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4141B1 - 수익률 자동 산출을 통한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익률 자동 산출을 통한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4141B1
KR102684141B1 KR1020240030460A KR20240030460A KR102684141B1 KR 102684141 B1 KR102684141 B1 KR 102684141B1 KR 1020240030460 A KR1020240030460 A KR 1020240030460A KR 20240030460 A KR20240030460 A KR 20240030460A KR 102684141 B1 KR102684141 B1 KR 102684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rice
amount
inventory
compa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30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원유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원유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원유업
Priority to KR1020240030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41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4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41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수익률 자동 산출을 통한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제1 업체의 유제품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업체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제품을 입고일 별로 구분하여, 제1 일자에 입고되어 상기 제1 업체에 보관되어 있는 상기 제1 제품을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상기 제1 제품의 재고량을 제1 재고량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제품의 가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일자에 상기 제1 제품의 입고 가격을 제1 가격으로 확인하고, 현재 일자에 상기 제1 제품의 출고 가격을 제2 가격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가격에서 상기 제1 가격을 뺀 값으로 제3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3 가격과 상기 제1 재고량을 곱한 값으로 제4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가격과 상기 제1 재고량을 곱한 값으로 제5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4 가격을 상기 제5 가격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하여 제1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상기 제1 제품의 수익률을 상기 제1 비율로 설정하여, 상기 제1 업체의 유제품 재고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익률 자동 산출을 통한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자동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익률 자동 산출을 통한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NVENTORY MANAGEMENT AND AUTOMATING ORDER PROCESSING FOR DAIRY DISTRIBUTION THROUGH AUTOMATIC CALCULATION OF RATE OF RETURN}
아래 실시예들은 수익률 자동 산출을 통한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자동화를 수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유제품은 우유를 가공하여 만든 식품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버터, 치즈, 분유, 연유 등이 이에 속한다.
유제품의 유통을 관리하기 위해, 유제품의 종류에 따라 재고 관리와 주문 처리가 진행되고 있으나, 유제품의 종류에 따라 가격 변동과 유통기한이 상이하기 때문에, 유제품의 종류 별로 재고 관리와 주문 처리를 개별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유제품의 종류와 상관없이 통합적으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를 수행하고, 추가적으로 유제품의 수익률을 산출하여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565425호 한국등록특허 제10-2558440호 한국등록특허 제10-2556922호 한국등록특허 제10-2452440호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익률 자동 산출을 통한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자동화를 수행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수익률 자동 산출을 통한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제1 업체의 유제품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업체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제품을 입고일 별로 구분하여, 제1 일자에 입고되어 상기 제1 업체에 보관되어 있는 상기 제1 제품을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상기 제1 제품의 재고량을 제1 재고량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제품의 가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일자에 상기 제1 제품의 입고 가격을 제1 가격으로 확인하고, 현재 일자에 상기 제1 제품의 출고 가격을 제2 가격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가격에서 상기 제1 가격을 뺀 값으로 제3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3 가격과 상기 제1 재고량을 곱한 값으로 제4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가격과 상기 제1 재고량을 곱한 값으로 제5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4 가격을 상기 제5 가격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하여 제1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상기 제1 제품의 수익률을 상기 제1 비율로 설정하여, 상기 제1 업체의 유제품 재고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익률 자동 산출을 통한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자동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수익률 자동 산출을 통한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자동화 방법은, 상기 현재 일자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 이전까지 제1 기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업체의 유제품 출고 내역을 기반으로,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1 업체에서 외부로 출고된 상기 제1 제품의 일별 출고량을 확인하고, 상기 제1 기간 동안의 일별 출고량에 대한 평균으로 제1 출고량을 산출하는 단계; 제1 업체의 유제품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업체에 보관되어 있는 상기 제1 제품의 전체 재고량을 제2 재고량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제품의 최소 보유 재고량이 제3 재고량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재고량에서 상기 제3 재고량을 뺀 값으로 제4 재고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4 재고량을 상기 제1 출고량으로 나눈 값에서 소수점을 올림하여 제1 일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일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일수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기준 일수에서 상기 제1 일수를 뺀 값으로 제2 일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출고량과 상기 제2 일수를 곱한 값으로 제1 주문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주문량에 대한 상기 제1 제품의 주문이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업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품의 최소 보유 재고량이 제3 재고량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간 내에서 휴일 기간을 제1-1 기간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제1 업체의 유제품 출고 내역을 기반으로, 상기 제1-1 기간 동안 상기 제1 업체에서 외부로 출고된 상기 제1 제품의 일별 출고량을 확인하고, 상기 제1-1 기간 동안의 일별 출고량에 대한 평균으로 제2 출고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출고량과 상기 제2 출고량 간의 차이를 제1 차이량으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차이량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가중치를 0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차이량이 상기 제1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서 상기 제1 출고량이 상기 제2 출고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차이량이 클수록 0부터 -1까지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가중치를 더 낮은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차이량이 상기 제1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서 상기 제2 출고량이 상기 제1 출고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차이량이 클수록 0부터 1까지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가중치를 더 높은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일자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 기간 이후까지 제2 기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기간 내에서 휴일 기간을 제2-1 기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기간의 일수를 제3 일수로 설정하고, 상기 제2-1 기간의 일수를 제4 일수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4 일수를 상기 제3 일수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하여 제2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2 비율을 곱한 값으로 제2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가중치가 0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3 재고량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가중치가 0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가중치와 1을 더한 값으로 제3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가중치와 상기 제3 재고량을 곱한 값으로 상기 제3 재고량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고일 별로 구분하여 유제품의 수익률을 산출함으로써, 유제품의 수익률을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제품의 종류 별로 출고량과 재고량을 확인하여 주문 필요 여부를 통지함으로써, 유제품의 종류와 상관없이 통합적으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를 자동으로 처리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수익률 자동 산출을 통한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자동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출고량 및 재고량을 고려하여 제품 주문이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휴일 기간을 고려하여 제3 재고량에 대한 조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SNS 관심사를 고려하여 제3 재고량에 대한 조정을 추가로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창고 내의 각 구역을 상이한 색으로 표시한 재고 현황 페이지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인접 구역의 상태에 따라 경고 구역으로 분류된 구역을 상이한 채도의 색상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복수의 업체 단말(100) 및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와 서버 간의 통신과 서버와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업체 단말(100) 각각은 통신 기능을 갖춘 연산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데스크톱 PC, 랩탑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POS 단말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복수의 업체 단말(100)은 유제품을 유통하는 업체에서 사용하는 단말로, 제1 업체에서 사용하는 제1 업체 단말(110), 제2 업체에서 사용하는 제2 업체 단말(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업체 단말(110)의 동작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제2 업체 단말(120) 등의 다른 업체 단말에서 제1 업체 단말(110)의 동작을 대신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복수의 업체 단말(100) 각각은 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장치(200)로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업체 단말(100) 각각에는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장치(200)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장치(200)는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장치(20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200)는 복수의 업체 단말(100)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업체 단말(1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고, 복수의 업체 단말(100) 각각의 화면에 어느 정보를 표시할 것인지에 대해 제어할 수 있다.
장치(200)는 수익률 자동 산출을 통해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구현되어,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에 대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복수의 업체 단말(100) 중 제1 업체 단말(110) 및 제2 업체 단말(120)만을 도시하였으나, 단말들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장치(200)의 처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단말들의 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수익률 자동 산출을 통한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자동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S2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업체의 유제품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업체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제품을 입고일 별로 구분하여, 제1 일자에 입고되어 제1 업체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제품을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제1 제품의 재고량을 제1 재고량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품은 제1 업체에서 유통하는 유제품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품을 의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업체 별로 구분되어 있는 유제품 재고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유제품 재고 정보는 제품명, 입고일, 재고량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동일한 제품이더라도 입고일이 상이한 경우, 입고일 별로 구분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200)는 제1 업체에 유제품들이 새로 입고되거나, 제1 업체에서 유제품들이 외부로 출고되는 것을 추적하여, 제1 업체의 유제품 재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 업체에서 유통하는 제품에는 바코드가 부착되어 있어, 바코드의 인식을 통해 제품의 입고부터 출고까지 추적하여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업체의 유제품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업체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제품을 입고일 별로 구분한 결과, 1월10일에 입고된 제1 제품이 10개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1월15일에 입고된 제1 제품이 20개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1월10일에 입고된 10개의 제1 제품을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1월15일에 입고된 20개의 제1 제품을 제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제품의 가격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일자에 제1 제품의 입고 가격을 제1 가격으로 확인하고, 현재 일자에 제1 제품의 출고 가격을 제2 가격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품의 가격 정보는 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될 수 있으며, 가격 정보는 일자별 입고 가격과 일자별 출고 가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매일 변동되는 입고 가격과 출고 가격이 추가로 누적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품의 가격 정보에 1월10일의 입고 가격이 90원, 1월11일의 입고 가격이 91원, 1월12일의 입고 가격이 93원으로 일자별 입고 가격이 저장되어 있고, 1월10일의 출고 가격이 100원, 1월11일의 출고 가격이 102원, 1월12일의 출고 가격이 105원으로 일자별 출고 가격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장치(200)는 제1 일자가 1월10일이고, 현재 일자가 1월20일로 확인되면, 1월10일의 입고 가격인 90원을 제1 가격으로 확인하고, 1월12일의 출고 가격인 105원을 제2 가격으로 확인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가격에서 제1 가격을 뺀 값으로 제3 가격을 산출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3 가격과 제1 재고량을 곱한 값으로 제4 가격을 산출할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가격과 제1 재고량을 곱한 값으로 제5 가격을 산출할 수 있다.
S2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4 가격을 제5 가격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하여 제1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재고량이 50개로 확인되고, 제1 가격이 100원으로 확인되고, 제2 가격이 110원으로 확인된 경우, 장치(200)는 (110 - 100)을 통해 제3 가격을 10원으로 산출하고, (10 X 50)을 통해 제4 가격을 500원으로 산출하고, (100 X 50)을 통해 제5 가격을 5000원으로 산출하고, (500 / 5000 X 100)을 통해 제1 비율을 10%로 산출할 수 있다.
S2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제1 제품의 수익률을 제1 비율로 설정하여, 제1 업체의 유제품 재고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업체의 유제품 재고 정보에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제1 제품의 수익률이 제1 비율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추가되어, 제1 업체의 유제품 재고 정보가 갱신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200)는 제1 업체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제품의 입고일이 상이한 경우, 입고일 별로 제1 제품을 그룹화하여 분류하고, S201 단계 내지 S207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각 그룹 별로 제1 제품의 수익률을 각각 산출할 수 있고, 그룹 별로 산출된 수익률의 평균을 제1 업체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제품 전체의 수익률로 산출할 수 있으며, 그룹 별로 산출된 수익률에 대한 정보와 제1 제품 전체의 수익률에 대한 정보를 제1 업체의 유제품 재고 정보에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출고량 및 재고량을 고려하여 제품 주문이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 순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각 단계는 도 2에 도시된 각 단계가 수행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301 단계에서, 장치(200)는 현재 일자를 기준으로 기준 기간 이전까지 제1 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기간이 10일로 설정되어 있고, 현재 일자가 1월15일로 확인된 경우, 장치(200)는 1월15일로부터 10일 이전의 일자를 1월5일로 확인하고, 1월5일부터 1월15일까지 제1 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업체의 유제품 출고 내역을 기반으로, 제1 기간 동안 제1 업체에서 외부로 출고된 제1 제품의 일별 출고량을 확인하고, 제1 기간 동안의 일별 출고량에 대한 평균으로 제1 출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제품 출고 내역은 업체에서 외부로 제품을 출고한 출고 내역이 누적된 정보로, 어느 일자에 어느 제품을 얼마나 많이 출고하였는지 나타내는 리스트로 구성될 수 있고, 제품명, 출고일, 출고량, 출고 장소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간이 1월5일부터 1월7일까지로 설정된 경우, 장치(200)는 제1 업체의 유제품 출고 내역을 기반으로, 제1 제품의 1월5일 출고량이 8개, 제1 제품의 1월6일 출고량이 10개, 제1 제품의 1월7일 출고량이 12개로 확인되면, 8개, 10개 및 12개의 평균인 10개를 제1 출고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업체의 유제품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업체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제품의 전체 재고량을 제2 재고량으로 확인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제품의 최소 보유 재고량이 제3 재고량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품의 최소 보유 재고량은 제1 업체에서 제1 제품을 유통하기 위해 최소로 보유해야 하는 것으로 설정된 제1 제품의 재고량으로,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제품의 최소 보유 재고량은 제1 제품의 일별 출고량이 많을수록 더 높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고, 제1 제품의 유통 기한이 길수록 더 높은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장치(200)는 제1 제품의 최소 보유 재고량이 제3 재고량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때, 휴일 기간을 고려하여 제3 재고량에 대한 조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S3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재고량에서 제3 재고량을 뺀 값으로 제4 재고량을 산출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4 재고량을 제1 출고량으로 나눈 값에서 소수점을 올림하여 제1 일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고량이 10개이고, 제2 재고량이 93개이고, 제3 재고량이 50개인 경우, 장치(200)는 (93 - 50)을 통해 제4 재고량을 43개로 산출할 수 있고, (43 / 10)을 통해 산출된 4.3에서 소수점을 올림하여 제1 일수를 5일로 산출할 수 있다.
S3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일수가 기준 일수 보다 짧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일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307 단계에서 제1 일수가 기준 일수 보다 짧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미리 정해진 기간이 지난 이후, S301 단계로 되돌아가, 현재 일자를 기준으로 기준 기간 이전까지 제1 기간으로 설정하는 과정부터 다시 수행될 수 있다.
S307 단계에서 제1 일수가 기준 일수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S308 단계에서, 장치(200)는 기준 일수에서 제1 일수를 뺀 값으로 제2 일수를 산출할 수 있다.
S309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출고량과 제2 일수를 곱한 값으로 제1 주문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고량이 10개이고, 기준 일수가 5일이고 제1 일수가 3일인 경우, 장치(200)는 (5 - 3)을 통해 제2 일수를 2일로 산출하고, (10 X 2)를 제1 주문량을 20개로 산출할 수 있다.
S310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주문량에 대한 제1 제품의 주문이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업체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제1 업체의 주문 설정이 자동 설정으로 확인되면, 제1 주문량에 대한 제1 제품을 제1 업체로 공급하는 것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제1 제품을 공급하는 공급 업체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휴일 기간을 고려하여 제3 재고량에 대한 조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기간 내에서 휴일 기간을 제1-1 기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휴일 기간은 주말, 공휴일, 국경일, 명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업체의 유제품 출고 내역을 기반으로, 제1-1 기간 동안 제1 업체에서 외부로 출고된 제1 제품의 일별 출고량을 확인하고, 제1-1 기간 동안의 일별 출고량에 대한 평균으로 제2 출고량을 산출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출고량과 제2 출고량 간의 차이를 제1 차이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제1 출고량이 제2 출고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출고량에서 제2 출고량을 뺀 값으로 제1 차이량을 산출할 수 있고, 제2 출고량이 제1 출고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출고량에서 제1 출고량을 뺀 값으로 제1 차이량을 산출할 수 있고, 제1 출고량과 제2 출고량이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차이량을 0개로 산출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차이량이 제1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범위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제1 차이량이 제1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4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가중치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제1 차이량이 제1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4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출고량이 제2 출고량 보다 많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제1 출고량이 제2 출고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S4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차이량이 클수록 제1 가중치를 더 낮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중치는 0부터 -1까지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출고량이 20개이고 제2 출고량이 15개인 경우, 제1 차이량을 5개로 산출하고, 제1 가중치를 -0.1로 설정할 수 있고, 제1 출고량이 20개이고 제2 출고량이 14개인 경우, 제1 차이량을 6개로 산출하고, 제1 가중치를 -0.2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차이량이 제1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서 제1 출고량이 제2 출고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차이량이 클수록 0부터 -1까지 범위 내에서 제1 가중치를 더 낮은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제1 기간 동안의 일별 출고량의 평균과 제1-1 기간 동안의 일별 출고량의 평균을 비교하여, 제1 기간 동안의 출고량이 제1-1 기간 동안의 출고량 보다 일정 이상으로 많은 경우, 휴일 기간에 제1 제품이 더 적게 출고되어, 이를 반영하기 위해, 제1 가중치를 더 낮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제1 출고량이 제2 출고량 보다 많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출고량이 제1 출고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될 수 있고, 제2 출고량이 제1 출고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S4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차이량이 클수록 제1 가중치를 더 높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중치는 0부터 1까지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출고량이 20개이고 제2 출고량이 25개인 경우, 제1 차이량을 5개로 산출하고, 제1 가중치를 0.1로 설정할 수 있고, 제1 출고량이 20개이고 제2 출고량이 26개인 경우, 제1 차이량을 6개로 산출하고, 제1 가중치를 0.2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차이량이 제1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서 제2 출고량이 제1 출고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차이량이 클수록 0부터 1까지 범위 내에서 제1 가중치를 더 높은 값으로 설정으로써, 제1 기간 동안의 일별 출고량의 평균과 제1-1 기간 동안의 일별 출고량의 평균을 비교하여, 제1-1 기간 동안의 출고량이 제1 기간 동안의 출고량 보다 일정 이상으로 많은 경우, 휴일 기간에 제1 제품이 더 많이 출고되어, 이를 반영하기 위해, 제1 가중치를 더 높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S405 단계, S407 단계 및 S408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통해 제1 가중치가 설정되면, S501 단계에서, 장치(200)는 현재 일자를 기준으로 기준 기간 이후까지 제2 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기간이 10일로 설정되어 있고, 현재 일자가 1월15일로 확인된 경우, 장치(200)는 1월15일로부터 10일 이후의 일자를 1월25일로 확인하고, 1월15일부터 1월25일까지 제2 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기간 내에서 휴일 기간을 제2-1 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기간의 일수를 제3 일수로 설정하고, 제2-1 기간의 일수를 제4 일수로 설정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4 일수를 제3 일수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하여 제2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일수가 5일이고, 제4 일수가 2일인 경우, 장치(200)는 (2 / 5 X 100)을 통해 제2 비율을 40%로 산출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가중치와 제2 비율을 곱한 값으로 제2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비율이 0.4인 경우, 장치(200)는 제1 가중치가 0으로 산출되면, (0 X 0.4)를 통해 제2 가중치를 0으로 산출하고, 제1 가중치가 -0.5로 산출되면, (-0.5 X 0.4)를 통해 제2 가중치를 -0.2로 산출하고, 제1 가중치가 0.5로 산출되면, (0.5 X 0.4)를 통해 제2 가중치를 0.2로 산출할 수 있다.
S5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가중치가 0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506 단계에서 제2 가중치가 0인 것으로 확인되면, S5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3 재고량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장치(200)는 제3 재고량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때, SNS 관심사를 고려하여 제3 재고량에 대한 조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S506 단계에서 제2 가중치가 0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S5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가중치와 1을 더한 값으로 제3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2 가중치가 -0.2로 산출되면, (-0.2 + 1)을 통해 제3 가중치를 0.8로 산출하고, 제2 가중치가 0.2로 산출되면, (0.2 + 1)을 통해 제3 가중치를 1.2로 산출할 수 있다.
S509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3 가중치와 제3 재고량을 곱한 값으로 제3 재고량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재고량이 50개인 경우, 장치(200)는 제3 가중치가 0.8로 산출되면, (0.8 X 50)을 통해 40개를 산출하고, 제3 재고량을 50개에서 40개로 조정할 수 있고, 제3 가중치가 1.2로 산출되면, (1.2 X 50)을 통해 60개를 산출하고, 제3 재고량을 50개에서 60개로 조정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SNS 관심사를 고려하여 제3 재고량에 대한 조정을 추가로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장치(200)는 SNS 상에 업로드된 게시물 중에서 제1 제품의 게시물을 제1 게시물로 구분하고, 제1 게시물을 업로드된 기간 별로 수집하여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크롤링(Crawling)을 통해, SNS 상에 업로드된 게시물 중에서 제1 제품의 게시물을 제1 게시물로 구분하고, 제1 게시물로 구분된 게시물을 업로드된 기간 별로 분류하고, 업로드된 기간 별로 분류된 제1 게시물을 수집하여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크롤링은 온라인 상에 공개된 정보를 수집하여 검색 대상의 색인으로 포함시키는 기술로, 장치(200)는 크롤링을 통해 SNS 상에 업로드된 게시물 중에서 제1 제품의 게시물을 구분하고, 제1 제품의 게시물로 구분된 게시물을 제1 게시물로 수집하여 획득할 수 있다.
장치(200)는 SNS 상에 업로드된 게시물 중에서 제1 제품의 게시물을 구분할 때, 텍스트, 이미지 등의 분석을 통해 제1 제품의 게시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사용자의 SNS 상에 업로드된 게시물에 등록되어 있는 해시태그를 확인한 결과, 해시태그에 제1 제품의 제품명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사용자의 SNS 상에 업로드된 게시물을 제1 제품의 게시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장치(200)는 제1 사용자의 SNS 상에 업로드된 게시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를 확인한 결과, 이미지 내에 제1 제품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사용자의 SNS 상에 업로드된 게시물을 제1 제품의 게시물로 구분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기간 동안 업로드된 제1 게시물을 제1 게시물 그룹으로 분류하고, 제0 기간 동안 업로드된 제1 게시물을 제2 게시물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제0 기간은 제1 기간 이전의 기간으로, 제1 기간과 동일한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게시물 그룹으로 분류된 게시물의 수를 제1 게시물 수로 설정하고, 제2 게시물 그룹으로 분류된 게시물의 수를 제2 게시물 수로 설정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게시물 수 및 제2 게시물 수 간의 차이를 제1 차이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제1 게시물 수가 제2 게시물 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게시물 수에서 제2 게시물 수를 차감한 값으로 제1 차이값을 산출할 수 있고, 제2 게시물 수가 제1 게시물 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제2 게시물 수에서 제1 게시물 수를 차감한 값으로 제1 차이값을 산출할 수 있고, 제1 게시물 수와 제2 게시물 수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차이값을 0으로 산출할 수 있다.
S6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차이값이 제2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범위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605 단계에서 제1 차이값이 제2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6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3 재고량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605 단계에서 제1 차이값이 제2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6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게시물 수가 제2 게시물 수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607 단계에서 제1 게시물 수가 제2 게시물 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6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차이값이 클수록 제4 가중치를 더 높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4 가중치는 0부터 1까지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게시물 수가 110개이고 제2 게시물 수가 100개인 경우, 제1 차이값을 10개로 산출하고, 제4 가중치를 0.1로 설정할 수 있고, 제1 게시물 수가 120개이고 제2 게시물 수가 100개인 경우, 제1 차이값을 20개로 산출하고, 제4 가중치를 0.2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차이값이 제2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서 제1 게시물 수가 제2 게시물 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차이값이 클수록 0부터 1까지 범위 내에서 제4 가중치를 더 높은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제1 기간 동안 업로드된 제1 제품의 게시물 수와 제0 기간 동안 업로드된 제1 제품의 게시물 수를 비교하여, 제1 기간 동안 업로드된 제1 제품의 게시물 수가 제0 기간 동안 업로드된 제1 제품의 게시물 수 보다 일정 이상으로 큰 경우, 최근에 제1 제품의 게시물 수가 급증하고 있어, 이를 반영하기 위해, 제4 가중치를 더 높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S607 단계에서 제1 게시물 수가 제2 게시물 수 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2 게시물 수가 제1 게시물 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될 수 있고, 제2 게시물 수가 제1 게시물 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609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차이값이 클수록 제4 가중치를 더 낮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4 가중치는 0부터 -1까지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게시물 수가 90개이고 제2 게시물 수가 100개인 경우, 제1 차이값을 10개로 산출하고, 제4 가중치를 -0.1로 설정할 수 있고, 제1 게시물 수가 80개이고 제2 게시물 수가 100개인 경우, 제1 차이값을 20개로 산출하고, 제4 가중치를 -0.2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차이값이 제2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서 제2 게시물 수가 제1 게시물 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차이값이 클수록 0부터 -1까지 범위 내에서 제4 가중치를 더 낮은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제1 기간 동안 업로드된 제1 제품의 게시물 수와 제0 기간 동안 업로드된 제1 제품의 게시물 수를 비교하여, 제0 기간 동안 업로드된 제1 제품의 게시물 수가 제1 기간 동안 업로드된 제1 제품의 게시물 수 보다 일정 이상으로 큰 경우, 최근에 제1 제품의 게시물 수가 급감하고 있어, 이를 반영하기 위해, 제4 가중치를 더 낮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S608 단계 및 S609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통해 제4 가중치가 설정되면, S610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4 가중치와 1을 더한 값으로 제5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4 가중치가 -0.1로 산출되면, (-0.1 + 1)을 통해 제5 가중치를 0.9로 산출하고, 제4 가중치가 0.1로 산출되면, (0.1 + 1)을 통해 제5 가중치를 1.1로 산출할 수 있다.
S61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5 가중치와 제3 재고량을 곱한 값으로 제3 재고량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재고량이 50개인 경우, 장치(200)는 제5 가중치가 0.9로 산출되면, (0.9 X 50)을 통해 45개를 산출하고, 제3 재고량을 50개에서 45개로 조정할 수 있고, 제5 가중치가 1.1로 산출되면, (1.1 X 50)을 통해 55개를 산출하고, 제3 재고량을 50개에서 55개로 조정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창고 내의 각 구역을 상이한 색으로 표시한 재고 현황 페이지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업체 단말(110)로부터 제1 업체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제품들에 대한 재고 현황을 확인하기 위한 페이지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업체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제품들에 대한 재고 현황을 나타내기 위해 제1 업체의 창고에 대한 평면도가 표시되는 제1 페이지를 제1 업체 단말(110)로 제공하여, 제1 페이지가 제1 업체 단말(11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업체의 창고에 대한 평면도는 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업체의 창고가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 각 구역 별로 보관되어 있는 제품들의 수익률에 대한 평균으로 각 구역의 수익률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업체의 창고 내에서 어느 한 구역인 제1 구역에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제1 제품과 제2 그룹으로 분류된 제1 제품이 같이 보관되어 있는 경우, 장치(200)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제1 제품의 수익률이 20%로 확인되고, 제2 그룹으로 분류된 제1 제품의 수익률이 10%로 확인되면, 20%와 10%의 평균인 15%를 제1 구역의 수익률로 산출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장치(200)는 복수의 구역 중에서 수익률이 제1 기준 비율 보다 높은 구역을 우수 구역으로 분류하고, 복수의 구역 중에서 수익률이 제1 기준 비율 보다 높지 않지만 제2 기준 비율 보다 높은 구역을 보통 구역으로 분류하고, 복수의 구역 중에서 수익률이 제2 기준 비율 보다 높지 않은 구역을 경고 구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비율과 제2 기준 비율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기준 비율이 제2 기준 비율 보다 더 높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비율이 40%로 설정되어 있고, 제2 기준 비율이 20%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장치(200)는 제1 구역의 수익률이 50%로 확인되면, 제1 구역을 우수 구역으로 분류하고, 제1 구역의 수익률이 30%로 확인되면, 제1 구역을 보통 구역으로 분류하고, 제1 구역이 수익률이 10%로 확인되면, 제1 구역을 경고 구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S7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페이지 상에서 우수 구역으로 분류된 구역이 제1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제1 페이지 상에서 보통 구역으로 분류된 구역이 제2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제1 페이지 상에서 경고 구역으로 분류된 구역이 제3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페이지 상에서 경고 구역으로 분류된 구역이 제3 색상으로 표시될 때, 인접 구역의 상태에 따라 상이한 채도의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인접 구역의 상태에 따라 경고 구역으로 분류된 구역을 상이한 채도의 색상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S801 단계에서, 장치(200)는 복수의 구역 중에서 어느 하나인 제1 구역이 경고 구역으로 분류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구역과 맞닿아 있는 주변의 구역을 인접 구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업체의 창고에 대한 평면도를 기반으로, 제1 업체의 창고 내에서 제1 구역과 맞닿아 있는 주변의 구역을 인접 구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인접 구역 각각은 각 구역의 수익률에 따라 우수 구역, 보통 구역 및 경고 구역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되어 있는 상태이다.
S8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인접 구역 중에서 우수 구역으로 분류된 구역의 수를 제1 구역 수로 설정하고, 인접 구역 중에서 보통 구역으로 분류된 구역의 수를 제2 구역 수로 설정하고, 인접 구역 중에서 경고 구역으로 분류된 구역의 수를 제3 구역 수로 설정하고, 인접 구역으로 분류된 구역의 수를 제4 구역 수로 설정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구역 수를 제4 구역 수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하여 제3 비율을 산출하고, 제2 구역 수를 제4 구역 수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하여 제4 비율을 산출하고, 제3 구역 수를 제4 구역 수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하여 제5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S8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3 비율이 높을수록 제1 기준치를 더 높은 값으로 설정하고, 제4 비율이 높을수록 제2 기준치를 더 높은 값으로 설정하고, 제5 비율이 높을수록 제3 기준치를 더 높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치는 0부터 -1까지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고, 제2 기준치는 0부터 -0.5까지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고, 제3 기준치는 0부터 2까지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S8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기준치, 제2 기준치 및 제3 기준치를 더한 값으로 제4 기준치를 산출할 수 있다.
S8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4 기준치가 높을수록 제1 구역의 채도 등급을 더 높은 등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구역의 채도 등급은 높은 등급일수록 더 선명한 색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등급일 때 보다 2등급일 때 더 선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4 기준치가 0.5로 확인되면, 제1 구역의 채도 등급을 1등급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제4 기준치가 1로 확인되면, 제1 구역의 채도 등급을 2등급으로 설정할 수 있다.
S8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구역의 채도 등급이 제1 등급으로 설정되면, 제1 페이지 상에서 제1 구역이 제1 등급의 채도로 설정된 제3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구역의 채도 등급이 1등급으로 설정되면, 제1 구역이 1등급의 채도로 설정된 제3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제1 구역의 채도 등급이 2등급으로 설정되면, 제1 구역이 2등급의 채도로 설정된 제3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구역과 맞닿아 있는 주변 구역의 상태를 확인하여, 주변 구역 중에서 우수 구역 및 보통 구역으로 분류된 구역이 적으면서, 경고 구역으로 분류된 구역이 많을수록 제1 구역이 더 선명하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및 메모리(2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20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후술되는 방법들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220)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20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수익률 자동 산출을 통한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제1 업체의 유제품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업체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제품을 입고일 별로 구분하여, 제1 일자에 입고되어 상기 제1 업체에 보관되어 있는 상기 제1 제품을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상기 제1 제품의 재고량을 제1 재고량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제품의 가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일자에 상기 제1 제품의 입고 가격을 제1 가격으로 확인하고, 현재 일자에 상기 제1 제품의 출고 가격을 제2 가격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가격에서 상기 제1 가격을 뺀 값으로 제3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3 가격과 상기 제1 재고량을 곱한 값으로 제4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가격과 상기 제1 재고량을 곱한 값으로 제5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4 가격을 상기 제5 가격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하여 제1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상기 제1 제품의 수익률을 상기 제1 비율로 설정하여, 상기 제1 업체의 유제품 재고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일자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 이전까지 제1 기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업체의 유제품 출고 내역을 기반으로,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1 업체에서 외부로 출고된 상기 제1 제품의 일별 출고량을 확인하고, 상기 제1 기간 동안의 일별 출고량에 대한 평균으로 제1 출고량을 산출하는 단계;
    제1 업체의 유제품 재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업체에 보관되어 있는 상기 제1 제품의 전체 재고량을 제2 재고량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제품의 최소 보유 재고량이 제3 재고량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재고량에서 상기 제3 재고량을 뺀 값으로 제4 재고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4 재고량을 상기 제1 출고량으로 나눈 값에서 소수점을 올림하여 제1 일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일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일수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기준 일수에서 상기 제1 일수를 뺀 값으로 제2 일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출고량과 상기 제2 일수를 곱한 값으로 제1 주문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주문량에 대한 상기 제1 제품의 주문이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업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품의 최소 보유 재고량이 제3 재고량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간 내에서 휴일 기간을 제1-1 기간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제1 업체의 유제품 출고 내역을 기반으로, 상기 제1-1 기간 동안 상기 제1 업체에서 외부로 출고된 상기 제1 제품의 일별 출고량을 확인하고, 상기 제1-1 기간 동안의 일별 출고량에 대한 평균으로 제2 출고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출고량과 상기 제2 출고량 간의 차이를 제1 차이량으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차이량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가중치를 0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차이량이 상기 제1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서 상기 제1 출고량이 상기 제2 출고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차이량이 클수록 0부터 -1까지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가중치를 더 낮은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차이량이 상기 제1 기준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서 상기 제2 출고량이 상기 제1 출고량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차이량이 클수록 0부터 1까지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가중치를 더 높은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일자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 기간 이후까지 제2 기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기간 내에서 휴일 기간을 제2-1 기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기간의 일수를 제3 일수로 설정하고, 상기 제2-1 기간의 일수를 제4 일수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4 일수를 상기 제3 일수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하여 제2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2 비율을 곱한 값으로 제2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가중치가 0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3 재고량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가중치가 0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가중치와 1을 더한 값으로 제3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가중치와 상기 제3 재고량을 곱한 값으로 상기 제3 재고량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익률 자동 산출을 통한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자동화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40030460A 2024-03-04 2024-03-04 수익률 자동 산출을 통한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84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0460A KR102684141B1 (ko) 2024-03-04 2024-03-04 수익률 자동 산출을 통한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0460A KR102684141B1 (ko) 2024-03-04 2024-03-04 수익률 자동 산출을 통한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84141B1 true KR102684141B1 (ko) 2024-07-11

Family

ID=91924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0460A KR102684141B1 (ko) 2024-03-04 2024-03-04 수익률 자동 산출을 통한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414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6802B2 (ja) * 2017-08-07 2019-05-22 ヤフー株式会社 算出装置、算出方法及び算出プログラム
KR20190055857A (ko) * 2017-11-15 2019-05-24 (주) 더존비즈온 자재원장 정산 시스템 및 방법
KR102452440B1 (ko) 2022-07-25 2022-10-11 주식회사 어스큐레이션 전자 장비의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41254B1 (ko) * 2023-01-13 2023-06-13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재고 관리 시스템
KR102556922B1 (ko) 2023-03-06 2023-07-19 (주)이코스 코리아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58440B1 (ko) 2023-04-13 2023-07-20 박영원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65425B1 (ko) 2023-03-30 2023-08-09 신재은 의약품 온라인 유통 플랫폼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630807B1 (ko) * 2023-07-13 2024-01-29 김연재 식자재 유통을 위한 주문 및 재고 관리 자동화 처리방법,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6802B2 (ja) * 2017-08-07 2019-05-22 ヤフー株式会社 算出装置、算出方法及び算出プログラム
KR20190055857A (ko) * 2017-11-15 2019-05-24 (주) 더존비즈온 자재원장 정산 시스템 및 방법
KR102452440B1 (ko) 2022-07-25 2022-10-11 주식회사 어스큐레이션 전자 장비의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41254B1 (ko) * 2023-01-13 2023-06-13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재고 관리 시스템
KR102556922B1 (ko) 2023-03-06 2023-07-19 (주)이코스 코리아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65425B1 (ko) 2023-03-30 2023-08-09 신재은 의약품 온라인 유통 플랫폼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558440B1 (ko) 2023-04-13 2023-07-20 박영원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30807B1 (ko) * 2023-07-13 2024-01-29 김연재 식자재 유통을 위한 주문 및 재고 관리 자동화 처리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hzadi et al. Allocation flexibility for agribusiness supply chains under market demand disruption
KR102322845B1 (ko) 인공지능 기반 브랜드 마케팅 전략 도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63615B1 (ko) 인공지능 기반 의류 트렌드 분석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의류 판매 전략 도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52329B1 (ko) 인공지능 기반의 물품 주문, 물류 및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0685319B2 (en) Big data sourcing simulator
Mokhtari et al. A single-supplier, multi-buyer, multi-product VMI production-inventory system under partial backordering
JP2016100018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コンテンツ表示方法、記録媒体、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urohit et al. Inventory lot-sizing with supplier selection under non-stationary stochastic demand
CN105469294A (zh) 购买请求处理方法及装置
KR102340834B1 (ko)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정보통신 인프라 시공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 설계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92212B1 (ko) 마트 운영을 위한 매출 분석 및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ascual et al. Channel coordination on fixed-term maintenance outsourcing contracts
KR102394900B1 (ko) 인공지능 기반 상품 재고량 정보 동기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iang et al. Coordinating a three-stage supply chain with competing manufacturers
CN109978421B (zh) 信息输出方法和装置
KR102684141B1 (ko) 수익률 자동 산출을 통한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illai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some supply chain replenishment strategies
US10839414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optimal incentives for customers to reduce queueing wait time with wait-time-dependent incentive choice probabilities
Blunck et al. Setting production capacities for production agents making selfish routing decisions
JP6805211B2 (ja) 提供装置、提供方法および提供プログラム
KR102357308B1 (ko) 쇼핑몰업 대상 세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의 부하 분산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83111B1 (ko) 쿡방 콘텐츠 기반 식당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01727B1 (ko) 온라인 쇼핑몰업의 세무 정보 정기 구독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hang et al. Applying theory of constraints-based approach to solve memory allocation of cloud storage
JP2019046193A (ja) 選択装置、選択方法および選択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