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922B1 -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6922B1 KR102556922B1 KR1020230029439A KR20230029439A KR102556922B1 KR 102556922 B1 KR102556922 B1 KR 102556922B1 KR 1020230029439 A KR1020230029439 A KR 1020230029439A KR 20230029439 A KR20230029439 A KR 20230029439A KR 102556922 B1 KR102556922 B1 KR 1025569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te
- imported
- price
- sales volume
- chan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5
- 230000008676 impor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3064 k means cluste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384 transportation and deliver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193 craw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78 mi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058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39 pla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19 trans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6—Price or cost determination based on market facto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3—Clustering techniques
- G06F18/232—Non-hierarchical techniques
- G06F18/2321—Non-hierarchical techniques using statistics or function optimisation, e.g. modelling of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 G06F18/23213—Non-hierarchical techniques using statistics or function optimisation, e.g. modelling of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with fixed number of clusters, e.g. K-means cluster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수입 상품의 판매 가격과 수요량을 예측함으로써, 수입 상품의 환율 및 수요에 따라 적정 가격을 산출하여 수익성과 재고율을 개선하고, 고객이 수입 상품을 배송받는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최적화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래 실시예들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수입 상품의 판매 가격과 수요량을 예측함으로써, 수입 상품의 환율 및 수요에 따라 적정 가격을 산출하여 수익성과 재고율을 개선하고, 고객이 수입 상품을 배송받는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최적화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류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해외 수입 상품의 유통량이 증가하고 있다.
수입 상품은 해외 직구, 병행수입, 판매자의 일괄 수입 후 재고 내에서 국내 배송 등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고 있으며, 수입 상품의 종류나 시장 특성에 따라 적절한 방법이 채택되어 유통되고 있다.
다만, 수입 상품의 경우 해외에서 생산/제조/유통되는 제품이라는 특성 상 환율에 따른 가격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국내에서 수입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들은 이러한 수입 상품의 환율 차이에 따른 손실이나, 악성 재고에 따른 손실 등을 대비할 필요가 있다.
소품종 및 대량으로 수입되는 물품들의 경우, 일반적인 인공지능 알고리즘 등을 활용하여 수요량을 예측하기가 쉬운 편이지만, 명품 등 다품종 소량 수입되는 물품들의 경우에는 해당 수입 상품에 대해 학습된 데이터가 부족하여 기존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는 수요량을 예측하고 적절한 가격을 산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수입 상품 수요량 예측 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품종 소량 수입되는 수입 상품들을 군집화하여 각 군집들의 판매량 추이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요량을 예측하여 적절한 가격을 산출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에 있어서, 수입 상품의 수입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수입 상품의 재고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수입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수입 정보의 외화 가격을 기반으로, 수입 시 환율에 따른 제1 수입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수입 상품의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수입 가격 및 품목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판매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입 상품의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는: 월(month)을 '열'로, 상기 수입 상품의 품목명을 '행'으로, 상기 수입 상품의 전년도 월별 판매량인 제1 월별 판매량을 '값'으로 하는 제1 행렬을 생성하는 제1 예측 단계; 상기 제1 행렬을 기반으로, 상기 수입 상품의 제1 월별 판매량에 대한 K-Means 클러스터링으로 상기 수입 상품의 품목들을 군집화하는 제2 예측 단계; 수입 상품의 제1 군집별로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산출하는 제3 예측 단계; 상기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보간하여 소정의 제1 함수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함수를 미분하여 제1 월별 변화율을 산출하는 제4 예측 단계; 상기 제1 월별 변화율을 기반으로, 제1 월별 변화율이 음수인 제1 기간들 및 제2 군집들을 추출하는 제5 예측 단계; 상기 제1 군집들 중, 상기 제1 기간들에 대응하는 제1 월별 변화율이 양수인 제3 군집들을 추출하는 제6 예측 단계; 상기 제2 군집과 제3 군집을 1대1 매칭시키는 제7 예측 단계; 매칭된 제2 군집 및 제3 군집에 대하여, '상기 제2 군집의 제1 월별 변화율 대비 상기 제3 군집의 제1 월별 변화율'을 소정의 제1 비율로 산출하는 제8 예측 단계; 상기 수입 상품의 금년도 월별 판매량인 제2 월별 판매량을 읽어오는 제9 예측 단계; 상기 제2 월별 판매량 중, '상기 제1 기간에 대응하는 최근 1개월인 제3 기간'에 대한 제2 군집의 제1 비교 대상 판매량을 읽어오는 제10 예측 단계; 상기 제2 군집에 대한 제1 비율 값이 존재하는 제3 군집에 대하여, 상기 제1 비교 대상 판매량 및 제1 비율을 기반으로 상기 수입 상품별 제1 예상 판매량을 산출하는 제11 예측 단계; 상기 제3 기간에 대한 '상기 제1 군집 중, 상기 제1 비교 대상 판매량이 존재하지 않는 제4 군집'의 제2 비교 대상 판매량을 읽어오는 제12 예측 단계; 상기 제2 비교 대상 판매량 및 제1 월별 변화율을 기반으로, 상기 수입 상품별 제2 예상 판매량을 산출하는 제13 예측 단계; 및 상기 제1 예상 판매량 및 제2 예상 판매량을 병합하여, 상기 품목별 수요량을 산출하는 제14 예측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매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입 정보의 외화 가격을 기반으로, 현재 환율에 따른 제2 수입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입 가격 대비 제2 수입 가격인 환율 변동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수입 상품별 '최근 1개월간 판매량 대비 상기 제1 예상 판매량' 또는 상기 수입 상품별 '최근 1개월간 판매량 대비 상기 제2 예상 판매량'인 제1 예상 변화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예상 변화율이 '양수인 제1 기준 변화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수입 가격에 '상기 환율 변동률의 절댓값을 초과하는 제1 마진율'을 반영하여 제1 판매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예상 변화율이 '상기 제1 기준 변화율 미만이고 양수인 제2 기준 변화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수입 가격에 '상기 제1 군집별로 지정된 양수인 제2 마진율'을 반영하여 제2 판매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예상 변화율이 '0 이하인 제3 기준 변화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수입 가격에 '상기 제1 군집별로 지정된 음수인 제3 마진율'을 반영하여 제3 판매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예상 변화율이 '상기 제3 기준 변화율 미만이고 음수인 제4 기준 변화율' 이상인 경우: 상기 수입 상품의 판매를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예상 변화율이 상기 제4 기준 변화율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수입 가격에 '상기 제1 군집별로 지정된 음수인 제4 마진율'을 반영하여 제4 판매가격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입 상품의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수입 상품 중, 상기 판매 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신규 상품'의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규 상품의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군집별로 제1 태그를 지정하는 단계; 상기 판매 정보가 기록된 제1 기존 상품의 제1 이미지를 등록하는 단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부터 상기 신규 상품의 제품명이 태깅된 게시물을 크롤링하는 단계; 상기 게시물로부터 제2 이미지 및 제2 태그를 추출하는 단계; 이미지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제1 이미지를 학습시키는 단계; 상기 이미지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제2 이미지를 입력하여, 상기 제1 기존 상품 중 상기 신규 상품과 이미지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제2 기존 상품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군집들 중, 상기 제2 기존 상품이 포함된 제5 군집을 지정하는 단계; 텍스트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제1 태그를 학습시키는 단계; 상기 텍스트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제2 태그를 입력하여, 상기 제1 군집들 중 상기 신규 상품과 텍스트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제6 군집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5 군집의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상기 신규 상품의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에 대입하는 단계; 상기 제6 군집을 상기 신규 상품의 제1 군집으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 상품에 대해 상기 제4 예측 단계 내지 제14 예측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로부터 상기 수입 상품에 대한 주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입 상품의 재고 및 품목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상기 수입 상품을 발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입 상품을 발주하는 단계는: 상기 수입 상품의 품목별 수요량의 제2 비율만큼 발주하고 누적 재고를 기록하는 제1 발주 단계; 상기 제2 비율만큼의 재고를 기반으로 상기 주문에 따른 수입 상품을 배송하는 제2 발주 단계; 상기 수입 상품의 재고가, 상기 제2 비율의 절반인 제3 비율 이하로 감소했을 때: 상기 수입 상품을 추가 발주하고 상기 누적 재고를 갱신하는 제3 발주 단계; 상기 누적 재고가 상기 품목별 수요량 이하인 동안, 상기 제3 발주 단계를 반복하는 제4 발주 단계; 및 상기 누적 재고가 상기 품목별 수요량을 초과하는 동안, 상기 주문에 대응하도록 추가 발주하는 제5 발주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품종 소량 수입되는 수입 상품들을 군집화하여 각 군집들의 판매량 추이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군집화된 수입 상품들의 판매량 추이를 기반으로, 수입 상품들의 수요량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수입 상품들의 환율 변동에 따른 가격과, 예측된 수요량 등의 데이터를 종합하여, 적절한 가격을 산출할 수 있다.
아울러, 계절, 종류, 브랜드, 색상, 디자이너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변화하는 패션 유행을 상기 군집별 판매량 추이를 기반으로 추정함으로써, 앞으로 유행(판매량 증가)할 군집을 도출하여 보다 정확한 수요량을 예측할 수 있고, 유의미한 유행(군집별 판매량 추이) 변화가 도출되지 않는 군집들에 대해서도 작년 판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요량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환율 변동이나 수요량 감소 등에 따라 손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입 상품들은 가격을 적절히 조절하거나 판매를 중단함으로써 국내에서 해당 수입 상품의 유통량을 조절하여, 손실을 보전할 수 있다.
그리고, 예측된 수요량에 비례한 소정의 비율(재고율) 내에서만 재고를 유지하고, 수요량을 초과한 경우에는 고객의 주문이 있을 때에만 이를 수입(발주)하는 형태로 판매 형태를 스위칭함으로써, 악성 재고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유행하는 물품에 대한 판매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의 수입 상품의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의 판매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의 수입 상품의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제1 행렬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의 수입 상품의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에서 산출된 제1 군집별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의 수입 상품의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의 판매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의 수입 상품의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제1 행렬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의 수입 상품의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에서 산출된 제1 군집별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시스템은 인간 수준의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며, 기존 규칙(Rule) 기반의 스마트 시스템과 달리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 시스템은 사용할수록 인식률이 향상되고 사용자 취향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기존 규칙 기반의 스마트 시스템은 점차 심층 학습(Deep Learning) 기반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기계 학습 및 기계 학습을 활용한 요소기술들로 구성된다. 기계 학습은 입력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학습하는 알고리즘 기술이며, 요소기술은 심층 학습 등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기술로서, 언어적 이해, 시각적 이해, 추론/예측, 지식 표현, 동작 제어 등의 기술 분야로 구성된다.
인공지능 기술이 응용되는 다양한 분야는 다음과 같다. 언어적 이해는 인간의 언어/문자를 인식하고 응용/처리하는 기술로서, 자연어 처리, 기계 번역, 대화시스템, 질의 응답, 음성 인식/합성 등을 포함한다. 시각적 이해는 사물을 인간의 시각처럼 인식하여 처리하는 기술로서, 객체 인식, 객체 추적, 영상 검색, 사람 인식, 장면 이해, 공간 이해, 영상 개선 등을 포함한다. 추론 예측은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고 예측하는 기술로서, 지식/확률 기반 추론, 최적화 예측, 선호 기반 계획, 추천 등을 포함한다. 지식 표현은 인간의 경험정보를 지식데이터로 자동화 처리하는 기술로서, 지식 구축(데이터 생성/분류), 지식 관리(데이터 활용) 등을 포함한다. 동작 제어는 차량의 자율 주행,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기술로서, 움직임 제어(항법, 충돌, 주행), 조작 제어(행동 제어)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실생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계 학습의 기본 방법론의 특성상 Trial and Error 방식으로 학습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심층 학습의 경우 수십만 번의 반복 실행을 필요로 한다. 이를 실제 물리적인 외부 환경에서 실행하기는 불가능하여 대신 실제 물리적인 외부 환경을 컴퓨터상에서 가상으로 구현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학습을 수행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에 있어서, 수입 상품의 수입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S100); 상기 수입 상품의 재고를 기록하는 단계(S200); 상기 수입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S300); 상기 수입 정보의 외화 가격을 기반으로, 수입 시 환율에 따른 제1 수입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S400); 상기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수입 상품의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S500); 및 상기 제1 수입 가격 및 품목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판매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을 제공한다.
수입 상품의 수입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S100);에서는 장치(1)로부터 해외 판매자 단말(3)로 발주되어 수입되는 수입 상품의 수입 정보(품명, 품번, 수량, 주문일, 결제금액, 배송 출발일, 배송 도착일, 해외 판매자 정보, 제품 종류, 브랜드, 카달로그 등)를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서버(4) 또는 장치(1)에 기록/저장할 수 있다.
상기 수입 상품의 재고를 기록하는 단계(S200);에서는 이미 수입되어 창고에 저장된 수입 상품들의 상품별 수량을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서버(4) 또는 장치(1)에 기록/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이미 기록된 재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수입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와 후술하는 판매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에 연동되어 재고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수입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S300);에서는 상기 수입 상품이 고객에게 판매되었을 때 판매 정보(품명, 품번, 판매 수량, 주문일, 결제금액, 배송 출발일, 배송 도착일, 고객 정보, 제품 종류, 브랜드 등)를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서버(4) 또는 장치(1)에 기록/저장할 수 있다.
상기 수입 정보의 외화 가격을 기반으로, 수입 시 환율에 따른 제1 수입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S400);에서는 상기 수입 상품이 한화 기준으로 얼마에 구입(수입)되었는지를 산출한다.
상기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수입 상품의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S500);에서는, 소정의 기간 동안(예를 들어, 1년 이상) 누적된 과거 판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수입 상품이 향후에는 얼마나 판매될 지 품목별로 수요량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입 가격 및 품목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판매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S600);에서는 한화 기준으로 상기 수입 상품을 구매했던 가격과, 상기 수입 상품이 얼마나 팔릴지 예측한 수요량을 기반으로 판매 가격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수입 상품의 제1 수입 가격이 1,000,000원이고 해당 수입 상품의 수요량이 1,000개로 예측되는 경우, 제1 수입 가격에 마진을 붙인 1,300,000원을 판매 가격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입 상품의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S500)는: 월(month)을 '열'로, 상기 수입 상품의 품목명을 '행'으로, 상기 수입 상품의 전년도 월별 판매량인 제1 월별 판매량을 '값'으로 하는 제1 행렬을 생성하는 제1 예측 단계(S501); 상기 제1 행렬을 기반으로, 상기 수입 상품의 제1 월별 판매량에 대한 K-Means 클러스터링으로 상기 수입 상품의 품목들을 군집화하는 제2 예측 단계(S502); 수입 상품의 제1 군집별로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산출하는 제3 예측 단계(S503); 상기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보간하여 소정의 제1 함수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함수를 미분하여 제1 월별 변화율을 산출하는 제4 예측 단계(S504); 상기 제1 월별 변화율을 기반으로, 제1 월별 변화율이 음수인 제1 기간들 및 제2 군집들을 추출하는 제5 예측 단계(S505); 상기 제1 군집들 중, 상기 제1 기간들에 대응하는 제1 월별 변화율이 양수인 제3 군집들을 추출하는 제6 예측 단계(S506); 상기 제2 군집과 제3 군집을 1대1 매칭시키는 제7 예측 단계(S507); 매칭된 제2 군집 및 제3 군집에 대하여, '상기 제2 군집의 제1 월별 변화율 대비 상기 제3 군집의 제1 월별 변화율'을 소정의 제1 비율로 산출하는 제8 예측 단계(S508); 상기 수입 상품의 금년도 월별 판매량인 제2 월별 판매량을 읽어오는 제9 예측 단계(S509); 상기 제2 월별 판매량 중, '상기 제1 기간에 대응하는 최근 1개월인 제3 기간'에 대한 제2 군집의 제1 비교 대상 판매량을 읽어오는 제10 예측 단계(S510); 상기 제2 군집에 대한 제1 비율 값이 존재하는 제3 군집에 대하여, 상기 제1 비교 대상 판매량 및 제1 비율을 기반으로 상기 수입 상품별 제1 예상 판매량을 산출하는 제11 예측 단계(S511); 상기 제3 기간에 대한 '상기 제1 군집 중, 상기 제1 비교 대상 판매량이 존재하지 않는 제4 군집'의 제2 비교 대상 판매량을 읽어오는 제12 예측 단계(S512); 상기 제2 비교 대상 판매량 및 제1 월별 변화율을 기반으로, 상기 수입 상품별 제2 예상 판매량을 산출하는 제13 예측 단계(S513); 및 상기 제1 예상 판매량 및 제2 예상 판매량을 병합하여, 상기 품목별 수요량을 산출하는 제14 예측 단계(S514);를 포함할 수 있다.
월(month)을 '열'로, 상기 수입 상품의 품목명을 '행'으로, 상기 수입 상품의 전년도 월별 판매량인 제1 월별 판매량을 '값'으로 하는 제1 행렬을 생성하는 제1 예측 단계(S501);에 따라 생성된 제1 행렬의 예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행렬은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스프레드시트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행렬을 기반으로, 상기 수입 상품의 제1 월별 판매량에 대한 K-Means 클러스터링으로 상기 수입 상품의 품목들을 군집화하는 제2 예측 단계(S502);에서는, 상기 제1 행렬을 군집화하며, 제1 행렬에 포함된 수입 상품별 판매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수입 상품들을 군집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비슷한 판매량 변화 추이를 나타내는 A 제품과 B 제품은 서로 같은 군집에 소속될 수 있다.
도 5에는 각 수입 상품별(품목별)로 산출된 클러스터가 표기되어 있다.
수입 상품의 제1 군집별로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산출하는 제3 예측 단계(S503);에서는 다수개 생성된 제1 군집들 각각에 대하여, 각 제1 군집에 속하는 수입 상품들의 월별 판매량(작년 1년간의 데이터 또는 n년간 누적된 평균 데이터)을 평균하여 상기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번 군집에 속하는 A, B, C 상품의 1월 판매량이 각각 30, 50, 70이었다면, 0번 군집의 1월 평균 판매량이 50으로 산출되며, 이러한 산출 과정을 각 군집별로 및 각 월별로 반복하게 된다.
상기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보간하여 소정의 제1 함수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함수를 미분하여 제1 월별 변화율을 산출하는 제4 예측 단계(S504);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1 군집별로 산출된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각 제1 군집마다 보간하여 각 제1 군집에 대한 제1 함수들을 생성한다.
상기 제1 군집별로 생성된 상기 제1 함수에 따른 그래프가 도 6 (a)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산출된 제1 함수들을 각 군집별로 각각 미분하여, 월별 판매량의 변화율인 제1 월별 변화율을 산출한다.
상기 제1 월별 변화율을 기반으로, 제1 월별 변화율이 음수인 제1 기간들 및 제2 군집들을 추출하는 제5 예측 단계(S505);에서는, 어떤 기간(수개월)에서 제1 월별 변화율이 음수인, 즉 월별 판매량이 감소 추세에 있는 제1 기간들을 각 군집별로 추출하고, 제1 기간이 존재하는 제1 군집들을 제2 군집으로 지정한다.
다시말해, 월별 판매량이 감소하지 않는 제1 군집은, 제2 군집으로 지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 군집들 중, 상기 제1 기간들에 대응하는 제1 월별 변화율이 양수인 제3 군집들을 추출하는 제6 예측 단계(S506);에서는, 상기 제1 기간들과 동일한 기간 동안에 제1 월별 변화율이 양수인, 즉 월별 판매량이 증가 추세에 있는 제1 군집들을 제3 군집들로 지정한다.
다시말해, 상기 제2 군집에 포함되는 수입 상품들의 유행이 다하여 월별 판매량이 감소하는 동안에, 이와는 반대로 유행이 시작하며 월별 판매량이 증가하는 군집을 제3 군집들로 추출한다.
상기 제2 군집과 제3 군집을 1대1 매칭시키는 제7 예측 단계(S507);에서는, 추출된 제2 군집들 및 제3 군집들 중, 서로 연관관계가 있는 군집들을 서로 매칭시킨다.
예를 들어, 도 6 (a)에 도시된 제1 군집들 중 일부 제1 군집들만을 표기한 도 6 (b)에서, 주황색으로 표기된 제2 군집이 5월에서 6월 사이의 기간동안에 판매량이 감소하고 있고, 이와는 반대로 연두색으로 표기된 제3 군집이 5월에서 6월 사이의 기간동안에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주황색 제2 군집과 연두색 제3 군집을 서로 매칭시킬 수 있다.
매칭된 제2 군집 및 제3 군집에 대하여, '상기 제2 군집의 제1 월별 변화율 대비 상기 제3 군집의 제1 월별 변화율'을 소정의 제1 비율로 산출하는 제8 예측 단계(S508);에서는, 매칭된 군집들의 제1 월별 변화율이 어느 정도의 비율을 가지는지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제2 군집의 제1 월별 변화율(기울기)이 -15이고 제3 군집의 제1 월별 변화율이 3인 경우, 제1 비율은 3/-15 = -1/5 = -0.2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비율은 매칭된 어느 쌍의 제2 군집의 판매량 감소에 비해 제3 군집의 판매량 증가가 어느 정도의 비율을 가지는지를 설명하는 값으로, 어떤 제2 군집의 판매량이 매우 급격하게 감소할 때 그에 매칭된 제3 군집의 판매량은 완만하게 증가하는 추세인 것으로 산출되는 경우, 이(제1 비율)를 기반으로 제3 군집의 수요량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수입 상품의 금년도 월별 판매량인 제2 월별 판매량을 읽어오는 제9 예측 단계(S509);에서는, 금년도(산출 시점으로부터 1년 전까지의 데이터) 실제 판매량을 수입 상품의 품목별로 상기 판매 정보로부터 읽어온다.
상기 제2 월별 판매량 중, '상기 제1 기간에 대응하는 최근 1개월인 제3 기간'에 대한 제2 군집의 제1 비교 대상 판매량을 읽어오는 제10 예측 단계(S510);에서는, 상기 제2 월별 판매량 중, 이번달(산출 시점으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데이터 또는 지난달 데이터 또는 월말인 경우 이번달 데이터) 데이터를 읽어와서 상기 제1 비교 대상 판매량으로 지정한다.
상기 제2 군집에 대한 제1 비율 값이 존재하는 제3 군집에 대하여, 상기 제1 비교 대상 판매량 및 제1 비율을 기반으로 상기 수입 상품별 제1 예상 판매량을 산출하는 제11 예측 단계(S511);에서는, 어떤 군집의 유행이 종료할 때 새로이 유행이 시작되는 군집인 제3 군집에 대하여, 제3 군집과 매칭된 제2 군집에 대해 산출된 제1 비교 대상 판매량에 상기 제1 비율(의 절댓값)을 반영하여 상기 제1 예상 판매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군집의 제1 비교 대상 판매량이 500개로 산출되었고, 제3 군집의 이번달 판매량이 300개로 산출되었을 때, 제3 군집의 제2 군집에 대한 제1 비율 값이 -0.7인 경우, 상기 제1 예상 판매량은 500*0.7인 350개를 상기 300개에 더한 값인 650개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제3 기간에 대한 '상기 제1 군집 중, 상기 제1 비교 대상 판매량이 존재하지 않는 제4 군집'의 제2 비교 대상 판매량을 읽어오는 제12 예측 단계(S512);에서는, 매칭된 다른 군집이 존재하지 않아 유행의 추이를 파악하기 어려운 군집들인 제4 군집에 대해 수요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상기 제4 군집의 상기 제2 월별 판매량 중, 이번달(산출 시점으로부터 1개월 전까지의 데이터 또는 지난달 데이터 또는 월말인 경우 이번달 데이터) 데이터를 읽어와서 상기 제2 비교 대상 판매량으로 지정한다.
상기 제2 비교 대상 판매량 및 제1 월별 변화율을 기반으로, 상기 수입 상품별 제2 예상 판매량을 산출하는 제13 예측 단계(S513);에서는, 다른 군집과의 관계가 판별되지 않았으므로 작년의 판매량 변화율을 기반으로 올해의 판매량 변화율을 추정하고, 이를 토대로 다음 달 예상 판매량인 제2 예상 판매량을 산출한다.
상기 제1 예상 판매량 및 제2 예상 판매량을 병합하여, 상기 품목별 수요량을 산출하는 제14 예측 단계(S514);에서는, 매칭된 제3 군집들에 대해 산출된 제1 예상 판매량들과, 매칭되지 않은 제4 군집들에 대해 산출된 제2 예상 판매량들의 데이터를 병합함으로써, 모든 제1 군집들에 대한 수요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판매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S600)는: 상기 수입 정보의 외화 가격을 기반으로, 현재 환율에 따른 제2 수입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S601); 상기 제1 수입 가격 대비 제2 수입 가격인 환율 변동율을 산출하는 단계(S602); 상기 수입 상품별 '최근 1개월간 판매량 대비 상기 제1 예상 판매량' 또는 상기 수입 상품별 '최근 1개월간 판매량 대비 상기 제2 예상 판매량'인 제1 예상 변화율을 산출하는 단계(S603); 상기 제1 예상 변화율이 '양수인 제1 기준 변화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수입 가격에 '상기 환율 변동률의 절댓값을 초과하는 제1 마진율'을 반영하여 제1 판매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S604); 상기 제1 예상 변화율이 '상기 제1 기준 변화율 미만이고 양수인 제2 기준 변화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수입 가격에 '상기 제1 군집별로 지정된 양수인 제2 마진율'을 반영하여 제2 판매가격을 산출하는 단계(S605); 상기 제1 예상 변화율이 '0 이하인 제3 기준 변화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수입 가격에 '상기 제1 군집별로 지정된 음수인 제3 마진율'을 반영하여 제3 판매가격을 산출하는 단계(S606); 상기 제1 예상 변화율이 '상기 제3 기준 변화율 미만이고 음수인 제4 기준 변화율' 이상인 경우: 상기 수입 상품의 판매를 중단하는 단계(S607); 및 상기 제1 예상 변화율이 상기 제4 기준 변화율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수입 가격에 '상기 제1 군집별로 지정된 음수인 제4 마진율'을 반영하여 제4 판매가격을 산출하는 단계(S60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입 정보의 외화 가격을 기반으로, 현재 환율에 따른 제2 수입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S601);에서는, 환율의 변동에 따른 이익이나 손실을 산출하기 위하여 수입 상품을 수입(구매)했던 날짜의 외화 가격에 오늘(현재) 환율을 적용함으로써 제2 수입 가격을 산출한다.
상기 제1 수입 가격 대비 제2 수입 가격인 환율 변동율을 산출하는 단계(S602);에서는 구입(발주/수입) 시점에서의 제1 수입 가격과 오늘 날짜에서의 제2 수입 가격을 비교함으로써, 환율에 따른 가격 변동율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제1 수입 가격이 1,000,000원이고 제2 수입 가격이 1,200,000원인 경우, 환율의 변동에 따라 200,000원의 이익이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수입 상품별 '최근 1개월간 판매량 대비 상기 제1 예상 판매량' 또는 상기 수입 상품별 '최근 1개월간 판매량 대비 상기 제2 예상 판매량'인 제1 예상 변화율을 산출하는 단계(S603);에서는, 상술한 단계들에 따라 예측된 수요량인 상기 제1 예상 판매량 또는 제2 예상 판매량과, 이번달(최근 1개월간) 판매량을 비교함으로써, 각 수입 상품들마다 제1 예상 변화율을 산출한다.
각 수입 상품들마다 산출된 제1 예상 변화율은 각 수입 상품들이 다음달에는 얼마나 더 많이 팔릴지 또는 얼마나 더 적게 팔릴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볼 수 있다.
상기 제1 예상 변화율이 '양수인 제1 기준 변화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수입 가격에 '상기 환율 변동률의 절댓값을 초과하는 제1 마진율'을 반영하여 제1 판매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S604);에서는, 상기 제1 예상 변화율이 매우 큰 경우(다음달에 해당 수입 상품이 훨씬 더 많이 팔릴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에는 가격을 높여 수익(개당 마진)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예상 변화율이 '상기 제1 기준 변화율 미만이고 양수인 제2 기준 변화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수입 가격에 '상기 제1 군집별로 지정된 양수인 제2 마진율'을 반영하여 제2 판매가격을 산출하는 단계(S605);에서는, 상기 제1 예상 변화율이 매우 크지는 않지만 양수인 경우(다음달에 해당 수입 상품이 조금 더 팔릴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에는 적절한 마진율을 적용하여 수익(판매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예상 변화율이 '0 이하인 제3 기준 변화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수입 가격에 '상기 제1 군집별로 지정된 음수인 제3 마진율'을 반영하여 제3 판매가격을 산출하는 단계(S606);에서는, 상기 제1 예상 변화율이 음수인 경우(다음달에 해당 수입 상품이 조금 덜 팔릴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에는 적절한 할인율을 적용하여 손실(악성 재고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예상 변화율이 '상기 제3 기준 변화율 미만이고 음수인 제4 기준 변화율' 이상인 경우: 상기 수입 상품의 판매를 중단하는 단계(S607);에서는, 상기 제1 예상 변화율이 일정 이상의 음수인 경우(다음달에 해당 수입 상품이 덜 팔릴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에는 해당 수입 상품이 국내에 유통되는 물량을 조절하여 희소성에 따라 추후에 적절한 가격으로 판매할 수 있도록 판매를 일시적으로 중단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1 예상 변화율이 상기 제4 기준 변화율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수입 가격에 '상기 제1 군집별로 지정된 음수인 제4 마진율'을 반영하여 제4 판매가격을 산출하는 단계(S608);에서는, 해당 수입 상품의 유행이 완전히 종결되어 판매를 중단하더라도 추후에 손실을 보전하기 어려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높은 할인율을 적용하여 해당 수입 상품을 빠르게 판매 완료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입 상품의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S500)는: '상기 수입 상품 중, 상기 판매 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신규 상품'의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규 상품의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군집별로 제1 태그를 지정하는 단계; 상기 판매 정보가 기록된 제1 기존 상품의 제1 이미지를 등록하는 단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부터 상기 신규 상품의 제품명이 태깅된 게시물을 크롤링하는 단계; 상기 게시물로부터 제2 이미지 및 제2 태그를 추출하는 단계; 이미지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제1 이미지를 학습시키는 단계; 상기 이미지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제2 이미지를 입력하여, 상기 제1 기존 상품 중 상기 신규 상품과 이미지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제2 기존 상품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군집들 중, 상기 제2 기존 상품이 포함된 제5 군집을 지정하는 단계; 텍스트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제1 태그를 학습시키는 단계; 상기 텍스트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제2 태그를 입력하여, 상기 제1 군집들 중 상기 신규 상품과 텍스트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제6 군집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5 군집의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상기 신규 상품의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에 대입하는 단계; 상기 제6 군집을 상기 신규 상품의 제1 군집으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 상품에 대해 상기 제4 예측 단계(S504) 내지 제14 예측 단계(S514)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입 상품 중, 상기 판매 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신규 상품'의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에서, 상기 '신규 상품'이란, 기존에 판매된 이력이 전혀 없어서 기존의 판매 추이 등의 데이터가 없거나 부족하고, 이에 따라 해당 신규 상품이 어느 군집에 해당하는지를 파악할 수 없는 수입 상품을 의미한다.
상기 제1 군집별로 제1 태그를 지정하는 단계;에서는, 신규 상품 이외의 수입 상품인 기존 상품들의 제1 군집들 각각에 대해 소정의 제1 태그를 지정한다.
예를 들어, 명품 스카프 위주의 수입 상품들이 포함된 군집에는 #명품, #스카프, #액세서리 등의 제1 태그가 지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태그들은 전술한 수입 정보나 판매 정보 등을 기반으로 지정될 수 있다.
상기 판매 정보가 기록된 제1 기존 상품의 제1 이미지를 등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수입 상품 중 기존에 판매된 이력이 충분한 제1 기존 상품들의 사진을 상기 수입 정보 또는 판매 정보로부터 취득하거나 사진을 직접 촬영하여 제1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부터 상기 신규 상품의 제품명이 태깅된 게시물을 크롤링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신규 상품들의 제품명을 기반으로 인스타그램 등의 SNS로부터 게시물의 내용, 태그, 댓글 및 첨부된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게시물로부터 제2 이미지 및 제2 태그를 추출하는 단계;에서는 수집된 상기 게시물로부터 제품의 사진인 제2 이미지 및 제품과 관련한 태그인 제2 태그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부적합하거나 정확도가 낮은 데이터 등은 소정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의해 제거되거나, 데이터 분류 작업자에 의해 직접 분류되어 입력될 수도 있다.
이미지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제1 이미지를 학습시키는 단계;에서는, 수입 상품들의 이미지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1 이미지를 학습하여 소정의 이미지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을 생성한다.
상기 이미지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제2 이미지를 입력하여, 상기 제1 기존 상품 중 상기 신규 상품과 이미지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제2 기존 상품을 추출하는 단계;에서는, 신규 상품의 제2 이미지와 가장 비슷한 이미지(외관)를 가지는 제2 기존 상품을 추출한다.
상기 제1 군집들 중, 상기 제2 기존 상품이 포함된 제5 군집을 지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2 기존 상품이 소속된 제1 군집을 제5 군집으로써 지정한다.
텍스트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제1 태그를 학습시키는 단계;에서는, 수입 상품들의 텍스트(태그)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1 태그를 학습하여 소정의 텍스트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을 생성한다.
상기 텍스트 유사도 판단 인공지능 모델에 상기 제2 태그를 입력하여, 상기 제1 군집들 중 상기 신규 상품과 텍스트 유사도가 가장 높은 제6 군집을 추출하는 단계;에서는, 신규 상품의 제2 태그와 가장 비슷한 태그(설명, 제품 특징 등)를 가지는 제1 군집인 제6 군집을 추출한다.
상기 제5 군집의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상기 신규 상품의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에 대입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5 군집의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상기 신규 상품의 지난달 판매량으로 추정하여 대입한다.
상기 제6 군집을 상기 신규 상품의 제1 군집으로 지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신규 상품을 제6 군집에 소속시킨다(별도로 K-Means Clustering 등을 수행하지 않고, 군집 데이터를 직접 입력/지정/수정한다).
상기 신규 상품에 대해 상기 제4 예측 단계(S504) 내지 제14 예측 단계(S514)를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추정된 상기 신규 상품의 지난달 판매량과, 추정된 상기 신규 상품의 제1 군집(제6 군집)을 기반으로 전술한 수요량 예측 단계들을 수행함으로써, 누적된 판매량 데이터가 없거나 부족한 신규 상품의 수요량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로부터 상기 수입 상품에 대한 주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입 상품의 재고 및 품목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상기 수입 상품을 발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객 단말로부터 상기 수입 상품에 대한 주문을 수신하는 단계;에서는 고객 단말로부터 입력된 주문/결제를 처리하고, 주문/결제된 수입 상품을 상기 고객에게 배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수입 상품을 발주하는 단계는: 상기 수입 상품의 품목별 수요량의 제2 비율만큼 발주하고 누적 재고를 기록하는 제1 발주 단계; 상기 제2 비율만큼의 재고를 기반으로 상기 주문에 따른 수입 상품을 배송하는 제2 발주 단계; 상기 수입 상품의 재고가, 상기 제2 비율의 절반인 제3 비율 이하로 감소했을 때: 상기 수입 상품을 추가 발주하고 상기 누적 재고를 갱신하는 제3 발주 단계; 상기 누적 재고가 상기 품목별 수요량 이하인 동안, 상기 제3 발주 단계를 반복하는 제4 발주 단계; 및 상기 누적 재고가 상기 품목별 수요량을 초과하는 동안, 상기 주문에 대응하도록 추가 발주하는 제5 발주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입 상품의 품목별 수요량의 제2 비율만큼 발주하고 누적 재고를 기록하는 제1 발주 단계;에서는 품목별 수요량의 일정 비율, 예를 들어 30% 비율만큼을 발주하여, 배송된 제2 비율만큼의 물량을 창고에 저장한 뒤 이를 누적 재고에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비율은 상기 수입 상품을 발주한 뒤 창고에 저장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주 후 10 근무일이 경과하여 창고에 저장되는 수입 상품의 경우, 1개월간 2번 발주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2 비율이 50%로 지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비율만큼의 재고를 기반으로 상기 주문에 따른 수입 상품을 배송하는 제2 발주 단계;에서는,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접수된 주문에 따라 수입 상품을 재고(창고에 저장된 물량)로부터 바로 발송하여, 수입 상품을 고객이 1~2일 내로 배송받을 수 있도록 처리한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고객들은 수입 상품임에도 오랜기간 기다리지 않고 국내 배송 기간과 거의 동일한 시간만에 수입 상품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수입 상품의 재고가, 상기 제2 비율의 절반인 제3 비율 이하로 감소했을 때: 상기 수입 상품을 추가 발주하고 상기 누적 재고를 갱신하는 제3 발주 단계;에서는, 재고 수량이 소정의 제3 비율 이하로 감소한 상태에서(재고가 아직 일정량 남아있는 상태) 수입 상품을 추가 발주함으로써, 고객들이 전술한 바와 같이 국내 배송 기간에 준하여 수입 상품을 배송받을 수 있도록 추가 재고를 확보한다.
상기 누적 재고가 상기 품목별 수요량 이하인 동안, 상기 제3 발주 단계를 반복하는 제4 발주 단계;에서는, 상기 수입 상품에 대한 품목별 수요량을 초과하지 않는 누적 재고 한도 내에서만 재고를 확보한다.
예를 들어, 품목별 수요량이 1000개이고 제2 비율이 30%(300개)인 어느 수입 상품에 대해, 누적 재고가 900개, 현재 재고가 140개(제3 비율 15% : 150개 미만)일 때, 제2 비율을 맞추기 위하여 160개를 발주하는 것이 아니라 품목별 수요량만큼의 한도에 맞추어 100개만을 추가로 발주할 수 있다.
상기 누적 재고가 상기 품목별 수요량을 초과하는 동안, 상기 주문에 대응하도록 추가 발주하는 제5 발주 단계;에서는, 품목별 수요량을 이미 충족시킨 수입 상품의 판매 방식을, '주문 후 발주' 형태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판매자는 악성 재고에 대한 부담 없이 수입 상품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S100 : 수입 상품의 수입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S200 : 수입 상품의 재고를 기록하는 단계
S300 : 수입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S400 : 제1 수입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S500 :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
S501 : 제1 예측 단계
S502 : 제2 예측 단계
S503 : 제3 예측 단계
S504 : 제4 예측 단계
S505 : 제5 예측 단계
S506 : 제6 예측 단계
S507 : 제7 예측 단계
S508 : 제8 예측 단계
S509 : 제9 예측 단계
S510 : 제10 예측 단계
S511 : 제11 예측 단계
S512 : 제12 예측 단계
S513 : 제13 예측 단계
S514 : 제14 예측 단계
S600 : 판매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S601 : 제2 수입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S602 : 환율 변동율을 산출하는 단계
S603 : 제1 예상 변화율을 산출하는 단계
S604 : 제1 판매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S605 : 제2 판매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S606 : 제3 판매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S607 : 수입 상품의 판매를 중단하는 단계
S608 : 제4 판매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1 : 장치
2 : 고객 단말
3 : 해외 판매자 단말
4 : 데이터베이스 서버
S200 : 수입 상품의 재고를 기록하는 단계
S300 : 수입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S400 : 제1 수입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S500 :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
S501 : 제1 예측 단계
S502 : 제2 예측 단계
S503 : 제3 예측 단계
S504 : 제4 예측 단계
S505 : 제5 예측 단계
S506 : 제6 예측 단계
S507 : 제7 예측 단계
S508 : 제8 예측 단계
S509 : 제9 예측 단계
S510 : 제10 예측 단계
S511 : 제11 예측 단계
S512 : 제12 예측 단계
S513 : 제13 예측 단계
S514 : 제14 예측 단계
S600 : 판매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S601 : 제2 수입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S602 : 환율 변동율을 산출하는 단계
S603 : 제1 예상 변화율을 산출하는 단계
S604 : 제1 판매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S605 : 제2 판매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S606 : 제3 판매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S607 : 수입 상품의 판매를 중단하는 단계
S608 : 제4 판매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1 : 장치
2 : 고객 단말
3 : 해외 판매자 단말
4 : 데이터베이스 서버
Claims (3)
- 삭제
-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에 있어서,
수입 상품의 수입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수입 상품의 재고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수입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수입 정보의 외화 가격을 기반으로, 수입 시 환율에 따른 제1 수입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수입 상품의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수입 가격 및 품목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판매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입 상품의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는:
월(month)을 '열'로, 상기 수입 상품의 품목명을 '행'으로, 상기 수입 상품의 전년도 월별 판매량인 제1 월별 판매량을 '값'으로 하는 제1 행렬을 생성하는 제1 예측 단계;
상기 제1 행렬을 기반으로, 상기 수입 상품의 제1 월별 판매량에 대한 K-Means 클러스터링으로 상기 수입 상품의 품목들을 군집화하는 제2 예측 단계;
수입 상품의 제1 군집별로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산출하는 제3 예측 단계;
상기 제1 월별 평균 판매량을 보간하여 소정의 제1 함수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함수를 미분하여 제1 월별 변화율을 산출하는 제4 예측 단계;
상기 제1 월별 변화율을 기반으로, 제1 월별 변화율이 음수인 제1 기간들 및 제2 군집들을 추출하는 제5 예측 단계;
상기 제1 군집들 중, 상기 제1 기간들에 대응하는 제1 월별 변화율이 양수인 제3 군집들을 추출하는 제6 예측 단계;
상기 제2 군집과 제3 군집을 1대1 매칭시키는 제7 예측 단계;
매칭된 제2 군집 및 제3 군집에 대하여, '상기 제2 군집의 제1 월별 변화율 대비 상기 제3 군집의 제1 월별 변화율'을 소정의 제1 비율로 산출하는 제8 예측 단계;
상기 수입 상품의 금년도 월별 판매량인 제2 월별 판매량을 읽어오는 제9 예측 단계;
상기 제2 월별 판매량 중, '상기 제1 기간에 대응하는 최근 1개월인 제3 기간'에 대한 제2 군집의 제1 비교 대상 판매량을 읽어오는 제10 예측 단계;
상기 제2 군집에 대한 제1 비율 값이 존재하는 제3 군집에 대하여, 상기 제1 비교 대상 판매량 및 제1 비율을 기반으로 상기 수입 상품별 제1 예상 판매량을 산출하는 제11 예측 단계;
상기 제3 기간에 대한 '상기 제1 군집 중, 상기 제1 비교 대상 판매량이 존재하지 않는 제4 군집'의 제2 비교 대상 판매량을 읽어오는 제12 예측 단계;
상기 제2 비교 대상 판매량 및 제1 월별 변화율을 기반으로, 상기 수입 상품별 제2 예상 판매량을 산출하는 제13 예측 단계; 및
상기 제1 예상 판매량 및 제2 예상 판매량을 병합하여, 상기 품목별 수요량을 산출하는 제14 예측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 -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에 있어서,
수입 상품의 수입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수입 상품의 재고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수입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수입 정보의 외화 가격을 기반으로, 수입 시 환율에 따른 제1 수입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수입 상품의 품목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수입 가격 및 품목별 수요량을 기반으로, 판매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입 정보의 외화 가격을 기반으로, 현재 환율에 따른 제2 수입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입 가격 대비 제2 수입 가격인 환율 변동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수입 상품별 '최근 1개월간 판매량 대비 상기 제1 예상 판매량' 또는 상기 수입 상품별 '최근 1개월간 판매량 대비 상기 제2 예상 판매량'인 제1 예상 변화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예상 변화율이 '양수인 제1 기준 변화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수입 가격에 '상기 환율 변동률의 절댓값을 초과하는 제1 마진율'을 반영하여 제1 판매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예상 변화율이 '상기 제1 기준 변화율 미만이고 양수인 제2 기준 변화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수입 가격에 '상기 제1 군집별로 지정된 양수인 제2 마진율'을 반영하여 제2 판매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예상 변화율이 '0 이하인 제3 기준 변화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수입 가격에 '상기 제1 군집별로 지정된 음수인 제3 마진율'을 반영하여 제3 판매가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예상 변화율이 '상기 제3 기준 변화율 미만이고 음수인 제4 기준 변화율' 이상인 경우: 상기 수입 상품의 판매를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예상 변화율이 상기 제4 기준 변화율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수입 가격에 '상기 제1 군집별로 지정된 음수인 제4 마진율'을 반영하여 제4 판매가격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29439A KR102556922B1 (ko) | 2023-03-06 | 2023-03-06 |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29439A KR102556922B1 (ko) | 2023-03-06 | 2023-03-06 |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56922B1 true KR102556922B1 (ko) | 2023-07-19 |
Family
ID=87425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29439A KR102556922B1 (ko) | 2023-03-06 | 2023-03-06 |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5692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84141B1 (ko) | 2024-03-04 | 2024-07-11 | 주식회사 주원유업 | 수익률 자동 산출을 통한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35088A (ko) * | 2009-06-16 | 2010-12-24 | (주)비스비바 | 상품 가격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
KR20170076404A (ko) | 2015-12-24 | 2017-07-04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빅데이터를 이용한 수입 패션 상품 가격 책정 방법 |
KR101794936B1 (ko) | 2015-12-24 | 2017-11-07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가중치를 이용한 수입 패션 상품 가격 책정 방법 |
KR20200108521A (ko) * | 2019-03-04 | 2020-09-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KR102352329B1 (ko) * | 2021-09-14 | 2022-01-17 | 뉴통 주식회사 | 인공지능 기반의 물품 주문, 물류 및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KR20220055185A (ko) | 2020-10-26 | 2022-05-03 | 주식회사 쿠자피에이에스 | 빅데이터를 이용한 수입 상품 가격 책정 방법 |
KR20220076012A (ko) * | 2020-11-30 | 2022-06-08 | 푸드팡 주식회사 | B2b 시장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판매가격 결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
-
2023
- 2023-03-06 KR KR1020230029439A patent/KR10255692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35088A (ko) * | 2009-06-16 | 2010-12-24 | (주)비스비바 | 상품 가격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
KR20170076404A (ko) | 2015-12-24 | 2017-07-04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빅데이터를 이용한 수입 패션 상품 가격 책정 방법 |
KR101794936B1 (ko) | 2015-12-24 | 2017-11-07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가중치를 이용한 수입 패션 상품 가격 책정 방법 |
KR20200108521A (ko) * | 2019-03-04 | 2020-09-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KR20220055185A (ko) | 2020-10-26 | 2022-05-03 | 주식회사 쿠자피에이에스 | 빅데이터를 이용한 수입 상품 가격 책정 방법 |
KR20220076012A (ko) * | 2020-11-30 | 2022-06-08 | 푸드팡 주식회사 | B2b 시장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판매가격 결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
KR102352329B1 (ko) * | 2021-09-14 | 2022-01-17 | 뉴통 주식회사 | 인공지능 기반의 물품 주문, 물류 및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84141B1 (ko) | 2024-03-04 | 2024-07-11 | 주식회사 주원유업 | 수익률 자동 산출을 통한 유제품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Yin et al. | A game theoretic model for coordination of single manufacturer and multiple suppliers with quality variations under uncertain demands | |
KR102468827B1 (ko) | 인공지능 기반 상품 소싱 및 카테고리 맞춤형 리뷰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Shahrel et al. | PriceCop–price monitor and prediction using linear regression and LSVM-ABC methods for e-commerce platform | |
KR102363615B1 (ko) | 인공지능 기반 의류 트렌드 분석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의류 판매 전략 도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Xue et al. | Pricing personalized bundles: A new approach and an empirical study | |
KR102452440B1 (ko) | 전자 장비의 유통을 위한 재고 관리 및 주문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KR102447426B1 (ko) | 초개인화를 위한 퍼스널 컬러와 타임라인 기반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라이프스타일 가이드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KR102556922B1 (ko) | 인공지능 기반 수입 상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및 수요량 예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KR102533729B1 (ko) | 의약품 주문 및 고객 정보 기반 의약품 수요 예측 및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US11645617B1 (en) | Autonomous supply chain by collaborative software agents and reinforcement learning | |
KR102558440B1 (ko) | 식음료 공산품의 유통 처리를 위한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WO2023020255A1 (zh) | 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Dhanush et al. | Blockchain aided predictive time series analysis in supply chain system | |
KR102566897B1 (ko) | 의약품 및 의료소모품의 도소매 판매를 위한 온라인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KR102567458B1 (ko) |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인플루언서 및 커뮤니티 연계 기반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KR102556474B1 (ko) | 최적화된 재고 관리를 통한 관공서의 필요 물품의 제조 및 주문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US20200302455A1 (en) | Industry Forecast Point of View Using Predictive Analytics | |
JP6193817B2 (ja) | 需要予測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
KR20230137861A (ko) | 고객 맞춤 준비로 구매 편의성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구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
CN112348590A (zh) | 一种物品价值确定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 |
KR102541147B1 (ko) | 블록체인 기반 매출채권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US20240256793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text with tone or diction corresponding to stylistic attributes of images | |
Debnath et al. |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supply chain management strategy during COVID-19 situation | |
JP6276655B2 (ja) | 需要予測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
KR102426803B1 (ko) | 인공지능 기반 제품의 해외 판매 페이지 자동 업로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