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7537B1 - 설치공간을 줄인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 - Google Patents

설치공간을 줄인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7537B1
KR102667537B1 KR1020240007798A KR20240007798A KR102667537B1 KR 102667537 B1 KR102667537 B1 KR 102667537B1 KR 1020240007798 A KR1020240007798 A KR 1020240007798A KR 20240007798 A KR20240007798 A KR 20240007798A KR 102667537 B1 KR102667537 B1 KR 102667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am lock
handle lever
lev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7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11227A (ko
Inventor
최석규
하윤철
Original Assignee
카이스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9197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29275B1/ko
Application filed by 카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07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7537B1/ko
Publication of KR20240011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5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06Ligh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스위치와 수동레버의 기능을 하나의 인사이드핸들에 통합시킨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에 관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인사이드핸들을 전자식스위치 방식으로 사용하고, 비상시에는 수동레버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설치공간을 줄인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 {hybrid door inside hand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동 방식의 전자식스위치와 수동 방식의 수동레버를 하나의 인사이드핸들에 통합시킴으로써, 평상시에는 터치센서 또는 스위치를 작동시켜 전자식스위치 방식으로 도어를 개방하고, 비상시에는 수동레버 방식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도어는 래치기구(latch mechanism)의 록킹 또는 언록킹에 의해 차량 도어의 닫힘 상태를 고정시키거나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래치기구는 자동으로 전동 모터 신호를 전달하여 언록킹되도록 하는 전자식스위치 방식과, 수동으로 레버를 회전시켜 언록킹되도록 하는 수동레버 방식이 있다.
최근에는 자동으로 레버를 언록킹할 수 있는 전자식스위치 방식을 기본으로 사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되, 차량의 침수 등의 비상상황에는 수동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수동레버를 추가 배치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전자식스위치와 수동레버가 개별적으로 배치됨에 따라 차량도어의 도어트림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도어트림에 대한 디자인 자유도가 제약될 수 있고,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핸들에 관한 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2011-0083402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 방식의 전자식스위치와 수동 방식의 수동레버를 하나의 인사이드핸들에 통합시킴으로써, 평상시에는 터치센서 또는 스위치를 작동시켜 전자식스위치 방식으로 도어를 개방하고, 비상시에는 수동레버 방식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은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핸들브라켓; 및 상기 핸들브라켓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핸들레버;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핸들브라켓 및 핸들레버는 일단에 관통홀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힌지핀이 관통되어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핸들레버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핸들레버의 일측에는 래치의 해제를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자동해제누름부가 구비되고, 상기 핸들레버는 핸들브라켓에 대하여 닫힘 상태 또는 반열림 상태가 가능하며, 상기 자동해제누름부의 하부에는 터치센서 또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자식조작부가 구비됨으로써, 평상시에는 자동해제누름부를 가압하여 상기 터치센서 또는 스위치를 작동시켜 래치의 잠금을 자동으로 해제하고, 비상시에는 상기 핸들레버의 수동레버가압부를 가압하여 상기 핸들레버의 반열림상태를 만든 후, 상기 핸들레버를 실내측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핸들레버의 일단에 연결된 래치케이블이 당겨 래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은 전자식스위치와 수동레버의 기능을 하나로 통합시킴으로써 손쉬운 조작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켰으며, 또한 전자식 스위치와 수동레버가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인사이드핸들에 통합되어 설치되므로 설치공간을 줄이고 외관미를 개선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인사이드핸들은 OPEN과 CLOSE 표시를 레이저 커팅한 후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각 글자 모양을 LED 점등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었는지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도어에 설치된 인사이드핸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의 구조 및 설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의 작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을 이용하여 비상시에 수동으로 도어를 개방하는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을 이용하여 평상시에 푸시방식으로 개방하는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을 상시에 터치방식으로 개방하는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볼스토퍼가 구비된 인사이드핸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캠락이 구비된 인사이드핸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캠락이 구비된 인사이드핸들의 작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캠락이 구비된 인사이드핸들 및 캠락의 구체적인 작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도어에 설치된 인사이드핸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종래의 차량 도어는 자동으로 래치기구에 전동 모터 신호를 전달하여 언록킹되도록 하는 전자식스위치(100)와, 수동으로 레버를 회전시켜 언록킹되도록 하는 수동레버(200)가 각각 배치되어 있어, 상시에는 전자식스위치 방식을 사용하여 도어를 개방하고, 차량 침수 등의 비상상황에는 수동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배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전자식스위치(100)와 수동레버(200)가 개별적으로 배치됨에 따라 차량도어의 도어트림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저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드핸들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인사이드핸들(1)은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핸들브라켓(10)과, 상기 핸들브라켓(10)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핸들레버(2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핸들레버(20)는 핸들아우터(22)와 핸들이너(21)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b)는 핸들브라켓(10), 핸들이너(21), 및 핸들아우터(22)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핸들브라켓(10) 및 핸들레버(20)의 일단에는 관통홀(41, 42, 43)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관통홀(41, 42, 43)에 힌지핀(50)이 관통됨으로써 힌지핀(50)을 중심으로 핸들레버(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힌지핀(50)의 둘레에는 스프링(60)이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스프링(60)의 장력은 핸들레버가 닫히는 방향으로 작용하되, 핸들레버(20)가 스위치(82)에 닿기 직전의 위치까지만 핸들레버가 닫히도록 작용하므로, 스위치(82)의 작동은 사용자가 직접 핸들레버를 눌러야만 작동가능하다. 즉, 스프링(60)의 장력은 스위치(82)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상기 핸들레버(20)의 우측 상단에는 수동레버가압부(70)가 구비되고, 좌측 상단에는 터치센서(81) 또는 스위치(82)로 구성된 전자식조작부(84)를 가압하는 자동해제누름부(8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비상시에는 상기 핸들레버(20) 우측 상단의 수동레버가압부(70)를 가압하면, 힌지핀(50)을 중심으로 핸들레버(20)가 회동되면서 손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데, 이때 상기 핸들레버(20)의 좌측을 잡고 실내측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핸들레버(20)의 일단에 연결된 래치케이블이 당겨져 래치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평상시에는 상기 핸들레버(20) 좌측의 터치센서(81)를 터치하거나 스위치(82)를 가압하면, 래치의 잠금 해제 작동 신호가 발생되어 도어가 잠금 해제된다.
도 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드핸들의 설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사이드핸들(1)은 암레스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하차 시 암레스트 상단의 인사이드핸들을 통해 전자식스위치방식 또는 수동레버방식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사이드핸들은 전자식스위치와 수동레버를 개별적으로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인사이드핸들에 통합함으로써 차량 도어에서의 설치공간을 줄이고, 외관미를 개선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의 작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인사이드핸들(1)의 좌측 상단에 구비된 전자식조작부(84)를 작동시켜 간편하게 전자식스위치 방식으로 도어를 언록킹하고, 또한 도 3의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시에는 인사이드핸들(1)의 우측 상단에 구비된 수동레버가압부(70)를 가압한 후 회동시켜 수동레버 방식으로 도어를 언록킹할 수 있어 편리하게 인사이드핸들(1)을 조작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은 이하 도 4 내지 도 6의 작동 과정에 대한 설명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을 이용하여 비상시에 수동으로 도어를 개방하는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차량의 침수 등의 비상 상황에서 탑승자는 레버를 회전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다. 먼저, 도 4(a)의 상태에서 핸들레버(20) 우측 상단의 수동레버가압부(70)를 가압하면, 도 4(b)와 같이 핸들레버(20)의 좌측이 상승되면서 핸들레버(20)의 반열림 상태가 되어 핸들레버(20)의 좌측으로 손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면서 스프링(60)이 다소 압축되며, 이 때 도 4(c)와 같이 핸들레버(20)의 좌측을 실내측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핸들레버(20)가 회동하면서 핸들레버(20)의 일단에 연결된 래치케이블(미도시)이 당겨져 래치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이 때, 핸들레버(20)를 잡아당기게 되면 힌지핀(50) 둘레에 설치된 스프링(60)이 추가로 압축되었다가, 상기 핸들레버(20)를 놓게 되면 압축 상태의 스프링(60)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귀되면서 핸들레버(2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드핸들의 평상시에 잠금 상태를 스위치 방식으로 해제하는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핸들브라켓(10)의 내부에는 도 5(a)와 같이 좌측에 스위치(82)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탑승자는 도 5(b)와 같이 핸들레버(20) 좌측에 구비된 전자식조작부(84)를 가압하면, 핸들레버(20)가 스위치 작동 스트로크만큼 아래로 이동되면서 핸들레버(20) 하부에 위치한 스위치(82)를 가압하게 되고, 결국 도 5(c)와 같이 스위치 작동 신호가 발생되어 래치 측에 스위치 작동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래치의 잠금을 자동으로 해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인사이드핸들의 잠금 상태를 터치 방식으로 해제하는 작동을 보여주는 것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1)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브라켓(10), 핸들레버(20) 등의 다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제1 실시예에와 같이 핸들브라켓(10) 내부에 스위치(82)가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핸들이너(21) 내부에 터치센서(81)가 구비되도록 형성되며, 또한 핸들아우터(22)에 가요성 재질의 함몰된 자동해제누름부(80)가 형성된 구성에서만 차이가 있다.
핸들아우터(20) 좌측의 자동해제누름부(80)는 내부로 함몰된 형태로 신축성이 좋은 합성수지 또는 연질의 고무재질이나 실리콘재, 금속재 등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6(b)와 같이 탑승자에 의해 자동해제누름부(80)가 가압되면, 가요성 재질의 자동해제누름부(80)가 눌려지면서 터치센서(81)를 눌러 터치 작동 신호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래치(미도시) 측에 터치 작동 신호를 전달하여 래치(미도시)의 잠금을 자동으로 해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볼스토퍼(91)가 구비된 인사이드핸들(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1)은 핸들브라켓(10), 핸들레버(20), 전자식조작부(84) 등의 다른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핸들레버(20)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위한 구성(볼플랜저(90), 볼스토퍼(91), 가이드홈(92))에서만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스프링(60)의 장력이 제1 실시예와 같이 핸들레버(20)가 닫히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핸들레버(20)가 열리는 방향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볼플랜저(90)의 일측은 핸들브라켓(10)에 고정되고, 타측은 볼(ball)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핸들이너(21)에 형성된 홈 형태의 볼스토퍼(91)에 맞물려 핸들레버(20)가 핸들브라켓(10)에 대하여 평상시에 회동되지 않도록 방지되며, 볼스토퍼(91)의 우측으로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홈(92)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비상시에 사용자가 수동레버가압부(70)를 가압해 회전력을 가하면, 사용자에 의한 회전력과 스프링(60)의 열림 방향 힘에 의해 볼플랜저(90)가 볼스토퍼(91)에서 가이드홈(92)으로 넘어가면서 핸들레버(20)가 회동되어 핸들레버(20)의 반열림 상태가 된다.
즉, 볼플랜저(90)는 평상시 볼스토퍼(91)와 맞물려 핸들레버(10)의 회동이 방지되다가, 인사이드핸들(1)을 수동레버방식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핸들레버(20)에 회전력을 가하게 되면, 볼플랜저(90) 내측의 플랜저스프링(미도시)이 압축되면서 볼이 내측으로 인입되어 볼스토퍼(91)와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볼플랜저(90)가 가이드홈(92)으로 넘어가 핸들레버(20)가 회동되면서 핸들레버(20)의 반열림 상태가 된다. 이후 사용자는 수동으로 핸들레버(20)를 실내측으로 잡아당겨서 래치의 잠금을 해제되는 것이다.
핸들레버(20)의 좌측에 위치한 자동해제누름부(80)를 가압하여 핸들레버(20)를 아래로 이동시켜 핸들레버(20) 하부에 위치한 스위치(82)를 가압하거나, 또는 가요성 재질의 함몰된 자동해제누름부(80)를 가압하여 핸들이너(21) 내부의 터치센서(81)를 눌러 래치의 잠금 해제 신호를 발생시켜 래치의 잠금을 자동으로 해제하는 것은 제1 내지 제2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캠락(95)이 구비된 인사이드핸들(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에서 설명할 제4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1)은
핸들브라켓(10), 핸들레버(20), 전자식조작부(84) 등의 다른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핸들레버(20)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위한 구성(캠락(95), 캠락핀(96), 캠락홈(97), 캠락돌기(98), 및 스위치이동용스프링(83))에서만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스프링(60)의 장력이 제1 실시예와 같이 핸들레버(20)가 닫히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핸들레버(20)가 열리는 방향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8(a) 내지 8(c)를 참조하면, 캠락(95)은 평상시에 핸들레버(20)가 회동되지 않도록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핸들브라켓(10)에 회동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캠락(95) 상단에는 캠락핀(96)이 형성되어 있어 핸들브라켓(10)을 관통하여 핸들레버(20) 측면의 캠락홈(97)에 맞물린다. 또한 캠락(95)의 돌출된 상부는 핸들레버(20)의 회동에 따라 캠락돌기(98) 사이 구간에서 소정 각도 내 회동됨으로써 캠락핀(96)의 회동을 허용한다.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의 작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상 도 3 내지 7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캠락이 구비되지 않은 제1 실시예의 경우에는 비상시(도 3의 오른쪽 작동방식 참조)에 인사이드핸들 우측을 가압하여 회동시킨 데 반해, 캠락이 구비된 경우의 실시예에서는 비상시(도 9의 오른쪽 작동방식 참조)에 인사이드핸들 좌측을 가압하여 인사이드핸들을 회동시킨다.
도 9의 작동방식을 자세히 살펴보면, 평상시에는 인사이드핸들(1)의 좌측 상단에 구비된 전자식조작부(84)를 작동시켜 간편하게 전자식스위치 방식으로 도어를 언록킹하고, 비상시에는 인사이드핸들(1)의 좌측을 강한 힘으로 가압한 후 회동시켜 수동레버 방식으로 도어를 언록킹한다.
구체적으로, 이는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평상시에는 인사이드핸들의 좌측의 자동해제누름부(80)를 통해 자동해제누름부(80)의 아래에 위치한 전자식조작부(84)를 눌러 전자식스위치 방식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기본 값으로 하되, 차량의 침수 등의 비상 상황에서는 스위치 작동 신호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못하므로 인사이드핸들의 좌측을 강한 힘으로 한 차례 더 가압하여 캠락의 잠금을 해제하여 핸들레버가 회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캠락(95)이 구비된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1) 및 캠락(95)의 작동 방식에 대하여는 도 10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평상시에는 캠락(95)의 캠락핀(96)이 핸들레버(20) 측면의 캠락홈(97) 중심부에 위치한다. 이 때, 탑승자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도 10(a)와 같이 핸들레버(20) 좌측을 가압하면, 핸들레버(20)가 스위치 작동 스트로크만큼 아래로 이동하면서(핸들 1도 작동) 핸들브라켓(10) 좌측에 위치한 스위치(82)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나 차량의 침수 등의 비상 상황에서는 스위치 작동 신호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못한다.
이에 따라 탑승자가 비상 상황 시에 탈출을 위하여 도 10(b)와 같이 핸들레버(20)의 좌측을 강한 힘으로 한차례 더 가압하게 되면 스위치(82)가 스위치이동용스프링(83)에 의해 더 아래로 눌려 하강했다가(핸들 3도 작동) 상승되면서 캠락(95)의 잠금이 해제된 후, 스프링(60) 및 스위치이동용스프링(83)의 열림 방향 힘에 의해 핸들레버(20)가 힌지핀(50)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캠락핀(96)이 핸들레버(20) 측면의 캠락홈(97)을 타고 도 10(c)의 화살표로 표시된 궤적을 따라 좌측 상단으로 이동되며 핸들레버(20)의 반열림 상태가 된다. 여기서 자동해제누름부(80)의 아래에는 스위치(82) 및 스위치이동용스프링(83)이 위치한다.
이후, 사용자가 핸들레버(20)를 잡고 실내측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캠락핀(96)은 10(d)의 화살표로 표시된 궤적을 따라 캠락홈(97) 하단으로 이동되다가 캠락홈(97)을 완전히 이탈한다. 이때 핸들레버(20)의 일단에 연결된 래치케이블(미도시)이 당겨지면서 래치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이후 핸들레버(20)를 원위치로 눌러 복귀시키면, 캠락핀(96)은 다시 캠락홈(97)으로 진입한 후, 도 10(e)의 화살표로 표시된 궤적을 따라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캠락(95)이 다시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드핸들의 외관을 보여주는 것이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드핸들(1)은 도어 개폐 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고, 도어 개폐 감지센서(미도시)로부터 감지된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LED 점등이 가능하도록, 핸들아우터(22) 내측 상하부에 각각 OPEN과 CLOSE 표시를 레이저 커팅하고, 그 내부에 LED를 구비하여 각각을 LED 점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도어 개폐 감지센서(미도시)가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OPEN 표시를 점등하고, 도어가 닫힌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CLOSE 표시를 점등하여 탑승자가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인지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비상시에는 인사이드핸들(1)에 추가적으로 비상탈출 시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야광안료수지를 인서트하여 사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은 전자식스위치와 수동레버의 기능을 하나로 통합시킴으로써 손쉬운 조작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켰으며, 또한 전자식 스위치와 수동레버가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인사이드핸들에 통합되어 설치되므로 설치공간을 줄이고 외관미를 개선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인사이드핸들은 OPEN과 CLOSE 표시를 레이저 커팅한 후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각 글자 모양을 LED 점등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었는지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
10: 핸들브라켓
20: 핸들레버
21: 핸들이너
22: 핸들아우터
41, 42, 43: 관통홀
50: 힌지핀
60: 스프링
70: 수동레버가압부
80: 자동해제누름부
81: 터치센서
82: 스위치
83: 스위치이동용스프링
84: 전자식조작부
90: 볼플랜저
91: 볼스토퍼
92: 가이드홈
95: 캠락
96: 캠락핀
97: 캠락홈
98: 캠락돌기
100: 종래의 전자식 스위치
200: 종래의 수동레버

Claims (1)

  1.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핸들브라켓; 및
    상기 핸들브라켓의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핸들레버;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핸들브라켓 및 상기 핸들레버는 일단에 관통홀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힌지핀이 관통되어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상기 핸들레버가 상기 핸들브라켓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핸들레버의 일측에는 래치의 해제를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자동해제누름부가 구비되고,
    상기 핸들레버는 핸들브라켓에 대하여 닫힘 상태 또는 반열림 상태가 가능하며,
    상기 자동해제누름부의 하부에는 스위치 및 스위치이동용 스프링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브라켓에는 캠락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캠락의 상단에는 캠락핀이 형성되고 상기 캠락핀은 상기 핸들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핸들레버의 측면에 형성된 캠락홈에 맞물리며,
    상기 캠락의 돌출된 상부는 상기 핸들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기 핸들브라켓에 형성된 2개의 캠락돌기 사이의 구간에서 회동됨으로써 상기 캠락핀의 회동을 허용하며,
    평상시에는 자동해제누름부를 가압하여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켜 래치의 잠금을 자동으로 해제하고,
    비상시에는 사용자가 상기 핸들레버의 상기 자동해제누름부를 가압하면 상기 핸들레버가 하강하면서 상기 스위치가 상기 스위치이동용스프링에 의해 아래로 눌려 하강하였다가 상승하면서 상기 핸들레버도 함께 상승하며, 이 때 상기 캠락핀이 상기 핸들레버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캠락홈을 따라 상기 캠락홈의 언락(unlock)궤적의 좌측 상단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핸들레버는 반열림상태가 되고,
    상기 핸들레버의 반열림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핸들레버를 실내측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캠락핀은 상기 캠락홈의 언락궤적을 따라 상기 캠락홈의 하단으로 이동된 후 상기 캠락홈을 완전히 이탈하면서 상기 핸들레버의 일단에 연결된 래치케이블이 당겨지면서 상기 래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고,
    이후 사용자가 상기 핸들레버를 원위치로 눌러 복귀시키면 상기 캠락핀은 상기 캠락홈으로 진입한 후 상기 캠락홈의 락(lock)궤적을 따라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다시 잠금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스위치는 핸들브라켓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
KR1020240007798A 2024-01-18 설치공간을 줄인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 KR102667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7798A KR102667537B1 (ko) 2024-01-18 설치공간을 줄인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972A KR102629275B1 (ko) 2021-07-14 2021-07-14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
KR1020240007798A KR102667537B1 (ko) 2024-01-18 설치공간을 줄인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972A Division KR102629275B1 (ko) 2021-07-14 2021-07-14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227A KR20240011227A (ko) 2024-01-25
KR102667537B1 true KR102667537B1 (ko) 2024-05-22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2360A1 (en) * 2006-03-01 2008-01-17 Heinz-Eckhard Engel Detent assembly and its application to actuation mea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2360A1 (en) * 2006-03-01 2008-01-17 Heinz-Eckhard Engel Detent assembly and its application to actuation mea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1005B2 (en) Handle device
JP5852113B2 (ja) 車両における把持部を備える開閉式ハンドル
US10301854B2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RU2710798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наружной дверной ручки для автомобиля
US10533353B2 (en) Retractable handle arrangement
US8833813B2 (en) Handle device
US20190301212A1 (en) Closure latch assembly with latch mechanism having a dual-pawl configuration
US20120001447A1 (en) Integrated Inertial Lock and Latch for Console Lid
US7293806B2 (en) Selective one-motion door opening mechanism for door latch of vehicle
CN105291998A (zh) 具有电力可锁定的罩的车辆控制台安全系统
KR20120063707A (ko) 차량용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글로브박스 조립체
US20200262279A1 (en) Automobile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US9739077B2 (en) Linear rotating link switch actuation
US4606567A (en) Door latch operating device
KR102667537B1 (ko) 설치공간을 줄인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
KR102629275B1 (ko)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
US8671623B2 (en) Vehicle door manual lock assembly
JP6975698B2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装置
WO2020079989A1 (ja) 車両用ドアの操作レバー装置
JP3737655B2 (ja) グラブドアロック装置
KR20070008237A (ko) 인사이드 핸들 모듈
GB2580395A (en) Vehicle door latch assembly
JP7179361B2 (ja)
KR100318069B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오작동 방지장치
KR100876189B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