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7059B1 -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차량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차량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7059B1
KR102667059B1 KR1020217036213A KR20217036213A KR102667059B1 KR 102667059 B1 KR102667059 B1 KR 102667059B1 KR 1020217036213 A KR1020217036213 A KR 1020217036213A KR 20217036213 A KR20217036213 A KR 20217036213A KR 102667059 B1 KR102667059 B1 KR 102667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unit
vehicle
battery replacement
battery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6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5200A (ko
Inventor
젠후이 후앙
항 마
용차오 리
Original Assignee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21/115693 external-priority patent/WO2023028844A1/zh
Publication of KR20230035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80Exchanging energy storage elements, e.g. removabl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3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Abstract

본 출원 실시예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차량 및 시스템을 제공하며, 배터리 기술분야에 관련 된 것으로, 해당 방법은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입구에 도착한 경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를 수집하는 단계와,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 저장된 제1 번들링 관계에 근거하여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취득하는 단계와,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는 제1 번들링 관계에서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포함함-,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근거하여, 제1 관리 유닛이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되는 제2 관리 유닛에 무선 통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와, 제1 관리 유닛과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간에 성공적으로 무선 통신 연결이 구축된 경우,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되는 제2 관리 유닛과 인터랙티브하여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하면 배터리 교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차량 및 시스템
본 출원은 배터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차량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신에너지 기술의 발전에 따라 배터리의 응용분야가 날로 광범해지고 있어 동력원으로서 차량에 동력을 공급하여 재생불가능한 자원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차량의 배터리 전기량이 지속적인 주행을 지원할 수 없을 경우, 충전기 등 충전설비를 이용해 충전하는 방식, 즉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에 충전하는 방법으로 배터리의 충/방전 순환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배터리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차량의 항속적인 사용에 제한이 있다.
차량의 항속 사용율을 높이기 위해, 배터리 교체 기술이 고안되었다. 차량은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을 통해 전기량이 부족한 배터리를 전기량이 충족한 배터리로 교체하므로써 차량의 항속적인 사용을 실현할 수 있다. 하지만,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서, 수동으로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중의 관련 배터리 교체 장비를 조작해야 하기에 배터리 교체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차량 및 시스템은 배터리 교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양태에 있어서,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은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적용되며,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은 제1 관리 유닛을 포함하고, 제1 관리 유닛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다. 배터리 교체 방법은,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입구에 도착하면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를 수집하는 단계와,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1 번들링 관계에 근거하여,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취득하는 단계와, -제1 번들링 관계는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 차량에 적용된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 대응관계를 포함하고,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는 제1 번들링 관계에서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포함함-,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근거하여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되는 제2 관리 유닛에 무선 통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와, 제1 관리 유닛과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간에 성공적인 무선통신 연결이 구축되 경우,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되는 제2 관리 유닛과 인터랙티브하여,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은 능동적으로 대상 차량의 제2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구축된 무선통신 연결을 통해 인터랙티브하여, 배터리 교체에 필요한 정보, 명령의 인터랙티브를 실현하므로써 자동적으로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입구에 도착하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은 인공 조작이 필요없이,자동으로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교체 효율을 향상시킨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 미리 저장된 제1 번들링 관계에 근거하여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취득한 후, 제1 관리 유닛을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을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로 스위칭하므로써 차량 중의 제2 관리 유닛에 대해 능동적으로 무선 통신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되는 제2 관리 유닛과 인터랙티브한다는 것은,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2 관리 유닛에 배터리 교체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배터리 교체 명령은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의 시작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과 인터랙티브한다는 것은,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2 관리 유닛이 송신한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을 수신하는 것과,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은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이 배터리 교체 명령에 응답하여 송신한 것임-, 제1 관리 유닛은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에 응답하여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로부터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로 스위칭하는 것을 더 표함한다.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은 대상 차량의 제2 관리 유닛과 직접 무선통신으로 인터랙티브하여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 시작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과 통신 시 전체 차량의 협조가 필요없으므로 적용성이 더 강하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되는 제2 관리 유닛과 인터랙티브한다는 것은,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되는 제2 관리 유닛으로부터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포함하고,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는 제2 관리 유닛이 대상 차량 배터리팩의 제3 관리 유닛으로부터 취득한 것이며,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에 배터리 교체 명령을 송신하는 것은,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가 미리 설정한 배터리 교체 준비 안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2 관리 유닛에 배터리 교체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는 배터리팩 릴레이의 온/오프 상태와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로크 구조의 온/오프 상태를 포함하고, 배터리 교체 준비 안전 조건은, 배터리팩 릴레이 온/오프 상태가 오프 상태이며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로크 구조의 온/오프 상태가 오프 상태인 것을 포함한다.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와 배터리 교체 준비 안전 조건을 통해 대상 차량의 배터리팩 배터리 교체 준비가 안전한 경우에만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수행하므로써 배터리 교체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확보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를 수집한 후, 미리 취득한 배터리 교체 권한 리스트에서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를 조회하는 단계와, 배터리 교체 권한 리스트에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진입하도록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 미리 저장된 제1 번들링 관계에 근거하여,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취득하는 단계는, 배터리 교체 권한 리스트에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 미리 저장된 제1 번들링 관계에 근거하여,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배터리 교체 권한 리스트를 통해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은 배터리 교체 권한이 있는 차량에 한해서만 진입을 허용하므로써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의 신뢰성과 제어가능성을 확보한다.
제2 양태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은,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에 적용되고, 제2 관리 유닛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며,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들오온 후,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중의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무선 통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무선 통신 요청은 제1 관리 유닛이 취득된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따라 송신한 것이며,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저장된 제1 번들링 관계에서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위치 관계이며,제1 번들링 관계는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와 차량의 차량 식별자 대응관계를 포함함-, 무선 통신 요청에 응답하여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과 인터랙티브하여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은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과 구축된 무선통신 연결을 통해 인터랙티브하여, 배터리 교체에 필요한 정보, 명령의 인터랙티브를 완성하므로써 자동으로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입구에 도착한 후,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은 인공 조작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교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중의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무선 통신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제2 관리 유닛을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관리 유닛을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로 스위칭하므로써 제1 관리 유닛이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에서 능동적으로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 상태인 제2 관리 유닛에 무선 연결 요청을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중의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무선 통신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제2 관리 유닛에 의해, 차량의 전체 차량 컨트롤러로부터 차량 고압 오프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중의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무선 통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차량 고압 오프 상태 정보가 차량이 이미 고압 오프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중의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무선 통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차량이 이미 고압 오프 상태인 경우에만, 제2 관리 유닛은 제1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 구축하고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하므로써 배터리 교체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보장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과 인터랙티브한다는 것은, 제2 관리 유닛에 의해,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배터리 교체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배터리 교체 명령은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의 시작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과 인터랙티브한다는 것은, 배터리 교체 명령에 응답하여, 제2 관리 유닛을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로 스위칭하 것과, 제2 관리 유닛에 의해, 제1 관리 유닛에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은 제1 관리 유닛을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은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과 직접 무선통신으로 인터랙티브하여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 시작을 실현할 수 있기에, 차량 전체가 협력할 필요없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과 통신할 수 있으므로, 적용성이 보다 강하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해당 방법은, 제2 관리 유닛에 의해, 대상 차량 배터리팩의 제3 관리 유닛에 무선 통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와,- 제3 관리 유닛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배터리팩의 상태정보를 모니터링 하는데 사용되며,배터리팩의 상태정보는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를 포함함-, 제2 관리 유닛과 제3 관리 유닛간에 성공적으로 무선통신 연결이 구축된 경우, 제2 관리 유닛에 의해, 제3 관리 유닛으로부터 배터리 교체 준비 정보를 취득하여 제1 관리 유닛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2 관리 유닛에 의해,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배터리 교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가 미리 설정한 배터리 교체 준비 안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2 관리 유닛에 의해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배터리 교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는 배터리팩 릴레이의 온/오프 상태와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로크 구조의 온/오프 상태를 포함하고, 배터리 교체 준비 안전 조건은 배터리팩 릴레이 온/오프 상태가 오프 상태이며,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로크 구조 온/오프 상태가 오프 상태인 것을 포함한다.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와 배터리 교체 준비 안전 조건을 통해 대상 차량의 배터리팩 배터리 교체 준비가 안전한 경우에만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하므로써 배터리 교체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확보한다.
제3 양태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은,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입구에 도착한 경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를 수집하여 관리장치에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를 업로드하는데 사용되는 정보 수집장치와,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 미리 저장된 제1 번들링 관계에 근거하여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취득하여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제1 관리 유닛에 송신하는데 사용되며, 제1 번들링 관계는,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 차량 중의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와의 대응관계를 포함하고,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는 제1번들링 관계에서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포함하는 관리장치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근거하여,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에 무선 통신 요청을 송신하고,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되는 제2 관리 유닛과 무선 통신 연결을 성공적으로 구축한 경우,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데 사용되는 제1 관리 유닛을 포함한다.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서 제1 관리 유닛은 능동적으로 대상 차량의 제2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구축된 무선통신 연결을 통해 인터랙티브 하여, 배터리 교체에 필요한 정보, 명령의 인터랙티브를 완성하므로써 자동으로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입구에 도착한 후,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은 인공 조작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으므로써 배터리 교체 효율을 향상시킨다.
제4 양태에 있어서 ,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차량은, 제2 관리 유닛을 포함하고, 제2 관리 유닛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며, 제2 관리 유닛은,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들어온 후, 상기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중의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무선 통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요청은, 제1 관리 유닛이 취득된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따라 송신한 것이며,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저장된 제1 번들링 관계에서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위치 관계이며, 제1번들링 관계는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와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의 대응관계를 포함하며, 무선 통신 요청에 응답하여,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과 무선 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과 인터랙티브하여,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데 사용된다.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은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과 구축한 무선통신 연결을 통해 인터랙티브 하여 배터리 교체에 필요한 정보, 명령의 인터랙티브를 완성하므로써 자동으로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입구에 도착한 후,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은 인공 조작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으므로서 배터리 교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양태에 있어서,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시스템은, 제1 양태의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과, 제2 관리 유닛을 포함하며, 제2 관리 유닛은 제2 양태의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차량을 포함한다.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은 능동적으로 대상 차량의 제2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구축된 무선통신 연결을 통해 인터랙티브 하여 배터리 교체에 필요한 정보, 명령의 인터랙티브를 완성하므로써 자동으로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입구에 도착한 후,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은 인공 조작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교체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차량 및 시스템에 있어서,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은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근거하여, 차량 식별자와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간 대응관계에서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하는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 즉 대상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취득할 수 있다.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은 능동적으로 대상 차량의 제2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구축된 무선통신 연결을 통해 인터랙티브 하여 배터리 교체에 필요한 정보, 명령의 인터랙티브를 완성하므로써 자동으로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입구에 도착한 후,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은 인공 조작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교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출원 실시예에 사용되는 도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하기에 설명된 첨부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당업자들은 창의적인 노력을 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첨부도면에 기반하여 기타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의 적용 장면의 예시 모식도이다.
도2는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의 적용 장면의 다른 한 예시 모식도이다.
도3은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적용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4는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적용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5는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적용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6은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적용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7은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제2 관리 유닛에 적용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8은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제2 관리 유닛에 적용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9는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제2 관리 유닛에 적용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10은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제2 관리 유닛에 적용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11는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일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12는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차량의 일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13는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차량의 다른 일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은 본 출원의 원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뿐, 본 출원의 범위를 제한하는 데 사용될 수 없으며, 즉, 본 출원은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본 출원의 설명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는 2개 이상을 의미하고, "상(上)", "하(下)", "좌(左)", "우(右)", "내(內)", "외(外)"로 표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본 출원을 설명하고, 또한 설명을 간결화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언급된 장치 또는 소자가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하고 특정 방향으로 구성 및 작동되어야 함을 나타내거나 암시하지 아니므로, 본 출원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 된다. 또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상대적인 중요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아니 된다. "수직"은 엄격한 의미에서의 수직이 아니라, 오차 허용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병렬"은 엄격하게 평행되는 것이 아니라, 오차 허용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 나타나는 방향성 단어는 모두 도면에 나타난 방향이며, 본 출원의 구체적인 구조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설명이 필요한 것은, 별도로 명확한 규정과 제한이 없는 한, "장착","서로 연결" 및 "연결"이라는 용어는 광의적인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예하면 고정 연결 또는 탈착 가능한 연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일체형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본 출원에서 언급하는 상기 용어들의 구체적인 의미를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이해할 수 있다.
신 에너지 기술의 발전으로, 배터리의 응용 분야는 점점 더 광범위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는 차량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원으로 사용될 수 있어, 재생 불가능한 자원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차량의 배터리가 차량의 지속적인 주행을 지원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경우, 충전기와 같은 충전 장치를 사용하여 차량을 충전, 즉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이로써 배터리의 충/방전 순환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차량의 항속적인 사용을 제한한다.
차량의 항속 사용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터리 교체 기술이 등장했다. 배터리 교환 기술은 "차량과 배터리의 분리" 방식을 채택하여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을 통해 차량에 배터리 교체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배터리를 차량에서 신속하게 제거하거나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현단계에서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있는 배터리 교체 관련 장비를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배터리 교체 효율성을 제고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배터리 교체 방법,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차량 및 시스템을 제공하여,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은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근거하여,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관리 유닛과 차량의 관리 유닛간에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하므로써, 무선통신 연결을 통해 인터랙티브하여, 자동으로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서의 배터리 교체 자동화를 실현하고, 인공 조작이 필요없으므로, 배터리 교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에는 먼저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의 적용 장면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의 적용 장면의 일 예시 모식도이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은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11), 차량(12) 및 배터리에 관련될 수 있다.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11)은 차량에 배터리 교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소를 나타낼 수 있다. 예하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11)은 고정적인 장소일 수도 있고, 또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11)은 이동식 배터리 교체용 차량 등의 이동가능한 장소일 수도 있는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11)은 제1 관리 유닛(111)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제1 관리 유닛(111)은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설치된 배터리 관리 유닛일 수 있다. 예하면, 제1 관리 유닛(111)을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배터리 관리 유닛(Tube Battery Management Unit,TBMU)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관리 유닛(111)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기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유닛, 모듈, 장치 등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무선통신 연결을 통해 기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유닛, 모듈, 장치 등과 인터랙티브할 수 있다. 제1 관리 유닛(111)의 무선 통신 기능은 블루투스 통신기능, WiFi통신기능, ZigBee통신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차량(12)은 배터리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차량(12)는 소형 자동차, 트럭 등 파워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하는 차량일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차량(12)은 제2 관리 유닛(121)을 구비한다. 일부 예시에서, 제2 관리 유닛(121)은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 관리 유닛일 수 있다. 예하면 제2 관리 유닛(121)을 마스터 배터리 관리 유닛(Master Battery Management Unit,MBMU)이라 칭할 수 있다. 제2 관리 유닛(121)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기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유닛, 모듈, 장치 등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무선통신 연결을 통해 기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유닛, 모듈, 장치 등과 인터랙티브 할수 있다. 제2 관리 유닛(121)의 무선 통신 기능에는 블루투스 통신기능, WiFi통신기능, ZigBee통신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배터리는, 차량(12)내에 설치된 배터리와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11)에 위치하여 배터리 교체에 사용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11)에서, 배터리 교체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11)의 배터리 교체 캐비닛(112)에 배치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구분의 편의를 위해,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12)내의 배터리를 배터리(131)로 표기하고,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서 배터리 교체에 사용되는 배터리를 배터리(132)로 표기한다.
배터리는 리튬 이온 배터리, 리튬 금속 배터리, 납산 배터리, 니켈 크롬 배터리, 니켈 수소 배터리, 리튬 황 배터리, 리튬 공기 배터리 또는 나트륨 이온 배터리 등일 수 있는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배터리는 배터리 셀,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팩일 수 있는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배터리는 동력원으로서 차량(12)의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에, 또한 에어컨, 차량용 플레이어 등과 같은 차량(12)의 기타 전기 소모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는 또한 대응되게 제3 관리 유닛(133)을 설치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제3 관리 유닛(133)은 배터리에 대응되는 배터리 관리 유닛일 수 있다. 예하면, 제3 관리 유닛(133)을 슬레이브 배터리 관리 유닛(Slave Battery Management Unit,SBMU)이라 칭할 수 있다. 제3 관리 유닛(133)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기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유닛, 모듈, 장치 등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무선통신 연결을 통해 기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유닛, 모듈, 장치 등과 인터랙티브할 수 있다. 제3 관리 유닛(133)의 무선 통신 기능은 블루투스 통신기능, WiFi통신기능, ZigBee통신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는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차량(12)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11)에 들어온 후,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11)은 차량(12)에서 전기량이 부족한 배터리(131)를 제거하고,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11) 내의 전기량이 충족한 배터리(132)를 차량(12)에 설치한다. 전기량이 충족한 배터리(132)를 차량(12)에 설치한 후, 차량(12)은 배터리 교체를 완료하고,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11)에서 나간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11)에서의 배터리 교체 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어, 몇 분, 심지어 수십 초 내에 차량(12)에 대한 배터리 교체를 완성할 수 있어, 배터리 교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11)에는 대응되게 관리 장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관리 장치는 집중식 구조일 수도 있고 분산식 구조일 수도 있는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관리 장치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11) 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11)외에 설치될 수도 있다. 관리 장치가 분산식 구조인 경우, 관리 장치는 일부가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11)내에 설치되고, 일부가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11)외에 설치 될 수도 있다. 관리 장치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스테이션내의 컴퓨터 및/또는 원격 서버일 수 있는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도2는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 적용 장면의 다른 일 예시의 모식도이다. 도2과 도1의 상이점은, 도2에 나타낸 적용 장면은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스테이션내의 컴퓨터(141)와 원격 서버(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내의 컴퓨터(141)는 제1 관리 유닛(111)과 유선 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스테이션내의 컴퓨터(141)는 제1 관리 유닛(111) 및 제2 관리 유닛(121)을 통해 차량(12)내 배터리 관련 정보와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11)내 교체하려는 배터리의 관련 정보를 취득하고, 또한 제1 관리 유닛(111)에 관련 명령 등을 송신할 수 있다. 원격 서버(142)는 스테이션내의 컴퓨터(141)와 통신 인터랙티브하여 스테이션내의 컴퓨터(142)로부터 차량(12)내의 배터리의 관련 정보와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11)내의 교체하려는 배터리의 관련 정보를 취득하고, 또한 스테이션내의 컴퓨터(141)에 관련 명령 등을 송신 할 수 있다.
하기에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차량 및 시스템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제1 양태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을 제공하는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적용할 수 있다.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이하 차량 내의 배터리가 배터리팩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적용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은, 단계S201 내지 단계S204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201에서,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입구에 도착한 경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를 수집한다.
대상 차량은 배터리 교체가 필요한 차량을 나타낼 수 있다. 차량 식별자는 차량을 식별하는데 사용되고, 즉 상이한 차량은 차량 식별자는 상이하다. 차량 식별자는 번호판의 번호, 차량의 유일한 식별코드, 차량 구성부품의 제품 일련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는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량 식별자는 차량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RFID)라벨 등 판독 가능한 소자에 탑재되어, 주파수 라벨 판독기를 통해 무선주파수 식별 라벨에 탑재된 차량 식별자를 판독할 수 있다. 차량 식별자가 무선주파수 식별 라벨 등 판독 가능한 소자에 탑재된 경우, 무선주파수 식별 라벨 등 판독가능한 소자에는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 등 기타 정보가 탑재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무선주파수 식별 라벨 등 판독가능한 소자에 저장된 정보는 적어도 일부분이 암호화된 정보일 수 있는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무선주파수 식별 라벨 등 판독 가능한 소자에 탑재된 정보의 암호화는, 무선주파수 식별 라벨 등 판독 가능한 소자에 탑재된 정보 누설을 피면하여 차량 정보의 보안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입구에는 차량 식별자 수집 장치가 설치될 수 있으며,차량 식별자 수집 장치는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를 수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입구에는 수집 구역을 설치할 수 있으며, 차량 식별자 수집 장치는 구체적으로 수집 구역 내의 특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차량은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입구까지 주행한 후, 수집 구역에 정지하여, 차량 식별자 수집 장치가 차량 식별자를 수집하도록 할 수 있다.
예하면, 차량 식별자가 번호판 번호인 경우, 차량 식별자 수집 장치는 이미지 수집 장치일 수 있어, 카메라 등 이미지 수집 장치를 통해 번호판 번호를 촬영하고 촬영한 번호판 번호를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식별자가 차량의 유일한 식별코드인 경우, 차량 식별코드는 무선주파수 식별 라벨에 저장하고,무선주파수 식별 라벨은 차체 또는 차량 내부에 설치할 수 있으며, 차량 식별자 수집 장치는 무선주파수 식별 라벨 판독기일 수 있어, 차량이 수집구역에 정지되면, 차량의 무선주파수 식별 라벨은 차량 식별자 수집 장치와 위치가 맞추어져, 차량 식별자 수집 장치가 무선주파수 식별 라벨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단계S202에서,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 저장된 제1 번들링 관계에 근거하여,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취득할 수 있다.
제1 번들링 관계는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의 대응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는 제1 번들링 관계에서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는, 대상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이다. 네트워크 위치 주소 유형은 제1 관리 유닛이 구비한 무선 통신 기능 및 제2 관리 유닛이 구비한 무선 통신 기능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하면 네트워크 위치 주소는 구체적으로 미디어 액세스 컨트롤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MAC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는 대응되게 관리 장치가 설치되고, 제1 번들링 관계는 관리 장치에 저장될 수 있으며,관리 장치의 관련 내용은 상기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는 생략한다. 예하면, 관리 장치는, 스테이션내의 컴퓨터를 포함하며, 제1 번들링 관계는 스테이션내의 컴퓨터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관리 장치는 스테이션내의 컴퓨터와 원격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번들링 관계는 원격 서버에 저장되고 원격 서버에서 스테이션내의 컴퓨터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장치에 의해,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 저장된 제1 번들링 관계에 근거하여,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취득하고,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제1 관리 유닛에 송신할 수도 있다.
단계S203에서,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근거하여, 제1 관리 유닛이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에 무선 통신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이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취득한 후, 제1 관리 유닛은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이용하여, 대상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에 무선 통신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요청은 해당 제2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하도록 청구하는데 사용된다.
제1 관리 유닛은 제1 번들링 관계에서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에 무선 통신 요청을 송신할 수 있으므로, 비법적인 차량의 제2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것을 피면하고, 이로써 비법적인 차량에 배터리를 교체해 주는 것을 피면하여, 합법적인 차량의 배터리 교체 권익을 보호한다. 비법적인 차량은 번호판 위조 차량, 비법 조립 차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204에서, 제1 관리 유닛과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간에 성공적으로 무선통신 연결이 구축된 경우,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과 인터랙티브 하여,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제1 관리 유닛과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간에 성공적으로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한 후, 즉, 제1 관리 유닛과 대상 차량의 제2 관리 유닛간에 성공적으로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한 후, 제1 관리 유닛은 대상 차량의 제2 관리 유닛과 인터랙티브를 할 수 있다. 예하면 제1 관리 유닛은 해당 제2 관리 유닛과, 배터리 교체를 협조할 수 있는 정보 또는 명령을 인터랙티브 할 수 있는바, 이러한 정보 또는 명령는 예하면 대상 차량의 배터리팩의 배터리 상태 정보, 배터리팩의 충전 파라미터 정보, 배터리 교체 명령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은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근거하여, 차량 식별자와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 대응관계에서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하는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 즉 대상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취득할 수 있다.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은 능동적으로 대상 차량의 제2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구축된 무선통신 연결을 통해 인터랙티브 하여 배터리 교체에 필요한 정보, 명령의 인터랙티브를 완성하므로써, 자동으로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입구에 도착한 후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은 인공 조작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교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제1 관리 유닛이 대상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에 무선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편의를 위해, 제1 관리 유닛은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로 스위칭될 수 있다. 도4는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적용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4와 도3의 상이점은, 도4에 나타내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은 단계S205를 더 포함하고, 도3의 단계S204를 구체적으로 도4의 단계S2041 내지 단계S2043으로 세분화할 수 있는 것 이다.
단계S205에서 제1 관리 유닛은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로 스위칭 된다.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취득한 후, 제1 관리 유닛은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로 스위칭될 수 있다. 제1 관리 유닛은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로 스위칭된 후,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의 장치, 설비, 부품에 무선 통신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의 제1 관리 유닛은 무선통신의 마스터 노드로서,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의 복수의 장치, 설비, 부품에 무선 통신 요청을 송신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의 복수의 장치, 설비, 부품 등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은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로 스위칭된 후, 복수의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들어온 경우, 제1 관리 유닛은 이러한 복수의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에 무선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으며, 복수의 차량의 제2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제1 관리 유닛이 각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에 무선통신 연결을 요청 및 구축하는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단계S2041에서,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에 배터리 교체 명령을 송신한다.
배터리 교체 명령은 배터리 교체를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2 관리 유닛은 배터리 교체 명령을 수신한 경우,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 관련 조작을 수행한다.
단계S2042에서,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이 송신한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을 수신한다.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은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이 배터리 교체 명령에 응답하여 송신한 것이다. 즉 대상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은 배터리 교체 명령을 수신한 경우, 제1 관리 유닛에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단계S2043에서,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에 응답하여, 제1 관리 유닛은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로부터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로 스위칭한다.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에서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은 제1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해야 할 뿐만 아니라, 또한, 배터리팩의 제3 관리 유닛과도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해야 한다. 즉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은 배터리팩의 제3 관리 유닛에도 무선 통신 요청을 송신하여야 하는바,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은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로 스위칭하여, 제3 관리 유닛에 무선통신 연결 요청을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이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로 스위칭된 후, 대응되게, 제1 관리 유닛은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로 스위칭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관리 유닛은 제2 관리 유닛이 송신한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을 수신한 경우,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로부터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일부 무선통신 기술은 더 이상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의 장비, 설비, 부품 등만이 무선 통신 요청을 송신할 수 있도록 제한하지 않는바,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의 장치, 설비, 부품등도 무선 통신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관리 유닛, 제2 관리 유닛, 제3 관리 유닛 등은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 및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간의 스위칭을 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무선 통신 요청을 송신하여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은 대상 차량의 제2 관리 유닛과 직접 무선통신 인터랙티브를 하여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의 시작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전체 차량의 협조가 필요없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과 통신할 수 있어 적용성이 보다 강하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서 차량에 대한 배터리 교체의 안전성 및 수행가능성을 더한층 확보하기 위해, 제2 관리 유닛은 배터리 교체를 협조하는데 사용하는 관련 정보를 더 제공하여 배터리 교체의 정상적인 운행을 보장한다. 도5는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적용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5와 도3의 상이점은, 도3의 단계S204를 구체적으로 도5의 단계S2044 및 단계S2045로 세분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단계S2044에서, 제1 관리 유닛은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으로부터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를 취득한다.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는 배터리팩이 배터리 교체를 위해 취하는 준비조치의 관련 정보로서, 구체적으로 차량 및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수요, 경험 등에 의해 선정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는 제2 관리 유닛이 대상 차량 배터리팩의 제3 관리 유닛으로부터 취득한 것 이다. 제2 관리 유닛은 제3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인터랙티브를 통해, 제3 관리 유닛으로부터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들어온 후,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이, 차량에서 교체 대기 중인 배터리팩의 제3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한 경우, 제3 관리 유닛은 주기적으로 제2 관리 유닛에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에 변화 발생 시, 제3 관리 유닛은 제2 관리 유닛에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를 송신하는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S2045에서는,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가 미리 설정한 배터리 교체 준비 안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에 배터리 교체 명령을 송신한다.
배터리 교체 준비 안전 조건은, 차량의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준비가 안전한지 여부를 판정하는데 사용하는 조건으로서, 차량 및 배터리팩의 수요, 경험치 등에 근거하여 설정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가 배터리 교체 준비 안전 조건을 만족하면 차량의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준비가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차량의 배터리팩을 교체할 수 있다. 제1 관리 유닛은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를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관리 장치로 업로드하고, 관리 장치에서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가 배터리 교체 준비 안전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가 배터리 교체 준비 안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제1 관리 유닛을 제어하여 제2 관리 유닛에 배터리 교체 명령을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는 배터리팩 릴레이의 온/오프 상태와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로크 구조의 온/오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교체 준비 안전 조건은, 배터리팩 릴레이의 온/오프 상태가 오프 상태이며,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로크 구조의 온/오프 상태가 오프 상태인 것을 포함한다. 배터리팩 릴레이의 온/오프 상태가 오프이면, 차량이 이미 전원이 오프된 것을 나타낸다. 배터리팩의 릴레이는 배터리팩 내의 분기 릴레이, 차량 및 배터리팩에 대응하는 주회로의 릴레이를 포함하는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로크 구조의 온/오프 상태가 오프상태인 경우, 배터리팩을 차량에서 꺼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와 배터리 교체 준비 안전 조건을 통해, 대상 차량의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준비가 안전한 경우에만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하므로써 배터리 교체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확보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대상 차량에 대한 신분 검증을 실시하여 배터리 교체의 신뢰성 및 제어가능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6은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적용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6과 도3의 상이점은, 도6에 나타내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은 단계S206 및 단계S207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3의 단계S202를 구체적으로 단계S2021로 세분화할 수 있는 것 이다.
단계S206에서, 미리 취득한 배터리 교체 권한 리스트에서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를 조회한다.
배터리 교체 권한 리스트에는 배터리 교체 권한을 구비한 차량의 차량 식별자가 포함된다. 배터리 교체 권한 리스트에서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를 조회하여 대상 차량에 배터리 교체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배터리 교체 권한 리스트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관리 장치에 저장되고 관리 장치가 배터리 교체 권한 리스트에서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를 조회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컴퓨터가 배터리 교체 권한 리스트에서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를 조회하는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원격 서버가 배터리 교체 권한 리스트에서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를 조회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단계S207에서, 배터리 교체 권한 리스트에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진입하도록 허용한다.
배터리 교체 권한 리스트에는 배터리 교체를 미리 예약한 차량의 차량 식별자, 배터리 교체 업무를 개통한 차량의 차량 식별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만약 배터리 교체 권한 리스트에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가 존재하면, 대상 차량은 배터리 교체 권한이 있음을 의미하므로,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들어 오도록 허용한다. 만약 배터리 교체 권한 리스트에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차량은 배터리 교체 권한이 없음을 의미하므로,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들어오는 것을 거절한다.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는 도로 갑문을 설치하고, 해당 도로 갑문은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관리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관리 장치가 배터리 교체 권한 리스트에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한 경우, 관리 장치는 도로 갑문을 열어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관리 장치가 배터리 교체 권한 리스트에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경우, 관리 장치는 도로 갑문을 닫아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진입하는 것을 거절할 수 있다.
단계S2021에서, 배터리 교체 권한 리스트에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 미리 저장된 제1 번들링 관계에 근거하여,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취득한다.
대상 차량에 배터리 교체 권한이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만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취득하도록 허용하여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이 대상 차량의 제2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배터리 교체 권한 리스트를 통해 대상 차량에 배터리 교체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은 배터리 교체 권한이 있는 차량에 대해서만 진입을 허용하므로써,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의 신뢰성 및 제어 가능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은 복수의 배터리 교체 구역을 포함하고,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입구에 도착한 경우,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여유 교체 구역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여유 교체구역이 있으면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진입하도록 허용하고, 만약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여유 교체 구역이 없으면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진입하는 것을 거절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2 양태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을 제공하며, 해당 방법은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에 적용될 수 있다. 차량 및 제2 관리 유닛의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하기에는 차량의 배터리가 배터리팩인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도7은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제2 관리 유닛에 적용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의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은 단계S301 및 단계S302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301에서, 차량은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진입한 후,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무선 통신 요청을 수신한다.
무선 통신 요청은, 제1 관리 유닛이 취득한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따라 송신한 것 이다.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저장된 제1 번들링 관계에서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위치 관계이다. 제1 번들링 관계는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와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의 대응관계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요청,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 제1 번들링 관계 등의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단계S302에서, 무선 통신 요청에 응답하여,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과 인터랙티브 하여,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제2 관리 유닛과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간에 성공적으로 무선통신 연결이 구축된 후, 제2 관리 유닛은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과 인터랙티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관리 유닛과 해당 제1 관리 유닛은, 배터리 교체를 협조하는 정보 또는 명령을 인터랙티브 할 수 있는바, 이러한 정보 또는 명령은, 대상 차량 배터리팩의 배터리 상태 정보, 배터리팩의 충전 파라미터 정보, 배터리 교체 명령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예시에서,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초과 시간 임계값을 설정하고, 만약 해당 초과 시간 임계값내에 제2 관리 유닛과 제1 관리 유닛이 무선통신연결을 구축하면, 제2 관리 유닛과 제1 관리 유닛간에 성공적으로 무선통신연결을 구축한 것으로 간주하고, 만약 해당 초과 시간 임계값내에 제2 관리 유닛과 제1 관리 유닛간에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하지 못하면, 제2 관리 유닛과 제1 관리 유닛간의 무선통신 연결 구축이 실패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해당 초과 시간 임계값은 장면, 수요, 경험 등에 근거하여 설정할 수 있는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예하면, 초과 시간 임계값는 10초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제2 관리 유닛과 제1 관리 유닛간에 성공적으로 무선통신 연결이 구축되면, 제2 관리 유닛은 전원이 켜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르르 시작할 수 있다. 만약 제2 관리 유닛과 제1 관리 유닛간의 무선통신 연결 구축이 실패한 경우, 제2 관리 유닛은 전원이 오프된 상태 또는 휴면상태를 유지하여, 전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은 제1 번들링 관계에 근거하여,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하는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취득할 수 있다.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은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이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근거하여 능동적으로 송신한 무선 통신 요청을 수신하고, 해당 제1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제2 관리 유닛과 제1 관리 유닛은 구축된 무선통신 연결을 통해 인터랙티브 하여, 배터리 교체에 필요한 정보, 명령의 인터랙티브를 완성하므로써, 자동으로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입구에 도착하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은 인공 조작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교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리 유닛이 대상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에 무선통신 연결 요청을 송신하는 편의를 위해, 제1 관리 유닛은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로 스위칭될 수 있으며, 대응되게, 제2 관리 유닛은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로 스위칭될 수 있다. 도8은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제2 관리 유닛의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에 적용되는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8과 도7의 상이점은, 도8에 나타낸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은 단계S30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7의 단계S302는 구체적으로 도8의 단계S3021 내지 단계S3023로 세분화할 수 있는 것 이다.
단계S303에서, 제2 관리 유닛은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로 스위칭된다.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들어온 후, 배터리 교체를 협조하기 위해 차량은 전원을 오프해야 한다. 차량이 전원을 오프하기 전에, 제2 관리 유닛은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에 처해 있을 수 있고, 차량 배터리팩의 제3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할 수 있으며, 이때 제3 관리 유닛은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이다. 차량이 전원을 오프한 경우, 제1 관리 유닛은 제2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취득한 후,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로 스위칭하여, 능동적으로 무선 통신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제2 관리 유닛은 제1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2 관리 유닛은 먼저 제3 관리 유닛과의 무선통신 연결을 끊고,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로 스위칭하여,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무선 통신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의 제1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단계S3021에서, 제2 관리 유닛은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배터리 교체 명령을 수신한다.
배터리 교체 명령은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의 시작을 지시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제2 관리 유닛은 배터리 교체 명령을 수신한 경우,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 관련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3022에서, 배터리 교체 명령에 응답하여, 제2 관리 유닛은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로 스위칭한다.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에서, 제2 관리 유닛은 배터리팩의 제3 관리 유닛으로부터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협조에 사용될 정보를 취득해야 하므로, 제2 관리 유닛은 제3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와 대응되게, 제2 관리 유닛은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로 스위칭되여, 능동적으로 제3 관리 유닛에 무선 통신 요청을 송신하므로써, 제3 관리 유닛과의 무선통신 연결을 실현할 수 있다.
단계S3023에서, 제2 관리 유닛에 의해, 제1 관리 유닛에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을 송신한다.
제2 관리 유닛이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로 스위칭된 후, 이와 대응되게, 제2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해야하는 제1 관리 유닛 및 제3 관리 유닛은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로 스위칭될 필요가 있다.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은 제1 관리 유닛을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을 통해 제1 관리 유닛은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로 스위칭된다.
제2 관리 유닛이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로 스위칭된 후, 제2 관리 유닛은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의 제1 관리 유닛과 제3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능동적으로 검색하여, 제1 관리 유닛 및 제3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일부 무선통신 기술은 더 이상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의 장치, 설비, 부품에 한해서만 무선 통신 요청을 송신하도록 제한하지 않기에,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의 장치, 설비, 부품 등도 무선 통신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제1 관리 유닛, 제2 관리 유닛, 제3 관리 유닛 등은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와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의 스위칭을 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무선 통신 요청을 송신하여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은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과 직접 무선통신 인터랙티브하여,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의 시작을 구현하므로, 차량 전체가 협력하여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과 통신할 필요가 없기에, 적용성이 보다 강하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교체의 안전성을 향상하기 위해, 차량이 고압 오프 상태임을 확인한 경우, 제2 관리 유닛이 제1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하여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도9는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제2 관리 유닛에 적용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9 및 도7의 상이점은, 도9에 나타낸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은 단계S30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도7의 단계S301는 구체적으로 도9의 단계S3011로 세분화할 수 있는 것 이다.
단계S304에서, 제2 관리 유닛은 차량의 전체 차량 컨트롤러로부터 차량의 고압 오프 상태 정보를 취득한다.
전체 차량 컨트롤러는, 차량의 고압 오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고압 오프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고압 오프 상태 정보는 차량이 이미 고압으로부터 오프된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단계S3011에서, 차량 고압 오프 상태 정보가 차량이 이미 고압 오프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무선 통신 요청을 수신한다.
차량이 이미 고압 오프 상태인 경우에만, 제2 관리 유닛이 제1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하여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하므로써,배터리 교체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보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서 차량의 배터리 교체 안전성 및 수행가능성을 더한층 확보하기 위해, 제2 관리 유닛은 배터리 교체를 협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배터리팩의 관련 정보를 취득 및 제공할 수 있다. 도10은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제2 관리 유닛에 적용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10과 도7의 상이점에 있어서, 도10에 나타내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은 단계S305 및 단계S30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7의 단계S302는 구체적으로 도10의 단계S3024로 세분화할 수 있는 것 이다.
단계S305에서, 제2 관리 유닛에 의해, 대상 차량 배터리팩의 제3 관리 유닛에 무선 통신 요청을 송신한다.
제3 관리 유닛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배터리팩의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배터리팩의 상태는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관리 유닛,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 등의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단계S306에서, 제2 관리 유닛과 제3 관리 유닛간에 성공적으로 무선통신 연결이 구축된 경우, 제2 관리 유닛은 제3 관리 유닛으로부터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를 취득하여 제1 관리 유닛에 송신한다.
단계S3024에서, 배터리 교체 준비 정보가 미리 설정한 배터리 교체 준비 안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2 관리 유닛은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배터리 교체 명령을 수신한다.
일부 예시에서,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는 배터리팩 릴레이의 온/오프 상태와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로크 구조의 온/오프 상태를 포함한다. 배터리 교체 준비 안전 조건은 배터리팩 릴레이의 온/오프 상태가 오프 상태이며,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로크 구조의 온/오프 상태가 오프상태인 것을 포함한다.
배터리 교체 준비 안전 조건,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 등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와 배터리 교체 준비 안전 조건을 통해,대상 차량의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준비가 안전한 경우에만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므로써 배터리 교체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확보한다.
본 출원의 제3 양태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도11은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일 실시예 구조 모식도이다.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400)은 정보 수집 장치(401), 관리 장치(402)와 제1 관리 유닛(403)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집 장치(401)은,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입구에 도착한 경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를 수집하여, 관리 장치(402)에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관리 장치(402)는,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 저장된 제1 번들링 관계에 근거하여,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취득한 후,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제1 관리 유닛(403)에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제1 번들링 관계는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 사이의 대응관계를 포함하고,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는 제1 번들링 관계에서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포함한다.
제1 관리 유닛(403)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따라,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에 무선 통신 요청을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제1 관리 유닛(403)은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과 성공적으로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한 경우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은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근거하여, 차량 식별자와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와의 대응관계에서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하는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 즉 대상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취득할 수 있다.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은 능동적으로 대상 차량의 제2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구축한 무선통신 연결을 통해 인터랙티브하여 배터리 교체에 필요한 정보, 명령의 인터랙티브를 완성할 수 있으므로, 자동으로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입구에 도착한 후,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은 인공 조작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교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리 유닛(403)은 또한 관리 장치(402)가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 미리 저장된 제1 번들링 관계에 근거하여,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취득한 후,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로 스위칭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리 유닛(403)은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에 배터리 교체 명령을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배터리 교체 명령은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리 유닛(403)은,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이 송신한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을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은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이 배터리 교체 명령에 응답하여 송신한 것 이고. 또한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에 응답하여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로부터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로 스위칭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리 유닛(403)은 또한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으로부터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를 취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는 제2 관리 유닛이 대상 차량의 배터리팩의 제3 관리 유닛으로부터 취득한 것 이다.
제1 관리 유닛(403)은,배터리 교체 준비정보가 미리 설정한 배터리 교체 준비 안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에 배터리 교체 명령을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는 배터리팩 릴레이의 온/오프 상태와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로크 구조의 온/오프 상태를 포함한다. 배터리 교체 준비 안전 조건은 배터리팩 릴레이의 온/오프 상태가 오프 상태이고,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로크 구조의 온/오프 상태가 오프 상태인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리 장치(402)는 또한 미리 취득한 배터리 교체 권한 리스트에서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를 조회하고, 배터리 교체 권한 리스트에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진입하도록 허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관리 장치(402)는 배터리 교체 권한 리스트에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 미리 저장된 제1 번들링 관계에 근거하여,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취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4 양태는 차량을 제공한다. 도12는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차량의 일 실시예 구조 모식도이다. 도1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차량(500)은 제2 관리 유닛(50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관리 유닛(501)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다.
제2 관리 유닛(501)은,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들어온 후,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무선 통신 요청을 수신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해당 무선 통신 요청은, 제1 관리 유닛이 취득한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따라 송신한 것이며,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저장된 제1 번들링 관계에서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위치 관계이며, 제1 번들링 관계는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와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의 대응관계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통신 요청에 응답하여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과 인터랙티브 하여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은 제1 번들링 관계에 근거하여,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하는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취득할 수 있다.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은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이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근거하여, 능동적으로 송신한 무선 통신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제1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제2 관리 유닛과 제1 관리 유닛은 구축된 무선통신 연결을 통해 인터랙티브하여 배터리 교체에 필요한 정보, 명령의 인터랙티브를 완성하므로써, 자동으로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입구에 도착한 후,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은 인공 조작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교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3은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차량의 다른 일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13과 도12의 상이점은, 차량(500)은 전체 차량 컨트롤러(50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전체 차량 컨트롤러(502)은 차량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는 것 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관리 유닛(501)은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무선 통신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로 스위칭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체 차량 컨트롤러(502)는 차량의 고압 오프 상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제2 관리 유닛(501)은 차량의 전체 차량 컨트롤러(502)로부터 차량의 고압 오프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차량 고압 오프 상태 정보가 차량이 이미 고압 오프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무선 통신 요청을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관리 유닛(501)은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배터리 교체 명령을 수신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배터리 교체 명령은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의 시작을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관리 유닛(501)은 또한 배터리 교체 명령에 응답하여 제2 관리 유닛을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로 스위칭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제1 관리 유닛에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을 송신하고,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은 제1 관리 유닛을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제2 관리 유닛(501)은 대상 차량 배터리팩의 제3 관리 유닛에 무선 통신 요청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며,제3 관리 유닛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배터리팩 상태정보를 모니터링 하는데 사용되며,배터리팩 상태정보는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를 포함한다. 제2 관리 유닛(501)은 또한 제2 관리 유닛과 제3 관리 유닛간에 성공적으로 무선통신 연결이 구축된 경우, 제3 관리 유닛으로부터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를 취득하여 제1 관리 유닛에 송신하는 데 사용된다.
제2 관리 유닛(501)은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가 미리 설정된 배터리 교체 준비 안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배터리 교체 명령을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예시에서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는 배터리팩 릴레이의 온/오프 상태 및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로크 구조의 온/오프 상태를 포함한다. 배터리 교체 준비 안전 조건은 배터리팩 릴레이의 온/오프 상태가 오프 상태이며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로크 구조의 온/오프 상태가 오프 상태인 것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제5 양태는 차량 배터리 교체 시스템을 제공하며,해 당 차량 배터리 교체 시스템은 상기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과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은 상기 실시예에서,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적용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은 제2 관리 유닛을 포함하고, 제2 관리 유닛은 상기 실시예의 제2 관리 유닛에 적용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 배터리 교체 시스템의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명확히 해야 할 점은, 본 설명서에서 각 실시예는 모두 점층적인 방식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각 실시예 사이의 동등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서로 참조할 수 있다. 각 실시예에서, 중점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기타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이다.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실시예, 차량의 실시예, 시스템의 실시예에 있어서, 관련되는 부분은 방법의 실시예의 설명 부분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 장치(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각 양태를 설명하였다.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각 블록 조합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되어, 컴퓨터의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이러한 명령의 실행으로써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이 지정하는 기능/동작을 실현할 수 있는 장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전용 프로세서, 특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회로일 수 있는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의 각 블록과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의 블록의 조합은 지정된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전용 하드웨어와 컴퓨터 명령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비록 바람직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동등한 효과를 가진 요소로 그중의 부품을 대체할 수 있다. 특히 구조적 충돌이 없는 경우, 각 실시예에서 언급된 다양한 기술 특징은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명세서의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기술적 해결책을 포함한다.

Claims (17)

  1.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적용되며,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은 제1 관리 유닛을 포함하고, 제1 관리 유닛은 무선 통신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방법은,
    대상 차량이 상기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입구에 도착하면, 상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 미리 저장된 제1 번들링 관계에 근거하여,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취득하는 단계와, -제1 번들링 관계는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 차량 중의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와의 대응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는 상기 제1 번들링 관계에서 상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포함함-,
    제1 관리 유닛을 무선 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와,
    상기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되는 제2 관리 유닛에 무선 통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관리 유닛과 상기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되는 제2 관리 유닛간에 성공적으로 무선 통신 연결을 구축된 경우, 상기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과 인터랙티브하여,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과 인터랙티브한다는 것은
    상기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상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2 관리 유닛에,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하도록 지시하는 배터리 교체 명령을 송신하는 것,
    상기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상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2 관리 유닛이 송신한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을 수신하는 것과, -상기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은 상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2 관리 유닛이 배터리 교체 명령에 응답하여 송신한 것임-,
    상기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관리 유닛은 무선 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에서 무선 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로 스위칭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과 인터랙티브한다는 것은,
    상기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상기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되는 제2 관리 유닛으로부터 배터리 교체 준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교체 준비 정보는 제2 관리 유닛에 의해 대상 차량 배터리팩의 제3 관리 유닛으로부터 획득되며,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상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2 관리 유닛에 배터리 교체 명령을 송신하는 것은,
    배터리 교체 준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배터리 교체 준비 안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2 관리 유닛에 배터리 교체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교체 준비 정보는 배터리팩의 릴레이의 온/오프 상태와 상기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로크 구조의 온/오프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교체 준비 안전 조건은, 상기 배터리팩 릴레이의 온/오프 상태가 오프상태이고, 상기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로크 구조의 온/오프 상태가 오프 상태인 것이 포함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를 수집하는 단계 후에,
    미리 취득한 배터리 교체 권한 리스트에서 상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를 조회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 교체 권한 리스트에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상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진입하도록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 미리 저장된 제1 번들링 관계에 근거하여,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교체 권한 리스트에 상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 미리 저장된 제1 번들링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취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
  5.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제2 관리 유닛에 적용되고, 상기 제2 관리 유닛을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로 스위칭하며, 상기 제2관리 유닛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들어온 후, 상기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중의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무선 통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상기 무선 통신 요청은, 제1 관리 유닛이 취득된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따라 송신한 것이며, 상기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는 상기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저장된 제1 번들링 관계에서 상기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위치 관계이며, 상기 제1 번들링 관계는 상기 차량의 상기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와 상기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의 대응관계를 포함함-,
    상기 무선 통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상기 제1 관리 유닛과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상기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과 인터랙티브하여, 배터리팩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제1 관리 유닛과 인터랙티브한다는 것은,
    상기 제2 관리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배터리 교체 명령을 수신하는 것-상기 배터리 교체 명령은 배터리팩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됨-,
    상기 배터리 교체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관리 유닛을 무선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로 스위칭하는 것과,
    상기 제2 관리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관리 유닛에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
    상기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은, 상기 제1 관리 유닛으로 하여금 무선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로 스위칭 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중의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무선 통신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제2 관리 유닛에 의해, 상기 차량의 전체 차량 컨트롤러로부터 차량의 고압 오프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중의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무선 통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고압 오프 상태 정보가 상기 차량이 이미 고압 오프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중의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무선 통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리 유닛에 의해, 상기 대상 차량의 배터리팩의 제3 관리 유닛에 무선 통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와,-상기 제3 관리 유닛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배터리팩의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팩의 상태정보는 상기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준비정보를 포함함-,
    상기 제2 관리 유닛과 상기 제3 관리 유닛이 성공적으로 무선통신 연결을 구축한 경우, 상기 제2 관리 유닛에 의해, 상기 제3 관리 유닛으로부터 상기 배터리 교체 준비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제1 관리 유닛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관리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배터리 교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교체 준비 정보가 미리 설정한 배터리 교체 준비 안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관리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배터리 교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교체 준비 정보는 상기 배터리팩 릴레이의 온/오프 상태와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로크 구조의 온/오프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교체 준비 안전 조건은, 상기 배터리팩 릴레이의 온/오프 상태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배터리팩의 배터리 교체 로크 구조의 온/오프 상태가 오프 상태인 것을 포함하는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
  9.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있어서,
    대상 차량이 상기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입구에 도착한 경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를 수집하여 관리장치에 상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를 업로드하는데 사용되는 정보 수집장치와,
    상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 미리 저장된 제1 번들링 관계에 근거하여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취득하여 상기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제1 관리 유닛에 송신하는데 사용되며, 제1 번들링 관계는,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 차량 중의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와의 대응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는 상기 제1번들링 관계에서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포함하는 관리장치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하는 제2 관리 유닛에 무선 통신 요청을 송신하고,상기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대응되는 제2 관리 유닛과 무선 통신 연결을 성공적으로 구축한 경우,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데 사용되는 제1 관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관리 유닛은,
    상기 관리장치가 상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 미리 저장된 제1 번들링 관계에 근거하여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를 취득한 후, 무선 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상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2 관리 유닛에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 교체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2 관리 유닛이 송신한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을 수신하는 하되, 상기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은 상기 대상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2 관리 유닛이 배터리 교체 명령에 응답하여 송신한 것이며,
    상기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에서 무선 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사용되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10. 차량에 있어서,
    제2 관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관리 유닛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관리 유닛은,
    상기 차량이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들어온 후, 상기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 중의 제1 관리 유닛이 송신한 무선 통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요청은, 상기 제1 관리 유닛이 취득된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에 따라 송신한 것이며,
    상기 대상 네트워크 위치 주소는 상기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저장된 제1 번들링 관계에서 상기 차량의 차량 식별자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위치 관계이며,
    상기 제1번들링 관계는 상기 차량의 상기 제2 관리 유닛의 네트워크 위치 주소와 상기 차량의 차량 식별자와의 대응관계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통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상기 제1 관리 유닛과 무선 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상기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의 상기 제1 관리 유닛과 인터랙티브하여,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데 사용되는,
    상기 제2 관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관리 유닛에 의해 송신된, 배터리 교체 프로세스를 시작하도록 지시하는 배터리 교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 교체 명령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마스터 노드 모드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1 관리 유닛에 무선 통신 슬레이브 노드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지시하는 마스터/슬레이브 통신 스위칭 명령을 상기 제1 관리 유닛에 송신하는데 사용되는,차량.
  11. 차량 배터리 교체 시스템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4항에 기재된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과,
    제2 관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관리 유닛이 제5항내지 제8항에 기재된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차량을 포함하는
    차량 배터리 교체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217036213A 2021-08-31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차량 및 시스템 KR102667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1/115693 WO2023028844A1 (zh) 2021-08-31 2021-08-31 车辆换电方法、换电站、车辆及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200A KR20230035200A (ko) 2023-03-13
KR102667059B1 true KR102667059B1 (ko) 2024-05-20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8710A (ja) * 2008-09-19 2011-06-30 ベター プレイス ゲーエムベーハー バッテリ交換ステーション
CN205075673U (zh) * 2015-09-28 2016-03-09 谢子聪 一种电动乘用车进行换电的验证控制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8710A (ja) * 2008-09-19 2011-06-30 ベター プレイス ゲーエムベーハー バッテリ交換ステーション
CN205075673U (zh) * 2015-09-28 2016-03-09 谢子聪 一种电动乘用车进行换电的验证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17366B (zh) 一种无线充电方法及相应的车载充电设备、设备管理器
CN104519488A (zh) 一种车载充电设备与服务网络交互的方法及相应设备
EP3684084B1 (en) Device and method for varying communication path of electric vehicle charger
WO2017118286A1 (zh) 运用云端架构以物联网为基础的电池能源分配管理系统
CN103546859A (zh) 一种移动中无线充电方法、装置及系统
US11928457B2 (en) Server of battery swapping station, charging method and system for battery, device and medium
TW201431323A (zh) 電動車充電設備系統架構、電動車充電設備及用於電動車充電設備的控制裝置
EP4166382B1 (en) Vehicle battery swapping method, battery swapping station, vehicle, and system
KR102667059B1 (ko) 차량 배터리 교체 방법,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차량 및 시스템
JP7498726B2 (ja) 車両の電池交換方法、電池交換ステーション、車両及びシステム
CN107444175A (zh) 充换电站
DE102017208323A1 (de) Robustes intelligentes Ladesystem für Elektrofahrzeuge
TWM524521U (zh) 運用雲端架構以物聯網為基礎的電池能源分配管理系統
KR20210037201A (ko) 전기차 충전시스템 보안인증 통신 방법
CN207241458U (zh) 充换电站
TW201723979A (zh) 運用雲端架構以物聯網為基礎的電池能源分配管理系統
CN117242412A (zh) 故障诊断的方法和故障诊断设备
CN112866104A (zh) 离线换电方法、充换电站、待换电车辆和可读存储介质
WO2023206493A1 (zh) 换电系统
CN102468655A (zh) 充电装置、受电装置、充电系统及充电方法
WO2023028852A1 (zh) 车辆控制方法、模块、系统、设备及介质
CN114714963A (zh) 车辆换电控制系统、电池箱系统及数据交互方法
KR20190091653A (ko) 전기자동차충전 표준기술 적용을 위한 전기자동차 충전 모듈시스템
CN110303910A (zh) 一种无线充电管理方法、系统、装置及可读存储介质
JP7450637B2 (ja) 電池交換方法、サーバ及び電池着脱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