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4059B1 - Elevating Frame Device of Self-Elevating Crane - Google Patents

Elevating Frame Device of Self-Elevating Cr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4059B1
KR102674059B1 KR1020230075662A KR20230075662A KR102674059B1 KR 102674059 B1 KR102674059 B1 KR 102674059B1 KR 1020230075662 A KR1020230075662 A KR 1020230075662A KR 20230075662 A KR20230075662 A KR 20230075662A KR 102674059 B1 KR102674059 B1 KR 102674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ower
coupling
lifting
al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56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재영
윤만중
권일준
한웅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워엠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워엠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워엠엔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059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07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ind tur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03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posts, e.g. scaffolding, trees or ma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10Assembly of wind motors; Arrangements for erecting win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F16B5/008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characterised by particular locking means
    • F16B5/0088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characterised by particular locking means with locking means mov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in plane, e.g. pins,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60Assembly methods
    • F05B2230/61Assembly methods using auxiliary equipment for lifting or ho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Abstract

이 발명은 타워와 타워 상단에 마련되는 풍력 발전 시스템의 설치와 유지 보수를 위한 크레인에서 타워에 배치되어 타워를 따라 상하를 승강하도록 마련되는 승강 유닛을 이루고 타워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타워에 마찰력을 지지되는 고정 상태와 승강을 위한 해제 상태로 가변되는 승강 프레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승강 프레임 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타워를 중심에 두고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프레임을 이루고 서로 결합이 해제되어 타워로부터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프레임 부분을 포함하고, 각각의 프레임 부분은 서로 결합되는 접합부에서 수평으로 서로 맞물리는 제1 결합 요소 및 서로 수직으로 맞물리는 제2 결합 요소를 포함하여, 제1 및 제2 결합 요소의 맞물림에 의해 프레임 부분들이 서로 정렬되고, 각각의 프레임 부분은 제1 및 제2 결합 요소의 정렬에 의해 서로 정렬되는 결합 홀을 갖춘 제3 결합 요소를 더 포함하고, 결합 홀을 관통하는 결합 핀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This invention is a crane for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provided on the tower and the top of the tower. It is placed on the tower and forms a lifting unit that is arranged to go up and down along the tower, and is arranged to surround the tower to support frictional force on the tower. It relates to a lifting frame device that can be changed into a fixed state and a released state for lifting. The lifting frame device of this invention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the tower at the center to form one frame and is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frame portions detachable from the tower, each frame portion comprising a first coupling element that engages each other horizontally and a second coupling element that engages each other vertically at a joint where they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elements comprising: The frame portion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by engaging the engaging elements, each frame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third engaging element having an engaging hole aligned with each other by the alignment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elements, and penetrating the engaging hole. They are joined together by coupling pins.

Description

자력 승강식 크레인의 승강 프레임 장치{Elevating Frame Device of Self-Elevating Crane}Elevating Frame Device of Self-Elevating Crane}

이 발명은 풍력 발전 시스템의 설치와 유지 보수를 위하여 타워를 자력 승강하는 자력 승강식 크레인의 승강 프레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육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타워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 유닛을 이루며 타워를 둘러싸고 설치되는 승강 프레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frame device for a self-elevating crane that magnetically raises and lowers a tower for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Specifically, it forms a lifting unit that lifts and lowers along a tower installed vertically on land. It relates to a lifting frame device that surrounds and is installed.

육상에 설치되는 풍력 발전 시스템은 지면으로부터 타워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타워의 상단에는 풍력 터빈이 배치되는 나셀이 마련되고, 터빈에는 블레이드가 결합된다.In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installed on land, a tower is installed vertically from the ground, a nacelle where a wind turbine is placed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tower, and blades are coupled to the turbine.

효율적인 풍력 발전을 위해 타워의 높이가 증가하고 블레이드나 풍력 터빈도 대형화하고 있어서, 풍력 발전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크레인 장치 역시 고층화 및 대형화하고 있다.For efficient wind power generation, the height of towers is increasing and blades and wind turbines are becoming larger, and crane equipment for installing wind power generation systems is also becoming taller and larger.

대형 크레인은 공급이 한정되어 적기에 풍력 타워 시스템의 건설이나 유지보수에 투입되기 어렵다. 특히, 풍력 발전 시스템은 산지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고층의 대형 크레인을 산지로 운반하기 어렵고 현장에 충분한 작업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서 대형 크레인에 의한 작업도 용이하지 않다.Due to limited supply of large cranes, it is difficult to use them for the construction or maintenance of wind tower systems in a timely manner. In particular, wind power generation systems are often installed in mountainous areas, but it is difficult to transport large, high-rise cranes to mountainous areas and work with large cranes is not easy because sufficient work space is not secured on sit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소위 자력 승강식 크레인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so-called self-elevating crane devices are being developed.

자력 승강식 크레인 장치은 풍력 발전 시스템의 타워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 기구에 크레인을 설치하여 승강 기구가 타워를 따라 올라가면서 크레인이 풍력 발전 시스템을 이루는 요소, 즉 타워 유닛, 블레이드, 나셀 등을 설치 위치까지 인양하거나 해체된 요소들을 하강시키는 것이다.The self-elevating crane device installs a crane on a lifting mechanism that goes up and down along the tower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s the lifting mechanism goes up along the tower, the crane lifts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such as tower units, blades, nacelles, etc.,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The salvaged or dismantled elements are lowered.

이러한 자력 승강식 크레인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중국 공개특허공보 CN107265373A(문헌 1)에서는 "Dedicated tool for wind electricity maintenance crane arm structure"라는 명칭의 발명을 개시한다.As an invention related to such a magnetic lifting crane device, Chinese Patent Publication CN107265373A (Document 1) discloses an invention titled "Dedicated tool for wind electricity maintenance crane arm structure."

문헌 1 발명에 따른 장치는 타워를 감싸면서 서로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홀딩 아암이 수직으로 연장되는 실린더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홀딩 아암은 실린더에 의해 승강하고 서로 교대로 타워에 부착되어 승강 운동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한다.Document 1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holding arms that surround a tower and are vertically spaced from each other, coupled to a vertically extending cylinder. The holding arms are raised and lowered by cylinders and are attached to the tower alternately with each other to provide support for the lifting movement.

문헌 1 발명에 따른 장치는 풍력 발전 시스템의 타워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으나, 홀딩 아암이 타워를 파지하는 힘에 의존하여 승강 작용을 하고 크레인이 인양 작업을 하는 부하를 지지하여야 하므로, 홀딩 아암의 구조가 복잡하고 승강 동작이 복잡하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 현장에서 홀딩 아암을 조립 및 해체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홀딩 아암의 안전성이 문제로 된다. Document 1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used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tower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but since the holding arm lifts and lowers depending on the force holding the tower and the crane must support the load for lifting work, the holding arm must support the load for lifting. The structure of the arm is complex,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is complex and time consuming,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holding arm at the work site takes a lot of time, and the safety of the holding arm is a problem.

또한, 문헌 1의 발명의 크레인 장치는 타워를 승강하는 유닛의 일측에 크레인 유닛이 부착되므로 승강 유닛과 크레인 유닛의 하중 및 크레인이 인양하는 물품의 하중이 모두 타워의 일측에 편중됨으로써 타워에 상당한 편심 하중을 가한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rane device of the invention in Document 1, the crane unit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unit that raises and lowers the tower, so the load of the lifting unit and crane unit and the load of the article lifted by the crane are all concentrated on one side of the tower, causing significant eccentricity in the tower. There is a problem with applying loa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발명으로서 이 출원의 출원인에 의해 개발되고 특허출원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46781호(문헌 2)에서 개시하는 "풍력 발전 시스템의 설치와 유지 보수를 위한 자력 승강식 크레인 장치"라는 명칭의 발명이 있다.As an invention that solves this problem, the "self-elevating type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146781 (Document 2), developed and patented by the applicant of this application There is an invention called “crane device”.

문헌 2의 발명에 따른 크레인 장치는, 타워에 부착되어 타워를 따라 상하를 승강하도록 마련되는 승강 유닛 및 풍력 타워 시스템을 이루는 요소를 인양하도록 구성되고 승강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크레인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승강 유닛은, 타워를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타워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 지지되는 상태와 타워에 대해 승하강 가능한 상태에서 가변되는 상부 베이스와 하부 베이스, 상하부 베이스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하부 베이스가 서로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고정되게 해주는 복수 개의 포스트, 타워를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타워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 지지되는 상태와 타워에 대해 승하강 가능한 상태에서 가변되며, 상하부 베이스 사이에서 포스트를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 베이스, 및 승강 베이스와 상부 베이스 또는 하부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승강 베이스와 상하부 베이스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구동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ran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Document 2 includes a lifting unit attached to the tower and provided to lift up and down along the tower, and a crane unit configured to lift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wind tower system and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unit. The lifting unit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tower, and extend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ases and the upper and lower bases, which are variable in a state of being fixedly supported at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tower and a state of being able to raise and lower with respect to the tower, so that the upper and lower bas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posts that are fixed to each other at vertically spaced positions, configured to surround the tower, are variable in a state of being fixedly supported at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tower and a state of being able to be raised and lowered with respect to the tower, and along the post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ase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fting base that can be raised and lowered, and a drive mechanism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lifting base and the upper base or lower base and changes the distance between the lifting base and the upper and lower bases by changing the length.

문헌 2의 발명에 따른 크레인 장치에서 프레임은 타워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마찰력 등에 의해 타워에 고정되어 자중 및 크레인에 의한 물품의 인양 시에 작용하는 힘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므로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가져야 한다.In the cran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Document 2, the frame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tower and is fixed to the tower by friction force, etc., so that it is configured to support its own weight and the force applied when lifting the item by the crane, so it must have sufficient strength and rigidity. .

크레인은 풍력 발전 시스템의 타워에 영구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풍력 발전 시스템의 설치 또는 유지보수를 위해 현장에서 설치되고 완공 또는 유지보수의 완료 후에 철거되어 다른 장소로 운송되어야 한다.The crane is not permanently installed and used on the tower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but must be installed on site for installation or maintenance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then dismantled and transported to another location after completion of construction or maintenance.

따라서, 문헌 2의 실시예에서는 프레임은 타워가 관통하는 홀이 반원형으로 개방되도록 2개의 부분으로 분할 및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of Document 2, the frame is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two parts and joined so that the hole through which the tower passes is opened in a semicircular shape.

자력 승강식 크레인의 프레임은 타워에 유지되기 위한 마찰력을 생성하는 압박력 및 자중 및 크레인에 의한 물품의 인양 시에 작용하는 힘을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가져야 하므로 프레임 부분의 연결 부분은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가져야 하고, 특히 6개의 자유도 모두에 대한 구속력을 가져야 한다. The frame of a self-elevating crane must have sufficient strength and rigidity to support the pressing force that generates friction to be maintained on the tower, its own weight, and the force applied when lifting goods by the crane, so the connection parts of the frame parts must be sufficient. It must have strength and rigidity, and especially must have binding force for all six degrees of freedom.

또한, 자력 승강식 크레인은 타워가 설치되는 현장에서 운반되어 현장에서 서로 조립되어 설치되어야 하고, 특히 프레임은 타워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야 하므로 프레임 부분이 타워에 직접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어야 하므로, 현장에서 프레임 부분의 정렬 및 결합이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In addition, self-elevating cranes must be transported from the site where the tower is installed and assembled and installed on site. In particular, the frame must be installed to surround the tower, so the frame parts must be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placed directly on the tower, so it must be installed on site. Alignment and joining of frame parts must be possible easily and quickly.

2개의 프레임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프레임을 이루는 형강의 플랜지와 웨브에 연결판을 덧대고 연결판과 플랜지 또는 웨브를 볼트 체결하여 프레임 구조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The traditional method of connecting two frame parts is to attach a connecting plate to the flange and web of the section steel that makes up the frame, and then bolt the connecting plate and flange or web to connect the frame structure to each other.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홀이 위치가 서로 정밀하게 정합하여야 하지만, 크기가 매우 큰 자력 승강식 크레인의 프레임에서 홀의 위치를 서로 맞도록 프레임 부분을 서로 정렬하는 것은 매우 까다롭고 시간 소모적이다.However, in this method, the positions of the holes for fastening the bolts must be precisely aligned with each other, but in the frame of a very large self-elevating crane, it is very difficult and time-consuming to align the frame parts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hole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m.

또한, 탸워의 설치 현장 등에서 프레임 부분을 인양하여 타워에 맞댄 상태에서 볼트를 홀에 삽입하고 너트를 체결하는 작업은 매우 시간 소모적이다.In addition, the work of lifting the frame part at a tower installation site, placing it against the tower, inserting bolts into the holes, and tightening the nuts is very time-consuming.

2개의 프레임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프레임 부분에서 서로 마주하는 부분을 서로 겹치게 하고, 겹치는 부분에 복수 개의 핀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것이 있다.Another method of connecting two frame parts is to overlap the parts that face each other in the frame parts and connect the overlapping parts by passing a plurality of pins through them.

그러나, 이러한 방법 역시 볼트 체결 방식과 마찬가지로 큰 구조물에서 핀이 삽입되는 홀의 위치와 크기가 정렬되도록 정밀도 높게 홀을 가공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그러한 장비의 사용도 용이하지 않다. However, this method, like the bolt fastening method, is very difficult to machine holes with high precision so that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hole where the pin is inserted in a large structure are aligned, and the use of such equipment is not easy.

더욱이, 프레임 부분을 인양하여 타워에 맞댄 상태에서 프레임 부분을 맞추어 홀이 서로 정렬되도록 하고 핀을 삽입하는 공정은 매우 어렵고 시간 소모적인 공정이다.Furthermore, the process of lifting the frame portion and aligning the frame portion against the tower so that the hole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nd inserting the pin is a very difficult and time-consuming process.

문헌 1: 중국 공개특허공보 CN107265373ADocument 1: Chinese Patent Publication CN107265373A 문헌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46781호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146781

이 발명은 풍력 발전 시스템의 설치와 유지 보수를 위한 자력 승강식 크레인에서 승강 유닛을 이루는 승강 프레임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is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lifting frame device that forms a lifting unit in a self-elevating crane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wind power generation systems.

구체적으로 이 발명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프레임 부분이 풍력 발전 시스템이 설치된 현장에서 서로 용이하게 결합되고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의 승강 프레임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Specifically, this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lifting frame device in which frame parts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can be easily coupl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a site where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is installed.

특히, 이 발명은 프레임 부분이 높은 가공 정밀도를 가지고 마련되지 않아도 서로 쉽게 정렬될 수 있고 결합 부분이 높은 강도와 강성을 가질 수 있는 구조의 승강 프레임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lifting frame device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frame parts can be easily aligned with each other and the coupling parts can have high strength and rigidity even if the frame parts are not prepared with high processing precision.

전술한 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타워와 타워 상단에 마련되는 풍력 발전 시스템의 설치와 유지 보수를 위한 크레인에서 타워에 배치되어 타워를 따라 상하를 승강하도록 마련되는 승강 유닛을 이루고 타워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타워에 마찰력을 지지되는 고정 상태와 승강을 위한 해제 상태로 가변되는 것인 이 발명에 따른 승강 프레임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is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that the crane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provided on the tower and the top of the tower forms a lifting unit that is placed on the tower and is arranged to raise and lower along the tower, and surrounds the tower. This is achieved by the lifting fram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rranged to change the fixed state in which friction force is supported on the tower and the released state for lifting.

이 발명의 승강 프레임 장치는,The lifting frame device of this invention is,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타워를 중심에 두고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프레임을 이루고 서로 결합이 해제되어 타워로부터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프레임 부분을 포함하고, It includes a plurality of frame parts that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tower at the center to form a single frame, and are uncoupled from each other and separable from the tower,

각각의 프레임 부분은 서로 결합되는 접합부에서 수평으로 서로 맞물리는 제1 결합 요소 및 서로 수직으로 맞물리는 제2 결합 요소를 포함하여, 제1 및 제2 결합 요소의 맞물림에 의해 프레임 부분들이 서로 정렬되고, Each frame portion includes first coupling elements that engage each other horizontally and second coupling elements that engage each other vertically at the joint where they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rame portion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by the enga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elements. ,

각각의 프레임 부분은 제1 및 제2 결합 요소의 정렬에 의해 서로 정렬되는 결합 홀을 갖춘 제3 결합 요소를 더 포함하고, 결합 홀을 관통하는 결합 핀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Each frame portion further includes a third coupling element having a coupling hole that is aligned with each other by the alignment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elements, and is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pin penetrating the coupling hole.

이 발명의 승강 프레임 장치는 하나의 프레임이 복수 개의 프레임 부분으로 분할되어 형성되고 풍력 발전 시스템이 설치되는 위치 또는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서 타워에 직접 배치되고 타워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서로 결합되어야 한다.The lifting frame device of this invention is formed by dividing one frame into a plurality of frame parts, and must be placed directly on the tower at the location where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is installed or at the location where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is installed, and arranged to surround the tower and combined with each other.

따라서, 각각의 프레임 부분을 타워에서의 제 위치에 배치하고 이들을 서로 정렬하여 결합하여야 한다.Therefore, each frame part must be placed in position on the tower and aligned and joined together.

이 발명에 따른 승강 프레임 장치에서 프레임 부분들은 제1 및 제2 결합 요소의 맞물림에 의해 서로 수평 및 수직으로 정렬되고, 정렬 상태에서 제3 결합 요소에 의해 핀으로 서로 결합되어 프레임을 이룬다.In the lifting frame device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frame parts are align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with each other by engaging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elements, and in the aligned st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pins by the third coupling element to form a frame.

따라서, 프레임 요소 간의 결합 핀에 의한 결합이 제1 및 제2 결합 요소에 의한 정렬이 이루어진 후에 수행되므로 결합 홀을 서로 정렬하여 결합핀을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Accordingly, since the coupling between frame elements by the coupling pin is performed after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elements are aligned, the task of inserting the coupling pin by aligning the coupling holes with each other is easily performed.

또한, 이 발명의 승강 프레임 장치에 있어서,Additionally, in the lifting frame device of this invention,

하나의 프레임 부분의 제1 결합 요소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원형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의 프레임 부분의 제1 결합 요소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원형의 홈을 포함하여, 양자의 프레임 부분의 돌출부와 홈이 맞물려서 2개의 프레임 부분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정렬된다.The first engaging element of one frame part includes a semicircular protrusion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first engaging element of the other frame part includes a semicircular groov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protrusion of both frame parts includes a semicircular groov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The and grooves engage so that the two frame part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서로 결합되어야 하는 2개의 프레임 부분이 반원형 돌출부와 홈의 맞물림에 의해 수평으로 정렬된다. 돌출부와 홈은 자동조심 특성을 갖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므로 특별한 정밀한 작업없이 서로 정합될 수 있어서 프레임 부분 사이의 수평 방향의 정렬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정렬을 위한 결합 요소의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저렴하게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two frame parts that are to be joined to each other are aligned horizontally by the engagement of the semicircular protrusions and grooves. Since the protrusions and grooves are semicircular with self-aligning characteristics, they can be aligned with each other without special precision work, making horizontal alignment between frame parts very easy. Additionally, the construction of the coupling elements for alignment is very simple and inexpensive.

이 발명의 부가의 특징적 구성으로서, 이 발명의 승강 프레임 장치에 있어서,As an additional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is invention, in the lifting frame device of this invention,

하나의 프레임 부분의 제2 결합 요소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 표면을 이루는 정렬면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의 프레임 부분의 제2 결합 요소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측 표면을 이루는 정렬면을 포함하고, The second coupling element of one frame part includes an alignment surfac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orming an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coupling element of the other frame part includes an alignment surfac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orming a lower surface,

양자의 프레임 부분의 정렬면은 동일한 수직 방향의 위치에 마련되어 하나의 프레임 부분의 정렬면이 다른 하나의 프레임 부분의 정렬면에 놓임으로써 2개의 프레임 부분이 수직 방향으로 서로 정렬된다.The alignment surfaces of both frame parts are provided at the same vertical position, and the alignment surface of one frame part is placed on the alignment surface of the other frame part, so that the two frame part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서로 결합되어야 하는 2개의 프레임 부분이 하나의 정렬 요소의 정렬면을 다른 하나의 정렬 요소의 정렬면에 놓는 것만으로 수직 방향의 정렬이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two frame parts to be joined to each other are vertically aligned simply by placing the alignment surface of one alignment element on the alignment surface of the other alignment element.

따라서, 프레임 부분 사이의 수직 방향의 정렬 작업이 특별한 정밀한 작업없이 쉽게 이루어지고. 그러한 정렬을 위한 결합 요소의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저렴하게 이루어진다.Therefore, vertical alignment between frame parts is easily accomplished without any special precision work. The construction of coupling elements for such alignment is very simple and inexpensive.

이 발명의 추가의 특징적 구성으로서, 이 발명의 승강 프레임 장치에 있어서,As a further characteristic feature of this invention, in the lifting frame device of this invention,

제3 결합 요소는 제1 및 제2 결합 요소의 정렬에 의해 서로 맞닿는 정렬면을 포함하고, 결합홀은 정렬면을 관통하고 프레임 부분이 서로 분리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련된다.The third coupling element includes an alignment surface that abuts each other by aligning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elements, and a coupling hole passes through the alignment surface and is provi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ame portion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서로 결합되어야 하는 요소를 핀으로 결합하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수준의 정렬이 필요하지만, 풍력 발전 시스템에 사용되는 크레인과 같은 거대한 장치에서 핀으로 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한 정렬은 매우 어렵고 실제로는 핀의 정합을 위한 정밀 가공이 불가능하다.A very high level of alignment is required to join the elements that must be joined together with pins, but in huge devices such as cranes used in wind power generation systems, alignment to join frames with pins is very difficult and in practice, the alignment of the pins is difficult. Precision processing is impossible.

그러나, 이 발명의 전술한 추가의 특징적 구성에 따르면, 제1 및 제2 결합 요소에 의해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정렬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1개소의 접합부가 하나의 핀 결합만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핀 결합의 정합이 매우 간단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additional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is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elements are align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ne joint is joined only by one pin coupling, so that the pin coupling is possible. Matching is accomplished in a very simple and inexpensive manner.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프레임 장치를 갖춘 크레인이 타워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프레임 장치를 갖춘 승강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A-A에서 본 하부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부분에 대한 개념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접합부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4의 접합부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Figure 1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rane equipped with a lifting fram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towe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unit equipped with a lifting fram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lower frame seen along line AA in Figure 2;
FIG. 4 is a conceptual plan view of portion B of FIG. 3.
Figure 5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joint of Figure 4.
FIG. 6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joint of FIG. 4.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서, 이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 프레임 장치의 구성 및 승강 프레임 장치가 구비된 크레인 및 승강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과 작동을 설명한다.Hereinafter, as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fram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hemat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rane and the lifting unit equipped with the lifting frame device will be described. .

이하의 설명 및 이 명세서 전반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직경 방향', '수직 방향' 및 '원주 방향'은 모두 타워(1)를 기준으로 타워의 직경 방향, 수직 방향 및 원주 방향을 의미한다.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description below an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radi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and 'circumferential direction' all mean the diametrical, vertical and circumferential directions of the tower with respect to the tower 1. .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프레임 장치를 갖춘 크레인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rane equipped with a lifting fram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이 실시예의 크레인은 문헌 2의 발명에 따른 것으로서, 풍력 발전 시스템의 타워(1)에 부착되어 타워를 따라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 승강 유닛(100), 승강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2대의 크레인 유닛(200)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crane of this embodiment i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Document 2, and includes a lifting unit 100 attached to the tower 1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configured to be vertically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tower, and two crane unit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unit. It consists of (200).

이러한 구성에 따라, 예컨대 크레인 유닛(200)을 탑재한 상태로 승강 유닛(100)이 타워(1)를 따라 상승한 후에 작업 위치에 도달하면, 크레인 유닛(200)이 인양 후크(201)로 지상에 놓인 타워 유닛, 나셀 또는 블레이드 등의 풍력 발전 시스템의 요소를 인양한다. 다른 방안으로서, 인양 후크(201)에 문헌 1에서 개시하는 것과 같은 리프팅 유닛을 설치하여 리프팅 유닛에 의해 시스템의 요소를 설치 장소까지 인양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for example, when the lifting unit 100 ascends along the tower 1 with the crane unit 200 mounted and reaches the working position, the crane unit 200 is placed on the ground with the lifting hook 201. Lifting elements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such as placed tower units, nacelles or blades. As another method, a lifting unit such as that disclosed in Document 1 is installed on the lifting hook 201, and the elements of the system are lifted to the installation site by the lifting unit.

승강 유닛(100)은, 타워(1)를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타워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 지지되는 상태와 타워에 대해 승하강 가능한 상태에서 가변되는 상부 프레임(110), 제1 및 제2 중간 프레임(130, 140) 및 하부 프레임(120)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순차로 마련되고 있다.The lifting unit 10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tower 1 and includes an upper frame 110,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frames that are variable in a state fixed and supported at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tower and a state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with respect to the tower. (130, 140) and the lower frame 120 are provided sequentially from top to bottom.

상부 프레임(110), 제1 및 제2 중간 프레임(130, 140) 및 하부 프레임(120)은 모두 타워(1)가 연장되는 수직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연장되는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고 내측 중심에는 타워(1)가 관통하는 홀(111, 121, 131, 141)이 형성되어 타워(1)를 둘러싸게 되어 있다.The upper frame 110,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frames 130 and 140, and the lower frame 120 all form a rectangular shape extending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in which the tower 1 extends, and have an inner center Holes 111, 121, 131, and 141 through which the tower 1 passes are formed to surround the tower 1.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및 제2 중간 프레임(130, 140)을 관통하는 포스트(160)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함께 승강하고, 제1 및 제2 중간 프레임(130, 140)도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포스트(170)에 의해 고정되어 함께 승강하며, 상부 프레임(110)과 제1 중간 프레임(130) 사이에는 승강용 유압 실린더(150)가 마련되어 있다.The upper frame 110 and the lower frame 120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re fixed to each other by a post 160 penetrating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frames 130 and 140 and are raised and lowered together. The intermediate frames 130 and 140 are also fixed by posts 17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lifted together, and a hydraulic cylinder 150 for lifting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frame 110 and the first intermediate frame 130. .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하부 프레임(110, 120)가 타워(1)에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승강용 유압 실린더(150)가 신축됨으로써 제1 및 제2 중간 프레임(130, 140)이 타워(1)를 따라 승하강하고, 제1 및 제2 중간 프레임(130, 140)가 타워(1)에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승강용 유압 실린더(150)가 신축됨으로써 상하부 중간 프레임(110, 120)이 타워(1)를 따라 승하강한다. 이러한 동작의 반복에 의해 승강 유닛(100)이 타워를 따라 승하강하여 크레인 전체가 승하강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lifting hydraulic cylinder 150 is expanded and contracted while the upper and lower frames 110 and 120 are fixed and supported on the tower 1,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frames 130 and 140 are connected to the tower 1. It goes up and down along, and while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frames 130 and 140 are fixed and supported on the tower 1, the hydraulic cylinder 150 for lifting and lowering expands and contracts, so that the upper and lower intermediate frames 110 and 120 move to the tower 1. ) goes up and down. By repeating these operations, the lifting unit 100 goes up and down along the tower, causing the entire crane to go up and down.

도 3에서는 이 실시예에 따른 승강 프레임 장치의 하나로서 하부 프레임(120)의 평면을 도시하고 있는데, 상부 프레임(110)과 제1 및 제2 중간 프레임(130, 140)도 하부 프레임(120)과 마찬가지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 실시예에 따른 승강 프레임 장치의 하나로서 하부 프레임(120)의 구성과 작용에 대해서만 설명한다.Figure 3 shows a plan view of the lower frame 120 as one of the lifting frame device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upper frame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frames 130 and 140 are also included in the lower frame 120. Likewise, it has the configuration described below. Therefore, hereinafter, only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lower frame 120 as one of the lifting frame device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하부 프레임(120)에는 타워(1)가 관통하여 놓이는 홀(121)을 중심으로 하여 8개의 고정 장치(300)가 배치되어 있다. In the lower frame 120, eight fixing devices 300 are arranged centered on the hole 121 through which the tower 1 is placed.

고정 장치(300)는 서로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고, 타워(1)의 표면과 마주하는 표면에 마찰 패드 기구(310)를 갖추고 이 마찰 패드 기구(310)를 타워 표면에 대하여 밀착시키고 가압하는 구동 기구로서 제1 및 제2 유압 실린더(320, 330)를 갖추고 있다.The fixing devices 3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re provided with a friction pad mechanism 310 on the surface facing the surface of the tower 1, and the friction pad mechanism 3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ower surface. It is equipped with first and second hydraulic cylinders 320 and 330 as a driving mechanism for pressurizing.

하부 프레임(120)에는 8개의 고정 장치(300)의 마찰 패드 기구(310)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와이어(180)가 배치되어 있다. 와이어(180)의 양단은 도시하지 않은 윈치 기구에 의해 당겨져서, 와이어가 마찰 패드 기구(310)를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는 상태로 될 수 있다.A wire 180 is disposed on the lower frame 120 to surround the friction pad mechanisms 310 of the eight fixing devices 300 from the radial outer side. Both ends of the wire 180 may be pulled by a winch mechanism (not shown) so that the wire presses the friction pad mechanism 310 radially inward.

하부 프레임(120)이 타워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는 상태에서 와이어(180)가 당겨짐으로써 마찰 패드 기구(310)는 타워에 압박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1 유압 실린더(320)의 고장이나 누설에도 불구하고 마찰 패드 기구(310)가 타워에 대하여 압박되지 않아 추락하는 일이 방지될 수 있다.By pulling the wire 180 while the lower frame 120 is fixed at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tower, the friction pad mechanism 310 can maintain a state of being pressed against the tower, preventing failure of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320 or Despite leakage, the friction pad mechanism 310 is not pressed against the tower, thereby preventing it from falling.

하부 프레임(120)이 승강할 때에는 와이어(180)에 가해진 인장력이 제거되어 마찰 패드 기구(10)는 와이어에 의해 구속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When the lower frame 120 is raised and lowered,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wire 180 is removed, so that the friction pad mechanism 10 is not restrained by the wire.

하부 프레임(120)은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2개의 제1 및 제2 프레임 부분(10, 20)으로 나누어 마련되고, 도 3에서 'B'로 표시한 2곳의 접합부에서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승강 프레임 장치를 이루고 있다.The lower frame 120 is divided into two first and second frame parts 10 and 20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are joined to each other at two joints indicated as 'B' in FIG. It forms a frame device.

도 4는 이러한 접합부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 및 제2 프레임 부분(10, 20)이 서로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Figure 4 is a plan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such a joint. Figure 4 shows the state before the first and second frame parts 10 and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제1 및 제2 프레임 부분(10, 20)은 접합부(B)에서 각각 3개의 수평 채널(11, 12, 13, 21, 22, 23)이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고, 수평 채널의 단부가 직교 채널(14, 24)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frame parts (10, 20) have three horizontal channels (11, 12, 13, 21, 22, 23) extending in parallel at the joint (B), and the ends of the horizontal channels are orthogonal channels.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diametric direction by (14, 24).

직교 채널(14, 24)에는 수평 채널의 위치에 상응하는 직경 방향 위치에 3개소의 제1 내지 제3 접합부(31,32, 33)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orthogonal channels 14 and 24, three first to third joints 31, 32, and 33 are formed at radial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horizontal channels.

직경 방향 최외측의 제1 접합부(31)와 최내측의 제3 접합부(33)는 서로 같은 방식의 결합 구성을 이루고 있고, 중간의 제2 접합부(32)는 이와 다른 방식의 결합 구성을 갖추고 있다.The radially outermost first joint 31 and the innermost third joint 33 have the same coupling configuration, and the middle second joint 32 has a different coupling configuration. .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직경 방향 최외측의 제1 접합부(31)의 구성을 설명한다. 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radially outermost first joint portion 3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도 5에서 도면 (a)는 제1 및 제2 프레임 부분(10, 20)이 서로 결합되기 전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b)는 제1 및 제2 프레임 부분(10, 20)이 서로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c)는 제1 및 제2 프레임 부분(10, 20)이 서로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In FIG. 5, (a) shows a front view before the first and second frame parts 10 and 20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b) shows the first and second frame parts 10 and 20 combined with each other. shows a front view, and (c) shows a top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 parts 10 and 20 coupled to each other.

제1 접합부(31)에는 반원통형의 홈(151)이 수직 방향으로 가공되어 있는 결합 블록(15, 25)이 용접에 의해 직교 채널(14, 24)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제2 프레임 부분(20)의 직교 채널(24)에는 수직 방향으로 원통형으로 연장되고 상측에 넓은 직경의 헤드(261)를 갖는 정렬핀(26)이 결합 블록(25)의 홈(251)에 삽입되어 용접되어 있다.In the first joint 31, coupling blocks 15 and 25 in which semi-cylindrical grooves 151 are mach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respectively coupled to orthogonal channels 14 and 24 by welding. In the orthogonal channel 24 of the second frame portion 20, an alignment pin 26 extending cylindr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head 261 with a wide diameter on the upper side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51 of the coupling block 25. and welded.

핀(26)의 직경은 결합 블록(15)의 홈(251)의 직경과 동일하여, 핀(26)에서 결합 블록(25)으로부터 돌출된 반원형 단면의 부분이 결합 블록(15)의 홈(251)에 삽입되어 정합된다. The diameter of the pin 26 is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groove 251 of the coupling block 15, so that the portion of the pin 26 with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protruding from the coupling block 25 is the groove 251 of the coupling block 15. ) is inserted into and matched.

이에 따라, 제1 프레임 부분의 결합 블록(15)과 제2 프레임 부분의 결합 블록(25)을 서로 맞대면, 핀(26)의 절반이 홈(151)에 삽입되어 정합되어, 양 결합 블록(15, 25)이 서로 맞물리고, 제1 및 제2 프레임 부분(10, 20)은 수평 방향(X 및 Y 방향)에서 서로 정렬된다.Accordingly, when the coupling block 15 of the first frame portion and the coupling block 25 of the second frame portion face each other, half of the pin 26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51 and matched, so that both coupling blocks 15 , 25)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frame parts 10, 20 are aligned with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Y directions).

핀(26)의 헤드(261)는 양측의 결합 블록(15, 25)의 상면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핀(26)을 결합 블록(25)에 용접에 의해 결합할 때에 핀(26)은 위치를 가이드하게 되고, 결합 블록(15, 25)을 서로 맞물릴 때에 핀의 헤드(261)에 결합 블록(15)의 상면에 맞닿아 결합 블록이 수직 방향(Z)으로 정렬되게 해준다.The head 261 of the pin 26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blocks 15 and 25 on both sides. Therefore, when the pin 26 is coupled to the coupling block 25 by welding, the pin 26 guides the position, and when the coupling blocks 15 and 25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pin 26 is coupled to the head 261 of the pi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15 and ensures that the combined block is al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Z).

제3 접합부(33)의 구성 및 작용은 제1 접합부(31)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hird joint 33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joint 31, so description is omitted.

도 6을 참조하여 제2 접합부(32)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second joint 3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6에서 도면 (a)는 제1 및 제2 프레임 부분(10, 20)이 서로 결합되기 전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b)는 제1 및 제2 프레임 부분(10, 20)이 서로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를 나타낸다.In FIG. 6, (a) shows a front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 parts 10 and 20 before they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rame parts 10 and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Shows the front view of .

제2 접합부(32)에 있어서 직교 채널(14, 24)에는 서로 마주하는 표면에 각각 수평 결합 블록(17, 27)이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In the second joint 32, horizontal coupling blocks 17 and 27 are joined to the orthogonal channels 14 and 24 by welding on surfaces facing each other.

제1 프레임 부분(10)의 수평 결합 블록(17)은 직교 채널(14)의 하부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상단면(171)이 편평하게 가공되어 있다. 제2 프레임 부분(20)의 수평 결합 블록(27)은 직교 채널(24)의 상부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하단면(271)이 편평하게 가공되어 있다. The horizontal coupling block 17 of the first frame portion 1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orthogonal channel 14 by welding, and the upper surface 171 is processed to be flat. The horizontal coupling block 27 of the second frame portion 2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orthogonal channel 24 by welding, and the lower end surface 271 is processed to be flat.

수평 결합 블록(17)의 상단면(171)과 수평 결합 블록(27)의 하단면(271)은 수직 방향(Z 방향)에서 같은 높이의 위치에 마련되어, 수평 결합 블록(27)의 하단면(271)에 수평 결합 블록(17)의 상단면(171)을 놓으면 제1 프레임 부분(10)과 제2 프레임 부분(20)은 서로 같은 수직 방향의 위치에 정렬된다.The upper surface 171 of the horizontal coupling block 17 and the lower surface 271 of the horizontal coupling block 27 are provided at the sam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Z direct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coupling block 27 ( When the upper surface 171 of the horizontal coupling block 17 is placed on 271, the first frame part 10 and the second frame part 20 are aligned at the same vertical position.

직교 채널(14, 24)의 상면에는 각각 핀 블록(18, 28)이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배치되어 있다.Pin blocks 18 and 28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orthogonal channels 14 and 24, respectively, joined by welding.

핀 블록(18, 28)은 제1 및 제2 프레임 부분(10, 20)을 서로 결합하였을 때에 측면이 서로 맞닿아 겹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고, 이들을 관통하는 홀(181, 281)이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중에서 수평 채널(12,22)의 연장 방향(X 방향)으로 위치가 정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pin blocks 18 and 28 are provided in a position where their side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overlap when the first and second frame parts 10 and 20 are joined together, and the holes 181 and 281 passing through them are vertical and horizontal. Among the directions, the positions are alig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rizontal channels 12 and 22 extend (X direction).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프레임 부분(10, 20)을 결합하도록 서로 정렬하여 배치하면, 핀 블록(18, 28)의 홀(181, 281)은 서로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이들에 결합 결합핀(19)를 삽입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and second frame parts 10 and 20 are aligned and arranged with each other to couple them, the holes 181 and 281 of the pin blocks 18 and 28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nd are provided with coupling pins ( 19) can be inserted.

이상의 구성에 따라, 제1 및 제3 접합부(31, 33)에서 결합 블록(15)의 홈(151)에 결합 블록(25)의 핀(26)이 삽입되고, 제2 접합부(32)에서 제1 프레임 부분의 수평 결합 블록(17) 위에 제2 프레임 부분의 수평 결합 블록(27)이 놓이면, 제1 프레임 부분(10)과 제2 프레임 부분(20)은 수직 방향(Z 방향)과 수평 방향(XY 방향)에서 모두 서로 정렬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in 26 of the coupling block 25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51 of the coupling block 15 at the first and third joints 31 and 33, and the pin 26 of the coupling block 25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51 of the coupling block 15 at the first and third joints 31 and 33. When the horizontal coupling block 27 of the second frame part is placed on the horizontal coupling block 17 of the first frame part, the first frame part 10 and the second frame part 20 are al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Z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They are all aligned with each other (in the XY direction).

이에 따라, 핀 블록(18, 28)의 홀(181, 281)이 서로 정렬되어 여기에 핀(26)을 삽입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holes 181 and 281 of the pin blocks 18 and 28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llowing the pin 26 to be inserted there.

핀 블록(18, 28)의 홀(181, 281)에 핀(26)이 삽입되면, 이 핀(26)에 의해 수직 방향(Z 방향) 및 수평 방향(X, Y 방향) 모두에서 제1 프레임 부분(10)과 제2 프레임 부분(20)이 서로 분리될 수 없게 결합된다.When the pins 26 are inserted into the holes 181 and 281 of the pin blocks 18 and 28, the first frame is The portion 10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20 are inseparably coupled to each other.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의 하부 프레임(120)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 부분(10, 20)은 결합 블록들(15, 25)과 수평 결합 블록들(17, 27)을 서로 맞대는 것만으로 제1 및 제2 프레임 부분(10, 20)이 서로 모든 방향으로 정렬되고, 핀 블록(18, 28)의 홀(171, 281)도 정렬되어 이 홀에 결합핀(19)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제1 및 제2 프레임 부분(10, 20)이 서로 결합되어 하부 프레임(120)을 이룬다.As described above, in the lower frame 120 of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frame parts 10 and 20 are formed by simply touching the coupling blocks 15 and 25 and the horizontal coupling blocks 17 and 27 against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frame parts (10, 20) are aligned with each other in all directions, and the holes (171, 281) of the pin blocks (18, 28) are also aligned, so that simply inserting the coupling pin (19) into these holes The first and second frame parts 10 and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lower frame 120.

제1 및 제2 프레임 부분(10, 20)을 타워(1)에 배치한 상태에서 이상의 정렬과 결합 공정이 수행되어 하부 프레임(120)이 타워(1)에 배치된다.With the first and second frame parts 10 and 20 placed on the tower 1, the above alignment and joining process is performed to place the lower frame 120 on the tower 1.

이상으로, 하부 프레임(120)을 이루는 2개의 부분이 정렬되고 결합되는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였지만, 상부 프레임(110)과 제1 및 제2 중간 프레임(130, 140)도 2개의 프레임 부분의 접합부가 하부 프레임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고 정렬되어 결합된다.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wo parts forming the lower frame 120 are aligned and combined have been described, but the upper frame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frames 130 and 140 are also joints of the two frame parts. is constructed, aligned and joined in the same way as the lower frame.

이상으로 이 발명에 따른 자력 승강식 크레인의 승강 프레임 장치의 구성과 작동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한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형 및 구성 요소의 부가가 가능하고, 그러한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지고 및 구성 요소가 부가된 승강 프레임 장치는 이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lifting frame device of the self-elevating crane according to this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variations, and additions of compon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set forth in the claims, and the lifting frame device to which such various modifications, modifications, and components are added is the present invention. falls within the scope of

1: 타워 100: 승강 유닛
110: 상부 프레임 120: 하부 프레임
130: 제1 중간 프레임 140: 제2 중간 프레임
300: 고정 장치 10: 제1 프레임 부분
20: 제2 프레임 부분
1: Tower 100: Elevating unit
110: upper frame 120: lower frame
130: first middle frame 140: second middle frame
300: Fixing device 10: First frame portion
20: Second frame portion

Claims (4)

삭제delete 타워와 타워 상단에 마련되는 풍력 발전 시스템의 설치와 유지 보수를 위한 크레인에서 타워에 배치되어 타워를 따라 상하를 승강하도록 마련되는 승강 유닛을 이루고 타워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타워에 마찰력을 지지되는 고정 상태와 승강을 위한 해제 상태로 가변되는 승강 프레임 장치로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타워를 중심에 두고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프레임을 이루고 서로 결합이 해제되어 타워로부터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프레임 부분을 포함하고,
각각의 프레임 부분은 서로 결합되는 접합부에서 수평으로 서로 맞물리는 제1 결합 요소 및 서로 수직으로 맞물리는 제2 결합 요소를 포함하여, 제1 및 제2 결합 요소의 맞물림에 의해 프레임 부분들이 서로 정렬되며,
각각의 프레임 부분은 제1 및 제2 결합 요소의 정렬에 의해 서로 정렬되는 결합 홀을 갖춘 제3 결합 요소를 더 포함하고, 결합 홀을 관통하는 결합 핀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하나의 프레임 부분의 제1 결합 요소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원형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의 프레임 부분의 제1 결합 요소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원형의 홈을 포함하여, 양자의 프레임 부분의 돌출부와 홈이 맞물려서 2개의 프레임 부분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정렬되는 것인, 승강 프레임 장치.
In a crane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provided on the tower and on top of the tower, it is placed on the tower and forms a lifting unit arranged to go up and down along the tower. It is arranged to surround the tower and is fixed to support frictional force on the tower. A lifting frame device that can be changed into a released state for lifting and lowering,
It includes a plurality of frame parts that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tower at the center to form a single frame, and are uncoupled from each other and separable from the tower,
Each frame portion includes first coupling elements that engage each other horizontally and second coupling elements that engage each other vertically at the joint where they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rame portion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by the enga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elements. ,
Each frame portion further includes a third coupling element having a coupling hole that is aligned with each other by the alignment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elements, and is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pin penetrating the coupling hole,
The first engaging element of one frame part includes a semicircular protrusion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first engaging element of the other frame part includes a semicircular groov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protrusion of both frame parts includes a semicircular groov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lifting frame device in which the two frame part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engaging the and grooves.
청구항 2에 있어서,
하나의 프레임 부분의 제2 결합 요소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 표면을 이루는 정렬면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의 프레임 부분의 제2 결합 요소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측 표면을 이루는 정렬면을 포함하고,
양자의 프레임 부분의 정렬면은 동일한 수직 방향의 위치에 마련되어 하나의 프레임 부분의 정렬면이 다른 하나의 프레임 부분의 정렬면에 놓임으로써 2개의 프레임 부분이 수직 방향으로 서로 정렬되는 것인, 승강 프레임 장치.
In claim 2,
The second coupling element of one frame part includes an alignment surfac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orming an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coupling element of the other frame part includes an alignment surfac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orming a lower surface,
The alignment surfaces of both frame parts are provided at the same vertical position, and the alignment surface of one frame part is placed on the alignment surface of the other frame part, so that the two frame part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Device.
청구항 2에 있어서,
제3 결합 요소는 제1 및 제2 결합 요소의 정렬에 의해 서로 맞닿는 정렬면을 포함하고, 결합홀은 정렬면을 관통하고 프레임 부분이 서로 분리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련되는 것인, 승강 프레임 장치.
In claim 2,
The third coupling element includes an alignment surface that abuts each other by aligning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elements, and the coupling hole passes through the alignment surface and is provi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ame par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Framing device.
KR1020230075662A 2023-01-13 2023-06-13 Elevating Frame Device of Self-Elevating Crane KR10267405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5375 2023-01-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4059B1 true KR102674059B1 (en) 2024-06-11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979B1 (en) * 2019-03-13 2019-10-02 임희용 Anchor Frame for Tower Crane
KR102385993B1 (en) 2020-11-30 2022-04-13 (주)부마씨이 Clamp having elastic-surface and the lifting apparatus using 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979B1 (en) * 2019-03-13 2019-10-02 임희용 Anchor Frame for Tower Crane
KR102385993B1 (en) 2020-11-30 2022-04-13 (주)부마씨이 Clamp having elastic-surface and the lifting apparatus using 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4171B2 (en) Two section mast with self-aligning connections
JP2017155745A (en) Positioning system for industrial machine coupling elements
US10012005B2 (en) Crane system incorporated into a tower
CN107059829B (en) A kind of hydraulic bolt lifting device and self-elevating ocean platform continuously gone up and down
KR102674059B1 (en) Elevating Frame Device of Self-Elevating Crane
KR101547824B1 (en) Furnace scaffolding and hoisting system platform support system
JP3415908B2 (en) Ring segment connection
CN112359975B (en) Installation method for preventing latticed shell from laterally moving
KR20220146782A (en) Self-Elevating Crane Apparatus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Wind Turbine System
CN102046902A (en) Telescopic mast
CN114182828B (en) Built-in fitting for assembled building
CN214577533U (en) Can realize cross chassis of wind-powered electricity generation tower machine of quick installation of diagonal brace
US20170226898A1 (en) Lift device for turbine casing and method to lift the casing
CN109243647B (en) Fixing device for upper in-pile component of reactor
CN215948475U (en) Modular structure connected node
KR102651540B1 (en) Fixing Device of Self-Elevating Crane
CN217535155U (en) Overall hoisting tool for large-scale water turbine seat ring
CN219839374U (en) Connection support suitable for wind-powered electricity generation overhauls hoist
KR101171714B1 (en) Integrated tower with a crane for wind power generato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wind power generator using thereof
CN113428776B (en) Crane beam
CN218860148U (en) Special holding pole and lifting system for hoisting shaft of Yangtze river large-span tower
CN219567378U (en) Foldable tower crane standard knot
CN214141194U (en) Height-limiting space component hoisting device
CN219822039U (en) Adjustable steel reinforcement cage transportation deformation preventing device
CN213950309U (en) Eight-claw special lifting appliance for hydropower station stator maintenance plat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