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3441B1 - 다중 스위치 구조를 갖는 비상점등 제어장치 및 다중 스위치 구조를 이용한 비상점등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스위치 구조를 갖는 비상점등 제어장치 및 다중 스위치 구조를 이용한 비상점등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3441B1
KR102673441B1 KR1020230168125A KR20230168125A KR102673441B1 KR 102673441 B1 KR102673441 B1 KR 102673441B1 KR 1020230168125 A KR1020230168125 A KR 1020230168125A KR 20230168125 A KR20230168125 A KR 20230168125A KR 102673441 B1 KR102673441 B1 KR 102673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tate
emergency lighting
power
commerci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8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설
허성우
원철상
Original Assignee
유니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68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3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36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평상시에는 상용전원에 의해 점등되거나 소등되고, 비상시에는 배터리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비상점등 회로; 상기 배터리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용 전원에 의한 제어신호에 의해 ON(CLOSED) 상태로 전환되고, 통과 전원에 의한 제어신호에 의해 상용전원에 무관하게 ON(CLOSED) 상태를 유지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비상점등 회로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용전원에 의해 OFF(OPEN) 상태로 전환되고, 비상시 상용전원에 의한 제어신호가 공급되지 않으면 ON(CLOSED) 상태로 전환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다중 스위치 구조를 갖는 비상점등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중 스위치 구조를 갖는 비상점등 제어장치 및 다중 스위치 구조를 이용한 비상점등 제어 방법{Emergency light control apparatus with multiple switch structur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mergency lights using multiple switch structure}
본 발명은 다중 스위치 구조를 갖는 비상점등 제어장치 및 다중 스위치 구조를 이용한 비상점등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 조명등용 다중 스위치 구조를 갖는 비상점등 제어장치 및 그 비상점등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 조명등은 평상 시 상용전원에 의해 배터리가 충전상태를 유지하며, 상용전원에 의해 비상점등이 방지되는 회로로 구성된다.
도 1은 기존의 비상점등 제어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는 스위치(SW100)은 OFF(OPEN) 상태를 유지하여 비상점등이 방지되나 정전 등 비상상황 발생 시 스위치(SW100)이 ON(SHORT) 상태로 전환되어 배터리에 의해 비상점등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품 조립 작업 시 등의 경우에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터리가 연결되는 경우 비상점등이 이루어진다.
도 2는 도 1의 비상점등 제어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존의 비상점등 제어장치는 상용전원(AC, 220VAC)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AC/DC 컨버터 블록(Converter Block)이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DC 전원을 생성한다. 생성된 DC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도 2의 기존의 구성에서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DC전원이 공급되면 스위치(SW8)이 턴온되고, 전원 단자 NO1과 NO2가 각각 배터리 단자 CM1과 CM2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는 충전모드로 전환되고 방전이 방지된다. 저항(R10)은 DC전원 공급 시, 스위치(SW8)가 확실히 턴온되도록 스위치(SW8)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저항(R10)은 DC전원 공급 시, DC전원 변동이 스위치(SW8)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공급 전류를 제어한다.
도 3은 기존의 비상점등 제어장치의 회로도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3의 기존의 비상점등 제어장치에서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DC전원이 공급되면 스위치(SW5)가 턴온되고, 저항(R8) 양단 전압이 0V가 되며, 스위치(SW6)가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 방전이 방지된다. 저항(R7)은 DC전원에 의해 스위치(SW5)가 적절하게 턴온되도록 전류를 제한한다. 저항(R8)과 저항(R9)은 스위치(SW5) 턴온 시, 소비 전류를 최소화하고, 스위치(SW5) 턴오프 시, 스위치(SW6)를 확실히 턴온시킬 수 있도록 전압 분배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저항(R8)과 저항(R9)은 스위치(SW5) 턴오프 시, 배터리의 방전전류가 부하에 최대한 공급되도록하여 전류 소비를 최소화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비상점등 제어장치는 배터리가 방전모드로 되어 비상점등이 발생한 경우, 배터리가 지속적인 방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품을 창고 등에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 배터리가 지속적으로 방전되어 충전 불능 상태가 될 수 있고, 이것은 배터리 고장의 원인이 된다. 또한, 제품이 포장된 상태는 포장지 등에 의해 밀봉된 상태이므로 비상점등으로 인한 발열로 인해 배터리가 고온에 노출될 수 있어서 또 다른 배터리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중 스위치 구조를 사용하여 다양한 조건 내지 상황에서 점등을 제어함으로써 더 나은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다중 스위치 구조를 갖는 비상점등 제어장치 및 다중 스위치 구조를 이용한 비상점등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평상시에는 상용전원에 의해 점등되거나 소등되고, 비상시에는 배터리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비상점등 회로; 상기 배터리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용 전원에 의한 제어신호에 의해 ON(CLOSED) 상태로 전환되고, 통과 전원에 의한 제어신호에 의해 상용전원에 무관하게 ON(CLOSED) 상태를 유지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비상점등 회로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용전원에 의해 OFF(OPEN) 상태로 전환되고, 비상시 상용전원에 의한 제어신호가 공급되지 않으면 ON(CLOSED) 상태로 전환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다중 스위치 구조를 갖는 비상점등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평상시에는 상용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제1 스위치는 ON(CLOSED)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용전원에 의해 OFF(OPEN) 상태로 전환되며, 배터리 전원이 상기 통과전원으로서 상기 제1 스위치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스위치에 공급되며, 상기 제1 스위치는 상용전원에 무관하게 상기 통과전원에 의해 ON(CLOSED)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비상점등 회로는 OFF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용전원이 차단되는 비상시에는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통과전원에 의해 ON(CLOSED)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용전원에 의한 제어신호가 공급되지 않으면서 ON(CLOSED) 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비상점등 회로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통해 상기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비상점등되고, 포장작업 시 상용전원에 의한 제어신호가 공급되지 않아 상기 제1 스위치는 OFF(OPEN)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ON(CLOSED)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비상점등 회로는 상기 제1 스위치로 인해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여 비상점등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장작업 전 비상점등 검사로 인해 비상점등된 비상점등 회로를 오프시키기 위해, 배터리 전원으로 상기 제1 스위치를 OFF(OPEN)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3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비상점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스위치를 ON(CLOSED)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4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평상시에는 상용전원에 의해 점등되거나 소등되고, 비상시에는 배터리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비상점등 회로의 점등을 제어하되, 상기 배터리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용 전원에 의한 제어신호에 의해 ON(CLOSED) 상태로 전환되고, 통과 전원에 의한 제어신호에 의해 상용전원에 무관하게 ON(CLOSED) 상태를 유지하는 제1 스위치(SW110); 및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비상점등 회로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용전원에 의해 OFF(OPEN) 상태로 전환되고, 비상시 상용전원에 의한 제어신호가 공급되지 않으면 ON(CLOSED) 상태로 전환되는 제2 스위치(SW120);를 포함하는 다중 스위치 구조를 이용한 비상점등 제어방법으로서, 평상시에 상용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제1 스위치는 ON(CLOSED)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용전원에 의해 OFF(OPEN)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상기 평상시에 배터리 전원이 상기 통과전원으로서 상기 제1 스위치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스위치에 공급되며, 상기 제1 스위치는 상용전원에 무관하게 상기 통과전원에 의해 ON(CLOSED)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평상시에 상용전원에 의해 OFF(OPEN) 상태로 전환된 상기 제2 스위치는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비상점등 회로는 OFF 상태가 되는 단계; 상용전원이 차단되는 비상시에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통과전원에 의해 ON(CLOSED)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비상시에 상기 제2 스위치는 상용전원에 의한 제어신호가 공급되지 않으면서 ON(CLOSED)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및 상기 비상시에 상기 비상점등 회로는 ON(CLOSED)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ON(CLOSED) 상태로 전환되는 상기 제2 스위치를 통해 상기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비상점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스위치 구조를 이용한 비상점등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전원으로 상기 제1 스위치를 OFF(OPEN)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3 스위치를 이용하여 비상점등 검사로 인해 비상점등된 비상점등 회로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스위치를 ON(CLOSED)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4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비상점등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포장작업 시 상용전원에 의한 제어신호가 공급되지 않아 상기 제1 스위치는 OFF(OPEN)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ON(CLOSED)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비상점등 회로는 상기 제1 스위치로 인해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여 비상점등이 방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배터리의 지속적인 방전을 방지하여, 충전 불능 상태를 예방하는 다중 스위치 구조를 갖는 비상점등 제어장치 및 다중 스위치 구조를 이용한 비상점등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비상조명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의 발열을 방지함으로써 배터리 및 관련 부품을 보호하는 다중 스위치 구조를 갖는 비상점등 제어장치 및 다중 스위치 구조를 이용한 비상점등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비상 상황 및 정상적인 상황에서 모두 효율적으로 작동하며, 제품 검사와 같은 상황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다중 스위치 구조를 갖는 비상점등 제어장치 및 다중 스위치 구조를 이용한 비상점등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의 비상 조명등 회로의 단점을 극복하고, 더 안정적이며 효율적인 비상조명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양한 스위치와 회로 설계를 통해 다양한 상황에서의 유연한 조명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안전과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기존의 비상점등 제어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비상점등 제어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기존의 비상점등 제어장치의 회로도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점등 제어장치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에 제시된 비상점등 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점등 제어장치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에 제시된 비상점등 제어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점등 제어장치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8에 제시된 비상점등 제어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점등 제어장치를 나타낸다.
도 11는 도 10에 제시된 비상점등 제어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점등 제어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점등 제어장치(10)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다중 스위치 구조를 이용한 비상점등 제어장치(10)(이하, 비상점등 제어장치)는 다양한 조건 내지 상황에서 점등을 제어함으로써 더 나은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평상시에는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비상점등을 방지하고, 비상상황 시에는 배터리(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비상점등을 한다. 또한, 포장작업 시에는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비상점등을 방지한다. 이러한 효과를 통해 배터리(11) 및 부품의 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비상점등 제어장치(10)는 비상점등 회로(12), 제1 스위치(SW110) 및 제2 스위치(SW120)를 포함한다. 비상점등 회로(12)는 평상시에는 상용전원에 의해 점등되거나 소등되고(소등상태를 유지하고), 비상시에는 배터리 전원에 의해 점등될 수 있다. 제1 스위치(SW110)는 배터리(11)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용전원에 의한 제어신호에 의해 ON(CLOSED)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제1 스위치(SW110)는 제1 스위치(SW110)를 통과하는 통과 전원에 의한 제어신호에 의해 상용전원에 무관하게 ON(CLOSED)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스위치(SW110)는 릴레이, 접점, MOSFET 등과 같은 스위치 소자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스위치는 제1 스위치(SW110)와 비상점등 회로(12)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용전원에 의해 OFF(OPEN) 상태로 전환되고, 비상시 상용전원에 의한 제어신호가 공급되지 않으면 ON(CLOSED)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제2 스위치는 릴레이, 접점, MOSFET 등과 같은 스위치 소자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비상점등 회로(12)는 제1 스위치(SW110) 및 제2 스위치를 통해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비상점등될 수 있다. 이러한 비상점등 회로(12)는 LED, 네온램프, 형광등 등과 같은 비상등 소자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비상점등 제어장치(10)의 작동에 있어서, 평상시에는 상용전원이 공급되어 제1 스위치(SW110)는 ON(CLOSED) 상태로 전환되고, 제2 스위치는 상용전원에 의해 OFF(OPEN) 상태로 전환되며, 배터리 전원이 통과전원으로서 제1 스위치(SW110)를 통과하여 제2 스위치에 공급되며, 제1 스위치(SW110)는 상용전원에 무관하게 통과전원에 의해 ON(CLOSED) 상태를 유지하고, 제2 스위치는 배터리(11)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비상점등 회로(12)는 OFF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원하지 않는 비상점등이 방지된다.
또한, 비상점등 제어장치(10)의 작동에 있어서, 정전 등의 상용전원이 차단되는 비상시에는 제1 스위치(SW110)는 통과전원에 의해 ON(CLOSED)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평상시에 이미 제1 스위치(SW110)가 상용전원에 의해 ON(CLOSED) 상태가 되면서 배터리 전원이 통과 전원으로서 제1 스위치(SW110)를 통과하여 제2 스위치에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용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이미 통과 전원에 의한 제어신호에 의해 제1 스위치(SW110)는 ON(CLOSED)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비상시에는 제2 스위치는 상용전원에 의한 제어신호가 공급되지 않으면서 ON(CLOSED) 상태로 전환되며, 비상점등 회로(12)는 제1 스위치(SW110) 및 제2 스위치를 통해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비상점등될 수 있다.
한편, 포장작업 시 상용전원에 의한 제어신호가 공급되지 않아 제1 스위치(SW110)는 OFF(OPEN) 상태로 유지되고, 제2 스위치는 ON(CLOSED) 상태로 유지되고, 비상점등 회로(12)는 제1 스위치(SW110)로 인해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여 비상점등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상황에서 배터리(11)가 방전 방지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충전 불능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상점등이 이뤄지지 않아서 포장된 제품 내 발열이 방지됨으로써 배터리(11) 및 부품 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제시된 비상점등 제어장치(10)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4의 비상점등 제어장치(10)를 구체적 실시예로서 도 5의 회로도를 참조하면,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스위치(SW1)은 턴오프 상태가 되고, 따라서 스위치(SW6)도 턴오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배터리 전원이 부하(비상점등 회로(12))에 공급되지 않는 상태(비방전모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DC전원에 의해 스위치(SW4)가 턴온된다. 이때 저항(R1)과 저항(R2)의 전압 분배에 의해 스위치(SW1)이 턴온된다. 이에 따라 노드(Pt1)에 배터리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즉 배터리 전원이 스위치(SW1)을 통과하는 통과 전원이 되며, 노드(PT1)과 DC 전원에 의해 스위치(SW1)은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스위치(SW1)를 도 4에서 설명된 제1 스위치(SW110)의 구현으로 볼 수 있다. 또는 스위치(SW1), 스위치(SW4), 저항(R1) 및 저항(R2)로 된 회로를 도 4에서 설명된 제1 스위치(SW110)의 구현으로 볼 수도 있다.
한편, DC전원에 의해 스위치(SW5)가 턴온된다. 스위치(SW5)에 의해 스위치(SW6)는 턴오프(OPEN)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11)는 충전 상태(충전모드)가 된다.
한편, 정전 등의 비상시에 이러한 상용전원이 끊긴 경우, 스위치(SW1)을 통과하여 노드(Pt1)에 공급되는 전원에 의한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치(SW1)은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DC전원이 오프되어 스위치(SW5)는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스위치(SW5)에 의해 스위치(SW6)는 턴온된다. 그 결과 배터리 전원이 부하(비상점등 회로(12))에 공급되는 상태(방전모드)가 된다. 여기서 스위치(SW6)는 도 4에서 설명된 제2 스위치의 구현으로 볼 수 있다. 또는 스위치(SW5), 스위치(SW6) 및 저항(R8)로 된 회로를 도 4에서 설명된 제2 스위치의 구현으로 볼 수도 있다.
다이오드(D1)과 다이오드(D2)는 상용전원과 배터리 전원의 불평형으로 인해 상호간에 계획되지 않은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제한한다. 저항(R4), 저항(R5), 저항(R3) 및 저항(R6)은 회로 제어를 위해 소비되는 DC전원 또는 배터리전원의 크기가 최소화되도록 제한한다. 저항(R1)과 저항(R2)은 배터리 전원이 회로의 제어를 위해 최소한의 전류를 소비하도록 제한함으로써, 배터리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최대한 부하에 흘러갈 수 있도록 부차적인 흐름을 제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점등 제어장치를 나타낸다.
도 6에 제시된 비상점등 제어장치(10)는 제3 스위치(SW13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전술된 비상점등 제어장치(10)와 차이가 있다. 비상점등 검사로 인해 비상점등된 비상점등 회로(12)를 오프시키기 위해, 제3 스위치(SW130)는 배터리 전원으로 제1 스위치(SW110)를 OFF(OPEN)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 조명등은 제품 조립 완료 후 제품 검사가 이뤄진다. 비상점등 회로(12)는 제품 검사 시 투입된 상용전원에 의해 비상점등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비상점등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배터리(11)를 제품으로부터 잠시 분리했다가 다시 체결하는 추가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비상점등 제어장치(10)는 제3 스위치(SW130)에 의해 이러한 비상점등 상태 해제를 원활하게 쉽게 할 수 있다. 도 6에서 제3 스위치(SW130)은 배터리 전원으로 제1 스위치(SW110)을 비활성화(Deactivate)시킨다. 즉, 제3 스위치(SW130)는 배터리(11)에 있는 전원에 의해 제1 스위치(SW110)를 OFF(OPEN) 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3 스위치(SW130)를 이용하여 비상점등된 상태를 소등된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제3 스위치(SW130)는 FET 등 전자적인 스위치 또는 택트 스위치 등 물리적인 스위치일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제시된 비상점등 제어장치(10)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본 실시예의 비상점등 제어장치(10)는 도 4 및 5에서 설명된 작동방식과 동일하게 작동한다.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비상점등 제어장치(10)는 도 4 및 5에서 설명된 작동방식과 동일하게 작동한다. 상용전원이 끊긴 경우(정전 등) 비상점등 제어장치(10)는 도 4 및 5에서 설명된 작동방식과 동일하게 작동한다.
제품 검사 후 포장 시 배터리(11)는 방전모드(비상점등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SW2)가 턴온되면, 스위치(SW1)을 턴오프시킨다. 이에 따라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비방전모드로 전환). 이때, 배터리 전원이 노드(Pt1)에 인가되지 않으므로 스위치(SW1)은 오프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스위치(SW2)가 도 6에서 설명된 제3 스위치의 구현으로 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점등 제어장치를 나타낸다.
도 8에 제시된 비상점등 제어장치(10)는 제4 스위치(SW14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전술된 비상점등 제어장치(10)와 차이가 있다.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비상점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제4 스위치(SW140)는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제1 스위치를 ON(CLOSED)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 조명등은 제품 조립 시 각 구성품의 정상 동작(비상점등 등)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상 동작 여부 확인을 위해서는 일부를 조립한 상태에서 상용전원을 투입해야 하는 번거로운 추가 작업이 요구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비상점등 제어장치(10)는 제4 스위치(SW140)를 사용하여 이러한 추가 작업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스위치(SW140)은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제1 스위치(SW110)를 활성화(Activate)시킨다. 즉, 제4 스위치(SW140)는 배터리 전원에 의해 제1 스위치(SW110)를 ON(CLOSED) 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제1 스위치(SW110)이 ON 상태인 경우 비상점등이 이루어져서 정상 동작 여부 확인이 가능하다. 제4 스위치(SW140)는 FET 등 전자적인 스위치 또는 택트 스위치 등 물리적인 스위치일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제시된 비상점등 제어장치(10)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본 실시예의 비상점등 제어장치(10)는 도 4 및 5에서 설명된 작동방식과 동일하게 스위치(SW1)은 오프상태가 되도록 작동한다. 스위치(SW3)가 온되면, 저항(R1)과 저항(R2) 사이의 전압 분배에 의해 스위치(SW1)이 턴온된다. 여기서 스위치(SW3)를 도 8에서의 제4 스위치의 구현으로 볼 수 있다. 노드(Pt1)에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고 스위치(SW4)가 턴온된다. 이러한 노드(Pt1)과 스위치(SW4)에 통과 전원이 인가됨에 의해 스위치(SW1)은 온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저항(R8)과 저항(R9) 사이의 전압 분배에 의해 스위치(SW6)가 턴온된다. 배터리 전원이 부하에 공급되며 배터리(11)는 방전모드로 전환된다. 즉, 상용전원이 없이도 비상점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비상점등 제어장치(10)는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도 4 및 도 5에서 설명된 방식과 동일하게 작동된다. 또한, 상용전원이 끊긴 경우(정전 등), 비상점등 제어장치(10)는 도 4 및 도 5에서 설명된 방식과 동일하게 작동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점등 제어장치(10)를 나타낸다.
도 10에 제시된 비상점등 제어장치(10)는 도 4 및 도 5에서 설명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 도 6 및 도 7에서 설명된 제3 스위치, 도 8 및 도 9에서 설명된 제4 스위치를 함께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비상점등 제어장치(10)는 각 스위치가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비상점등 제어장치(10)는 제1 스위치(SW110)에 의해 정전시에만 비상점등이 이뤄지도록 통제된다. 제2 스위치(SW120)에 의해 평상 시(상용전원 공급 상태)에는 비상점등되지 않도록 통제된다. 제3 스위치(SW130)에 의해 제품 검사 시 점등된 상태를 간단하게 소등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제4 스위치(SW140)에 의해 제품의 정상 동작 여부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제시된 비상점등 제어장치(10)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11를 참조하면,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본 실시예의 비상점등 제어장치(10)는 도 4 및 5에서 설명된 작동방식과 동일하게 작동하여 스위치(SW1)은 오프상태가 된다. 스위치(SW3)가 온되면, 저항(R1)과 저항(R2)사이의 전압 분배에 의해 스위치(SW1)이 턴온된다. 노드(Pt1)에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고 스위치(SW4)가 턴온된다. 노드(Pt1)과 스위치(SW4)에 의해 스위치(SW1)은 온상태를 유지한다. 저항(R8)과 저항(R9) 사이의 전압 분배에 의해 스위치(SW6)가 턴온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 전원이 부하에 공급되며 배터리(11)는 방전모드로 전환된다.
스위치(SW2)가 턴온되면, 스위치(SW1)이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11)로부터 부하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배터리(11)는 비방전모드로 전환된다.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도 4 및 5에서 설명된 작동방식과 동일하게 작동하여 스위치(SW5)가 온 상태를 유지하고, 스위치(SW6)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므로 배터리(11)는 충전모드를 유지한다.
상용전원이 끊긴 경우(정전 등) 도 6 및 7에서 설명된 작동방식과 동일하게 작동하여 제품 검사 후 포장 시 배터리(11)는 방전모드(비상점등 상태)가 된다. 스위치(SW2)가 턴온되면, 스위치(SW1)을 턴오프시킨다. 이에 따라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비방전모드로 전환된다. 이 경우, 배터리 전원이 노드(Pt1)에 인가되지 않으므로 스위치(SW1)은 오프상태를 유지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점등 제어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다중 스위치 구조를 이용한 비상점등 제어방법은, 평상시에는 소등되고, 비상시에는 배터리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비상점등 회로(12)의 점등을 제어하되, 배터리(11)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용 전원에 의한 제어신호에 의해 ON(CLOSED) 상태로 전환되고, 통과 전원에 의한 제어신호에 의해 상용전원에 무관하게 ON(CLOSED) 상태를 유지하는 제1 스위치(SW110); 및 제1 스위치와 비상점등 회로(12)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용전원에 의해 OFF(OPEN) 상태로 전환되고, 비상시 상용전원에 의한 제어신호가 공급되지 않으면 ON(CLOSED) 상태로 전환되는 제2 스위치(SW120)를 포함하는 다중 스위치 구조를 이용한다.
다중 스위치 구조를 이용한 비상점등 제어방법에서, 평상시에 상용전원이 공급되어 제1 스위치는 ON(CLOSED) 상태로 전환되고, 제2 스위치는 상용전원에 의해 OFF(OPEN) 상태로 전환된다(S10).
평상시에 배터리 전원이 통과전원으로서 제1 스위치를 통과하여 제2 스위치에 공급되며, 제1 스위치는 상용전원에 무관하게 통과전원에 의해 ON(CLOSED) 상태를 유지한다(S20).
평상시에 상용전원에 의해 OFF(OPEN) 상태로 전환된 제2 스위치는 배터리(11)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비상점등 회로(12)는 OFF 상태가 된다(S30).
상용전원이 차단되는 비상시에 제1 스위치는 통과전원에 의해 ON(CLOSED) 상태를 유지된다(S40).
비상시에 제2 스위치는 상용전원에 의한 제어신호가 공급되지 않으면서 ON(CLOSED) 상태로 전환된다(S50).
비상시에 비상점등 회로(12)는 ON(CLOSED) 상태를 유지하는 제1 스위치 및 ON(CLOSED) 상태로 전환되는 제2 스위치를 통해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비상점등된다(S60).
배터리 전원으로 제1 스위치를 OFF(OPEN)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3 스위치를 이용하여 비상점등 검사로 인해 비상점등된 비상점등 회로(12)를 오프시킬 수 있다.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제1 스위치를 ON(CLOSED)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4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비상점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포장작업 시 상용전원에 의한 제어신호가 공급되지 않아 제1 스위치는 OFF(OPEN) 상태로 유지되고, 제2 스위치는 ON(CLOSED) 상태로 유지되고, 비상점등 회로(12)는 제1 스위치로 인해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여 비상점등이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비상점등 제어장치
11 : 배터리
12 : 비상점등 회로
SW110 : 제1 스위치
SW120 : 제2 스위치
SW130 : 제3 스위치
SW140 : 제4 스위치

Claims (10)

  1. 평상시에는 상용전원에 의해 점등되거나 소등되고, 비상시에는 배터리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비상점등 회로;
    상기 배터리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용 전원에 의한 제어신호에 의해 ON(CLOSED) 상태로 전환되고, 통과 전원에 의한 제어신호에 의해 상용전원에 무관하게 ON(CLOSED) 상태를 유지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비상점등 회로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용전원에 의해 OFF(OPEN) 상태로 전환되고, 비상시 상용전원에 의한 제어신호가 공급되지 않으면 ON(CLOSED) 상태로 전환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평상시에는 상용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제1 스위치는 ON(CLOSED)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용전원에 의해 OFF(OPEN) 상태로 전환되며, 배터리 전원이 상기 통과전원으로서 상기 제1 스위치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스위치에 공급되며, 상기 제1 스위치는 상용전원에 무관하게 상기 통과전원에 의해 ON(CLOSED)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비상점등 회로는 OFF 상태가 되는 것이고,
    상용전원이 차단되는 비상시에는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통과전원에 의해 ON(CLOSED)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용전원에 의한 제어신호가 공급되지 않으면서 ON(CLOSED) 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비상점등 회로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통해 상기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비상점등되고,
    포장작업 시 상용전원에 의한 제어신호가 공급되지 않아 상기 제1 스위치는 OFF(OPEN)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ON(CLOSED)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비상점등 회로는 상기 제1 스위치로 인해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여 비상점등이 방지되는 것인, 다중 스위치 구조를 갖는 비상점등 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장작업 전 비상점등 검사로 인해 비상점등된 비상점등 회로를 오프시키기 위해, 배터리 전원으로 상기 제1 스위치를 OFF(OPEN)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3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다중 스위치 구조를 갖는 비상점등 제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비상점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스위치를 ON(CLOSED)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4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다중 스위치 구조를 갖는 비상점등 제어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비상점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스위치를 ON(CLOSED)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4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다중 스위치 구조를 갖는 비상점등 제어장치.
  7. 평상시에는 상용전원에 의해 점등되거나 소등되고, 비상시에는 배터리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비상점등 회로의 점등을 제어하되, 상기 배터리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용 전원에 의한 제어신호에 의해 ON(CLOSED) 상태로 전환되고, 통과 전원에 의한 제어신호에 의해 상용전원에 무관하게 ON(CLOSED) 상태를 유지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비상점등 회로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용전원에 의해 OFF(OPEN) 상태로 전환되고, 비상시 상용전원에 의한 제어신호가 공급되지 않으면 ON(CLOSED) 상태로 전환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다중 스위치 구조를 이용한 비상점등 제어방법으로서,
    평상시에 상용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제1 스위치는 ON(CLOSED)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용전원에 의해 OFF(OPEN)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상기 평상시에 배터리 전원이 상기 통과전원으로서 상기 제1 스위치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스위치에 공급되며, 상기 제1 스위치는 상용전원에 무관하게 상기 통과전원에 의해 ON(CLOSED)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평상시에 상용전원에 의해 OFF(OPEN) 상태로 전환된 상기 제2 스위치는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비상점등 회로는 OFF 상태가 되는 단계;
    상용전원이 차단되는 비상시에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통과전원에 의해 ON(CLOSED)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비상시에 상기 제2 스위치는 상용전원에 의한 제어신호가 공급되지 않으면서 ON(CLOSED)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및
    상기 비상시에 상기 비상점등 회로는 ON(CLOSED)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ON(CLOSED) 상태로 전환되는 상기 제2 스위치를 통해 상기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비상점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스위치 구조를 이용한 비상점등 제어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배터리 전원으로 상기 제1 스위치를 OFF(OPEN)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3 스위치를 이용하여 비상점등 검사로 인해 비상점등된 비상점등 회로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스위치 구조를 이용한 비상점등 제어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스위치를 ON(CLOSED)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4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비상점등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스위치 구조를 이용한 비상점등 제어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포장작업 시 상용전원에 의한 제어신호가 공급되지 않아 상기 제1 스위치는 OFF(OPEN)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ON(CLOSED)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비상점등 회로는 상기 제1 스위치로 인해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여 비상점등이 방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스위치 구조를 이용한 비상점등 제어방법.
KR1020230168125A 2023-11-28 2023-11-28 다중 스위치 구조를 갖는 비상점등 제어장치 및 다중 스위치 구조를 이용한 비상점등 제어 방법 KR102673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8125A KR102673441B1 (ko) 2023-11-28 2023-11-28 다중 스위치 구조를 갖는 비상점등 제어장치 및 다중 스위치 구조를 이용한 비상점등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8125A KR102673441B1 (ko) 2023-11-28 2023-11-28 다중 스위치 구조를 갖는 비상점등 제어장치 및 다중 스위치 구조를 이용한 비상점등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3441B1 true KR102673441B1 (ko) 2024-06-11

Family

ID=9147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8125A KR102673441B1 (ko) 2023-11-28 2023-11-28 다중 스위치 구조를 갖는 비상점등 제어장치 및 다중 스위치 구조를 이용한 비상점등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34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22Y1 (ko) 2005-08-05 2005-11-04 장문환 일반/비상 겸용 조명장치
KR102260359B1 (ko) 2020-05-22 2021-06-03 유니비스 주식회사 다중 경로 비상조명 제어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비상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22Y1 (ko) 2005-08-05 2005-11-04 장문환 일반/비상 겸용 조명장치
KR102260359B1 (ko) 2020-05-22 2021-06-03 유니비스 주식회사 다중 경로 비상조명 제어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비상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134147A (ja) 点灯回路
KR920704547A (ko) 비상 안전 전등장치
US5910689A (en) Generator standby ballast
KR970064325A (ko) 방전등 점등회로
KR100715282B1 (ko) 비상조명등용 배터리의 충전 제어장치
US20110074358A1 (en) Battery Protection Device which Utilizes Light Current to Control Heavy Current
EP1126610A3 (en) Semiconductor active fuse operating at high supply voltage employing current oscillation
KR102673441B1 (ko) 다중 스위치 구조를 갖는 비상점등 제어장치 및 다중 스위치 구조를 이용한 비상점등 제어 방법
JP2001211562A (ja) 複数のモードを兼備する充電回路
KR0149584B1 (ko) 전원전압 공급회로
US4536695A (en) Discharging protection device for battery-operated portable electric light
KR20080047820A (ko) 충전식 전원장치 및 그 제어방법
ES2900542T3 (es) Bloque de luz de emergencia, instalación de alumbrado de emergencia y elemento de luz de emergencia
RU2188495C2 (ru) Схема питания с переключаемым режимом работы
WO1998038727A3 (en) Dc-dc converter with multiple outputs turned on and off in certain sequence
KR20200104826A (ko) 전등을 적응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0301007Y1 (ko)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KR100876112B1 (ko) 배터리 과방전 보호회로
JPH08205398A (ja) コンデンサの充放電回路
JPH04101362A (ja) リン酸形燃料電池発電装置
KR19990032282U (ko) 직류 발전기용 컷오프 계전기 회로
CA1098961A (en) Battery charging and emergency supply circuit
JP3241971B2 (ja) 電池式蛍光灯
KR20220012578A (ko) 소등지연 엘이디조명등
KR910007049Y1 (ko) Smps전원의 순간정전 방지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