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1070B1 - 모듈형 드론 - Google Patents

모듈형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1070B1
KR102671070B1 KR1020230189165A KR20230189165A KR102671070B1 KR 102671070 B1 KR102671070 B1 KR 102671070B1 KR 1020230189165 A KR1020230189165 A KR 1020230189165A KR 20230189165 A KR20230189165 A KR 20230189165A KR 102671070 B1 KR102671070 B1 KR 102671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electrical module
module unit
drone
installa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9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충희
남승우
이종경
Original Assignee
(주)프리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리뉴 filed Critical (주)프리뉴
Priority to KR1020230189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1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1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1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0/00Constructional aspects of UAVs
    • B64U20/40Modular UAV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64U10/14Flying platforms with four distinct rotor axes, e.g. quadco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0/00Constructional aspects of UAVs
    • B64U20/80Arrangement of on-board electronics, e.g. avionics systems or wiring
    • B64U20/87Mounting of imaging devices, e.g. mounting of gimb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상측에는 동력 공급 시 회전되며 동력을 공급하는 동익부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설치홈이 형성되는 동체부; 및
상기 설치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에 배치되면 상기 동익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장모듈부
를 포함하는 모듈형 드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모듈형 드론{DRONE HAVING AN ELECTRIC MOLULE}
본 발명은 모듈형 드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장 장치를 일체형으로 모듈화하여 필요에 따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모듈형 드론에 관한 것이다.
무인 비행체 또는 드론은 사람이 직접 탑승하지 않고 원격으로 조종하여 자동 비행할 수 있는 비행체를 말한다. 드론 일반 비행체와는 사람의 탑승 공간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접근이 어려운 곳의 정보 수집과 정찰을 위한 정찰 무인 비행체 등 군사용으로 개발 및 활용되나 최근에는, 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하고 레저용으로 상용화, 대중화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드론의 구성은 카메라 모듈, 배터리 모듈, 제어 장치 등의 다양한 장치/모듈들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물리적 구성의 복잡성은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며, 각각의 드론이 이용하는 무선통신망이나, RC수신기를 통한 통신채널이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어, 다수의 무인비행체를 동시에 통합 관제/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장치/모듈들이 복합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특정 부품 또는 특정 모듈에 문제가 생겨 교체가 필요할 경우에, 드론 자체를 분해하여 해당 부품/모듈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33831호(2021.11.29. 등록)은 스키드 모듈 탈착형 드론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해당 종래기술은 단순히 드론 본체 하부 스키드 모듈이 탈착되는 것으로 드론 자체의 운행과 관계된 구성/모듈의 교체 또는 탈부착에 대한 어떠한 방법도 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33831호(2021.11.29. 등록)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드론의 구성을 모듈화하여 필요에 따라 드론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모듈형 드론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드론은 상측에는 동력 공급 시 회전되며 동력을 공급하는 동익부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설치홈이 형성되는 동체부 및 상기 설치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에 배치되면 상기 동익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장모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체부는 상측을 커버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버의 길이는 상기 제2커버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장모듈부는 상기 제2커버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전장모듈부가 상기 설치홈에 배치되면, 상기 제1커버와 제2커버의 길이차로 인하여 노출되는 부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장모듈부의 상측은 마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장모듈부는 하측에 평평한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에는 카메라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3커버가 배치되며, 상기 제3커버에는 배터리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레일은 상기 제3커버에 슬라이드 이동한 후 고정될 수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고정 위치가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형성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전장 장치들이 모듈화된 전장모듈부를 동체부에서 교체하는 방식으로 드론의 구성을 교체할 수 있어서, 드론을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드론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체부의 일부와 전장모듈부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체부의 일부와 전장모듈부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장모듈부의 전측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 좌측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장모듈부의 전측의 개념도이고, 우측은 연결블록의 개념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드론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드론의 하측에 배터리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사용자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단”,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 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 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드론의 분리 사시도이다.
모듈형 드론은 동체부(100), 전장모듈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체부(100)는 드론을 구성하는 일 요소로 전원 공급에 따라 회전될 수 있는 동익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동체부(100)는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여 함몰된 설치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설치홈(110)에는 전장모듈부(200)가 배치되어 동체부(100)와 전장모듈부(200)가 연결될 수 있다.
동체부(100)는 제1커버(121), 제2커버(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121)는 동체부(100)의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일 수 있다. 제2커버(122)는 복수로 구성되며 제1커버(121)의 양측에 제1커버(12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커버(121)는 제1길이를 제2터버는 제2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길이는 제2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그러므로 동체부(100)는 설치홈(110)을 기준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이 일부 더 개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측에서 관찰 시 설치홈(110)은 측면에서 관찰할 때보다 많이 관찰될 수 있다.
전장모듈부(200)는 전장장치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전장모듈부(200)는 설치홈(110)에 인입되는 방식으로 동체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는 미도시되어 있으나, 전장모듈부(200)에는 커넥터가 형성되고, 동체부(100)에도 커넥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장모듈부(200)는 설치홈(110)에 정렬되어 위치되면 동체부(100)와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전장모듈부(200)는 전측에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걸림턱(21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장모듈부(200)의 후측부터 걸림턱(210)이 형성되기 전까지의 길이는 전술한 제1길이와 유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장모듈부(200)가 설치홈(110)에 배치되면 걸림턱(210)이 제1커버(121)와 맞닿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장모듈부(200)는 동체부(100)에 쉽게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마찰부(220)는 전장모듈부(200)의 상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마찰부(220)는 일례로 레진, 미세한 요철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장모듈부(200)는 동체부(100)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마찰부(220)는 전장모듈부(200)의 상측면에만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측면, 후면 등 다양한 면에 형성되어도 문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전장모듈부(200)를 동체부(100)의 설치홈(110)에 위치시켜 동체부(100)와 전장모듈부(200)를 연결하는 것만으로 드론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장모듈부(200)는 필요에 따라 동체부(100)에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일례로 드론의 통신모듈이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통신모듈이 업데이트된 전장모듈부(200)를 제조한 후 전장모듈부(200)를 동체부(100)에 연결하기만 하면 통신모듈이 업데이트된 드론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장비의 업데이트가 매우 용이한 드론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체부의 일부와 전장모듈부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동체부(100)와 전장모듈부(200)는 미도시된 커넥터를 통하여 전기적 연결이 될 수 있다. 다만, 그와 별개로 동체부(100)와 전장모듈부(200)는 정렬되어 연결될 필요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체부(100)와 전장모듈부(200)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130)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동체부(100)의 후측의 내측면(설치홈(110)으로 인하여 형성된 면)에는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1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장모듈부(200)의 후측에는 전측을 향하여 함몰된 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장모듈부(200)가 동체부(100)의 설치홈(110)에 배치될 때, 전장모듈부(200)와 동체부(100)의 돌기와 홈의 결합으로 인하여 전장모듈부(200)는 정렬되어 동체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체부)의 일부와 전장모듈부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체부(100)와 전장모듈부(200)가 정렬되어 고정되는 구조가 도 2와는 상이할 수 있다.
동체부(100)는 탄성커버(131), 스프링, 돌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돌기(130)의 후측에는 스프링이 배치되고, 탄성커버(131)는 스프링을 통하여 돌기(13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탄성커버(131)가 도 3을 기준으로 후측이 하측으로 가압되면 스프링이 가압되고, 돌기(130)는 약간 후측으로 이동되며(실제 이동은 되지 않고, 후측이 아래로 이동되므로 상대적으로 탄성커버(131)를 기준으로 돌출된 부분의 길이가 감소되게 됨) 전측이 상측으로 들려질 수 있다. 만약 가압되는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원래의 각 구성들은 원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전장모듈부(200)의 홈의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돌기(130)의 단부(갈고리 형상)이 인입되는 경우 고정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탄성커버(131)를 가압하여 돌기의 위치를 정렬하여 위치시킨 후, 전장모듈부(200)가 설치홈(110)에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하고, 그후 탄성커버(131)를 가압하는 힘을 제거하여 돌기가 원래의 위치로 원복되어 전장모듈부(200)와 동체부(10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탄성커버(131)를 가압하는 것만으로 전장모듈부(200)와 탄성커버(131)가 쉽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동체부(100)와 전장모듈부(200)를 정렬하여 고정, 분리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장모듈부의 전측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 좌측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장모듈부의 전측의 개념도이고, 우측은 연결블록의 개념도이다.
드론에서 중요한 것은 촬영을 하는 카메라(300)일 것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300)도 쉽게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하였다.
전장모듈부(200)의 전측 하부에는 카메라(300)가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장모듈부(200)는 고정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40)는 전장모듈부(200)의 전측의 하측에 형성된 부분이다. 여기서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전장모듈부(200)가 설치홈(110)에 인입되어 고정된다 하여도 전장모듈부(200)의 하측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카메라(300)가 해당 위치에 설치되면 카메라(300)는 외부를 촬영할 수 있다.
전장모듈부(200)의 고정부(240)는 특정한 위치에 고정을 위한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고정부(240)는 사각의 형상으로 대칭되는 위치인 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300)는 연결블록(310)을 통하여 전장모듈부(200)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블록(310)은 카메라(300)와 전장모듈부(200)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300) 전용 지그일 수 있다. 연결블록(310)은 카메라(30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연결블록(310)은 결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블록(310)을 가운데로 하여 카메라(300)는 전장모듈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300)가 전장모듈부(200)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형상이 다른 카메라(300)라 하여도 연결블록(310)에 연결하고, 연결블록(310)을 전장모듈부(200)의 고정부(240)에 연결하면 되므로, 본 발명은 카메라(300)를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즉, 고정부(240), 연결블록(310) 중 어느 하나에는 홈(241)이 다른 하나는 연결돌기(3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고정부(240)와 연결블록(310)은 홈(241)과 연결돌기(311)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카메라(300)는 전장모듈부(2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드론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드론의 하측에 배터리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한편, 드론에는 전장모듈부(200)와 동력부의 전원을 위한 배터리가 설치되어야 한다. 배터리는 드론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배터리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배터리의 위치를 변경하며 배터리를 연결할 수 있다.
배터리는 드론의 구성요소 중 무거운 무게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배터리의 위치는 드론의 무게 중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의 위치를 변경 설치하여 드론의 무게 중심을 유지할 수 있다. 이용자는 복수의 배터리를 미리 준비하고, 필요한 경우 설정된 무게를 가지는 배터리를 드론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다.
전장모듈부(200)의 하측에는 제3커버(123)가 배치될 수 있다. 제3커버(123)는 제1커버(121)와 대응되는 제1길이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3커버(123)는 전술한 카메라(300)의 외부 노출을 허용할 수 있다.
제3커버(123)에는 대칭되는 위치에 고정레일(150)이 설치될 수 있다. 고정레일(150)은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배터리는 고정레일(150)과 맞닿은 채 전장모듈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레일(150)은 일측이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대칭되는 고정레일(150)에 의하여 배터리는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는 고정레일(150)에 연결되고, 고정레일(150)은 제3커버(123)의 하측에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레일(150)은 고정체(160)가 인입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3커버(123)의 하측에는 고정레일(150)이 수용되도록 돌기(170)가 형성되고, 돌기(170)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레일(150)은 제3커버(123)의 하측에서 정렬되어 위치되고, 고정체(160)에 의하여 제3커버(123)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는 고정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레일(150)에는 배터리가 직결될 수도 있으나 별도의 보조레일(400)이 고정레일(15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보조레일(400)을 고정레일(150)에 고정한 채, 배터리를 보조레일(400)에 연결(볼트, 너트 결합 등)하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전장모듈부(200)를 설치한 후, 드론의 무게 중심이 수평을 형성하도록 고정레일(150)의 위치를 정렬한 후, 고정레일(150)을 고정체(160)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후 고정레일(150)에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연결하면 드론은 무게 중심이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동체부
110 : 설치홈
121 : 제1커버
122 : 제2커버
123 : 제3커버
130 : 돌기
131 : 탄성커버
150 : 고정레일
160 : 고정체
170 : 돌기
200 : 전장모듈부
210 : 걸림턱
220 : 마찰부
230 : 홈
240 : 고정부
241 : (고정부의) 홈
300 : 카메라
310 : 연결블록
311 : 연결돌기
400 : 보조레일

Claims (7)

  1. 상측에는 전력 공급 시 회전되며 동력을 공급하는 동익부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설치홈이 형성되는 동체부; 및
    상기 설치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에 배치되면 상기 동익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장모듈부
    를 포함하되,
    상기 동체부는
    상측을 커버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버의 길이는 상기 제2커버의 길이보다 짧으며,
    상기 전장모듈부는
    상기 제2커버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전장모듈부가 상기 설치홈에 배치되면, 상기 제1커버와 제2커버의 길이차로 인하여 노출되는 부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전장모듈부의 전측에 구현되며, 상기 전장모듈부의 상측을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전장모듈부의 후측부터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기 전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1커버의 길이와 대응하며,
    상기 전장모듈부의 상측은 마찰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의 하측에 평평한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카메라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드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3커버가 배치되며,
    상기 제3커버에는 배터리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드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은 상기 제3커버에 슬라이드 이동한 후 고정될 수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고정 위치가 변경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드론.
KR1020230189165A 2023-12-22 2023-12-22 모듈형 드론 KR102671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9165A KR102671070B1 (ko) 2023-12-22 2023-12-22 모듈형 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9165A KR102671070B1 (ko) 2023-12-22 2023-12-22 모듈형 드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1070B1 true KR102671070B1 (ko) 2024-05-30

Family

ID=9127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9165A KR102671070B1 (ko) 2023-12-22 2023-12-22 모듈형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107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705B1 (ko) * 2018-10-29 2020-06-30 김영조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
US20200223545A1 (en) * 2017-07-20 2020-07-16 Bae Systems Plc Aircraft control system
CN211108018U (zh) * 2019-10-16 2020-07-28 浙江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无人机电池更换设备
JP2021512002A (ja) * 2018-01-17 2021-05-13 グリフ アビエーション エーエスGriff Aviation As 無人航空機
CN112977858A (zh) * 2021-01-28 2021-06-18 广州优飞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结构
KR102333831B1 (ko) 2020-09-04 2021-12-01 박준모 스키드 모듈 탈착형 드론
US20210371087A1 (en) * 2020-05-29 2021-12-02 Aurora Flight Sciences Corporation, a subsidiary of The Boeing Company Weight distribution systems and control logic for center of gravity management of aircrafts
KR102513772B1 (ko) * 2021-02-17 2023-03-27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용 결속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23545A1 (en) * 2017-07-20 2020-07-16 Bae Systems Plc Aircraft control system
JP2021512002A (ja) * 2018-01-17 2021-05-13 グリフ アビエーション エーエスGriff Aviation As 無人航空機
KR102127705B1 (ko) * 2018-10-29 2020-06-30 김영조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
CN211108018U (zh) * 2019-10-16 2020-07-28 浙江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无人机电池更换设备
US20210371087A1 (en) * 2020-05-29 2021-12-02 Aurora Flight Sciences Corporation, a subsidiary of The Boeing Company Weight distribution systems and control logic for center of gravity management of aircrafts
KR102333831B1 (ko) 2020-09-04 2021-12-01 박준모 스키드 모듈 탈착형 드론
CN112977858A (zh) * 2021-01-28 2021-06-18 广州优飞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结构
KR102513772B1 (ko) * 2021-02-17 2023-03-27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용 결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7368B1 (ko) 원터치 방식의 배터리 팩이 구비된 드론
EP3487760B1 (en) Methods and systems of anchor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on a ground station
US10093418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EP3272652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WO2018113202A1 (zh) 一种可拆卸云台连接装置及无人飞行器
CN205469856U (zh) 电源组件、无人飞行器及遥控移动装置
US11884422B2 (en) Base stations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CN113302788A (zh) 壳体结构、电池、电子设备和可移动平台
US20190276128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fuselage
KR102671070B1 (ko) 모듈형 드론
CN205971884U (zh) 能够保护挂载设备的轻质固定翼无人机
CN209146617U (zh) 一种云台连接结构、云台装置及摄影设备
KR102712192B1 (ko) 수평 유지 드론
WO2019134406A1 (zh) 无人机
CN108513564A (zh) 电子设备
CN211108026U (zh) 一种无人机
CN107512383A (zh) 无人机功能模块快速拆装结构和无人机
CN211033062U (zh) 简易型摄像用无人机
CN207208448U (zh) 无人机功能模块快速拆装结构和无人机
CN211223833U (zh) 一种可伸缩拍摄无人机
CN107697266B (zh) 一种轻小型固定翼无人机载荷模块化内连接电气接口装置
CN211253011U (zh) 小巧灵活型拍摄用无人机
CN211893666U (zh) 一种方便更换电源的无人机
CN207759045U (zh) 一种无人机电池插拔固定装置
CN109896024A (zh) 一种可插拔智能电池的无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