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4143B1 -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 및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 및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4143B1
KR102674143B1 KR1020220179139A KR20220179139A KR102674143B1 KR 102674143 B1 KR102674143 B1 KR 102674143B1 KR 1020220179139 A KR1020220179139 A KR 1020220179139A KR 20220179139 A KR20220179139 A KR 20220179139A KR 102674143 B1 KR102674143 B1 KR 102674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waste
lining
bag
bottom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9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쇠뿔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쇠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쇠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76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5Shredding, crush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4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D06M15/24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containing chlori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2/00Resin or rubber layer comprising scrap, waste or recycl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70Scrap or recycle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0Packaging, e.g. bags

Abstract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 및 이의 제작방법은 가방의 내측으로 폐현수막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폐현수막의 인쇄된 면이 겉감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안감과 상기 안감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부착될 위치를 안감의 벽면 또는 바닥으로 탈착 가능한 구조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바닥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시트에는 폐현수막을 절단 분쇄한 후 합성수지와 혼합하여 압축된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

Description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 및 이의 제작방법{A bag made using a waste bann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현수막을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줄이고 자원의 낭비를 막기 위하여 폐현수막을 안감 및 바닥시트로 사용하여 제조된 가방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리 또는 건물에는 사람들에게 정보를 알려주는 다양한 현수막이 걸려있다. 이 현수막들은 인쇄된 내용의 기간이 경과하여 더 이상 필요치 않으면 폐기되게 된다. 폐기되는 현수막은 더럽거나 파손된 것은 거의 없으며 대부분은 깨끗한 현수막이 폐기처분 된다.
현수막은 무기물인 실리카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현수막을 녹여서 재생하는 과정에서 실리카가 용융되지 않고 불순물이 되므로 현수막은 재생이 불가능하다. 또한 폐현수막은 인쇄층이 존재하여 소각 시 유독성 물질이 배출되어 환경 오염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폐현수막을 재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특허 제10-1275481 "폐현수막을 재활용한 원단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폐현수막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원단을 코팅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은 폐현수막으로 겉감 및 안감 그리고 손잡이까지 제작한다. 폐현수막은 잉크로 글자 또는 그림들을 출력하고 내구성이 약한 코팅을 입힌 것으로 현수막을 재활용하여 사용하는 경우 코팅이 벗겨지면서 가루가 많이 발생하고 또한 잉크로 출력한 글자 또는 그림들이 벗겨지면서 묻어 나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가방은 폐현수막의 인쇄되지 않은 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제작하고 있으나 폐현수막의 인쇄층의 벗겨진 가루가 원단을 통과하여 외부로 계속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은 원단 자체의 내구성이 약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27548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폐현수막을 안감 및 바닥시트로 사용하는 가방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방에 보관하는 내용물에 따라 가방 바닥에 바닥시트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가방에 있어서, 상기 가방의 외측으로 다양한 문양을 프린트할 수 있는 겉감과 상기 가방의 내측으로 폐현수막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폐현수막의 인쇄된 면이 겉감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안감과 상기 안감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부착될 위치를 안감의 벽면 또는 바닥으로 탈착 가능한 구조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바닥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시트에는 폐현수막을 절단 분쇄한 후 합성수지와 혼합하여 압축된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감은 상기 폐현수막의 양면에 코팅되는 제1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폐현수막을 원단으로 하여 재단된 제1폐현수막과 상기 안감 일측면 외측 하단에서 자석에 부착되는 소재를 포함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안감 타측면 외측 하단에서 자석에 부착되는 소재를 포함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시트는 상기 지지판을 둘러싸는 커버가 되는 폐현수막으로 인쇄된 면이 바닥시트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폐현수막의 양면에 코팅되어 형성되는 제2코팅층을 포함하는 제2폐현수막과 상기 바닥시트 내측 상부에 형성되고, 자석으로 형성된 제3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시트가 안감의 벽면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제3연결부재와 제1연결부재가 자력(磁力)으로 체결되고, 상기 바닥시트가 안감의 바닥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제3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자력(磁力)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감은 똑딱이 숫단추로 형성되는 제5연결부재 및 똑딱이 숫단추로 형성되는 제6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연결부재는 대응되는 위치의 똑딱이 암단추인 제7연결부재와 체결되고, 상기 제6연결부재는 대응되는 위치의 똑딱이 암단추인 제8연결부재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의 제작방법은 수거된 폐현수막을 용도에 따라 안감 및 바닥시트로 제작할 수 있는 부분과 제작할 수 없는 자투리 및 손상된 부분을 선별하는 폐현수막 선별단계와, 상기 폐현수막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안감 및 바닥시트로 제작할 폐현수막의 양면을 코팅하고 건조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후, 재단하여 제1폐현수막 및 제2폐현수막을 형성하는 폐현수막 코팅단계와, 상기 폐현수막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폐현수막의 자투리 및 손상된 부분과 폐현수막 코팅단계에서 재단하고 남은 폐현수막을 잘게 커팅하고, 커팅된 폐현수막을 합성수지와 혼합한 후, 이를 압축 및 건조하여 판 형상으로 만든 후, 바닥시트 사이즈에 맞게 커팅하여 지지판을 가공하는 지지판 가공단계와 상기 폐현수막 코팅단계에서 재단된 제2폐현수막의 인쇄된 면에 제3연결부재를 부착하고, 지지판 가공단계에서 가공된 지지판을 넣은 상태에서, 제3연결부재와 지지판이 바닥시트 내측에 들어가도록 봉제하여 바닥시트를 제작하는 바닥시트 제작단계와 상기 폐현수막 코팅단계에서 재단된 제1폐현수막의 인쇄된 면에 제1연결부재 및 제2연결부재를 부착하고, 인쇄되지 않은 면에 바닥시트를 부착하며, 바닥시트가 안감의 내측으로 가도록 봉제하여 상부가 개방된 주머니 형태로 안감을 제작하고, 이때 바닥시트가 안감의 바닥면에서 소정의 거리를 가지도록 부착하는 안감 제작단계와, 겉감의 크기에 맞게 원단을 재단하고, 가방 겉면에 나타날 그림이나 글씨를 인쇄한 후, 인쇄된 원단을 봉제하여 상부가 개방된 주머니 형태로 겉감을 제작하고, 가방에 부착할 손잡이에 맞게 원단을 재단하는 겉감 및 손잡이 제작단계와 상기 안감 제작단계에서 제작된 바닥시트가 부착된 안감, 겉감 및 손잡이 제작단계에서 제작된 겉감 및 손잡이를 하나로 봉제하여 가방을 완성하는 봉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은 폐현수막으로 안감 및 바닥시트를 제작하고, 남은 자투리 폐현수막으로 지지판을 가공함으로써 폐현수막의 모든 부분을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방에 보관하는 내용물에 따라 바닥시트를 바닥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 가방에 무거운 물체가 들어가는 경우 바닥시트를 바닥에 결합하여 가방의 내용물이 한쪽으로 쏠리면서 처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현수막의 코팅 및 인쇄물이 벗겨지지 않도록 코팅되어 가방 사용 중에 폐현수막에서 떨어지는 이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현수막을 안감으로 사용하고 가방의 겉감에 다양한 문양을 프린트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문양을 가지는 에코백 형태의 가방을 대량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의 전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도 3에서 A-A'를 절개한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도 5a에서 바닥시트가 안감 바닥면에 부착되어 있는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a에서 B영역을 확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의 전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 의한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8b는 도 8a에서 바닥시트가 안감 바닥면에 부착되어 있는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의 제작방법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100)은 겉감(110), 안감(130), 바닥시트(140) 및 손잡이(15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가방(100)의 개방된 부위를 상부, 아랫부분 막힌 부위를 바닥으로 설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100)은 폐현수막으로 안감(130) 및 바닥시트(140)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방(100)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에코백 형상으로 손잡이(150)가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겉감(110)은 가방(100)의 외측으로 캔버스 원단, 옥스포드 원단, 광목 원단, 골덴 원단, 폴리 원단 중에서 하나의 원단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겉감(110)은 두꺼우면서 질기고 강도가 강한 특징을 가지는 상기 원단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겉감(110)은 안감(130)으로 사용한 폐현수막의 글자 또는 그림이 외부로 비치지 않아 가방(100)의 겉감(110)에 다양한 문양을 프린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의 전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a는 도 3에서 A-A'를 절개한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도 5a에서 바닥시트가 안감 바닥면에 부착되어 있는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5a에서 B영역을 확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안감(130)은 가방(100)의 내측으로 제1폐현수막(131), 제1연결부재(135), 제2연결부재(137)를 포함한다.
상기 안감(130)은 상부가 봉제 또는 접착 방식으로 겉감(110)의 상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감(130)은 폐현수막의 인쇄층이 벗겨지지 않도록 양면을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현수막은(131)은 양면에 형성되는 제1코팅층(1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폐현수막(131)은 양면이 코팅된 폐현수막을 원단으로 하여 안감(130)의 사이즈에 맞게 재단된 것이다. 상기 제1폐현수막(131)은 가방(100)의 내측에서 볼 때 제1폐현수막(131)의 글자 또는 그림이 잘 나타나지 않도록 제1폐현수막(131)의 인쇄된 면이 겉감(110)에 접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코팅층(133)은 폐현수막의 양면을 폴리염화비닐 수지로 코팅하고 건조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코팅층(133)은 가방(100) 사용 시 제1폐현수막(131)의 코팅이 벗겨지거나, 잉크로 출력한 글자 또는 그림들이 벗겨지면서 이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제1폐현수막(131)을 부드럽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코팅층(133)은 폐현수막에 코팅액을 도포하고 건조기에서 70~90℃ 온도로 20~30분 건조하거나, 실온에서 1~2시간 건조하며 상기 코팅층(133)의 두께는 0.1~0.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결부재(135)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부착되는 소재를 포함하며 안감(130) 일측면 외측 하단에 두 개가 가방(100)의 넓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중심에 하나를 배치하거나 중심을 기준으로 세 개가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135)는 돌출되지 않으므로 가방(100)에 들어간 내용물에 간섭을 미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연결부재(137)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부착되는 소재를 포함하며 도 4를 참조하면, 안감(130) 타측면 외측 하단에 두 개가 가방(100)의 넓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중심에 하나를 배치하거나 중심을 기준으로 세 개가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137)는 돌출되지 않아 가방(100)에 들어간 내용물에 간섭을 미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연결부재(137)는 제1연결부재(135)와 다른 높이로 서로 자력(磁力)이 미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시트(140)는 제2폐현수막(141), 지지판(145) 및 제3연결부재(147)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시트(140)는 중공 형태로 내부에 단단한 판 형태인 지지판(145)이 형성되어 가방(100) 내부의 내용물을 지지하여 가방이 내용물의 무게로 한쪽으로 쏠리거나, 내용물의 형상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닥시트(140)는 일측이 안감(130)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이 부착될 위치를 안감의 벽면 또는 바닥으로 탈착 가능한 구조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시트(140)는 제1연결부재(135)가 형성된 안감(130) 일측면 내측에 부착된다. 상기 바닥시트(140)는 안감(130)의 벽면에 부착되어 있을 때를 기준으로 상부, 하부, 가방(100) 내측에서 보이는 면을 전면, 안감(130)에 맞닿는 면을 후면으로 설명한다. 상기 바닥시트(140)는 가방(100)의 모양 및 크기에 맞추어 크기와 길이는 바뀔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시트(140)는 제3연결부재(147) 및 제1연결부재(135)가 자력(磁力)으로 체결될 때 안감(130) 벽면에 부착된다. 이때 가방(100)의 바닥 면적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시트(140)는 가방의 내용물이 가벼운 물체일 경우 안감(130)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시트(140)는 제3연결부재(147) 및 제2연결부재(137)가 자력(磁力)으로 체결될 때 안감(130) 바닥에 부착된다. 상기 바닥시트(140)는 하부가 안감(130) 바닥에서 상부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가지고 고정되어 있어 안감 바닥에 부착될 때 가방(100)의 바닥 면적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시트(140)는 가방의 내용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안감(130) 바닥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닥시트(140)가 안감(130) 바닥에 부착될 때, 가방(100) 좌우의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제2연결부재(137)가 제1연결부재(135)보다 가방(100)의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현수막(141)은 양면에 형성되는 제2코팅층(143)을 포함한다.
상기 제2폐현수막(141)은 양면이 코팅된 폐현수막을 원단으로 상기 지지판(145)을 둘러싸는 커버가 된다. 상기 제2폐현수막(141)은 가방(100)의 내측에서 볼 때 제2폐현수막(141)의 글자 또는 그림이 잘 나타나지 않도록 제2폐현수막(141)의 인쇄된 면이 바닥시트(14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코팅층(143)은 폐현수막의 양면을 폴리염화비닐 수지로 코팅하고 건조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2코팅층(143)은 가방(100) 사용 시 제2폐현수막(141)의 코팅이 벗겨지거나, 잉크로 출력한 글자 또는 그림들이 벗겨지면서 이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제2폐현수막(141)을 부드럽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코팅층(143)은 폐현수막에 코팅액을 도포하고 건조기에서 70~90℃ 온도로 20~30분 건조하거나, 실온에서 1~2시간 건조하며 상기 코팅층(143)의 두께는 0.1~0.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145)은 사용하고 남은 자투리 폐현수막으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판(145)은 폐현수막을 절단 분쇄한 후 합성수지와 혼합하여 압축 및 건조해 판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판(145)은 1~4mm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연결부재(147)는 바닥시트(140) 내측 상부에 형성되며, 돌출되지 않아 가방(100)에 들어간 내용물에 간섭을 미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연결부재(147)는 자석으로 형성되며, 제1연결부재(135) 및 제2연결부재(137)와 대응되어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의 전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8a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 의한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8b는 도 8a에서 바닥시트가 안감 바닥면에 부착되어 있는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도 5a 및 도 5b의 제1연결부재(135), 제2연결부재(137) 및 제3연결부재(143)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고 도 4, 도 5a 및 도 5b의 구성과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
상기 제5연결부재(235)는 똑딱이 숫단추로 똑딱이 암단추인 제7연결부재(245)와 체결될 때 바닥시트(240)가 안감(230) 벽면에 부착된다. 상기 바닥시트(240)는 안감(230) 벽면에 부착됨에 따라 내용물 출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제6연결부재(237)는 똑딱이 숫단추로 똑딱이 암단추인 제8연결부재(247)가 체결될 때 바닥시트(240)가 안감(230) 바닥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바닥시트(240)가 안감(230)의 바닥에 위치함에 따라 가방(200)의 바닥 면적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5연결부재(235), 제6연결부재(237), 제7연결부재(245) 및 제8연결부재(247)는 벨크로, 버클 등 구조적인 방법으로 체결되는 다양한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연결부재(235) 및 제6연결부재(237)는 체결수단이 벨크로일 경우 갈고리가 될 수 있으며, 제7연결부재(245) 및 제8연결부재(247)는 걸이가 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의 제작방법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 제작방법은 폐현수막 선별단계(S10), 폐현수막 코팅단계(S20), 지지판 가공단계(S30), 바닥시트 제작단계(S40), 안감 제작단계(S50), 겉감 및 손잡이 제작단계(S60), 봉제단계(S70)를 포함한다.
상기 폐현수막 선별단계(S10)에서는 수거된 폐현수막을 안감(130) 및 바닥시트(140)로 제작할 수 있는 부분과 제작할 수 없는 자투리 및 손상된 부분을 선별한다.
상기 폐현수막 코팅단계(S20)는 폐현수막 선별단계(S10)에서 선별된 안감(130) 및 바닥시트(140)로 제작할 폐현수막의 양면을 코팅하고 건조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후 재단하여 제1폐현수막(131) 및 제2폐현수막(141)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판 가공단계(S30)는 폐현수막 선별단계(S10)에서 선별된 폐현수막의 자투리 및 손상된 부분과 폐현수막 코팅단계(S20)에서 제1폐현수막(131) 및 제2폐현수막(141)을 형성하고 남은 폐현수막을 잘게 커팅하고 커팅 된 폐현수막을 합성수지와 혼합한 후, 이를 압축 및 건조하여 판형상으로 만들고 가방의 사이즈에 맞게 커팅하여 지지판(145)을 가공한다.
상기 바닥시트 제작단계(S40)는 폐현수막 코팅단계(S20)에서 코팅 및 재단된 제2폐현수막(141)의 인쇄된 면에 제3연결부재(147)를 부착시키고 지지판 가공단계(S30)에서 제작된 지지판(145)을 제3연결부재(147) 하단에 위치시킨 후, 제3연결부재(147)와 지지판(145)이 바닥시트(140) 내측에 들어가도록 제2폐현수막(141)을 봉제하여 바닥시트(140)를 제작한다.
상기 안감 제작단계(S50)는 폐현수막 코팅단계(S20)에서 코팅 및 재단된 제1폐현수막(131)의 인쇄된 면에 제1연결부재(135) 및 제2연결부재(137)를 부착하고, 폐현수막의 인쇄되지 않은 면에 바닥시트(140)를 부착하며, 바닥시트(140)가 안감(130)의 내측으로 가도록 봉제한다. 이때 바닥시트(140)가 안감(130)의 바닥면에서 소정의 거리를 가지고 부착된다.
상기 겉감 및 손잡이 제작단계(S60)는 정해진 겉감(110)의 크기에 맞게 원단을 재단하고, 가방(100)의 겉면에 나타날 그림 또는 글씨를 인쇄한 후, 인쇄된 원단을 인쇄면이 가방(100) 외측에 나타나도록 봉제하고, 가방(100)에 부착할 손잡이(150)에 맞게 원단을 재단한다.
상기 봉제단계(S70)에서는 안감 제작단계(S50)에서 제작된 안감(130), 겉감 및 손잡이 제작단계(S60)에서 제작된 겉감(110) 및 손잡이(150)를 하나로 봉제하여 가방(100)을 완성한다.
상기 본 발명은 폐현수막을 활용하면서 동일한 문양을 가지는 가방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특징이 있다. 특히, 이 방법으로 제조된 가방은 안감에 코팅처리된 폐현수막을 활용하고, 가방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안감에 사용되고 남은 짜투리 폐현수막을 분쇄 후 지지판으로 가공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현수막은 가방의 안감 및 부속품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폐현수막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방은 가공처리된 폐현수막의 강도를 겉감이 보완할 수 있기 때문에 무거운 무게를 수용하거나 다회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 외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 또는 분할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 또는 분할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범위 안에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가방 110 겉감
130 안감 131 제1폐현수막
133 제1코팅층 135 제1연결부재
137 제2연결부재 140 바닥시트
141 제2폐현수막 143 제2코팅층
145 지지판 147 제3연결부재
150 손잡이 200 가방
230 안감 235 제5연결부재
237 제6연결부재 240 바닥시트
245 제7연결부재 247 제8연결부재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가방에 있어서,
    상기 가방의 외측으로 다양한 문양을 프린트할 수 있는 겉감;
    상기 가방의 내측으로 폐현수막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폐현수막의 인쇄된 면이 겉감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안감; 및
    상기 안감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부착될 위치를 안감의 벽면 또는 바닥으로 탈착 가능한 구조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바닥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시트에는 폐현수막을 절단 분쇄한 후 합성수지와 혼합하여 압축된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안감은
    상기 폐현수막의 양면에 코팅되는 제1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폐현수막을 원단으로 하여 재단된 제1폐현수막;
    상기 안감 일측면 외측 하단에서 자석에 부착되는 소재를 포함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안감 타측면 외측 하단에서 자석에 부착되는 소재를 포함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시트는
    상기 지지판을 둘러싸는 커버가 되는 폐현수막으로 인쇄된 면이 바닥시트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폐현수막의 양면에 코팅되어 형성되는 제2코팅층을 포함하는 제2폐현수막;
    상기 바닥시트 내측 상부에 형성되고, 자석으로 형성된 제3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시트가 안감의 벽면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제3연결부재와 제1연결부재가 자력(磁力)으로 체결되고,
    상기 바닥시트가 안감의 바닥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제3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자력(磁力)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감은 똑딱이 숫단추로 형성되는 제5연결부재; 및 똑딱이 숫단추로 형성되는 제6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5연결부재는 대응되는 위치의 똑딱이 암단추인 제7연결부재와 체결되고,
    상기 제6연결부재는 대응되는 위치의 똑딱이 암단추인 제8연결부재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
  6. 수거된 폐현수막을 용도에 따라 안감 및 바닥시트로 제작할 수 있는 부분과 제작할 수 없는 자투리 및 손상된 부분을 선별하는 폐현수막 선별단계;
    상기 폐현수막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안감 및 바닥시트로 제작할 폐현수막의 양면을 코팅하고 건조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후, 재단하여 제1폐현수막 및 제2폐현수막을 형성하는 폐현수막 코팅단계;
    상기 폐현수막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폐현수막의 자투리 및 손상된 부분과 폐현수막 코팅단계에서 재단하고 남은 폐현수막을 잘게 커팅하고, 커팅된 폐현수막을 합성수지와 혼합한 후, 이를 압축 및 건조하여 판 형상으로 만든 후, 바닥시트 사이즈에 맞게 커팅하여 지지판을 가공하는 지지판 가공단계;
    상기 폐현수막 코팅단계에서 재단된 제2폐현수막의 인쇄된 면에 제3연결부재를 부착하고, 지지판 가공단계에서 가공된 지지판을 넣은 상태에서, 제3연결부재와 지지판이 바닥시트 내측에 들어가도록 봉제하여 바닥시트를 제작하는 바닥시트 제작단계;
    상기 폐현수막 코팅단계에서 재단된 제1폐현수막의 인쇄된 면에 제1연결부재 및 제2연결부재를 부착하고, 인쇄되지 않은 면에 바닥시트를 부착하며, 바닥시트가 안감의 내측으로 가도록 봉제하여 상부가 개방된 주머니 형태로 안감을 제작하고, 이때 바닥시트가 안감의 바닥면에서 소정의 거리를 가지도록 부착하는 안감 제작단계;
    겉감의 크기에 맞게 원단을 재단하고, 가방 겉면에 나타날 그림이나 글씨를 인쇄한 후, 인쇄된 원단을 봉제하여 상부가 개방된 주머니 형태로 겉감을 제작하고, 가방에 부착할 손잡이에 맞게 원단을 재단하는 겉감 및 손잡이 제작단계; 및
    상기 안감 제작단계에서 제작된 바닥시트가 부착된 안감, 겉감 및 손잡이 제작단계에서 제작된 겉감 및 손잡이를 하나로 봉제하여 가방을 완성하는 봉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 제작방법.
KR1020220179139A 2022-12-20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674143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4143B1 true KR102674143B1 (ko) 2024-06-13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215Y1 (ko) * 2000-08-21 2001-01-15 김문규 쇼핑백
KR101275481B1 (ko) * 2012-04-06 2013-06-17 최환 폐현수막을 재활용한 원단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215Y1 (ko) * 2000-08-21 2001-01-15 김문규 쇼핑백
KR101275481B1 (ko) * 2012-04-06 2013-06-17 최환 폐현수막을 재활용한 원단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8730B2 (en) Purse with interchangeable decorative liners
EP0680371B1 (en) A children's pad printing kit
DE102005057509A1 (de) Schutz- und Zierplatte für Haushaltsgeräte
US20070108005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luggage
KR102674143B1 (ko) 폐현수막으로 제작된 가방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275481B1 (ko) 폐현수막을 재활용한 원단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EP1372456B1 (en) Floor mats
KR200389061Y1 (ko) 명찰
KR200387159Y1 (ko) 사진 또는 그림을 끼워넣고 교체할 수 있는 가방
US2005010379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tubular storage assembly
CA2481242A1 (en) Bag which can be transformed into a tablecloth
KR200352730Y1 (ko) 조립식 마우스 패드
GB2240963A (en) Badges
CN209366831U (zh) 假发包装套件
JP3004303U (ja) 着脱自在なバインダーを備える三つ折りバッグ
DE202005013956U1 (de) Aufbewahrungsbehälter
KR0127745Y1 (ko) 재사용이 가능한 현수막
JP3093226U (ja) 液晶画面用クリーナー
JPH0442106Y2 (ko)
JP2017081575A (ja) ファイバードラム
KR880001621Y1 (ko) 조립식 옷장의 부직포 원단
TWM586703U (zh) 組合式垃圾桶
JPH0687272U (ja) お面としての再利用構造を有する容器
GB2404333A (en) An identification display system
JP3095227U (ja) 机上用マッ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