하고 사용의 간편성 등을 통해 업무의 효율화를 기하고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를 방지하여 호미로 막을수 있는 일을 가래고 막는 불미한 일을 방지하도록 한다.
과거의 전화시도 기록조회는 정확하게 사용한 실적이 있으므로 정확하게 동작한다. 그리고 과거의 사용결과는 향후 사용의 참조데이터로 활용되므로 보다 객관적인 업무수행이 가능하다.
개인정보 중 개인일정의 관리는 필요한 시점에 장치를 직접 조작하거나 잔치의 주변을 벗어날 경우 어느 장소에 있더라도 전화를 통해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지정 시점이 되면 장치의 통보장치가 동작하여 그 시점을 사용자에게 통보한다. 확인조치가 없을 경우 지정된 무선호출기를 호출하여 예약된 업무의 내용을 문자로 통보하여 계획된 업무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한다.
사용된 전화번호를 컴퓨터의 업무일지와 연계할 수 있도록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화를 통한 대외 업무에 대한 기록을 컴퓨터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업무관리를 반자동화 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레이아웃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관리부
101: 기억부
102: 조작부
103: 출력부
104: 인식부
105: 발생부
106: 통신부
인식부(104) : 다이얼톤 등과 같은 아날로그 신호를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디지탈 신호로 변환
발생부(105) : 디지탈 신호를 다이알톤 등과 같은 전화선로에서 사용 가능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조작부(102) : 번호 입력 및 기능 지시
출력부(103) : 진행상황 및 결과 확인
기억부(101) : 번호 기타 필요한 데이터 기록
관리부(100) : 각 장치를 동작시키고 검색, 소팅 등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가 탑재된 제어장치
통신부 : 다른 컴퓨터와의 데이터 송수신
소프트웨어 : 상기 각 부를 통제하는 방법
본 고안은 전화번호, 일정계획등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장치로써 전화기의 다이얼톤을 이용해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공중전화에서도 개인정보 데이터를 원격 조회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전화기가 있는 장소이면 어디에서나 개인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개인정보 중 전화번호의 관리는 과거의 전화시도 기록조회, 전화통화 예약상황목록 검색 등 보는 관리를 통해 전화대상의 누락을 방지하고 사용의 간편성등을 통해 업무의 효율화를 기하고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를 방지하여 호미로 막을 수 있는 일을 가래로 막는 불미한 일을 방지할 수 있다.
개인정보 중 개인일정의 관리는 필요한 시점에 장치를 직접 조작하거나 잔치의 주변을 벗어날 경우 어느 장소에 있더라도 전화를 통해 등록하고 지정 시점이 되면 장치의 통보장치가 동작하여 그 시점을 알 수 있으며 내용확인후 확인 버튼을 눌러 확인 여부를 통보한다. 장치의 주변을 벗어나 직접 확인이 안될 경우 무선호출기 등을 통해 예약된 업무의 내용을 문자로 통보를 함으로써 계획된 업무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없어진다.
개인정보 관리는 휴대용 노트 또는 전자수첩등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휴대의 번거러움이 있어 어차피 휴대해야 할 이동통신 장치로 일관하여 개인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면 좋을 것이다. 또한 전화기를 이용한 개인정보 조회가 가능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이동통신장치를 휴대하지 않더라도 전화기만 주위에 있으면 개인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Claims (1)

  1. 다이알톤에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키는 인식부(104), 디자탈 신호를 다이알톤으로 변환시키는 발생부(105), 번호 입력 및 기능을 지시하는 조작부(102), 진행상황 및 동작결과를 확인하는 출력부(103), 번호 기타 필요한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억부(101), 다른 큼퓨터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통신부(106) 및 각 장치를 동작시키고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필요한 조건에 맞추어 지정된 호출기에 필요한 숫자나 문자를 전송하는 관리부(100) 및 이를 통제하는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사용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기록하여 재활용하고 호출기를 이용하여 지정시각에 문자를 전송하는 등의 일정계획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를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장치
KR2019960027373U 1996-08-14 1996-08-14 전화기를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장치 KR199800137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7373U KR19980013770U (ko) 1996-08-14 1996-08-14 전화기를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7373U KR19980013770U (ko) 1996-08-14 1996-08-14 전화기를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770U true KR19980013770U (ko) 1998-06-05

Family

ID=53974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7373U KR19980013770U (ko) 1996-08-14 1996-08-14 전화기를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377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409A (ko) * 1998-03-30 1999-10-25 치우홍-처 이동 전화의 디렉토리 및 일정 달력의 외부 컴파일 장치
KR100833224B1 (ko) * 2001-09-06 200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사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409A (ko) * 1998-03-30 1999-10-25 치우홍-처 이동 전화의 디렉토리 및 일정 달력의 외부 컴파일 장치
KR100833224B1 (ko) * 2001-09-06 200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사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0405B1 (en) Method for retrieval of stored telephone numbers in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5848356A (en) Method for implementing icons in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6185295B1 (en) Phone number database for a phone
EP080400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N101099131B (zh) 用于搜索和发现的设备和方法
US5737394A (en)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selectable functions activated by the use of dedicated and/or soft keys
US20070082708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nforming users of functions and characters associated with telephone keys
KR101053872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개인정보 보호방법
CN101588410A (zh) 移动终端和控制移动终端的方法
JP2004350226A (ja) 移動電話機
KR100331942B1 (ko) 통신망을통한개인일정관리장치및관리방법
KR19980013770U (ko) 전화기를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장치
JP2006135979A (ja) 画像表示装置
US20090273895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JP2972632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KR100517337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 사용 명함관리 방법 및 장치
US20060274365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EP0196815B1 (en) Personal computer note-taking facility
US7567780B2 (en) Data exchange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RF data transmission
US7324809B2 (en) Portable telephone s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037878A (en) Paging apparatus and paging method by password
JP2006060685A (ja) 携帯情報端末、携帯情報端末の制御方法、携帯情報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000036974A (ko) 다기능 키보드
KR100665815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통합검색/바로실행방법
KR100736566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메시지 저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