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780B1 -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 및 그 발파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 및 그 발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780B1
KR102666780B1 KR1020220071485A KR20220071485A KR102666780B1 KR 102666780 B1 KR102666780 B1 KR 102666780B1 KR 1020220071485 A KR1020220071485 A KR 1020220071485A KR 20220071485 A KR20220071485 A KR 20220071485A KR 102666780 B1 KR102666780 B1 KR 102666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ve
detonator
bridge
color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71201A (ko
Inventor
나상철
나현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렉스엔지니어링
나상철
나현덕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렉스엔지니어링, 나상철, 나현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렉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71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780B1/ko
Publication of KR20230171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9/00Packaging or storage of ammunition or explosive charges; Safety features thereof; Cartridge belts or bags
    • F42B39/30Containers for detonators or fuz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8Tamping methods; Methods for loading boreholes with explosives; 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3/00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 F42D3/02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for demolition of tall structures, e.g. chimney stacks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 및 그 발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쟁 시 적군의 진격을 저지시키기 위해 교량거부시설을 폭파할 때 폭파병이 안전하고 정확하고,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폭약장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폭파안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폭약의 폭발방향을 폭파대상물쪽으로 집중시킴으로서 적은 폭약으로 최대의 폭파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근거리 내의 주변 인명 및 시설물에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면서도 발파 전에 통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불발 없이 요구되는 발파를 확실하고 안전하게 실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교량거부시설상에 설치되어 교량거부시설에 대한 폭파작전 시 폭약을 장전하여 교량거부시설을 효과적으로 폭파시키기 위한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에 있어서, 상기 전색형 폭약장전대은 상면 및 하면의 후단부측이 후면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내부가 중공(中空)인 다면함체이며, 상면에 내부 중공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내부중공내로 전색(塡塞)(filling up, stemming)을 주입하는 전색주입구와, 일측면의 후측 상단부에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부 폭약장전부와, 일측면의 후측 하단부에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하부 폭약장전부와, 일측면의 후측 중간부에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중간 폭약장전부와, 상기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장전부와 각각 맞닿는 후면부를 따라 각 폭약장전부와 연통되게 일정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폭발력 분출공과,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장전부의 개구면을 개폐하고, 자물쇠를 사용하여 개폐가 단속되는 폭약장전부 개폐부재를 구비하고, 교량의 I빔 거더의 일면 상의 요구되는 위치에 후면이 밀착되도록 앙카볼트에 의해 고정 장착되는 본체와; 폭 및 길이가 상기 본체의 각 폭약장전부의 폭과 각기 동일하고, 후단부가 상방으로 직각으로 절곡형성된 평판으로써, 전단부 상에 폭약의 폭발 시 분출되는 폭발력을 차단하기 위한 전색함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전색함과 후단부 사이의 상면 공간에 폭약이 탑재되어 장전되고, 상기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장전부에 각각 미끄럼 작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 장전 트레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 및 그 발파 시스템{A stemming type charging pole of TNT for bridge rejecting facilities and blasting system}
본 발명은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 및 그 발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쟁 시 적군의 진격을 저지시키기 위해 교량거부시설을 폭파할 때 폭파안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적은 폭약으로 최대의 폭파효과를 낼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 및 그 발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교량거부시설용 폭약장전함은 내부에 다수개로 구획된 중공(中空)갖고, 후면이 개방된 함이고, 전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폐도어를 갖는 박스 형태의 철제함으로써, 교량의 거부시설상에 앙카볼트로 고정설치되고, 폭약장전 작업자는 폭약을 장전할 때 상기 개폐도어를 연 후 폭약을 교량의 거부시설(폭약장전함의 내측에 위치된 교각면)상에 장전하고, 개폐도어를 닫고, 잠금장치로 개폐도어를 폐쇄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교량거부시설용 폭약장전함은 폭약이 장전된 상태에서도 폭약과 폭약장전함 사이의 공간이 빈 상태이고, 폭약이 별도의 가이더 또는 지지체 없이 교량거부시설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장전된 폭약이 폭발될 때 방향성을 갖지 않고 사방으로 터져 폭발효율성이 매우 저조하여 교량거부시설의 정확한 지점을 확실하게 폭파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장전된 폭약에 뇌관을 장착시킨 후 뇌관과 원격으로 위치되는 기폭장치와 뇌관을 연결하는 기폭선을 설치한 후 기폭장치를 조작하여 기폭시킬 때 폭약에 대한 뇌관의 장착상태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없어 기폭에 실패하여 교량거부시설의 폭파작전을 적절한 시기에 정확하게 실시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를 하였으며, 그 결과로써, 2012년 12월 24일자에 한국특허청에 특허출원하여 특허출원 제10-2013-0162365호의 출원번호를 부여받고, 2015년 02월 27일자로 등록특허 제10-1499012호로 특허허여된 "교량거부시설용 폭약장전함"(이하, '선등록 발명'이라함)을 개발하였으며, 현재도 각종 교량거부시설에 설치되어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선등록 발명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내부에 중공(中空)갖고 후면이 개방된 함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관통형성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폭약장전공과; 상기 폭약장전공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구획판에 의해 형성되는 폭약장전실과; 상기 폭약장전공을 통해 폭약장전실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폭약의 폭발 시 폭발방향을 안내하는 폭발안내블록과; 상기 폭약장전공의 전면에 설치되어 폭약의 폭발 시 폭발안내블록을 견고하게 고정지지하여 후폭풍에 의해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와; 상기 본체의 상면부에 본체의 내측중공과 연통형성되어 본체의 내부중공에 채움재(전색(塡塞))를 충전하는 채움재유입구로 구성되며; 교량거부시설의 표면상에 상기 본체가 앙카볼트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구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발명은 폭약을 폭양장전함까지 운반하여 온 폭파병이 폭약을 장전하기 위해서는 입구가 열린 폭약장전실에 폭약을 순차적으로 밀어 넣은 후 폭발안내블록을 폭약장전실의 입구내로 장입시킨 후 잠금장치를 채워 폭약을 장전하기 때문에 폭약장전에 많은 시간 및 노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기폭장치를 도전선으로 연결한 후 통전상태의 확인이 불가능하여 긴급한 상황에서 요구치를 충족시키는 발파가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또는 불발상태가 발생됨으로써 적 방어작전이 실패하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쟁 시 적군의 진격을 저지시키기 위해 교량거부시설을 폭파할 때 폭파병이 안전하고 정확하고,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폭약장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폭파안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폭약의 폭발방향을 폭파대상물쪽으로 집중시킴으로서 적은 폭약으로 최대의 폭파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근거리 내의 주변 인명 및 시설물에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함을 적용하여 교량거부시설을 안전하고 확실하게 발파할 수 있는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의 발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거부시설상에 설치되어 교량거부시설에 대한 폭파작전 시 폭약을 장전하여 교량거부시설을 효과적으로 폭파시키기 위한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에 있어서, 상기 전색형 폭약장전대은 상면 및 하면의 후단부측이 후면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내부가 중공(中空)인 다면함체이며, 상면에 내부 중공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내부중공내로 전색(塡塞)(filling up, stemming)을 주입하는 전색주입구와, 일측면의 후측 상단부에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부 폭약장전부와, 일측면의 후측 하단부에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하부 폭약장전부와, 일측면의 후측 중간부에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중간 폭약장전부와, 상기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장전부와 각각 맞닿는 후면부를 따라 각 폭약장전부와 연통되게 일정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폭발력 분출공과,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장전부의 개구면을 개폐하고, 자물쇠를 사용하여 개폐가 단속되는 폭약장전부 개폐부재를 구비하고, 교량의 I빔 거더의 일면 상의 요구되는 위치에 후면이 밀착되도록 앙카볼트에 의해 고정 장착되는 본체와; 폭 및 길이가 상기 본체의 각 폭약장전부의 폭과 각기 동일하고, 후단부가 상방으로 직각으로 절곡형성된 평판으로써, 전단부 상에 폭약의 폭발 시 분출되는 폭발력을 차단하기 위한 전색함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전색함과 후단부 사이의 상면 공간에 폭약이 탑재되어 장전되고, 상기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장전부에 각각 미끄럼작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 장전 트레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면 및 하면의 후단부측이 후면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내부가 중공(中空)인 다면함체이며, 상면에 내부 중공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내부중공내로 전색을 주입하는 전색주입구와, 일측면의 후측 상단부에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부 폭약장전부와, 일측면의 후측 하단부에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하부 폭약장전부와, 일측면의 후측 중간부에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중간 폭약장전부와, 상기 상부, 하부 및 폭약장전부와 맞닿는 후면부를 따라 각 폭약장전부와 연통되게 일정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폭발력 분출공과,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장전부의 개구면을 개폐하고, 자물쇠를 사용하여 개폐를 단속되는 폭약장전부 개폐부재와, 를 구비하고, 교량의 I빔 거더면의 요구되는 위치상에 후면이 밀착되도록 앙카볼트에 의해 고정 장착되는 본체와; 폭 및 길이가 상기 본체의 각 폭약장전부의 폭과 각기 동일하고, 후단부가 상방으로 직각으로 절곡형성된 평판으로써, 전단부 상에 폭약의 폭발 시 분출되는 폭발력을 차단하기 위한 전색함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전색함과 후단부 사이의 상면 공간에 폭약이 탑재되어 장전되고, 상기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장전부에 각각 미끄럼작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 장전 트레이와; 폭약에 장입되는 뇌관에서 인출되는 뇌관 도전선과 각각 접속연결되는 뇌관단자와, 기폭장치와 통전되게 연결되는 메인 도전선과 각각 접속연결되는 기폭단자와, 상기 기폭단자와 연결되어 통전 시 점등되는 통전확인램프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접속구로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색형 폭약장전대에 각각 장전되는 폭약을 안전하고 신뢰성있게 원격으로 발파하여 교량거부시설을 효과적으로 폭파시키기 위한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의 발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파 시스템은 교량의 I빔 거더의 일면 상의 요구되는 위치에 후면이 밀착되도록 앙카볼트에 의해 고정 장착되고, 필요에 따라 폭약이 장전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색형 폭약장전대와; 개폐도어를 갖는 함체로써, 상기 전색형 폭약장전대의 접속구의 기폭단자와 각각 메인 도전선에 의해 통전되도록 연결되는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메인 도전선의 통전 시 통전유무를 확인하는 통전확인램프와, 무선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를 구비하고, 교량거부시설에 설치되어 전색형 폭약장전대의 폭약이 기폭되도록 무선제어신호에 따라 뇌관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폭장치과; 상기 기폭장치에 무선신호를 발신하여 상기 기폭장치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조작반으로 구성되며; 메인 도전선을 사용하여 상기 기폭장치의 접속단자와 각 전색형 폭약장전대의 접속구의 기폭단자를 병렬로 연결시킨 후 기폭장치를 ON시킨 후 원격조작반을 조작하여 기폭장치의 통전확인램프 및 각 전색형 폭약장전대의 접속구의 통전확인램프의 점등을 확인하여 메인 도전선을 통전유무를 확인하고, 메인 도전선의 통전상태가 양호하였을 때 기폭장치의 전원을 OFF한 후 각 전색형 폭약장전대의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 장전 트레이에 뇌관이 장입된 폭약을 탑재하고,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장전부 내로 수납한 후 각 전색형 폭약장전대의 폭약장전부 개폐부재를 닫고 자물쇠를 체결한 다음, 각 뇌관으로 부터 인출된 뇌관 도전선을 폭약장전대의 접속구의 뇌관단자에 연결하여 폭약장전 및 뇌관 도전선의 연결작업이 모두 완료되었을 때 기폭장치의 전원을 ON시킨 다음 작업자가 안전한 위치까지 이동한 후 원격조작반을 ON시킨 후 발파조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의 발파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함은 폭파대상쪽 이외의 방향으로 폭발력이 확산되지 않도록 본체의 내부중공내에 채움재(전색(塡塞))를 채우고, 폭약장전실 내에 장전된 폭약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폭약의 폭발력을 폭파대상물쪽으로 견고하게 집중시킴으로써 최소한의 폭약량으로 최대의 폭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놔관과 기폭장치에 대한 기폭선을 설치한 후 작업자가 폭약과 뇌관의 장착상태를 시각적으로 직접확인할 수 있어 기폭불량을 예방할 수 있어 기폭안정성 및 폭파대상에 대한 정확한 폭파성을 확보할 수 있어 적시에 교량거부시설 폭파작전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가 교량의 I빔 거더의 일면부에 장착된 상태를 단면하여 도시한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가 교량의 I빔 거더의 일면부에 장착된 상태의 일측면을 도시한 설치상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가 교량의 I빔 거더의 일면부에 장착되고, 폭약장전부 개폐부재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가 교량의 I빔 거더의 일면부에 장착되고, 폭약장전부 개폐부재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 장전 트레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가 교량의 I빔 거더의 일면부에 장착되고, 폭약장전부 개폐부재가 열려진 상태에서 상부 폭약 장전 트레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의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장전부에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 장전 트레이가 폭약이 탑재되지 않은 상태로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부분 단면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을 적용한 본 발명에 따른 발파 시스템의 구성 및 각 구성요소간의 상호 연결상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연결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와 기폭장지 및 원격조작반의 상호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연결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거부시설용 폭약장전대 및 그 발파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함(10)은 본체(20)와,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 장전 트레이(30)(40)(5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0)는 상면 및 하면의 후단부측이 후면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내부가 중공(中空)이고, 상기 내부 중공에는 전색(塡塞)(filling up, stemming)이 채워지는 다면함체이며, 전색주입구(20a)와, 상부 폭약장전부(21)와, 하부 폭약장전부(22)와, 중간 폭약장전부(23)와, 다수개의 폭발력 분출공(20b)과, 폭약장전부 개폐부재(24)와, 접속구(60)를 구비하고, 교량의 I빔 거더(G)의 일면 상의 요구되는 위치에 후면이 밀착되도록 앙카볼트에 의해 고정 장착된다.
상기 전색주입구(20a)는 상기 본체(20)의 상면에 내부 중공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내부중공내로 전색(塡塞)(filling up, stemming)을 주입한다. 전색으로는 폭발력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며 어떻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모래 특히 점토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상부 폭약장전부(21)는 상기 본체(20)의 일측면의 후측 상단부에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 폭약장전부(22)는 상기 본체(20)의 일측면의 후측 하단부에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중간 폭약장전부(23)는 상기 본체(20)의 일측면의 후측 중간부에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폭발력 분출공(20b)은 상기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장전부(21)(22)(23)와 각각 맞닿는 상기 본체(20)의 후면부를 따라 각 폭약장전부와 연통되게 일정간격으로 관통형성된다.
상기 폭약장전부 개폐부재(24)는 상기 본체(20)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장전부(21)(22)(23)의 개구면을 개폐하고, 자물쇠를 사용하여 개폐가 단속된다.
상기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 장전 트레이(30)(40)(50)는 폭 및 길이가 상기 본체(20)의 각 폭약장전부(21)(22)(23)의 폭과 각기 동일하고, 후단부가 상방으로 직각으로 절곡형성된 평판으로써, 전단부 상에 폭약의 폭발 시 분출되는 폭발력을 차단하기 위한 전색함(31)(41)(51)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전색함(31)(41)(51)과 후단부 사이의 상면 공간에 폭약(E)이 탑재되어 장전되고, 상기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장전부(21)(22)(23)에 각각 미끄럼작동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접속구(60)는 폭약(E)에 장입되는 뇌관(D)에서 인출되는 뇌관 도전선과 각각 접속연결되는 뇌관단자(62a)(62b)와, 기폭장치와 통전되게 연결되는 메인 도전선과 각각 접속연결되는 기폭단자(61a)(61b)와, 상기 기폭단자(61a)(61b)와 연결되어 통전 시 점등되는 통전확인램프(63)를 구비하고, 본체(20)의 외측면에 구비된다.
도 7 및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의 발파 시스템은 교량의 I빔 거더(G)의 일면 상의 요구되는 위치에 후면이 밀착되도록 앙카볼트에 의해 고정 장착되고, 필요에 따라 폭약이 장전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본 발명의 전색형 폭약장전대(10)와, 기폭장치(100)과, 원격조작반(200)로 구성된다.
상기 기폭장치(100)는 상기 폭약장전대(10)의 접속구(60)의 기폭단자(61a)(61b)와 각각 메인 도전선에 의해 통전되도록 연결되는 접속단자(101a)(101b)와, 상기 접속단자(101a)(10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메인 도전선의 통전 시 통전유무를 확인하는 통전확인램프(102)와, 무선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103)를 구비하고, 교량거부시설에 설치되어 각 전색형 폭약장전대(10)의 폭약(E)이 기폭되도록 무선제어신호에 따라 뇌관(D)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원격조작반(200)은 상기 기폭장치(100)에 무선신호를 발신하여 상기 기폭장치(100)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의 발파 시스템은 메인 도전선을 사용하여 상기 기폭장치(100)의 접속단자(101a)(101b)와 각 전색형 폭약장전대(10)의 접속구(60)의 기폭단자(61a)(61b)를 병렬로 연결시킨 후 기폭장치(100)를 ON시킨 후 원격조작반(300)을 조작하여 기폭장치(100)의 통전확인램프(102) 및 각 전색형 폭약장전대(10)의 접속구(60)의 통전확인램프(63)의 점등을 확인하여 메인 도전선을 통전유무를 확인하고, 메인 도전선의 통전상태가 양호하였을 때 기폭장치(100)의 전원을 OFF한 후 각 전색형 폭약장전대(10)의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 장전 트레이(30)(40)(50)에 뇌관(D)이 장입된 폭약(E)을 탑재하고,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장전부(21)(22)(23) 내로 수납한 후 각 전색형 폭약장전대(10)의 폭약장전부 개폐부재(24)를 닫고 자물쇠를 체결하여 폭약을 장전한 다음, 각 뇌관(D)으로 부터 인출된 뇌관 도전선을 해당 전색형 폭약장전대(10)의 접속구(60)의 뇌관단자(62a)(62b)에 연결하여 폭약장전 및 뇌관 도전선의 연결작업이 모두 완료되었을 때 기폭장치(100)의 전원을 ON시킨 다음 작업자가 안전한 위치까지 이동한 후 원격조작반(200)을 ON시킨 후 발파조작을 실행한다.
10: 전색형 폭약장전대 20: 본체
21: 상부 폭약장전부 22: 하부 폭약장전부
23: 중간 폭약장전부 24: 폭약장전부 개폐부재
30: 상부 폭약 장전 트레이 40: 하부 폭약 장전 트레이
50: 중간 폭약 장전 트레이 60: 접속구
100: 기폭장치 200: 원격조작반

Claims (3)

  1. 교량거부시설상에 설치되어 교량거부시설에 대한 폭파작전 시 폭약을 장전하여 교량거부시설을 효과적으로 폭파시키기 위한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에 있어서,
    상기 전색형 폭약장전대은,
    상면 및 하면의 후단부측이 후면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내부가 중공(中空)인 다면함체이며, 상면에 내부 중공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내부중공내로 전색(塡塞)(filling up, stemming)을 주입하는 전색주입구(20a)와, 일측면의 후측 상단부에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부 폭약장전부(21)와, 일측면의 후측 하단부에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하부 폭약장전부(22)와, 일측면의 후측 중간부에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중간 폭약장전부(23)와, 상기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장전부(21)(22)(23)와 각각 맞닿는 후면부를 따라 각 폭약장전부와 연통되게 일정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폭발력 분출공(20b)과,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장전부(21)(22)(23)의 개구면을 개폐하고, 자물쇠를 사용하여 개폐가 단속되는 폭약장전부 개폐부재(24)를 구비하고, 교량의 I빔 거더(G)의 일면 상의 요구되는 위치에 후면이 밀착되도록 앙카볼트에 의해 고정 장착되는 본체(20)와;
    폭 및 길이가 상기 본체(20)의 각 폭약장전부(21)(22)(23)의 폭과 각기 동일하고, 후단부가 상방으로 직각으로 절곡형성된 평판으로써, 전단부 상에 폭약의 폭발 시 분출되는 폭발력을 차단하기 위한 전색함(31)(41)(51)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전색함(31)(41)(51)과 후단부 사이의 상면 공간에 폭약(E)이 탑재되어 장전되고, 상기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장전부(21)(22)(23)에 각각 미끄럼작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 장전 트레이(30)(40)(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폭약(E)에 장입되는 뇌관(D)에서 인출되는 뇌관 도전선과 각각 접속연결되는 뇌관단자(62a)(62b)와, 기폭장치와 통전되게 연결되는 메인 도전선과 각각 접속연결되는 기폭단자(61a)(61b)와, 상기 기폭단자(61a)(61b)와 연결되어 통전 시 점등되는 통전확인램프(63)를 구비하고, 본체(2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접속구(60)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
  3. 상면 및 하면의 후단부측이 후면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내부가 중공(中空)인 다면함체이며, 상면에 내부 중공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내부중공내로 전색을 주입하는 전색주입구와, 일측면의 후측 상단부에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부 폭약장전부와, 일측면의 후측 하단부에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하부 폭약장전부와, 일측면의 후측 중간부에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중간 폭약장전부와, 상기 상부, 하부 및 폭약장전부와 맞닿는 후면부를 따라 각 폭약장전부와 연통되게 일정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폭발력 분출공과,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장전부의 개구면을 개폐하고, 자물쇠를 사용하여 개폐를 단속되는 폭약장전부 개폐부재와, 를 구비하고, 교량의 I빔 거더면의 요구되는 위치상에 후면이 밀착되도록 앙카볼트에 의해 고정 장착되는 본체와; 폭 및 길이가 상기 본체의 각 폭약장전부의 폭과 각기 동일하고, 후단부가 상방으로 직각으로 절곡형성된 평판으로써, 전단부 상에 폭약의 폭발 시 분출되는 폭발력을 차단하기 위한 전색함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전색함과 후단부 사이의 상면 공간에 폭약이 탑재되어 장전되고, 상기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장전부에 각각 미끄럼작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 장전 트레이와; 폭약에 장입되는 뇌관에서 인출되는 뇌관 도전선과 각각 접속연결되는 뇌관단자와, 기폭장치와 통전되게 연결되는 메인 도전선과 각각 접속연결되는 기폭단자와, 상기 기폭단자와 연결되어 통전 시 점등되는 통전확인램프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접속구로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색형 폭약장전대에 각각 장전되는 폭약을 안전하고 신뢰성있게 원격으로 발파하여 교량거부시설을 효과적으로 폭파시키기 위한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의 발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파 시스템은,
    교량의 I빔 거더(G)의 일면 상의 요구되는 위치에 후면이 밀착되도록 앙카볼트에 의해 고정 장착되고, 필요에 따라 폭약이 장전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색형 폭약장전대(10)와;
    상기 전색형 폭약장전대(10)의 접속구(60)의 기폭단자(61a)(61b)와 각각 메인 도전선에 의해 통전되도록 연결되는 접속단자(101a)(101b)와, 상기 접속단자(101a)(10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메인 도전선의 통전 시 통전유무를 확인하는 통전확인램프(102)와, 무선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103)를 구비하고, 교량거부시설에 설치되어 전색형 폭약장전대(10)의 폭약(E)이 기폭되도록 무선제어신호에 따라 뇌관(D)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폭장치(100)과;
    상기 기폭장치(100)에 무선신호를 발신하여 상기 기폭장치(100)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조작반(200)으로 구성되며;
    메인 도전선을 사용하여 상기 기폭장치(100)의 접속단자(101a)(101b)와 각 폭약장전대(10)의 접속구(60)의 기폭단자(61a)(61b)를 병렬로 연결시킨 후 기폭장치(100)를 ON시킨 후 원격조작반(300)을 조작하여 기폭장치(100)의 통전확인램프(102) 및 각 전색형 폭약장전대(10)의 접속구(60)의 통전확인램프(63)의 점등을 확인하여 메인 도전선을 통전유무를 확인하고, 메인 도전선의 통전상태가 양호하였을 때 기폭장치(100)의 전원을 OFF한 후 각 전색형 폭약장전대(10)의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 장전 트레이(30)(40)(50)에 뇌관(D)이 장입된 폭약(E)을 탑재하고, 상부, 하부 및 중간 폭약장전부(21)(22)(23) 내로 수납한 후 각 전색형 폭약장전대(10)의 폭약장전부 개폐부재(24)를 닫고 자물쇠를 체결하여 폭약을 장전한 다음, 각 뇌관(D)으로 부터 인출된 뇌관 도전선을 해당 전색형 폭약장전대(10)의 접속구(60)의 뇌관단자(62a)(62b)에 연결하여 폭약장전 및 뇌관 도전선의 연결작업이 모두 완료되었을 때 기폭장치(100)의 전원을 ON시킨 다음 작업자가 안전한 위치까지 이동한 후 원격조작반(200)을 ON시킨 후 발파조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거부시설용 폭약장전대의 발파 시스템.


KR1020220071485A 2022-06-13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 및 그 발파 시스템 KR102666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485A KR102666780B1 (ko) 2022-06-13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 및 그 발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485A KR102666780B1 (ko) 2022-06-13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 및 그 발파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201A KR20230171201A (ko) 2023-12-20
KR102666780B1 true KR102666780B1 (ko) 2024-06-04

Family

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012B1 (ko) 2013-12-24 2015-03-27 나상철 교량거부시설용 폭약장전함
CN107907017A (zh) 2017-11-28 2018-04-13 重庆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稳定性安全爆破方法
KR101915568B1 (ko) 2017-05-11 2019-01-07 나상철 스틸 박스 거더 교량용 밀착형 폭약장전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012B1 (ko) 2013-12-24 2015-03-27 나상철 교량거부시설용 폭약장전함
KR101915568B1 (ko) 2017-05-11 2019-01-07 나상철 스틸 박스 거더 교량용 밀착형 폭약장전함
CN107907017A (zh) 2017-11-28 2018-04-13 重庆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稳定性安全爆破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233B2 (en) Propellant actuated hinge remover
US5359918A (en) Multi-receptacle pyrotechnic cartridges and corresponding ammunition
CN112027089B (zh) 一种无人机投弹装置
KR102666780B1 (ko)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 및 그 발파 시스템
US5097765A (en) Electric fuze with selectable modes
KR101499012B1 (ko) 교량거부시설용 폭약장전함
KR20230171201A (ko) 교량거부시설용 전색형 폭약장전대 및 그 발파 시스템
US8011928B1 (en) Mine-like explosion simulator
WO2016204440A1 (ko) 신관 보호형 자탄몸체가 구비된 분산탄용 자탄
US6408763B1 (en) Apparatus for land, sea, and air defense
JP4518425B2 (ja) 速射型火器
US9228803B2 (en) Universal tube launched munitions system
US20080072782A1 (en) Projectile In Particular An Anti-Infrastructure Penetrating Bomb And Method For Penetration Of Said Projectile Through A Wall
US4030418A (en) Gravity deployed mine with combined upper clearing charge firing and delayed main charge initiation
CN108519030B (zh) 未爆弹激光销毁车
RU2277693C1 (ru) Многоцелевая управляемая ракета в пусковом контейнере
KR101768823B1 (ko) 슬라이더 조립체 강제 장전장치가 구비된 분산탄용 자탄
RU77414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 раскладки боеприпасов
DE2509705A1 (de) Mine, insbesondere landmine
KR102108135B1 (ko) 도로 및 터널 거부시설용 전색형 폭파킷
RU54166U1 (ru) Боевая часть с отделяемыми боевыми блоками индивидуального наведения
FI88072C (fi) Projektil av typen innehaollande en pyroteknisk laddning och medel foer retarderande taendning av laddningen
RU2339895C1 (ru) Минный заградитель
KR20200078302A (ko) 발사체 신관 어셈블리 및 그 조립 및 사용 방법
KR101519782B1 (ko) 회수 및 불발률 확인 기능이 구비된 시험용 자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