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3510B1 - Rail system - Google Patents

Rai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3510B1
KR102673510B1 KR1020220048051A KR20220048051A KR102673510B1 KR 102673510 B1 KR102673510 B1 KR 102673510B1 KR 1020220048051 A KR1020220048051 A KR 1020220048051A KR 20220048051 A KR20220048051 A KR 20220048051A KR 102673510 B1 KR102673510 B1 KR 102673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ams
frame
pedestal
position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0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48984A (en
Inventor
이승건
Original Assignee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8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3510B1/en
Publication of KR20230148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9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5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08Tracks for mono-rails with centre of gravity of vehicle above the load-bearing rail
    • E01B25/10Mono-rails; Auxiliary balancing rails; Supports or connections for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1/00Rail joints
    • E01B11/02Dismountable rail joints
    • E01B11/04Flat fish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1/00Rail joints
    • E01B11/02Dismountable rail joints
    • E01B11/36Fastening means for fish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4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bolting, nailing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시스템은, 각각의 끝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H빔; 상기 복수의 H빔을 떠받치되, 이웃하는 두 개의 H빔 각각의 끝단이 놓이는 복수의 받침 프레임; 상기 각 H빔의 일단에 상기 각 H빔의 일단보다 돌출되지 않게 배치되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 및 상기 각 H빔의 타단에 상기 각 H빔의 타단보다 돌출되지 않게 배치되는 제 2 위치 결정 블록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두 개의 H빔은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상기 제 1 위치 결정 블록과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상기 제 2 위치 결정 블록이 서로 마주하도록 각각의 끝단이 상기 받침 프레임 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ai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H beams arranged in sequence so that each end faces each other;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supporting the plurality of H-beams and on which ends of each of two neighboring H-beams are placed; a first positioning block disposed at one end of each H-beam so as not to protrude beyond one end of each H-beam; And a second positioning block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each H-beam so as not to protrude more than the other end of each H-beam, and one of the two neighboring H-beams is different from the first positioning block provided on one of the H-beams. The second positioning blocks provided in are characterized in that each end is placed on the support frame so that they face each other.

Description

레일 시스템{RAIL SYSTEM}Rail system {RAIL SYSTEM}

본 발명은 레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H빔이 일렬로 연결되어 이동체가 주행할 수 있는 선로를 제공할 수 있는 레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rail system in which H-beams are connected in line to provide a track on which a moving object can run.

물류라는 용어는 물적 유통(physical distribution)의 줄임말로서,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제품, 재화를 효과적으로 옮겨주는 기능 또는 활동의 총칭이다. 일반적으로 물류는 포장, 하역, 수송, 보관 및 정보와 같은 여러 활동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제품이나 재화를 수송하는 데에는 포장, 보관, 집하/적재, 수송, 하역/배달, 보관 등의 여러 과정을 거치게 된다. 어떠한 수송수단을 이용하든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는 제품, 재화의 이동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동의 전체를 종합적으로 보는 것이 물적 유통인 것이다.The term logistics is an abbreviation for physical distribution and is a general term for the function or activity of effectively moving products and goods from producers to consumers. Logistics generally refers to several activities such as packaging, unloading, transportation, storage and information. Typically, transporting products or goods goes through several processes such as packaging, storage, collection/loading, transportation, unloading/delivery, and storage. No matter what means of transportation is used, it is impossible to move products and goods without going through this process. Physical distribution is a comprehensive view of the entire movement.

근래 들어, 대량 생산, 대량 판매, 대량 소비가 시대의 추세가 되었으며, 그 사이를 잇는 물자의 흐름을 효율화할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에 물류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또한 물류 기업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다.In recent years, mass production, mass sales, and mass consumption have become the trends of the times, and the importance of logistics is gradually increasing as the need to streamline the flow of materials between them has increased. Additionally, the growth of logistics companies is remarkable.

물류 기업들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대형 물류 창고에 무인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고, 인력으로 작업하기 힘든 곳에 로봇을 확대 사용함으로써 인건비 절약 및 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고 있다. 자동화된 물류 창고에서는 스태커 크레인, 셔틀, 리프트, 박스 픽커, 갠트리 로봇 등의 자동화 설비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To increase competitiveness, logistics companies are introducing unmanned automation systems to large logistics warehouses and expanding the use of robots in places where it is difficult to work with humans, thereby saving labor costs and increasing work efficiency and productivity. In automated logistics warehouses, automated equipment such as stacker cranes, shuttles, lifts, box pickers, and gantry robots are mainly used.

물류 산업에 이용되는 갠트리 로봇은 선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다양한 물품을 픽업하여 운반할 수 있다. 갠트리 로봇은 비교적 큰 작업 영역에서의 작업에 적합하고, 건물의 천장 부근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물류 창고 이외에, 각종 자동화 공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Gantry robots used in the logistics industry are installed to move along tracks and can pick up and transport various items. Gantry robots are suitable for work in relatively large work areas and can utilize the space near the ceiling of a building to the maximum, so they ar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logistics warehouses and various automated factories.

갠트리 로봇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서는 갠트리 로봇이 주행할 수 있는 선로를 제공하기 위한 레일 시스템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갠트리 로봇의 주행을 위한 레일 시스템은 H빔이 차례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For the smooth operation of a gantry robot, a rail system is needed to provide a track on which the gantry robot can travel. Generally, the rail system for running a gantry robot consists of H-beams connected in sequence.

그런데 레일 시스템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H빔의 가공 오차나 조립 오차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H빔을 각각의 끝단이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연결하는 작업에 어려움이 따른다. 인접하는 H빔들이 어긋나게 연결된 레일 시스템은 갠트리 로봇의 주행 안정성을 크게 떨어트리게 된다.However,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rail system, it is difficult to connect two H-beams placed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ir ends exactly match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processing errors or assembly errors of the H-beams. A rail system in which adjacent H-beams are connected misaligned greatly reduces the running stability of the gantry robot.

따라서 레일 시스템의 시공 시 인접하는 H빔들을 각각의 끝단이 일치되도록 연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Therefore, when constructing a rail system, it is very important to connect adjacent H-beams so that each end matches.

공개특허공보 제2009-0105184호 (2009. 10. 07)Public Patent Publication No. 2009-0105184 (2009. 10. 07)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공 시 인접하는 H빔들 각각의 끝단을 일치시켜 연결하기가 용이한 레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point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rail system that is easy to connect by matching the ends of each adjacent H-beam during construc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시스템은, 각각의 끝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H빔; 상기 복수의 H빔을 떠받치되, 이웃하는 두 개의 H빔 각각의 끝단이 놓이는 복수의 받침 프레임; 상기 각 H빔의 일단에 상기 각 H빔의 일단보다 돌출되지 않게 배치되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 및 상기 각 H빔의 타단에 상기 각 H빔의 타단보다 돌출되지 않게 배치되는 제 2 위치 결정 블록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두 개의 H빔은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상기 제 1 위치 결정 블록과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상기 제 2 위치 결정 블록이 서로 마주하도록 각각의 끝단이 상기 받침 프레임 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ai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includes a plurality of H beams arranged in sequence so that each end faces each other;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supporting the plurality of H-beams and on which ends of each of two neighboring H-beams are placed; a first positioning block disposed at one end of each H-beam so as not to protrude beyond one end of each H-beam; And a second positioning block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each H-beam so as not to protrude beyond the other end of each H-beam, and one of the two neighboring H-beams is different from the first positioning block provided on one of the H-beams. The second positioning blocks provided in are characterized in that each end is placed on the support frame so that they face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시스템은, 상기 받침 프레임 상에서 상호 마주하는 상기 제 1 위치 결정 블록의 제 1 삽입 홀과 상기 제 2 위치 결정 블록의 제 2 삽입 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H빔을 연결하는 고정 핀을 포함할 수 있다.The rai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ert two neighboring H beams in such a way that they are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of the first positioning block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of the second positioning block facing each other on the support frame. It may include a connecting fixing pin.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시스템은, 이웃하는 두 개의 H빔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고정 핀이 삽입되는 관통 홀을 갖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rai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nect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wo neighboring H-beams and having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fixing pin is inserted.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시스템은, 상기 각 H빔의 일단에 구비되고, 제 1 슬릿을 갖는 제 1 받침대; 상기 각 H빔의 타단에 구비되고, 제 2 슬릿을 갖는 제 2 받침대; 및 상기 제 1 슬릿과 마주하도록 상기 받침 프레임에 구비되는 제 1 프레임 홀 및 상기 제 1 슬릿에 삽입되는 제 1 고정 스터드와, 상기 제 2 슬릿과 마주하도록 상기 받침 프레임에 구비되는 제 2 프레임 홀 및 상기 제 2 슬릿에 삽입되는 제 2 고정 스터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받침대 및 상기 제 2 받침대를 상기 받침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슬릿과 상기 제 1 프레임 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H빔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슬릿과 상기 제 2 프레임 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H빔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rai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provided at one end of each H-beam and having a first slit; a second pedestal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each H-beam and having a second slit; and a first frame hole provided in the support frame to face the first slit and a first fixing stud inserted into the first slit, and a second frame hole provided in the support frame to face the second slit, and It has a second fixing stud inserted into the second slit, and includes a fixing mechanism for fixing the first pedestal and the second pedestal to the pedestal frame,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slit and the first frame hole. One extend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beam,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slit and the second frame hole may exten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beam.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시스템은, 상기 받침 프레임의 제 1 받침부에 접하도록 상기 각 H빔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 1 받침대; 및 상기 받침 프레임의 제 2 받침부에 접하도록 상기 각 H빔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 2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받침대는 상기 H빔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받침 프레임 쪽으로 돌출되는 바닥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받침부에는 상기 제 1 받침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 홈과, 상기 바닥 돌출부를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홈 속에 배치되는 복수의 받침면이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받침면은 상기 바닥 돌출부를 각기 다른 높이로 떠받칠 수 있도록 계단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rai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provided at one end of each H beam so as to contact the first support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nd a second pedestal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each H-beam so as to contact the second pedestal of the support frame, wherein the first pedestal includes a base portion fixed to the H-beam, and the support frame at the base portion. It includes a bottom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bottom, wherein the first support portion includes a frame groove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a plurality of support surfaces disposed in the frame groove to support the bottom protrusion. Provided, the plurality of support surfaces may be arranged in steps to support the floor protrusions at different heights.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시스템은, 상기 베이스부를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홈 속에 삽입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rai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inserted into the frame groove to support the base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시스템은 H빔에 구비되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과 제 2 위치 결정 블록으로 인해 시공 시 H빔들을 각각의 끝단이 일치되도록 연결하는 작업이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시공 시간이 단축되고, 시공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rai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nd smoothly connect the H-beams so that their respective ends coincide during construction due to the first positioning block and the second positioning block provided on the H-beam.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onstruction time can be shortened and construction costs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의 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레일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3은 도 5에 나타낸 레일 시스템의 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rai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a rai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rai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rai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front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rail system shown in FIG. 5.
Figures 7 to 13 are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rail system shown in Figure 5.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ai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의 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rai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o expla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rail system according to.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100)은 차례로 연결되는 복수의 H빔(110)과, 복수의 H빔(110)을 떠받치기 위한 복수의 받침 프레임(130)과, 각각의 H빔(110)에 구비되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 및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과, H빔(110)을 받침 프레임(130)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기구(150)와,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을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 핀(1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100)은 갠트리 로봇 등의 이동체가 주행할 수 있는 선로를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rail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H beams 110 connected in sequence, and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130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H beams 110. And, a first positioning block 140 and a second positioning block 145 provided in each H-beam 110, and a plurality of fixing mechanisms for fixing the H-beam 110 to the support frame 130 It includes (150) and a plurality of fixing pins (160) for connecting two neighboring H-beams (110). The rail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track on which a moving object such as a gantry robot can travel.

복수의 H빔(110)은 각각의 끝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차례로 배치되어 이동체를 가이드할 수 있다. 각각의 H빔(110)은 서로 마주하도록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하부 빔(111) 및 상부 빔(112)과, 하부 빔(111)과 상부 빔(112)을 연결하는 빔 연결부(113)를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H beams 110 may be arranged in sequence so that their respective ends face each other to guide the moving object. Each H-beam 110 includes a lower beam 111 and an upper beam 112 arranged vertically to face each other, and a beam connection portion 113 connecting the lower beam 111 and the upper beam 112. do.

H빔(110)의 양쪽 끝단에는 제 1 받침대(120) 및 제 2 받침대(125)가 각각 구비된다. 제 1 받침대(120)는 H빔(110)의 일단에 고정되고, 제 2 받침대(125)는 H빔(110)의 타단에 고정된다. 제 1 받침대(120)에는 제 1 슬릿(121)이 제 1 받침대(12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 2 받침대(125)에는 제 2 슬릿(126)이 제 2 받침대(125)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제 1 슬릿(121)과 제 2 슬릿(126)은 H빔(11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A first pedestal 120 and a second pedestal 125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 beam 110, respectively. The first pedestal 120 is fixed to one end of the H-beam 110, and the second pedestal 125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H-beam 110. A first slit 121 is formed in the first pedestal 120 to penetrate the first pedestal 120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second slit 126 is formed in the second pedestal 125 to penetrate the second pedestal 125. It is formed to penetrat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first slit 121 and the second slit 126 ar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beam 110.

받침 프레임(130)은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 각각의 끝단을 떠받친다. 받침 프레임(130)에는 제 1 슬릿(121)에 대응하는 제 1 프레임 홀(131)과, 제 2 슬릿(126)에 대응하는 제 2 프레임 홀(132)이 형성된다.The support frame 130 supports the ends of each of the two neighboring H-beams 110. A first frame hole 131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it 121 and a second frame hole 13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lit 126 are formed in the support frame 130.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은 H빔(110)의 일단에 배치된다.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에는 고정 핀(160)이 삽입되는 제 1 삽입 홀(141)이 형성된다.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은 H빔(110)의 일단보다 돌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의 끝단은 H빔(110)의 끝단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 중 하나 이상의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은 하부 빔(111)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다른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은 상부 빔(11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빔(111)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은 하부 빔(111) 및 빔 연결부(113)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빔(112)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은 상부 빔(112) 및 빔 연결부(113)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은 용접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H빔(1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positioning block 14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H beam (110). A first insertion hole 141 into which the fixing pin 16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first positioning block 140. The first positioning block 140 does not protrude beyond one end of the H beam 110. For example, as shown, the end of the first positioning block 140 may be placed on the same virtual plane as the end of the H-beam 110. A plurality of first positioning blocks 140 may be provided. One or more first positioning blocks 140 of the plurality of first positioning blocks 140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beam 111 and other first positioning blocks 140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beam 112. can be placed. The first positioning block 140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beam 111 may be fixed to the lower beam 111 and the beam connection portion 113. And the first positioning block 140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beam 112 may be fixed to the upper beam 112 and the beam connection portion 113. The first positioning block 140 may be fixed to the H beam 110 by various methods such as welding.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은 H빔(110)의 타단에 배치된다.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에는 고정 핀(160)이 삽입되는 제 2 삽입 홀(146)이 형성된다.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은 H빔(110)의 타단보다 돌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의 끝단은 H빔(110)의 끝단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 중 하나 이상의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은 하부 빔(111)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다른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은 상부 빔(11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빔(111)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은 하부 빔(111) 및 빔 연결부(113)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빔(112)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은 상부 빔(112) 및 빔 연결부(113)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은 용접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H빔(1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second positioning block 145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H beam (110). A second insertion hole 146 into which the fixing pin 16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econd positioning block 145. The second positioning block 145 does not protrude beyond the other end of the H beam 110. For example, as shown, the end of the second positioning block 145 may be placed on the same virtual plane as the end of the H-beam 110. A plurality of second positioning blocks 145 may be provided.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positioning blocks 145, at least one second positioning block 145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beam 111 and the other second positioning blocks 145 are adjacent to the upper beam 112. can be placed. The second positioning block 145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beam 111 may be fixed to the lower beam 111 and the beam connection portion 113. And the second positioning block 145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beam 112 may be fixed to the upper beam 112 and the beam connecting portion 113. The second positioning block 145 may be fixed to the H beam 110 by various methods such as welding.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이나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의 개수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 및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이 중앙 부분이 비어 있는 중공형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들 위치 결정 블록(140)(145)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The number or location of the first positioning block 140 or the second positioning block 145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lso, in the drawing, the first positioning block 140 and the second positioning block 145 are shown as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central portion, but the shapes of these positioning blocks 140 and 145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고정기구(150)는 제 1 받침대(120) 및 제 2 받침대(125)를 받침 프레임(130)에 고정한다. 고정기구(150)는 제 1 받침대(120)를 받침 프레임(130)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 1 고정 스터드(151) 및 복수의 제 1 체결부재(152)와, 제 2 받침대(125)를 받침 프레임(130)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 2 고정 스터드(154) 및 복수의 제 2 체결부재(155)를 포함한다. 제 1 고정 스터드(151) 및 제 2 고정 스터드(154)는 볼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 1 체결부재(152) 및 제 2 체결부재(155)는 각각의 고정 스터드(151)(154)와 결합되는 너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고정 스터드(151)는 제 1 받침대(120)의 제 1 슬릿(121) 및 받침 프레임(130)의 제 1 프레임 홀(131)에 삽입되고, 제 2 고정 스터드(154)는 제 2 받침대(125)의 제 2 슬릿(126) 및 받침 프레임(130)의 제 2 프레임 홀(132)에 삽입된다. 제 1 고정 스터드(151)가 제 1 슬릿(121) 및 제 1 프레임 홀(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고정 스터드(151)에 제 1 체결부재(152)가 결합됨으로써 제 1 받침대(120)가 받침 프레임(13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고정 스터드(154)가 제 2 슬릿(126) 및 제 2 프레임 홀(1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2 고정 스터드(154)에 제 2 체결부재(155)가 결합됨으로써 제 2 받침대(125)가 받침 프레임(13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The fixing mechanism 150 fixes the first pedestal 120 and the second pedestal 125 to the pedestal frame 130. The fixing mechanism 15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fixing studs 151 and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members 152 for fixing the first pedestal 120 to the support frame 130, and a second pedestal 125. It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studs 154 and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members 155 for fixing to the support frame 130. The first fixing stud 151 and the second fixing stud 154 are in the form of bolts, and the first fastening member 152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155 are coupled to the respective fixing studs 151 and 154. It can be made in the form of a nut. The first fixing stud 151 is inserted into the first slit 121 of the first pedestal 120 and the first frame hole 131 of the support frame 130, and the second fixing stud 154 is inserted into the first slit 121 of the first pedestal 120. I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lit 126 of (125) and the second frame hole 132 of the support frame 130. With the first fixing stud 151 inserted into the first slit 121 and the first frame hole 131, the first fastening member 152 is coupled to the first fixing stud 151, thereby forming the first pedestal 120. ) can be firmly fixed to the support frame 130. And with the second fixing stud 154 inserted into the second slit 126 and the second frame hole 132, the second fastening member 155 is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stud 154 to form a second pedestal ( 125) can be firmly fixed to the support frame 130.

고정기구(150)는 도시된 것과 같은 볼트 형태의 고정 스터드(151)(154)와, 고정 스터드(151)(154)에 결합되는 너트 형태의 체결부재(152)(155)를 포함하는 구성 이외에, 받침대(120)(125)를 받침 프레임(130)에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The fixing mechanism 150 includes fixing studs 151 and 154 in the form of bolts as shown, and fastening members 152 and 155 in the form of nuts coupled to the fixing studs 151 and 154. , the pedestals 120 and 125 can be changed to various other configurations that can be fixed to the pedestal frame 130.

고정 핀(160)은 받침 프레임(130) 상에서 상호 마주하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과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에 각각 결합되는 방식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을 연결할 수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이 받침 프레임(130) 상에 마주하도록 놓일 때 어느 한 H빔(110)의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과 다른 H빔(110)의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이 마주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 핀(160)이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의 제 1 삽입 홀(141)과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의 제 2 삽입 홀(146)에 삽입됨으로써 H빔(110)을 연결할 수 있다.The fixing pin 160 can connect two neighboring H-beams 110 by being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positioning block 140 and the second positioning block 145 facing each other on the support frame 130. there is. That is, as shown in FIG. 3, when two neighboring H beams 110 are placed facing each other on the support frame 130, the first positioning block 140 of one H beam 110 and the other H beam ( The second positioning block 145 of 110 is faced. In this state, the fixing pin 16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141 of the first positioning block 140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146 of the second positioning block 145, thereby forming the H beam 110. can be connected.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100)은 H빔(110)의 양쪽 끝단에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 및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이 배치됨으로써 시공 시 인접하는 H빔들(110) 각각의 끝단을 일치시켜 연결하기가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the rail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positioning block 140 and a second positioning block 145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H beam 110, so that it can be constructed. It is easy to connect the adjacent H-beams 110 by matching their ends.

예를 들어, 레일 시스템(100)의 시공 시 작업자는 한 H빔(110)의 끝단을 받침 프레임(130) 위에 올려놓고 고정기구(150)를 이용하여 H빔(110)을 받침 프레임(130)에 가고정한 후, 다른 H빔(110)의 끝단을 받침 프레임(130)에 가고정된 H빔(110)의 끝단과 마주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작업자는 한 H빔(110)의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과 다른 H빔(110)의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을 이용함으로써 H빔들(110) 각각의 끝단을 받침 프레임(130) 상에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받침 프레임(130) 상에서 한 H빔(110)의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과 다른 H빔(110)의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을 상호 마주하게 함으로써 받침 프레임(130) 상에서 두 개의 H빔(110) 각각의 끝단을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constructing the rail system 100, the worker places the end of one H beam 110 on the support frame 130 and uses the fixing device 150 to attach the H beam 110 to the support frame 130. After being temporarily fixed, the end of the other H beam 110 can be placed to face the end of the H beam 110 temporarily fixed to the support frame 130. In this process, the worker uses the first positioning block 140 of one H-beam 110 and the second positioning block 145 of the other H-beam 110 to attach the ends of each of the H-beams 110 to the support frame. (130) can be accurately matched. That is, the worker positions the first positioning block 140 of one H-beam 110 and the second positioning block 145 of the other H-beam 110 to face each other on the support frame 130, thereby positioning the support frame 130. On the image, the ends of each of the two H beams 110 can be accurately aligned.

이후, 작업자는 고정 핀(160)을 제 1 삽입 홀(141) 및 제 2 삽입 홀(146)에 삽입하여 두 개의 H빔(110)을 연결하고, 고정기구(150)를 이용하여 연결된 두 개의 H빔(110)을 받침 프레임(13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작업자가 제 1 고정 스터드(151) 및 제 1 체결부재(152)로 H빔(110)을 받침 프레임(130)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제 1 고정 스터드(151)는 제 1 슬릿(121) 속에서 그 위치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어 제 1 받침대(120)가 구비된 H빔(110)의 끝단은 받침 프레임(130) 상에서 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제 2 고정 스터드(154) 및 제 2 체결부재(155)로 H빔(110)을 받침 프레임(130)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제 2 고정 스터드(154)는 제 2 슬릿(126) 속에서 그 위치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어 제 2 받침대(125)가 구비된 H빔(110)의 끝단은 받침 프레임(130) 상에서 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Afterwards, the worker connects the two H-beams 110 by inserting the fixing pin 160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141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146, and connects the two H-beams 110 using the fixing mechanism 150. The H beam 110 can be firmly fixed to the support frame 130. In the process of the worker fixing the H beam 110 to the support frame 130 with the first fixing stud 151 and the first fastening member 152, the first fixing stud 151 is fixed in the first slit 121. Since the position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H beam 110 equipped with the first support 120 can be adjusted on the support frame 130. Likewise, in the process of the worker fixing the H beam 110 to the support frame 130 with the second fixing stud 154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155, the second fixing stud 154 is connected to the second slit 126.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H beam 110 equipped with the second support 125 can be adjusted so that its position can be adjusted on the support frame 130.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100)은 H빔(110)에 구비되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과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으로 인해 시공 시 H빔들(110)을 각각의 끝단이 일치되도록 연결하는 작업이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ail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H beams during construction due to the first positioning block 140 and the second positioning block 145 provided on the H beam 110. Connecting (110) so that each end matches, can be done easily and smoothly.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Meanwhile,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rai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나타낸 레일 시스템(200)은 앞서 설명한 레일 시스템(100)과 비교하여 H빔(110)에 구비되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210)과 제 2 위치 결정 블록(215)이 변형된 것이다. H빔(110)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210)은 삽입 홀(211)을 갖는다. 그리고 H빔(110)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 2 위치 결정 블록(215)은 제 1 위치 결정 블록(210)의 삽입 홀(2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H빔(110)의 끝단에서 H빔(11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 핀(216)을 포함한다.The rail system 200 shown in FIG. 4 is a modified version of the first positioning block 210 and the second positioning block 215 provided on the H-beam 110 compared to the rail system 100 described above. The first positioning block 210 provided at one end of the H beam 110 has an insertion hole 211. And the second positioning block 215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H beam 110 is an H beam ( It includes a fixing pin 216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110).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200)은 받침 프레임(130) 상에서 제 2 위치 결정 블록(215)의 고정 핀(216)이 제 1 위치 결정 블록(210)의 삽입 홀(21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이 각각의 끝단이 일치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rail system 2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method in which the fixing pin 216 of the second positioning block 215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11 of the first positioning block 210 on the support frame 130. Two neighboring H-beams 110 can be connected so that their respective ends coincide.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레일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 내지 도 13은 도 5에 나타낸 레일 시스템의 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Meanwhile,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rai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ploded front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rail system shown in FIG. 5, and FIGS. 7 to 13 is to expla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rail system shown in Figure 5.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300)은 차례로 연결되는 복수의 H빔(110)과, H빔(110)을 떠받치기 위한 받침 프레임(320)과, H빔(110)을 받침 프레임(32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구(150)와,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을 연결하기 위한 고정 핀(160)과,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연결부재(3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고정기구(150) 및 고정 핀(160)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다.The rail system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H beams 110 connected in sequence, a support frame 320 for supporting the H beams 110, and a support frame 320 for supporting the H beams 110. A fixing mechanism 150 for fixing to the frame 320, a fixing pin 160 for connecting two neighboring H-beams 110, and a device that can be interposed between the two neighboring H-beams 110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330. Here, the fixing mechanism 150 and the fixing pin 16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H빔(110)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것으로, H빔(110)에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 및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이 구비된다. 또한 H빔(110)의 양쪽 끝단에는 제 1 받침대(310) 및 제 2 받침대(315)가 각각 구비된다. 제 1 받침대(310)는 H빔(110)의 일단에 고정되고, 제 2 받침대(315)는 H빔(110)의 타단에 고정된다. 제 1 받침대(310)는 H빔(110)에 고정되는 베이스부(311)와, 베이스부(311)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바닥 돌출부(313)를 포함한다. 베이스부(311)에는 제 1 고정 스터드(151)가 삽입될 수 있는 제 1 슬릿(312)이 구비된다. 제 1 슬릿(312)은 H빔(11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 1 받침대(310)는 받침 프레임(320) 쪽으로 돌출되는 바닥 돌출부(313)가 받침 프레임(320)에 접함으로써 받침 프레임(320)에 의해 떠받쳐질 수 있다. 제 2 받침대(315)에는 제 2 고정 스터드(154)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 슬릿(316)이 구비된다.The H beam 110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the H beam 110 is provided with a first positioning block 140 and a second positioning block 145. Additionally, a first pedestal 310 and a second pedestal 315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beam 110, respectively. The first pedestal 310 is fixed to one end of the H-beam 110, and the second pedestal 315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H-beam 110. The first pedestal 310 includes a base portion 311 fixed to the H-beam 110 and a bottom protrusion 313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ortion 311. The base portion 311 is provided with a first slit 312 into which the first fixing stud 151 can be inserted. The first slit 312 is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beam 110. The first stand 310 can be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320 by having a bottom protrusion 313 that protrudes toward the support frame 320 contacting the support frame 320 . The second pedestal 315 is provided with a second slit 316 into which the second fixing stud 154 can be inserted.

받침 프레임(320)은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 중 어느 한 H빔(110)의 끝단을 떠받치기 위한 제 1 받침부(321)와, 다른 H빔(110)의 끝단을 떠받치기 위한 제 2 받침부(326)를 포함한다. 제 1 받침부(321)에는 제 1 고정 스터드(151)가 삽입될 수 있는 제 1 프레임 홀(322a)(322b)(322c)이 형성되고, 제 2 받침부(326)에는 제 2 고정 스터드(154)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 프레임 홀(327)이 형성된다.The support frame 320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321 for supporting the end of one H beam 110 among the two neighboring H beams 110, and a first support part 321 for supporting the end of the other H beam 110. It includes a second support portion 326. The first support portion 321 is formed with first frame holes 322a, 322b, and 322c into which the first fixing stud 151 can be inserted,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6 is provided with a second fixing stud ( A second frame hole 327 into which 154) can be inserted is formed.

또한 제 1 받침부(321)에는 제 1 받침대(310)를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 홈(323)이 마련된다. 프레임 홈(323) 속에는 제 1 받침대(310)의 바닥 돌출부(313)를 떠받칠 수 있는 복수의 받침면(324a)(324b)(324c)이 구비된다. 복수의 받침면(324a)(324b)(324c)은 바닥 돌출부(313)를 각기 다른 높이로 떠받칠 수 있도록 계단식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2 받침부(326) 쪽에 가장 가까운 제 1 받침면(324a)은 가장 높게 위치하여 바닥 돌출부(313)를 가장 높게 떠받칠 수 있다. 제 1 받침면(324a)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 2 받침면(324b)은 제 1 받침면(324a)보다 낮게 배치되어 바닥 돌출부(313)를 제 1 받침면(324a)보다 낮게 떠받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받침면(324b)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 3 받침면(324c)은 제 2 받침면(324b)보다 낮게 배치되어 바닥 돌출부(313)를 제 2 받침면(324b)보다 낮게 떠받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support portion 321 is provided with a frame groove 323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first support 310. A plurality of support surfaces 324a, 324b, and 324c capable of supporting the bottom protrusion 313 of the first pedestal 310 are provided in the frame groove 323. A plurality of support surfaces 324a, 324b, and 324c are arranged in steps to support the floor protrusion 313 at different heights. Specifically, the first support surface 324a closest to the second support part 326 is positioned highest and can support the bottom protrusion 313 at the highest level. The second support surface 324b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upport surface 324a is disposed lower than the first support surface 324a and can support the floor protrusion 313 lower than the first support surface 324a. . And the third support surface 324c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support surface 324b is disposed lower than the second support surface 324b to support the floor protrusion 313 lower than the second support surface 324b. there is.

제 1 받침부(321)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 1 프레임 홀(322a)(322b)(322c)은 각각의 한쪽 끝단이 프레임 홈(323) 속에 위치한다. 또한 복수의 제 1 프레임 홀(322a)(322b)(322c)은 제 2 받침부(326)로부터의 거리가 각기 다르게 이격 배치된다.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frame holes 322a, 322b, and 322c provided in the first support portion 321 is located in the frame groove 323.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first frame holes 322a, 322b, and 322c ar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6 at different distances.

H빔(110)이나 받침대(310)(315)의 가공 오차, 또는 H빔(110)과 받침대(310)(315)의 조립 오차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받침 프레임(320)에 놓이는 두 H빔(110)의 높이가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300)은 시공 과정에서 두 H빔(110)의 높이가 일치될 수 있도록 어느 한 H빔(110)에 구비되는 바닥 돌출부(313)가 복수의 받침면(324a)(324b)(324c) 중 적절한 것 위에 놓일 수 있다.Two H beams ( 110) may have different heights. In the rail system 3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bottom protrusion 313 provided on one H-beam 110 has a plurality of support surfaces 324a so that the heights of the two H-beams 110 can match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It may be placed on the appropriate one of (324b) (324c).

연결부재(330)는 받침 프레임(320) 상에서 서로 이웃하는 두 H빔(110) 사이에 개재되어 두 H빔(110)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두 H빔(110)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330)는 H빔(110)의 하부 빔(111)에 대응하는 형상의 하부 연결부(331)와, 상부 빔(112)에 대응하는 형상의 상부 연결부(332)와, 빔 연결부(113)와 마주하도록 하부 연결부(331)와 상부 연결부(332)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연결부(333)와, 하부 연결부(331)와 중간 연결부(333)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 확장부(334)와, 상부 연결부(332)와 중간 연결부(333)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확장부(335)를 포함한다. 하부 확장부(334)와 상부 확장부(335)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140) 또는 제 2 위치 결정 블록(145)과 마주하는 부분이다. 하부 확장부(334)와 상부 확장부(335)에는 고정 핀(160)이 삽입되는 관통 홀(336)이 각각 형성된다.The connecting member 330 may be interposed between two adjacent H-beams 110 on the support frame 320 to fill the gap between the two H-beams 110 and connect the two H-beams 110. The connecting member 330 includes a lower connecting portion 331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beam 111 of the H-beam 110, an upper connecting portion 332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beam 112, and a beam connecting portion 113. ) a middle connection portion 333 disposed between the lower connection portion 331 and the upper connection portion 332 to face the lower extension portion 334 disposed between the lower connection portion 331 and the middle connection portion 333, and an upper It includes an upper extension portion 335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332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333. The lower extension 334 and the upper extension 335 are parts facing the first positioning block 140 or the second positioning block 145. A through hole 336 into which the fixing pin 16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lower extension part 334 and the upper extension part 335, respectively.

연결부재(330)는 두 H빔(110) 사이의 간극 크기에 따라 다양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330 may be formed to have various thickness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gap between the two H-beams 11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시스템(300)을 시공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Below,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rail system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H빔(110)을 받침 프레임(32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제 2 받침대(315)가 구비된 H빔(110)의 끝단이 먼저 제 2 받침부(326) 위에 배치된다. 이후, 다른 H빔(110)의 끝단이 제 2 받침부(326)에 놓인 H빔(110)의 끝단과 마주하도록 제 1 받침부(321) 위에 놓인다. 작업자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다른 H빔(110)에 구비된 제 1 받침대(310)의 바닥 돌출부(313)가 제 1 받침면(324a)에 접하도록 제 1 받침대(310)를 제 1 받침부(321)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서로 이웃하는 두 H빔(110)의 높이가 일치된다면 작업자는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고정 핀(160)과 고정기구(150)를 이용하여 두 H빔(110)을 연결하고, 각각의 H빔(110)을 그대로 받침 프레임(320)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기구(150)의 제 1 고정 스터드(151)는 복수의 제 1 프레임 홀(322a)(322b)(322c) 중에서 제 1 받침대(310)의 제 1 슬릿(312)과 마주하는 제 1 프레임 홀(322a)에 삽입되어 제 2 체결부재(15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받침 프레임(320)과 제 1 받침대(310)의 베이스부(311) 사이의 틈새 높이에 맞춰 적절한 두께의 받침부재(340)를 프레임 홈(323) 속에 삽입할 수 있다. 프레임 홈(323) 속에 삽입되는 받침부재(340)는 베이스부(311)를 떠받침으로써 제 1 받침대(310)가 받침 프레임(320)에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해준다.As shown in FIG. 7, in the process of combining two neighboring H beams 110 to the support frame 320, the end of the H beam 110 equipped with the second support 315 is first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320. It is placed above unit 326. Thereafter, the end of the other H beam 110 is placed on the first support part 321 so that the end of the H beam 110 placed on the second support part 326 faces the end. As shown in FIG. 8, the worker places the first pedestal 310 on the first pedestal so that the bottom protrusion 313 of the first pedestal 310 provided on the other H-beam 11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edestal surface 324a. It can be located in section 321. At this time, if the heights of the two neighboring H-beams 110 match each other, the worker connects the two H-beams 110 using the fixing pin 160 and the fixing mechanism 150 as shown in FIG. 9, and each The H beam 110 can be fixed to the support frame 320 as is. The first fixing stud 151 of the fixing mechanism 150 is a first frame hole facing the first slit 312 of the first pedestal 310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frame holes 322a, 322b, and 322c. It may be inserted into (322a) and fixed by the second fastening member 155. Additionally, the operator can insert a support member 340 of an appropriate thickness into the frame groove 323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gap between the support frame 320 and the base portion 311 of the first support 310. The support member 340 inserted into the frame groove 323 supports the base portion 311 to maintain the first support 310 more stably supported on the support frame 320.

위와 같이, 레일 시스템(300)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프레임 홈(323) 속에서 제 1 받침대(310)의 바닥 돌출부(313)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하는 방식으로 이웃하는 두 H빔(110)의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다.As abov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rail system 300, the worker changes the position of the bottom protrusion 313 of the first pedestal 310 in the frame groove 323 appropriately, thereby connecting the two neighboring H beams 110. ) can be matched to the height.

예를 들어, 작업자는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2 받침대(315')가 구비된 H빔(110)의 끝단을 먼저 제 2 받침부(326) 위에 배치한 후, 제 1 받침대(310)의 바닥 돌출부(313)가 제 2 받침면(324b)에 접하도록 제 1 받침대(310)를 제 1 받침부(321)에 위치시켜 이웃하는 두 H빔(110)의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두 H빔(110)의 끝단 사이에는 간극이 생긴다. 두 H빔(110) 사이의 간극은 연결부재(330)로 메워질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두 H빔(110) 사이의 간극 크기에 따라 적절한 두께의 연결부재(330)를 두 H빔(110) 사이에 끼워 넣어 두 H빔(110)을 연결부재(330)로 연결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the worker first places the end of the H-beam 110 equipped with the second pedestal 315' on the second pedestal 326, and then places the end of the H-beam 110 equipped with the second pedestal 315' on the first pedestal 310. The height of the two neighboring H-beams 110 can be matched by positioning the first pedestal 310 on the first pedestal 321 so that the bottom protrusion 313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ing surface 324b. In this case, a gap occurs between the ends of the two H beams 110. The gap between the two H beams 110 can be filled with a connecting member 330. That is, the worker inserts a connecting member 330 of an appropriate thickness between the two H beams 11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p between the two H beams 110 as shown in FIG. 11 to connect the two H beams 110 to the connecting member ( 330).

이후, 작업자는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고정 핀(160)을 이용하여 두 H빔(110)을 연결부재(330)를 통해 연결하고, 연결부재(330)를 두 H빔(11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고정기구(150)를 이용하여 각각의 H빔(110)을 받침 프레임(320)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기구(150)의 제 1 고정 스터드(151)는 복수의 제 1 프레임 홀(322a)(322b)(322c) 중에서 제 1 받침대(310)의 제 1 슬릿(312)과 마주하는 제 1 프레임 홀(322b)에 삽입되어 제 2 체결부재(15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받침 프레임(320)과 제 1 받침대(310)의 베이스부(311) 사이의 틈새 높이에 맞춰 적절한 두께의 받침부재(340')를 프레임 홈(323) 속에 삽입하여 받침부재(340')로 제 1 받침대(310)를 떠받칠 수 있다.Afterwards, as shown in FIG. 12, the worker connects the two H-beams 110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330 using the fixing pin 160 and fixes the connecting member 330 to the two H-beams 110. can do. Additionally, the worker can fix each H-beam 110 to the support frame 320 using the fixing mechanism 150. The first fixing stud 151 of the fixing mechanism 150 is a first frame hole facing the first slit 312 of the first pedestal 310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frame holes 322a, 322b, and 322c. It may be inserted into (322b) and fixed by the second fastening member 155. In addition, the worker inserts a support member 340' of an appropriate thickness into the frame groove 323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gap between the support frame 320 and the base portion 311 of the first support frame 310 to form the support member 340'. ) can support the first pedestal 310.

또한 레일 시스템(300)의 시공 과정에서 작업자는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2 받침대(315")가 구비된 H빔(110)의 끝단을 먼저 제 2 받침부(326) 위에 배치한 후, 제 1 받침대(310)의 바닥 돌출부(313)가 제 3 받침면(324c)에 접하도록 제 1 받침대(310)를 제 1 받침부(321)에 위치시켜 이웃하는 두 H빔(110)의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두 H빔(110) 사이의 간극 크기에 맞춰 적절한 두께의 연결부재(330')를 두 H빔(110) 사이에 끼워 넣어 두 H빔(110) 사이의 간극을 메울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고정 핀(160)을 이용하여 두 H빔(110)을 연결부재(330')를 통해 연결하고, 연결부재(330')를 두 H빔(11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고정기구(150)의 제 1 고정 스터드(151)를 복수의 제 1 프레임 홀(322a)(322b)(322c) 중에서 제 1 받침대(310)의 제 1 슬릿(312)과 마주하는 제 1 프레임 홀(322c)에 삽입하고 제 2 체결부재(155)를 제 1 고정 스터드(151)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받침 프레임(320)과 제 1 받침대(310)의 베이스부(311) 사이의 틈새 높이에 맞춰 적절한 두께의 받침부재(340")를 프레임 홈(323) 속에 삽입하여 받침부재(340")로 제 1 받침대(310)를 떠받칠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rail system 300, as shown in FIG. 13, the worker first places the end of the H-beam 110 equipped with the second pedestal 315" on the second pedestal 326, The first pedestal 310 is positioned on the first pedestal 321 so that the bottom protrusion 313 of the first pedestal 310 is in contact with the third pedestal surface 324c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two neighboring H-beams 110. In this case, the worker inserts a connecting member 330' of an appropriate thickness between the two H-beams 11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p between the two H-beams 110. The gap can be filled by the worker connecting the two H-beams 110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330' using the fixing pin 160, and connecting the connecting member 330' to the two H-beams 110. Additionally, the worker can fix the first fixing stud 151 of the fixing mechanism 150 to the first slit 312 of the first pedestal 310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frame holes 322a, 322b, and 322c. ) and the worker can connect the second fastening member 155 to the first fixing stud 151 by inserting it into the first frame hole 322c facing the support frame 320 and the first pedestal 310. A support member 340" of an appropriate thicknes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gap between the base portions 311 can be inserted into the frame groove 323 to support the first support member 310 with the support member 340".

본 실시예에 있어서, H빔(110)에 결합되는 제 1 받침대(310) 및 제 2 받침대(315) 모두가 바닥 돌출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받침 프레임(320)의 제 2 받침부(326)에도 프레임 홈과 복수의 받침면이 구비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oth the first pedestal 310 and the second pedestal 315 coupled to the H-beam 1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ottom protrusion. In this case,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6 of the support frame 320 may also be provided with a frame groove and a plurality of support surfaces.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preferred example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described and shown above.

예를 들어, 도면에는 고정 스터드가 삽입되는 받침대의 슬릿과 받침 프레임의 프레임 홀 중에서 받침대의 슬릿만 H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슬릿과 프레임 홀 모두 H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프레임 홀만 H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drawing, among the slits of the pedestal into which the fixing stud is inserted and the frame hole of the pedestal frame, only the slit of the pedestal is shown as extending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H-beam, but both the slit and the frame hole extend along the length of the H-beam. It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extends in the direction, or only the frame hole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 beam.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Rath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numer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200, 300 : 레일 시스템 110 : H빔
120, 310 : 제 1 받침대 125, 315, 315', 315" : 제 2 받침대
130, 320 : 받침 프레임 140, 210 : 제 1 위치 결정 블록
145, 215 : 제 2 위치 결정 블록 150 : 고정기구
151 : 제 1 고정 스터드 152 : 제 1 체결부재
154 : 제 2 고정 스터드 155 : 제 2 체결부재
160, 216 : 고정 핀 311 : 베이스부
313 : 바닥 돌출부 321 : 제 1 받침부
324a, 324b, 324c : 받침면 326 : 받침부
330, 330' : 연결부재 340, 340', 340" : 받침부재
100, 200, 300: Rail system 110: H beam
120, 310: 1st pedestal 125, 315, 315', 315": 2nd pedestal
130, 320: support frame 140, 210: first positioning block
145, 215: second positioning block 150: fixing mechanism
151: first fixing stud 152: first fastening member
154: second fixing stud 155: second fastening member
160, 216: fixing pin 311: base part
313: bottom protrusion 321: first support portion
324a, 324b, 324c: support surface 326: support portion
330, 330': Connecting member 340, 340', 340": Supporting member

Claims (6)

각각의 끝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H빔;
상기 복수의 H빔을 떠받치되, 이웃하는 두 개의 H빔 각각의 끝단이 놓이는 복수의 받침 프레임;
상기 각 H빔의 일단에 상기 각 H빔의 일단보다 돌출되지 않게 배치되는 제 1 위치 결정 블록;
상기 각 H빔의 타단에 상기 각 H빔의 타단보다 돌출되지 않게 배치되는 제 2 위치 결정 블록;
상기 받침 프레임의 제 1 받침부에 접하도록 상기 각 H빔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 1 받침대; 및
상기 받침 프레임의 제 2 받침부에 접하도록 상기 각 H빔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 2 받침대를 포함하고,
이웃하는 두 개의 H빔은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상기 제 1 위치 결정 블록과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상기 제 2 위치 결정 블록이 서로 마주하도록 각각의 끝단이 상기 받침 프레임 상에 놓이며,
상기 제 1 받침대는 상기 H빔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받침 프레임 쪽으로 돌출되는 바닥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받침부에는 상기 제 1 받침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 홈과, 상기 바닥 돌출부를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홈 속에 배치되는 복수의 받침면이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받침면은 상기 바닥 돌출부를 각기 다른 높이로 떠받칠 수 있도록 계단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시스템.
A plurality of H-beams arranged in turn so that each end faces each other;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supporting the plurality of H-beams and on which ends of each of two neighboring H-beams are placed;
a first positioning block disposed at one end of each H-beam so as not to protrude beyond one end of each H-beam;
a second positioning block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each H-beam so as not to protrude beyond the other end of each H-beam;
A first support provided at one end of each H-beam to contact the first support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nd
It includes a second suppor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each H beam so as to contact the second support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The ends of two neighboring H-beams are placed on the support frame so that the first positioning block provided in one and the second positioning block provided in the other face each other,
The first pedestal includes a base portion fixed to the H beam, and a bottom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ase portion toward the support frame,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 frame groove capable of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a plurality of support surfaces disposed in the frame grooves to support the floor protrusion, wherein the plurality of support surfaces are A rai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in steps to support the floor protrusions at different heigh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프레임 상에서 상호 마주하는 상기 제 1 위치 결정 블록의 제 1 삽입 홀과 상기 제 2 위치 결정 블록의 제 2 삽입 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H빔을 연결하는 고정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xing pin connecting two neighboring H beams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of the first positioning block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of the second positioning block facing each other on the support frame. Featured rail system.
제 2 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두 개의 H빔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고정 핀이 삽입되는 관통 홀을 갖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A rail system that is interposed between two neighboring H-beams and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fixing pin is inser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받침대는 제 1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받침대는 제 2 슬릿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슬릿과 마주하도록 상기 받침 프레임에 구비되는 제 1 프레임 홀 및 상기 제 1 슬릿에 삽입되는 제 1 고정 스터드와, 상기 제 2 슬릿과 마주하도록 상기 받침 프레임에 구비되는 제 2 프레임 홀 및 상기 제 2 슬릿에 삽입되는 제 2 고정 스터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받침대 및 상기 제 2 받침대를 상기 받침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슬릿과 상기 제 1 프레임 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H빔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슬릿과 상기 제 2 프레임 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H빔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edestal has a first slit,
The second pedestal has a second slit,
A first frame hole provided in the support frame to face the first slit and a first fixing stud inserted into the first slit, a second frame hole provided in the support frame to face the second slit, and the It has a second fixing stud inserted into the second slit, and includes a fixing mechanism for fixing the first pedestal and the second pedestal to the support frame,
At least one of the first slit and the first frame hole extend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 beam,
A rail system, wherein at least one of the second slit and the second frame hole extend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 beam.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를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홈 속에 삽입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rail system comprising a support member inserted into the frame groove to support the base portion.
KR1020220048051A 2022-04-19 2022-04-19 Rail system KR1026735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051A KR102673510B1 (en) 2022-04-19 2022-04-19 Rai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051A KR102673510B1 (en) 2022-04-19 2022-04-19 Rai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984A KR20230148984A (en) 2023-10-26
KR102673510B1 true KR102673510B1 (en) 2024-06-11

Family

ID=88509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051A KR102673510B1 (en) 2022-04-19 2022-04-19 Rai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351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105B1 (en) * 2008-07-25 2010-12-30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Rail fastening device
CN209162545U (en) * 2018-09-15 2019-07-26 杭州保利电梯导轨制造有限公司 A kind of railroad rails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184A (en) 2008-04-01 2009-10-07 (주)나라 지엔에스 Transportation structure of monorail system and transportation device using therewith
DE102010037523A1 (en) * 2010-09-14 2012-03-15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Connecting arrangement of two rail sections
KR20150019947A (en) * 2013-08-16 2015-02-25 (주)신승엔지니어링 Apparatus to fix insulation joint part of train rai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105B1 (en) * 2008-07-25 2010-12-30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Rail fastening device
CN209162545U (en) * 2018-09-15 2019-07-26 杭州保利电梯导轨制造有限公司 A kind of railroad rails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984A (en) 202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3883B2 (en) Modular structure for a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20220356697A1 (en) Storage system
US20240061443A1 (en) Controller and Method for Transporting Devices
US5097769A (en) Structure for supporting trackway of a track following transportation system, in particular, a magnetic suspension railroad
US20160251159A1 (en) Hole-Free Rail Bracket
US3685665A (en) Knockdown storage frame and components
KR102673510B1 (en) Rail system
KR102673511B1 (en) Rail system and connecting member for rail system
EP4063298A1 (en) Stacker crane
US20070267271A1 (en) Conveyor Roller Assembly
US20230303322A1 (en) Warehouse for the storage and retrieval of goods or bundles of goods placed on load carriers
KR102112957B1 (en) Bracket device
US20060060452A1 (en) Drive unit mount for reciprocating slat conveyor
US20240101349A1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KR101719762B1 (en) Cross-rail block
KR102531276B1 (en) Pallet for tire loading.
CN215514736U (en) Plug-in locking transfer box
CN221092292U (en) Cross rail type goods shelf
CN215399956U (en) Transfer platform
US20230278794A1 (e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CN215709058U (en) Shuttle guide rail
CN219097294U (en) Tray assembly
JP2001106500A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porting heavy cargo
KR101404413B1 (en) Shuttle rack being capable of control the height of the beam
JP2000016531A (en) Manufacturing plant of article and high rise ware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