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7795B1 -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7795B1
KR102667795B1 KR1020190049160A KR20190049160A KR102667795B1 KR 102667795 B1 KR102667795 B1 KR 102667795B1 KR 1020190049160 A KR1020190049160 A KR 1020190049160A KR 20190049160 A KR20190049160 A KR 20190049160A KR 102667795 B1 KR102667795 B1 KR 102667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indow
horizontal
vertic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5208A (ko
Inventor
안병욱
노학만
최정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90049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7795B1/ko
Publication of KR20200125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15Anchoring means
    • E06B1/6023Anchoring means completely hidden between the frame and the border of the opening, at least part of the means being previously fixed to the wall
    • E06B1/603Anchoring means completely hidden between the frame and the border of the opening, at least part of the means being previously fixed to the wall adjustable

Abstract

본 발명은 분합창의 창틀 하부 건축마감재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하자를 방지하는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로써,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틀의 하부와 결합되는 수평 받침부와 상기 수평 받침부의 일단으로부터 구부러져 형성되는 수직 연결부로 이루어진 창틀 지지구와, 설치 바닥면에 고정되는 수평 고정부와, 상기 수평 고정부의 일단으로부터 구부러져 형성되는 수직 결합부로 이루어진 고정구와, 서로 접면되는 상기 수직 연결부와 수직 결합부에 관통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Window frame low support device}
본 발명은 분합창의 창틀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의 시공 과정에서 창틀을 설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시켜 수평하게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窓戶)란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 또는 문을 말하는 것으로, 실내의 환기를 위해 설치되며, 창호를 통해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창호는 개폐 시 움직이는 창짝과, 그러한 창짝의 움직임을 안내할 수 있도록 레일을 가지며 창짝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창틀로 구분된다.
한편, 창호의 시공에 있어서,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위치하는 내창인 분합창의 경우, 건축 시공과 함께 이루어지게 되며, 분합창이 설치되는 공정은 예를 들어 창틀 배치, 평철 부착, 창틀 설치, 사춤, 외부 코킹, 창짝 설치가 포함될 수 있고, 건축 시공에서 창호의 시공과 연계될 수 있는 건축 공정으로는 예를 들어 내부 먹, 칸막이벽, 방수턱, 벽체 단열 및 합지, 발코니 방수, 방바닥, 가구공사, 수장공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분합창이 설치되는 공정은 상기와 같은 건축 공정 중에 포함되어 순차적으로 시행되는데, 예를 들면 건축 공정 중에서 방수턱이 만들어진 후, 분합창이 설치되는 공정인 창틀 배치, 평철 부착, 창틀 설치, 사춤, 외부 코킹, 창짝 설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창호 시공과 건축 시공이 개별적인 업체를 통해 각각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공기(工期)를 맞추기 위해서는 경우에 따라 창호 시공이 선행된 후 건축 공정이 진행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수턱이 만들어지기 전에 분합창 설치 공정인 창틀의 하부에 평철이 부착된 상태에서 발코니 바닥면에 창틀이 먼저 설치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도 1 에서와 같이 평철(20)은 창틀(10)의 하부에서 발코니 바닥면과 실내측 바닥면에 양단이 고정되어 창틀 하부의 틀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며, 창틀의 지정 높이 조정은 벽돌 상부에 안치된 고임재(30)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발코니 바닥면에 창틀(10)이 먼저 설치된 상태에서 타공종, 예를 들면 방수턱을 만들기 위한 조적, 발코니의 방수, 단열벽체의 공종인 내장 등의 공정이 진행되는 경우, 상기 고임재(30)나 평철(20)이 간섭을 일으키게 되어 임의 철거 또는 손상되는 경우가 있고, 분합창이 설치되는 공정에서 하부 몰탈 사춤시 창틀(10)의 수평을 잡기 위해 설치된 고임재(30)로 인해 밀실 사춤이 방해를 받게 되며, 경우에 따라 고임재(30) 이탈로 공간 발생을 초래하여 통행 시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건축 공정에서 발코니의 방수 관련 작업 시 발코니 바닥면에 평철(20)을 고정시키고 있는 타정핀이 방수 관련 작업에 간섭을 일으키게 됨에 따라 임의로 철거되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가진 상태로 창호 시공과 건축 시공이 마무리되면 이후, 창대(window sill)의 처짐이나 창호의 수직 또는 수평이 변형되는 하자가 발생될 소지가 있으며, 이러한 하자가 발생하게 되면 하자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전수검사 및 보수공사가 필요하게 되면서 인력과 비용의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5-012356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창호의 시공이 선행되더라도 건축 시공과 관련된 타공종이 원만하게 이루어지면서 창호 시공 및 건축 시공의 효율성을 높이고, 창호의 시공 완성도를 높여 창호가 시공된 이후 하자가 발생되던 요인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는 분합창의 창틀 하부에 결합되는 수평 받침부와 상기 수평 받침부의 일단으로부터 구부러져 형성되는 수직 연결부를 포함하는 창틀 지지구와,
설치 바닥면에 고정되는 수평 고정부와, 상기 수평 고정부의 일단으로부터 구부러져 형성되는 수직 결합부를 포함하는 고정구 및
서로 접면되는 상기 수직 연결부와 수직 결합부에 관통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발코니가 연결되는 내창인 분합창과 같이 건축 시공과 창호의 시공이 함께 이루어질 때, 창호의 시공이 선행되어도 건축 시공에 따른 타공종이 창호의 설치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창호 시공 및 건축 시공의 효율성이 배가될 수 있으며, 창호의 시공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하자의 요인이 제거됨에 따라 창호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소비자의 만족도가 높아져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의욕이 더욱 고취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종래 구성에 따라 분합창의 하부를 지지하고 있는 평철 및 고임재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분합창의 창틀 하부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장치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로 분합 이중창용과 분합 단창용을 비교하여 예시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판단되어야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의 구성은 창틀과 고정되는 창틀 지지구와, 설치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구 및 창틀 지지구와 고정구를 서로 결합시켜주는 체결부재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 예시된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창틀 지지구(100)는,
도 2 및 도 4 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분합창의 창틀(4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창틀(400)을 설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켜 수평한 상태로 지지해주며, 대략 "ㄱ" 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일측은 창틀(400) 하부와 결합되는 수평 받침부(110)로 구성되고, 타측은 그러한 수평 받침부(110)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속하여 구부러지는 수직 연결부(120)로 구성된다.
수평 받침부(110)는 길이방향 양측 테두리 일부를 안쪽으로 구부려 제1플랜지부(112)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수평 받침부(110)의 굽힘 강도를 높여 수평 받침부(110)의 불필요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수평 받침부(110)의 표면 또는 이면에 비드부(미도시)가 구비되면서 강성을 더욱 보강할 수도 있다.
수평 받침부(110)의 표면에는 창틀(400) 하부와의 결합을 위한 제1결합공(1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결합공(111)의 개수나 형상이 한정될 필요는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수평 받침부(110)의 표면에서 전방의 대향된 양측 및 후방의 대향된 양측에 마주하도록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창틀(400)과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장공의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수평 받침부(110)는 결합되는 창틀(400)이 이중창 또는 단창인 경우에 따라 길이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다른 실시 예로 수평 받침부(110)의 저면에 보조 수평 받침부(미도시)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한 후, 창틀(400)의 크기에 따라 수평 받침부(110)로부터 보조 수평 받침부를 연장시키면서 수평 받침부(11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수평 받침부(110)로부터 연장 형성된 수직 연결부(120)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되는 고정구(200)와 결합되는 부위로, 수평 받침부(110)에 직각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수평 받침부(110)와 이루는 각도는 직각은 물론 필요 따라 둔각 또는 예각을 이루어 구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수평 받침부(110)와 수직 연결부(120)가 이루는 모서리에는 모서리가 이루는 각도와 상응하는 각도를 가진 보강재(미도시)를 설치하여 모서리의 각도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수직 연결부(120) 또한 굽힘 강도를 높이기 위해 길이방향 양측 테두리 일부를 안쪽으로 구부려 제2플랜지부(122)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직 연결부(120)의 불필요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수직 연결부(120)의 표면이나 이면 또한 강성의 보강을 위해 비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수직 연결부(120)의 제2플랜지부(122)는 수평 받침부(110)의 제1플랜지부(112)와 일체가 될 수 있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수평 받침부(110)와 수직 연결부(120)의 연결부위가 구부러질 때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제1플랜지부(112)와 제2플랜지부(122)의 연결부위를 일정한 간격으로 절결하거나, 제1플랜지부(112)와 제2플랜지부(122)를 이격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수직 연결부(120)는 표면에 제2결합공(1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결합공(121)에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되는 고정구(2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300)가 관통된다.
한편, 창틀 지지구(100)는 분합 이중창은 물론 특히, 창틀(400)의 하중 부담이 적은 분합 단창에 적용될 경우, 수평 받침부(110)와 수직 연결부(120)에 제1플랜지부(112)나 제2플랜지부(122)가 형성될 필요 없이 평평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수평 받침부(110)와 수직 연결부(122)가 이루는 모서리 안쪽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모서리의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고정구(200)는,
도 2 및 도 4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설치 바닥면과 앞서 설명한 창틀 지지구(100)와 결합되어 창틀 지지구(100)가 설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고정구(200)는 대략 "ㄴ" 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일측은 설치 바닥면에 결합되는 수평 고정부(210)로 구성되고, 타측은 그러한 수평 고정부(210)로부터 위쪽으로 연속하여 구부러지는 수직 결합부(220)로 구성된다.
수평 고정부(210) 또한 길이방향 양측 테두리 일부를 안쪽으로 구부려 제3플랜지부(212)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수평 고정부(210)의 굽힘 강도를 높여 수평 고정부(210)의 불필요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수평 고정부(210) 또한 강성 유지를 위해 표면이나 이면에 비드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수평 고정부(210)의 표면에는 설치 바닥면과의 결합을 위한 제1체결공(211)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 고정부(21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수직 결합부(220)는 앞서 설명한 창틀 지지구(100)의 수직 연결부(120)와 표면이 접면되도록 서로 결합되며, 이러한 수직 결합부(220) 또한 수평 고정부(210)에 직각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수평 고정부와 이루는 수직 결합부(220)의 각도는 앞서 설명된 수평 받침부(110)와 이루는 수직 연결부(120)의 각도와 상응하는 각도로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수평 고정부(210)와 수직 결합부(220)가 이루는 모서리에도 그러한 모서리가 이루는 각도와 상응하는 각도를 가진 보강재(미도시)가 설치되어 모서리의 각도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수직 결합부(220) 또한 길이방향 양측 테두리 일부를 안쪽으로 구부려 제4플랜지부(222)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직 결합부(220)의 굽힘 강도를 높여 불필요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수직 결합부(220)의 표면 또는 이면에도 강성의 보강을 위한 목적으로 비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4플랜지부(222) 또한 앞서 설명한 제3플랜지부(212)와 일체가 되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평 고정부(210)과 수직 결합부(220)의 연결부위를 구부릴 때 용이하도록 제3플랜지부(212)와 제4플랜지부(222)의 연결부위를 일정한 간격으로 절결하거나, 제3플랜지부(212)와 제4플랜지부(222)를 이격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수직 결합부(220)는 표면에 제2체결공(2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체결공(221)은 수직 결합부(220)와 앞서 설명한 수직 연결부(120)가 결합을 위해 서로 접면될 때 수직 연결부(120)의 제2결합공(121)과 일치하게 되며, 일치된 제2체결공(221)과 제2결합공(121)으로 뒤에서 설명될 체결부재(300)가 체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2체결공(221)은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장축을 가지는 장공의 형상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3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체결공(221)과 제2결합공(121)이 일치된 후 체결부재(300)를 통해 수직 결합부(220)와 수직 연결부(120)가 서로 연결될 때, 제2체결공(221)의 장공 범위 내에서 수직 결합부(220)로부터 수직 연결부(120)의 상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제2체결공(221)은 다른 실시 예로 장공의 장축 방향 양측 내측둘레에 대칭을 이루는 다수개의 요철홈(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제2체결공(221)과 제2결합공(121)에 체결된 체결부재(300)는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요철홈에 걸려 고정되면서 체결부재(300)가 장공 내에서 불필요하게 이동되지 않고 선택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예시된 도면에서는 서로 일치하는 제2결합공(121)과 제2체결공(221)이 각각 하나씩 구성되어 하나의 체결지점을 이루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서로 일치하는 제2결합공(121)과 제2체결공(221)을 복수개로 구성하여 복수의 체결지점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체결부재(300)는,
도 4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된 창틀 지지구(100)와 고정구(200)를 서로 연결 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체결부재(300)의 실시 예로는 도 2 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볼트(310)와 너트(3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3 과 같이 수직 연결부(120)와 수직 결합부(220)가 마주하여 접면되면서 수직 연결부(120)의 제2결합공(121)과 수직 결합부(220)의 제2체결공(221)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한쪽으로부터 볼트(310)를 끼우고 반대쪽에서 너트(320)를 체결함으로서, 수직 연결부(120)와 수직 결합부(2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체결부재(300)에는 체결력을 향상을 위하여 와셔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너트(320)의 내면에 복수의 돌기(미도시)를 둠으로써, 볼트(310)와의 체결을 통해 너트(320)가 수직 결합부(220)의 제2체결공(221)에 접면될 때 돌기가 제2체결공(221) 주변에 밀착되면서 자연적인 풀림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의 창틀 지지구(100) 및 고정구(200)는 스틸, 아연도금 스틸 등 강성이 있는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그 두께는 2-4mm, 또는 2.5-4.5mm일 수 있다. 상기 재질과 상기 두께 범위 일 경우, 발코니 방수 및 방바닥 공사 등 공정이 이루어지기까지 창틀(400)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의 사용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으며, 이하 언급되는 작업 순서는 하나의 실시 예로 작업자의 의도나 작업 환경 및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먼저, 준비된 분합창의 창틀(400) 하부와 창틀 지지구(100)의 수평 받침부(110) 상면을 접면시킨 상태에서 수평 받침부(110)의 제1결합공(111)에 나사를 체결하여 수평 받침부(110)를 창틀(400)의 하부에 고정시킨다.
이와 별도로 창틀(400)의 설치 위치를 감안하여 설치 바닥면의 소정 위치에 고정구(200)의 수평 고정부(21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수평 고정부(210)의 제1체결공(211)으로 앙카볼트나 타정핀 등을 체결하여 수평 고정부(210)를 설치 바닥면에 견고히 고정시킨다. 이 때 창틀(400)의 길이에 따라 복수개의 고정구(200)가 창틀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후, 창틀(400)의 하부와 결합된 창틀 지지구(100)의 수직 연결부(120)를 설치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구(200)의 수직 결합부(220)와 접면시킨 상태에서 수직 연결부(120)의 제2결합공(121)과 수직 결합부(220)의 제2체결공(221)을 일치시킨 다음 일치된 제2결합공(121)과 제2체결공(221)에 체결부재(300)를 체결하여 창틀(400)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으며, 이때, 창틀(400)의 높이가 조절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제2체결공(221)의 장공 범위내에서 수직 연결부(120)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합창의 창틀(400)이 설치된 후에는 사춤이나 외부 코킹의 작업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분합창의 시공이 완료된 후 건축 시공에서 타공종이 이루어질 때 간섭이 발생하더라도 시공된 분합창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타공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건축 시공이 완료된 후 시공이 완료된 분합창에 하자가 발생되는 요인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는 창틀의 종류 및 규격에 따라 창틀 지지구(100)의 수평 받침부(110) 길이를 변경할 수 있고, 또한 설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에 따라 창틀 지지구(100)의 수직 연결부(120) 및 고정구(200)의 수직 결합부(200)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으며, 그 일 실시예로 도 5는 분합 이중창용 창틀 하부 지지장치와 분합 단창용 창틀 하부 지지장치에서 창틀 지지구(100)의 수평 받침부(110) 길이에 변경을 가한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창틀 지지구 110 : 수평 받침부
111 : 제1결합공 112 : 제1플랜지부
120 : 수직 연결부 121 : 제2결합공
122 : 제2플랜지부 200 : 고정구
210 : 수평 고정부 211 : 제1체결공
212 : 제3플랜지부 220 : 수직 결합부
221 : 제2체결공 222 : 제4플랜지부
300 : 체결부재 310 : 볼트
320 : 너트

Claims (7)

  1. 창틀(400)의 하부와 결합되는 수평 받침부(110)와 상기 수평 받침부(110)의 일단으로부터 구부러져 형성되는 수직 연결부(120)를 포함하는 창틀 지지구(100);
    설치 바닥면에 고정되는 수평 고정부(210)와, 상기 수평 고정부(210)의 일단으로부터 구부러져 형성되는 수직 결합부(220)를 포함하는 고정구(200); 및
    서로 접면되는 상기 수직 연결부(120)와 수직 결합부(220)에 관통 체결되는 체결부재(300);
    를 포함하는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받침부(110), 상기 수직 연결부(120), 상기 수평 고정부(210) 및 상기 수직 결합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 양쪽 테두리에는 일부가 안쪽으로 구부러져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것인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받침부(110)의 저면에는 상기 수평 받침부(110)로부터 인출되어 고정되면서 전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보조 수평 받침부가 더 구비된 것인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200)의 수직 결합부(220)에 형성되는 제2체결공(221)은 장공의 형태로 구성된 것인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수평 받침부(110)와 상기 수직 연결부(120)에 제1플랜지부(112)와 제2플랜지부(122)로 구성되되,
    상기 제1플랜지부(112)와 제2플랜지부(122)는 상기 수평 받침부(110)와 상기 수직 연결부(120)가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서 절결 또는 이격되어 구성되는 것인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수평 고정부(210)와 상기 수직 결합부(220)에 제3플랜지부(212)와 제4플랜지부(222)로 구성되되,
    상기 제3플랜지부(212)와 제4플랜지부(222)는 상기 수평 고정부(210)와 상기 수직 결합부(220)가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서 절결 또는 이격되어 구성되는 것인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 지지구(100)는,
    상기 수평 받침부(110)와 상기 수직 연결부(120) 사이의 모서리에 강성 보강을 위한 돌기가 더 구비된 것인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

KR1020190049160A 2019-04-26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 KR102667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160A KR102667795B1 (ko) 2019-04-26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160A KR102667795B1 (ko) 2019-04-26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208A KR20200125208A (ko) 2020-11-04
KR102667795B1 true KR102667795B1 (ko) 2024-05-22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145B1 (ko) 2014-04-17 2015-10-08 이용재 창호용 철물 브라켓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145B1 (ko) 2014-04-17 2015-10-08 이용재 창호용 철물 브라켓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1620B2 (en) Method of framing a wall penetration
JP5946869B2 (ja) 外壁取付部材及び外壁構造
CA3027938C (en) Building trim
US2178817A (en) Interior paneling and method of erecting the same
KR102667795B1 (ko)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
KR102183697B1 (ko) 조립식 결로방지패드를 포함하는 창호브라켓
KR101952337B1 (ko) 천정 마감재 지지구조
US2125136A (en) Wall construction
JP2017155564A (ja) 上吊引戸
KR100792770B1 (ko) 욕실용 천정패널의 조립구조
KR20200125208A (ko)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
US6860072B2 (en) Retrofit casing head apparatus and method
KR102283312B1 (ko) 조립식 창호브라켓
JP6885723B2 (ja) シャッター
KR200497761Y1 (ko) 분합창틀용 하부 마감 캡의 단부 지지구
KR102421687B1 (ko) 창호브라켓
KR102421686B1 (ko) 탈거방지를 위한 조립식 결로방지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브라켓
CN209586028U (zh) 一种适用于墙壁固定的板材框架组件
KR102250069B1 (ko) 욕실 건식 벽체 구조
KR200283699Y1 (ko) 문틀의 개량 구조
KR200180768Y1 (ko) 샤시프레임 지지용 프레임
KR200180770Y1 (ko) 샤시프레임 시공용 마감장치
JPH0140937Y2 (ko)
JP2023023674A (ja) 間仕切りの外枠構造
JP2021195818A (ja) 建具及び窓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