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4912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4912B1
KR102674912B1 KR1020207018056A KR20207018056A KR102674912B1 KR 102674912 B1 KR102674912 B1 KR 102674912B1 KR 1020207018056 A KR1020207018056 A KR 1020207018056A KR 20207018056 A KR20207018056 A KR 20207018056A KR 102674912 B1 KR102674912 B1 KR 102674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member
absorbent article
article
center line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3006A (ko
Inventor
세이 이시카와
겐이치로 구로다
유키 노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52423A external-priority patent/JP7083639B2/ja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3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9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0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 A61F13/5512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1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astening strips, e.g. adhesive, on the undergarment-facing 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02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including disposal means

Abstract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의 조작 중에 체액이 흡수체로부터 스며 나오기 어려운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10)은, 전후 방향(L)과,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W)과,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지는 이면 시트(22)와, 이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에 형성된 점착부(42, 52, 70)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60)를 갖는다. 흡수성 물품은, 폭 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중심을 지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물품 중심선(CL1)을 갖는다.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는, 전후 방향을 따라 흡수성 물품의 전단 가장자리(E1) 또는 후단 가장자리(E2)보다 외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부재는, 테이프 부재의 중심을 지나 테이프 부재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이프 중심선(CL2)을 갖는다. 테이프 부재는, 테이프 중심선이, 테이프 부재의 연장 시에 물품 중심선에 대해 폭 방향으로 또는 비스듬히 어긋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생리대, 팬티라이너, 성인용 실금 패드 또는 대변 패드와 같은 흡수성 물품은, 사용 시에, 착용자에게 착용되는 착용 물품의 내측에 부착된다. 일반적으로, 착용 물품의 내측에 부착되는 흡수성 물품은, 착용 물품에 대한 흡수성 물품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점착부를 갖는다. 이 점착부는,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된다.
특허문헌 1은, 후처리용의 고정 테이프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대와 같은 흡수성 물품을 개시하고 있다(특허문헌 1의 도 6, 7 참조). 이 고정 테이프는, 흡수성 물품의 폐기 시에, 전후 방향으로 뭉쳐진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중앙 부분에 감겨진다. 이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폐기 시에, 흡수성 물품을 뭉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국제 공개 제2010/117314호
흡수성 물품에 형성된 흡수체는, 사용 중에 체액을 흡수한다. 폭 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중앙 부근이, 통상, 가장 많은 체액을 흡수하게 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고정 테이프는, 전후 방향으로 뭉쳐진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중앙 부분에 감겨진다. 따라서, 고정 테이프는, 흡수성 물품에 감겨질 때에, 폭 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중심에 부하를 준다. 이 부하에 의해 흡수체로부터 체액이 스며 나와, 사용자의 손에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의 조작 중에 체액이 흡수체로부터 스며 나오기 어려운 흡수성 물품이 요망된다.
일 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지는 이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에 형성된 점착부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갖는다.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중심을 지나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물품 중심선을 갖는다. 상기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전단 가장자리 또는 후단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테이프 부재의 중심을 지나 상기 테이프 부재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이프 중심선을 갖는다.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테이프 중심선이, 상기 테이프 부재의 연장 시에 상기 물품 중심선에 대해 상기 폭 방향으로 또는 비스듬히 어긋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지는 이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에 형성된 점착부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갖는다.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중심을 지나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물품 중심선을 갖는다. 상기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전단 가장자리 또는 후단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이면 시트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이면 시트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비고정부를 갖는다. 상기 비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에 대해 상기 테이프 부재의 연장 방향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와 상기 비고정부의 경계가, 상기 폭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져 있다.
도 1은 피부면측에서 본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비피부면측에서 본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전후 방향으로 말린 상태에 있어서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비피부면측에서 본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전후 방향으로 말린 상태에 있어서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비피부면측에서 본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1) 실시형태의 개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백해진다.
일 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지는 이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에 형성된 점착부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갖는다.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중심을 지나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물품 중심선을 갖고, 상기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전단 가장자리 또는 후단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테이프 부재의 중심을 지나 상기 테이프 부재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이프 중심선을 갖고,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테이프 중심선이, 상기 테이프 부재의 연장 시에 상기 물품 중심선에 대해 상기 폭 방향으로 또는 비스듬히 어긋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는, 테이프 부재의 연장 시에 물품 중심선에 대해 폭 방향으로 또는 비스듬히 어긋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뭉친 흡수성 물품에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고정할 때에, 흡수체의 폭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부하가 가해지거나, 혹은 흡수체의 폭 방향의 중심에 국소적으로 강한 부하가 가해지지 않고 흡수체의 폭 방향으로 부하가 분산된다. 이에 의해, 흡수체의 폭 방향의 중심에 국소적으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의 조작 중에 체액이 흡수체로부터 스며 나오기 어려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테이프 부재의 일부는 상기 물품 중심선을 지난다.
테이프 부재가, 뭉쳐진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 쪽에서 흡수성 물품에 고정되면,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이 벌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테이프 부재의 일부가 물품 중심선을 지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부근에서, 뭉쳐진 흡수성 물품을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이 경우라도,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는, 테이프 부재의 연장 시에 물품 중심선에 대해 폭 방향으로 또는 비스듬히 어긋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의 조작 중에 체액이 흡수체로부터 스며 나오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메리트는 얻어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물품 중심선에 대해 상기 폭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점착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중심선 상을 제외한 영역에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중심선에 대해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폭 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중심은, 착용자의 둔열과 같은 오목부에 대향하는 부분이다. 점착부가 이 부분에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폭 방향의 흡수성 물품의 중심은, 속옷과 같은 착용 물품에 직접 고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착용자의 양다리로부터 폭 방향의 내측으로 힘을 받았을 때에, 폭 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중심이 착용자의 둔열과 같은 오목부를 향해 볼록 형상으로 변형하여, 흡수성 물품이 착용자의 피부에 피트하기 쉬워진다.
이 경우라도, 테이프 부재는 물품 중심선에 대해 폭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후 방향에서 보아 테이프 부재와 점착부가 중복되는 영역을 넓게 할 수 있다(도 2 참조). 그 때문에, 흡수성 물품을 뭉친 상태에서 테이프 부재를 연장시켰을 때에, 테이프 부재를 점착부에 고정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테이프 중심선이, 상기 테이프 부재의 연장 시에 상기 물품 중심선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져 있고, 상기 테이프 중심선과 상기 물품 중심선 사이의 경사 각도는, 10° 이하이다.
테이프 중심선과 물품 중심선 사이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함으로써, 테이프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인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뭉친 흡수성 물품을 테이프 부재로 고정하기 쉬워진다.
다른 일 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지는 이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에 형성된 점착부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갖는다.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중심을 지나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물품 중심선을 갖고, 상기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전단 가장자리 또는 후단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이면 시트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이면 시트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비고정부를 갖는다. 상기 비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에 대해 상기 테이프 부재의 연장 방향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비고정부의 경계가, 상기 폭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져 있다.
고정부와 비고정부의 경계가 폭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져 있기 때문에, 연장 방향으로 인출한 테이프 부재의 테이프 중심선을, 물품 중심선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복수의 상기 점착부가,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연장 방향으로 인출된 테이프 부재의 테이프 중심선이 물품 중심선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져 있는 경우, 연장 방향으로 인출된 테이프 부재의 물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테이프 부재의 폭보다 길어진다. 따라서, 복수의 점착부가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었던 경우에, 테이프 부재의 폭을 과도하게 넓게 하지 않고, 테이프 부재를 복수의 점착부에 걸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흡수성 물품을 뭉친 상태로 단단히 유지하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테이프 부재는, 두께 방향에서 보아 상기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의 착용 중에 테이프 부재가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가 직접 착용자의 피부에 닿지 않는다. 따라서, 착용 중의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2) 흡수성 물품의 구성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은, 생리대, 팬티라이너, 모유 패드, 성인용 실금 패드, 대변 패드 또는 땀받이 시트와 같은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특히, 흡수성 물품은, 사용자의 속옷과 같은 착용 물품의 내측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물품이어도 좋다.
한편,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피부면측에서 본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비피부면측에서 본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전후 방향으로 말린 상태에 있어서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피부면측」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측에 상당한다. 「비피부면측」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로 향해지는 측에 상당한다.
흡수성 물품(10)은,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을 갖는다. 전후 방향(L)은, 착용자의 전측(배측)으로부터 후측(등측)으로 연장되는 방향, 또는 착용자의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이다. 폭 방향(W)은, 전후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흡수성 물품(10)은,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0)의 중심을 지나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는 물품 중심선(CL1)을 갖는다.
흡수성 물품(10)은,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표면 시트(20)와,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지는 이면 시트(22)와, 표면 시트(20)와 이면 시트(22) 사이의 흡수체(30)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갖는다. 표면 시트(20)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 쪽으로 향한다. 이면 시트(22)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진다. 표면 시트(20)는, 액 투과성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면 시트(22)는, 액 불투과성 시트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흡수체(30)는,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흡수체(30)는, 수분을 흡수 가능한 흡수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흡수 코어와, 흡수 코어를 둘러싸는 코어 랩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코어 랩은, 예컨대 티슈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10)은, 윙(40) 및 히프 플랩(50)을 갖고 있어도 좋다. 윙(40)은, 사용 시에 착용 물품의 크로치부의 비피부면측으로 되접혀진다. 히프 플랩(50)은, 윙(40)보다 후방에서, 폭 방향(W)으로 불룩해진 부분이다. 히프 플랩(50)은,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흡수체(30)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불룩해진 부분이다.
흡수성 물품(10)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배설구(예컨대 질구)에 대향하는 배설구 대향 영역(S1)을 갖는다. 배설구 대향 영역(S1)은, 착용자의 가랑이, 즉 착용자의 양다리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이고, 흡수체(30)가 존재하는 영역에 상당한다. 한편, 윙(40)을 갖는 흡수성 물품(10)에서는, 배설구 대향 영역(S1)은, 윙(40)끼리의 사이이고, 흡수체(30)가 존재하는 영역에 상당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0)은, 이면 시트(22)의 비피부면측에 형성된 점착부(42, 52, 70)를 갖는다. 점착부(42, 52, 70)는, 흡수성 물품(10)을 착용 물품에 고정시키기 위한 점착제가 형성된 영역이다. 점착부는, 본체 점착부(70)와, 윙 점착부(42)와, 플랩 점착부(52)를 포함한다.
이면 시트(22)의 비피부면측에 형성된 점착부(42, 52, 70)에 의해, 흡수성 물품을 착용자의 쇼츠와 같은 착의에 고정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10)의 사용 후에 흡수성 물품을 마는 경우,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60)를 점착부(42, 52, 7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점착부(42, 52, 70)는, 착의에 고정하는 용도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고정하는 용도의 2가지로 겸용할 수 있다.
본체 점착부(70)는,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흡수체(30)와 겹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본체 점착부(70)는, 적어도 배설구 대향 영역(S1)으로부터 흡수성 물품(10)의 후방으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점착부(70)는,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고,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윙 점착부(42)는 윙(40)에 형성되어 있다. 윙(40)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착용 물품으로 되접혀지고, 윙 점착부(42)에 의해 착용 물품의 비피부면측에 부착된다. 플랩 점착부(52)는 히프 플랩(50)에 형성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10)은,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2개의 접음선을 갖고 있어도 좋다. 도 1, 2에 도시된 예에서는, 흡수성 물품(10)은, 3개의 접음선(F1∼F3)을 갖고 있다. 이들 접음선(F1∼F3)은, 흡수성 물품의 포장 시에, 흡수성 물품을 접기 위한 라인이다.
흡수성 물품(10)은, 이면 시트(22)의 비피부면측에, 흡수성 물품(10)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배치된 테이프 부재(60)를 더 갖는다. 테이프 부재(60)는, 피부면측에서 보면, 흡수성 물품(10)으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흡수성 물품(10)의 착용 중에 테이프 부재(60)가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지 않기 때문에, 착용의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60)는, 본체 점착부(70)보다 후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테이프 부재(60)는, 전후 방향(L)을 따라 흡수성 물품(10)의 후단 가장자리(E2)보다 후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대신에,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60)는, 본체 점착부(70)보다 전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테이프 부재(60)는, 전후 방향(L)을 따라 흡수성 물품(10)의 전단 가장자리(E1)보다 전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후 방향(L)을 따라」라고 하는 용어는, 전후 방향(L)에 대해 45° 미만의 각도를 가진 방향을 의미한다.
테이프 부재(60)는, 이면 시트(22)에 고정된 고정부(62)와, 이면 시트(22)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비고정부(64)를 갖는다. 테이프 부재(60)는, 고정부(62)에 의해 이면 시트(22)에 항구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고정부(62)는, 이면 시트(22)에 테이프 부재(60)를 항구적으로 접합하기 위한 접착제의 도포 부분에 의해 규정된다.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의 표면은, 점착재와 같은 고정 수단을 갖고 있지 않고, 이면 시트(22)로부터 부상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대신에,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는, 이면 시트(22)에 가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면 시트(22)에의 가고정은, 비교적 약한 힘에 의해 박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10)의 사용 후에, 연장시킨 테이프 부재(60)를, 이면 시트(22)의 다른 부분에 형성된 점착부(70)에 고정시킴으로써, 흡수성 물품(10)을 뭉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도 3 참조).
테이프 부재(60)는, 흡수성 물품(10)의 폐기 시에,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을 내측으로 하여 말린 상태의 본체부에 고정하여, 흡수성 물품(10)이 말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는, 본체부에 대해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비고정부(64)가 본체부에 고정되는 구성은, 본체부의 점착부여도 좋고, 테이프 부재(60)에 형성된 점착제나 후크 부재 등의 고정 수단이어도 좋다. 또한, 테이프 부재(60)의 고정부(62)가, 본체부에 대해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고정부(62)가 본체부에 고정되는 구성은, 본체부의 점착부여도 좋고, 테이프 부재(60)에 형성된 점착제나 후크 부재 등의 고정 수단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표면 시트는, 평량 30 g/㎡의 에어스루 부직포(PE/PET)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표면 시트와 흡수 코어 사이에 세컨드 시트가 형성되어도 좋다. 세컨드 시트로서는, 표면 시트와 동일한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본체부의 폭 방향의 외측에는, 표면 시트가 배치되지 않고, 사이드 시트가 배치되어도 좋다. 사이드 시트로서는, 평량 13 g/㎡의 SMS 부직포(PP)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흡수 코어의 흡수 재료는,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와 고흡수 폴리머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흡수 재료 전체의 중량에 대한 고흡수 폴리머의 중량의 비율은, 10%여도 좋다. 배설구 대향 영역(S1)을 포함하는 영역의 흡수 코어의 평량은, 주위의 흡수 코어의 평량보다 높게 구성되어도 좋다. 배설구 대향 영역(S1)을 포함하는 영역의 흡수 코어의 평량은, 950 g/㎡여도 좋고, 주위의 흡수 코어의 평량은, 300 g/㎡여도 좋다. 이면 시트는, 평량 23.5 g/㎡의 폴리에틸렌 필름(비통기 타입)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와 흡수 코어가 두께 방향으로 압착된 압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체 점착부는, 고무계의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본체 점착부의 평량은, 27 g/㎡여도 좋다. 본체 점착부는,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6개 형성되어도 좋다. 각 본체 점착부의 폭 방향의 길이는, 5 ㎜, 각 본체 점착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320 ㎜여도 좋다.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420 ㎜,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길이는, 200 ㎜여도 좋다.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는, 평량 35 g/㎡의 폴리에틸렌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45 ㎜, 테이프 부재의 폭 방향의 길이는, 25 ㎜여도 좋다. 테이프 부재는, 평량 100 g/㎡의 고무계의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해 본체부에 고정되어도 좋다. 접착제는, 폭 21 ㎜, 또한 길이 5 ㎜의 범위에서 도포되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의 이면 시트측의 면에는, 인쇄가 실시되어도 좋다. 인쇄는, 핑크계의 우레탄계 잉크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신장하는 테이프 부재로서는, 평량 10 g/㎡의 폴리프로필렌층, 평량 10 g/㎡의 스티렌계 고무층, 및 평량 10 g/㎡의 폴리프로필렌층의 적층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는, 고정부(62)에 대해 테이프 부재(60)의 연장 방향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즉, 고정부(62)는, 비고정부(64)보다,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중심으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가 고정부(62)와 비고정부(64)의 경계에서 되접혀지도록, 테이프 부재(60)를 인장하게 된다.
테이프 부재(60)는, 물품 중심선(CL1)에 대해 폭 방향(W)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즉, 테이프 부재(60)의 테이프 중심선(CL2)이, 테이프 부재(60)의 연장 시에 물품 중심선(CL1)에 대해 폭 방향(W)으로 어긋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테이프 중심선(CL2)은, 테이프 부재(60)의 인장 방향으로 연장되고, 인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테이프 부재(60)의 중심을 지나는 라인이다. 이 경우, 전후 방향(L)으로 뭉친 흡수성 물품(10)에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60)를 고정할 때에, 흡수체(30)의 폭 방향(W)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부하가 가해진다. 이에 의해, 흡수체(30)의 폭 방향(W)의 중심에 국소적으로 강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60)의 조작 중에 수분이 흡수체로부터 스며 나오기 어려워진다.
테이프 부재(60)의 일부는 물품 중심선(CL1)을 지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테이프 부재(60)가, 뭉쳐진 흡수성 물품(10)의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일단 부근에서 흡수성 물품(10)에 고정되면, 흡수성 물품(10)의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타단이 벌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테이프 부재(60)의 일부가 물품 중심선(CL1)을 지나고 있으면, 흡수성 물품(10)의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중심 부근에서, 뭉쳐진 흡수성 물품(10)을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이 경우라도,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60)는, 물품 중심선(CL1)으로부터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체(30)의 폭 방향(W)의 중심에 강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은 억제된다.
본체 점착부(70)는, 흡수성 물품(10)의 물품 중심선(CL1) 상을 제외한 영역에서, 흡수성 물품(10)의 물품 중심선(CL1)에 대해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품 중심선(CL1)은, 착용자의 둔열과 같은 오목부에 대향하는 부분이다. 본체 점착부(70)가 이 물품 중심선(CL1)에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폭 방향의 흡수성 물품의 중심은, 속옷과 같은 착용 물품에 직접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착용자의 양다리로부터 폭 방향의 내측으로 힘을 받았을 때에, 폭 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0)의 중심이 착용자의 둔열과 같은 오목부를 향해 볼록 형상으로 변형하여, 흡수성 물품이 착용자의 피부에 피트하기 쉬워진다. 또한, 이 경우라도, 테이프 부재(60)는 물품 중심선(CL1)에 대해 폭 방향(W)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후 방향(L)에서 보아 테이프 부재(60)와 본체 점착부(70)가 중복되는 영역을 넓게 할 수 있다(도 2 참조). 그 때문에, 흡수성 물품(10)을 뭉친 상태에서 테이프 부재(60)를 연장시켰을 때에, 테이프 부재(60)를 본체 점착부(70)에 고정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3)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비피부면측에서 본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전후 방향으로 말린 상태에 있어서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프 부재(60)는, 테이프 중심선(CL2)이 테이프 부재(60)의 연장 시에 물품 중심선(CL1)에 대해 비스듬히 어긋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테이프 중심선(CL2)은, 테이프 부재(60)의 인장 방향으로 연장되고, 인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테이프 부재(60)의 중심을 지나는 라인이다. 구체적으로는, 테이프 부재(60)는, 물품 중심선(CL1)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져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사용자는, 뭉친 흡수성 물품(10)을 테이프 부재(60)로 고정할 때에, 테이프 부재(60)를 테이프 중심선(CL2)을 따라 인장한다. 테이프 부재(60)는, 테이프 중심선(CL2)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진 상태로, 본체 점착부(70)에 고정된다. 이 경우, 테이프 부재(60)로부터 흡수체(30)에 가해지는 부하는, 테이프 부재(60)가 비스듬히 경사져 있는 분만큼, 폭 방향(W)으로 분산된다. 이에 의해, 흡수체(30)의 폭 방향(W)의 중심에 국소적으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60)의 조작 중에 체액이 흡수체로부터 스며 나오기 어려워진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테이프 부재(60)의 일부는 물품 중심선(CL1)을 지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흡수성 물품(10)의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중심 부근에서, 뭉쳐진 흡수성 물품(10)을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이 경우라도,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60)는, 테이프 부재(60)의 연장 시에 물품 중심선(CL1)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져 있기 때문에, 흡수체(30)에 가해지는 부하를 분산하는 것은 가능하다.
테이프 중심선(CL2)과 물품 중심선(CL1) 사이의 경사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테이프 부재(60)의 연장 시에 있어서도, 테이프 중심선(CL2)과 물품 중심선(CL1) 사이의 경사 각도가 10° 이하가 된다. 만일, 테이프 중심선(CL2)과 물품 중심선(CL1) 사이의 경사 각도가 크면, 전후 방향으로 뭉쳐진 흡수성 물품(10)에 대해, 테이프 부재(60)를 전후 방향으로부터 크게 경사진 방향으로 인장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60)를 인장하기 어렵다. 본 양태에서는, 테이프 중심선(CL2)과 물품 중심선(CL1) 사이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함으로써, 테이프 부재(60)를 전후 방향(L)을 따라 인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점착부(70)는, 전후 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폭 방향(W)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테이프 부재(60)의 테이프 중심선(CL2)이 물품 중심선(CL1)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져 있는 경우, 연장 방향으로 인출된 테이프 부재(60)의 폭 방향(W)의 길이(L1)(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테이프 부재의 폭(W1)보다 길어진다. 따라서, 복수의 본체 점착부(70)가 폭 방향(W)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었던 경우에, 테이프 부재(60)의 폭(W1)을 과도하게 넓게 하지 않고, 테이프 부재(60)를 복수의 본체 점착부(70)에 걸쳐 고정시킬 수 있다(도 5도 참조). 이에 의해, 흡수성 물품(10)을 뭉친 상태로 단단히 유지하기 쉬워진다.
(4)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비피부면측에서 본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6에 있어서,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는, 고정부(62)에 대해 테이프 부재(60)의 연장 방향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테이프 부재(60)의 고정부(62)는, 비고정부(64)보다,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0)의 중심으로부터 먼 쪽에 위치한다. 또한, 고정부(62)와 비고정부(64)의 경계(BL)가, 폭 방향(W)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져 있다.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4)가 고정부(62)와 비고정부(64)의 경계(BL)에서 되접혀지도록, 테이프 부재(60)를 인장한다. 여기서, 도 6에 있어서, 테이프 부재(60)가 경계(BL)에서 되접혀졌을 때의 가상적인 외형선(IL)이 점선에 의해 그려져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62)와 비고정부(64)의 경계(BL)가 경사져 있음으로써, 연장 방향으로 인출된 테이프 부재(60)의 테이프 중심선(CL2)이, 물품 중심선(CL1)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진다. 연장 방향으로 인출된 테이프 부재(60)의 테이프 중심선(CL2)이 물품 중심선(CL1)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짐으로써 얻어지는 효과는,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고정부(62)와 비고정부(64)의 경계(BL)와 폭 방향(W)의 경사 각도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테이프 부재(60)의 연장 시에 있어서, 테이프 중심선(CL2)과 물품 중심선(CL1) 사이의 경사 각도가 10° 이하가 된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테이프 부재(60)를 전후 방향(L)을 따라 인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하등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60)는, 신장 가능한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60)를 신장시키면서, 뭉친 흡수성 물품(10)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2017년 12월 27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7-252423호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본 양태에 의하면,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의 조작 중에 체액이 흡수체로부터 스며 나오기 어려운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10: 흡수성 물품 20: 표면 시트
22: 이면 시트 30: 흡수체
42: 윙 점착부 52: 플랩 점착부
60: 테이프 부재 70: 본체 점착부
L: 전후 방향 W: 폭 방향

Claims (7)

  1.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지는 이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에 형성된 점착부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중심을 지나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물품 중심선을 갖고,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테이프 부재의 중심을 지나 상기 테이프 부재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이프 중심선을 갖고,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테이프 중심선이, 상기 테이프 부재의 연장 시에 상기 물품 중심선에 대해 상기 폭 방향으로 또는 비스듬히 어긋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프 부재의 일부는 상기 물품 중심선을 지나는 것인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물품 중심선에 대해 상기 폭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점착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물품 중심선 상을 제외한 영역에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물품 중심선에 대해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중심선이, 상기 테이프 부재의 연장 시에 상기 물품 중심선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져 있고,
    상기 테이프 중심선과 상기 물품 중심선 사이의 경사 각도는 10° 이하인 흡수성 물품.
  4.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지는 이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에 형성된 점착부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중심을 지나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물품 중심선을 갖고,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이면 시트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이면 시트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비고정부
    를 갖고,
    상기 비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에 대해 상기 테이프 부재의 연장 방향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와 상기 비고정부의 경계가, 상기 폭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져 있으며,
    상기 고정부와 상기 비고정부의 경계와, 상기 폭 방향의 전방 경사 각도는 10°이하인 흡수성 물품.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점착부가,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는, 두께 방향에서 보아 상기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7. 삭제
KR1020207018056A 2017-12-27 2018-12-11 흡수성 물품 KR102674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52423 2017-12-27
JP2017252423A JP7083639B2 (ja) 2017-12-27 2017-12-27 吸収性物品
PCT/JP2018/045476 WO2019131108A1 (ja) 2017-12-27 2018-12-11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006A KR20200103006A (ko) 2020-09-01
KR102674912B1 true KR102674912B1 (ko) 2024-06-12

Family

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2818A (ja) * 1999-10-21 2001-04-24 Oji Paper Co Ltd パンツ型使いすておむつ
JP2006167195A (ja) 2004-12-16 2006-06-29 Kao Corp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07508878A (ja) 2003-10-27 2007-04-12 エスセーア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吸収性おむつ上の廃棄手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2818A (ja) * 1999-10-21 2001-04-24 Oji Paper Co Ltd パンツ型使いすておむつ
JP2007508878A (ja) 2003-10-27 2007-04-12 エスセーア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吸収性おむつ上の廃棄手段
JP2006167195A (ja) 2004-12-16 2006-06-29 Kao Corp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397B1 (ko)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JP4950025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7097287B2 (ja) 吸収性物品
KR101908444B1 (ko) 흡수성 물품
JP7254455B2 (ja) 生理用ナプキン
PL176263B1 (pl) Wyrób chłonny, zwłaszcza spodenki higieniczne
EP3494942B1 (en) Disposable wearable article
KR102674912B1 (ko) 흡수성 물품
JP6051285B1 (ja) 吸収性物品
AU2019478287B2 (en) An individually packed sanitary article
JP7152256B2 (ja) 吸収性物品
JP7026592B2 (ja) 吸収性物品
JP7083639B2 (ja) 吸収性物品
JP2009136600A (ja) 吸収性物品
KR102674908B1 (ko) 흡수성 물품
JP7288748B2 (ja) 吸収性物品
JP7152257B2 (ja) 吸収性物品
WO2021131841A1 (ja) 吸収性物品
JP2019118578A (ja) 吸収性物品
AU2019478288B2 (en) Sanitary article having assymmetrical fastening wings
JP7083638B2 (ja) 吸収性物品
JP7217130B2 (ja) 吸収性物品
WO2016157968A1 (ja) 吸収性物品
WO2023120694A1 (ja) 吸収性物品
JP7083640B2 (ja) 吸収性物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