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2221B1 -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worker status information at the construction site - Google Patents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worker status information at the construction si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2221B1
KR102672221B1 KR1020230032646A KR20230032646A KR102672221B1 KR 102672221 B1 KR102672221 B1 KR 102672221B1 KR 1020230032646 A KR1020230032646 A KR 1020230032646A KR 20230032646 A KR20230032646 A KR 20230032646A KR 102672221 B1 KR102672221 B1 KR 102672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information
worker
construction site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26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원
이덕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렉스윌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렉스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렉스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2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Abstract

시공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변화되거나 관리자만이 인지할 수 있는 시나리오에 대한 영향 또는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하는 영역 등을 반영하여 안전 시나리오에 대한 수정 등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 현장 별 최적화된 안전 시나리오에 따라서 안전 모니터링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현장의 작업자 상태 정보를 이용한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은, 시공 현장에서의 시공 타입 및 현장 정보에 대응되도록 기설정된 안전 규정 정보 및 관리 단말로부터 입력된 안전 조건 정보에 근거하여, 시간, 공간 및 작업자별로 설정된 안전 수칙에 대한 정보인 안전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안전 시나리오 관리부; 시공 현장에 배치된 다수의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 및 시공 현장 설비를 객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하고, 인식된 작업자의 위치, 작업자의 상태, 시공 현장 설비의 상태, 작업자와 시공 현장 설비와의 관계 정보 및 안전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안전 상태를 분석하여 안전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안전 상태 분석부; 및 생성된 안전 상태 정보를 취합하여 전체 시공 현장에 대한 안전 현황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안전 현황 정보 및 안전 현황 정보에 포함된 안전 상태 정보를 관리 단말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도록 하는 안전 관리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possible to modify the safety scenario to reflect real-time changes at the construction site, the impact of the scenario that only the manager can recognize, or areas that need to be intensively monitored, ensuring safety according to the optimized safety scenario for each construction site. In order to provide a technology capable of monitoring, an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worker status information at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eset safety regulation information and management to correspond to the construction type and site information at the construction site. A safety scenario management unit that generates and manages safety scenarios, which are information about safety rules set for each time, space, and worker, based on safety condi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terminal; Using image data captured from multiple video capture devices placed at the construction site, workers and construction site facilities are recognized through an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and the location of the recognized worker, the state of the worker, the state of the construction site equipment, the worker and A safety status analysis unit that generates safety status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safety status of workers using relationship information with construction site facilities and safety scenarios; And the generated safety status information is collected to generate safety status information for the entire construction site, and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output to output the generated safety status information and the safety stat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afety status information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anagement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art;

Description

시공 현장의 작업자 상태 정보를 이용한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WORKER STATUS INFORMATION AT THE CONSTRUCTION SITE}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worker status information at construction sites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WORKER STATUS INFORMATION AT THE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은, 시공 현장에 설치된 CCTV 및 기 구축된 가상의 시공 현장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상태를 각 작업자별로 시공 현장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리자에 의하여 시공 현장 및 실시간 현황에 맞춤화된 안전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can integrate and manage the status of workers at the construction site for each worker using CCTV installed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an interface to the already established virtual construction sit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can integrate and manage the construction site for each worker. It is about technology to enable safety management tailored to the construction site and real-time status.

최근 IoT 기술 및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기술의 발달이 계속되고 있으며, 영상 인식 기술 역시 발달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다양한 공간에서 실내외의 촬영되고 있는 영상을 기반으로 인식된 객체의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상태에 따라서 다양한 객체의 관리를 수행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Recently, the development of IoT technology and sensor network technology continues, and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is also being developed. Accordingly,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to determine the status of recognized objects based on images captured indoors and outdoors in various spaces and to manage various objects according to the identified status.

이러한 기술들은 실내외에 설치된 CCTV 등의 영상 촬영 장치와, 영상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촬영 데이터를 분석하여 객체를 식별하는 기술 및 객체의 상태를 AI를 통해서 예측 또는 판단하고 이를 통해서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These technologies include technology that identifies objects by analyzing video capture devices such as CCTV installed indoors and outdoors, and data captured by the video capture devices, and technology that predicts or determines the state of the object through AI and generates monitoring information through this. means.

한편, 안전 사고는 건축물 시공 현장, 토목 시공 현장 등 다양한 시공 현장에서 발생되고 있다. 작업자 단독 또는 작업자와 현장 설비 사이의 액션에 의한 사고는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커, 이에 대한 대비 및 대응 기술의 필요성은 언제나 지적되고 있다. Meanwhile, safety accidents occur at various construction sites, such as building construction sites and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sites. Accidents caused by actions by workers alone or between workers and field equipment are very likely to lead to large-scale accidents, and the need for preparedness and response technology is always pointed out.

이러한 영상 인식 기술과, 시공 현장에서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술은 예를 들어, 작업자 등의 객체를 인식하고 객체의 상태를 AI 엔진을 통해 유추하여, 객체가 위험 상황에 놓였는지 여부를 파악한 뒤, 위험 상황에 놓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관리 단말에 이에 대한 알림을 수행하는 기술로 이해될 수 잇다. These image recognition technologies and technologies for ensuring safety at construction sites, for example, recognize objects such as workers, infer the state of the object through an AI engine,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is in a dangerous situation, and then If it is judged to be in a dangerous situation, it can be understood as a technology that notifies the management terminal.

이러한 기술로서,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057132호 등에 게시되어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들에서는, 스마트 안전 통합 관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건설 현장에 대한 디지털 지도, 장비 탑재 영상, 시공 환경 영상 및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건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건설 정보를 데이터 마이닝하여 안전 관련 위험 요인 분석 시나리오 및 위험 시나리오를 수립하는 단계, 생성된 어느 하나의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건설 현장의 재해 발생 여부 또는 안전 사고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재해 발생 알림, 안전 사고 알림 및 대응 지침 중 적어도 하나의 안전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안전 관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건설 현장 내 각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This technology is published, for example,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57132. In the above prior arts, it relates to smart safety integrated control technology, specifically, receiving at least one piece of construction information among a digital map of the construction site, equipment-mounted video, construction environment video, and sensing data, and the received construction information. Establishing safety-related risk factor analysis scenarios and risk scenarios by data mining, monitoring whether a disaster or safety accident has occurred at the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generated scenarios, and notifying disaster occurrences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ep of generating at least on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among safety accident notifications and response guidelines, and a step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facility in the construction site based on the generated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이러한 선행 기술에 의하면, 건설현장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비정형 데이터에 대해 빅데이터 기반의 데이터 정형화 시스템 구축 기술 향상시키고, 건설현장의 다양한 안전사고에 대한 체계적인 분류를 통해 건설현장의 안전 데이터를 구축하고, 예측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se prior technologies, the technology to build a big data-based data formalization system is improved for various unstructured data produced at construction sites, and construction site safety data is constructed and predicted through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various safety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This effect can be expected.

그러나 상기의 기술들은 치명적인 문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시공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변화되거나 관리자만이 인지할 수 있는 시나리오에 대한 영향 또는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하는 영역 등을 반영하여 안전 시나리오에 대한 수정 등이 불가능하여, 시공 현장별로 정확하게 맞춤화된 안전 모니터링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above technologies have fatal problems. For example, it is impossible to modify the safety scenario to reflect real-time changes at the construction site, the impact of the scenario that only managers can perceive, or areas that need to be intensively monitored, so safety is accurately customized for each construction site. There are problems that cannot be monitored.

또한, 시공 현장에서 작업자별로 정확한 상태를 파악하기 어려워, 작업자별로 안전 시나리오에 따라서 자신이 위험한 상황인지 여부를 파악하기 어려워, 이를 보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지적되고 있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status of each worker at a construction site, and it is difficult for each worker to determine whether he or she is in a dangerous situation according to the safety scenario, so the need for technology that can supplement this is pointed out.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시공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변화되거나 관리자만이 인지할 수 있는 시나리오에 대한 영향 또는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하는 영역 등을 반영하여 안전 시나리오에 대한 수정 등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 현장 별 최적화된 안전 시나리오에 따라서 안전 모니터링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for example, changes in real time at the construction site, impacts on scenarios that only managers can recognize, or areas that need to be intensively monitored are reflected in the safety scenario. The purpose is to provide technology that enables safety monitoring according to an optimized safety scenario for each construction site by enabling modifications.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리되는 안전 시나리오에 있어서 작업자의 상태를 정밀하고 다양한 요소를 이용하여 파악하고 이에 따라서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안전에 위험이 가해질 수 있는 경우 정확하게 알림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이 크게 향상된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the worker's condition precisely and using various factors in the safety scenario managed as above, and thus accurately notifies workers and managers when there is a risk to safety, thereby ensuring safety. There is another purpose in providing this greatly improved technology.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현장의 작업자 상태 정보를 이용한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은, 시공 현장에서의 시공 타입 및 현장 정보에 대응되도록 기설정된 안전 규정 정보 및 관리 단말로부터 입력된 안전 조건 정보에 근거하여, 시간, 공간 및 작업자별로 설정된 안전 수칙에 대한 정보인 안전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안전 시나리오 관리부; 시공 현장에 배치된 다수의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 및 시공 현장 설비를 객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하고, 인식된 작업자의 위치, 작업자의 상태, 시공 현장 설비의 상태, 작업자와 시공 현장 설비와의 관계 정보 및 상기 안전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안전 상태를 분석하여 안전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안전 상태 분석부; 및 생성된 안전 상태 정보를 취합하여 전체 시공 현장에 대한 안전 현황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안전 현황 정보 및 안전 현황 정보에 포함된 안전 상태 정보를 관리 단말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도록 하는 안전 관리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s, an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worker status information at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information from preset safety regulation information and management terminals to correspond to the construction type and site information at the construction site. A safety scenario management unit that creates and manages safety scenarios, which are information about safety rules set for each time, space, and worker, based on the input safety condition information; Using image data captured from multiple video capture devices placed at the construction site, workers and construction site facilities are recognized through an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and the location of the recognized worker, the state of the worker, the state of the construction site equipment, the worker and A safety status analysis unit that generates safety status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safety status of workers using relationship information with construction site equipment and the safety scenario; And the generated safety status information is collected to generate safety status information for the entire construction site, and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output to output the generated safety status information and the safety stat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afety status information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anagement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art;

상기 안전 시나리오 관리부는, 작업자별 안전 장비 착용에 대한 규정 정보, 시공 타입 및 현장의 규모에 따른 안전 설비 배치에 관련된 규정 정보 및 상기 안전 조건 정보로서 전체 시공 현장에 포함된 시공 영역별로 설정 가능한 안전 조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안전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afety scenario management unit provides safety conditions that can be set for each construction area included in the entire construction site as regulatory information on wearing safety equipment for each worker, regulatory information related to safety equipment placement according to construction type and site size, and the safety condi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reate and manage the safety scenario using information about.

상기 안전 시나리오 관리부는, 상기 관리 단말을 통해 접속한 인증된 시공 현장의 관리자 계정으로부터의 안전 시나리오에 대한 설정 입력을 반영하여, 상기 안전 시나리오를 갱신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afety scenario management unit is capable of updating the safety scenario by reflecting the setting input for the safety scenario from an authenticated construction site manager account accessed through the management terminal.

상기 안전 시나리오에 대한 설정 입력은, 상기 시공 영역에 대한 선택 입력, 선택 입력된 시공 영역에 대한 안전 레벨 정보에 대한 설정 입력 및 상기 안전 레벨 정보별로 설정되는 작업자의 출입 가능 시간, 출입 가능 작업자의 지위 및 출입 작업자의 안전 장비에 대한 설정 입력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etting input for the safety scenario includes a selection input for the construction area, a setting input for safety level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construction area, and the worker's access time set for each safety level information and the status of the worker who can enter. It is possible to include setting input for safety equipment of entering and exiting workers.

상기 안전 상태 분석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신체 또는 작업자가 장착한 장비에 부착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식별 정보를 파악하는 작업자 식별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장착한 안전 장비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장착 장비 식별부; 및 시공 영역별로 설정된 안전 레벨 정보와 상기 안전 시나리오 정보에 상기 작업자의 식별 정보 및 작업자가 장착한 안전 장비에 대한 정보를 적용하여 시공 영역에 대한 작업자의 출입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시공 영역에서의 작업자의 정상 안전 장비의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별 안전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안전 상태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afety status analysis unit includes a worker identific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work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the image data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tached to the worker's body or equipment worn by the worker; an installed equipment identification unit that determines information about safety equipment installed by the worker using the image data; And by applying the work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safety equipment installed by the worker to the safety level information set for each construction area and the safety scenario information, information on whether the worker can enter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worker in the construction area It is possible to include a first safety status determination unit that generates safety status information for each worker including information on whether normal safety equipment is worn.

상기 안전 상태 분석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신체 또는 작업자가 장착한 장비에 부착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식별 정보를 파악하는 작업자 식별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장착한 안전 장비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장착 장비 식별부; 및 인식된 작업자의 위치 및 시공 현장 설비의 위치 사이의 거리 관계, 상기 작업자의 식별 정보 및 작업자가 장착한 안전 장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시공 현장 설비로부터 수신된 시공 현장 설비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시공 현장 설비에 관련된 안전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안전 상태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afety status analysis unit includes a worker identific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work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the image data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tached to the worker's body or equipment worn by the worker; an installed equipment identification unit that determines information about safety equipment installed by the worker using the image data; and the distanc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zed location of the worker and the loca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equipme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er and information about the safety equipment equipped by the worker, and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ng status of the construction site equipment received from the construction site equipment. It is possible to include a second safety state determination unit that generates safety st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worker's construction site equipment.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시공 현장을 층별로 구성한 3차원의 시공 현장 맵, 상기 시공 현장 맵 상에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인식된 작업자의 영상 데이터 상의 크기 및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된 작업자의 위치가 매핑되어 출력되는 작업자 아이콘, 상기 작업자의 안전 상태를 나타내는 안전 상태 정보, 상기 시공 현장 설비로부터 수신된 시공 현장 설비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안전 현황 정보에 대한 이력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user interface is a three-dimensional construction site map that organizes the construction site by floor, and the location of the worker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and location information on the video data of the worker recognized in the video data is mapped on the construction site map. It is possible to include an output worker icon, safety status information indicating the safety status of the worker,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us of construction site equipment received from the construction site equipment, and history data on safety status information.

상기 안전 현황 정보는, 상기 작업자의 안전 상태를 작업자별로 분석한 결과인 안전 상태 정보, 전기로 구동되는 시공 현장 설비로부터 수신된 시공 현장 설비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인식된 시공 현장 설비의 외관에 대한 상태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도출되는 시공 현장 설비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afety status information includes safety status information that i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worker's safety status for each worker,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us of construction site equipment received from electrically driven construction site equipment, and construction site recognition from the video data. It is possible to include status information of construction site facilities derived through a status analysis algorithm for the exterior of the facility.

상기 안전 관리 정보 출력부는, 작업자별 안전 상태 정보에 따라서 작업자가 위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작업자 단말에 위험 상황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If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output unit determines that the worker is in a dangerous state according to the safety status information for each worker, it is possible to transmit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dangerous situation to the worker terminal.

상기 안전 관리 정보 출력부는, 상기 작업자의 지위가 시공 현장에 포함된 시공 영역별로 상기 안전 시나리오에 따라서 설정된 출입 가능한 레벨의 지위가 아닌 경우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식된 작업자의 안전 장비 착용 상태가 상기 시공 영역별로 상기 안전 시나리오에 따라서 설정된 기준에 미달되는 경우 상기 위험 상황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output unit outputs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when the worker's status is not at the entry level set according to the safety scenario for each construction area included in the construction site and when the worker's safety equipment wearing status recognized using the video data is If the construction area falls short of the standards set according to the safety scenario, it is possible to transmit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dangerous situ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 시나리오 관리부가 초기에 각 시공 현장의 속성 정보와 안전 설비 등에 대한 규정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안전 시나리오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때 관리 단말에 의하여, 시공 현장에 포함된 각 시공 영역에 대한 안전 시나리오의 편집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시간대별, 작업자별로 안전 사나리오에 대한 편집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scenario management department initially automatically creates a safety scenario us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each construction site and regulations on safety equipment, etc., and at this time, each construction area included in the construction site is controlled by the management terminal. Editing of safety scenarios is possible. In particular, it has the feature of allowing editing of safety scenarios by time zone and worker.

이에 따르면, 획일적인 안전 시나리오에 따라서 시공 현장마다 발생될 수 있는 이슈에 대한 반영이 실시간으로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을 통해 가능하기 때문에, 시공 현장 별 특수성을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어, 시공 현장에 대한 안전 모니터링의 효율이 크게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is, since it is possible to reflect issues that may arise at each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a uniform safety scenario through input to the user interface in real time,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each construction site can be reflected very quickly and accurately, ensuring safety at the construction site. This has the effect of greatl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safety monitoring.

또한, 각 작업자의 상태를 인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 작업자별로 안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이에 대한 알림 및 관리가 수행되기 때문에 기존의 기술에 비하여 안전 모니터링의 효율이 크게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atus of each worker is recognized and based on this, information on the safety status of each worker is monitored and notification and management are performed, the efficiency of safety monitoring is greatly increased compared to existing technologi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현장의 작업자 상태 정보를 이용한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안전 시나리오가 관리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안전 시나리오가 최초 생성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자별 안전 상태 정보가 관리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자 단말에 출력되는 알림 정보의 출력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n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worker status information at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low in which safety scenarios are mana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low in which a safety scenario is initially cre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safety status information for each worker is mana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utput example of notification information output to a work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ample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now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to facilitate a general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is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exampl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these aspects are illustrative and some of the various methods in the principles of the various aspects may be utilized, and the written description is intended to encompass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As used herein, “embodiment,” “example,” “aspect,” “example,” etc. may not be construed to mean that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is better or advantageous than other aspects or designs. .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dditionally, the terms "comprise" and/or "comprising" mean that the feature and/or element is present, bu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as not doing so.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dditionally, 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has the same meaning.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is not interpreted a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현장의 작업자 상태 정보를 이용한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안전 시나리오가 관리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안전 시나리오가 최초 생성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자별 안전 상태 정보가 관리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자 단말에 출력되는 알림 정보의 출력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및 각 세부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을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함께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n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worker status information at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llustrates the flow in which safety scenarios are mana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low in which a safety scenario is first cre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safety status information for each worker is mana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to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shows an example of notification information output to a work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for explan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order to explain various embodiments and each detailed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umber of drawings will be referred to together.

또한, 본 발명의 설명 및 도면에는 일부 본 발명에서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구성, 기능 및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나, 이는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을 위하여 포함되어야 하는 공지의 기술들에 대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각 구성 요소 간의 통신 방법 및 통신을 수행하는 게이트 웨이 등의 네트워크 및 이이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 들에 대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configurations, functions, and descriptions thereof that must be essentially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but this refers to known technologies that must be included to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e.g. For example, it will be understood as a network and components included therein, such as a series of processes for implementing a user interface, a computing device that performs this,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each component, and a gateway that performs communic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현장의 작업자 상태 정보를 이용한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10, 이하 '본 발명의 시스템'이라 함)은, 후술하는 도 9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될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worker status information at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with a computing device to be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FIG. 9 below. It can be.

상기의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현장의 작업자 상태 정보를 이용한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시나리오 관리부(11), 안전 상태 분석부(12) 및 안전 관리 정보 출력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drawings, the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10 using worker status information at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afety scenario management unit 11 and a safety status as shown in FIG. 1.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analysis unit 12 and a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output unit 13.

안전 시나리오 관리부(11)는, 시공 현장에서의 시공 타입 및 현장 정보에 대응되도록 기설정된 안전 규정 정보 및 관리 단말(30)로부터 입력된 안전 조건 정보에 근거하여, 시간, 공간 및 작업자별로 설정된 안전 수칙에 대한 정보인 안전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safety scenario management unit 11 sets safety rules for each time, space, and worker based on safety regulation information preset to correspond to the construction type and site information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safety condi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management terminal 30. It performs the function of creating and managing safety scenarios, which are information about.

안전 상태 분석부(12)는, 시공 현장에 배치된 다수의 영상 촬영 장치(40)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 및 시공 현장 설비를 객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하고, 인식된 작업자의 위치, 작업자의 상태, 시공 현장 설비의 상태, 작업자와 시공 현장 설비와의 관계 정보 및 안전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안전 상태를 분석하여 안전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safety status analysis unit 12 uses image data captured from a plurality of image capture devices 40 placed at the construction site to recognize workers and construction site facilities through an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and recognizes the location of the recognized worker, It performs the function of generating safety status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worker's safety status using the worker's status, the status of the construction site equipment,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the worker and the construction site equipment, and the safety scenario.

안전 관리 정보 출력부(13)는, 생성된 안전 상태 정보를 취합하여 전체 시공 현장에 대한 안전 현황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안전 현황 정보 및 안전 현황 정보에 포함된 안전 상태 정보를 관리 단말(30)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output unit 13 collects the generated safety status information to generate safety status information for the entire construction site, and sends the generated safety status information and safety stat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afety status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terminal 30. ) performs a function to output to the user interface.

구체적으로 안전 시나리오 관리부(11)는, 시공 현장에 대한 정보로부터 자동으로 생성되는 안전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기능과, 안전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도중, 관리 단말(30)로부터 입력되는 안전 조건 정보에 따라서 안전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편집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Specifically, the safety scenario management unit 11 has a function of generating and managing information about safety scenarios automatically generated from information about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management terminal 30 while generating and managing information about safety scenarios. It performs the function of editing and managing information on safety scenarios according to the safety condition information input from.

본 발명에서 안전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안전 사고 발생 시의 대응 요령, 시공 현장에 포함된 다수의 시공 영역별로 설정되는 안전 수칙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안전 수칙은 작업 시간 및 비작업 시간 등을 구분함으로써 시간대별로 설정되거나, 작업자의 레벨(지위)별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수칙은, 해당 시공 영역에 대한 출입 여부의 제어 및 시공 영역에 존재하는 작업자의 안전 장비의 착용에 대한 조건 등을 의미한다. 관리 단말(30)로부터 입력되는 안전 조건 정보 역시 상기의 안전 수칙에 대한 설정 입력에 따른 정보로서 이해될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n safety scenarios will be understood to include, for example, information on response methods in the event of a safety accident, safety rules established for each of the multiple construction areas included in the construction site, etc. Safety rules can be set by time zone by dividing work time and non-work time, or by worker level (position). Specifically, safety rules refer to the control of access to the relevant construction area and the conditions for wearing safety equipment by workers present in the construction area. Safety condi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management terminal 30 will also be understood a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put of settings for the above safety rules.

즉, 안전 시나리오 관리부(11)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정 기관(60)으로부터 시공 현장에 대한 안전 규정 및 법규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20)에서 이를 기반으로 하여 가공된 안전 수칙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최초 안전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That is, the safety scenario management unit 11 receives information on safety regulations and laws for the construction site from the administrative agency 6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and processes it based on this in the database 20.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afety scenario is created using information about the safety rules provided.

이에 대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단말(30)로부터 안전 조건 정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게 되면, 기 생성된 안전 시나리오 정보를 편집하여 저장함으로써, 최신 버전의 안전 시나리오 정보를 실시간으로 변환하여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Regarding this, as shown in FIG. 2, when input for safety condi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terminal 30, the previously generated safety scenario information is edited and stored, thereby converting and storing the latest version of the safety scenario information in real time. It will be done.

최초 생성되는 안전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20) 및 행정 기관(60)으로부터 수신한 법규 등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이때, 일반적인 시공 현장에서의 안전 수칙에 대한 정보는 시공 현장에 관련된 정보와 관계없이 생성될 수 있으나, 시공 현장에 특수화된 안전 수칙에 대한 정보 역시 시공 현장에 대한 안전 시나리오 생성 시 필요시될 수 있다. Information on the safety scenario that is initially created is generated using information on laws and regulations received from the database 20 and the administrative agency 60,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information about safety rules at a general construction site can be generated regardless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struction site, but information about safety rules specialized for the construction site may also be necessary when creating a safety scenario for the construction site. .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20)에는 시공 현장에 대한 정보로서, 시공 현장의 맵 정보, 시공 현장의 세부 정보 및 시공 현장의 타입에 대한 정보 등이 관리될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현장 정보(100)로서, 맵 정보 및 세부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base 20 may manage information about the construction site, such as map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construction site, and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the construction site. That is, referring to FIG. 3, map information and detailed information may be used as site information 100.

맵 정보는 행정 구역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시공 현장의 상세 위치, 시공 현장 인근의 건축물 및 도로 등의 지역에 대한 정보, 넓이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시공 현장의 세부 정보는, 시공 현장에서 구축되는 건축물 등의 시설물의 상세한 정보, 사용되는 원자재 등에 대한 정보, 시공 기간 등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Map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dministrative districts, etc., detailed loca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on areas such as buildings and roads near the construction site, and information on area. Detailed information on the construction site may include detailed information on facilities such as buildings constructed at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on raw materials used, etc., and information on the construction period.

시공 타입(110)에 대한 정보는, 시공 현장에 특화된 시공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상업용 건물, 거주용 건물 등에 대한 시공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 토목 공사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 등, 시공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Information about the construction type 110 is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construction specialized for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that can determine whether it is construction for a commercial building, residential building, etc., and information that can determine whether it is civil engineering work. This refers to information that can determine the type of construction.

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면, 시공 현장별로, CCTV 등의 안전 장비, 소화기 등의 안전 설비, 작업자가 구비해야 하는 장비로서의 현장 설비나 휴대 안전 장비(안전모 등) 등에 대한 정보인 일반적 안전 시나리오(120)가 일반적인 안전 규정 및 시공 현장 별로 특수화된 안전 규정에 따라서 도출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정보 이외에, 표준 작업 시간 정보, 작업 영역별 필요시되는 안전 설비 및 해당 작업 영역에 존재하거나 존재할 수 있는 작업자들에게 장착이 요구되는 안전 장비 등에 대한 정보가 안전 사나리오(120)에 포함될 수 있다. Using this information, general safety scenarios (120) are information on safety equipment such as CCTV, safety equipment such as fire extinguishers, field equipment as equipment that workers must have, and portable safety equipment (hard hats, etc.) for each construction site. can be derived according to general safety regulations and safety regulations specialized for each construction site. At this tim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the safety scenario 120 includes information on standard work hours, safety equipment required for each work area, and safety equipment required to be installed by workers who exist or may exist in the work area. You can.

이에 바탕으로 고려하면, 관리 단말(30)에 의하여 입력되는 안전 조건 정보 역시 상술한 안전 시나리오에 대한 편집 입력으로서의 안전 수칙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임은 당연할 것이다. 이에 따라서, 안전 시나리오 관리부(11)는, 작업자별 안전 장비 착용에 대한 규정 정보, 시공 타입 및 현장의 규모에 따른 안전 설비 배치에 관련된 규정 정보 및 안전 조건 정보로서 전체 시공 현장에 포함된 시공 영역별로 설정 가능한 안전 조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Considering this, it would be natural that the safety condi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management terminal 30 is also information that can be included in the safety rules as an editing input for the above-described safety scenario. Accordingly, the safety scenario management unit 11 provides regulatory information on the wearing of safety equipment for each worker, regulatory information and safety cond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placement of safety equip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construction and the size of the site, for each construction area included in the entire construction site. Safety scenarios can be created and managed using information about configurable safety conditions.

이때 안전 시나리오 관리부(11)는 상술한 유저 인터페이스 등에 의하여 안전 조건 정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관리 단말(30)에 출력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일 메뉴로서, 안전 조건 정보를 입력하여 안전 시나리오를 편집할 수 있는 메뉴를 호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안전 조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safety scenario management unit 11 may receive input about safety cond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above-described user interface, etc. In other words, it is a menu included in the user interface output to the management terminal 30, and a menu for editing a safety scenario by inputting safety condition information can be called and used to input safety cond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re is.

이 경우, 안전 시나리오 관리부(11)는, 관리 단말(30)을 통해 접속한 인증된 시공 현장의 관리자 계정으로부터의 안전 시나리오에 대한 설정 입력을 반영하여 안전 시나리오를 갱신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afety scenario management unit 11 may update the safety scenario by reflecting the setting input for the safety scenario from an authenticated construction site manager account accessed through the management terminal 30.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의 예와 같이 출력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200) 상에서 시나리오 편집 메뉴(208)를 선택 시,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 단말(30)에서 안전 시나리오에 대한 편집이 가능한 메뉴로서, 도 6과 같은 인터페이스 화면(210)이 출력될 수 있다.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when selecting the scenario edit menu 208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200 that can be output as in the example of FIG. 5, editing of the safety scenario is performed on the management terminal 30 as described above. As a possible menu, an interface screen 210 as shown in FIG. 6 may be output.

상기의 화면(210)을 참조하면, 관리자는 자신의 계정을 통해 관리 단말을 이용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호출하고 상술한 프로세스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210)에서, 안전 시나리오에 대한 편집 입력으로서 원하는 안전 조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screen 210 above, the manager calls the user interface using the management terminal through his/her account and displays the desired safety condition as an edit input for the safety scenario in the screen 210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You can enter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층 선택 메뉴(211)를 통해 예를 들어 드롭 바(Drop-Bar) 형태의 메뉴로서 시공 대상이 되는 건축물이 다층 구조인 경우 각 층의 레이아웃(Layout)을 호출하여 이에 대한 안전 시나리오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rough the floor selection menu 211, for example, as a drop-bar type menu, if the building to be constructed is a multi-story structure, the layout of each floor can be called and the safety scenario for this can be edited. It can be done.

이 경우 출력되는 화면에는 기존에 설정된 최신의 안전 조건 정보, 즉 안전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가 현재 정보로서 출력될 수 있고, 이로부터 안전 시나리오에 대한 편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latest safety condition information previously set, that is, information about the safety scenario, can be displayed as current information on the output screen, and the safety scenario can be edited from this.

이때, 관리자 계정은 레이아웃 맵(212)을 확인할 수 있는데, 레이아웃 맵(212)은 시공 현장에 포함된 복수의 시공 영역이 출력되는 화면으로서, 관리자는 해당 화면에 있어서 드래그 등의 입력을 통해서, 안전 시나리오에 대해서 안전 조건 정보를 입력하여 편집하기 원하는 시공 영역(213)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시공 영역을 선택 입력 시 하나 이상의 시공 영역을 상술한 드래그 입력 등으로 유저가 직접 선택하거나, 시공 현장에서 구획, 현장 설비의 커버리지, 위험성에 대한 표준 규칙 등에 따라서 어느 한 시공 영역을 선택 시 하나 이상의 시공 영역이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dministrator account can check the layout map 212. The layout map 212 is a screen on which a plurality of construction areas included in the construction site are output, and the administrator can use inputs such as dragging on the screen to ensure safety. You can select the construction area 213 you want to edit by entering safety condition information for the scenario. At this time, when selecting a construction area, the user can directly select one or more construction areas using the above-described drag input, etc., or when selecting a construction area at the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the division, coverage of field facilities, standard rules for risk, etc., one or more construction areas can be selected. The construction area can be selected automatically.

본 발명에 있어서 시공 영역이란, 시공 현장을 이루는 세부적인 단위 영역으로서, 예를 들어 시공현장별 공종별, 공정별로 세분화될 수 있는 영역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area is a detailed unit area that makes up a construction site, and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that includes areas that can be subdivided by construction site, construction type, and process, for example.

안전 시나리오 관리부(11)가 하나 이상의 시공 영역(213)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게 되면, 해당 시공 영역(213)에 대한 안전 시나리오 정보에 아래 각 메뉴 상에 출력될 수 있고, 이에 대해서 안전 레벨 정보에 대한 설정 입력 및 상기 안전 레벨 정보별로 설정되는 작업자의 출입 가능 시간, 출입 가능 작업자의 지위 및 출입 작업자의 안전 장비에 대한 설정 입력을 안전 레벨 정보에 대한 설정 입력 및 상기 안전 레벨 정보별로 설정되는 작업자의 출입 가능 시간, 출입 가능 작업자의 지위 및 출입 작업자의 안전 장비에 대한 설정 입력을 수행한 후 저장하기 메뉴(214)를 선택하여, 안전 시나리오에 대한 편집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When the safety scenario management unit 11 receives a selection input for one or more construction areas 213, the safety scenario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area 213 can be output on each menu below, and for this, safety level information Setting input for the safety level information and the worker's access time set for each safety level information, the status of the worker for access, and the setting input for the safety equipment of the worker for access. After entering the settings for the access time, the status of the access worker, and the safety equipment of the access worker, you can select the save menu 214 to save the edited content of the safety scenario.

본 발명에서 안전 레벨 정보는, 해당 시공 영역에 출입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작업자 또는 관리자 등 시공 현장에 배치될 수 있는 인력의 지위에 대한 그레이드 정보(G1, G2 등)를 의미한다. 이때 해당 작업자의 출입 가능 시간(T1)이 설정될 수 있는데, 이는 모든 작업자의 출입 가능 시간의 설정, 특정 출입 가능 시간 대에 방문 가능한 작업자의 그레이드 설정, 특정 출입 가능 시간 대에 작업자가 장착해야 하는 안전 장비(D1, D2, D3)에 대한 설정 등이 서로 독립적 또는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설정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afety level information refers to grade information (G1, G2, etc.) about the status of personnel who can be deployed at the construction site, such as workers or managers who are judged to be able to enter the relevant construction area. At this time, the worker's access time (T1) can be set, which includes setting the access time for all workers, setting the grade of workers who can visit during a specific access time, and the equipment that the worker must wear during a specific access time. Settings for safety equipment (D1, D2, D3) can be set independently or in complex combination.

이와 같은 안전 시나리오에 대한 설정 입력이 가능한 도 6의 화면 등에 의하여 안전 시나리오가 설정되면, 그 즉시 갱신된 안전 시나리오에 의하여 시공 현장에 대한 모니터링이 수행된다. 즉, 안전 상태 분석부(12)는 상술한 안전 시나리오와 시공 현장에서 수집되는 정보들을 이용하여, 시공 현장 전체 또는 작업자별 안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When a safety scenario is set using the screen of FIG. 6 where settings for such a safety scenario can be entered, monitoring of the construction site is immediately performed using the updated safety scenario. That is, the safety status analysis unit 12 uses the above-described safety scenario and information collected at the construction site to generate information on the safety status of the entire construction site or each worker.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위치, 작업자의 상태, 시공 현장 설비의 상태, 작업자와 시공 현장 설비와의 관계 정보 및 안전 시나리오를 복합적으로 고려하게 된다.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location of the worker, the worker's condition, the state of the construction site equipment,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the worker and the construction site equipment, and the safety scenario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a complex manner.

이때 작업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상술한 영상 촬영 장치(40)에 대해서 세팅된 정보로서, 영상 촬영 장치(40)의 시공 현장 상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 FOV(Field Of View)에 대한 정보 및 영상 데이터에서 인식된 작업자 객체의 영상 데이터 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고, 특정 층에 대한 정보 역시 상기의 영상 촬영 장치(40)의 설치 위치로부터 인식될 수 있다. 또는 외부의 위치 계측 수단 및 작업자의 휴대 단말(60) 등의 위치 계측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 작업자의 구체적인 층위 및 세부 위치에 대한 정보가 판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about the worker's location is information set for the above-described video capture device 40,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video capture device 40 on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about FOV (Field Of View), and video. It can be generated by processing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operator object recognized in the data in the image data, and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floor can also be recognized from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image capture device 40. Alternatively, as a result of performing a position measurement process using an external position measurement means and the worker's mobile terminal 60, information on the worker's specific level and detailed position may be determined.

작업자의 상태는, 현재 작업중 또는 휴식중인지 여부, 작업자의 몸 형태, 몸 형태에 대한 연속 프레임 분석을 통해 판단되는 작업자의 몸 동작 형태, 작업자가 장착한 안전 장비, 작업자가 이용 중인 시공 설비에 대한 정보 등을 바탕으로 판단되는 객체 상태 판별 알고리즘에 대한 결과를 의미하며, 상기의 정보들이 판별 결과로서 도출될 수 있다.The worker's status includes whether the worker is currently working or resting, the worker's body shape, the worker's body movement type determined through continuous frame analysis of the body shape, safety equipment installed by the worker, and information about the construction equipment the worker is using. It refers to the result of the object state determination algorithm determined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and the above information can be derived as the determination result.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촬영 장치(40)가 영상 데이터에서 작업자를 인식 시, 작업자가 장착한 장비(D1, D2) 등에 대한 정보가 객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서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모, 형광 자켓 등이 장비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장비(D1, D2)에 대한 인식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 한편 추가적으로 작업자의 장비 등에 장착되거나 인쇄된 코드(I1)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식별 정보, 즉 이름, 아이디, 직위 등에 대한 정보가 인식 및 도출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서 작업자에 대한 영상 데이터 상의 분석만을 통해 어느 작업자인지 여부가 식별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4, when the image capturing device 40 recognizes a worker from image data, information about the equipment (D1, D2) worn by the worker, etc. can be extracted through an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For example, a hard hat, a fluorescent jacket, etc. may be included in the equipment, and recognition results for the equipment (D1, D2) may be derived accordingly. Meanwhile, additionally, the work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name, ID, position, etc., can be recognized and derived by using the code (I1) mounted or printed on the worker's equipment, etc., and through this, video data about the worker can be analyzed. Through this, it can be identified which worker it is.

시공 현장 설비의 상태는 크게 비전기식 설비와 전기식 설비에 따라서 다르게 분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전기식 설비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비(50)로서, 이에는 상술한 코드(I1)와 마찬가지로, 설비(50)에 장착되거나 인쇄된 코드(I2)에 대한 인식을 통해서 설비 자체가 식별될 수 있고, 설비(50)에 대한 상술한 형태, 연속 프레임 분석을 통해 판단되는 설비의 형태 변화 등에 의한 구동 상태의 정보 등이 도출되어, 설비(50)의 안전 상태에 대한 정보가 도출될 수 있다. The status of construction site facilities can be analyz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non-electrical or electric. For example, in the case of non-electric equipment, the equipment 50 as shown in FIG. 4 includes recognition of the code I2 mounted or printed on the equipment 50, like the code I1 described above. Through this, the equipment itself can be identified, and information on the driving state due to the above-described form of the equipment 50 and changes in the shape of the equipment determined through continuous frame analysis are derived, there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safety status of the equipment 50. Information can be derived.

한편, 전기식 설비의 경우, 상술한 코드(I2)의 인식을 통해 영상 데이터에 인식된 설비가 어떤 설비인지 여부가 판단되면, 설비와의 통신 기능을 통해서 설비의 구동 상태에 대한 정보가 직접 관리 단말(30)로 전송되어, 이로부터 정상 구동 상태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안전 상태 정보가 도출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case of electrical equipment, if it is determined what kind of equipment is recognized in the image data through recognition of the above-mentioned code (I2),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ng status of the equipment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equipment. It is transmitted to (30), from which safety state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normal driving state, etc. can be derived.

이와 같이 파악되면, 도 4의 우측 데이터 셋과 같이, 작업자의 위치(P1), 작업자의 ID를 이용하여 판단된 식별 정보(U1) 및 레벨 정보(G1), 상태 정보(작업중), 작업자가 장착한 안전 장비(D1, D2)에 대한 정보 등이 도출될 수 있고, 시공 현장 설비에 대한 정보로는 위치(P1) 및 식별 정보(S1) 등이 도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설비가 전기식인 경우로서 구동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직접 통신 기능을 통해서 설비로부터 관리 단말(30)에 전달될 수 있다.If identified in this way, as shown in the data set on the right side of Figure 4, the operator's location (P1), identification information (U1) and level information (G1) determined using the operator's ID, status information (working), and the operator's installed Information about safety equipment (D1, D2), etc. can be derived, and information about construction site facilities such as location (P1)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1) can be derived. In this case, when the equipment is electric, information about the driving state can be transmitted from the equipment to the management terminal 30 through the direct communication function as described above.

작업자와 시공 현장 설비와의 관계 정보는, 작업자의 지위 등을 통해 판단되는 상술한 전기식 또는 비전기식 설비에 대한 이용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 영상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파악되는 작업자 객체와 설비 객체 간의 거리에 따른 인접 여부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로부터 파악되는 안전 상태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작업자의 지위가 허락되지 않은 시공 현장 설비에 기설정된 임계 거리보다 가깝게 인접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구동 중일 때 접근이 금지된 시공 현장 설비에 대해서 구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동시에 작업자 객체가 기설정된 임계 거리보다 가깝게 인접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안전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는 것과 같은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시공 현장 설비가 시공 시간에 있어서 특정 지위를 갖는 작업자에게 필요한 안전 장비(예를 들어 생명줄이나 측면 비계 이탈 방지 장치 등)인 경우, 해당 장비가 작업자와 인접하지 않는 경우 안전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는 것과 같은 정보 역시 의미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안전 시나리오에 따라서 안전한 장비를 착용하고 인가된 작업자가 인가된 시공 현장 설비를 조작하는 경우 정상적인 상태로 안전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and construction site facilities includes information on the availability of the above-mentioned electrical or non-electrical facilities determined through the worker's status, etc., and the distance between worker objects and facility objects determined through analysis of image data. Includes information on whether it is adjacent or not. Information on the safety status obtained from this can be used, for example, when the worker's position is judged to be closer than a preset threshold distance to unauthorized construction site equipment, or to construction site equipment to which access is prohibited when in operation. This may refer to information such as determining an unsafe st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running and at the same time the worker object is determined to be closer than a preset threshold distance. Or, if the construction site equipment is safety equipment (e.g., lifeline or side scaffold escape prevention device, etc.) required for workers with a specific status during construction time, and the equipment is not adjacent to the worker, it is judged to be in an unsafe condition. The same information can also mean. Conversely, depending on the safety scenario, if an authorized worker wears safe equipment and operates approved construction site facilities, the safety condition may be judged as normal.

즉 안전 상태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출되는 상세한 안전 여부의 판단을 위한 정보 및 이를 고려하여 상술한 예와 같이 판단한 결과로서, 작업자가 현재 안전한 상태인지 또는 시공 현장 설비가 정상적인 구동을 하는 상태인지, 마지막으로 이로부터 현재 해당 시공 영역의 안전 상태가 정상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afety status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detailed safety deriv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result of judgment as in the above-mentioned example considering this, such as whether the worker is currently in a safe state or the construction site equipment is operating normally, Finally, this may include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safety status of the relevant construction area is normal.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안전 상태 분석부(12)는 세부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작업자 식별부, 장착 장비 식별부, 제1 안전 상태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perform this function, the safety state analysis unit 12 may include a detailed configuration, for example, a worker identification unit, an installed equipment identification unit, and a first safety status determination unit.

작업자 식별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신체 또는 작업자가 장착한 장비에 부착된 식별 정보(예를 들어 QR 코드나 ID카드 등)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식별 정보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worker identification unit uses image data to identify the worker's condition and us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QR code or ID card) attached to the worker's body or equipment worn by the worker. It performs the function of identify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장착 장비 식별부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장착한 안전 장비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 객체를 인식 시 작업자의 신체 부위에서 인식되는 픽셀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특정 객체를 인식하게 되면, 해당 객체에 대한 CNN 또는 RNN 등의 인공지능 신경망에 대한 적용 결과 도출되는 객체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 장비에 대한 식별을 수행하게 된다.The installed equipment identification unit performs the function of identifying information about the safety equipment installed by the worker using image data. For example, when recognizing a worker object, when a specific object is recognized by analyzing pixel data recognized from the worker's body par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object is derived as a result of apply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neural network such as CNN or RNN to the object. Identification of safety equipment is performed using .

제1 안전 상태 판단부는, 시공 영역별로 설정된 안전 레벨 정보와 상기 안전 시나리오 정보에 상기 작업자의 식별 정보 및 작업자가 장착한 안전 장비에 대한 정보를 적용하여 시공 영역에 대한 작업자의 출입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시공 영역에서의 작업자의 정상 안전 장비의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별 안전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first safety state determination unit applies the work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safety equipment installed by the worker to the safety level information set for each construction area and the safety scenario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worker can enter the construction area. and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safety status information for each worker, includ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worker is wearing normal safety equipment in the construction area.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장비에 관련된 안전 상태 역시 파악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작업자 식별 정보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신체 또는 작업자가 장착한 장비에 부착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식별 정보를 파악하는 기능을, 장착 장비 식별부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장착한 안전 장비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장착한 안전 장비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safety status related to the equipment can also be determined. In other words, the above-mentioned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s image data to determine the work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tached to the worker's body or the equipment installed by the worker, and the installed equipment identification uses image data to determine the work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performs the function of identifying information about the safety equipment installed by the worker by using video data to determine information about the safety equipment installed by the worker.

이때 안전 상태 분석부(12)에는 제2 안전 상태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2 안전 상태 판단부는, 인식된 작업자의 위치 및 시공 현장 설비의 위치 사이의 거리 관계, 상기 작업자의 식별 정보 및 작업자가 장착한 안전 장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시공 현장 설비로부터 수신된 시공 현장 설비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시공 현장 설비에 관련된 안전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afety state analysis unit 12 may include a second safety state determination unit, where the second safety stat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distanc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zed location of the worker and the loca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equipme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er, and the worker. It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safety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worker's construction site equipment by using information about the safety equipment installed and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ng status of the construction site equipment received from the construction site equipment.

이러한 안전 상태 정보를 안전 관리 정보 출력부(13)가 취합하면, 안전 관리 정보 출력부(13)는 이를 종합하여 전체 시공 영역을 종합하여 전체 시공 현장에 대한 안전 상태 정보들의 총합으로서 상술한 세부 정보 및 각 시공 영역별 안전한 상태인지 여부를 통합한 개념으로서의 한전 현황 정보를 생성하고, 후술한 바와 같이 전체 안전 현황 정보 및 이에 포함된 안전 상태 정보들을 유저 인터페이스에 구현하여 출력하도록 관리 단말(30)을 제어하게 된다. When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output unit 13 collects this safety status information,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output unit 13 synthesizes the entire construction area and provides the detailed information described above as a total of safety status information for the entire construction site. And KEPCO status information as an integrated concept of whether each construction area is in a safe state is generated, and as described later, the management terminal 30 is configured to implement and output the overall safety status information and the safety status information included therein on the user interface. takes control.

상술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200)을 통해서 판단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에는, 시공 현장을 층별로 구성한 3차원의 시공 현장 맵, 상기 시공 현장 맵 상에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인식된 작업자의 영상 데이터 상의 크기 및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된 작업자의 위치가 매핑되어 출력되는 작업자 아이콘, 상기 작업자의 안전 상태를 나타내는 안전 상태 정보, 상기 시공 현장 설비로부터 수신된 시공 현장 설비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안전 현황 정보에 대한 이력 데이터시공 현장을 층별로 구성한 3차원의 시공 현장 맵, 상기 시공 현장 맵 상에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인식된 작업자의 영상 데이터 상의 크기 및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된 작업자의 위치가 매핑되어 출력되는 작업자 아이콘, 상기 작업자의 안전 상태를 나타내는 안전 상태 정보, 상기 시공 현장 설비로부터 수신된 시공 현장 설비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안전 현황 정보에 대한 이력 데이터 등이 출력될 수 있다.An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user interface is shown in FIG. 5. Referring to FIG. 5, as can be seen through the user interface screen 200, the user interface includes a three-dimensional construction site map that organizes the construction site by floor, and the construction site. On the site map, a worker icon is displayed by mapping the position of the worker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and location information on the video data of the worker recognized in the video data, safety status information indicating the safety status of the worker, and construction site equipment.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us of construction site equipment and historical data on safety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a three-dimensional construction site map that organizes the construction site by floor, on the video data of workers recognized from the video data on the construction site map. A worker icon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worker determined based on size and location information is mapped and displayed, safety status information indicating the safety status of the worker,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us of construction site equipment and safety status received from the construction site equipment. History data about information, etc. may be output.

이에 따라서 화면(200)에는 상술한 바에 각각 대응하여 시공 현장 맵(201) 데이터, 이에 매칭되는 작업자 아이콘(203)이 출력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 상태를 나타내는 안전 상태 정보는 아이콘의 색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 진하게 표시된 작업자 아이콘이 안전 상태가 위험한 것으로 판단되는 작업자임을 표시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struction site map 201 data and the worker icon 203 matching i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200 in response to the above-mentioned information, and the safety status information indicating the worker's safety status is expressed by the color of the icon, etc. can be displayed. That i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worker icon displayed in bold in FIG. 5 indicates a worker whose safety condition is judged to be dangerous.

이때 진하게 표시된 작업자 아이콘을 선택 시, 예를 들어 상세한 작업자별 안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작업자에게 안전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화면(220)과 같은 서브 인터페이스가 관리 단말(30)에 출력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selecting the worker icon displayed in bold, for example, in order to check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afety status of each worker and enable the worker to take safety measures, a sub-interface such as screen 220 shown in FIG. 7 is displayed. may be output to the management terminal 30.

예를 들어 선택된 작업자(U1)에 대한 정보로서 맵(221) 상의 위치(222)에 대한 정보와, 현재 위험 상태임을 알리는 이벤트 효과(223)를 확인하고, 현재 상세 위치(L2, SEC2)에 대한 정보, 작업자의 등급(G3), 즉 레벨에 대한 정보 및 현재 인식된 안전 상태 정보의 상세 정보로서 작업자가 착용한 장비(D1, D2)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경고하기 메뉴(224)를 통해서 메시지 등을 전송하거나 미리 설정된 경고 알림 정보를 전송하여, 작업자 단말(60)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222 on the map 221 as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worker (U1), the event effect 223 indicating the current dangerous state, and the current detailed location (L2, SEC2) are checked.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the worker's grade (G3), that is, level information, and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ly recognized safety status information, check information about the equipment (D1, D2) worn by the worker, and warn through the menu 224. A message, etc. is transmitted or preset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so that this can be confirmed on the worker terminal 60.

특정 시공 영역(204)에 대한 정보는 안전 시나리오 상의 특이 사항이 표시되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현재 출입이 불가한 경우라든지, 작업자의 지위 레벨에 따라서 안전 시나리오가 설정된 상태인 영역 등을 표시한 이벤트로 이해될 수 있다.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 construction area 204 is information that displays special matters in the safety scenario, for example, a case where entry is currently impossible or an event that displays an area where a safety scenario is set according to the status level of the worker. It can be understood as

이력 보기 메뉴(20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력 데이터를 호출할 수 있는 메뉴이며, 메시지 보내기 메뉴(206)는 특정 작업자, 특정 레벨의 작업자 또는 전체 작업자 등에게 안전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시공 현장의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 수단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시각 출력 수단을 통해서 안전 또는 작업과 관련되어 송출할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이다. 작업 관리 메뉴(207)는 작업에 대한 특정 작업자, 특정 레벨의 작업자 또는 전체 작업자 등에게 지시를 내리거나, 작업자의 근태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메뉴이다. 시나리오 편집 메뉴(208)는 상술한 안전 시나리오에 대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는 메뉴이다. The history view menu 205 is a menu that allows you to recall history data as described above, and the send message menu 206 sends a message about safety to a specific worker, a specific level of workers, or all workers, or to a construction site. This is a menu that allows you to enter a message related to safety or work to be transmitted through an audio output means such as a speaker or a visual output means such as a display device. The work management menu 207 is a menu that allows you to give instructions to a specific worker, worker at a specific level, or all workers regarding a task, or perform worker attendance management. The scenario editing menu 208 is a menu that allows editing of the above-described safety scenario.

한편 안전 현황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 또는 장비 별 안전 상태 정보를 전체 시공 현장에 대해서 취합한 결과 생성될 수 있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작업자의 안전 상태를 작업자별로 분석한 결과인 안전 상태 정보, 전기로 구동되는 시공 현장 설비로부터 수신된 시공 현장 설비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 영상 데이터로부터 인식된 시공 현장 설비의 외관에 대한 상태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도출되는 시공 현장 설비의 상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태 분석 알고리즘은 상술한 바와 같은 객체에 대한 RNN, CNN 등의 AI 알고리즘을 통해, 현재 객체의 형태, 색상, 방향 등의 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될 수 있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시공 현장 설비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외형에 파손 등은 없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safety status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can be generated as a result of collecting safety status information for each worker or equipment for the entire construction site. For example, safety status information that i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afety status of workers for each worker,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us of construction site facilities received from electrically driven construction site facilities, and appearance of construction site facilities recognized from video data. Status information of construction site facilities derived through a condition analysis algorithm may be included. At this time, the state analysis algorithm is information that can be derived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s of the shape, color, and direction of the current object through AI algorithms such as RNN and CNN for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construction site equipment. Information on how it is being used and whether there is any damage to its appearance may be included.

상술한 정보를 바탕으로 안전 관리 정보 출력부(13)는 예를 들어 작업자별 안전 상태 정보에 따라서 작업자가 위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안전 상태 정보가 발견되는 경우, 상술한 도 7의 화면(220)에서의 경고하기 메뉴(224) 등에 대한 관리자 계정으로부터의 선택 시 또는 자동으로, 작업자 단말에 위험 상황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Based on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output unit 13 displays the screen 220 of FIG. 7 described above when, for example, safety state information that determines that the worker is in a dangerous state is found according to the safety state information for each worker. It is possible to transmit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a dangerous situation to the worker terminal when the administrator account selects the warning menu 224, etc. or automatically.

예를 들어 작업자의 지위가 시공 현장에 포함된 시공 영역별로 상기 안전 시나리오에 따라서 설정된 출입 가능한 레벨의 지위가 아닌 경우 및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식된 작업자의 안전 장비 착용 상태가 시공 영역별로 안전 시나리오에 따라서 설정된 기준에 미달되는 경우 위험 상황에 대한 알림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worker's status is not at the entry level set according to the safety scenario for each construction area included in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worker's safety equipment wearing status recognized using video data is included in the safety scenario for each construction area. Therefore, if the set standards are not met,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dangerous situations can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이와 같이 전송되는 위험 상황에 대한 알림 정보는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화면(230)과 같이 작업자 단말(60)에 팝업 등의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고, 위험 상황을 알리는 경고 정보와 함께, 위험 상황의 사유(231)에 대한 정보 역시 출력되어 작업자가 왜 자신이 현재 위험한 상황인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a dangerous situation transmitted in this way may be output as a pop-up screen on the worker terminal 60, for example, as shown in the screen 230 shown in FIG. 8, together with warning information indicating a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about the reason 231 for the dangerous situation can also be output so that the worker can intuitively recognize why he or she is currently in a dangerous situation.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8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9 illustrates an example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s of unnecessary embodiments that overlap with the description of FIGS. 1 to 8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Do this.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computing device 1000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1100, a memory 11200, a peripheral interface 11300, and an input/output subsystem ( It may include at least an I/O subsystem (11400), a power circuit (11500), and a communication circuit (11600). At this time, the computing device 10000 may correspond to a user terminal (A) connected to a tactile interface device or the computing device (B) described above.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11200 may include, for example, 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magnetic disk, SRAM, DRAM, ROM, flash memory, or non-volatile memory. there is. The memory 11200 may include software modules, instruction sets, or various other data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computing device 10000.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At this time, access to the memory 11200 from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processor 11100 or 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11300 may be controlled by the processor 111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may couple input and/or output peripherals of the computing device 10000 to the processor 11100 and the memory 11200. The processor 11100 may execute a software module or set of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1200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for the computing device 10000 and process data.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can couple various input/output peripheral devices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For example, 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coupling peripheral devices such as a monitor, keyboard, mouse, printer, or, if necessary, a touch screen or sensor to 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11300.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put/output peripheral devices may be coupled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without going through 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Power circuit 11500 may supply power to all or some of the terminal's components. For example, power circuit 11500 may include a power management system, one or more power sources such as batteries or alternating current (AC), a charging system, a 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a power converter or inverter, a power status indicator, or a power source. It may contain arbitrary other components for creation, management, and distribution.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enable communication with another computing device using at least one external port.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if necessary, 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include an RF circuit to transmit and receive RF signals, also known as electromagnetic signals,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other computing devices.

이러한 도 9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9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9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is embodiment of FIG. 9 is only an example of the computing device 10000, and the computing device 11000 omits some components shown in FIG. 9, further includes additional components not shown in FIG. 9, or 2 It may have a configuration or arrangement that combines more than one component. For example, a computing device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environment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or sensor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9, and may be configured to use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WiFi, 3G, LTE) in 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 , Bluetooth, NFC, Zigbee, etc.) may also include a circuit for RF communication. Compon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uting device 10000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hardware and software, including one or more signal processing or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ing device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particular, the progra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composed of a PC-based program or a mobile terminal-specific application. The applic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an be installed on a user terminal through a file provided by a file distribution system. As an example, the file distribution system may include a file transmission unit (not shown) that transmits the file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purpose or special-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A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that run on the operating system. Additionally, a processing device may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a single processing device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a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multiple processing elements and/or multiple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Additionally,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such as parallel processors, are possible.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which may configure a processing unit to operate as desired, or may be processed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or data may be used by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It can be embodied permanently or temporarily.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ing device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Includes optical media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etc.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from the above descrip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re used. Alternatively, appropriate results may be achieved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Claims (1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시공 현장의 작업자 상태 정보를 이용한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으로서,
시공 현장에서의 시공 타입 및 현장 정보에 대응되도록 기설정된 안전 규정 정보 및 관리 단말로부터 입력된 안전 조건 정보에 근거하여, 시간, 공간 및 작업자별로 설정된 안전 수칙에 대한 정보인 안전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안전 시나리오 관리부;
시공 현장에 배치된 다수의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 및 시공 현장 설비를 객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하고, 인식된 작업자의 위치, 작업자의 상태, 시공 현장 설비의 상태, 작업자와 시공 현장 설비와의 관계 정보 및 상기 안전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안전 상태를 분석하여 안전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안전 상태 분석부; 및
생성된 안전 상태 정보를 취합하여 전체 시공 현장에 대한 안전 현황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안전 현황 정보 및 안전 현황 정보에 포함된 안전 상태 정보를 관리 단말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도록 하는 안전 관리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안전 시나리오 관리부는,
작업자별 안전 장비 착용에 대한 규정 정보, 시공 타입 및 현장의 규모에 따른 안전 설비 배치에 관련된 규정 정보 및 상기 안전 조건 정보로서 전체 시공 현장에 포함된 시공 영역별로 설정 가능한 안전 조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안전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관리하고,
상기 안전 시나리오 관리부는,
상기 관리 단말을 통해 접속한 인증된 시공 현장의 관리자 계정으로부터의 안전 시나리오에 대한 설정 입력을 반영하여, 상기 안전 시나리오를 갱신하되,
상기 안전 시나리오에 대한 설정 입력은,
상기 시공 영역에 대한 선택 입력, 선택 입력된 시공 영역에 대한 안전 레벨 정보에 대한 설정 입력 및 상기 안전 레벨 정보별로 설정되는 작업자의 출입 가능 시간, 출입 가능 작업자의 지위 및 출입 작업자의 안전 장비에 대한 설정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 관리 정보 출력부는,
작업자별 안전 상태 정보에 따라서 작업자가 위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작업자 단말에 위험 상황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는, 위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작업자에 대한 조치를 취하기 위한 서브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상기 서브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위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작업자의 현재 상세 위치 정보, 등급 정보, 착용 장비에 대한 정보, 메시지 전송을 위한 경고 알림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고,
상기 작업자의 지위가 시공 현장에 포함된 시공 영역별로 상기 안전 시나리오에 따라서 설정된 출입 가능한 레벨의 지위가 아닌 경우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식된 작업자의 안전 장비 착용 상태가 상기 시공 영역별로 상기 안전 시나리오에 따라서 설정된 기준에 미달되는 경우 상기 위험 상황에 대한 알림 정보를 자동 전송하되, 위험 상황을 알리는 경고 정보와 함께 위험 상황의 사유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현장의 작업자 상태 정보를 이용한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An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tatus information of workers at a construction site implemented by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that store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comprising:
Based on safety condi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management terminal and safety regulation information preset to correspond to the construction type and site information at the construction site, safety scenarios, which are information about safety rules set for each time, space, and worker, are created and managed. Safety Scenario Management Department;
Using image data captured from multiple video capture devices placed at the construction site, workers and construction site facilities are recognized through an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and the location of the recognized worker, the state of the worker, the state of the construction site equipment, the worker and A safety status analysis unit that generates safety status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safety status of workers using relationship information with construction site equipment and the safety scenario; and
A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output unit that collects the generated safety status information to generate safety status information for the entire construction site and outputs the generated safety status information and the safety stat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afety status information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anagement terminal. Including ;,
The safety scenario management department,
Information on regulations for wearing safety equipment for each worker, information on regulations related to the placement of safety equipment according to construction type and site size, and information on safety conditions that can be set for each construction area included in the entire construction site as the above safety condition information. Create and manage the above safety scenarios,
The safety scenario management department,
The safety scenario is updated by reflecting the setting input for the safety scenario from the administrator account of the certified construction site accessed through the management terminal,
Setting input for the above safety scenario is:
Selection input for the construction area, input of settings for safety level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construction area, and settings for the worker's access time, status of the access worker, and safety equipment of the access worker set for each safety level information. Contains input,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output unit,
If the worker is judged to be in a dangerous state according to the safety status information for each worker,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dangerous situation is sent to the worker terminal,
The user interface includes a sub-interface for taking action on a worker who is judged to be at risk,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urrent detailed location, grade information, and wearing equipment of the worker who is judged to be at risk through the sub-interface. Ensure that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for sending information and messages,
If the status of the worker is not at the level of access set according to the safety scenario for each construction area included in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status of the worker wearing safety equipment recognized using the video data is different from the safety scenario for each construction area Accordingly, if the set standards are not met,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dangerous situation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but information about the reason for the dangerous situation is transmitted along with warning information notifying the dangerous situation. Status information of workers at the construction site is provided.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상태 분석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신체 또는 작업자가 장착한 장비에 부착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식별 정보를 파악하는 작업자 식별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장착한 안전 장비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장착 장비 식별부; 및
시공 영역별로 설정된 안전 레벨 정보와 안전 시나리오 정보에 상기 작업자의 식별 정보 및 작업자가 장착한 안전 장비에 대한 정보를 적용하여 시공 영역에 대한 작업자의 출입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시공 영역에서의 작업자의 정상 안전 장비의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별 안전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안전 상태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현장의 작업자 상태 정보를 이용한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afety state analysis unit,
A worker identific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work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the image data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tached to the worker's body or equipment worn by the worker;
an installed equipment identification unit that determines information about safety equipment installed by the worker using the image data; and
By applying the work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the safety equipment equipped by the worker to the safety level information and safety scenario information set for each construction area, information on whether the worker can enter the construction area and the worker's normal condition in the construction area An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worker status information at a construction site, comprising a first safety status determination unit that generates safety status information for each worker including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safety equipment is wo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상태 분석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신체 또는 작업자가 장착한 장비에 부착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식별 정보를 파악하는 작업자 식별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장착한 안전 장비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장착 장비 식별부; 및
인식된 작업자의 위치 및 시공 현장 설비의 위치 사이의 거리 관계, 상기 작업자의 식별 정보 및 작업자가 장착한 안전 장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시공 현장 설비로부터 수신된 시공 현장 설비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시공 현장 설비에 관련된 안전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안전 상태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현장의 작업자 상태 정보를 이용한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afety state analysis unit,
A worker identific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work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the image data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tached to the worker's body or equipment worn by the worker;
An installed equipment identification unit that determines information about safety equipment installed by the worker using the image data; and
The distanc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zed worker's loc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equipment, the work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safety equipment equipped by the worker, and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ng status of the construction site equipment received from the construction site equipment. An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worker status information at a construction site, comprising a second safety status determination unit that generates safety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worker's construction site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시공 현장을 층별로 구성한 3차원의 시공 현장 맵, 상기 시공 현장 맵 상에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인식된 작업자의 영상 데이터 상의 크기 및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된 작업자의 위치가 매핑되어 출력되는 작업자 아이콘, 상기 작업자의 안전 상태를 나타내는 안전 상태 정보, 상기 시공 현장 설비로부터 수신된 시공 현장 설비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안전 현황 정보에 대한 이력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현장의 작업자 상태 정보를 이용한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user interface is,
A three-dimensional construction site map that organizes the construction site by floor, a worker icon on which the location of the worker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deo data of the worker recognized in the video data is mapped and displayed on the construction site map, Safety status information indicating the safety status of the worker,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us of construction site equipment received from the construction site equipment, and history data on safety status information using worker status information at the construction site.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현황 정보는,
상기 작업자의 안전 상태를 작업자별로 분석한 결과인 안전 상태 정보, 전기로 구동되는 시공 현장 설비로부터 수신된 시공 현장 설비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인식된 시공 현장 설비의 외관에 대한 상태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도출되는 시공 현장 설비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현장의 작업자 상태 정보를 이용한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above safety status information is,
Safety status information resulting from analysis of the worker's safety status for each worker,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us of construction site equipment received from electrically driven construction site equipment, and appearance status of construction site equipment recognized from the video data. An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tatus information of workers at a construction site, characterized by including status information of construction site equipment derived through an analysis algorithm.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032646A 2023-03-13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worker status information at the construction site KR102672221B1 (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2221B1 true KR102672221B1 (en) 2024-06-05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738B1 (en) * 2020-12-23 2021-10-14 주식회사 영신 Smart construction safety monitering integrated control system
KR102411316B1 (en) * 2021-07-28 2022-06-22 박덕근 Method for providing worker safty analysis service in construction site and server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738B1 (en) * 2020-12-23 2021-10-14 주식회사 영신 Smart construction safety monitering integrated control system
KR102411316B1 (en) * 2021-07-28 2022-06-22 박덕근 Method for providing worker safty analysis service in construction site and server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4612B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ry, management device
KR102235036B1 (en) Construction site safty management system
KR102030509B1 (en) Safety management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old building using fire risk assessment result
US20200160682A1 (en) Proximity-based personnel safety system and method
CN1993718B (en) Internet facilitated fire alarm monitoring, control system
CN111611439B (en) Fire safety monitoring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256936B1 (en) Construction site non-face-to-fac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safety equipment
US11881094B2 (e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digital integrated twin (ICDIT)
CN112488488A (en) Behavior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work ticket, computer and storage medium
CN112288320A (en) Subway operation risk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CN111178828A (en) Method and system for building fire safety early warning
CN113542690A (en) Building construction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12990795A (en) Risk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road operation area
EP3690680A1 (en) Method of automated design and analysis of security systems
CN112381435A (en) Gridding directional pushing management method for dynamic risk in hydropower station operation process
KR102584863B1 (en) Firefighting facility management and inspection apparatus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building property information
CN113808728A (en) Medical equipment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672221B1 (en)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worker status information at the construction site
KR20230083919A (en) Method and system for safety control for construction site
KR102231648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managing inspection history information of fire fighting facility
KR102635902B1 (en) Situational awareness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each work process at construction sites using AI robots
KR20200107626A (en) Real-time accident prediction system using hazard assessment and method thereof
CN106354105B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and facility resources based on location
KR20200127700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managing diligence of worker identifiable information
KR102046072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diagonostic assessment of old buil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