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310B1 -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310B1
KR102666310B1 KR1020160119024A KR20160119024A KR102666310B1 KR 102666310 B1 KR102666310 B1 KR 102666310B1 KR 1020160119024 A KR1020160119024 A KR 1020160119024A KR 20160119024 A KR20160119024 A KR 20160119024A KR 102666310 B1 KR102666310 B1 KR 102666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cooler
radiator
coupling
header tank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1108A (ko
Inventor
한지훈
씨드 나이젤
암스덴 리차드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9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310B1/ko
Publication of KR20180031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8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8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 F01P2003/182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with multiple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70/00Details
    • F01P2070/52Details mounting heat-exchangers

Abstract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인터쿨러가 라디에이터의 하측에 헤더탱크 간 연결된 브라켓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라디에이터와 인터쿨러 간에 발생되는 열팽창 차이에 의한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Assembly structure of radiator and intercooler}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인터쿨러가 라디에이터의 하측에 헤더탱크 간 연결된 브라켓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라디에이터와 인터쿨러 간에 발생되는 열팽창 차이에 의한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인터쿨러(Intercooler)는 엔진 출력을 높이기 위해 과급기에 의해 고온ㆍ고압으로 압축된 공기를 식혀주는 장치이다.
대체적으로 디젤 기관을 사용하는 차량에 있어서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엔진의 실린더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과급기를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과급기에 의해 급속히 압축된 공기는 온도가 매우 높아져 부피가 팽창하고 산소 밀도가 떨어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실린더안의 충전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인터쿨러가 상기 과급기에 의해 압축된 고온의 공기를 냉각함으로써, 상기 인터쿨러가 구비되는 차량은 엔진 실린더의 흡입효율이 높아지고, 연소효율이 향상되어 연비가 높아지는 것은 물론 이산화탄소 및 매연 등 환경에 유해한 배기가스의 배출도 크게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인터쿨러는 냉각방식에 따라 수랭식과 공랭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공랭식 인터쿨러(10)의 일예를 도 1에 도시하였으며, 상기 도 1에 도시된 인터쿨러(1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는 입구탱크(21) 및 출구탱크(22); 상기 입구탱크(21) 및 출구탱크(22)에 각각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31) 및 배출되는 출구파이프(32); 상기 입구탱크(21) 및 출구탱크(22)에 양 단이 고정되어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튜브(40); 및 상기 튜브(40) 사이에 개재되는 핀(50); 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인터쿨러(10)는 외부 공기가 엔진의 배기압에 의한 터빈의 회전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강제 송풍되어 상기 입구파이프(31)를 통해 상기 입구탱크(21)로 유입된다.
상기 입구탱크(21)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튜브(40)의 공기 유로를 따라 상기 출구탱크(22)로 이동되면서 외부 핀(5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 되어 냉각되고, 상기 출구탱크(22)의 출구파이프(32)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차량의 엔진의 전방에는 냉각수의 냉각을 위한 라디에이터가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은 팬쉬라우드(F), 라디에이터(R) 및 컨덴서(C)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쿨링모듈에서 라디에이터(R) 및 인터쿨러(I)의 장착구조를 보인 도면으로, 엔진을 순환하며 가열된 냉각수는 상기 라디에이터(R) 코어를 통해 흐르게 된다. 이 과정에서 라디에이터 후방에 형성되는 냉각팬이 작동되어 상기한 코어를 흐르는 냉각수를 냉각하게 되는 것이다.
즉, 엔진의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는 라디에이터(R)에서 냉각되고, 터보차저의 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한 공기는 인터쿨러(I)에서 냉각된다.
이때, 상기 인터쿨러는 도 2와 같이 상기 라디에이터의 양측 헤더탱크에 각각 결합되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브라켓(B)에 의해 상기 라디에이터의 하측에 결합되기도 한다.
그런데, 상기 라디에이터의 코어는 내부에 유동되는 고온의 냉각수에 의해 열팽창이 일어나기도 하는데, 상기 인터쿨러는 브라켓에 의해 상기 라디에이터의 헤더탱크에 구속된 상태이므로,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인터쿨러는 브라켓과 볼트 조립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국내공개특허 제2002-0085153호(공개일 2002.11.16, 명칭 : 인터쿨러와 일체로 형성된 라디에이터)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쿨러가 라디에이터의 하측에 헤더탱크 간 연결된 브라켓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라디에이터와 인터쿨러 간에 발생되는 열팽창 차이에 의한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일측에 위치한 라디에이터의 제1헤더탱크 및 인터쿨러의 제2헤더탱크의 결합은 x, y 방향으로만 구속되며, 타측에 위치한 제1헤더탱크 및 제2헤더탱크의 결합은 x, z, y축 방향으로 모두 구속되도록 함으로써, 라디에이터 또는 인터쿨러의 코어가 열팽창에 의해 길이가 달라지더라도, 결합부위의 응력에 의해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는 라디에이터(1)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헤더탱크(110)와, 상기 라디에이터(1)의 하측에 결합되는 상기 인터쿨러(2)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헤더탱크(210)가 각각 동일한 측면에 위치되는 것끼리 결합되는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Y축 방향으로 일측에 위치한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210)의 결합은 x, y, z 방향에 대해 모두 구속되며, Y축 방향으로 타측에 위치한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210)의 결합은 x, z 방향에 대해 구속되고, 일측의 제1헤더탱크(110)에 형성된 제1결합부(310)와, 제2헤더탱크(210)에 형성된 제1체결부(410)가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제1결합부(310)는 상기 제1헤더탱크(110)의 하부 영역에서 돌출되되, 하단이 y축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이고, 상기 제1체결부(410)는 돌기형태의 상기 제1결합부(310)가 y축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제2헤더탱크(210)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되며, 홀이 형성된 고리 형태이며, 상기 제1결합부(310)의 하단은 상기 인터쿨러(2)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결합부(310)의 하단 및 상기 제1체결부(410)의 홀은 상기 라디에이터(1)와 상기 인터쿨러(2)의 코어 방향인 y축으로 수평한 형상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라디에이터(1)의 코어 또는 상기 인터쿨러(2)의 코어가 팽창할 시 상기 제1결합부(310)가 제1체결부(4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y축 방향으로 수평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는 일측의 제1헤더탱크(110)에 형성된 제1결합부(310)와, 제2헤더탱크(210)에 형성된 제1체결부(410)가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결합부(310)는 상기 제1헤더탱크(110)의 하부 영역에서 y축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이며, 상기 제1체결부(410)는 돌기형태의 상기 제1결합부(310)가 y축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제2헤더탱크(210)의 상부 영역에 돌출된 고리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체결부(410)는 상기 제2헤더탱크(210)의 상부 영역에서 y축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이며, 상기 제1결합부(310)는 돌기형태의 상기 제1체결부(410)가 y축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제1헤더탱크(110)의 하부 영역에 돌출된 고리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결합부(310) 및 제1체결부(410)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는 타측의 제1헤더탱크(110)에 형성된 제2결합부(320)와, 제2헤더탱크(210)에 형성된 제2체결부(420)가 스냅 핏(snap-fit)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는 상기 제2결합부(320)가, 서로 직각으로 배치된 제2-1결합부(321)와 제2-2결합부(3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체결부(420)가, 서로 직각으로 배치된 제2-1체결부(421)와 제2-2체결부(4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체결부(420)는 상기 제2-1체결부 (421)에 y축 방향으로 양측면이 외측으로 돌출된 제1후크부(431)가 형성되며, 상기 제2-2체결부(422)에 x축 방향으로 양측면이 외측으로 돌출된 제2후크부(43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는 타측의 제1헤더탱크(110)에 형성된 제2결합부(320)와, 제2헤더탱크(210)에 형성된 제2체결부(420)가 볼트(6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는 상기 제2결합부(320)의 y축으로 외측면에 상기 제2체결부(420)가 볼팅 결합시, 상기 제1헤더탱크(110)에 형성된 끼움 결합부(510)에 y축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제2헤더탱크(210)에 끼움 돌기부(5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와 상동한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쿨링 모듈은 상기 라디에이터의 위치에 구비되는 제1열교환기의 양측에 배치되며, 제1항의 상기 제 1 결합부(310) 및 상기 제 2 결합부(320)의 형상 및 위치와 각각 상동한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및 상기 인터쿨러의 위치에 구비되는 제2열교환기의 양측에 배치되고, 제1항의 상기 제 1 체결부(410) 및 상기 제 2 체결부(420)의 형상 및 위치와 각각 상동하며,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는 인터쿨러가 라디에이터의 하측에 헤더탱크 간 연결된 브라켓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라디에이터와 인터쿨러 간에 발생되는 열팽창 차이에 의한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는 일측에 위치한 라디에이터의 제1헤더탱크 및 인터쿨러의 제2헤더탱크의 결합은 x, y 방향으로만 구속되며, 타측에 위치한 제1헤더탱크 및 제2헤더탱크의 결합은 x, z 방향으로 모두 구속되도록 함으로써, 라디에이터 또는 인터쿨러의 코어가 열팽창에 의해 길이가 달라지더라도, 결합부위의 응력에 의해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는 일측은 끼움결합을 통해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타측은 스냅 핏 구조를 통해 결합됨에 따라, 조립이 간편하고, 조립 시 볼트가 필요 없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랭식 인터쿨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쿨링모듈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4에서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가 결합된 상태의 결합부위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 결합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 도 8에서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에서 제2체결부 및 제2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는 라디에이터(1)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헤더탱크(110)와, 상기 라디에이터(1)의 하측에 결합되는 상기 인터쿨러(2)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헤더탱크(210)가 각각 동일한 측면에 위치되는 것끼리 결합될 때, y축 방향으로 일측에 위치한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210)의 결합은 x, y, z 방향에 대해 모두 구속되며, y축 방향으로 타측에 위치한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210)의 결합은 x, z 방향에 대해 구속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엔진룸 전방에 장착되는 쿨링모듈은 팬쉬라우드,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1)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라디에이터(1) 하측에 인터쿨러(2)가 장착된다.
먼저, 상기 라디에이터(1)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라디에이터(1)는 y축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헤더탱크(110)와, 상기 제1헤더탱크(110)에 양단이 고정되는 제1튜브(120)와, 상기 제1튜브(120) 사이에 개재되는 제1핀(130)을 포함한다.
상기 라디에이터(1)는 한 쌍의 제1헤더탱크(110) 중 어느 하나로 엔진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가 유입되며, 냉각수가 상기 제1튜브(1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와 열교환 하여 냉각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인터쿨러(2)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인터쿨러(2)는 y축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헤더탱크(210)와, 상기 제2헤더탱크(210)에 양단이 고정되는 제2튜브(220)와, 상기 제2튜브(220) 사이에 개재되는 제2핀(230)을 포함한다.
상기 인터쿨러(2)는 한 쌍의 제2헤더탱크(210) 중 어느 하나로 과급기에 의해 고온ㆍ고압으로 압축된 공기가 유입되며, 압축된 공기가 제2튜브(220)를 통과하는 동안 공기와 열교환 하여 냉각이 이루어진다.
도 4에는 공랭식 인터쿨러(2)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라디에이터(1)와 공랭식 인터쿨러(2) 간에 결합구조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라디에이터(1)와 수냉식 인터쿨러(2) 간의 결합구조로 얼마든지 변경실시가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에서는 라디에이터(1)와 인터쿨러(2) 간에 발생되는 열팽창 차이에 의한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양측 헤더탱크 간에 결합 중 어느 한 쪽이 열팽창에 의해 코어의 길이가 확장되는 방향으로 구속되지 않고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측의 제1헤더탱크(110)에 형성된 제1결합부(310)와, 제2헤더탱크(210)에 형성된 제1체결부(410)가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310)는 제1체결부(410)에 상기 인터쿨러(2)의 y축 외측 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제1결합부(310) 및 제1체결부(410)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결합부(310)는 상기 제1헤더탱크(110)의 하부 영역에서 y축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이며, 상기 제1체결부(410)는 돌기형태의 상기 제1결합부(310)가 y축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제2헤더탱크(210)의 상부 영역에 돌출된 고리 형태이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310)는 y축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인터쿨러(2)의 제2튜브(220)가 길게 열팽창 되더라도, 상기 제1체결부(410)가 제1결합부(310)에서 분리되지 않고, 끼워진 상태에서 y축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310)는 y축으로의 이동이 자유롭도록 y축으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체결부(410)는 상기 제2헤더탱크(210)의 상부 영역에서 y축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이며, 상기 제1결합부(310)는 돌기형태의 상기 제1체결부(410)가 y축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제1헤더탱크(110)의 하부 영역에 돌출된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의 실시예와는 서로 반대되는 구조로, 그 방법 및 특징은 동일하다.
즉, 상기 제1체결부(410)는 y축으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인터쿨러(2)의 제2튜브(220)가 길게 열팽창 되더라도, 상기 제1결합부(310)가 제1체결부(410)에서 분리되지 않고, 끼워진 상태에서 y축으로 수평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결합부(310) 및 제1체결부(410)는 반드시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에서 x, y, z축으로 모두 구속된 측의 결합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타측의 제1헤더탱크(110)에 형성된 제2결합부(320)와, 제2헤더탱크(210)에 형성된 제2체결부(420)가 스냅 핏(snap-fit)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타측이란, 제2체결부(420) 및 제2결합부(320)가 형성된 측과 반대되는 측을 의미하며, 도 4 및 도 5에서는 우측을 의미하지만, 실시예에 따라 좌측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제2결합부(320)와 제2체결부(420)는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4 및 도 5와 같이 각각 2개씩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결합부(320)는 제2-1결합부(321)와 제2-2결합부(3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체결부(420)는 제2-1체결부(421)와 제2-2체결부(422)로 이루어진다.
이때, 다수개의 제1결합부(310) 및 제2체결부(420)는 서로 직각으로 배치됨으로써, x축과 y축으로의 움직임을 구속시킬 수 있다.
x축과 y축으로의 움직임을 구속시키기 위해서는, 직각으로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스냅 핏 구조에서 형성되는 후크의 방향도 중요하다.
상기 제2체결부(420)는 상기 제2-1체결부(421)에 y축 방향으로 양측면이 외측으로 돌출된 제1후크부(431)가 형성되고, 상기 제2-2체결부(422)에 x축 방향으로 양측면이 외측으로 돌출된 제2후크부(432)가 형성됨으로써, x축 및 y축으로의 움직임을 보다 안정적으로 구속하게 된다.
상기 제2결합부(320)는 상기 제2체결부(420)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1결합부(321)에는 y축 방향으로 양측면에 제1후크부(431)가 결합되도록 제1걸림부(441)가 형성되고, 상기 제2-2결합부(322)에는 x축 방향으로 양측면에 제2후크부(432)가 결합되도록 제2걸림부(44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1체결부(421) 및 제2-2체결부(422)에는 상측면 가운데 영역이 돌출된 제1삽입돌기(451)와 제2삽입돌기(45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1결합부(321) 및 제2-2결합부(322)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제1삽입홀(331) 및 제2삽입홀(332)이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돌기(451) 및 제2삽입돌기(452)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는 타측의 제1헤더탱크(110)에 형성된 제2결합부(320)와, 제2헤더탱크(210)에 형성된 제2체결부(420)가 볼트(600)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0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2체결부는 상측으로 돌출된 브라켓으로, 상기 제1헤더탱크(110)의 측면 일정 영역에 형성된 제2결합부(320)에 접하여 볼팅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제2결합부(320)의 y축으로 외측면에 상기 제2체결부(420)가 볼팅 결합될 때, 상기 제1헤더탱크(110)에 형성된 끼움 결합부(510)에 y축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제2헤더탱크(210)에 끼움 돌기부(520)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끼움 결합부(510) 및 끼움 돌기부(520)는, 상기 제2체결부(420) 및 제2결합부(320)가 볼팅 결합되기 전, 먼저 끼워져 상기 인터쿨러(2)가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제2체결부(420) 및 제2결합부(320) 간 볼트(600)삽입홀을 보다 간편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을 다시 한 번 정리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는 일측에 위치한 라디에이터(1)의 제1헤더탱크(110) 및 인터쿨러(2)의 제2헤더탱크(210)의 결합은 x, y 방향으로만 구속되며, 타측에 위치한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210)의 결합은 x, z 방향으로 모두 구속되도록 함으로써, 라디에이터(1) 또는 인터쿨러(2)의 코어가 열팽창에 의해 길이가 달라지더라도, 결합부위의 응력에 의해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는 일측은 끼움결합을 통해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타측은 스냅 핏 구조를 통해 결합됨에 따라, 조립이 간편하고, 조립 시 볼트(600)가 필요 없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좀 더 넓은 의미로 정의해 보자면,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와 인터쿨러의 결합구조 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열교환이 가능한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 간의 결합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두 개의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쿨링모듈에 있어서, 제1열교환기의 양측에 배치된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와, 제2열교환기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1결합부 및 제1체결부는 완전 고정되고, 상기 제2결합부 및 제2체결부는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열팽창 방향으로는 고정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1열교환기 또는 제2열교환기가 열팽창에 의해 길이가 달라지더라도,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 간의 결합부위에서 발생되는 응력에 의해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라디에이터
110: 제1헤더탱크 120: 제1튜브
130: 제1핀
2 : 인터쿨러
210: 제2헤더탱크 220: 제2튜브
230: 제2핀
310: 제1결합부 320: 제2결합부
321: 제2-1결합부 322: 제2-2결합부
331: 제1삽입홀 332: 제2삽입홀
410: 제1체결부 420: 제2체결부
421: 제2-1체결부 422: 제2-2체결부
431: 제1후크부 432: 제2후크부
441: 제1걸림부 442: 제2걸림부
451: 제1삽입돌기 452: 제2삽입돌기
510: 끼움 결합부 520: 끼움 돌기부
600: 볼트

Claims (11)

  1. 라디에이터(1)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헤더탱크(110)와, 상기 라디에이터(1)의 하측에 결합되는 인터쿨러(2)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헤더탱크(210)가 각각 동일한 측면에 위치되는 것끼리 결합되는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Y축 방향으로 일측에 위치한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210)의 결합은 x, y, z 방향에 대해 모두 구속되며,
    Y축 방향으로 타측에 위치한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210)의 결합은 x, z 방향에 대해 구속되고,
    일측의 제1헤더탱크(110)에 형성된 제1결합부(310)와, 제2헤더탱크(210)에 형성된 제1체결부(410)가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제1결합부(310)는 상기 제1헤더탱크(110)의 하부 영역에서 돌출되되, 하단이 y축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이며,
    상기 제1체결부(410)는 돌기형태의 상기 제1결합부(310)가 y축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제2헤더탱크(210)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되며, 홀이 형성된 고리 형태이고,
    상기 제1결합부(310)의 하단은 상기 인터쿨러(2)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결합부(310)의 하단 및 상기 제1체결부(410)의 홀은 상기 라디에이터(1)와 상기 인터쿨러(2)의 코어 방향인 y축으로 수평한 형상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라디에이터(1)의 코어 또는 상기 인터쿨러(2)의 코어가 팽창할 시 상기 제1결합부(310)가 제1체결부(4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y축 방향으로 수평하게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310) 및 제1체결부(410)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는
    타측의 제1헤더탱크(110)에 형성된 제2결합부(320)와, 제2헤더탱크(210)에 형성된 제2체결부(420)가 스냅 핏(snap-fit)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는
    상기 제2결합부(320)가, 서로 직각으로 배치된 제2-1결합부(321)와 제2-2결합부(3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체결부(420)가, 서로 직각으로 배치된 제2-1체결부(421)와 제2-2체결부(4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부(420)는
    상기 제2-1체결부(421)에 y축 방향으로 양측면이 외측으로 돌출된 제1후크부(431)가 형성되며,
    상기 제2-2체결부(422)에 x축 방향으로 양측면이 외측으로 돌출된 제2후크부(4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는
    타측의 제1헤더탱크(110)에 형성된 제2결합부(320)와, 제2헤더탱크(210)에 형성된 제2체결부(420)가 볼트(60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는
    상기 제2결합부(320)의 y축으로 외측면에 상기 제2체결부(420)가 볼팅 결합시,
    상기 제1헤더탱크(110)에 형성된 끼움 결합부(510)에 y축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제2헤더탱크(210)에 끼움 돌기부(52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
  11. 제1항의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와 상동한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쿨링 모듈에 있어서,
    제1항의 상기 라디에이터의 위치에 구비되는 제1열교환기의 양측에 배치되며, 제1항의 상기 제 1 결합부(310) 및 상기 제 2 결합부(320)의 형상 및 위치와 각각 상동한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및
    제1항의 상기 인터쿨러의 위치에 구비되는 제2열교환기의 양측에 배치되고, 제1항의 상기 제 1 체결부(410) 및 상기 제 2 체결부(420)의 형상 및 위치와 각각 상동하며,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KR1020160119024A 2016-09-19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 KR102666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024A KR102666310B1 (ko) 2016-09-19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024A KR102666310B1 (ko) 2016-09-19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108A KR20180031108A (ko) 2018-03-28
KR102666310B1 true KR102666310B1 (ko) 2024-05-17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227Y1 (ko) 2003-08-29 2003-11-12 한라공조주식회사 라디에이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227Y1 (ko) 2003-08-29 2003-11-12 한라공조주식회사 라디에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469B1 (ko) 이중 냉각제 루프를 가지는 배기가스 재순환 쿨러
US4702079A (en) Air-cooled type intercooler for a superchar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60146162A1 (en) Exhaust Gas Heat Exchanger and Method
JP2010249129A (ja) チャージエアクーラ及び冷却システム
US20070209783A1 (en) Heat exchanger with tube core, in particular for a superchar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976530B2 (en) Exhaust heat exchanger
KR102666310B1 (ko)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
JP5985387B2 (ja) 複合型熱交換器
AU2017208218B2 (en) Cooling module
KR101207839B1 (ko) 수랭식 인터쿨러 일체형 열교환기
KR101170689B1 (ko) 오일쿨러
KR20160009409A (ko) 통합형 열교환기
WO2014163559A1 (en) Radiator arrangement in a motor vehicle
KR20180031108A (ko)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결합구조
KR101328523B1 (ko) 인터쿨러 일체형 라디에이터
KR102498669B1 (ko) 쿨링모듈
US20150136369A1 (en) Egr cooler header casting
KR102605321B1 (ko) 열교환기
KR101474236B1 (ko) 오일쿨러
JP7239024B2 (ja) 車両の冷却装置
KR102096494B1 (ko) 인터쿨러
WO2009094637A2 (en) Air-cooled heat exchanger and blower assembly and method
US20140352938A1 (en) Egr cooler header design
KR20070023045A (ko) 흡기매니폴더와 배기가스재순환 파이프 연결구조
KR101279065B1 (ko) 인터쿨러 고정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