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422B1 - Did 기반 클라우드 환경의 협업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Did 기반 클라우드 환경의 협업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422B1
KR102338422B1 KR1020210100550A KR20210100550A KR102338422B1 KR 102338422 B1 KR102338422 B1 KR 102338422B1 KR 1020210100550 A KR1020210100550 A KR 1020210100550A KR 20210100550 A KR20210100550 A KR 20210100550A KR 102338422 B1 KR102338422 B1 KR 102338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errors
user
task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관
이상희
Original Assignee
클로우플레이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로우플레이크(주) filed Critical 클로우플레이크(주)
Priority to KR1020210100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15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providing single-sign-on or fed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74Peer-to-peer [P2P] networks for supporting data block transmission mechan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7Distribution of virtual machine instances; Migration and load balan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79I/O management, e.g. providing access to device drivers or stor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87Isolation or security of virtual machine in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DID 기반으로 클라우드 환경의 협업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제1 사용자의 DID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의 신원이 증명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가 소속되어 있는 워크 그룹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가 제1 워크 그룹에 소속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워크 그룹 내에서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설정되어 있는 역할 및 정책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워크 그룹 내에 소속된 사용자들의 협업을 위해 클라우드 상에 제1 워크 스페이스가 생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역할 및 정책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워크 스페이스 내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업무 범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워크 스페이스로 접근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업무 범위 내에서 정보의 확인 및 변경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업무툴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ID 기반 클라우드 환경의 협업툴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DID 기반 클라우드 환경의 협업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COLLABORATION TOOL SERVICE IN CLOUD ENVIRONMENT BASED ON DID}
아래 실시예들은 DID 기반으로 클라우드 환경의 협업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의 발전에 따라 시스템의 구조는 간소화되고, 원격의 통신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가 활발히 이루고 있다. 그에 발맞춰서 '구글 드라이브(Google Drive)'나 '오픈스택'의 '스위프트(Openstack Swift)', '드롭박스(Drop box)'와 같은 클라우드 스토리지들은 사용자들에게 리소스(resource)를 저장할 수 있는 원격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즉,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대표적인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모델 중 하나로서 리소스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위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공급자는 대형의 가상화된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며, 사용자들에게 무제한의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사용자들은 인터넷이 연결된 기기를 이용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든지 손쉽게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통해서 리소스 접근이 가능하다. 이러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로 인해 사용자들은 여러 장치들을 이용하여 동일한 리소스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는 사용자의 개인 스토리지 서비스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러 사용자들 사이에서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그룹 차원의 협업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협업 시스템(collaborative system)이라고 한다. 상기한 협업 시스템은 여러 사용자나 그룹 구성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와 협업 워크스페이스(collaborative workspace)를 제공하여 그룹 작업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협업 워크스페이스란, 사용자들 간에 리소스를 공유하고, 상기 리소스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물리적인 저장 공간이다.
이러한 협업 워크스페이스 지원 시스템(즉, 협업 시스템)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에 등록된 특정 사용자들만이 워크스페이스를 할당받아 작업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으며, 미등록자도 사용이 가능한 워크스페이스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다양한 개인정보를 입력 해야 하는 부담을 떠안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들은 종래 협업 시스템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협업을 수행 하지 않으려는 경향을 나타내고, 일부 사용자들은 이메일과 같은 전통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통하여 리소스를 공유하기도 한다.
따라서, 사용자들에게 보안성 및 편의성을 확보하면서 협업 워크 스페이스에 접근할 수 있는 기술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2357호(2017.11.20.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3834호(2020.01.0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3630호(2017.11.20.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7500호(2016.01.21. 공고)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제1 사용자의 DID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의 신원이 증명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사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를 기초로, 제1 사용자가 소속되어 있는 워크 그룹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사용자가 제1 워크 그룹에 소속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워크 그룹 내에서 제1 사용자에게 설정되어 있는 역할 및 정책을 확인하고, 제1 워크 그룹 내에 소속된 사용자들의 협업을 위해 클라우드 상에 제1 워크 스페이스가 생성되어 있는 경우, 제1 사용자의 역할 및 정책을 이용하여, 제1 워크 스페이스 내에서 제1 사용자의 업무 범위를 확인하고, 제1 워크 스페이스로 접근하여 제1 사용자의 업무 범위 내에서 정보의 확인 및 변경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업무툴을 제1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DID 기반 클라우드 환경의 협업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DID 기반으로 클라우드 환경의 협업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제1 사용자의 DID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의 신원이 증명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가 소속되어 있는 워크 그룹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가 제1 워크 그룹에 소속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워크 그룹 내에서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설정되어 있는 역할 및 정책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워크 그룹 내에 소속된 사용자들의 협업을 위해 클라우드 상에 제1 워크 스페이스가 생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역할 및 정책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워크 스페이스 내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업무 범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워크 스페이스로 접근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업무 범위 내에서 정보의 확인 및 변경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업무툴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ID 기반 클라우드 환경의 협업툴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DID 기반 클라우드 환경의 협업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쿠버네티스(Kubernetes)에 포함된 복수의 노드 중 제1 노드가 상기 제1 워크 스페이스 상에서 요청된 제1 작업을 처리하는 노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노드의 전체 자원량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작업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자원 사용량인 제1 사용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노드의 전체 자원량에서 상기 제1 사용량을 차감하여, 상기 제1 노드의 잔여 자원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노드의 잔여 자원량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량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노드의 잔여 자원량이 상기 제1 기준량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워크 스페이스 상에서 요청된 제2 작업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자원 사용량인 제2 사용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노드의 잔여 자원량에서 상기 제2 사용량을 차감하여, 상기 제1 노드의 잔여 자원 예측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노드의 잔여 자원 예측량이 상기 제1 노드에 설정되어 있는 필수 자원량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노드의 잔여 자원 예측량이 상기 제1 노드의 필수 자원량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작업을 처리하는 노드를 상기 제1 노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노드의 잔여 예측량이 상기 제1 노드의 필수 자원량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작업을 처리하는 노드를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제2 노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ID 기반 클라우드 환경의 협업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노드에서 상기 제1 작업 및 상기 제2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작업을 처리하는 동안 발생하는 에러를 검출하여 제1 에러 횟수를 산출하고, 상기 제2 작업을 처리하는 동안 발생하는 에러를 검출하여 제2 에러 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에러 횟수 및 상기 제2 에러 횟수를 합한 값을 통해, 상기 제1 노드의 에러 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노드의 에러 횟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노드의 에러 횟수가 상기 제1 기준값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노드에서 상기 제1 작업 및 상기 제2 작업을 계속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노드의 에러 횟수가 상기 제1 기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에러 횟수가 상기 제2 에러 횟수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에러 횟수가 상기 제2 에러 횟수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노드에서 상기 제1 작업을 처리하고 상기 제2 노드에서 상기 제2 작업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에러 횟수가 상기 제2 에러 횟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노드에서 상기 제2 작업을 처리하고 상기 제2 노드에서 상기 제1 작업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ID 기반 클라우드 환경의 협업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노드의 에러 횟수가 상기 제1 기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에러 횟수 및 상기 제2 에러 횟수 각각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에러 횟수가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작고, 상기 제2 에러 횟수가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에러 횟수가 상기 제2 에러 횟수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에러 횟수가 상기 제2 에러 횟수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노드에서 상기 제1 작업을 처리하고 상기 제2 노드에서 상기 제2 작업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에러 횟수가 상기 제2 에러 횟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노드에서 상기 제2 작업을 처리하고 상기 제2 노드에서 상기 제1 작업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에러 횟수가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작고, 상기 제2 에러 횟수가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노드에서 상기 제1 작업을 처리하고 상기 제2 노드에서 상기 제2 작업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에러 횟수가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크고, 상기 제2 에러 횟수가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노드에서 상기 제2 작업을 처리하고 상기 제2 노드에서 상기 제1 작업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에러 횟수가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크고, 상기 제2 에러 횟수가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노드에서 상기 제1 작업을 처리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제3 노드에서 상기 제2 작업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ID 기반 클라우드 환경의 협업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가 직원으로 소속되어 있는 제1 업체의 매출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매출 자료를 통해 상기 제1 업체의 평균 매출액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업체의 기본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업체의 직원 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업체의 평균 매출액이 미리 설정된 기준 매출액 보다 적으면서, 상기 제1 업체의 직원 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직원 수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기본 매출 관리 서비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설정된 제1 요금제에 대한 추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업체의 평균 매출액이 상기 기준 매출액 보다 많으면서, 상기 제1 업체의 직원 수가 상기 기준 직원 수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세 매출 관리 서비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 요금제 보다 비싼 가격으로 설정된 제2 요금제에 대한 추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업체의 평균 매출액이 상기 기준 매출액 보다 적으면서, 상기 제1 업체의 직원 수가 상기 기준 직원 수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기본 매출 관리 서비스 및 급여 관리 서비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2 요금제 보다 비싼 가격으로 설정된 제3 요금제에 대한 추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업체의 평균 매출액이 상기 기준 매출액 보다 많으면서, 상기 제1 업체의 직원 수가 상기 기준 직원 수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상세 매출 관리 서비스 및 상기 급여 관리 서비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3 요금제 보다 비싼 가격으로 설정된 제4 요금제에 대한 추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제1 사용자의 DID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의 신원이 증명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사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를 기초로, 제1 사용자가 소속되어 있는 워크 그룹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사용자가 제1 워크 그룹에 소속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워크 그룹 내에서 제1 사용자에게 설정되어 있는 역할 및 정책을 확인하고, 제1 워크 그룹 내에 소속된 사용자들의 협업을 위해 클라우드 상에 제1 워크 스페이스가 생성되어 있는 경우, 제1 사용자의 역할 및 정책을 이용하여, 제1 워크 스페이스 내에서 제1 사용자의 업무 범위를 확인하고, 제1 워크 스페이스로 접근하여 제1 사용자의 업무 범위 내에서 정보의 확인 및 변경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업무툴을 제1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보안성 및 편의성을 확보하면서 협업 워크 스페이스에 접근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협업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쿠버네티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DID 기반으로 클라우드 환경의 협업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쿠버네티스 노드의 자원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에러 발생률에 대한 대응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러 발생률에 대한 대응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정기 구독 서비스의 요금제를 추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와 서버 간의 통신과 서버와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업무툴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단말기로, 제1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1 사용자 단말(110), 제2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2 사용자 단말(120), 제3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3 사용자 단말(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110), 제2 사용자 단말(120), 제3 사용자 단말(130) 등은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달리 채용될 수도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은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은 장치(20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은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운영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되거나,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개발·배포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은 웹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장치(200)와 연동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은 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을 등을 통해 장치(2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사용자 단말(110)의 동작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제2 사용자 단말(120) 등의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동작을 대신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장치(200)는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장치(20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2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200)는 클라우드 서버와 연결되어, 클라우드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클라우드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시각화하고, 문제점을 예측하고, 인공지능 기법을 통해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협업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2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로 협업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협업툴은 클라우드 시스템과 연결되어,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팀 커뮤니케이션, 할 일 및 일정 관리, 파일 공유, 노트 작성, 프로젝트 관리 등의 협업 관련 업무를 도와주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협업툴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로 협업툴을 제공할 수 있다.
장치(200)는 DID를 통해 신원이 확인된 사용자들에게만 협업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DID(Decentralized Identifiers)는 분산 식별자로, 개인정보를 중앙 서버가 아니라 개인 스마트폰, 태블릿 등 개인 기기에 분산시켜서 관리하고, 위·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 상에서는 해당 정보의 진위 여부만 기록함으로써, 정보를 매개하는 중개자 없이 본인 스스로 신분을 증명할 수 있다.
장치(200)는 DID를 통해 사용자의 신원이 증명되면, 신원이 확인된 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되어 있는 역할(Role)과 정책(Policy)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업무 범위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여, 협업툴을 제공할 수 있다.
장치(200)는 협업툴을 제공하는데 있어, 쿠버네티스(Kubernetes)를 통해 컴퓨팅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쿠버네티스는 클라우드화된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자동적으로 배포하고, 컨테이너들의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 스케일링 등을 제공하는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이다. 이때, 오케스트레이션은 컴퓨터 시스템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설정을 자동화하여 컴퓨팅 자원을 관리하고 조정하는 것으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은 컨테이너의 배포, 관리, 확장을 자동화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쿠버네티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서비스는 IT분야를 넘어서 헬스케어, 금융, 제조, 및 유통업과 같은 산업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자는 온디멘드(On-Demand) 형태로 제공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을 사용하고, 사용한 만큼의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는 과금된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에 대한 신속하고 신뢰성 있는 서비스를 보장해야 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에 대한 관리 방법의 발전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적은 비용으로 다양한 서비스 모델의 제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자는 비용 효율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의 운영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쿠버네티스(Kubernetes)는 도커(Doker)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Container Orchestration) 플랫폼일 수 있다.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 기반 가상화 기술과 대규모 분산처리 기술을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는 컴퓨팅 자원을 크게 CPU, 메모리, 및 스토리지로 구분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는 CPU 자원과 메모리 자원을 ‘요청량(request)’과 ‘제한량(limit)’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자는 CPU 자원과 메모리 자원에 대해 제공되는 단위(예를 들어, vCPU 또는 byte 등)를 활용하여 컨테이너마다 자원에 대한 요청량 및 제한량을 설정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는 복수의 노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서는 제1 노드 및 제2 노드 만을 도시하였으나, 노드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장치(200)의 처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노드들의 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쿠버네티스 내에 제1 노드 및 제2 노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1 노드 및 제2 노드는 쿠버네티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 중 하나로, 쿠버네티스에서 파드(pod)를 배치하고 실행할 수 있는 가상 또는 물리적 머신을 의미할 수 있다. 파드(pod)는 쿠버네티스의 객체 모델중 가장 작은 배포 가능한 단위로써 클러스터에서 러닝(Running)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파드(pod)는 하나의 컨테이너 또는 복수의 컨테이너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파드(pod)에 예약되는 자원은 파드(pod)에 속한 복수의 컨테이너들의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쿠버네티스에서 관리하는 기본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은 CPU 자원과 메모리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는 CPU 자원과 메모리 자원을 ‘요청량(request)’과 ‘제한량(limit)’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는 노드에 자원을 배포할때 파드에 요청량 만큼의 자원을 보장하며, 각 노드에서 제한량 이상의 자원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에 설정된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에 따라 Guaranteed, Burstable, 및 Best-effort의 3가지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을 제공할 수 있다. 요청 자원이 있는 컨테이너는 높은 우선순위의 클래스인 Guaranteed QoS 클래스 또는 Burstable QoS 클래스로 분류될 수 있다. 자원을 요청하지 않은 컨테이너의 경우 가장 낮은 우선순위의 Best-effort QoS 클래스로 분류될 수 있다. Best-effort QoS 클래스로 분류된 컨테이너는 Guaranteed QoS 클래스 및 Burstable QoS 클래스에 할당된 컨테이너의 자원 사용이 모두 끝난 뒤 남는 잔여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가질 수 있다. Best-effort QoS 클래스로 분류된 컨테이너는 클라우드 시스템의 자원 부족 등의 이유로 클라우드 자원을 회수해야 하는 경우 우선적으로 종료 대상이 될 수 있다.
Guaranteed QoS 클래스는 제한량과 자원량을 동등하게 요청하는 파드에게 부여되는 클래스이며, 가장 높은 우선 순위의 QoS클래스일 수 있다. 쿠버네티스는 Guaranteed QoS 클래스에 속한 파드의 요청량에 대해서 최대한의 자원 사용을 보장할 수 있다.
Burstable QoS 클래스는 제한량보다 낮은 자원을 요청하는 파드에게 부여되는 클래스이며, 두번째 우선순위의 QoS 클래스일 수 있다. 쿠버네티스는 Burstable QoS 클래스에 속한 파드의 요청량에 대해서 요청한 만큼의 최소자원을 보장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는 가능한 경우 Burstable QoS 클래스에 속한 파드에 요청량 이상의 자원(최대 제한량까지)을 할당할 수 있다.
Best-effort QoS 클래스는 별도의 자원 요청을 하지 않은 파드에게 부여되는 클래스이며, 최하위 QoS 클래스일 수 있다. 쿠버네티스는 Best-effort QoS 클래스에 대해 별도의 자원 관리 및 보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Best-effort QoS 클래스에 속한 파드들은 각 노드에서 상위 우선순위 QoS 클래스인 Guaranteed QoS 클래스 및 Burstable QoS 클래스의 자원 사용이 모두 끝난 뒤 남는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DID 기반으로 클라우드 환경의 협업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1 사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신원 확인 정보는 제1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데 필요한 정보로, 제1 사용자에게 부여된 식별 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원 확인 정보를 통해 제1 사용자의 신원이 확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제1 사용자의 DID(Decentralized Identifiers)를 통해 제1 사용자의 신원을 증명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의 DID를 통해 제1 사용자의 신원이 증명된 경우, 제1 사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에서 제1 사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가 생성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1 사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를 기초로, 제1 사용자가 소속되어 있는 워크 그룹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제1 사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를 통해 제1 사용자를 식별하고, 제1 사용자가 어느 워크 그룹에 소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제1 사용자가 제1 워크 그룹에 소속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4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워크 그룹 내에서 제1 사용자에게 설정되어 있는 역할 및 정책을 확인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워크 그룹 내에 소속된 사용자들의 협업을 위해 클라우드 상에 생성되어 있는 제1 워크 스페이스를 확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워크 그룹은 협업 업무를 위해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그룹으로, 워크 그룹 내에 소속된 사용자들의 협업을 위해 클라우드 상에 워크 스페이스가 생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워크 그룹이 생성되면, 제1 워크 그룹 내에 소속된 사용자들의 협업을 위해, 클라우드 상에 제1 워크 스페이스가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의 역할 및 정책을 이용하여, 제1 워크 스페이스 내에서 제1 사용자의 업무 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사용자의 역할 및 정책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에게 설정되어 있는 부서, 팀, 직책, TF, 프로젝트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의 부서, 팀, 직책, TF, 프로젝트 등을 기초로, 제1 사용자의 업무 권한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제1 워크 스페이스 내에서 제1 사용자의 업무 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워크 스페이스로 접근하여 제1 사용자의 업무 범위 내에서 정보의 확인 및 변경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업무툴을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DID를 통해 제1 사용자의 신원이 증명되면, 제1 사용자의 업무 범위 내에서 정보의 환경 및 변경이 가능하도록 업무툴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해당 업무툴을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사용자는 DID를 통해 자신의 신원을 증명하기만 하면, 사용자 맞춤형의 업무툴을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쿠버네티스 노드의 자원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5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쿠버네티스에 포함된 복수의 노드 중 제1 작업을 처리하는 노드로 설정되어 있는 제1 노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작업은 제1 워크 스페이스 상에서 요청된 작업을 의미하고, 제1 워크 스페이스는 제1 워크 그룹 내에 소속된 사용자들의 협업을 위해 클라우드 상에 생성된 업무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노드의 전체 자원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제1 노드에 설정되어 있는 최대 제한량을 확인하여, 제1 노드에 설정되어 있는 최대 제한량을 제1 노드의 전체 자원량으로 확인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작업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자원 사용량인 제1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제1 작업을 처리할 때 사용한 자원 사용량을 확인하여, 제1 작업을 처리할 때 사용한 자원 사용량 중 가장 많이 사용된 최대 자원 사용량을 제1 사용량으로 확인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노드의 전체 자원량에서 제1 사용량을 차감하여, 제1 노드의 잔여 자원량을 산출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노드의 잔여 자원량이 제1 기준량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량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제1 노드의 잔여 자원량이 제1 기준량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5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작업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자원 사용량인 제2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작업은 제2 워크 스페이스 상에서 요청된 작업을 의미하고, 제2 워크 스페이스는 제2 워크 그룹 내에 소속된 사용자들의 협업을 위해 클라우드 상에 생성된 업무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쿠버네티스에 포함된 복수의 노드 중 제2 작업을 처리하는 노드로 설정되어 있는 제2 노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제2 작업을 처리할 때 사용한 자원 사용량을 확인하여, 제2 작업을 처리할 때 사용한 자원 사용량 중 가장 많이 사용된 최대 자원 사용량을 제2 사용량으로 확인할 수 있다.
S5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노드의 잔여 자원량에서 제2 사용량을 차감하여, 제1 노드의 잔여 자원 예측량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노드에서 제1 작업을 처리하고 제2 노드에서 제2 작업을 처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노드에서 제1 작업 및 제2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경우, 제1 노드의 잔여 자원량을 예측하기 위해, 제1 노드의 잔여 자원 예측량을 산출할 수 있다.
S5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노드의 잔여 자원 예측량이 제1 노드의 필수 자원량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노드의 필수 자원량은 제1 노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자원량으로, 제1 노드에서 필수 자원량 이상의 자원이 최소 확보되도록 제1 노드에 필수 자원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S508 단계에서 제1 노드의 잔여 자원 예측량이 제1 노드의 필수 자원량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509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작업을 처리하는 노드를 제1 노드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노드에서 제1 작업을 처리하고 제2 노드에서 제2 작업을 처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작업을 처리하는 노드를 제1 노드로 설정하여, 제1 노드에서 제1 작업 및 제2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는 것으로 변경할 수 있다.
S508 단계에서 제1 노드의 잔여 자원 예측량이 제1 노드의 필수 자원량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510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작업을 처리하는 노드를 제2 노드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노드에서 제1 작업을 처리하고 제2 노드에서 제2 작업을 처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작업을 처리하는 노드를 제2 노드로 계속 설정하여, 제1 노드에서 제1 작업을 처리하고 제2 노드에서 제2 작업을 처리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S505 단계에서 제1 노드의 잔여 자원량이 제1 기준량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510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작업을 처리하는 노드를 제2 노드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1 노드의 잔여 자원량이 제1 기준량 보다 작거나, 제1 노드의 잔여 자원 예측량이 제1 노드의 필수 자원량 보다 작은 경우, 장치(200)는 제1 노드에서 제1 작업 및 제2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 노드에서 제1 작업을 처리하고 제2 노드에서 제2 작업을 처리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에러 발생률에 대한 대응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작업 및 제2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는 노드로 설정되어 있는 제1 노드를 확인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노드에서 제1 작업을 처리하는 동안 발생하는 에러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 검출된 에러 횟수를 제1 에러 횟수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1초 동안 제1 노드가 제1 작업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에러를 검출하여, 검출된 에러에 대한 횟수를 제1 에러 횟수로 산출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노드에서 제2 작업을 처리하는 동안 발생하는 에러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 검출된 에러 횟수를 제2 에러 횟수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1초 동안 제1 노드가 제2 작업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에러를 검출하여, 검출된 에러에 대한 횟수를 제2 에러 횟수로 산출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에러 횟수 및 제2 에러 횟수를 합한 값을 통해, 제1 노드의 에러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 제1 노드가 제1 작업 및 제2 작업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에러를 모두 검출하여, 검출된 모든 에러에 대한 횟수를 제1 노드의 에러 횟수로 산출할 수 있다.
S6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노드의 에러 횟수가 제1 기준값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값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605 단계에서 제1 노드의 에러 횟수가 제1 기준값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6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노드에서 제1 작업 및 제2 작업을 계속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노드의 에러 횟수가 제1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제1 노드에서 제1 작업 및 제2 작업을 처리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S605 단계에서 제1 노드의 에러 횟수가 제1 기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6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에러 횟수가 제2 에러 횟수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606 단계에서 제1 에러 횟수가 제2 에러 횟수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6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노드에서 제1 작업을 처리하고 제2 노드에서 제2 작업을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노드의 에러 횟수가 제1 기준값 보다 크고, 제1 에러 횟수가 제2 에러 횟수 보다 작은 경우, 제1 노드가 제1 작업 및 제2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작업을 처리하는 노드를 제2 노드로 설정하여, 제1 노드에서 제1 작업을 처리하고 제2 노드에서 제2 작업을 처리하고 있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S606 단계에서 제1 에러 횟수가 제2 에러 횟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609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노드에서 제2 작업을 처리하고 제2 노드에서 제1 작업을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노드의 에러 횟수가 제1 기준값 보다 크고, 제2 에러 횟수가 제1 에러 횟수 보다 작은 경우, 제1 노드가 제1 작업 및 제2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작업을 처리하는 노드를 제2 노드로 설정하여, 제1 노드에서 제2 작업을 처리하고 제2 노드에서 제1 작업을 처리하고 있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러 발생률에 대한 대응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노드의 에러 횟수가 제1 기준값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01 단계에서 제1 노드의 에러 횟수가 제1 기준값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7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노드에서 제1 작업 및 제2 작업을 계속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701 단계에서 제1 노드의 에러 횟수가 제1 기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7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에러 횟수가 제2 기준값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값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제1 에러 횟수가 제2 기준값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7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에러 횟수가 제2 기준값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S703 단계에서 제1 에러 횟수가 제2 기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7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에러 횟수가 제2 기준값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노드의 에러 횟수가 제1 기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에러 횟수 및 제2 에러 횟수 각각이 제2 기준값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제2 에러 횟수가 제2 기준값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7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에러 횟수가 제2 에러 횟수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에러 횟수가 제2 기준값 보다 작고, 제2 에러 횟수가 제2 기준값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에러 횟수가 제2 에러 횟수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06 단계에서 제1 에러 횟수가 제2 에러 횟수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7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노드에서 제1 작업을 처리하고 제2 노드에서 제2 작업을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706 단계에서 제1 에러 횟수가 제2 에러 횟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7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노드에서 제2 작업을 처리하고 제2 노드에서 제1 작업을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704 단계에서 제2 에러 횟수가 제2 기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7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노드에서 제1 작업을 처리하고 제2 노드에서 제2 작업을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에러 횟수가 제2 기준값 보다 작고, 제2 에러 횟수가 제2 기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제1 노드에서 제1 작업을 처리하고 제2 노드에서 제2 작업을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705 단계에서 제2 에러 횟수가 제2 기준값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7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노드에서 제2 작업을 처리하고 제2 노드에서 제1 작업을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에러 횟수가 제2 기준값 보다 크고, 제2 에러 횟수가 제2 기준값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노드에서 제2 작업을 처리하고 제2 노드에서 제1 작업을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705 단계에서 제2 에러 횟수가 제2 기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709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노드에서 제1 작업을 처리하고 제3 노드에서 제2 작업을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에러 횟수가 제2 기준값 보다 크고, 제2 에러 횟수가 제2 기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제2 노드에서 제1 작업을 처리하고 제3 노드에서 제2 작업을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정기 구독 서비스의 요금제를 추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S8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업체의 매출 자료를 통해 제1 업체의 평균 매출액을 확인하고, 제1 업체의 기본 정보를 통해 제1 업체의 직원 수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업체는 제1 사용자가 직원으로 소속되어 있는 업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200)는 제1 업체의 매출 자료를 수집하고, 제1 업체의 기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업체의 매출 자료를 기반으로 제1 업체의 월별 평균 매출액이 얼마인지 확인하고, 정기 구독 서비스의 회원 가입 시 등록된 제1 업체의 기본 정보를 통해 제1 업체의 직원 수가 몇 명인지 확인할 수 있다.
S8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업체의 평균 매출액이 미리 설정된 기준 매출액 보다 적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매출액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802 단계에서 제1 업체의 평균 매출액이 기준 매출액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S8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업체의 직원 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직원 수 보다 적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직원 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제1 업체의 직원 수가 기준 직원 수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S8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정기 구독 서비스의 요금제 중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설정된 제1 요금제에 대한 추천 알림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업체의 평균 매출액이 기준 매출액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기본 매출 관리 서비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업체의 직원 수가 기준 직원 수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급여 관리 서비스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기본 매출 관리 서비스만 필요한 경우, 제1 요금제에 대한 추천 알림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제1 업체의 직원 수가 기준 직원 수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S8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정기 구독 서비스의 요금제 중 제2 요금제 보다 비싼 가격으로 설정된 제3 요금제에 대한 추천 알림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업체의 평균 매출액이 기준 매출액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기본 매출 관리 서비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업체의 직원 수가 기준 직원 수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급여 관리 서비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기본 매출 관리 서비스 및 급여 관리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제3 요금제에 대한 추천 알림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S802 단계에서 제1 업체의 평균 매출액이 기준 매출액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S8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업체의 직원 수가 기준 직원 수 보다 적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806 단계에서 제1 업체의 직원 수가 기준 직원 수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S8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정기 구독 서비스의 요금제 중 제1 요금제 보다 비싼 가격으로 설정된 제2 요금제에 대한 추천 알림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업체의 평균 매출액이 기준 매출액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세 매출 관리 서비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업체의 직원 수가 기준 직원 수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급여 관리 서비스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세 매출 관리 서비스만 필요한 경우, 제2 요금제에 대한 추천 알림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S806 단계에서 제1 업체의 직원 수가 기준 직원 수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S8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정기 구독 서비스의 요금제 중 제3 요금제 보다 비싼 가격으로 설정된 제4 요금제에 대한 추천 알림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장치(200)는 제1 업체의 평균 매출액이 기준 매출액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세 매출 관리 서비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업체의 직원 수가 기준 직원 수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급여 관리 서비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세 매출 관리 서비스 및 급여 관리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제4 요금제에 대한 추천 알림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및 메모리(2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20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후술되는 방법들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220)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20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DID 기반으로 클라우드 환경의 협업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제1 사용자의 DID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의 신원이 증명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가 소속되어 있는 워크 그룹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가 제1 워크 그룹에 소속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워크 그룹 내에서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설정되어 있는 역할 및 정책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워크 그룹 내에 소속된 사용자들의 협업을 위해 클라우드 상에 제1 워크 스페이스가 생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역할 및 정책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워크 스페이스 내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업무 범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워크 스페이스로 접근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업무 범위 내에서 정보의 확인 및 변경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업무툴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쿠버네티스(Kubernetes)에 포함된 복수의 노드 중 제1 노드가 상기 제1 워크 스페이스 상에서 요청된 제1 작업을 처리하는 노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노드의 전체 자원량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작업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자원 사용량인 제1 사용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노드의 전체 자원량에서 상기 제1 사용량을 차감하여, 상기 제1 노드의 잔여 자원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노드의 잔여 자원량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량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노드의 잔여 자원량이 상기 제1 기준량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워크 스페이스 상에서 요청된 제2 작업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자원 사용량인 제2 사용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노드의 잔여 자원량에서 상기 제2 사용량을 차감하여, 상기 제1 노드의 잔여 자원 예측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노드의 잔여 자원 예측량이 상기 제1 노드에 설정되어 있는 필수 자원량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노드의 잔여 자원 예측량이 상기 제1 노드의 필수 자원량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작업을 처리하는 노드를 상기 제1 노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노드의 잔여 예측량이 상기 제1 노드의 필수 자원량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작업을 처리하는 노드를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제2 노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ID 기반 클라우드 환경의 협업툴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업을 처리하는 노드를 상기 제1 노드로 설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1 노드에서 상기 제1 작업 및 상기 제2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작업을 처리하는 동안 발생하는 에러를 검출하여 제1 에러 횟수를 산출하고, 상기 제2 작업을 처리하는 동안 발생하는 에러를 검출하여 제2 에러 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에러 횟수 및 상기 제2 에러 횟수를 합한 값을 통해, 상기 제1 노드의 에러 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노드의 에러 횟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노드의 에러 횟수가 상기 제1 기준값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노드에서 상기 제1 작업 및 상기 제2 작업을 계속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노드의 에러 횟수가 상기 제1 기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에러 횟수가 상기 제2 에러 횟수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에러 횟수가 상기 제2 에러 횟수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노드에서 상기 제1 작업을 처리하고 상기 제2 노드에서 상기 제2 작업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에러 횟수가 상기 제2 에러 횟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노드에서 상기 제2 작업을 처리하고 상기 제2 노드에서 상기 제1 작업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ID 기반 클라우드 환경의 협업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10100550A 2021-07-30 2021-07-30 Did 기반 클라우드 환경의 협업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38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550A KR102338422B1 (ko) 2021-07-30 2021-07-30 Did 기반 클라우드 환경의 협업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550A KR102338422B1 (ko) 2021-07-30 2021-07-30 Did 기반 클라우드 환경의 협업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8422B1 true KR102338422B1 (ko) 2021-12-10

Family

ID=78865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550A KR102338422B1 (ko) 2021-07-30 2021-07-30 Did 기반 클라우드 환경의 협업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42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7019A (ko) * 2011-08-09 2013-02-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및 그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14086812A (ja) * 2012-10-22 2014-05-12 Renesas Electronics Corp Canシステム及びノード
KR101587500B1 (ko) 2014-08-29 2016-01-21 (주)한국플랫폼서비스기술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디바이스 협업 플랫폼 구축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93630B1 (ko) 2016-02-29 2017-11-2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기기 간의 협업 방법 및 클라우드 서버
KR101792357B1 (ko) 2015-11-27 2017-11-2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정의 협업 워크스페이스 지원 시스템
KR101987661B1 (ko) * 2018-07-19 2019-06-11 나무기술 주식회사 클라우드 플랫폼에서의 클러스터 리소스 할당 및 관리 방법
KR102063834B1 (ko) 2012-11-23 2020-01-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를 활용한 협업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이벤트 기반 협업 흐름 제어 방법
KR102189301B1 (ko) * 2020-04-22 2020-12-11 주식회사 한국정보보호경영연구소 블록체인 기반 보안이 강화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30901B1 (ko) * 2020-11-06 2021-03-2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자원 관리를 위한 비율방식의 QoS 지원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7019A (ko) * 2011-08-09 2013-02-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및 그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14086812A (ja) * 2012-10-22 2014-05-12 Renesas Electronics Corp Canシステム及びノード
KR102063834B1 (ko) 2012-11-23 2020-01-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를 활용한 협업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이벤트 기반 협업 흐름 제어 방법
KR101587500B1 (ko) 2014-08-29 2016-01-21 (주)한국플랫폼서비스기술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디바이스 협업 플랫폼 구축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92357B1 (ko) 2015-11-27 2017-11-2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정의 협업 워크스페이스 지원 시스템
KR101793630B1 (ko) 2016-02-29 2017-11-2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기기 간의 협업 방법 및 클라우드 서버
KR101987661B1 (ko) * 2018-07-19 2019-06-11 나무기술 주식회사 클라우드 플랫폼에서의 클러스터 리소스 할당 및 관리 방법
KR102189301B1 (ko) * 2020-04-22 2020-12-11 주식회사 한국정보보호경영연구소 블록체인 기반 보안이 강화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30901B1 (ko) * 2020-11-06 2021-03-2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자원 관리를 위한 비율방식의 QoS 지원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9406B2 (en) Attaching service level agreements to application containers and enabling service assurance
US10789083B2 (en) Providing a virtual desktop service based on physical distance on network from the user terminal and improving network I/O performance based on power consumption
US104119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cloud computing abstraction with multi-tier deployment policy
US9015662B2 (en) Service level objective for cloud hosted applications
Tang et al. Enterprise cloud service architecture
US11119986B2 (en) Intelligent data routing and storage provisioning
US10616139B1 (en) Reducing quota access
EP2573678A1 (en)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moving computing workloads to public clouds
US10999326B1 (en) Fine grained network security
WO2020031680A1 (ja) リソース予約管理装置、リソース予約管理方法およびリソース予約管理プログラム
JP2017138895A (ja) 仮想化環境管理システムおよび仮想化環境管理方法
CN114450685A (zh) 云基础设施环境中基于标签的资源限制或配额的系统和方法
US10884845B2 (en) Increasing processing capacity of processor cores during initial program load processing
Keshavarzi et al. Adaptive Resource Management and Provisioning in the Cloud Computing: A Survey of Definitions, Standards and Research Roadmaps.
Sulimani et al. Reinforcement optimization for decentralized service placement policy in IoT‐centric fog environment
US9390239B2 (en) Software system template protection
Panarello et al. A requirements analysis for iaas cloud federation
KR102338422B1 (ko) Did 기반 클라우드 환경의 협업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57308B1 (ko) 쇼핑몰업 대상 세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의 부하 분산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00102852A (ko) 공개 원장 기반 크리덴셜 자율적 운영 시스템 및 방법
JP5980421B2 (ja) アクセス制御装置及びアクセス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58112B1 (ko)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 및 태스크 스케줄링 방법
Ali et al. Advanced Deadline-Sensitive Scheduling Approaches in Cloud Computing
Kshama et al. A novel load balancing algorithm based on the capacity of the virtual machines
KR102366280B1 (ko) 클라우드 사용자의 비용 최적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