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562B1 - 담배 거치 겸용 재떨이 - Google Patents

담배 거치 겸용 재떨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562B1
KR102666562B1 KR1020240022684A KR20240022684A KR102666562B1 KR 102666562 B1 KR102666562 B1 KR 102666562B1 KR 1020240022684 A KR1020240022684 A KR 1020240022684A KR 20240022684 A KR20240022684 A KR 20240022684A KR 102666562 B1 KR102666562 B1 KR 102666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storage container
plate
circula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22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일
Original Assignee
이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일 filed Critical 이경일
Priority to KR1020240022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5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0035Ash-trays with supporting means for the cigars or cigarettes

Landscapes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배 거치 겸용 재떨이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상부 뚜껑이 록 또는 록 해제되면서 상부로 개방되는 보관통(10)의 외측에 담배 삽입공(33)을 관통 형성하는 담배 장착구(30)를 설치하되, 상기 담배 장착구 내부에 레버 조작에 의한 원형 작동판(35)이 탄발 회전하면서 담배 고정판(37)이 축 회전에 의해 담배 삽입공을 개방시켜 담배를 삽입시키고 원형 작동판(35)이 탄발 복귀하면서 담배 고정판(37)이 축 회전에 의해 담배를 가압 고정하도록 장착하므로 흡연자가 상기 보관통을 파지한 상태로 흡연하면서 담배 재가 보관통 내부로 모아지고 흡연 후 담배 꽁초도 보관통 내부로 삽입시켜 버리면서 차량 내부나 실내 등의 흡연 장소에 담배 재나 담배 꽁초로 인해 더렵혀 지지 않도록 하여 흡연 장소를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담배 거치 겸용 재떨이{Cigarette deferment with ash tray}
본 발명은 담배 거치 겸용 재떨이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보관통의 내부로 담배를 삽입 장착하여 보관통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흡연하므로 담배의 재가 보관통 내부로 모아짐은 물론 흡연 후 담배 꽁초도 보관통 내부로 삽입시켜 버리는 담배 거치 겸용 재떨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나 실내,외 장소에서 흡연시 담배 재나 담배 꽁초를 버리기 위해 재떨이를 필수적으로 설치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재떨이는 원형, 다각형의 독림 물품이나 별도의 시설물에 결합되어 있는 결합 물품 등 다양한 물품 형태로 제작 사용하는데, 흡연자가 담배 흡연시 담배를 잠시 거치할 수 있는 거치 홈과 상기 담배의 흡연 과정에 발생되는 담배 재를 떨어 버리거나 담배 흡연 후 꽁초를 버리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이루져 있는 것이다.
즉, 흡연자가 담배를 손에 잡고 흡연하다가 담배의 재가 발생하면 재떨이에 담배 재를 떨어 버리고, 담배 흡연 후에는 담배 꽁초를 재떨이 바닥에 눌로 불꽃이 소멸되게 하면서 버리도록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재떨이는 흡연자가 담배의 재가 발생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담배의 재를 떨어 주여야 하기 때문에 실수로 담배 재가 재떨이가 아닌 주변 바닥에 떨어짐은 물론 재떨이의 담배 재가 주변으로 흩 날려 버리면서 흡연 장소 주변을 담배 재로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차량 내부나 좁은 실내 흡연 장소의 경우 담배 재가 떨어져 오염되는 문제와 이 때문에 담배 재를 자주 청소하여야 하는 문제는 물론 물론 흡연 장소에 담배 재가 쌓여 담배 냄새가 배이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흡연자가 담배를 손 가락 사이에 끼워 파지한 상태로 흡연하고 흡연 후 손으로 재떨이에 눌러 불꽃을 소멸시키도록 사용하기 때문에 흡연자의 경우 손에 담배 냄새가 심하게 배이는 문제점도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4401호(2012년06월20일) 등록특허 제10-1177400호(2012년08월21일) 공개실용신안 제20-1995-0032810호(1995년12월16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보관통의 내부로 담배를 삽입 장착하여 보관통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흡연하므로 담배의 재가 보관통 내부로 모아짐은 물론 흡연 후 담배 꽁초도 보관통 내부로 삽입시켜 버리므로 흡연 장소를 청결하게 유지하면서 사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흡연시 또는 흡연 후 담배를 손으로 만지지 않고 버리도록 함은 물론 보관통의 상부 뚜껑을 폐쇄시키는 것에 의해 담배 꽁초의 불꽃도 소멸시키면서 위생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에 담배 재 및 담배 꽁초를 보관하는 보관 공간부가 형성된 보관통과, 상기 보관통 상부에 축 결합되고 로크 수단에 의해 록 또는 록 해제하면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부로 개방 작동하는 상부 뚜껑 및, 상기 보관통의 외 측면에 결합하고 중앙에 관통 형성된 담배 삽입공을 통해 담배의 선단부를 보관 공간부로 내 삽입시켜 고정 장착하는 담배 장착구로 구성하여 흡연자가 상기 보관통을 파지한 상태로 흡연하면서 담배 재가 보관통 내부로 모아지고 흡연 후 담배 꽁초도 보관통 내부로 삽입시켜 버리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담배 장착구는 중앙에 담배 삽입공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 원형의 하우징에 원형 작동판을 일측의 레버 조작에 의해 일정 범위로 회전 가능하게 내 삽입 설치하고, 상기 원형 작동판의 전면에 담배 삽입공을 차단하는 담배 고정판을 등각 위치로 설치하여 각 담배 고정판의 내외측 위치에서 제1,2 축부에 의해 원형 작동판과 하우징에 각각 축 결합하되, 상기 하우징과 원형 작동판을 인장 스프링으로 탄발 연결되게 설치하여 상기 레버 조작에 의한 원형 작동판의 탄발 회전시 담배 고정판이 제2 축부를 중심으로 축 회전되어 담배 삽입공을 개방하면서 담배를 삽입시키고 상기 원형 작동판의 탄발 복귀시 담배 고정판이 제2 축부를 중심으로 축 회전되어 담배 삽입공의 담배를 가압 고정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담배 고정판은 원형 작동판의 전면에 3개의 등각 위치로 설치 구성하되, 상기 담배 고정판의 내측에 담배를 가압 고정하는 위치로 담배의 외부 곡면에 대응되는 라운드 요부를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로크 수단은 상부 뚜껑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 홈과, 보관통 상단 일측에 수직 돌출되어 걸림 홈에 걸림 작동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걸림 작동구로 구성하되, 상기 걸림 작동구는 레버 조작에 의한 원형 작동판의 탄발 회전시 연동 작동에 의해 로크 해제되면서 상부 뚜껑을 자동 개방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걸림 작동구는 중앙이 전후 회전하도록 축 설치하여 탄발 부재로 탄발 지지 설치하고, 상기 원형 작동판에 걸림 작동구 측방 위치로 라운드 돌기부를 돌출 형성하여 원형 작동판의 탄발 회전시 라운드 돌기부가 걸림 작동구의 하부를 가압하면서 걸림 작동구가 축 회전되는 것에 의해 로크 해제 작동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관통의 하부 중앙에는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 상단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함몰부에 상단이 관통공을 통해 보관 공간부로 내 삽입되는 밀핀을 완충 스프링에 의해 탄발 지지되도록 삽입 설치하되, 상기 밀핀의 하단은 보관통의 바닥보다 하부로 돌출되고 상단은 지지턱에 의해 관통공에서 이탈 방지되게 지지되어 보관통을 바닥에 내려 놓을 때 밀핀이 탄발 승강하면서 담배를 털어 담배 재를 분리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부 뚜껑이 록 또는 록 해제되면서 상부로 개방되는 보관통의 외측에 담배 삽입공을 관통 형성하는 담배 장착구를 설치하되, 상기 담배 장착구 내부에 레버 조작에 의한 원형 작동판이 탄발 회전하면서 담배 고정판이 담배 삽입공을 개방시켜 담배를 삽입시키고 원형 작동판이 탄발 복귀하면서 담배 고정판이 담배를 가압 고정하도록 장착하므로 흡연자가 상기 보관통을 파지한 상태로 흡연하면서 담배 재가 보관통 내부로 모아지고 흡연 후 담배 꽁초도 보관통 내부로 삽입시켜 버리면서 차량 내부나 실내 등의 흡연 장소에 담배 재나 담배 꽁초로 인해 더렵혀 지지 않도록 하여 흡연 장소를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특히, 흡연자가 보관통을 파지하여 흡연하고 흡연 후 담배를 손으로 만지지 않고 보관통 내부에 버리도록 함은 물론 보관통의 상부 뚜껑을 폐쇄시키는 것에 의해 담배 꽁초의 불꽃도 소멸시키도록 사용하기 때문에 흡연자의 손에 담배의 냄새가 배이지 않도록 사용하면서 위생적으로 흡연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재떨이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부 뚜껑이 개방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담배 장착구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정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담배를 장착한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정 단면도.
도 6은 도 4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록킹 수단을 보여주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요부 정면도.
도 9는 도 7의 작동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재떨이에 담배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
도 12는 도 111의 작동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 구성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담배 거치 겸용 재떨이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통(10), 상부 뚜껑(20) 및 담배 장착구(30)로 구성하여 흡연자가 담배가 아닌 보관통을 파지한 상태로 흡연하면서 담배 재가 보관통 내부로 모아지고 흡연 후 담배 꽁초도 보관통 내부로 삽입시켜 버리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상기 보관통(10)은 내부에 담배 재 및 담배 꽁초를 저장 보관하는 보관 공간부(12)를 형성하되, 흡연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흡연하도록 사용할 수 있는 사이즈의 원통형 구조가 바람직하고 원통형 구조 이외에 다각형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상부 뚜껑(20)은 보관통 상부에 상하 개폐 작동하도록 축 결합하되, 로크 수단(50)에 의해 록 또는 록 해제하면서 스프링(22)의 탄발력에 의해 상부로 자동 개방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즉, 흡연시에는 상부 뚜껑(20)을 개방 상태로 흡연하고 흡연 후에는 상부 뚜껑(20)을 폐쇄시켜 밀폐하므로 보관통 내부의 담배 재가 흩날리지 않도록 함은 물론 담배 재나 담배 꽁초의 불꽃이 신속하게 소멸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로크 수단(50)은 다양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담배 장착구(30)는 보관통(10)의 외 측면에 일체 또는 결합 구조로 형성하되 중앙에 관통 형성된 담배 삽입공(33)을 통해 담배(2)의 선단부(2a)를 보관 공간부(12)로 내 삽입시켜 고정 장착하도록 구성한다.
특히, 상기 담배 장착구(30)는 중앙에 담배 삽입공(33)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 원형의 하우징(31)에 원형 작동판(35)을 일측의 레버(36) 조작에 의해 일정 범위로 회전 작동 가능하도록 내 삽입 설치한다.
이때, 상기 레버(36)는 하우징 측방의 안내 장공(31a)을 통해 외부로 돌출시켜 상기 레버(36)를 안내 장공(31a)을 따라 회전 시키면서 일정 범위로 회전시키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원형 작동판(35)의 전면에 담배 삽입공(33)을 차단하는 담배 고정판(37)을 등각 위치로 설치하고 각 담배 고정판의 내외측 위치에서 제1,2 축부(37a)(37b)에 의해 원형 작동판과 하우징에 각각 축 결합하되, 상기 하우징(31)과 원형 작동판(35)을 인장 스프링(38)으로 탄발 연결되게 설치하여 상기 레버 조작에 의한 원형 작동판(35)의 탄발 회전시 담배 고정판(37)이 제2 축부를 중심으로 축 회전되어 담배 삽입공(33)을 개방하면서 담배를 삽입시키고 상기 원형 작동판의 탄발 복귀시 담배 고정판이 제2 축부를 중심으로 축 회전 (복귀 회전)되어 담배 삽입공의 담배를 가압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담배 고정판(37)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수효로 설치 가능하다, 바람직하기는 원형 작동판(35)의 전면에 3개의 등각 위치로 설치 구성하되, 상기 담배 고정판(37)의 내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배를 가압 고정하는 위치로 담배의 외부 곡면에 대응되는 라운드 요부(37c)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로크 수단(50)은 상부 뚜껑(2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 홈(51)과, 보관통(10) 상단 일측에 수직 돌출되어 걸림 홈(51)에 걸림 작동하는 걸림턱(52a)이 형성된 걸림 작동구(52)로 구성하되, 상기 걸림 작동구(52)는 레버 조작에 의한 원형 작동판의 탄발 회전시 연동 작동에 의해 로크 해제되면서 상부 뚜껑(20)을 자동 개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레버(36) 조작에 의해 담배 삽입공(33)을 개방시켜 담배를 삽입 장착함과 함께 상부 뚜껑(20)을 개방시켜 흡연자가 흡연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 작동구(52)는 중앙이 전후 회전하도록 축 설치하여 비틀림 스프링 등과 같은 탄발 부재(53)로 탄발 지지 설치하고, 상기 원형 작동판에 걸림 작동구 측방 위치로 라운드 돌기부(35a)를 돌출 형성하여 원형 작동판의 탄발 회전시 라운드 돌기부가 걸림 작동구(53)의 하부 위치로 이동하면서 걸림 작동구의 하부를 가압하여 걸림 작동구(52)가 축 회전되는 것에 의해 로크 해제 작동하도록 구성하거나 그 밖에 다양한 구조로 연동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리 실시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보관통(10)의 하부 중앙에는 함몰부(15)와 상기 함몰부 상단에 관통공(16)을 형성하여 상기 함몰부(15)에 상단이 관통공(16)을 통해 보관 공간부로 내 삽입되는 밀핀(60)을 완충 스프링(65)에 의해 탄발 지지되도록 삽입 설치 구성한다.
이때, 상기 밀핀(60)의 하단은 보관통의 바닥보다 하부로 돌출되고 상단은 지지턱(61)에 의해 관통공(16)에서 이탈 방지되게 지지되어 보관통을 바닥에 내려 놓을 때 밀핀이 탄발 승강하면서 담배를 털어 담배 재를 분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미 설명 부호로서 54는 걸림 작동구 중앙에 형성되어 축 조립 설치하는 축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흡연자가 담배(2)를 보관통(10) 외측에 결합되어 있는 담배 장착구(30)의 담배 삽입공(33)을 통해 내 삽입 장착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담배 장착구의 하우징(31)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레버(36)를 상부로 회전 조작한다.
이와 같이 상기 레버 조작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원형 작동판(35)이 인장 스프링(38)을 인장시키면서 일정 범위로 탄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원형 작동판(35)의 전면 중앙에 원주상으로 등각 설치되어 있는 담배 고정판(37)이 축 회전하면서 중앙의 담배 삽입공(33)을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담배 고정판(37)이 원형 작동판(35)과 하우징(31)에 제1,2 축부(37a)(37b)로 축 결합되어 있어 상기 원형 작동판(35)의 탄발 회전시 담배 고정판(37)이 제2 축부를 중심으로 축 회전되어 담배 삽입공(33)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담배 장착구의 담배 삽입공(33)이 개방되면 흡연자는 담배를 삽입시켜 담배의 선단부(2a)가 보관통 내부의 보관 공간부(12)에 위치하도록 삽입 장착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레버(36)의 회전 조작을 멈추면, 원형 작동판(35)이 인장 스프링(38)의 탄발력에 의해 복귀 회전하고, 이와 함께 상기 원형 작동판 전면의 담배 고정파(37)이 제2 축부를 중심으로 원위치로 축 회전되어 담배 삽입공(33)에 삽입 장착되어 있는 담배(2)를 가압 고정하도록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담배 고정판(37)의 내측에 라운드 요부(37c)를 형성하여 상기 라운드 요부가 담배를 감싸며 가압 고정하도록 하므로 담배가 더 움직이지 않고 잘 고정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레버(36) 조작에 의해 담배 장착구의 담배 삽입공(33)을 개방시켜 담배를 삽입 장착함과 동시에 상기 레버(36)의 회전 조작시 로크 수단(50)이 로크 해제 작동하면서 보관통(10) 상부의 상부 뚜껑(20)이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자동 개방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레버(36) 조작에 의해 원형 작동판(35)이 탄발 회전하면서 상기 원형 작동판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라운드 돌기부(35a)가 걸림 작동구(52) 하부의 측방 위치에서 정 위치로 이동하여 걸림 작동구(52) 하부를 전방으로 밀어 주므로 상기 걸림 작동구(52)가 전후로 축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 작동구(53)가 전후로 축 회전하면서 걸림 작동구의 걸림턱(52a)이 상부 뚜껑(20) 일측의 걸림 홈(51)에서 이탈되므로 상기 상부 뚜껑(20)이 스프링(22)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 개방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보관통(10) 상부의 상부 뚜껑(20)이 개방되고 보관통 외측의 담배 장착구(30)에 담배(2)가 장착되어 흡연 준비가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흡연자는 담배(2)를 직접 손으로 파지하는 것이 아니라 보관통(10)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담배 장착구(30)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담배의 필터 부분을 입에 물고 담배를 흡연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담배를 흡연한 후 보관통(10)을 바닥이나 거치 장소에 잠시 거치시키면서 연속 흡연하게 되는데, 상기 담배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담배 재가 흡연 장소 주변으로 떨어지지 않고 보관통(10) 내부의 보관 공간부(12)로 모아지도록 흡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1 및 도 12의 실시 예에서는 흡연자가 보관통(10)을 바닥이나 거치 장소에 잠시 거치시 보관통(10) 하부로 돌출되어 있는 밀핀(60)이 완충 스프링(65)을 압축하면서 함몰부(15) 내부로 삽입되고, 이 과정에서 밀핀 상단이 보관통(10) 내부에서 승강하면서 담배(2) 선단을 떨어 주므로 흡연자가 흡연중에 담배의 재를 떨어 주는 것과 같이 담배 재를 분리하여 보관통(10) 내부에 모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흡연자가 담배(2)의 흡연을 완료한 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레버(36)의 회전 조작에 의해 담배 고정판(37)이 제2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담배 삽입공에 삽입되어 있는 담배를 가압 고정하던 힘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보관통(10)을 기울이거나 담배를 보관통 내부로 밀어주면 담배 꽁초가 담배 삽입공(33)을 통해 보관통(10) 내부로 버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부 뚜껑(20)을 보관통(10) 상부로 회전시켜 폐쇄하면서 로크 수단(50)에 의해 다시 로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뚜껑을 덮어 주면 보관통(10) 내부가 밀폐되어 보관통(10)에 버려지는 담배 꽁초의 불꽃이 별도 소멸 조작 없이 신속하게 소멸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관통 외측의 담배 장착구를 통해 담배를 간단히 장착하면서 사용하되, 흡연 과정에서 담배 재가 보관통 내부로 모아지고 흡연 후 담배 꽁초도 보관통 내부로 삽입시켜 버리도록 하므로 차량 내부나 실내 등의 흡연 장소가 담배 재나 담배 꽁초로 인해 더렵혀 지지 않도록 청결하게 사용하고, 또한 흡연 과정에서 담배를 손으로 만지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 손에 담배 냄새가 배이지 않도록 위생적 흡연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10: 보관통 12: 보관 공간부
15: 함몰부 16: 관통공
20: 상부 뚜껑 22: 스프링
30: 담배 장착구 31: 하우징
33: 담배 삽입공 35: 원형 작동판
36: 레버 37: 담배 고정판
37a,27b: 제1,2 축부 37c: 라운드 요부
38: 인장 스프링 50: 로크 수단
51: 걸림 홈 52: 걸림 작동구
52a: 걸림턱 53: 탄발 부재
60: 밀핀 61: 지지턱
65: 완충 스프링

Claims (6)

  1. 내부에 담배 재 및 담배 꽁초를 보관하는 보관 공간부(12)가 형성된 보관통(10);
    상기 보관통 상부에 축 결합되고 로크 수단(50)에 의해 록 또는 록 해제하면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부로 개방 작동하는 상부 뚜껑(20); 및
    상기 보관통(10)의 외 측면에 결합하고 중앙에 관통 형성된 담배 삽입공(33)을 통해 담배(2)의 선단부(2a)를 보관 공간부(12)로 내 삽입시켜 고정 장착하는 담배 장착구(30)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담배 장착구(30)는 중앙에 담배 삽입공(33)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 원형의 하우징(31)에 원형 작동판(35)을 일측의 레버(36) 조작에 의해 일정 범위로 회전 가능하게 내 삽입 설치하고,
    상기 원형 작동판(35)의 전면에 담배 삽입공(33)을 차단하는 담배 고정판(37)을 등각 위치로 설치하여 각 담배 고정판의 내외측 위치에서 제1,2 축부(37a)(37b)에 의해 원형 작동판과 하우징에 각각 축 결합하되,
    상기 하우징(31)과 원형 작동판(35)을 인장 스프링(38)으로 탄발 연결되게 설치하여 상기 레버 조작에 의한 원형 작동판(35)의 탄발 회전시 담배 고정판(37)이 제2 축부를 중심으로 축 회전되어 담배 삽입공(33)을 개방하면서 담배를 삽입시키고 상기 원형 작동판의 탄발 복귀시 담배 고정판이 제2 축부를 중심으로 축 회전되어 담배 삽입공의 담배를 가압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거치 겸용 재떨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 고정판(37)은 원형 작동판(35)의 전면에 3개의 등각 위치로 설치 구성하되, 상기 담배 고정판(37)의 내측에 담배를 가압 고정하는 위치로 담배의 외부 곡면에 대응되는 라운드 요부(37c)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거치 겸용 재떨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수단(50)은 상부 뚜껑(2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 홈(51)과, 보관통(10) 상단 일측에 수직 돌출되어 걸림 홈(51)에 걸림 작동하는 걸림턱(52a)이 형성된 걸림 작동구(52)로 구성하되,
    상기 걸림 작동구(52)는 레버 조작에 의한 원형 작동판의 탄발 회전시 연동 작동에 의해 로크 해제되면서 상부 뚜껑(20)을 자동 개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거치 겸용 재떨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작동구(52)는 중앙이 전후 회전하도록 축 설치하여 탄발 부재(53)로 탄발 지지 설치하고, 상기 원형 작동판에 걸림 작동구 측방 위치로 라운드 돌기부(35a)를 돌출 형성하여 원형 작동판의 탄발 회전시 라운드 돌기부가 걸림 작동구(53)의 하부를 가압하면서 걸림 작동구(52)가 축 회전되는 것에 의해 로크 해제 작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거치 겸용 재떨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통(10)의 하부 중앙에는 함몰부(15)와 상기 함몰부 상단에 관통공(16)을 형성하여 상기 함몰부(15)에 상단이 관통공(16)을 통해 보관 공간부로 내 삽입되는 밀핀(60)을 완충 스프링(65)에 의해 탄발 지지되도록 삽입 설치하되,
    상기 밀핀(60)의 하단은 보관통의 바닥보다 하부로 돌출되고 상단은 지지턱(61)에 의해 관통공(16)에서 이탈 방지되게 지지되어 보관통을 바닥에 내려 놓을 때 밀핀이 탄발 승강하면서 담배를 털어 담배 재를 분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거치 겸용 재떨이.
KR1020240022684A 2024-02-16 2024-02-16 담배 거치 겸용 재떨이 KR102666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2684A KR102666562B1 (ko) 2024-02-16 2024-02-16 담배 거치 겸용 재떨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2684A KR102666562B1 (ko) 2024-02-16 2024-02-16 담배 거치 겸용 재떨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6562B1 true KR102666562B1 (ko) 2024-05-14

Family

ID=91075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2684A KR102666562B1 (ko) 2024-02-16 2024-02-16 담배 거치 겸용 재떨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656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2810U (ko) 1994-05-27 1995-12-16 담배거치대를 갖춘 차량용 재떨이
JP2009261319A (ja) * 2008-04-25 2009-11-12 Ryoji Kuroda 携帯用タバコ煙清浄器
KR20120004401U (ko) 2010-12-10 2012-06-20 신동우 재떨이 받침대 구조
KR101177400B1 (ko) 2009-01-28 2012-08-27 임혁 안전 재떨이
KR20150002975U (ko) * 2014-01-24 2015-08-03 서준원 담배홀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2810U (ko) 1994-05-27 1995-12-16 담배거치대를 갖춘 차량용 재떨이
JP2009261319A (ja) * 2008-04-25 2009-11-12 Ryoji Kuroda 携帯用タバコ煙清浄器
KR101177400B1 (ko) 2009-01-28 2012-08-27 임혁 안전 재떨이
KR20120004401U (ko) 2010-12-10 2012-06-20 신동우 재떨이 받침대 구조
KR20150002975U (ko) * 2014-01-24 2015-08-03 서준원 담배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4835B2 (en) Apparatus for cutting and storing a cigarette
WO2004019710A1 (en) Compartmentalized cigarette snuffer and receptacle
US5934894A (en) Apparatus for storage and use of rolled tobacco products
US20080223382A1 (en) Litter disposal device
US20130269718A1 (en) Apparatus For Cutting And Storing A Cigarette
KR102666562B1 (ko) 담배 거치 겸용 재떨이
US4478230A (en) Lighter forming an extinguishing ash-tray
CA2091600C (en) Cigarette extinguishing storage device
US5520196A (en) Cigarette case equipped with disposable ash receptacle
US4473084A (en) Ashtray snuffer
US20050274389A1 (en) Receptacle for extinguishing and storing cigarette butts
US2843134A (en) Smoker's wrist compact
EP3445184B1 (en) Portable device for collecting filters of used cigarettes
KR860002238Y1 (ko) 담배 케이스
KR101456776B1 (ko) 휴대용 끽연도구
CN220211905U (zh) 一种带打火机的烟灰缸
KR960003546Y1 (ko) 담배 꽁초 위생처리용 재떨이
KR20230002273U (ko) 휴대용 재떨이
KR970002623Y1 (ko) 재떨이가 부설된 쓰레기통
JPH11225736A (ja) ライター付携帯用灰皿
KR810001855Y1 (ko) 재 떨 이
JP2001157571A (ja) 自動喫煙装置
JPS6118711Y2 (ko)
KR200234347Y1 (ko) 휴대용 재떨이
JPH0279964A (ja) 煙草の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