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1365U - 자동차용 분리형 메인베어링(main bearing)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분리형 메인베어링(main bearing)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1365U
KR19980011365U KR2019960024870U KR19960024870U KR19980011365U KR 19980011365 U KR19980011365 U KR 19980011365U KR 2019960024870 U KR2019960024870 U KR 2019960024870U KR 19960024870 U KR19960024870 U KR 19960024870U KR 19980011365 U KR19980011365 U KR 199800113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earing
bolt
center
cylinder block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48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현철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248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1365U/ko
Publication of KR199800113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1365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9/00Bearings for crankshafts or connecting-rods; Attachment of connecting-rods
    • F16C9/02Crankshaf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6/00Joining parts; Fastening; Assembling or mounting parts
    • F16C2226/50Positive connections
    • F16C2226/62Positive connections with pins, bolts or dow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0/00Engines or pumps
    • F16C2360/22Internal combustion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메인베어링(MAIN BEARING) 구조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분리형 메인베어링의 양측으로 중앙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보스부를 돌출형성하고 실린더블럭의 양측으로는 상기 메인베어링을 결합시 상기 볼트보스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으로 볼트를 삽입하여 상호간에 고정설치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볼트공을 형성하여 주어, 기존의 일체형 메인베어링과 비교하여 볼때 가공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고, 엔진의 중량을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주행연비를 향상시켜 줄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금형제작비가 저렴하고 조립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고 또한, 실린더블록에 취부됨으로서 각각의 실린더에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블록 자체 내에서 상쇄시키므로 주행시 차량의 소음을 대폭 감소시켜줄 수 있도록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분리형 메인베어링(MAIN BEARING)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메인베어링(MAIN BEARING) 구조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분리형 메인베어링의 양측으로 중앙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보스부를 돌출형성하고 실린더블럭의 양측으로는 상기 메인베어링을 결합시 상기 볼트보스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으로 볼트를 삽입하여 상호간에 고정설치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볼트공을 형성하여 주어, 기존의 일체형 메인베어링과 비교하여 볼때 가공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고, 엔진의 중량을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주행연비를 향상시켜 줄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금형제작비가 저렴하고 조립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고 또한, 실린더블록에 취부됨으로서 각각의 실린더에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블록 자체 내에서 상쇄시키므로 주행시 차량의 소음을 대폭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메인베어링(MAIN BEARING)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엔진은 연료를 엔진의 내부에서 연소시켜 여기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어 기계적 일을 하게 하는 것인데, 이러한 엔진은 압축 행정에서 가스를 압축시키고 폭발행정에서 가스의 폭발력에 의하여 동력이 피스톤에 전달되며 또한 피스톤핀을 거치면서 커넥팅로드(CONNECTING ROD)에 전달시켜 크랭크샤프트(CRANK SHAFT)를 회전시켜 구동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엔진은 일반적으로 엔진본체와 엔진 부속장치로 크게 구별하여 나눌 수 있는데, 여기서 엔진본체는 동력을 발생하는 부분으로 실린더, 크랭크케이스, 실린더헤드, 피스톤, 피스톤링, 피스톤핀, 커넥팅로드, 크랭크축, 플라이휠, 엔진베어링, 캠축, 밸브 및 밸브기구 등으로 대략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실린더 엔진에서는 실린더를 일반적으로 직렬 또는 V형으로 나열한 것이 많은데 각 실린더 안에는 피스톤이 있으며 커넥팅로드의 한 부분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커넥팅로드의 다른 끝은 크랭크축에 장치되어 있어, 피스톤이 왕복운동을 하면 크랭크축이 회전운동을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의 상부에는 실린더헤드가 있으며 내부는 연소실이 되고 이부분이 흡입밸브와 배기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밸브는 캠축으로 작동되며 밸브에 의해 흡입구와 배기구를 개폐하며 혼합기가 실린더 내에 흡입되거나 연소가스가 배출되거나 한다.
이중에서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회전운동 하게 되는 크랭크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여 본다면 다음과 같은데, 각 실린더의 팽창 행정으로 얻어진 피스톤의 직선적 동력을 커넥팅로드를 통해서 회전력을 바꾸고 또한 다른 행정에서는 반대로 피스톤에 운동을 줌으로써 연속적으로 동력을 발생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크랭크축은 실린더블록 내에 설치된 어떠한 베어링에 의해 크랭크저널과 크랭크핀 부위가 지지되어 조립설치를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를 흔히 메인베어링(MAIN BEARING)라고 일반적으로 칭하고 있으며 이러한 메인베어링(MAIN BEARING)은 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는 공통적으로 상기에도 대략 서술한 바와 같이 크랭크축을 크랭크축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저널과 크랭크핀 부위를 지지하며 실린더블록내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크랭크축을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어 크랭크축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베어링 자체가 마모함으로써 크랭크축이나 커넥팅로드의 마멸을 방지하고자 제작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크랭크축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저널과 크랭크핀 부위를 지지하며 실린더블록 내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크랭크축을 회동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어 크랭크축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베어링 자체가 마모함으로써 크랭크축이나 커넥팅로드의 마멸을 방지하고자 제작되는 종래의 메인베어링(MAIN BEARING)구조에 있어서 일체형 메인베어링(MAIN BEARING)구조는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형적인 한 예를 도시하였는바,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반원형의 지지저널부(12)가 형성되어 있는 수개의 메인베어링(28)이 동간격을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베어링(28)과 메인베어린(28) 사이에는 수개의 밸런스웨이트 회동공간부(26)가 형성되어 있는 일체형 메인베어링(1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일체형 메인베어링(1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반원형의 지지 저널부(12)의 양측 표면으로는 각각 수직으로 관통되어 있는 구멍(18)이 일체로 수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베어링(28)을 일체의 금형으로 형성하여 주어, 제작시 가공상의 어려움과 금형 제작상의 어려움으로 부품원가의 상승을 초래하였으며, 강성을 높혀주기 위해 수개의 메인드라이브를 일체의 금형으로 형성하여 줌에 따라 결과적으로 엔진중량이 증가되어 차체의 중량을 가중시켜 주행연비의 하락을 야기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고, 또한 차체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실린더 헤드 볼트의 취부 조립 순서처럼 일체형 메인베어링도 조립순서가 적용되므로 조립성면에서도 어려운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기존의 일체형 메인베어링과 비교하여 볼때 가공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고, 엔진의 중량을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주행연비를 향상시켜 줄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금형제작비가 저렴하고 조립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실린더블록에 취부됨으로서 각각의 실린더에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블록 자체 내에서 상쇄시키므로 주행시 차량의 소음을 대폭 감소시켜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메인베어링(MAIN BEARING)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용 메인베어링(MAIN BEARING)구조에 있어서, 분리형 메인베어링의 양측으로 중앙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보스부를 돌출 형성하고 실린더블럭의 양측으로는 상기 메인베어링을 결합시 상기 볼트보스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으로 볼트를 삽입하여 상호간에 고정설치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볼트공을 구성하여 주어 달성될 수 있다.
도 1는 종래의 자동차용 일체형 메인베어링(MAIN BEARING)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자동차용 메인베어링(MAIN BEARING)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자동차용 메인베어링(MAIN BEARING) 구조를 나타내는 결합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분리형메인베어링102 : 지지저널부
104 : 볼트보스부106 : 체결공
108 : 구멍110 : 실린더블록
112 : 볼트공114 : 볼트
116 : 밸런스웨이트 회동공간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 2도와 제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중앙에는 반원형의 지지저널부(10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저널부(102)의 양측 표면부위로는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구멍(108)이 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으로는 중앙에 체결공(106)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보스부(104)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분리형 메인베어링(10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분리형 메인베어링(100)을 취부하는 실린더블록(110)의 양측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분리형 메인베어링(100)을 취부시 상기 분리형 메인베어링(100)의 양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볼트보스부(104)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106)에 볼트(114)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볼트공(112)이 수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을 조립시에는 먼저 분리형 메인베어링(100)의 지지저널부(102) 양측 표면부위로 수직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수개의 구멍(108)하부로 부터 볼트(114)를 삽입하여 실린더블럭(110) 하부로 체결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분리형 메인베어링(100)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볼트보스부(104)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106)은 상기 실린더블럭(110)의 양측 길이방향으로 수개 형성되어 있는 볼트공(112)의 원심과 일치하게 취부되어 실린더블럭(110) 양외측으로 부터 볼트(11)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조립방법으로 실린더블럭(110)의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수와 일치하는 밸런스웨이트 회동공간부(116)를 형성토록 수개의 분리형 메인베어링(100)을 동간격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조립되는 본 고안은 상기 실린더블록(110)과 일정의 이격거리를 형성하며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분리형 메인베어링(100)의 양측에 중앙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보스부(104)를 돌출형성하여 주어 메인베어링을 분리형으로 형성하여 주어도 상호간의 결합강성을 견고히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크랭크축이 구동시 상기 크랭크축에 의해 메인베어링으로 전달되어 오는 소음과 진동을 상기 볼트보스부를 통해 실린더블록으로 전달시켜 자체 내에서 상호 상쇄시켜 줌으로써 일체형 메인베어링에서 얻어낼 수 있었던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키는 효과 못지 않은 효과를 얻어 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므로, 기존의 일체형 메인베어링구조와 비교하여 볼때 가공성을 매우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엔진의 중량을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주행연비를 향상시켜 줄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금형제작비가 저렴하고 조립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실린더블록에 취부됨으로서 각각의 실린더에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블록 자체 내에서 상쇄시키므로 주행시 차량의 소음을 대폭 감소시켜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분리형 메인베어링의 양측으로 중앙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보스부를 돌출 형성하고 실린더블럭의 양측으로는 상기 메인베어링을 결합시 상기 볼트보스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으로 볼트를 삽입하여 상호간에 고정설치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볼트공을 형성하여 주어, 기존의 일체형 메인베어링과 비교하여 볼때 가공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고, 엔진의 중량을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주행연비를 향상시켜 줄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금형제작비가 저렴하고 조립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고 또한, 실린더블록에 취부됨으로서 각각의 실린더에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블록자체 내에서 상쇄시키므로 주행시 차량의 소음을 대폭 감소시켜줄 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용 메인베어링(MAIN BEARING)구조에 있어서,
    분리형 메인베어링(100)의 양측으로 중앙에 체결공(106)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보스부(104)를 돌출형성하고 실린더블럭(110)의 양측으로는 상기 메인베어링(100)을 결합시 상기 볼트보스부(104)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106)으로 볼트(114)를 삽입하여 상호간에 고정설치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볼트공(112)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메인베어링(MAIN BEARING)구조.
KR2019960024870U 1996-08-20 1996-08-20 자동차용 분리형 메인베어링(main bearing) 구조 KR199800113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870U KR19980011365U (ko) 1996-08-20 1996-08-20 자동차용 분리형 메인베어링(main bearing)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870U KR19980011365U (ko) 1996-08-20 1996-08-20 자동차용 분리형 메인베어링(main bearing)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1365U true KR19980011365U (ko) 1998-05-25

Family

ID=5397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4870U KR19980011365U (ko) 1996-08-20 1996-08-20 자동차용 분리형 메인베어링(main bearing)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136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6941B1 (ko) 스트로크 가변 엔진
CA2303736C (en) Overhead ring cam engine with angled split housing
US7559754B2 (en) Internal gear pump in combustion engine
EP1039098B1 (en) External drive double shaft overhead cam engine (dschc)
JP4025622B2 (ja) 汎用単気筒エンジン
US6067950A (en) Two-cycle engine and personal watercraft having it mounted thereon
US20020011230A1 (en) Bearing case for engine
KR19980011365U (ko) 자동차용 분리형 메인베어링(main bearing) 구조
EP3763925B1 (en) Variable-compression-ratio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60219193A1 (en) Optimized linear engine
US6837475B2 (en) Valve-operating device for engine
WO1991015663A1 (en) A double acting, rectangular faced, arc shaped, oscillating piston quadratic internal combustion engine or machine
KR0153687B1 (ko) 자동차용 크랭크 축 지지 구조
KR100280625B1 (ko) V형 엔진의 소음 감소 구조
KR100270903B1 (ko) 차량의 엔진
CA2512396A1 (en) Optimized linear engine
KR100307956B1 (ko) 엔진의크랭크샤프트기어
RU2309273C2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CA1055345A (en) Balancing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9980022677A (ko) 자동차용 메인베어링(main bearing)구조
KR19980048079A (ko) 자동차용 엔진의 크랭크샤프트 풀리
KR20000011806U (ko) 분리형 베어링 빔을 갖는 자동차의 베어링 캡
KR19980064588U (ko) 자동차용 크랭크샤프트
JPH0223763Y2 (ko)
KR200389358Y1 (ko) 복동(複動)식 기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