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1629B1 -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1629B1
KR102681629B1 KR1020180127352A KR20180127352A KR102681629B1 KR 102681629 B1 KR102681629 B1 KR 102681629B1 KR 1020180127352 A KR1020180127352 A KR 1020180127352A KR 20180127352 A KR20180127352 A KR 20180127352A KR 102681629 B1 KR102681629 B1 KR 102681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lectric
stopper
charging device
tir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6331A (ko
Inventor
고규범
신진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7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1629B1/ko
Priority to US16/653,622 priority patent/US10903721B2/en
Publication of KR20200046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1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1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2B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4Personal mobilit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B60Y2200/126Scoo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3Bicycles; 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는, 외측에 타이어와 결합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타이어 휠; 상기 타이어 휠의 내측 빈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타이어 휠과 동일 회전축상에 위치하여 회전 구동이 가능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상기 회전축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의 상기 회전축에 결합 또는 분리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스토퍼가 제어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에 권선된 코일과 상기 배터리의 외측에 배치되는 영구자석 사이에 발생되는 유도 기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APPARATUS FOR CHARGING OF ELECTRIC MOBILITY}
본 발명은 전기 이동수단의 주행 중, 전기 이동수단이 제동하면, 전기 이동수단의 바퀴의 내부 공간에 전기 이동수단의 제동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기 이동수단에 탑재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이동수단의 동향은 화석에너지를 대체하여 전기에너지를 사용한 이동수단이 늘어나고 있고, 개인이 휴대하여 단거리를 이동하는 1인용 이동수단의 보급이 늘어나고 있다.
그 일례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 스쿠터(1), 전기 자전거(2) 등과 같은 전기 이동수단이 있다. 상기 전기 이동수단은 도심지에서 단거리 이동에 사용되거나, 레저의 목적으로 그 보급이 늘어나고 있다.
전기 이동수단은 전기 이동수단에 탑재된 배터리에 전원을 미리 충전하고,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에 의해 전기 이동수단에 설치된 모터를 구동하여 주행한다.
전기 이동수단은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이 소진되기 전까지 구동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사용시간과 주행거리에 좌우된다.
개인이 휴대하는 전기 이동수단의 특성상 배터리의 용량을 늘이면, 전기 이동수단의 중량이 늘어나 휴대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5671호 (2010.02.26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전기 이동수단의 주행 중, 전기 이동수단이 제동하면, 전기 이동수단의 바퀴의 내부 공간에 전기 이동수단의 제동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기 이동수단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도록 탑재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는, 외측에 타이어와 결합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타이어 휠; 상기 타이어 휠의 내측 빈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타이어 휠과 동일 회전축상에 위치하여 회전 구동이 가능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상기 회전축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의 상기 회전축에 결합 또는 분리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스토퍼가 제어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에 권선된 코일과 상기 배터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영구자석 사이에 발생되는 유도 기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전기 이동수단이 주행할 때 상기 스토퍼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를 상기 회전축에 결합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전기 이동수단이 제동될 때 상기 스토퍼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를 상기 회전축에서 분리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타이어 휠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타이어 휠의 내측 빈 공간에서 서로 대향하여 함께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타이어 휠과 연결되어 일체로 움직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비자성체 재질의 배터리 하우징에 의해 수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는, 외측에 타이어와 결합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타이어 휠; 상기 타이어 휠의 내측 빈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타이어 휠과 동일 회전축상에 위치하여 회전 구동이 가능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상기 회전축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의 상기 회전축에 결합 또는 분리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전기 이동수단이 제동될 때, 상기 배터리로 하여금 유도 전동기의 구동을 위한 회전 자계를 생성하여 전달하고, 상기 전달된 회전 자계에 의해 상기 유도 전동기를 통해 생성된 전류를 무선 송수신 패드를 통해 상기 배터리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기 이동수단이 주행할 때 상기 스토퍼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를 상기 회전축에 결합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기 이동수단이 제동될 때 상기 스토퍼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를 상기 회전축에서 분리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무선 송수신 패드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장에 의해 발생된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코일이 내장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이동수단의 주행 중, 전기 이동수단이 제동하면, 전기 이동수단의 바퀴의 내부 공간에 전기 이동수단의 제동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기 이동수단에 결합 및 분리가능도록 탑재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도 1은 전기 스쿠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전기 자전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상기 도 3의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 측면 단면도,
도 5는 상기 도 4의 전기 이동수단이 주행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상기 도 4의 전기 이동수단이 제동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전기 이동수단의 주행 또는 제동 상태에 따라 배터리 충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상기 도 4의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상기 도 3의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측면 단면도,
도 10은 상기 도 9의 전기 이동수단이 주행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상기 도 9의 전기 이동수단이 제동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상기 도 3의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 측면 단면도,
도 13 내지 도 15는 상기 도 12의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에 대한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상기 도 12의 컨트롤러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 측면 단면도이며, 도 5는 상기 도 4의 전기 이동수단이 주행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도 4의 전기 이동수단이 제동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전기 이동수단의 주행 또는 제동 상태에 따라 배터리 충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이하 '충전 장치'라 함, 10)는, 전기 이동수단의 바퀴에 배터리 충전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전기 이동수단의 제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장치(10)는 전기 이동수단이 주행할 때 미충전 상태를 유지하고, 전기 이동수단이 제동될 때 충전 상태로 동작한다.
충전 장치(10)는 외측에 타이어와 결합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타이어 휠(11), 타이어 휠(11)의 내측 빈 공간에 수용되고 타이어 휠(11)과 동일 회전축(14)상에 위치하여 회전 구동이 가능한 배터리(12), 배터리(12)를 회전축(14)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스토퍼(15), 스토퍼(15)의 회전축(14)에 결합 또는 분리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컨트로러(16)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타이어 휠(11)은 배터리(12)에 권선된 코일에 대향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영구자석(13)이 삽입 배치된다.
배터리(12)는 토로이드(toroid) 타입으로서 코일이 권선된다. 코일은 배터리(12)의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권선이 가능하지만, 영구자석(13)이 배치된 지점에 대향하여 권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구자석(13)이 90° 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코일도 배터리(12)에 90° 간격으로 권선된다.
또한, 배터리(12)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배터리 하우징(미도시)에 의해 수용되어 있고, 코일의 권선 부위에 보빈(bobbin)이 구비된다.
한편, 타이어 휠(11)과 배터리(12)는 전기 이동수단이 주행할 때 함께 회전한다. 그런데, 타이어 휠(11)은 전기 이동수단이 제동될 때 회전하지만, 배터리(12)는 타이어 휠을 따라 회전하지 않는다.
타이어 휠(11)은 회전축에 항상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 이동수단이 주행하거나 제동될 때 항상 회전한다.
하지만, 배터리(12)는 회전축(14)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스토퍼(15)의 동작에 의해, 전기 이동수단이 주행할 때 회전축(14)에 결합되어 타이어 휠(11)과 함께 회전이 가능하지만, 전기 이동수단이 제동될 때 회전축(14)에서 분리되어 타이어 휠(11)을 따라 회전하지 않는다. 이 경우, 배터리(12)는 로터(rotor)로서 기능하고, 영구자석(13)은 스테이터(stator)로서 기능하게 된다.
타이어 휠(11)에 장착된 영구자석(13)과 배터리(12)에 권선된 코일 사이는 어느 일방이 회전하는 경우에 영구자석(13)과 코일 간에 유도기전력이 발생하므로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배터리(12)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6)는 전기 이동수단이 주행할 때 스토퍼(15)를 제어하여 회전축(14)에 배터리(12)를 결합시켜 타이어 휠(11)과 함께 회전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도 5 참조).
또한, 컨트롤러(16)는 전기 이동수단이 제동될 때 스토퍼(15)를 제어하여 회전축(14)에서 배터리(12)를 분리시켜 타이어 휠(11)이 회전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배터리(12)가 타이어 휠(11)을 따라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도 6 참조). 이때, 컨트롤러(16)는 유도기전력 발생에 의해 흐르는 전류를 배터리(12)에 충전한다.
이처럼, 배터리(12)는 전기 이동수단이 주행할 때 충전되지 않고, 전기 이동수단이 제동될 때 충전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기 이동수단이 주행하는 경우에는 배터리(12)의 충전용량(SOC)이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전기 이동수단이 주행하는 경우에는 배터리(12)의 충전용량(SOC)이 늘어나는 상태를 나타낸다.
즉, 전기 이동수단이 주행하는 경우는 타이어 휠(11)과 배터리(12)가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유도기전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런데, 전기 이동수단이 제동하는 경우는 타이어 휠(11)이 회전하고, 배터리(12)가 타이어 휠을 따라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영구자석(13)과 코일 사이에 유도기전력이 발생하여 배터리(12)를 충전하게 된다.
도 8은 상기 도 4의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컨트롤러(16)는 외부로부터 제동신호가 수신되면(S11, S12), 스토퍼(15)를 제어하여 회전축(14)에 결합되어 있는 배터리(12)를 분리시킨다(S13). 이때, 컨트롤러(16)는 유도기전력 발생에 의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배터리(12)에 충전한다(S14).
그런데, 컨트롤러(16)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제동신호가 아니면(S11, S12), 회전축(14)과 배터리(12)의 결합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S15).
도 9는 상기 도 3의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측면 단면도이며, 도 10은 상기 도 9의 전기 이동수단이 주행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상기 도 9의 전기 이동수단이 제동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타이어 휠(11)의 내측 빈 공간의 내외측에서 배터리(12)와 영구자석(13)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배터리(12)는 내측에 위치하여 스테이터로 기능하며, 스토퍼(15)에 의해 회전축(14)에 결합 또는 분리된다. 즉, 배터리(12)는 전기 이동수단이 주행 상태일 때 스토퍼(15)에 의해 회전축(14)에 분리되고, 전기 이동수단이 제동 상태일 때 스토퍼(15)에 의해 회전축(14)에 결합된다.
영구자석(13)은 외측에 위치하여 로터로 기능하며, 타이어 휠(11)에 연결되어 일체로 움직인다. 즉, 영구자석(13)은 스토퍼(15)에 의해 회전 또는 고정되어 있는 배터리(12)와 달리 항상 회전하게 된다(도 10 및 도 11 참조).
도 9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상기 도 3의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 측면 단면도이며, 도 13 내지 도 15는 상기 도 12의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에 대한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의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20)는 타이어 휠(21) 내측의 빈 공간에 배터리(22)를 장착한다. 배터리(22)는 전기 이동수단이 제동될 때, 유도 전동기(23)의 구동을 위한 회전 자계를 생성하여 무선 송수신 패드(24)를 통해 유도 전동기(23)로 전달하고, 유도 전동기(23)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무선 송수신 패드(24)를 통해 전달받아 무선 충전한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타이어 휠(21)과 배터리(22)는 전기 이동수단이 주행할 때 함께 회전한다.
그런데, 타이어 휠(21)은 전기 이동수단이 제동될 때 계속 회전하고, 배터리(22)는 전기 이동수단이 제동될 때 타이어 휠을 따라 회전하지 않는다.
이때, 배터리(22)는 유도 전동기(23)에 회전 자계를 생성하고, 이에 따라, 유도 전동기(23)는 전류를 생성한다. 컨트롤러(25)는 배터리(22)에 의해 생성된 회전 자계를 유도 전동기(23)로 전달하도록 제어한 후, 유도 전동기(23)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무선 송수신 패드(24)를 통해 배터리(22)에 전달하도록 한다.
배터리(22)는 유도 전동기(23)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코일(미도시)이 내장되어 있다. 무선 송수신 패드(24)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1차코일이 내장되고, 배터리(22)는 유도전류를 수신하기 위한 2차 코일이 내장된다. 이처럼, 배터리(22)는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2차 코일에 발생한 전류를 충전한다.
도 16은 상기 도 12의 컨트롤러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컨트롤러(25)는 외부로부터 제동신호가 수신되면(S21, S22), 배터리(22)에서 회전자계를 생성하여 유도 전동기(23)로 전달한다(S23).
이후, 컨트롤러(25)는 회전 자계에 의해 유도 전동기(23)가 전류를 생성하면(S24), 생성된 전류를 배터리(22)로 전달하여 충전하도록 한다(S25).
비록 상기 설명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들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에 숙달된 기술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상기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의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다양한 삭제, 대체,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에서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안의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섭된다.
11, 21 ; 타이어 휠 12, 22 ; 배터리
13 ; 영구자석 14 ; 회전축
15 ; 스토퍼 16, 25 ; 컨트롤러
23 ; 유도 전동기 24 : 무선 송수신 패드

Claims (11)

  1. 외측에 타이어와 결합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타이어 휠;
    상기 타이어 휠의 내측 빈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타이어 휠과 동일 회전축상에 위치하여 회전 구동이 가능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상기 회전축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의 상기 회전축에 결합 또는 분리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스토퍼가 제어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에 권선된 코일과 상기 배터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영구자석 사이에 발생되는 유도 기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인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전기 이동수단이 주행할 때 상기 스토퍼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를 상기 회전축에 결합시키는 것인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전기 이동수단이 제동될 때 상기 스토퍼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를 상기 회전축에서 분리시키는 것인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타이어 휠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것인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타이어 휠의 내측 빈 공간에서 서로 대향하여 함께 배치되는 것인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타이어 휠과 연결되어 일체로 움직이는 것인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비자성체 재질의 배터리 하우징에 의해 수용되는 것인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
  8. 외측에 타이어와 결합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타이어 휠;
    상기 타이어 휠의 내측 빈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타이어 휠과 동일 회전축상에 위치하여 회전 구동이 가능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상기 회전축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의 상기 회전축에 결합 또는 분리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전기 이동수단이 제동될 때, 상기 배터리로 하여금 유도 전동기의 구동을 위한 회전 자계를 생성하여 전달하고, 상기 전달된 회전 자계에 의해 상기 유도 전동기를 통해 생성된 전류를 무선 송수신 패드를 통해 상기 배터리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기 이동수단이 주행할 때 상기 스토퍼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를 상기 회전축에 결합시키는 것인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기 이동수단이 제동될 때 상기 스토퍼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를 상기 회전축에서 분리시키는 것인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무선 송수신 패드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장에 의해 발생된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코일이 내장되는 것인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
KR1020180127352A 2018-10-24 2018-10-24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 KR102681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352A KR102681629B1 (ko) 2018-10-24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
US16/653,622 US10903721B2 (en) 2018-10-24 2019-10-15 Apparatus for charging electric mo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352A KR102681629B1 (ko) 2018-10-24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331A KR20200046331A (ko) 2020-05-07
KR102681629B1 true KR102681629B1 (ko) 2024-07-04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476B1 (ko) 2012-03-02 2012-08-23 최승호 전기자전거 키트
KR101792434B1 (ko) 2016-08-16 2017-11-20 소치재 전기 자동차의 발전기 겸용 인휠모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476B1 (ko) 2012-03-02 2012-08-23 최승호 전기자전거 키트
KR101792434B1 (ko) 2016-08-16 2017-11-20 소치재 전기 자동차의 발전기 겸용 인휠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07840B2 (ja) 車両
US20160236658A1 (en) Disc for disc brakes and braking system comprising such disc
JP5794525B2 (ja)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ー充電装置およびレスキュー車
JP2016502383A (ja) エネルギー伝送装置、およびエネルギー伝送構成
JP6130186B2 (ja) 電動車両給電システム
CN103683645B (zh) 用于重型矿用自卸车的电涡流制动器
US10787086B2 (en) Wireless charging vehicle-to-vehicle
JP2010041824A (ja) 走行用モータを備えた車両
JP2016063572A (ja) 回転電機
CN103950373A (zh) 内置悬浮飞轮的电动车轮
CN106763184A (zh) 一种六极径向‑轴向混合磁轴承
JP2011182506A (ja) 電動モータおよびモータ装置
KR102681629B1 (ko) 전기 이동수단의 충전 장치
JP2019533104A (ja) 建設機械
US10903721B2 (en) Apparatus for charging electric mobility
JP2019161690A (ja) 電動アシスト軽車両の給電装置
JP2011167044A (ja) 電動車両
WO201316241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ботки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от колес автомобиля
JPH11168852A (ja) フライホイール組込み回転電機、これを用いた負荷駆動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CN105449891A (zh) 磁阻转子
CN109309411A (zh) 旋转电机
JP2018007524A (ja) 車両用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CN103001351A (zh) 车用无刷交流发电机及其励磁线圈绕线管装置
RU2544009C1 (ru) Электромашина
RU109052U1 (ru) Мотор-колес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