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0538B1 -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0538B1
KR102670538B1 KR1020220044319A KR20220044319A KR102670538B1 KR 102670538 B1 KR102670538 B1 KR 102670538B1 KR 1020220044319 A KR1020220044319 A KR 1020220044319A KR 20220044319 A KR20220044319 A KR 20220044319A KR 102670538 B1 KR102670538 B1 KR 102670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chamber
gas
gas inlet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5674A (ko
Inventor
이윤재
강구현
장용수
김원희
최현영
김재국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44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0538B1/ko
Publication of KR20230145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5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0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M16/04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separate conduits for in-and expiration gas, e.g. for limited dead 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75Tracheal tubes having openings in the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005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with O2 features or with parameter measur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 이동로가 형성되는 챔버; 상기 챔버 내측에 위치하고,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부; 상기 기체유입부와 대응되되,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기체유입부에서 유입된 기체를 상기 챔버 외부로 유출시키는 기체유출부; 및 상기 챔버 내부로 산소가 투여되는 산소투여부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Oxygen supply device for cpr}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심폐소생술의 질적 향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폐소생술은 흉부압박 및 이완의 반복과, 인공호흡이라는 두 가지 술기가 복합된 의료행위다.
심폐소생술이 시행되기 시작한 이래로 인공호흡은 심장이 멈춘 심정지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그러나, 인공호흡은 양압을 이용해 폐에 산소를 밀어 넣는 행위이기 때문에 흉부 내 압력을 증가시키고, 이렇게 증가된 흉부 내 압력 때문에 심장 안으로 혈액에 충분히 빨려 들어가게 하지 못하고, 심장 밖으로도 충분히 나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인공호흡이 심폐소생술이 최종 목적인 심장혈류와 뇌혈류의 증가 및 유지에 방해가 될 소지가 있어서 언제나 과한기 방지, 인공호흡이 익숙하지 않는 구조자는 119 대원들이 올 때까지 인공호흡없이 흉부압박 및 이완만 반복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왜냐하면, 현재까지 지난 거의 100년 동안 인공호흡 방식에 대한 권고사항은 거의 변하지 않고, 양압환기 만을 권고하고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이 권고하는 것 외에는 인공호흡의 악영향을 줄일 수 있는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이로인해 인공 호흡기를 제작하게 되는데, 이러한 인공 호흡기는 환자가 스스로 호흡하기 어려운 상황이나 폐질환 등의 질병으로 인해 자가 호흡의 불편을 겪는 상황에서 생명 유지를 위해 환자에게 가스를 공급하는 수단이다.
최근 COVID-19와 같은 팬더믹 현상으로 인해 소형화된 보급형 인공호흡기의 수요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인공 호흡기는 환자의 호흡 치료용으로도 사용되며, 이동을 목적으로 하되 가능한 치료 범위를 축소하여 개발된 블로워형 인공 호흡장치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종래의 압력 조절 방식의 인공 호흡기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압력 센서, 차압 센서를 포함하는 빠른 응답의 압력 조절 방식으로서, 일정 압력의 산소 및 공기를 혼합하는 블랜딩(blending) 탱크와 블랜딩 탱크의 혼합 가스를 일정 압력으로 출력하는 압력 조절용 탱크를 포함하는 공압 블록 시스템과, 이러한 압력 조절용 탱크에서 출력된 혼합 가스를 일정 압력 및 유속으로 환자에게 제공하는 압력 조절 부재와, 환자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재로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산소와 공기의 일정 비율로 혼합하기 위한 구조로서 매우 크고, 컴프레서 방식을 사용함으로 인해 부피가 매우 크며, 산소와 공기를 혼합하는 블랜딩 탱크와 혼합 가스를 일정 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해 저장하는 압력 조절용 탱크의 크기가 매우 커서 제품이 전체적으로 무겁고 크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11398호에서는, 일정 압력의 산소를 블랜딩 탱크로 공급하여 제품의 크기 및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한 인공 호흡기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산소를 귤레이팅한 후 기 설정된 일정 압력 및 유량으로 출력하고, 상기 일정 압력 및 유량의 산소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혼합하여 혼합 가스를 출력하는 혼합 가스 생성부재와, 상기 혼합 가스 생성 부재의 혼합 가스를 강제 배출하고 배출된 일정 압력 및 유량의 혼합 가스를 환자에게 제공하는 혼합 가스 공급 부재와, 환자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 배출 부재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으로 상기 가스 배출 부재의 구동을 단속하는 가스 배출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인공호흡기를 제공하여, 일정 압력의 산소를 공기가 저장된 블랜딩 탱크로 공급하여 혼합함에 따라 기존의 압력 조절용 탱크를 제거할 수 있어 공압 블록 시스템의 구조가 매우 간소화되어 제품에 대해 경박 단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선행문헌도 레귤레이터와 블랜딩 탱크, 공기제어부재 등을 구비하여야 하는 바, 경박 단소화에 한계가 있다.
정리하면, 블로워형 인공 호흡장치는, 블로워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블로워와, 블로워의 토출구에 체결되어 유량을 측정하고 압력을 측정하는 구조와, 이를 거쳐 연결호스를 통해 환자의 폐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환자가 내뱉은 공기를 다시 연결호스를 통해 배출하는 출구와 그 출구를 제어하는 블록으로 구성된다.
또한, 산소 가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고압, 고유량의 산소 가스를 공급받아 레귤레이터를 통해 압력을 낮추고 밸브로 산소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산소 공급 구조를 갖는다.
특히 이러한 산소 공급 구조 및 배출밸브 제어 구조 등에 의해 인공호흡기의 내부 구조가 복잡해지고, 무게가 무거워지며 제품의 전체 크기가 다소 커지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특허문헌1 :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111398호(공개일: 2012.10.1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심장 혈류와 뇌혈류를 증가시키는 것을 충족시키는데 방해가 되는 요인을 제거 또는 감소되도록 하는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더불어, 기도삽관튜브에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도삽관튜브에 연결도 가능하고, 산소 최초 투입구인 산소투여부에 전자제어 장비를 연결할 수 있으며, 수동 조작도 가능한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에 있어서, 기체 이동로가 형성되는 챔버; 상기 챔버 내측에 위치하고,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부; 상기 기체유입부와 대응되되,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기체유입부에서 유입된 기체를 상기 챔버 외부로 유출시키는 기체유출부; 및 상기 챔버 내부로 산소가 투여되는 산소투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에 있어서, 기체 이동로가 형성되는 챔버; 상기 챔버 내측에 위치하고,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부; 상기 기체유입부와 대응되되,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기체유입부에서 유입된 기체를 상기 챔버 외부로 유출시키는 기체유출부; 상기 챔버 내부로 산소가 투여되는 산소투여부; 및 상기 챔버에 형성되되, 상기 기체유출부 위치측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진입되는 공기진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에 있어서, 기체 이동로가 형성되는 챔버; 상기 챔버 내측에 위치하고,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부; 상기 기체유입부와 대응되되,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기체유입부에서 유입된 기체를 상기 챔버 외부로 유출시키는 기체유출부; 상기 기체유입부와 기체유출부 사이에 위치하여, 각각 결합시키는 결합부; 상기 챔버 내부로 산소가 투여되는 산소투여부; 및 상기 챔버에 형성되되, 상기 기체유출부 위치측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진입되는 공기진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챔버는, 상기 기체유출부에서부터 기체유입부까지 내측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산소투여부에서 투여되는 산소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산소투여부는, 내측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산소투여부에서 투여되는 산소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외측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산소투여부에서 투여되는 산소가 상기 기체유입부 방향으로 이동 시, 산소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기체유입부는,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에 위치되어 기체유입부에서 유입된 기체가 기체유입부로 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판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에 있어서, 기체 이동로가 형성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챔버의 내측과 연통되는 외관챔버; 상기 챔버 내측에 위치하고,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부; 상기 기체유입부와 대응되되,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기체유입부에서 유입된 기체를 상기 챔버 외부로 유출시키는 기체유출부; 상기 기체유입부와 기체유출부 사이에 위치하여, 각각 결합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외관챔버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챔버 내부로 산소가 투여되는 산소투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에 있어서, 기체 이동로가 형성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챔버의 내측과 연통되는 외관챔버; 상기 챔버 내측에 위치하고,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부; 상기 기체유입부와 대응되되,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기체유입부에서 유입된 기체를 상기 챔버 외부로 유출시키는 기체유출부; 상기 기체유입부와 기체유출부 사이에 위치하여, 각각 결합시키는 결합부; 상기 외관챔버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챔버 내부로 산소가 투여되는 산소투여부; 및 상기 챔버에 형성되되, 상기 기체유출부 위치측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진입되는 공기진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심장 혈류와 뇌혈류를 증가시키는 것을 충족시키는데 방해가 되는 요인을 제거 또는 감소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기도삽관튜브에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도삽관튜브에 연결도 가능하고, 산소 최초 투입구인 산소투여부에 전자제어 장비를 연결할 수 있으며, 수동 조작도 가능하여, 다양한 접근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심폐소생술의 질적 향상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챔버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다른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산소투여부와, 기체유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기체유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기체유입부의 판막부로 기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기체유입부의 판막부로 기체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10)는, 챔버(100)와, 기체유입부(200)와, 기체유출부(300) 및 산소투여부(500)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도면부호가 기재되어 있지만 일 실시예에는 설명이 기재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설명이 되지 않은 부호들은 다른 실시예 설명에 기재될 수 있다.
챔버(100)는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은 의료용에 사용되는 튜브일 수 있고, 이러한 튜브(tube)재질일 수 있다.
이때 챔버(100)의 외경은 1cm이하로, 내경은 0.8cm~0.6cm일 수 있다.
기체유입부(200)는, 챔버(100) 내측에 위치하고, 기체가 유입될 수 있다. 이때 기체의 유입은 환자 폐에서 나가는 기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환자에게 삽관하여, 환자 폐에서 나가는 기체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기체유입부(200)는 기체유출부(300)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기체유출부(300)는 기체유입부(200)와 대응되되, 마주보게 형성되어, 기체유입부(200)에서 유입된 기체를 챔버(100)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이때 기체유출부(300)는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산소투여부(500)는 챔버(100) 내부로 산소가 투여된다. 이때 산소 투여부(500)는 돌출되게 형성되고, 챔버(100)와 연통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산소투여부(500)는 챔버(100)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비스듬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산소투여부(500)에 산소를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산소투여부(500)는 환자의 산소마스크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산소 공급장치로 산소투여부(500)에 산소 투여를 공급 및 중단, 세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산소 공급장치는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챔버(100)는 도 1을 참조하여, 좌측에 기체유출부(300)가 위치하고, 우측에 기체유입부(200)가 위치할 수 있다.
더불어, 챔버(100)에 위치된 기체유출부(300)와 기체유입부(200)는 챔버(100)와 소정 이격되어 위치되고, 이격된 사이에는 산소투여부(500)에서 유입되는 산소가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다.
이때, 산소투여부(500)에 결합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장치에서 세기를 조절하여, 산소가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챔버(100)의 말단부인 즉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챔버(100) 내부에 위치된 기체유입부(200) 사이를 뜻하고, 챔버(100)의 말단부는 산소투여부(500)에서 투여된 산소가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유도홀(101)이 형성되고, 유도홀은 바깥방향으로 산소가 발사되도록 각이형성될 수 있다.
즉 유도홀은 바깥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인해 환자 폐내에서 빠져나오는 기체와, 산소투여부(500)에서 유입되는 산소가 서로 충돌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10)는, 챔버(100)와, 기체유입부(200)와, 기체유출부(300)와, 산소투여부(500) 및 공기진입부(600)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도면부호가 기재되어 있지만 일 실시예에는 설명이 기재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설명이 되지 않은 부호들은 다른 실시예 설명에 기재될 수 있다.
챔버(100)는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은 의료용에 사용되는 튜브일 수 있고, 이러한 튜브(tube)재질일 수 있다.
이때 챔버(100)의 외경은 1cm이하로, 내경은 0.8cm~0.6cm일 수 있다.
기체유입부(200)는, 챔버(100) 내측에 위치하고, 기체가 유입될 수 있다. 이때 기체의 유입은 환자 폐에서 나가는 기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환자에게 삽관하여, 환자 폐에서 나가는 기체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기체유입부(200)는 기체유출부(300)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기체유출부(300)는 기체유입부(200)와 대응되되, 마주보게 형성되어, 기체유입부(200)에서 유입된 기체를 챔버(100)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이때 기체유출부(300)는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산소투여부(500)는 챔버(100) 내부로 산소가 투여된다. 이때 산소투여부(500)는 돌출되게 형성되고, 챔버(100)와 연통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산소투여부(500)는 챔버(100)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비스듬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산소투여부(500)에 산소를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산소 공급장치로 산소투여부(500)에 산소 투여를 공급 및 중단, 세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산소 공급장치는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챔버(100)는 도 1을 참조하여, 좌측에 기체유출부(300)가 위치하고, 우측에 기체유입부(200)가 위치할 수 있다.
더불어, 챔버(100)에 위치된 기체유출부(300)와 기체유입부(200)는 챔버(100)와 소정 이격되어 위치되고, 이격된 사이에는 산소투여부(500)에서 유입되는 산소가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다.
이때, 산소투여부(500)에 결합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장치에서 세기를 조절하여, 산소가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공기진입부(600)는, 챔버(100)에 형성되되, 기체유출부(300) 위치 측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진입된다.
이때 공기진입부(600)는 산소투여부(500)에 투여되는 산소의 유속에 의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산소와 동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공기진입부(600)는 챔버(100)와 기체유출부(300) 이격된 사이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도슬릿(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10)는, 챔버(100)와, 기체유입부(200)와, 기체유출부(300)와, 결합부(400)와, 산소투여부(500) 및 공기진입부(600)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챔버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다른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산소투여부와, 기체유출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기체유입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기체유입부의 판막부로 기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도 8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기체유입부의 판막부로 기체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챔버(100)는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은 의료용에 사용되는 튜브일 수 있고, 이러한 튜브(tube)재질일 수 있다.
이때 챔버(100)의 외경은 1cm이하로, 내경은 0.8cm~0.6cm일 수 있다.
또한 챔버(100)는 기체유출부(300)에서부터 기체유입부(200)까지 내측둘레면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산소투여부(500)에서 투여되는 산소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기체유입부(200)는, 챔버(100) 내측에 위치하고, 기체가 유입될 수 있다. 이때 기체의 유입은 환자 폐에서 나가는 기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환자에게 삽관하여, 환자 폐에서 나가는 기체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기체유입부(200)는 일측에 결합되되, 결합부(400)에 위치되어 기체유입부(200)에서 유입된 기체가 기체유입부(200)로 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판막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판막부(210)는 기체유출부(300) 방향으로 깔대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판막부(210)는 판막부(210) 입구가 기체유출부(300)에서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기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판막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체유입부(200)는 기체유출부(300)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기체유출부(300)는 기체유입부(200)와 대응되되, 마주보게 형성되어, 기체유입부(200)에서 유입된 기체를 챔버(100)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이때 기체유출부(300)는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결합부(400)는 기체유입부(200)와 기체유출부(300) 사이에 위치하고, 기체유입부(200)와 기체유출부(300)의 입구가 결합부(4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삽입되어, 기체유입부(200)와 기체유출부(3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부(400)는 외측둘레면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산소투여부(500)에서 투여되는 산소가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이동 시, 산소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산소투여부(500)는 챔버(100) 내부로 산소가 투여된다. 이때 산소투여부(500)는 돌출되게 형성되고, 챔버(100)와 연통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산소투여부(500)는 챔버(100) 내측면과 동일한 내측둘레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산소투여부(500)에서 투여되는 산소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산소투여부(500)는 챔버(100)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비스듬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산소투여부(500)에 산소를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산소 공급장치로 산소투여부(500)에 산소 투여를 공급 및 중단, 세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산소 공급장치는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챔버(100)는 도 2를 예시로, 좌측에 기체유출부(300)가 위치하고, 우측에 기체유입부(200)가 위치할 수 있다.
더불어, 챔버(100)에 위치된 기체유출부(300)와 기체유입부(200)는 챔버(100)와 소정 이격되어 위치되고, 이격된 사이에는 산소투여부(500)에서 유입되는 산소가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다.
이때, 산소투여부(500)에 결합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장치에서 세기를 조절하여, 산소가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공기진입부(600)는, 챔버(100)에 형성되되, 기체유출부(300) 위치 측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진입된다.
이때 공기진입부(600)는 산소투여부(500)에 투여되는 산소의 유속에 의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산소와 동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공기진입부(600)는 챔버(100)와 기체유출부(300) 이격된 사이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도슬릿(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챔버(100) 내측둘레면과, 산소투여부(500) 내측둘레면과, 결합부(400)의 외측둘레면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면, 산소투여부(500)에서 유입되는 산소가 나선형의 형상을 따라 회전되면서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일정 속력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유속되어 유출되는 산소의 속도를 40L/min으로 유도할 수 있다.
더불어, 둘레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형상 이외에, 기체유출부(300)의 입구와 기체유입구의 입구가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속이 유지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산소 공급장치로부터 산소의 유입되는 속도의 세기를 산소투여부(500)로 전달하고, 전달되는 산소가 챔버(100)와 기체유출부(300) 사이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낮아지는 속도를 기체유출부(300) 입구의 형상(입구가 점점 좁아지는 깔대기의 모양을 지님)으로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베르누이의 정리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10)는, 챔버(100)와, 외관챔버(110)와, 기체유입부(200)와, 기체유출부(300)와, 결합부(400) 및 산소투여부(500)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챔버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다른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산소투여부와, 기체유출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기체유입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기체유입부의 판막부로 기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도 8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기체유입부의 판막부로 기체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챔버(100)는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은 의료용에 사용되는 튜브일 수 있고, 이러한 튜브(tube)재질일 수 있다.
이때 챔버(100)의 외경은 1cm이하로, 내경은 0.8cm~0.6cm일 수 있다.
외관챔버(110)는 챔버(100)의 일측에 결합되되, 챔버(100)의 내측과 연통된다.
또한 외관챔버(110)는 챔버(100)의 일측에 결합되되, 기체유출부(300) 위치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외관챔버(110)는 챔버(100)의 일측으로부터 일부 경사지게 형성되고, 챔버(100)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챔버(100)는 외관챔버(110)와 결합되는 부분이 기체유출부(300)가 위치되는 챔버(100)에서 연장되어, 외관챔버(110)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기체유입부(200)는, 챔버(100) 내측에 위치하고, 기체가 유입될 수 있다. 이때 기체의 유입은 환자 폐에서 나가는 기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환자에게 삽관하여, 환자 폐에서 나가는 기체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기체유입부(200)는 기체유출부(300)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기체유출부(300)는 기체유입부(200)와 대응되되, 마주보게 형성되어, 기체유입부(200)에서 유입된 기체를 챔버(100)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이때 기체유출부(300)는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결합부(400)는 기체유입부(200)와 기체유출부(300) 사이에 위치하고, 기체유입부(200)와 기체유출부(300)의 입구가 결합부(4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삽입되어, 기체유입부(200)와 기체유출부(3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부(400)는 외측둘레면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산소투여부(500)에서 투여되는 산소가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이동 시, 산소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산소투여부(500)는 챔버(100) 내부로 산소가 투여된다. 이때 산소투여부(500)는 돌출되게 형성되고, 챔버(100)와 연통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산소투여부(500)는 챔버(100)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비스듬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산소투여부(500)에 산소를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산소 공급장치로 산소투여부(500)에 산소 투여를 공급 및 중단, 세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산소 공급장치는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챔버(100)는 도 1을 참조하여, 좌측에 기체유출부(300)가 위치하고, 우측에 기체유입부(200)가 위치할 수 있다.
더불어, 챔버(100)에 위치된 기체유출부(300)와 기체유입부(200)는 챔버(100)와 소정 이격되어 위치되고, 이격된 사이에는 산소투여부(500)에서 유입되는 산소가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다.
이때, 산소투여부(500)에 결합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장치에서 세기를 조절하여, 산소가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10)는, 챔버(100)와, 외관챔버(110)와, 기체유입부(200)와, 기체유출부(300)와, 결합부(400)와, 산소투여부(500) 및 공기진입부(600)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챔버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다른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산소투여부와, 기체유출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기체유입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기체유입부의 판막부로 기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도 8의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의 기체유입부의 판막부로 기체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챔버(100)는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은 의료용에 사용되는 튜브일 수 있고, 이러한 튜브(tube)재질일 수 있다.
이때 챔버(100)의 외경은 1cm이하로, 내경은 0.8cm~0.6cm일 수 있다.
외관챔버(110)는 챔버(100)의 일측에 결합되되, 챔버(100)의 내측과 연통된다.
또한 외관챔버(110)는 챔버(100)의 일측에 결합되되, 기체유출부(300) 위치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외관챔버(110)는 챔버(100)의 일측으로부터 일부 경사지게 형성되고, 챔버(100)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챔버(100)는 외관챔버(110)와 결합되는 부분이 기체유출부(300)가 위치되는 챔버(100)에서 연장되어, 외관챔버(110)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기체유입부(200)는, 챔버(100) 내측에 위치하고, 기체가 유입될 수 있다. 이때 기체의 유입은 환자 폐에서 나가는 기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환자에게 삽관하여, 환자 폐에서 나가는 기체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기체유입부(200)는 기체유출부(300)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기체유출부(300)는 기체유입부(200)와 대응되되, 마주보게 형성되어, 기체유입부(200)에서 유입된 기체를 챔버(100)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이때 기체유출부(300)는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결합부(400)는 기체유입부(200)와 기체유출부(300) 사이에 위치하고, 기체유입부(200)와 기체유출부(300)의 입구가 결합부(4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삽입되어, 기체유입부(200)와 기체유출부(3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부(400)는 외측둘레면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산소투여부(500)에서 투여되는 산소가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이동 시, 산소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산소투여부(500)는 챔버(100) 내부로 산소가 투여된다. 이때 산소투여부(500)는 돌출되게 형성되고, 챔버(100)와 연통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산소투여부(500)는 챔버(100)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비스듬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산소투여부(500)에 산소를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산소 공급장치로 산소투여부(500)에 산소 투여를 공급 및 중단, 세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산소 공급장치는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챔버(100)는 도 1을 참조하여, 좌측에 기체유출부(300)가 위치하고, 우측에 기체유입부(200)가 위치할 수 있다.
더불어, 챔버(100)에 위치된 기체유출부(300)와 기체유입부(200)는 챔버(100)와 소정 이격되어 위치되고, 이격된 사이에는 산소투여부(500)에서 유입되는 산소가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다.
이때, 산소투여부(500)에 결합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장치에서 세기를 조절하여, 산소가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공기진입부(600)는, 외관챔버(110)에 형성되되, 기체유출부(300) 위치 측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진입된다.
이때 공기진입부(600)는 산소투여부(500)에 투여되는 산소의 유속에 의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기체유입부(200) 방향으로 산소와 동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공기진입(600)부는 챔버(100)와 기체유출부(300) 이격된 사이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도슬릿(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를 통해 심장 혈류와 뇌혈류를 증가시키는 것을 충족시키는데 방해가 되는 요인을 제거 또는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기도삽관튜브에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도삽관튜브에 연결도 가능하고, 산소 최초 투입구인 산소투여부(500)에 전자제어 장비를 연결할 수 있으며, 수동 조작도 가능하여, 다양한 접근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심폐소생술의 질적 향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
100 : 챔버
101 : 유도홀
110 : 외관챔버
200 : 기체유입부
210 : 판막부
300 : 기체유출부
400 : 결합부
500 : 산소투여부
600 : 공기진입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기체 이동로가 형성되는 챔버;
    상기 챔버 내측에 위치하고,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부;
    상기 기체유입부와 대응되되,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기체유입부에서 유입된 기체를 상기 챔버 외부로 유출시키는 기체유출부;
    상기 기체유입부와 기체유출부 사이에 위치하여, 각각 결합시키는 결합부;
    상기 챔버 내부로 산소가 투여되는 산소투여부; 및
    상기 챔버에 형성되되, 상기 기체유출부 위치측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진입되는 공기진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는,
    상기 기체유출부에서부터 기체유입부까지 내측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산소투여부에서 투여되는 산소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것인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산소투여부는,
    내측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산소투여부에서 투여되는 산소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것인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외측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산소투여부에서 투여되는 산소가 상기 기체유입부 방향으로 이동 시, 산소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것인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체유입부는,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에 위치되어 기체유입부에서 유입된 기체가 기체유입부로 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판막부를 포함하는 것인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
  8. 삭제
  9. 기체 이동로가 형성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챔버의 내측과 연통되는 외관챔버;
    상기 챔버 내측에 위치하고,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부;
    상기 기체유입부와 대응되되,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기체유입부에서 유입된 기체를 상기 챔버 외부로 유출시키는 기체유출부;
    상기 기체유입부와 기체유출부 사이에 위치하여, 각각 결합시키는 결합부;
    상기 외관챔버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챔버 내부로 산소가 투여되는 산소투여부; 및
    상기 챔버에 형성되되, 상기 기체유출부 위치측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진입되는 공기진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는,
    상기 기체유출부에서부터 기체유입부까지 내측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산소투여부에서 투여되는 산소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것인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
KR1020220044319A 2022-04-11 2022-04-11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 KR102670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319A KR102670538B1 (ko) 2022-04-11 2022-04-11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319A KR102670538B1 (ko) 2022-04-11 2022-04-11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674A KR20230145674A (ko) 2023-10-18
KR102670538B1 true KR102670538B1 (ko) 2024-05-28

Family

ID=88508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319A KR102670538B1 (ko) 2022-04-11 2022-04-11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05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1966A (ja) * 1999-08-10 2001-03-13 Fisher & Paykel Ltd 加湿ガス用換気装置、および呼吸用チューブ
JP2012176208A (ja) 2011-02-28 2012-09-13 Fukuda Denshi Co Ltd 呼吸回路用部品
JP2014221410A (ja) * 2008-02-08 2014-11-27 イゲローサ ライフ サイエンス アーベー 心肺蘇生中のガス供給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70095631A1 (en) 2015-10-01 2017-04-06 Atsuo F. Fukunaga Resuscitator with distal oxygen inlet, breathing circuits having reusable and disposable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for resuscitation and providing assisted ventilation and anesthesia, and kits and components therefor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1398A (ko) 2011-03-31 2012-10-10 주식회사 멕 아이씨에스 인공 호흡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1966A (ja) * 1999-08-10 2001-03-13 Fisher & Paykel Ltd 加湿ガス用換気装置、および呼吸用チューブ
JP2014221410A (ja) * 2008-02-08 2014-11-27 イゲローサ ライフ サイエンス アーベー 心肺蘇生中のガス供給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2176208A (ja) 2011-02-28 2012-09-13 Fukuda Denshi Co Ltd 呼吸回路用部品
US20170095631A1 (en) 2015-10-01 2017-04-06 Atsuo F. Fukunaga Resuscitator with distal oxygen inlet, breathing circuits having reusable and disposable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for resuscitation and providing assisted ventilation and anesthesia, and kits and components theref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674A (ko) 202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5558A (en) Tracheal tube and ventilator system permitting endogenously-produced NO to be combined with respiratory gas
US6581600B2 (en) Interface apparatus and combination and method
US6761172B2 (en) Device for respiratory assistance
US9539401B2 (en) Tracheal coupling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1311693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provide breathing support
RU2556520C2 (ru) Конструктивные улучшения дыхательного приспособления
US12017008B2 (en) Pressure safety device for bag valve mask
US9050434B2 (en) Lung therapy device
JP5530760B2 (ja) 呼吸補助装置
JP2000051360A (ja) 呼吸補助装置
US2208633A (en) Anesthetizing apparatus
JP2005508203A (ja) 携帯ガス動力陽圧呼吸装置および方法
US20160243329A1 (en) High flow ventilation system for endoscopy procedures
US4098290A (en) Miniature intermittent positive pressure breathing valve
KR102670538B1 (ko) 심폐소생술 전용 산소공급 장치
JPS5940867A (ja) 蘇生装置
CN113633861B (zh) 双向通气结构及可调节吸入氧浓度的给氧装置
JP7511021B2 (ja) 呼吸補助のための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15427096A (zh) 用于呼吸支持的装置和系统
EP4374900A1 (en) Respiration device and system for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and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treatment for neonatal resuscitation
US20230263987A1 (en) Venturi device for regulating the oxygen fraction in respiratory therapies
ES2926416B2 (es) Respirador para ventilacion mecanica, equipo de control y acondicionamiento de flujo asociado al mismo, y metodo de funcionamiento de un respirador para ventilacion mecanica
EP3110489A1 (en) Device for the administration of an air/gas mixture for respiratory therapy
JP2000102617A (ja) 陽圧式人工呼吸補助装置
US20210308398A1 (en) Nitrous oxide sedation administr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