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7214B1 - 주차면 캐노피 - Google Patents

주차면 캐노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7214B1
KR102667214B1 KR1020230063995A KR20230063995A KR102667214B1 KR 102667214 B1 KR102667214 B1 KR 102667214B1 KR 1020230063995 A KR1020230063995 A KR 1020230063995A KR 20230063995 A KR20230063995 A KR 20230063995A KR 102667214 B1 KR102667214 B1 KR 102667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surface
roof
wiper
pair
side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3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봉
이광현
Original Assignee
김춘봉
이광현
사단법인 경기도장애인마을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봉, 이광현, 사단법인 경기도장애인마을 filed Critical 김춘봉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25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in the form of an overhead canopy, e.g. car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05Rigidly-arranged sunshade roofs with coherent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면으로 비추는 햇볕을 가리거나 눈비를 막을 수 있는 주차면 캐노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주차면의 후방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컬럼; 상기 한 쌍의 컬럼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주차면의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 사이에서 주차면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축핀; 상기 축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회동루프패널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루프;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루프 상부의 눈 또는 빗물을 주차면의 후방으로 밀어내어 제거하거나 상기 루프가 폐쇄되도록 상기 회동루프패널을 회동시키는 와이퍼; 및 상기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강한 바람이 불어도 회동루프패널이 회전되어 바람을 그대로 내보내는 배기공을 형성하므로 강풍에 의한 루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눈이 쌓여도 와이퍼에 의해 신속히 눈을 제설하여 루프의 붕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차면 캐노피{Canopy for Parking Lot}
본 발명은 주차장에 설치되는 주차면 캐노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면으로 비추는 햇볕을 가리거나 눈비를 막을 수 있는 주차면 캐노피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주차면이 옥외에 구비된 경우 햇볕을 가리거나 눈비를 막기 위하여 캐노피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장애인 주차면은 거동이 불편하거나 어려운 장애인들의 주차를 위해 구획된 공간으로서, 주차된 차량에 승하차시 장애인은 일반인보다 시간이 오래 걸릴 수 밖에 없어, 장애인의 승하차시 햇볕이나 눈비에 대한 보호를 위한 캐노피 설치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캐노피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0105호(등록일자 2015년11월12일) ‘주차용 차양 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0494호(등록일자 2018년12월12일) ‘캐노피 조립체’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은 금속 재질의 골조 및 지붕을 이용하므로 여러 개의 주차면이 구획된 주차장에 대규모로 설치하는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으나, 장애인 주차면과 같은 하나 또는 두 개의 주차면에만 설치하기에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므로 적절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태풍 등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경우 강풍에 의해 캐노피가 파손될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폭설시에는 눈이 쌓여 지붕이 무너질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0105호(등록일자 2015년11월12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0494호(등록일자 2018년12월12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애인 주차면과 같은 하나 또는 두 개의 주차면에 설치될 수 있으면서 강풍 및 적설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주차면 캐노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주차면 캐노피는, 주차면의 후방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컬럼; 상기 한 쌍의 컬럼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주차면의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 사이에서 주차면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축핀; 상기 축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회동루프패널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루프;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루프 상부의 눈 또는 빗물을 주차면의 후방으로 밀어내어 제거하거나 상기 루프가 폐쇄되도록 상기 회동루프패널을 회동시키는 와이퍼; 및 상기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상기 회동루프패널의 일단부에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인접한 회동루프패널의 걸림편을 지지하도록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홈에는 상기 회동루프패널의 폭 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에는 상기 지지홈에 요철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 사이에는 상기 지지홈에 지지되는 상기 걸림편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패드가 개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편의 외측 단부와 상기 지지홈의 내측 단부 사이에는 상기 루프에 떨어진 빗물을 상기 사이드프레임 측으로 흘려보내는 배수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슬릿을 통해 상기 사이드프레임 측으로 흘러내린 빗물을 상기 루프의 후방으로 배수하도록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일측 하단에는 배수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와이퍼 블레이드, 및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양 단부를 지지하면서 양측 사이드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와이퍼 구동블럭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에 의한 상기 와이퍼의 작동시, 상기 와이퍼가 상기 루프를 1회 쓸어내린 후 자동으로 멈추게 하는 리밋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루프는 고정루프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강한 바람이 불어도 회동루프패널이 회전되어 바람을 그대로 내보내는 배기공을 형성하므로 강풍에 의한 루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눈이 쌓여도 와이퍼에 의해 신속히 눈을 제설하여 루프의 붕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회동루프패널이 축핀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요철 결합되므로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이때 발생된 충격을 완충패드에 의해 완충시켜서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수슬릿과 배수채널을 통해 빗물을 자연스럽게 배수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절단부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작동도.
도 6은 도 4의 ‘B’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3의 C-C선 절단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와이퍼의 작동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한다.
이에 따라,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차면 캐노피(100)는, 주차면(10)(예를 들어, 장애인 주차면)의 후방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컬럼(110), 상기 한 쌍의 컬럼(110)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주차면(10)의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20),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20) 사이에서 주차면(10)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축핀(140), 상기 축핀(1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회동루프패널(151)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루프(150),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20)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루프(150) 상부의 눈 또는 빗물을 주차면(10)의 후방으로 밀어내어 제거하거나 루프(150)가 폐쇄되도록 회동루프패널(151)을 회동시키는 와이퍼(160) 및, 상기 와이퍼(16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70)를 포함한다.
컬럼(110), 사이드프레임(120) 및 축핀(140)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면 캐노피(100)의 골조를 형성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컬럼(110)은 주차면(10)의 어느 한 구획선 상의 후방 양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후방이라 함은 주차면(10)을 종방향으로 이분하였을 때 후방측 절반의 영역을 가리킨다. 또한, 양측이라 함은 주차면(10)을 횡방향으로 이분하였을 때 각 절반의 영역을 가리킨다.
컬럼(110)은 예를 들어 구조용 압연 강재인 금속 재질의 봉강 또는 각종 형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컬럼(110)의 하부는 바닥에 기초콘크리트로 타설되어 견고히 설치될 수 있다.
사이드프레임(120)은 후단(RE) 측이 컬럼(1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컬럼(110)에 지지된다. 여기서, 후단 측이라 함은 사이드프레임(120)을 종방향으로 이분하였을 때 후방측 절반의 영역을 가리키며, 사이드프레임(120)은 후단(RE)에서 컬럼(110)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도 있고(도 1 참조), 후단(RE) 보다는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컬럼(110)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미도시). 사이드프레임(120)이 후단(RE)에서 컬럼(110)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경우에는 컬럼(110)을 주차면(10)의 최후방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주차하는 차량과 컬럼(110)의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사이드프레임(120)이 후단(RE) 보다는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컬럼(110)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경우에는 컬럼(110)을 중심으로 사이드프레임(120)의 하중이 전방으로 치우치는 것을 완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사이드프레임(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면(10) 전방에 위치한 선단(FE)이 후단(RE)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주차면(10) 전방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사이드프레임(120)은 내부에 설치공간(121)을 갖도록 내부가 빈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설치공간(121)에는 와이퍼(16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70)가 설치될 수 있다.
루프(150)는 햇볕을 가리거나 눈비를 막는 기능을 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루프(150)는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캐노피(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루프(150)는 복수의 축핀(140)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회동루프패널(151)을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판판하고 넓은 사각 판재 모양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회동루프패널(151)은 경량이면서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에 의해 얇고 평평한 사각의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축핀(140)은 사이드프레임(120)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축핀(140)에는 회동루프패널(151)의 핀홀(156)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회동루프패널(151)의 선단 하부에는 축핀(140)이 결합되도록 핀홀(156)이 형성되고, 핀홀(156)의 하부에는 절개홈(157)이 형성된다. 즉, 회동루프패널(151)의 핀홀(156)은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절개홈(157)을 통해 축핀(140)에 쉽게 결합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회동루프패널(151)의 후단에는 걸림편(152)이 형성되고, 선단에는 걸림편(152)을 지지하도록 지지홈(153)이 형성된다. 지지홈(153)은 걸림편(152)의 두께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되어, 걸림편(152)이 지지홈(153)에 지지되었을 때에, 연접하는 복수의 회동루프패널(151) 상면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걸림편(152)의 외측 단부와 지지홈(153)의 내측 단부 사이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수슬릿(154)이 형성되어 루프(150) 상부의 빗물이 주차면(10)으로 떨어지지 않고 양측에 위치한 사이드프레임(120) 측으로 흘러 모이게 한다.
또한, 지지홈(153)에는 회동루프패널(151)의 폭 방향을 따라 결합홈(153a)이 길게 형성되고, 걸림편(152)에는 결합홈(153a)에 요철 결합되도록 결합돌기(152a)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결합홈(153a)에 결합돌기(152a)가 요철 결합되어 배수슬릿(154)으로 흐르는 빗물이 걸림편(152)과 지지홈(153) 사이의 공간으로 침투하여 주차면(10)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선택적으로, 결합돌기(152a)와 결합홈(153a) 사이에는 고무 따위의 탄력성을 갖는 완충패드(155)가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패드(155)는 결합홈(153a)과 결합돌기(152a)의 방수 기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회동루프패널(151)이 회동하면서 열렸다 닫힐 때 걸림편(152)이 지지홈(153)에 부딪쳐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한 소음도 방지할 수 있다.
부연하면, 평상시 중력에 의해 회동루프패널(151)의 걸림편(152)은 인접하는 지지홈(153)에 안착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상태를 이루며 닫혀 있게 된다.
이와 달리, 태풍 등과 같이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에는, 루프(150)의 상하부에 걸리는 압력차에 의해 회동루프패널(151)이 회동되어 열리게 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150) 상에 바람을 배기하여 압력차를 해소하는 배기공(158)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루프(150)는 회동루프패널(151)뿐만 아니라 고정루프패널(159)도 포함할 수 있으며(도 9 참조), 이때 회동루프패널(151)은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 주차면(10)의 전방측으로 배치하고, 고정루프패널(159)은 주차면(10)의 후방측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루프(150)를 이루는 회동루프패널(151)과 고정루프패널(159)은 바둑판 배열 방식 등 자유로운 형태로 배치가 가능하며, 고정루프패널(159)에는 태양광 패널을 부착하여 후술하는 구동부(170) 및 기타 전력 부품(주차면 빈자리 표시램프, 장애인 휠체어 충전기 등)의 전력원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고정루프패널(159)은 축핀(140) 또는 사이드프레임(120)에 고정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양측 사이드프레임(120)의 사이에 추가의 종방향 프레임(미도시)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고정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루프(150)가 회동루프패널(151)로만 형성되는 경우에는 최후단에 위치한 회동루프패널(151)의 걸림편(152)이 안착되는 지지홈(도 4 참조)을 구비하는 크로스바(130)가 양측 사이드프레임(120)에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와이퍼(160)는 루프(150) 상부의 눈 또는 빗물을 주차면(10)의 후방으로 밀어내어 제거하거나 루프(150)가 폐쇄되도록 회동루프패널(151)을 회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와이퍼(160)는, 루프(150)에 적설된 눈을 쓸어 내리거나 빗물을 닦도록 양측 사이드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된 와이퍼 블레이드(161)와, 와이퍼 블레이드(161)의 양 단부를 지지하면서 양측 사이드프레임(120)을 따라 이동하는 와이퍼 구동블럭(162)을 포함한다.
와이퍼 블레이드(161)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와이퍼 구동블럭(162)은 양측 사이드프레임(120)의 설치공간(121)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와이퍼 블레이드(161)의 양 단부를 지지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와이퍼(16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70)는, 와이퍼 구동블럭(162)을 사이드프레임(120)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사이드프레임(120)의 설치공간(121)에 설치된 벨트(171), 벨트(171)를 작동시키도록 연결된 풀리, 풀리를 구동시키도록 연결된 모터(174)를 포함한다.
풀리는 사이드프레임(120)의 후단과 선단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풀리(172)와 종동풀리(173)로 이루어지며, 벨트(171)는 구동풀리(172)와 종동풀리(173)를 연결한다. 벨트(171)에는 와이퍼 구동블럭(162)이 고정 결합되어 와이퍼 블레이드(161)를 연결한다. 이때, 와이퍼 블레이드(16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171) 상에 등간격으로 위치되도록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모터(174)는 컬럼(110) 또는 주차면(10)의 일측에 구비되어 구동풀리(172)를 구동시킨다.
모터(174)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는 컬럼(11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구동부(170)는 와이퍼(160)의 작동을 멈추게 하는 리밋스위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와이퍼 블레이드(161)가 루프(150)의 전단(FE)에서 후단(RE)으로 이동하면 리밋스위치를 작동시켜 모터(174)를 정지시킴으로써, 와이퍼 블레이드(161)가 루프(150)를 1회 쓸어내린 후 자동으로 멈추게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이드프레임(120)의 일측 하단으로는 사이드프레임(120)의 선단에서 후단 방향으로 길게 배수채널(124)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배수슬릿(154)을 통해 양측으로 흘러내린 빗물은 배수채널(124)을 통해 주차면(10)의 후방측으로 흘러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WS는 사이드프레임(120)과 회동루프패널(151)의 사이에서 축핀(140)에 구비된 와셔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는 바람이 불지 않는 평상시 상태의 루프(15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이 불지 않은 평상시에 루프(150)는 회동루프패널(151)의 걸림편(152)이 인접한 지지홈(153)에 지지되어 평평한 상태를 이룬다.
이때, 루프(150)로 내리는 비는 복수의 회동루프패널(151) 사이에 형성된 배수슬릿(154)으로 흐른 후 양측 사이드프레임(120)의 배수채널(124)을 지나 컬럼(110) 방향으로 배수된다.
다음, 도 5는 강한 바람이 불어서 배기공(158)이 형성된 루프(150)의 절단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150)의 하부에서 강한 바람이 상승하면 회동루프패널(151)은 축핀(140)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이때 루프(150) 상에는 배기공(158)이 형성되어 바람을 상부로 통과시킨다.
이로 인하여, 루프(150)는 강풍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이 그치면, 회동루프패널(151)은 자중에 의해 축핀(14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다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회동루프패널(151)의 결합돌기(152a)는 결합홈(153a)에 요철 결합되어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동루프패널(151)의 결합돌기(152a)가 결합홈(153a)에 요철 결합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은 완충패드(155)에 의해 완충되어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와이퍼(16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먼저, 루프(150)에 눈이 쌓이면 스위치의 조작으로 모터(174)를 구동시켜서 풀리와 벨트(171)를 작동시킨다.
이어서, 벨트(171)에 와이퍼 구동블럭(162)으로 연결된 와이퍼 블레이드(161)는 사이드프레임(120)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고, 이와 함께 와이퍼 블레이드(161)는 루프(150)에 쌓인 눈을 닦으면서 이동하게 된다.
와이퍼(160)가 루프(150)에 쌓인 눈을 모두 닦아서 제설이 끝나는 지점에 다다르면, 리밋스위치는 이를 검출하여 모터(174)로 동작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의해 모터(174)는 정지될 수 있다.
와이퍼(160)의 다른 기능으로서, 강풍이 불지 않음에도 열려있는 회동루프패널(151)이 있을 경우 와이퍼(160)를 작동시켜 회동루프패널(151)을 회동시킴으로써 루프(150)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사상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장애인 주차면 100 : 캐노피
110 : 컬럼 120 : 사이드프레임
130 : 크로스바 140 : 축핀
150 : 루프 151 : 회동루프패널
152 : 걸림편 153 : 지지홈
154 : 배수슬릿 155 : 완충패드
159 : 고정루프패널 160 : 와이퍼
161 : 와이퍼 블레이드 162 : 와이퍼 구동블럭
FE : 선단 RE : 후단

Claims (8)

  1. 주차면의 후방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컬럼;
    상기 한 쌍의 컬럼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주차면의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 사이에서 주차면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축핀;
    상기 축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회동루프패널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루프;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루프가 폐쇄되도록 상기 회동루프패널을 회동시키는 와이퍼; 및
    상기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루프패널은 바람에 의해 상기 루프의 상하부에 걸리는 압력차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루프 상에 바람을 배기하여 압력차를 해소하는 배기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캐노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루프패널의 일단부에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인접한 회동루프패널의 걸림편을 지지하도록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캐노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에는 상기 회동루프패널의 폭 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에는 상기 지지홈에 요철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캐노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 사이에는 상기 지지홈에 지지되는 상기 걸림편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패드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캐노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의 외측 단부와 상기 지지홈의 내측 단부 사이에는 상기 루프에 떨어진 빗물을 상기 사이드프레임 측으로 흘려보내는 배수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슬릿을 통해 상기 사이드프레임 측으로 흘러내린 빗물을 상기 루프의 후방으로 배수하도록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일측 하단에는 배수채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캐노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와이퍼 블레이드, 및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양 단부를 지지하면서 양측 사이드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와이퍼 구동블럭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캐노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의한 상기 와이퍼의 작동시, 상기 와이퍼가 상기 루프를 1회 쓸어내린 후 자동으로 멈추게 하는 리밋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캐노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루프는 고정루프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면 캐노피.
KR1020230063995A 2023-05-17 주차면 캐노피 KR102667214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7214B1 true KR102667214B1 (ko) 2024-05-29

Family

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1990A (ja) * 1999-09-13 2001-03-27 Kyushu Fujisash Co Ltd カーポート
JP2008138482A (ja) * 2006-12-05 2008-06-19 Shigeru Inoue 屋根用除雪装置
CN213573240U (zh) * 2020-10-13 2021-06-29 湖南思佳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安装融雪除冰光伏发电板的停车棚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1990A (ja) * 1999-09-13 2001-03-27 Kyushu Fujisash Co Ltd カーポート
JP2008138482A (ja) * 2006-12-05 2008-06-19 Shigeru Inoue 屋根用除雪装置
CN213573240U (zh) * 2020-10-13 2021-06-29 湖南思佳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安装融雪除冰光伏发电板的停车棚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8455A2 (en) Automatic solar panel cleaning system
US8029665B2 (en) Wastewater screening device
CN113216319B (zh) 一种绿色楼宇屋顶雨水回收利用系统
KR102667214B1 (ko) 주차면 캐노피
KR100886467B1 (ko) 방음통풍패널
KR200443808Y1 (ko) 개폐형 아케이드
KR101406712B1 (ko) 이중 스크린 제진기
CN111456343A (zh) 一种平顶型活动房屋
KR102099967B1 (ko) 터널형 방음벽 지붕용 제설 기능을 포함하는 클리닝장치
KR102291857B1 (ko) 제진성이 향상된 이동형 레벨 제진기
CN214319338U (zh) 一种建筑施工降雨排水结构
CN210975526U (zh) 一种防止淤泥堵塞的桥梁建筑用排水结构
CN211548437U (zh) 房屋建筑工程保温防水结构
JP2014152489A (ja) 機械式駐車設備
CN221072278U (zh) 一种公路桥梁的排水装置
CN111502360A (zh) 一种防洪排水地下车库
CN208329395U (zh) 一种防积雪的雨水回收屋顶
CN218597556U (zh) 一种建筑设计屋顶榜口防水结构
CN218292518U (zh) 一种建筑结构工程用屋顶防水结构
CN221118139U (zh) 一种城市道路排水结构
CN218970461U (zh) 一种钢结构厂房的天沟结构
CN218375593U (zh) 一种仿生形态的木亭
CN220567660U (zh) 一种道路标线玻璃珠表面处理用烘干装置
CN212453387U (zh) 一种建筑物雨棚
CN220377674U (zh) 一种屋顶用自动排水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