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4982B1 - 수영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수영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4982B1
KR102674982B1 KR1020220075276A KR20220075276A KR102674982B1 KR 102674982 B1 KR102674982 B1 KR 102674982B1 KR 1020220075276 A KR1020220075276 A KR 1020220075276A KR 20220075276 A KR20220075276 A KR 20220075276A KR 102674982 B1 KR102674982 B1 KR 102674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ck plate
helper
plate body
kick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74396A (ko
Inventor
신동우
정문원
Original Assignee
신동우
정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우, 정문원 filed Critical 신동우
Priority to KR1020220075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4982B1/ko
Publication of KR20230174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2Arrangements in swimming pools for teaching swimming or for training
    • A63B69/14Teaching frames for swimming ; Swimm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1/00Swimming aids
    • A63B31/08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0Swimm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수영보조기구는 파지가능하게 형성되는 킥판과, 부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헬퍼기구를 포함하고. 킥판은, 부력을 갖는 킥판몸체와, 킥판몸체에 형성되는 삽입부로서, 헬퍼기구가 분리가능하게 킥판에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영보조기구{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본 발명은 수영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한 수영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판은 수영할 때 사용하는 훈련 보조 도구 중의 하나로서, 물보다 밀도가 낮은 플라스틱이나 EVA등의 소재의 판상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수영을 하는 사람에게 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사용자는 킥판을 잡고 발차기를 함으로서 수영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부력을 제공하는 수영 보조 기구로는 킥판 외에도 몸통 부위에 착용하는 헬퍼 기구나, 다리 사이에 끼워 사용하는 풀부이 등이 존재한다. 이들 수영보조기구는 각각 용도와 기능이 달라, 사용자의 수영 실력이나 나이 등에 따라 적절한 수영보조기구를 선택,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이와 같은 별도의 다양한 수영보조도구들을 훈련할 때마다 준비하기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전문 시설에서는 수영보조기구들을 별도로 비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보관이 까다롭고, 공간적, 관리적인 부담이 될 수밖에 없으며,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킥판과 헬퍼기구, 풀부이 등을 각각 준비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구조를 개선한 수영보조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킥판, 헬퍼기구 풀부이의 기능을 일체화한 수영보조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수영보조기구는 파지가능하게 형성되는 킥판; 부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헬퍼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킥판은, 부력을 갖는 킥판몸체; 상기 킥판몸체에 형성되는 삽입부로서, 상기 헬퍼기구가 분리가능하게 상기 킥판에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킥판은, 상기 헬퍼기구가 결합된 제 1 상태와, 상기 제 1 상태로부터 상기 헬퍼기구가 분리된 제 2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킥판은, 수면에 대해 상기 킥판몸체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 상기 킥판은 상기 제 1 상태의 부력이 상기 제 2 상태의 부력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킥판몸체의 후방을 향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킥판몸체의 상면보다 내측에 마련되는 제 1 내면; 상기 킥판몸체의 하면보다 내측에 마련되는 제 2 내면으로서, 상기 제 1 내면과 사이에 상기 헬퍼기구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 2 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킥판은, 상기 제 2 내면과 상기 킥판몸체의 하면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 후방에 마련되며, 상기 삽입부를 향해 상기 헬퍼기구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는 상기 헬퍼기구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킥판은, 상기 지지가이드면과, 상기 제 1 내면 사이에 단차지게 구성되어, 상기 헬퍼기구기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차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삽입부를 향해 오목하게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삽입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킥판은, 상기 킥판몸체의 후방으로 형성되어, 파지가능하게 구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영보조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킥판과 헬퍼기구를 함께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영보조기구의 부력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헬퍼기구를 킥판으로부터 분리하여 각각 사용할 수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의 킥판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의 결합에 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의 킥판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수영보조기구(1)는 사용자의 수영동작 수행에 있어서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수영보조기구(1)는 킥판(10)과 헬퍼기구(40)를 포함할 수 있다. 킥판(10)과 헬퍼기구(40)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킥판(10)과 헬퍼기구(40)는 부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킥판(10)과 헬퍼기구(4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와 같이 물에 대한 부력을 갖도록 구성되는 재질이면 이를 만족한다. 헬퍼기구(40)는 이후 설명하는 킥판(10)의 삽입부(14)에 삽입되어, 킥판(10)의 일부로 보관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헬퍼기구(40)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킥판(10)은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파지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수영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킥판(10)의 사용용도는 한정되지 않는다. 킥판(10)은 킥판몸체(12)와, 킥판몸체(12)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20)는 킥판몸체(12)의 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부(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수영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킥판몸체(12)는 그 상면(12a)과 하면(12b) 사이가 일정두께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후 설명하는 삽입부(14)를 형성할 수 있다. 킥판몸체(12)는 대략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헬퍼기구(40)가 삽입가능하도록 삽입부(14)가 형성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한편, 킥판몸체(12)는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상면(12a)과 하면(12b)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의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면(12a)에는 오목부(13a) 와 볼록부(13b)가 형성되고, 하면(12b)에도 오목부(13c)와 볼록부(13d)가 형성될 수 있다. 상면(12a)과 하면(12b)에 오목부(13a, 13c)와 볼록부(13b, 13d)에 의해 각각 형성된 그루브는 사용자가 킥판몸체(12)를 두 다리 사이에 세로로 끼운 채로 사용하여, 사용자의 하체 부위에 부력을 제공받고, 상체의 운동에 집중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헬퍼기구(40)는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몸에 장착하여 사용자에게 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사용용도는 한정되지 않는다. 헬퍼기구(40)는 기구몸체(42)와, 사용자의 몸에 장착될 수 있도록 기구몸체(42)에 연결되는 연결밴드(4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연결밴드(44)를 조절하여, 기구몸체(42)를 신체에 장착함으로서, 사용자에게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헬퍼기구(40)는 킥판(1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킥판몸체(12)의 폭보다 작은 폭과, 킥판몸체(12)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헬퍼기구(40)는 사용자의 숙련도, 몸무게 등에 맞도록 필요한 부력의 정도를 고려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력이 강한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된 고 부력 헬퍼기구와 부력이 약한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된 저 부력 헬퍼기구 모두 가능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필요한 고 부력 헬퍼기구 또는 저 부력 헬퍼기구를 택일 하여 킥판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의 킥판의 단면도이다. 앞선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킥판(10)은 삽입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4)는 킥판몸체(12)상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4)는 헬퍼기구(40)가 킥판(1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4)는 킥판몸체(12) 내부로 헬퍼기구(4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간(16)을 형성할 수 있으며, 삽입공간(16)으로 헬퍼기구(40)가 삽입되도록 일측에 삽입개구(15)를 형성할 수 있다. 삽입공간(16)은 삽입개구(15)를 통해 킥판몸체(12)의 후방을 향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14)의 상면(14a)과 하면(14b)은 각각 킥판몸체(12)의 상면(12a)과 하면(12b)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삽입공간(16)은 삽입부(14)의 상면(14a)과 하면(14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4)의 상면(14a)과 하면(14b)은 제 1 내면과 제 2 내면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헬퍼기구(40)는 킥판(10)의 삽입부(14)로 삽입 및 장착됨에 따라, 킥판(10)과 일체로 보관되거나 사용될 수 있다. 킥판(10)과 헬퍼기구(40)는 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수영보조기구(1)는 헬퍼기구(40)를 킥판(10)에 장착한 장착상태(10a, 도 2 참고)인 경우가 헬퍼기구(40)를 킥판(10)으로부터 분리한 분리상태(10b, 도 3 참고)일 때보다 큰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수면에 대해 킥판몸체(12)의 상면(12a)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 킥판(10)은 장착상태(10a)의 부력이 분리상태(10b)의 부력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킥판(10)은 장착상태(10a)와 분리상태(10b)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장착상태(10a)는 헬퍼기구(40)가 킥판(10)에 장착된 상태이며, 분리상태(10b)는 헬퍼기구(40)를 킥판(10)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이다. 사용자는 숙련도에 따라 킥판(10)을 장착상태(10a)와 분리상태(10b)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킥판(10)을 분리상태(10b)로 마련하고, 분리된 헬퍼기구(40)를 몸에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장착상태(10a)와 분리상태(10b)로 정의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2 상태로 각각 정의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의 결합에 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기구의 킥판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킥판(10)은 가이드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30)는 헬퍼기구(40)가 킥판(10)의 삽입부(14)로의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0)는 킥판몸체(12)의 하부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0)는 삽입부(14)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0)는 삽입가이드면(32)과, 지지가이드면(34)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가이드면(32)은 삽입부(14)를 향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가이드면(32)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에 위치한 삽입부(14)를 향할수록 오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삽입가이드면(32)은 킥판몸체(12)의 하면(12a)과 연결된 외측부분보다 삽입부(14)의 삽입개구(15)와 연결된 내측부분이 오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삽입가이드면(32)은 헬퍼기구(40)의 삽입부(14)로의 삽입을 가이드할 수 있다.
지지가이드면(34)은 삽입부(14)로 삽입되는 헬퍼기구(40)의 일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삽입가이드면(32)과 지지가이드면(34)은 킥판몸체(12)의 하면(12a)과 함께 킥판(10)의 하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킥판(10)은 지지가이드면(34)과 삽입부(14)의 상면(14a)사이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스토퍼(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삽입가이드면(32)은 헬퍼기구(40)가 삽입부(14)로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헬퍼기구(40)의 일측면을 지지할 수 있고, 단차스토퍼(18)는 헬퍼기구(40)가 삽입부(14)로 삽입된 뒤에는 헬퍼기구(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킥판(10)은 관통홀(22)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22)은 킥판몸체(12)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2)은 킥판몸체(12) 하면(12b)과, 삽입부(14)의 하면(14b)을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14)로 헬퍼기구(40)가 삽입될 때 관통홀(22)을 통해 삽입부(14)의 내부공기를 배출함으로서, 내부공기가 압축되어 헬퍼기구(40)의 삽입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4) 내부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 관통홀(22)을 통해 배출되어 그 삽입부(14) 내부에 물이 남아있는 것을 방지하여 수영보조기구(1)의 부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관과정에서 곰팡이 발생이나, 오염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홀(22)이 킥판몸체(12)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관통홀은 킥판몸체(12)의 전면부 또는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는 본 수영보조기구의 동작 및 사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킥판(10)은 장착상태(10a)와 분리상태(10b)를 동작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숙련도에 따라 헬퍼기구(40)를 킥판(10)에 장착하여 킥판(10)을 장착상태(10a)로 사용하거나, 헬퍼기구(40)를 킥판(10)으로부터 분리하여 킥판(10)을 분리상태(10b)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킥판(10)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앞서 설명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킥판(10) 손으로 잡아 상체 부위에 부력을 제공받거나, 풀부이 처럼 다리 사이에 끼워 하체 부위에 부력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때, 헬퍼기구(40)의 결합 여부에 따라, 부력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헬퍼기구(40)를 사용자의 등 또는 배 아래쪽에 장착하여 부력을 제공받는 방식의 이용도 가능하다.
킥판(10)이 장착상태(10a)에 있을 때, 헬퍼기구(40)는 킥판(10)의 삽입부(14)에 삽입되며, 단차스토퍼에 의해 킥판(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킥판(10)이 분리상태(10b)에 있을 때, 헬퍼기구(40)는 킥판(1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이며, 독립적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사용되거나, 보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들을 통해, 사용자는 숙련도에 따라 수영보조기구(1)의 형태를 달리하여 사용함으로서 부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킥판(10)과 헬퍼기구(40)를 일체로 보관 또는 사용할 수 있어서 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고, 관리상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으며, 분실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수영보조기구 10 : 킥판
12 : 킥판몸체 14 : 삽입부
20 : 손잡이부 30 : 가이드부
40 : 헬퍼기구 42 : 기구몸체
44 : 연결밴드

Claims (10)

  1. 파지가능하게 형성되는 킥판;
    부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헬퍼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킥판은,
    부력을 갖는 킥판몸체;
    상기 킥판몸체에 형성되는 삽입부로서, 상기 헬퍼기구가 분리가능하게 상기 킥판에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킥판몸체는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킥판몸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된 오목부와 볼록부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킥판몸체의 상면보다 내측에 마련되는 제1 내면;
    상기 킥판몸체의 하면보다 내측에 마련되는 제2 내면으로서, 상기 제1 내면과 사이에 상기 헬퍼기구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2 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 후방에 마련되며, 상기 삽입부를 향해 상기 헬퍼기구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는 상기 헬퍼기구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킥판은,
    상기 지지가이드면과, 상기 제1 내면 사이에 단차지게 구성되어, 상기 헬퍼기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차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수영보조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킥판은,
    상기 헬퍼기구가 결합된 제 1 상태와, 상기 제 1 상태로부터 상기 헬퍼기구가 분리된 제 2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킥판은,
    수면에 대해 상기 킥판몸체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 상기 킥판은 상기 제 1 상태의 부력이 상기 제 2 상태의 부력보다 크도록 구성되는 수영보조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킥판몸체의 후방을 향해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수영보조기구.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킥판은,
    상기 제 2 내면과 상기 킥판몸체의 하면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수영보조기구.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삽입부를 향해 오목하게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삽입가이드면;을 포함하는 수영보조기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킥판은,
    상기 킥판몸체의 후방으로 형성되어, 파지가능하게 구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수영보조기구.
  10. 삭제
KR1020220075276A 2022-06-21 2022-06-21 수영보조기구 KR102674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276A KR102674982B1 (ko) 2022-06-21 2022-06-21 수영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276A KR102674982B1 (ko) 2022-06-21 2022-06-21 수영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396A KR20230174396A (ko) 2023-12-28
KR102674982B1 true KR102674982B1 (ko) 2024-06-12

Family

ID=89385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276A KR102674982B1 (ko) 2022-06-21 2022-06-21 수영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49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395773U (zh) * 2020-05-14 2021-01-26 广东食品药品职业学院 一种游泳初学者辅助器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67002A1 (fr) * 1979-10-12 1981-04-17 Boissiere Guy Dispositif pour l'enseignement et le travail technique de la natation
KR20140067335A (ko) * 2012-11-26 2014-06-05 손태혁 손잡이 킥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395773U (zh) * 2020-05-14 2021-01-26 广东食品药品职业学院 一种游泳初学者辅助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396A (ko)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58739S1 (en) Docking station
US20080014810A1 (en) Kickboard for swimming
USD908980S1 (en) Pet harness
US20150283447A1 (en) Ankle float buoy
US7267595B1 (en) Swimmer's paddle
EP1900629B1 (en) A space-saving scuba diving mask
US9073611B2 (en) Recreational flotation device
US20060252318A1 (en) Buoyant mattress for snorkeler
EP1666352A3 (en) Diving mask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10137969B2 (en) Face mask with mount for imaging device
USD968620S1 (en) Ultrasonic imaging diagnostic device
KR102674982B1 (ko) 수영보조기구
NZ565728A (en) Bubble diverter for use with diving equipment
JP3194880B2 (ja) スノーケル
US5348206A (en) Carrying sleeve for camera
US20170069234A1 (en) Tag Holder
FR2847880B1 (fr) Dispositif, notamment embarcation ou piscine, pourvu d'une enceinte gonflable equipee d'un coffre integre
US20050011425A1 (en) Seat board for board kiting
US20190014401A1 (en) Portable loudspeakers
US20070261696A1 (en) Mask for snorkeling or swimming with snorkel arranged in central position relative to the lens or lenses
US20050268906A1 (en) Arching snorkel
US7775744B1 (en) Weighting belt
US20040073988A1 (en) Buckle structure of swimming mask
CN208402058U (zh) 一种游艇音响
US20200114210A1 (en) Floatable Breat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