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308B1 - 쇼핑몰업 대상 세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의 부하 분산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쇼핑몰업 대상 세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의 부하 분산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308B1
KR102357308B1 KR1020210038591A KR20210038591A KR102357308B1 KR 102357308 B1 KR102357308 B1 KR 102357308B1 KR 1020210038591 A KR1020210038591 A KR 1020210038591A KR 20210038591 A KR20210038591 A KR 20210038591A KR 102357308 B1 KR102357308 B1 KR 102357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storage
content
period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철
Original Assignee
김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철 filed Critical 김형철
Priority to KR1020210038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06Q40/123Tax preparation or submis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45Guest-host, i.e. hypervisor is an application program itself, e.g. VirtualBo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 G06F9/5027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 G06F9/5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considering the lo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 G06F9/5077Logical partitioning of resources; Management or configuration of virtualized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83Techniques for rebalancing the load in a distributed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7Distribution of virtual machine instances; Migration and load balan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일실시에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쇼핑몰업을 대상으로 하는 세무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서버의 부하 분산을 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세무 서비스의 이용 내역 및 세금 신고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여,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용 증가 기간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이용 증가 기간을 부하 집중 기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부하 집중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을 정상 운영 기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현재 시간이 상기 정상 운영 기간 내에 속하는 경우, 제1 서버를 운영 서버로 설정하고 제2 서버를 대기 서버로 설정하여,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가 상기 제1 서버를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현재 시간이 상기 부하 집중 기간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1 서버 및 상기 제2 서버를 운영 서버로 설정하고 제3 서버를 대기 서버로 설정하여,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가 상기 제1 서버 및 상기 제2 서버를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쇼핑몰업 대상 세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의 부하 분산 운영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쇼핑몰업 대상 세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의 부하 분산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OPERATING LOAD BALANCING OF SERVER FOR PROVIDING TAX AFFAIR SERVICE TARGETING SHOPPING MALL INDUSTRY}
아래 실시예들은 쇼핑몰업을 대상으로 하는 세무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서버의 부하 분산을 운영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서버의 병렬화를 통한 부하분산 방법은 일반적으로 매칭 요청 단계, 매칭 처리 단계, 및 매칭 완료 단계 순으로 이루어진다. 매칭 요청 단계는 단말에서 중계 서버에 서비스 제공 서버를 요청하는 단계이고, 매칭 처리 단계는 중계 서버가 서비스 제공 서버들의 동작 및 부하 상태 등을 확인하여 가장 적합한 서버를 선정하고 단말기로 통보하는 단계이고, 매칭 완료 단계는 단말기가 매칭받은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은 단계의 순서로 진행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통상적으로 동시 접속자 수가 수만 이하인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세무 서비스와 같이 특정 기간 동안 처리를 요하는 업무의 경우 해당 기간 동안 수십만의 동시 접속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세무 서비스는 특정 기간 동안 업무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해당 기간 동안에만 서비스 이용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무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하는 부하 집중 기간을 구분하여, 부하 집중 기간에 더 많은 서버들을 통해 세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15031호(2021.02.10) 한국등록특허 제10-2187700호(2020.12.07) 한국등록특허 제10-2214915호(2021.02.09) 한국등록특허 제10-2160950호(2020.10.05)
일실시예에 따르면, 세무 서비스의 이용 내역 및 세금 신고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여,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용 증가 기간을 분석하고, 이용 증가 기간을 부하 집중 기간으로 설정하고, 부하 집중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을 정상 운영 기간으로 설정하고, 현재 시간이 정상 운영 기간 내에 속하는 경우,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가 제1 서버를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하고, 현재 시간이 부하 집중 기간 내에 속하는 경우,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가 제1 서버 및 제2 서버를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쇼핑몰업을 대상으로 하는 세무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서버의 부하 분산을 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세무 서비스의 이용 내역 및 세금 신고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여,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용 증가 기간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이용 증가 기간을 부하 집중 기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부하 집중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을 정상 운영 기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현재 시간이 상기 정상 운영 기간 내에 속하는 경우, 제1 서버를 운영 서버로 설정하고 제2 서버를 대기 서버로 설정하여,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가 상기 제1 서버를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현재 시간이 상기 부하 집중 기간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1 서버 및 상기 제2 서버를 운영 서버로 설정하고 제3 서버를 대기 서버로 설정하여,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가 상기 제1 서버 및 상기 제2 서버를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쇼핑몰업 대상 세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의 부하 분산 운영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쇼핑몰업 대상 세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의 부하 분산 운영 방법은,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를 이용하는 쇼핑몰의 고객 접속 이력을 확인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 이내에 상기 쇼핑몰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제1 고객들과 상기 기준 기간 동안 상기 쇼핑몰에 접속한 이력이 없는 제2 고객들을 구분하여 분류하는 단계; 현재 시간이 상기 정상 운영 기간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1 고객들의 개인 정보가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고객들의 개인 정보가 상기 제2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현재 시간이 상기 부하 집중 기간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1 고객들 중 일부인 제1-1 고객들의 개인 정보가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고객들 중 상기 제1-1 고객들을 제외한 나머지 고객인 제1-2 고객들의 개인 정보가 상기 제2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고객들의 개인 정보가 상기 제3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쇼핑몰업 대상 세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의 부하 분산 운영 방법은, 현재 시간이 상기 정상 운영 기간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1 서버의 장애가 감지되면, 상기 제2 서버를 운영 서버로 설정하고 상기 제3 서버를 대기 서버로 설정하여,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가 상기 제2 서버를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현재 시간이 상기 부하 집중 기간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1 서버의 장애가 감지되면, 상기 제3 서버를 운영 서버로 설정하고 제4 서버를 대기 서버로 설정하여,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가 상기 제2 서버 및 상기 제3 서버를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쇼핑몰업 대상 세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의 부하 분산 운영 방법은, 상기 제1 서버가 운영 서버로 설정되고 상기 제2 서버가 대기 서버로 설정된 경우, 미리 정해진 기간 마다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에 대한 저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1 서버의 전원 이상, 접속 불량, 네트워크 연결,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의 여유 공간 중 하나 이상의 체크 사항을 통해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에 대한 헬스 체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헬스 체크의 수행 결과,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제2 서버의 스토리지에 백업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이중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중화 동작의 수행 단계는, 상기 제1 서버와 상기 제2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제2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제2 서버의 스토리지에 백업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 미만으로 확인되면, 상기 헬스 체크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가 경고 상태로 분류된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 이상으로 변경될 때까지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제2 서버로 전송되지 않고 대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가 위험 상태로 분류된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 미만이더라도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제2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쇼핑몰업 대상 세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의 부하 분산 운영 방법은, 상기 이중화 동작의 수행 단계 이후,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의 여유 공간이 제1 기준 용량 미만으로 확인되어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가 경고 상태로 분류되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실행되지 않은 제1 파일의 데이터를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에서 삭제하여, 상기 제1 파일의 데이터가 상기 제2 서버의 스토리지에만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의 여유 공간이 상기 제1 기준 용량 보다 더 낮게 설정된 제2 기준 용량 미만으로 확인되어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가 위험 상태로 분류되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기준 횟수 이하로 실행된 제2 파일의 데이터를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에서 삭제하여, 상기 제2 파일의 데이터가 상기 제2 서버의 스토리지에만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쇼핑몰업 대상 세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의 부하 분산 운영 방법은,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의 이용 방법을 안내하는 콘텐츠에 대한 제작 요청을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의 제작 요청에 상응하여, 제1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콘텐츠에 원저작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콘텐츠에 원저작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콘텐츠를 새로 생성된 1차 저작물로 판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콘텐츠가 1차 저작물로 판정되면,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상기 제1 콘텐츠의 제1 저작자를 나타내는 제1 저작자 정보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제1 콘텐츠에 원저작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콘텐츠의 원저작자 정보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콘텐츠의 원저작자 정보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콘텐츠를 제2 콘텐츠의 수정으로 생성된 2차 저작물로 판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콘텐츠가 2차 저작물로 판정되면, 상기 제1 콘텐츠의 원저작자 정보를 통해 상기 제2 콘텐츠의 저작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2 콘텐츠의 저작자 정보로 제2 사용자 계정의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상기 제1 콘텐츠의 제2 저작자를 나타내는 제2 저작자 정보로 등록하고,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상기 제1 콘텐츠의 제1 저작자 정보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의 제작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파트 콘텐츠를 수신하고, 제3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된 제3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파트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파트 콘텐츠 및 상기 제2 파트 콘텐츠를 결합하여 상기 제1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콘텐츠에서 상기 제1 파트 콘텐츠가 차지하는 비율인 제1 비율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콘텐츠에서 상기 제2 파트 콘텐츠가 차지하는 비율인 제2 비율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파트 콘텐츠 및 상기 제2 파트 콘텐츠 각각에 원저작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파트 콘텐츠 및 상기 제2 파트 콘텐츠에 원저작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콘텐츠를 1차 저작물로 판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콘텐츠가 1차 저작물로 판정되고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2 비율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상기 제1 콘텐츠의 제1 저작자 정보로 등록하고,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상기 제1 콘텐츠의 제2 저작자 정보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제1 콘텐츠가 1차 저작물로 판정되고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2 비율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상기 제1 콘텐츠의 제1 저작자 정보로 등록하고,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상기 제1 콘텐츠의 제2 저작자 정보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제1 파트 콘텐츠 및 상기 제2 파트 콘텐츠에 원저작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파트 콘텐츠 및 상기 제2 파트 콘텐츠에 등록되어 있는 원저작자 정보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 및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의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파트 콘텐츠 및 상기 제2 파트 콘텐츠에 등록되어 있는 원저작자 정보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 및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의 정보가 모두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콘텐츠를 상기 제2 콘텐츠의 수정으로 생성된 2차 저작물로 판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콘텐츠가 2차 저작물로 판정되고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2 비율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상기 제1 콘텐츠의 제1 저작자 정보로 등록하고,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상기 제1 콘텐츠의 제2 저작자 정보로 등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상기 제1 콘텐츠의 제3 저작자를 나타내는 제3 저작자 정보로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콘텐츠가 2차 저작물로 판정되고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2 비율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3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상기 제1 콘텐츠의 제1 저작자 정보로 등록하고,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상기 제1 콘텐츠의 제2 저작자 정보로 등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상기 제1 콘텐츠의 제3 저작자 정보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세무 서비스의 이용 내역 및 세금 신고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여,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용 증가 기간을 분석하고, 이용 증가 기간을 부하 집중 기간으로 설정하고, 부하 집중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을 정상 운영 기간으로 설정하고, 현재 시간이 정상 운영 기간 내에 속하는 경우,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가 제1 서버를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하고, 현재 시간이 부하 집중 기간 내에 속하는 경우,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가 제1 서버 및 제2 서버를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세무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하는 부하 집중 기간을 구분하여, 부하 집중 기간에는 더 많은 서버들을 통해 세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제공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쇼핑몰업을 대상으로 하는 세무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서버의 부하 분산을 운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를 분산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장애 처리에 대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저작자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저작자를 통해 제1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1차 저작물에 대한 공동 저작자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2차 저작물에 대한 공동 저작자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장치(100) 및 복수의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와 서버 간의 통신과 서버와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장치(100)는 장치(1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장치(10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100)는 추론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공 신경망을 구비할 수 있다. 장치(100)는 복수의 서버(20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100)는 복수의 서버(200)의 동작을 제어하여, 복수의 서버(200)를 통해 세무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복수의 서버(200)는 분산 서버 환경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세무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서버(200)는 세무 서비스에 대한 정보 조회가 가능한 홈페이지를 제공하여, 홈페이지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로 세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복수의 서버(200) 중 제1 서버(210), 제2 서버(220), 제3 서버(230) 및 제4 서버(240)만을 도시하였으나, 서버들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장치(100)의 처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서버들의 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장치(100)는 분산 서버로 구현된 복수의 서버(2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여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가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복수의 서버(200) 중 일부 서버를 통해 세무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세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쇼핑몰을 운영하는 운영자일 수 있으며, 이때, 장치(100)는 쇼핑몰 고객들에 대한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개인 정보가 복수의 서버(200)에 분산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100)를 운영하는 사업자는 간편 결제를 통한 페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페이 서비스를 통해 선결제가 이루어지면, 선결제 정보를 별도로 관리하여, 선결제된 금액에 대한 추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쇼핑몰업을 대상으로 하는 세무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서버의 부하 분산을 운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S201 단계에서, 장치(100)는 세무 서비스의 이용 내역 및 세금 신고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여,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용 증가 기간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0)는 복수의 서버(200)를 통해 제공되는 세무 서비스의 월별 이용 내역을 확인하여, 세무 서비스의 월별 이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으며, 월별 이용 패턴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1월, 3월, 5월 및 7월에 세무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면, 1월, 3월, 5월 및 7월을 이용 증가 기간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장치(100)는 복수의 서버(200)를 통해 제공되는 세무 서비스의 일별 이용 내역을 확인하여, 세무 서비스의 일별 이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일별 이용 패턴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매달 5일부터 10일까지 세무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면, 5일부터 10일까지를 이용 증가 기간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장치(100)는 외부 서버를 통해 법인세, 소득세 등의 세금 신고 기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세금 신고 기간을 이용 증가 기간으로 분석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장치(100)는 이용 증가 기간을 부하 집중 기간으로 설정하고, 부하 집중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을 정상 운영 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월, 3월, 5월 및 7월이 이용 증가 기간으로 분석된 경우, 장치(100)는 1월, 3월, 5월 및 7월을 부하 집중 기간으로 설정하고, 2월, 4월, 6월 및 8월 내지 12월을 정상 운영 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5일부터 10일까지가 이용 증가 기간으로 분석된 경우, 장치(100)는 5일부터 10일까지를 부하 집중 기간으로 설정하고, 1일부터 4일까지와 11일부터 말일까지를 정상 운영 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세금 신고 기간이 이용 증가 기간으로 분석된 경우, 장치(100)는 세금 신고 기간을 부하 집중 기간으로 설정하고, 세금 신고 기간 이외의 나머지 기간을 정상 운영 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현재 시간을 확인하여 현재 시간이 정상 운영 기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현재 시간이 정상 운영 기간 내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S204 단계에서, 장치(100)는 복수의 서버(200) 중 제1 서버(210)를 운영 서버로 설정하고, 복수의 서버(200) 중 제2 서버(220)를 대기 서버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장치(100)는 정상 운영 기간 동안에 제1 서버(210)만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 서버로 설정하고, 제2 서버(220)를 운영 서버의 백업 서버인 대기 서버로 설정하여,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가 제1 서버(210)를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현재 시간이 정상 운영 기간이 아닌 부하 집중 기간 내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S205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서버(210) 및 제2 서버(220)를 운영 서버로 설정하고, 제3 서버(230)를 대기 서버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장치(100)는 부하 집중 기간 동안에 제1 서버(210) 및 제2 서버(220)를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 서버로 설정하고, 제3 서버(230)를 대기 서버로 설정하여,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가 제1 서버(210) 및 제2 서버(220)를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를 분산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301 단계에서, 장치(100)는 쇼핑몰의 고객 접속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쇼핑몰을 운영하는 운영자일 수 있으며, 장치(100)는 쇼핑몰 서버로부터 쇼핑몰에 접속한 고객들의 접속 이력을 획득하여, 쇼핑몰의 고객 접속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장치(100)는 고객 접속 이력에 따라, 기준 기간 이내에 쇼핑몰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제1 고객들과 기준 기간 동안 쇼핑몰에 접속한 이력이 없는 제2 고객들을 구분하여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고객들은 쇼핑몰을 실질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활성화 상태이고, 제2 고객들은 현재 쇼핑몰을 이용하지 않는 휴면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기간이 1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장치(100)는 1년 이내에 쇼핑몰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고객들을 확인하여 제1 고객들로 분류하고, 1년 동안 쇼핑몰에 접속한 이력이 없는 고객들을 확인하여 제2 고객들로 분류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현재 시간을 확인하여 현재 시간이 정상 운영 기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현재 시간이 정상 운영 기간 내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S304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고객들의 개인 정보가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 저장되고, 제2 고객들의 개인 정보가 제2 서버(220)의 스토리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서버(200) 각각은 스토리지를 포함하거나, 별도로 구현된 스토리지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서버(210)는 제1 서버(210) 전용의 스토리지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2 서버(220)는 제2 서버(220) 전용의 스토리지를 구비할 수 있다. 스토리지는 네트워크 연결 없이 서버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소를 의미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현재 시간이 부하 집중 기간 내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S305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고객들을 제1-1 고객들과 제1-2 고객들로 분류하고, 제1-1 고객들의 개인 정보가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제1-2 고객들의 개인 정보가 제2 서버(220)의 스토리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2 고객들의 개인 정보가 제3 서버(230)의 스토리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100)는 제1 고객들을 나이, 성별, 이름, 접속 이력 등의 조건을 통해 정렬시켜, 제1 고객들 중 일부인 제1-1 고객들과 제1-1 고객들을 제외한 나머지 고객인 제1-2 고객들을 분류할 수 있다.
장치(100)는 제1-1 고객들과 제1-2 고객들을 동일한 비율로 분류할 수 있으며, 서버의 스토리지 저장 용량에 따라 상이한 비율로 분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210)의 저장 용량이 60TB이고, 제2 서버(220)의 저장 용량이 40TB이고, 제1 고객들의 수가 100명인 경우, 장치(100)는 제1-1 고객들을 60명으로 선정하여 분류하고, 제1-2 고객들을 40명으로 선정하여 분류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장애 처리에 대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장치(100)는 현재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장치(100)는 현재 시간이 정상 운영 기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현재 시간이 정상 운영 기간 내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S403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서버(210)를 운영 서버로 설정하고, 제2 서버(220)를 대기 서버로 설정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서버(210)에 장애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장치(100)는 제1 서버(210)의 상태를 확인하여 제1 서버(210)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서버(210)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제1 서버(210)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S405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2 서버(220)를 운영 서버로 설정하고, 제3 서버(230)를 대기 서버로 설정하여,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가 제2 서버(220)를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장치(100)는 운영 서버로 설정되어 있는 제1 서버(210)의 장애가 감지되면, 제1 서버(210)에서 제2 서버(220)로 운영 서버를 변경하여 설정하고, 대기 서버인 제2 서버(220)가 운영 서버로 설정되었으므로, 제3 서버(230)를 대기 서버로 설정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제1 서버(210)에 장애가 없는 것으로 감지되면, S4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100)는 현재 시간을 확인하는 과정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다.
한편, S402 단계에서 현재 시간이 부하 집중 기간 내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S406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서버(210) 및 제2 서버(220)를 운영 서버로 설정하고, 제3 서버(230)를 대기 서버로 설정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서버(210)에 장애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제1 서버(210)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S408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2 서버(220) 및 제3 서버(230)를 운영 서버로 설정하고, 제4 서버(240)를 대기 서버로 설정하여,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가 제2 서버(220) 및 제3 서버(230)를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장치(100)는 운영 서버로 설정되어 있는 제1 서버(210) 및 제2 서버(220) 중 제1 서버(210)의 장애가 감지되면, 제1 서버(210)에서 제3 서버(230)로 운영 서버를 변경하여 설정하고 제2 서버(220)의 상태는 운영 서버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대기 서버인 제3 서버(230)가 운영 서버로 설정되었으므로, 제4 서버(240)를 대기 서버로 설정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제1 서버(210)에 장애가 없는 것으로 감지되면, S4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100)는 현재 시간을 확인하는 과정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장치(100)는 현재 시간이 정상 운영 기간 내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제1 서버(210)를 운영 서버로 설정하고, 제2 서버(220)를 대기 서버로 설정할 수 있다.
S501 단계에서, 장치(100)는 미리 정해진 기간 마다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의 저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 대한 헬스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0)는 5초에 1번씩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 대한 헬스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장치(100)는 제1 서버(210)의 전원 이상, 접속 불량, 네트워크 연결,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의 여유 공간 중 하나 이상의 체크 사항을 통해,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 대한 헬스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 대한 헬스 체크 수행 결과를 통해,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의 상태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210)의 전원 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의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제1 서버(210)와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 간에 접속이 불량한 경우,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의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제1 서버(210) 및 외부 장치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불안정한 경우,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의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의 여유 공간이 10% 미만 남은 경우,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의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S503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제2 서버(220)의 스토리지에 백업 저장되도록 이중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동작은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제2 서버(220)의 스토리지에도 저장되도록 처리하여,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 및 제2 서버(220)의 스토리지 각각에 동일한 데이터가 동시에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중화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 장치(100)는 제1 서버(210)와 제2 서버(220)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확인하고, 데이터 전송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으로 확인되면,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2 서버(220)로 전송하여,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제2 서버(220)의 스토리지에 백업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210)와 제2 서버(220)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12Mbps로 기준 속도인 10Mbps 이상으로 확인되면,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제2 서버(220)로 전송될 수 있다.
장치(100)는 제1 서버(210)와 제2 서버(220)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기준 속도 미만으로 확인되면, 헬스 체크의 수행 결과에 따라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헬스 체크의 수행 결과에 따라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는 정상 상태, 경고 상태, 위험 상태 등으로 분류되어 될 수 있으며, 장치(100)는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가 경고 상태로 분류된 경우, 데이터 전송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으로 변경될 때까지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제2 서버(220)로 전송되지 않고 대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210)와 제2 서버(220)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8Mbps로 기준 속도인 10Mbps 미만으로 확인되고,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가 경고 상태로 분류된 경우, 장치(100)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10Mbps로 올라갈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하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10Mbps로 변경되면,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제2 서버(22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장치(100)는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가 위험 상태로 분류된 경우, 데이터 전송 속도가 기준 속도 미만이더라도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제2 서버(22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210)와 제2 서버(220)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8Mbps로 기준 속도인 10Mbps 미만으로 확인되고,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가 위험 상태로 분류된 경우, 장치(100)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8Mbps로 기준 속도 보다 느리지만,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의 상태가 위험하기 때문에, 느린 전송 속도를 통해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제2 서버(22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 이상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장치(100)는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가 정상 상태이기 때문에 제2 서버(220)로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S501 단계로 되돌아가,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 대한 헬스 체크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이중화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 장치(100)는 보안 레벨이 높은 레벨로 설정된 제1 파일의 데이터가 제2 서버(220)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제1 파일의 데이터가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만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 보안 레벨이 2레벨로 높게 설정된 제1 파일과 보안 레벨이 1레벨로 낮게 설정된 제2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데, 장치(100)는 제1 파일의 데이터에 대해 제2 서버(220)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제2 파일의 데이터에 대해서만 제2 서버(22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여, 제1 파일의 데이터는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만 저장되고, 제2 파일의 데이터는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와 제2 서버(220)의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다.
S503 단계를 통해 제2 서버(220)의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백업 저장하는 이중화 동작이 수행되면, 장치(100)는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의 상태, 파일 사용 방식 등을 기초로,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와 제2 서버(220)의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동시에 저장할 것인지 여부, 제2 서버(220)의 스토리지에만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 여부 및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만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와 제2 서버(220)의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동시에 저장할 것으로 결정되면, S504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제2 서버(220)의 스토리지에 백업 저장되어,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와 제2 서버(220)의 스토리지에 데이터가 동시에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제2 서버(220)의 스토리지에만 데이터를 저장할 것으로 결정되면, S505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여, 제2 서버(220)의 스토리지에만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100)는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의 여유 공간이 제1 기준 용량 미만으로 확인되어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가 경고 상태로 분류되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실행되지 않은 제1 파일의 데이터를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서 삭제하여, 제1 파일의 데이터가 제2 서버(220)의 스토리지에만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0)는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의 여유 공간이 18GB로 제1 기준 용량인 20GB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를 경고 상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일주일 동안 제1 파일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 제1 파일의 데이터를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서 삭제하여, 제1 파일의 데이터가 제2 서버(220)의 스토리지에만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장치(100)는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의 여유 공간이 제1 기준 용량 보다 더 낮게 설정된 제2 기준 용량 미만으로 확인되어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가 위험 상태로 분류되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기준 횟수 이하로 실행된 제2 파일의 데이터를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서 삭제하여, 제2 파일의 데이터가 제2 서버(220)의 스토리지에만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0)는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의 여유 공간이 8GB로 제2 기준 용량인 10GB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를 위험 상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일주일 동안 제2 파일이 기준 횟수인 10회 보다 더 적은 횟수로 실행된 경우, 제2 파일의 데이터를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서 삭제하여, 제2 파일의 데이터가 제2 서버(220)의 스토리지에만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만 데이터를 저장할 것으로 결정되면, S506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2 서버(220)로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만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기준 횟수 이상으로 변경되어 저장된 제2 파일의 데이터가 제2 서버(220)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제2 파일의 데이터가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만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주일 동안 제2 파일이 기준 횟수인 5회 보다 더 많은 횟수로 변경되어 저장된 경우, 장치(100)는 제2 서버(220)의 스토리지에 백업 저장할 때 제2 파일의 데이터가 제2 서버(220)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2 서버(220)의 스토리지에 백업 저장하는 과정에서 제2 서버(220)의 스토리지에 제2 파일의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 제2 서버(220)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제2 파일의 데이터가 삭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2 파일의 데이터가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만 저장되어, 제2 파일이 변경 저장될 때, 제1 서버(210)의 스토리지에서만 제2 파일의 데이터가 갱신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저작자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장치(100)는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의 이용 방법을 안내하는 콘텐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콘텐츠에 대한 제작 요청을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S601 단계에서, 장치(100)는 콘텐츠의 제작 요청에 상응하여, 제1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100)는 콘텐츠의 제작 요청에 따라 자체적으로 제작하여 생성된 콘텐츠를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수정하여 생성된 콘텐츠를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콘텐츠에 원저작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콘텐츠가 1차 저작물인 경우에는 원저작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고, 제1 콘텐츠가 2차 저작물인 경우에는 원저작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데, 장치(100)는 제1 콘텐츠에 원저작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콘텐츠가 1차 저작물인 경우, 제1 콘텐츠는 제1 콘텐츠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하고, 제1 콘텐츠가 제2 콘텐츠의 수정으로 생성된 2차 저작물인 경우, 제1 콘텐츠는 제1 콘텐츠에 대한 정보, 제2 콘텐츠의 식별 정보, 제1 콘텐츠의 원저작자 정보로 제2 콘텐츠의 저작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콘텐츠에 원저작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제1 콘텐츠에 원저작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604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콘텐츠를 새로 생성된 1차 저작물로 판정할 수 있다.
S605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콘텐츠가 1차 저작물로 판정되면,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1 저작자를 나타내는 제1 저작자 정보로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에 로그인된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확인하여,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1 저작자 정보로 등록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제1 콘텐츠에 원저작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606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콘텐츠의 원저작자 정보와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607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콘텐츠의 원저작자 정보와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607 단계에서 제1 콘텐츠의 원저작자 정보와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S604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콘텐츠를 1차 저작물로 판정할 수 있으며, 제1 콘텐츠의 원저작자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1 저작자 정보로 등록할 수 있다.
S607 단계에서 제1 콘텐츠의 원저작자 정보와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S608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콘텐츠를 제2 콘텐츠의 수정으로 생성된 2차 저작물로 판정할 수 있다. 이때, 장치(100)는 제1 콘텐츠에 포함된 제2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제1 콘텐츠가 제2 콘텐츠의 수정으로 생성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S609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콘텐츠가 제2 콘텐츠의 수정으로 생성된 2차 저작물로 판정되면, 제1 콘텐츠의 원저작자 정보를 통해 제2 콘텐츠의 저작자 정보를 확인하고, 제2 콘텐츠의 저작자 정보로 어느 사용자 계정의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2 콘텐츠의 저작자 정보로 제2 사용자 계정의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것이 확인될 수 있다.
S610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2 콘텐츠의 저작자 정보로 제2 사용자 계정의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면, 제2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2 저작자를 나타내는 제2 저작자 정보로 등록하고,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1 저작자를 나타내는 제1 저작자 정보로 등록할 수 있다.
즉, 장치(100)는 제2 콘텐츠를 수정하여 제1 콘텐츠를 제작한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1 저작자 정보로 등록하고, 원저작물인 제2 콘텐츠를 제작한 제2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2 저작자 정보로 등록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저작자를 통해 제1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파트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3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된 제3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파트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콘텐츠는 제1 파트 콘텐츠 및 제2 파트 콘텐츠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콘텐츠가 1분짜리 동영상 영상인 경우, 시작부터 40초까지 재생되는 영상은 제1 파트 콘텐츠고, 41초부터 종료까지 재생되는 영상은 제2 파트 콘텐츠일 수 있으며, 제1 파트 콘텐츠와 제2 파트 콘텐츠의 결합으로 제1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 콘텐츠는 복수의 파트 콘텐츠로 분절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파트 콘텐츠들의 생성 및 수정이 가능한 형식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파트 콘텐츠는 새로 생성되거나, 기존 콘텐츠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정하여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작자가 업로드한 원본 콘텐츠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가 2차 저작물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S703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파트 콘텐츠 및 제2 파트 콘텐츠를 결합하여 제1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콘텐츠에서 제1 파트 콘텐츠가 차지하는 비율인 제1 비율을 획득하고, 제1 콘텐츠에서 제2 파트 콘텐츠가 차지하는 비율인 제2 비율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콘텐츠가 제1 파트 콘텐츠 및 제2 파트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장치(100)는 제1 콘텐츠에서 제1 파트 콘텐츠가 6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비율을 60%로 획득하고, 제2 비율을 40%로 획득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1차 저작물에 대한 공동 저작자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S801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콘텐츠에서 제1 파트 콘텐츠가 차지하는 비율인 제1 비율을 획득하고, 제1 콘텐츠에서 제2 파트 콘텐츠가 차지하는 비율인 제2 비율을 획득할 수 있다.
S802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콘텐츠의 원저작자 정보와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콘텐츠를 1차 저작물로 판정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비율이 제2 비율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제1 비율이 제2 비율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804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1 저작자 정보로 등록하고, 제3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2 저작자 정보로 등록할 수 있다.
즉, 장치(100)는 제1 파트 콘텐츠 및 제2 파트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는 제1 콘텐츠에서 제1 파트 콘텐츠가 차지하고 있는 비율이 더 높기 때문에, 제1 파트 콘텐츠를 제작한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1 저작자 정보로 등록하고, 제2 파트 콘텐츠를 제작한 제3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2 저작자 정보로 등록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제1 비율이 제2 비율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805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3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1 저작자 정보로 등록하고,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2 저작자 정보로 등록할 수 있다.
즉, 장치(100)는 제1 파트 콘텐츠 및 제2 파트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는 제1 콘텐츠에서 제2 파트 콘텐츠가 차지하고 있는 비율이 더 높기 때문에, 제2 파트 콘텐츠를 제작한 제3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1 저작자 정보로 등록하고, 제1 파트 콘텐츠를 제작한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2 저작자 정보로 등록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2차 저작물에 대한 공동 저작자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S901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콘텐츠에서 제1 파트 콘텐츠가 차지하는 비율인 제1 비율을 획득하고, 제1 콘텐츠에서 제2 파트 콘텐츠가 차지하는 비율인 제2 비율을 획득할 수 있다.
S902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콘텐츠의 원저작자 정보와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 및 제3 사용자 계정의 정보가 모두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콘텐츠를 제2 콘텐츠의 수정으로 생성된 2차 저작물로 판정할 수 있다.
S903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비율이 제2 비율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903 단계에서 제1 비율이 제2 비율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904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1 저작자 정보로 등록하고, 제3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2 저작자 정보로 등록하고, 제2 콘텐츠의 저작자 정보로 확인된 제2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3 저작자 정보로 등록할 수 있다.
즉, 장치(100)는 제1 파트 콘텐츠 및 제2 파트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는 제1 콘텐츠에서 제1 파트 콘텐츠가 차지하고 있는 비율이 더 높기 때문에, 제1 파트 콘텐츠를 제작한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1 저작자 정보로 등록하고, 제2 파트 콘텐츠를 제작한 제3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2 저작자 정보로 등록한 후, 제1 콘텐츠의 원작인 제2 콘텐츠를 제작한 제2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3 저작자 정보로 추가하여 등록할 수 있다.
S903 단계에서 제1 비율이 제2 비율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905 단계에서, 장치(100)는 제3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1 저작자 정보로 등록하고,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2 저작자 정보로 등록하고, 제2 콘텐츠의 저작자 정보로 확인된 제2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3 저작자 정보로 등록할 수 있다.
즉, 장치(100)는 제1 파트 콘텐츠 및 제2 파트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는 제1 콘텐츠에서 제2 파트 콘텐츠가 차지하고 있는 비율이 더 높기 때문에, 제2 파트 콘텐츠를 제작한 제3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1 저작자 정보로 등록하고, 제1 파트 콘텐츠를 제작한 제1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2 저작자 정보로 등록한 후, 제1 콘텐츠의 원작인 제2 콘텐츠를 제작한 제2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제1 콘텐츠의 제3 저작자 정보로 추가하여 등록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100)는 프로세서(101) 및 메모리(10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1)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10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02)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후술되는 방법들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102)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10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쇼핑몰업을 대상으로 하는 세무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서버의 부하 분산을 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세무 서비스의 이용 내역 및 세금 신고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여,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용 증가 기간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이용 증가 기간을 부하 집중 기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부하 집중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을 정상 운영 기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현재 시간이 상기 정상 운영 기간 내에 속하는 경우, 제1 서버를 운영 서버로 설정하고 제2 서버를 대기 서버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버가 운영 서버로 설정되고 상기 제2 서버가 대기 서버로 설정된 경우,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가 상기 제1 서버를 통해 제공되도록, 상기 제1 서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현재 시간이 상기 부하 집중 기간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1 서버 및 상기 제2 서버를 운영 서버로 설정하고 제3 서버를 대기 서버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버 및 상기 제2 서버가 운영 서버로 설정되고 상기 제3 서버가 대기 서버로 설정된 경우,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가 상기 제1 서버 및 상기 제2 서버를 통해 제공되도록, 상기 제1 서버 및 상기 제2 서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버가 운영 서버로 설정되고 상기 제2 서버가 대기 서버로 설정된 경우, 미리 정해진 기간 마다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에 대한 저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1 서버의 전원 이상, 접속 불량, 네트워크 연결,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의 여유 공간 중 하나 이상의 체크 사항을 통해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에 대한 헬스 체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헬스 체크의 수행 결과,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제2 서버의 스토리지에 백업 저장되도록 이중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중화 동작의 수행 단계는,
    상기 제1 서버와 상기 제2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제2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제2 서버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제2 서버의 스토리지에 백업 저장되도록, 상기 제1 서버 및 상기 제2 서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 미만으로 확인되면, 상기 헬스 체크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가 경고 상태로 분류된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 이상으로 변경될 때까지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제2 서버로 전송되지 않고 대기하도록, 상기 제1 서버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가 위험 상태로 분류된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 미만이더라도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제2 서버로 전송되도록, 상기 제1 서버 및 상기 제2 서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쇼핑몰업 대상 세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의 부하 분산 운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를 이용하는 쇼핑몰의 고객 접속 이력을 확인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 이내에 상기 쇼핑몰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제1 고객들과 상기 기준 기간 동안 상기 쇼핑몰에 접속한 이력이 없는 제2 고객들을 구분하여 분류하는 단계;
    현재 시간이 상기 정상 운영 기간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1 고객들의 개인 정보가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되도록, 상기 제1 서버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2 고객들의 개인 정보가 상기 제2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되도록, 상기 제2 서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현재 시간이 상기 부하 집중 기간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1 고객들 중 일부인 제1-1 고객들의 개인 정보가 상기 제1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되도록, 상기 제1 서버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1 고객들 중 상기 제1-1 고객들을 제외한 나머지 고객인 제1-2 고객들의 개인 정보가 상기 제2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되도록, 상기 제2 서버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2 고객들의 개인 정보가 상기 제3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되도록, 상기 제3 서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쇼핑몰업 대상 세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의 부하 분산 운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현재 시간이 상기 정상 운영 기간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1 서버의 장애가 감지되면, 상기 제2 서버를 운영 서버로 설정하고 상기 제3 서버를 대기 서버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서버가 운영 서버로 설정되고 상기 제3 서버가 대기 서버로 설정된 경우,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가 상기 제2 서버를 통해 제공되도록, 상기 제2 서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현재 시간이 상기 부하 집중 기간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1 서버의 장애가 감지되면, 상기 제2 서버 및 상기 제3 서버를 운영 서버로 설정하고 제4 서버를 대기 서버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서버 및 상기 제3 서버가 운영 서버로 설정되고 상기 제4 서버가 대기 서버로 설정된 경우, 온라인을 통한 세무 서비스가 상기 제2 서버 및 상기 제3 서버를 통해 제공되도록, 상기 제2 서버 및 상기 제3 서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쇼핑몰업 대상 세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의 부하 분산 운영 방법.
KR1020210038591A 2021-03-25 2021-03-25 쇼핑몰업 대상 세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의 부하 분산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57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591A KR102357308B1 (ko) 2021-03-25 2021-03-25 쇼핑몰업 대상 세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의 부하 분산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591A KR102357308B1 (ko) 2021-03-25 2021-03-25 쇼핑몰업 대상 세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의 부하 분산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308B1 true KR102357308B1 (ko) 2022-02-08

Family

ID=80252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591A KR102357308B1 (ko) 2021-03-25 2021-03-25 쇼핑몰업 대상 세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의 부하 분산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3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172B1 (ko) * 2022-11-16 2023-02-14 젬텍(주) 장치 간의 메모리 동기화 방법, 제어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498B1 (ko) * 2013-08-08 2015-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를 분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60950B1 (ko) 2020-03-30 2020-10-05 주식회사 이글루시큐리티 보안취약점 점검 시 데이터 분산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87700B1 (ko) 2019-06-12 2020-12-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산 장부에 기반한 개인 정보 접근 권한 거래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기록 매체
KR102214915B1 (ko) 2019-07-10 2021-02-09 주식회사 케이티 서버 부하 분산 장치의 동작 방법, 로컬 도메인 네임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콘텐츠 전송 서비스 시스템
KR102215031B1 (ko) 2020-07-22 2021-02-10 주식회사 데브와이 분산서버 환경에서 대기접속자에 대한 접속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498B1 (ko) * 2013-08-08 2015-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를 분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87700B1 (ko) 2019-06-12 2020-12-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산 장부에 기반한 개인 정보 접근 권한 거래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기록 매체
KR102214915B1 (ko) 2019-07-10 2021-02-09 주식회사 케이티 서버 부하 분산 장치의 동작 방법, 로컬 도메인 네임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콘텐츠 전송 서비스 시스템
KR102160950B1 (ko) 2020-03-30 2020-10-05 주식회사 이글루시큐리티 보안취약점 점검 시 데이터 분산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15031B1 (ko) 2020-07-22 2021-02-10 주식회사 데브와이 분산서버 환경에서 대기접속자에 대한 접속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172B1 (ko) * 2022-11-16 2023-02-14 젬텍(주) 장치 간의 메모리 동기화 방법, 제어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37584B (zh) 基于共享资源的质量向经优先级排序的虚拟机和应用程序提供优化的服务质量
CN105893139B (zh) 在云存储环境中用于向租户提供存储服务的方法和装置
US865602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n execution environment in which the application operates
US9128765B2 (en) Assigning restored virtual machine based on past application usage of requesting user
US20120192175A1 (en) Method and System to Accelerate Copying of Virtual Machine Images
CN104603739A (zh) 对并行存储的块级访问
WO2011143568A2 (en)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moving computing workloads to public clouds
CN103198090A (zh) 用于优化虚拟桌面环境中的存储分配的方法和系统
CN111598575B (zh) 业务流程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US10154091B1 (en) Deploying infrastructure units according to resource hosting constraints
US201100160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ance and capacity monitoring of a reduced redundancy data storage system
JP6975153B2 (ja) データ格納サービス処理方法及び装置
CN111352592B (zh) 磁盘读写控制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357308B1 (ko) 쇼핑몰업 대상 세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의 부하 분산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0737425B (zh) 一种计费平台系统的应用程序的建立方法及装置
CN107463638A (zh) 离线虚拟机间文件共享方法和设备
US201701236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ack up in scale-out storage area network
US201603287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link information to content
US20230185631A1 (en) Embedded capacity-computer module for microservice load balancing and distribution
US10447765B2 (en) Shared memory device
US11340952B2 (en) Function performance trigger
CN111488242B (zh) 将条带化备份加标签和路由到重复数据删除设备上的单个重复数据删除实例的方法和系统
JP708074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1121981B1 (en) Optimistically granting permission to host computing resources
KR102338422B1 (ko) Did 기반 클라우드 환경의 협업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