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1004B1 - Ar 관광 영상 기반의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Ar 관광 영상 기반의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1004B1
KR102671004B1 KR1020210087891A KR20210087891A KR102671004B1 KR 102671004 B1 KR102671004 B1 KR 102671004B1 KR 1020210087891 A KR1020210087891 A KR 1020210087891A KR 20210087891 A KR20210087891 A KR 20210087891A KR 102671004 B1 KR102671004 B1 KR 102671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deo
marker
tourist
tour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7087A (ko
Inventor
백유경
Original Assignee
(주)필름에이알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필름에이알 filed Critical (주)필름에이알
Priority to KR1020210087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1004B1/ko
Publication of KR20230007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1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1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의 AR(Augmented Reality)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가 실시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기설정된 AR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기설정된 AR 마커에 대응하는 AR 관광 영상을 데이터 베이스에서 탐색 및 로딩하는 단계; 및 로딩한 AR 관광 영상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AR 관광 영상 기반의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AR tourism image-based tourism service provision method, system, and device therefor}
본 명세서는 AR 관광 영상 기반의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안한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은 현실세계에 컴퓨터 그래픽(CG)으로 제작한 가상의 객체(object)를 합성하는 기술이다. 카메라를 통해 주변 환경을 이미지 형태의 데이터로 취득하고, 이미지를 인식하거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사용하여 실제 위치정보를 측위한 뒤, 이미지 위에 객체를 입히고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구현 결과를 보여주게 된다.
현재 AR 기술은 박물관이나 전시관 등 실내 공간이나 관광지 등 실외 공간에서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카메라와 디스플레이, 위치를 측위할 수 있는 GPS 센서, 자세와 각도를 인식해주는 자이로스코프나 가속도 센서 등이 내장되어 있는 모바일 기기는 AR 기술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도구이고, 기기의 성능은 나날이 높아져가고 있다.
영화, 드라마, 광고, 예능, 다큐멘터리 촬영지와 같은 촬영 관광지는 영화, 드라마, 광고, 예능, 다큐멘터리를 보고 느낌 감정, 감동을 다시 한 번 현장에서 느끼고 싶은 관광객들이 주로 찾게 된다. 그러나, 영화, 드라마, 광고, 예능, 다큐멘터리에는 다양한 컴퓨터 그래픽 효과가 삽입되거나 실제 촬영 시간과 관광 가능한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관광객이 촬영 관광지를 직접 방문한다 하더라도 영화, 드라마, 광고, 예능, 다큐멘터리를 보면서 느꼈던 감정, 감동을 그대로 다시 느끼기란 거의 불가능하였으며, 그 결과 촬영 관광지를 찾은 관광객들이 큰 실망감만을 느끼고 돌아간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는, 관광 촬영지의 관광 수익 하락으로 직결되어, 관광 업자에게 있어 매우 큰 타격을 입히는 문제점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촬영 관광지를 찾은 관광객들이 영화, 드라마, 광고, 예능, 다큐멘터리를 보면서 느꼈던 감정, 감동을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관광지에 증강 현실이 적용된 AR 기술 기반의 관광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또한, 이를 통해 관광객의 촬영 관광지에 대한 관광 만족도를 향상시켜, 관광 업자의 관광 수익을 향상시키고자 함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의 AR(Augmented Reality)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가 실시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기설정된 AR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기설정된 AR 마커에 대응하는 AR 관광 영상을 데이터 베이스에서 탐색 및 로딩하는 단계; 및 로딩한 AR 관광 영상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광객들은 영화, 드라마, 광고, 예능, 다큐멘터리를 보고 느꼈던 감동, 감정을 실제 촬영 관광지에서도 그대로 느낄 수 있어 관광지 방문에 대한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관광 수익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광객들은 관광지를 배경으로 관광하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직접 촬영하여 자신만의 AR 영상을 제작 및 보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렇게 제작된 AR 영상은 해당 AR 영상이 촬영된 관광지에서만 출력/재생이 되는 것으로 제한하여, 관광객들이 AR 영상을 보면서 추억을 되새기기 위해 다시 관광지를 방문할 수밖에 없도록 유도하여, 관광 수익의 연쇄적인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는 이하에서 각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R 기반의 관광 서비스 시스템을 예시한 시스템도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R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설정된 AR 마커가 마킹된 관광 상품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AR 영상 제작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AR 영상 제작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된 사용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는 '및' 또는 '또는'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R 기반의 관광 서비스 시스템을 예시한 시스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AR 기반의 관광 서비스 시스템(100)(이하, '관광 서비스 시스템'이라 약칭함)은,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110) 및 사용자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되는 관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현된 서버/장치에 해당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1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별도 설계/구현된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관리/운영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매개체로 하여 사용자 장치(1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사용자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영상(또는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처리/분석하여 AR 마커를 인식하고, AR 마커에 대응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 중인 AR 영상을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R 마커는, AR 영상의 출력을 트리거링 하거나, 트리거링된 AR 영상이 출력되는 위치 기준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AR 마커 생성, AR 영상 생성, AR 영상 저장 등 AR과 관련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사용자 장치(120)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되는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실시예를 수행/실행 가능하도록 구현된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하, 'AR 관광 어플리케이션'이라 지칭함)이 사전에 설치되어 실행 중인 전자 서버/기기/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는 휴대폰, 노트북, 웨어러블 장치, 스마트 워치, HMD, HUD, 스마트 안경, 태블릿 PC 등등과 같이 카메라가 구비된 다양한 전자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매개체로 하여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제안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장치(12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센서/모듈을 활성화하여 실시간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실시간 촬영 영상을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간 촬영 영상에 AR 마커가 포함되어 있던 경우,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인식된 AR 마커에 대한 이미지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AR 영상을 사용자 장치(120)로 전송해줄 수 있다. 사용자 장치(120)는 이에 기초하여 AR 마커에 대응하여 AR 영상을 출력/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110) 및 사용자 장치(120)를 이용한 AR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는 이하에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안되는 방법/실시예는 상기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실행 중인 서버/기기/장치를 통해 수행/실행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각 서버/기기/장치의 동작은 상기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의 동작/기능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R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21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관광지(220-1)를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으며, 실시간 촬영한 영상(220-2)을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의 관광지는, 예를 들어 영화 촬영지, 광고 촬영지, 드라마 촬영지, 예능 촬영지, 다큐멘터리 촬영지 등과 같은 촬영 관광지에 해당할 수 있다.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장치(21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은 관광지 촬영 영상(220-2)을 처리/분석/인식하여 기설정된 AR 마커(220-3)를 인식할 수 있다. 기설정된 AR 마커(220-3)는, 기설정된 관광지 이미지(220-3)이거나, 기설정된 QR(Quick Response) 코드(미도시)에 해당할 수 있다.
기설정된 AR 마커(220-3)가 기설정된 관광지 이미지인 경우,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이미지 빅 데이터와 머신 러닝 기반의 이미지 인식 기술(예를 들어,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등)을 사용하여 기설정된 AR 마커를 높은 정확도로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는 기설정된 AR 마커(220-3)의 인식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 장치(2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추가로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촬영 영상의 화질이 너무 낮아 분석이 불가능하거나, 정확하게 매칭되는 기설정된 AR 마커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장치(2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해당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의 AR 마커를, 실시간 촬영 영상에 포함된 기설정된 AR 마커(220-3)로서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위해, 각 AR 마커별로 관광지 위치 정보가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에 사전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인식한 기설정된 AR 마커(220-3)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탐색 및 로딩할 수 있으며, 로딩한 AR 관광 영상(310)을 사용자 장치(210)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는 AR 관광 영상(310)이 출력되는 기준점이 되는 AR 마커(320)에 대한 이미지 정보도 상기 AR 관광 영상(310)과 함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해줄 수 있다.
만일, 기설정된 AR 마커(320)가 기설정된 관광지 이미지인 경우, 해당 AR 마커(320)가 AR 관광 영상(310)의 출력 기준점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 반대로, 기설정된 AR 마커가 기설정된 QR 코드인 경우, AR 관광 영상(310)의 출력 기준점이 되는 출력 기준 AR 마커(320)가 별도 설정될 수 있으며,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는 AR 관광 영상(310)과 함께 출력 기준 AR 마커(320)에 대한 이미지 정보도 함께 사용자 장치(21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10)는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기설정된 AR 마커(220-3)에 대응하는 AR 관광 영상(310)을 수신할 수 있으며, 추가로 AR 관광 영상(310)이 출력되는 기준점이 되는 AR 마커(예를 들어, 기설정된 마커 또는 출력 기준 AR 마커 등)(320)에 대한 이미지 정보도 함께 수신할 수 있다(S301).
사용자 장치(210)는, 수신한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기설정된 AR 마커(또는 출력 기준 AR 마커)(320)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인식한 AR 마커(320)의 위치를 기준으로 AR 관광 영상(310)을 실시간 촬영 영상에 오버랩하여 출력할 수 있다. AR 관광 영상(310)으로는, 예를 들어, 영화 인물 영상, 영화 명장면 영상, 영화 비하인드 영상, 영화 NG 영상, 영화 크레딧 영상, 드라마 인물 영상, 드라마 명장면 영상, 드라마 비하인드 영상, 드라마 NG 영상, 드라마 크레딧 영상, 광고 인물 영상, 광고 명장면 영상, 광고 비하인드 영상, 광고 NG 영상, 광고 크레딧 영상, 예능 인물 영상, 예능 명장면 영상, 예능 비하인드 영상, 예능 NG 영상, 예능 크레딧 영상, 다큐멘터리 인물 영상, 다큐멘터리 명장면 영상, 다큐멘터리 비하인드 영상, 다큐멘터리 NG 영상, 다큐멘터리 크레딧 영상 등과 같이 촬영 관광지(220-1)와 관련된 다양한 영화/드라마/광고/예능/다큐멘터리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영화, 드라마, 광고, 예능, 다큐멘터리 촬영지와 같은 촬영 관광지(220-1)는 영화, 드라마, 광고, 예능,다큐멘터리를 보고 느낌 감정, 감동을 다시 한 번 현장에서 느끼고 싶은 관광객들이 주로 찾게 된다. 그러나, 영화, 드라마, 광고, 예능, 다큐멘터리에는 다양한 컴퓨터 그래픽 효과가 삽입되거나 실제 촬영 시간과 관광 가능한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관광객이 촬영 관광지를 직접 방문하더라도 영화, 드라마, 광고, 예능, 다큐멘터리를 보면서 느꼈던 감정, 감동을 그대로 다시 느끼기란 거의 불가능하였으며, 그 결과 촬영 관광지(220-1)를 찾은 관광객들이 큰 실망감만을 느끼고 돌아간 경우가 많았다. 이는, 촬영 관광지(220-1)의 관광 수익 하락으로 직결되어, 관광 업자에게 있어 매우 큰 타격을 입히는 문제점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영화, 드라마, 광고, 예능, 다큐멘터리에 적용된 컴퓨터 그래픽 효과나, 명장면 등이 포함된 AR 관광 영상(310)을 통해 관광지(220-1) 자체의 현장감을 느낄 수 있음과 동시에, 영화, 드라마, 광고, 예능, 다큐멘터리를 보면서 느꼈던 감동도 그대로 다시 느껴볼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를 통해, 최근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침체되어 있는 관광 사업을 크게 부흥시킬 수 있다는 효과도 발생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210)가 실시간으로 영상을 촬영하면서 출력하는 AR 관광 영상(310)을 AR 필터로 활용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AR 관광 영상(310)을 출력 중인 사용자 장치(210)의 카메라 화각 내로 사용자가 직접 이동/입장하여, AR 관광 영상(310)과 함께 한 화면에 담길 수 있다. 사용자 장치(210)는 이렇듯 하나의 화면에 담긴 AR 관광 영상(310) 및 사용자를 실시간 촬영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진 및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직접 자신이 영화, 드라마, 광고, 예능, 다큐멘터리의 주인공이 되거나 실제 명장면을 직접 연출해보는 가상 경험을 해볼 수도 있다. 또한, 본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만의 AR 관광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타인과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공유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설정된 AR 마커가 마킹된 관광 상품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관광지에서는 기설정된 AR 마커(420, 430)가 마킹/표시된 관광 상품(410)을 판매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440)를 통해 관광 상품(410)에 마킹/표시된 AR 마커(420, 430)를 인식시킴으로써 AR 영상(450)을 볼 수 있다. 기설정된 AR 마커(420, 430)를 통해 AR 관광 영상(450)이 출력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2 및 3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관광 상품(410)으로는, 각 지역별 대표 특산물, 대표 특산품, 대표 공산품, 촬영 관광지에서 촬영된 영화/드라마/관광/예능/다큐멘터리 컨텐츠 관련 상품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만일, 기설정된 AR 마커(420, 430)가 마킹/표시된 관광 상품(410)이, 각 지역별 특산물, 특산품, 또는 공산품인 경우, AR 마커는 해당 관광 상품이 수납된 상품 패키징(예를 들어, 종이 상자)의 외부에 마킹/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설정된 AR 마커(420, 430)는 관광지의 관광 컨텐츠(예를 들어, 오름 코스, 산책 코스, 드라이브 코스, 자전거 코스 등)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관광 컨텐츠를 즐기면서 중간 중간에 위치한 기설정된 AR 마커(420, 430)를 이용하여 다양한 AR 관광 영상(450)을 관람할 수 있다. AR 관광 영상(450)에는 앞서 상술한 다양한 촬영 관련 컨텐츠 뿐 아니라, 앞서 상술한 관광 상품을 소개하는 광고 영상이 삽입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관광 상품을 구매할 수도 있다. 즉, AR 관광 영상(450)을 통해 E-commerce가 구현될 수 있으며, 관광 업자는 이를 통해 관광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AR 영상 제작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AR 영상 제작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사용자는 관광지에서 자신만의 영상을 촬영하여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으며,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이를 AR 영상으로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AR 관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510)를 통해 AR 영상 생성 요청 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510)는 해당 입력에 따라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에 AR 영상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510)는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영상(520)을 실시간 촬영할 수 있으며, 실시간 촬영한 영상(520)을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장치(510)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촬영 영상(520)으로부터 관광지 이미지 (객체/데이터)(540), 사용자 이미지 (객체/데이터)(530) 및 음성 (객체/데이터)을 구분하여 각각 실시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S601). 특히, 관광지 이미지(540) 및 사용자 이미지(530)는 빅 데이터와 머신 러닝 기반의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만일, 실시간 촬영 영상(520)에서 인식되는 사용자 이미지 (객체/데이터)(530)가 복수인 경우(예를 들어, 복수의 사람이 AR 영상을 촬영 중인 경우)(본 도면의 경우 2명),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 이미지(530)를 상호 독립된 이미지로 구분하여 각각 추출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이미지(530) 인식 및 구분은 안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렇듯 복수의 사용자 이미지(530)를 독립된 이미지로 구분하여 추출하는 이유는, 추후 AR 영상 출력/재생 시 각 사용자별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재생/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기능을 이용하여 재생/출력되기를 원하는 사용자만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는 선택 입력된 사용자 이미지에 한해 재생/출력할 수 있다.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추출한 관광지 이미지(540)를 제1 AR 마커로 설정함과 동시에, 추출한 사용자 이미지(530) 및 음성을 결합하여 제1 AR 마커(540)에 대한 AR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S602).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제1 AR 마커(540), 생성한 AR 영상 및/또는 제1 AR 마커(540)가 설정된 관광지 위치 정보를, 사용자 계정에 대한 AR 영상 앨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S603).
이렇게 AR 영상 앨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AR 영상은, 추후 사용자 장치(510)가 전송한 실시간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제1 AR 마커(540) 인식에 의해 로딩되어 사용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동작은 기설정된 AR 마커를 기반으로 AR 관광 영상을 로딩 및 전송하는 동작과 동일하며, 상세한 설명은 도 2 및 3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본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는 관광지를 배경으로 자신이 영화/드라마/광고/예능/다큐멘터리의 주인공이 되어 자신만의 AR 영상을 제작하여 간직할 수 있다. 이렇게 AR 영상을 제작한 후, 사용자는 관광지에 재방문하여 제1 AR 마커(540)를 사용자 장치를 통해 인식시켜 과거에 자신이 제작했던 AR 영상을 다시 보면서 추억에 잠길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해당 AR 영상에 포함된 과거의 자신 및/또는 동행인과 함께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을 수행할 수도 있고, 이를 기초로 새로운 AR 영상을 추가로 제작할 수도 있다.
다만, 이렇게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별도 제작된 AR 영상은, 앞선 AR 관광 영상과 달리 AR 마커(540)의 인식만으로는 재생되지 않으며, 현재 위치 정보가 특정 위치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에 한해 재생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실시간 촬영 영상(520)과 함께 사용자 장치(5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현재 위치 정보가 제1 AR 마커(540)가 설정된 관광지 위치 정보와 상호 매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는 두 위치 정보가 상호 매칭됨이 확인되는 경우에 한해, AR 영상을 로딩하여 사용자 장치(51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AR 영상을 다시 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관광지를 재방문해야 하므로, 관광객들의 재방문을 유도하여 관광 수익을 향상시킨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추가적으로 관광 수익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관광 업자는 사용자가 제작한 AR 영상을 현재 위치와 무관하게 재생할 수 있는 관광 상품용 AR 마커(미도시)를 별도 생성하고, 해당 AR 마커가 마킹/표시된 관광 상품을 판매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관리자는 자신의 사용자 장치(즉, 관리자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제작한 AR 영상에 대한 관광 상품용 AR 마커(미도시) 생성을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해당 요청에 따라,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제1 AR 마커(540)에 추가로 관광 상품용 AR 마커를 별도 생성하여 관리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광 상품용 AR 마커는 제1 AR 마커(540)와 구분될 수 있도록 상이한 이미지로 생성될 수 있다. 특히, 관광 상품용 AR 마커는, 대응하는 AR 영상에 포함된 이미지 중 기설정된 재생 구간(예를 들어, 시작, 정중앙, 또는 끝 구간)의 이미지 혹은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재생 구간의 이미지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관광 상품용 AR 마커는 관광 상품에 표시/마킹되어 사용자에게 판매될 수 있으며, 이를 구매한 사용자는 해당 AR 마커를 이용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서든 자신이 제작한 AR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혹은 관광 상품용 AR 마커는 관광 상품에 마킹/표시되지 않고, 일정 금액을 지불한 사용자에 한하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해줄 수도 있다.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가 관광 상품용 AR 마커를 인식, 탐색, 로딩하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방법은 기설정된 AR 마커를 기반으로 AR 관광 영상을 전송하는 도 2 및 3의 실시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700)는, 프로세서(710), 메모리 유닛(720) 및/또는 통신 유닛(73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710, 720)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는 프로세서(710)로 대체되어 설명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710)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메모리 유닛(720)에 저장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특히, AR 관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 서버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메모리 유닛(730)은, 영상(특히 AR 영상), 음성, 이미지 및/또는 AR 관광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유닛(730)은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ROM, RAM, 클라우드 등과 같은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 유닛(730)은 AR 마커, AR 영상, AR 마커와 AR 마커 영상간의 매칭 정보, AR 마커와 관광지 위치 간의 매칭 정보 등 본 명세서에서 제안되는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생성되거나 송/수신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메모리 유닛(730)은 앞서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AR 영상 앨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관리/운영하여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AR 영상의 데이터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유닛(730)은 적어도 하나의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 데이터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특히,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의 통신 유닛(730)은 사용자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특히, AR 마커/영상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된 사용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AR 마커가 포함된 표지(810)(예를 들어, K-Pop Road) 를, 도 9는 도 8의 AR 마커를 인식한 사용자 장치가 AR 마커에 대응하는 AR 관광 영상(910)을 출력하는 사용자 장치를, 도 10은 도 9에 출력된 AR 관광 영상 중 특정 오브젝트(920)를 선택한 경우에 출력되는 관광 가이드 기능/화면(1010)을 각각 예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나 단말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앞서 설명한 기능들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6)

  1.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의 AR(Augmented Reality)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가 실시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기설정된 AR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기설정된 AR 마커에 대응하는 AR 관광 영상을 데이터 베이스에서 탐색 및 로딩하는 단계;
    로딩한 AR 관광 영상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AR 영상 생성 요청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촬영한 영상에서 관광지 이미지, 사용자 이미지 및 음성을 각각 실시간으로 추출하는 단계;
    추출한 관광지 이미지를 제1 AR 마커로 설정하고, 추출한 사용자 이미지 및 음성을 결합하여, 상기 제1 AR 마커에 대한 AR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AR 마커, 상기 AR 영상 및 상기 제1 AR 마커가 설정된 관광지 위치 정보를, 특정 사용자 계정에 대한 AR 영상 앨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 AR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1 AR 마커에 대응하는 AR 영상을 상기 AR 영상 앨범 데이터 베이스에서 탐색하여 로딩하는 단계;
    상기 제1 AR 마커에 대한 이미지 정보 및 로딩한 AR 영상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 정보가 상기 제1 AR 마커가 설정된 관광지 위치 정보와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R 영상을 로딩 및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제1 AR 마커가 설정된 관광지 위치 정보의 매칭이 확인되는 경우에 한해 수행되는, AR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AR 마커는, 기설정된 관광지 이미지이거나, 기설정된 QR(Quick Response) 코드인, AR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AR 마커가 상기 기설정된 관광지 이미지인 경우, 상기 로딩한 AR 관광 영상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AR 관광 영상과 함께 상기 기설정된 AR 마커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추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R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는,
    수신한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설정된 AR 마커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인식한 AR 마커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AR 관광 영상을 출력하는, AR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AR 마커가 상기 QR 코드인 경우, 상기 로딩한 AR 관광 영상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AR 관광 영상과 함께, 상기 AR 관광 영상 출력의 기초가 되는 출력 기준 AR 마커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추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R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는,
    수신한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출력 기준 AR 마커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상기 출력 기준 AR 마커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AR 관광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인, AR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관리자 장치로부터 상기 AR 영상에 대한 관광 상품용 AR 마커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AR 영상에 대응하는 관광 상품용 AR 마커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AR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관광 상품용 AR 마커는, 상기 AR 영상에 포함된 이미지 중 기설정된 재생 구간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AR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관광 상품용 AR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관광 상품용 AR 마커에 대응하는 AR 영상을 상기 AR 영상 앨범 데이터 베이스에서 탐색하여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관광 상품용 AR 마커에 대한 이미지 정보 및 로딩한 AR 영상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AR 영상을 로딩 및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현재 위치 정보와는 무관하게 상기 관광 상품용 AR 마커의 인식 여부를 기초로만 수행되는, AR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한 사용자 이미지가 복수개 인식된 경우, 복수의 사용자 이미지를 상호 독립된 이미지로서 구분하여 각각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AR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한 AR 영상에 복수의 사용자 이미지가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용자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AR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R 관광 영상은, 영화 인물 영상, 영화 명장면 영상, 영화 비하인드 영상, 영화 NG 영상, 영화 크레딧 영상, 드라마 인물 영상, 드라마 명장면 영상, 드라마 비하인드 영상, 드라마 NG 영상, 드라마 크레딧 영상, 광고 인물 영상, 광고 명장면 영상, 광고 비하인드 영상, 광고 NG 영상, 광고 크레딧 영상, 예능 인물 영상, 예능 명장면 영상, 예능 비하인드 영상, 예능 NG 영상, 예능 크레딧 영상, 다큐멘터리 인물 영상, 다큐멘터리 명장면 영상, 다큐멘터리 비하인드 영상, 다큐멘터리 NG 영상, 다큐멘터리 크레딧 영상, 관광 상품 광고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AR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10087891A 2021-07-05 Ar 관광 영상 기반의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671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891A KR102671004B1 (ko) 2021-07-05 Ar 관광 영상 기반의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891A KR102671004B1 (ko) 2021-07-05 Ar 관광 영상 기반의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087A KR20230007087A (ko) 2023-01-12
KR102671004B1 true KR102671004B1 (ko) 2024-05-30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3621A (ja) * 2005-05-19 2006-11-30 Noritsu Koki Co Ltd 電子アルバムシステム
KR102248676B1 (ko) * 2019-11-24 2021-05-04 안경모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3621A (ja) * 2005-05-19 2006-11-30 Noritsu Koki Co Ltd 電子アルバムシステム
KR102248676B1 (ko) * 2019-11-24 2021-05-04 안경모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9438B2 (en) Augmented reality
US10839605B2 (en) Sharing links 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JP6013363B2 (ja) ビューの画像の少なくとも1つの特徴に注釈付け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化された方法及びデバイス
US86610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virtual tags
KR102021727B1 (ko) 공유된 관심사를 갖는 메시지들의 갤러리
US20190333478A1 (en) Adaptive fiducials for image match recognition and tracking
US95585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amera location information and/or camera pose information according to a global coordinate system
KR20160112898A (ko) 증강현실 기반 동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9528654A (ja) 没入型メディアコンテンツをカスタマイズ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92019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orporating media elements from content items in location-based viewing
US9600720B1 (en) Using available data to assist in object recognition
US11113893B1 (en) Artificial reality environment with glints displayed by an extra reality device
US2018026856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ilm previsualization
CN104969264A (zh) 用于将注解添加到全光光场的方法和设备
US20150341541A1 (en) Methods and systems of remote acquisition of digital images or models
KR20190101620A (ko)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무빙 트릭아트 구현 방법
KR102671004B1 (ko) Ar 관광 영상 기반의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30007087A (ko) Ar 관광 영상 기반의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34799B1 (ko) 파노라마 영상을 이용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561198B1 (ko) 컨텐츠 활용 플랫폼 시스템,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 출력물 제작방법
KR20170139202A (ko) 파노라마 영상을 이용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Han Development of HMD-based 360° VR Content of Korean Heritage
EP3923162A1 (en) Augmented reality personalized guided tour method and system
TW202329030A (zh) 擴增實境導覽系統、擴增實境導覽及更新資料庫的方法及程式
KR20220166139A (ko) 동영상 컨텐츠 상의 제품 구매 보조 서비스 제공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