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91892B1 - 부력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부력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1892B1
KR102691892B1 KR1020230160648A KR20230160648A KR102691892B1 KR 102691892 B1 KR102691892 B1 KR 102691892B1 KR 1020230160648 A KR1020230160648 A KR 1020230160648A KR 20230160648 A KR20230160648 A KR 20230160648A KR 102691892 B1 KR102691892 B1 KR 102691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ser
unit
intake val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0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엔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엔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엔웨어
Priority to KR1020230160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1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1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18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63C9/12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 B63C9/125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Measur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4Arrangements of inflating valves or of controls thereof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 조정 장치는 공기 저장 공간을 지니며 방수 재질로 이루어진 피복부; 사용자가 수중에서 호흡에 필요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통의 공기를 상기 피복부의 공기 저장 공간으로 주입하도록 구성된 흡기 밸브; 상기 피복부의 공기 저장 공간에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기 밸브; 상기 피복부를 착용한 사용자의 생명 정보를 센싱하도록 구성된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전송받은 생명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사용자가 비상 상황에 있을 경우 상기 배기 밸브를 차단하고 상기 흡기 밸브를 최대로 오픈하도록 상기 흡기 밸브 및 상기 배기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력 조정 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BUOYANCY}
본 발명은 부력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의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수상 레저나 해양 레저와 같이 물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레저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레저뿐만 아니라 수중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산업 환경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여가 생활이나 산업 환경에서 시간이 갈수록 많은 사람들이 수중에서 활동해야 하는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수중은 지상과는 전혀 다른 환경으로 이므로 안전 사고의 위험이 항시 존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람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수중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등록특허 10-2076999 (공고일 : 2020년04월07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 조정 장치는 사용자가 비상 상황에 처할 경우 사용자의 부상을 돕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공기 저장 공간을 지니며 방수 재질로 이루어진 피복부; 사용자가 수중에서 호흡에 필요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통의 공기를 상기 피복부의 공기 저장 공간으로 주입하도록 구성된 흡기 밸브; 상기 피복부의 공기 저장 공간에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기 밸브; 상기 피복부를 착용한 사용자의 생명 정보를 센싱하도록 구성된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전송받은 생명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사용자가 비상 상황에 있을 경우 상기 배기 밸브를 차단하고 상기 흡기 밸브를 최대로 오픈하도록 상기 흡기 밸브 및 상기 배기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부력 조정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센싱부는 상기 사용자의 호흡을 센싱하도록 구성된 호흡 센서, 상기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심박 센서, 및 상기 사용자의 모션을 센싱하도록 구성된 모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호흡 센서, 상기 심박 센서 및 상기 모션 센서 중 하나의 생명 정보가 위험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정상 상황으로 도출하고, 상기 호흡 센서, 상기 심박 센서 및 상기 모션 센서 중 적어도 두 개의 생명 정보가 위험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비상 상황으로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부력 조정 장치는 상기 공기통과 상기 흡기 밸브 사이의 공기 유로에 상기 공기통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줄이는 감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는 사용자의 자동 상승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흡기 밸브 및 상기 배기 밸브의 개폐량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설정된 안전 상승 속도 이내로 부상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상기 공기통의 압력을 센싱하는 공기통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공기통 압력센서로부터 전송된 압력 정보를 통하여 상기 공기통의 현재 압력을 도출하여 상기 현재 압력이 최소 필요 압력 이상인지를 도출하고, 상기 현재 압력이 상기 최소 필요 압력이 될 경우 비상 상황에서 상기 흡기 밸브와 상기 배기 밸브를 동시에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부력 조정 장치는 상기 피복부의 공기 저장 공간을 조이도록 구성된 전동 조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전동 조임부를 동작시켜 상기 피복부를 조여 상기 공기 저장 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상기 피복부의 부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전동 조임부가 동작할 때 상기 흡기 밸브를 차단하고 상기 배기 밸브를 오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 조정 장치는 사용자가 비상 상황에 처할 경우 흡기 밸브를 개방하여 공기통의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사용자를 신속하게 수면 위로 부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 조정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상 상황 및 정상 상황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는 전동 조임부의 구성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 조정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 조정 장치는 피복부(110), 흡기 밸브(130), 배기 밸브(150), 센싱부(170), 및 컨트롤부(190)를 포함한다.
피복부(110)는 공기 저장 공간을 지니며 방수 재질로 이루어진다. 피복부(110)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복부(110)는 조끼 형태일수도 있고, 백마운트(back-mount) 형태일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 저장 공간을 위하여 피복부(110)는 복수 겹의 방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기 밸브(130)는 사용자가 수중에서 호흡에 필요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통(210)의 공기를 피복부(110)의 공기 저장 공간으로 주입하도록 구성된다. 즉, 공기통(210)은 사용자의 호흡 및 부력에 쓰이는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공기통(210)과 흡기 밸브(130) 사이와 흡기 밸브(130)와 피복부(110) 사이는 튜브 형태의 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흡기 밸브(130)가 열려 피복부(110)의 공기 저장 공간으로 공기가 주입되면 피복부(110)가 부풀게 되어 사용자가 부상할 수 있는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배기 밸브(150)는 피복부(110)의 공기 저장 공간에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피복부(110)와 배기 밸브(150) 역시 튜브 형태의 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배기 밸브(150)가 열려 피복부(110)의 공기 저장 공간으로부터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 피복부(110)가 수축하게 되어 부력이 감소되어 사용자의 부상 속도가 늦춰지거나 가라앉을 수 있다.
흡기 밸브(130)와 배기 밸브(150)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와 같은 밸브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싱부(170)는 피복부(1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생명 정보를 센싱하도록 구성된다. 생명 정보는 피복부(110)를 착용한 사용자의 호흡, 심박, 모션(motion)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트롤부(190)는 센싱부(170)로부터 전송받은 생명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가 비상 상황에 있을 경우 배기 밸브(150)를 차단하고 흡기 밸브(130)를 최대로 오픈하도록 흡기 밸브(130) 및 배기 밸브(15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비상 상황일 경우 사용자의 생명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잠수병의 위험을 감수하고라도 부력을 신속하게 증가시켜 가능한 한 빨리 사용자를 부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잠수병의 경우, 수중에 있던 사용자가 분당 9m 이상의 속도로 부상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목숨이 위태로운 비상 상황일 경우 잠수병의 발생가능성보다 사용자를 보다 빨리 부상시키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상 상황에서 흡기 밸브(130)를 최대로 개방하여 공기 주입 속도를 최대로 함으로서 사용자를 분당 9m 이상의 속도로 부상시킬 수 있는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비상 상황에서 공기 저장 공간에 공기를 빨리 주입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컨트롤부(190)는 배기 밸브(150)를 차단하여 공기 저장 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 조절 장치는 센싱부(170), 흡기 밸브(130), 배기 밸브(150), 컨트롤부(190)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부(190)는 본 발명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로직, 명령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70)는 사용자의 호흡을 센싱하도록 구성된 호흡 센서(171),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심박 센서(172), 및 사용자의 모션을 센싱하도록 구성된 모션 센서(17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부(190)는 호흡 센서(171), 심박 센서(172) 및 모션 센서(173) 중 하나의 생명 정보가 위험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 사용자의 상황을 정상 상황으로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부(190)는 호흡 센서(171), 심박 센서(172) 및 모션 센서(173) 중 적어도 두 개의 생명 정보가 위험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 사용자의 상황을 비상 상황으로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실제 상황이 비상 상황이 아닌 정상 상황이거나 센서의 오작동 등으로 인한 급속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호흡 센서(171), 심박 센서(172) 및 모션 센서(173) 중 하나의 생명 정보가 위험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를 비상 상황이 아닌 정상 상황으로 도출할 수 있다.
하지만 3 개의 센서 중 2개 이상의 생명 정보가 위험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 사용자의 실제 상황이 비상 상황일 가능성이 크므로 컨트롤부(190)는 흡기 밸브(130)를 최대로 개방하여 피복부(110)의 부력을 최대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신속하게 수면으로 부상되도록 할 수 있다.
호흡 정보, 심박 정보 및 모션 정보가 위험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의 호흡, 심박 및 모션이 거의 멈춰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위험 기준값은 설계, 제조 과정, 그리고 본 발명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다.
모션 센서(173)는 사용자의 손이나 발에 부착가능한 자이로 센서일 수도 있고, 손가락 등에 착용가능한 스트레치 센서일 수 있다. 호흡 센서(171)는 사용자의 흉부에 부착되어 호흡에 따른 흉부의 팽창과 수축을 센싱하거나 사용자의 입을 통하여 흡입하는 공기를 센싱하는 유량 센서일 수도 있다. 심박센서는 사용자의 흉부에 부착하는 심전도 센서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와 같은 모션 센서(173), 호흡 센서(171) 및 심박 센서(172)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다르게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1개의 센서만이라도 위험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 컨트롤부(190)는 비상 상황에 따라 흡기 밸브(130)와 배기 밸브(15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 조정 장치는 공기통(210)과 흡기 밸브(130) 사이의 공기 유로에 공기통(210)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줄이는 감압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통(210)은 고압의 공기를 보관하므로 흡기 밸브(130)가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압부(230)가 공기의 압력을 낮춤으로써 흡기 밸브(130)의 공기 유량 조절 기능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부(190)는 사용자의 자동 상승 모드 선택에 따라 흡기 밸브(130) 및 배기 밸브(150)의 개폐량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설정된 안전 상승 속도 이내로 부상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예를 들어, 키패드, 스위치, 노브 등)(미도시)를 조작하여 자동 상승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입력부를 조작하여 안전 상승 속도를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설정된 안전 상승 속도는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센싱부(170)는 수심 센서(174)를 포함하고, 컨트롤부(190)는 타이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부(190)는 수심 센서(174)의 수심 정보와 타이머의 시간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의 상승 속도를 계산하고, 상승 속도와 안전 상승 속도를 비교할 수 있다.
잠수병은 수중에서 활동하던 사람이 과도하게 빠른 속도로 수면 위에 올라올 경우 체내의 질소가 정상적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기화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잠수병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람의 적정 상승 속도(예를 들어, 분당 9 미터 이내)가 권장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설정된 안정 상승 속도 이내로 부상하기 위하여 흡기 밸브(130) 및 배기 밸브(150)를 통하여 부력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전하게 수면으로 부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70)는 공기통(210)의 압력을 센싱하는 공기통 압력센서(175)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통 압력센서(175)는 공기통(210)의 포트에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부(190)는 공기통 압력센서(175)로부터 전송된 압력 정보를 통하여 공기통(210)의 현재 압력을 도출하여 현재 압력이 최소 필요 압력 이상인지를 도출할 수 있다.
컨트롤부(190)는 현재 압력이 최소 필요 압력이 될 경우 비상 상황에서 흡기 밸브(130)와 배기 밸브(150)를 동시에 차단할 수 있다.
메모리부에는 최소 필요 압력이 저장될 수 있다. 최소 필요 압력은 사용자가 수중에서 호흡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필요한 공기량에 해당될 수 있다. 최소 필요 압력은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하여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비상 상황이더라도 사용자가 호흡할 공기는 필요하므로 컨트롤부(190)는 현재 압력이 최소 필요 압력이 될 때 흡기 밸브(130)를 차단함으로써 공기통(210)의 공기가 피복부(110) 내부로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 밸브(150) 역시 차단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피복부(110)에 현재까지 주입된 공기에 의한 부력으로 사용자가 부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 조정 장치는 피복부(110)의 공기 저장 공간을 조이도록 구성된 전동 조임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부(190)는 전동 조임부(250)를 동작시켜 피복부(110)를 조여 공기 저장 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피복부(110)의 부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배기 밸브(150)가 오픈되더라도 사용자가 수중으로 일정 정도 내려가면 수압에 의하여 공기 저장 공간의 공기가 배기 밸브(150)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동 조임부(250)가 공기 저장 공간을 조이도록 힘을 피복부(110)에 가함으로써 공기가 피복부(110) 외부로 비교적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전동 조임부(250)는 설정된 수심 이하에서만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컨트롤부(190)는 수심 센서(174)로부터 수심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수심 정보와 설정된 수심을 비교하여 전동 조임부(250)의 동작 가능 여부를 도출할 수 있다.
컨트롤부(190)는 전동 조임부(250)가 동작할 때 흡기 밸브(130)를 차단하고 배기 밸브(150)를 오픈할 수 있다. 전동 조임부(250)가 피복부(110)를 조임으로써 공기 저장 공간에 있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배기 밸브(150)는 오픈되고 흡기 밸브(130)는 차단됨으로써 전동 조임부(250) 동작에 따라 공기 저장 공간의 공기가 원활하게 피복부(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전동 조임부(250)의 구성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의 상측은 전동 조임부(250)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3의 하측은 전동 조임부(250)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조임부(250)는 스풀부(251), 와이어(253) 및 모터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253)는 피복부(110)의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253)는 외부에 노출될 수도 있고, 방수 재질의 커버 레이어가 와이어(253)를 덮을 수 있다.
와이어(253)의 일단은 스풀부(251)의 중심축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피복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253)와 피복수의 연결 부위를 강화하기 위하여 내구성이 강한 강화 부재(257)가 피복부(110)에 단단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이탈 방지부(259)가 피복부(110)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탈 방지부(259)의 양끝단이 피복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253)는 이탈 방지부(259)와 피복부(1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동 조임부(250)의 동작에 따라 와이어(253)가 감기거나 풀릴 때 와이어(253)가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모터부(255)의 구동축은 풀리부의 중심축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부(255)가 컨트롤부(190)의 제어에 따라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와이어(253)가 스풀부(251)의 중심축을 감게 되고, 이에 따라 피복부(110)가 조여지게 될 수 있다.
또한 모터부(255)가 컨트롤부(190)의 제어에 따라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와이어(253)가 스풀부(251)의 중심축으로부터 풀리면서 피복부(110)의 조임이 풀리게 될 수 있다.
모터부(255)는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피복부(110)
흡기 밸브(130)
배기 밸브(150)
센싱부(170)
호흡 센서(171)
심박 센서(172)
모션 센서(173)
수심 센서(174)
공기통 압력센서(175)
컨트롤부(190)
공기통(210)
감압부(230)
전동 조임부(250)
스풀부(251)
와이어(253)
모터부(255)
강화 부재(257)
이탈 방지부(259)

Claims (7)

  1. 공기 저장 공간을 지니며 방수 재질로 이루어진 피복부;
    사용자가 수중에서 호흡에 필요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통의 공기를 상기 피복부의 공기 저장 공간으로 주입하도록 구성된 흡기 밸브;
    상기 피복부의 공기 저장 공간에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기 밸브;
    상기 피복부를 착용한 사용자의 생명 정보를 센싱하도록 구성된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전송받은 생명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사용자가 비상 상황에 있을 경우 상기 배기 밸브를 차단하고 상기 흡기 밸브를 최대로 오픈하도록 상기 흡기 밸브 및 상기 배기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통은 사용자의 호흡 및 부력에 쓰이는 공기를 제공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공기통의 압력을 센싱하는 공기통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비상상황에서 상기 배기 밸브의 차단 및 상기 흡기 밸브의 최대 오픈 상태에서 상기 공기통 압력센서로부터 전송된 압력 정보를 통하여 상기 공기통의 현재 압력을 도출하여 상기 현재 압력이 사용자가 수중에서 호흡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필요한 공기량에 해당되는 최소 필요 압력 이상인지를 도출하고,
    상기 현재 압력이 상기 최소 필요 압력이 될 경우 상기 비상 상황에서도 상기 흡기 밸브와 상기 배기 밸브를 동시에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조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사용자의 호흡을 센싱하도록 구성된 호흡 센서, 상기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심박 센서, 및 상기 사용자의 모션을 센싱하도록 구성된 모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호흡 센서, 상기 심박 센서 및 상기 모션 센서 중 하나의 생명 정보가 위험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정상 상황으로 도출하고,
    상기 호흡 센서, 상기 심박 센서 및 상기 모션 센서 중 적어도 두 개의 생명 정보가 위험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비상 상황으로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조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과 상기 흡기 밸브 사이의 공기 유로에 상기 공기통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줄이는 감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조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사용자의 자동 상승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흡기 밸브 및 상기 배기 밸브의 개폐량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설정된 안전 상승 속도 이내로 부상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조정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의 공기 저장 공간을 조이도록 구성된 전동 조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전동 조임부를 동작시켜 상기 피복부를 조여 상기 공기 저장 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상기 피복부의 부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조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전동 조임부가 동작할 때 상기 흡기 밸브를 차단하고 상기 배기 밸브를 오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조정 장치.
KR1020230160648A 2023-11-20 2023-11-20 부력 조정 장치 KR102691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0648A KR102691892B1 (ko) 2023-11-20 2023-11-20 부력 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0648A KR102691892B1 (ko) 2023-11-20 2023-11-20 부력 조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91892B1 true KR102691892B1 (ko) 2024-08-06

Family

ID=92394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0648A KR102691892B1 (ko) 2023-11-20 2023-11-20 부력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918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5487A (ja) * 1999-05-26 2000-12-05 Apollo Sports:Kk 潜水用ドライスーツ
KR20150029477A (ko) * 2013-09-10 2015-03-18 이한영 무게추 겸용 기도 확보 기능을 가지는 해녀 구명장치
KR102076999B1 (ko) 2017-12-07 2020-04-07 박영찬 수상 슈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5487A (ja) * 1999-05-26 2000-12-05 Apollo Sports:Kk 潜水用ドライスーツ
KR20150029477A (ko) * 2013-09-10 2015-03-18 이한영 무게추 겸용 기도 확보 기능을 가지는 해녀 구명장치
KR102076999B1 (ko) 2017-12-07 2020-04-07 박영찬 수상 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4404A (en) Breathing apparatus
CA2630188C (en) Safety device, diving equipment and safety method for scuba diving
EP2049390B1 (en) Pressure activated device and breathing system
US11225309B2 (en) Low pressure surface supplied air system and method
EP0377919B1 (en) Skin diving snorkel
US5893362A (en) Snorkelling device
US4793341A (en)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 having a repository
US20170253311A1 (en) Regulator for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
KR102691892B1 (ko) 부력 조정 장치
US20090139440A1 (en) Submarine escape suit
WO2005035356A1 (en) Breath-hold diving life-jacket
US5408993A (en) Snorkel and buoyancy vest with manual controls
US9220854B1 (en) Breath bellows
KR101930170B1 (ko) 구명 조끼
KR101772188B1 (ko) 스킨스쿠버용 인플레이터 자동 개폐장치
GB2298141A (en) Counterlung breathing apparatus
JP4059018B2 (ja) 海底歩行システム
CN220298727U (zh) 干式潜水服
JPH1053193A (ja) 潜水呼吸の可能なスノーケル
KR101278134B1 (ko) 구명장치
CA2140523C (en) Breathing device
CN108820164A (zh) 一种支持呼吸和饮水功能的救生衣
EP2212188B1 (en) Lifejacket including air bubbles and/or air cells
KR810000478Y1 (ko) 휴대용 수중 보조탱크
KR200190760Y1 (ko) 수영용 안전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