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882B1 -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 - Google Patents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882B1
KR102665882B1 KR1020210068966A KR20210068966A KR102665882B1 KR 102665882 B1 KR102665882 B1 KR 102665882B1 KR 1020210068966 A KR1020210068966 A KR 1020210068966A KR 20210068966 A KR20210068966 A KR 20210068966A KR 102665882 B1 KR102665882 B1 KR 102665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carbon
filter
emergency disast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0835A (ko
Inventor
박건아
김예솔
최예지
서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립
Priority to KR1020210068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882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8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reflective or luminous safet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41D13/1169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using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착용하는 마스크 형태로 제작되어 별도의 교육 없이도 착용할 수 있고, 코 날개와 턱 날개를 포함하여 마스크가 얼굴에 접촉되는 부위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마스크의 접착성을 높이고 외기의 공기가 필터부를 통하지 않고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내쉬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부를 마련하여 착용자와 마스크의 밀착도를 유지할 수 있고, 구조 요원이 마스크 착용자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코 날개 상부에 반사판을 배치하여 별다른 구조요청을 하지 않더라도 구조될 수 있는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Carbon-based portable mask for emergency disaster evacuation}
본 발명은 긴급재난 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장소에서 대피할 때 착용하는 마스크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긴급재난 사고, 특히 화재사고 발생 시 화재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유독가스에 의해 발생하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연기에 포함된 부유물을 걸러주고 특히 연소 시 발생되는 일산화탄소, VOCs와 같은 유독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긴급재난 대피용 마스크에 대한 것이다.
대구 지하철 화재 사고,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고 등 화재 사고가 증가하고 있고, 2018년 한해에만 4만건이 넘는 화재 사고가 발생하였을 만큼 화재 사고가 빈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지진, 태풍 등 긴급재난 사고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긴급재난 사고는 물리적으로 건물 등이 파손되는 1차적 피해에 의해 사망, 부상자가 발생하지만 1차적 피해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유출 등에 의해 화재 사고 등 2차적 피해가 발생하여 사망, 부상자가 커지게 된다.
특히 화재 사고는 공항, 지하철역, 경기장, 백화점, 마트 등 밀집된 공간에 많은 인원이 모여있기 때문에 밀집 공간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피해 규모가 커지는 특징이 있고, 화재에 의한 인명피해는 연소 시 발생하는 연기와 유독가스를 흡입하여 폐손상, 질식 등에 의해 발생한다.
유독가스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등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와 페인트 등 탄화수소 화합물이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VOCs가 포함되고 이러한 유독가스를 흡입함에 따라 질식에 의해 사망하거나 화재 사고로부터 대피할 수 있는 골든타임을 놓치게 되어 피해규모가 커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화재 발생 시 골든타임은 발화 지점만 연소하고 있는 형태로서 1분 남짓의 시간을 말하고 3분이 넘으면 연소 공간이 급격히 확대되어 피해규모가 커지게 되는데 화재 신고 후 소방차가 도착하는 시간이 통상적으로 5분이므로 화재 확대 후 화재가 진압되는 시간까지 유독가스를 극복하고 자력으로 화재 사고지에서 탈출하는 것이 관건이다. 종래의 긴급재난 사고 대피용 마스크는 정화통이 달려있는 형태이거나 착용이 복잡하므로 재난 사고 대피용으로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종래 화재 대피용 마스크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81100호(2016. 11. 24. 등록)에는 마스크 본체와 필터부 및 고정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형태의 필름형 투명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방진 또는 의료용 마스크로서 유독가스를 필터링하는 기능이 부족하고 마스크 외부의 공기가 필터부를 통과하지 않고 유입되는 구조로서 재난 사고 대피용 마스크로서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상생활에서 자주 착용하는 마스크 형태로 제작되어 별도의 교육 없이도 착용할 수 있고, 코 날개와 턱 날개를 포함하여 마스크가 얼굴에 접촉되는 부위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마스크의 접착성을 높이고 외기의 공기가 필터부를 통하지 않고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내쉬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부를 마련하여 착용자와 마스크의 밀착도를 유지하면서 호흡 용이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고, 구조 요원이 마스크 착용자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코 날개 상부에 반사판을 배치하여 별다른 구조요청 없이도 구조요원이 마스크 착용자를 구조할 수 있는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는 긴급 재난 시 대피용 휴대용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착용을 위한 귀걸이가 부착되고, 복수의 흡입구가 형성된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 형성된 흡입구 위치에 배치되어 흡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안의 유독가스를 필터링하는 촉매필터부와, 상기 촉매필터부를 통과한 공기에 잔류하고 있는 유독가스를 흡착하기 위해 촉매필터부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 상에 배치되는 탄소필터, 상기 탄소필터의 앞뒤에 공기 내에 포함된 먼지를 포함하는 부유물을 거르는 스크리닝 필터로 이루어진 탄소기반 필터부와, 상기 탄소기반 필터부의 배면에 결합되고,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도록 점착제가 미리 설정된 부위에 도포된 코 날개와 턱 날개로 이루어지는 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서 후면부까지 연통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는 후면부 안쪽의 공기를 전면부로 배출하되 전면부 외부의 공기가 후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에어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소기반 필터부의 배면에는 상기 코 날개와 턱 날개와 접촉되는 부분 이외에 착용자의 얼굴과 접촉되는 부분에 점착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부의 흡입구에는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를 포함하는 부유물을 거르기 위한 흡입구 스크리닝 필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부의 흡입구는 착용자의 얼굴을 중심으로 양측에 하나씩 마련되며, 상기 촉매필터부는 상기 양측에 마련된 흡입구의 위치에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촉매필터부는 Mn/Cu/O 기반의 금속 산화물 촉매 필터이고, 상기 탄소필터는 비표면적이 1,200 ~ 1,500m2/g이고, Micro+Meso 분율이 적어도 0.7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부, 촉매필터부, 탄소기반 필터부 및 후면부는 전면부의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모두 촉매필터부 및 탄소기반 필터부를 통과하도록 초음파 또는 열융착을 이용하여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 날개 상부에는 빛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착용하는 마스크 형태로 제작되어 별도의 교육 없이도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가 용이하고,
또한, 코 날개와 턱 날개를 포함하여 마스크가 얼굴에 접촉되는 부위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마스크의 접착성을 높이면서 외기의 공기가 마스크와 얼굴이 맞닿는 부분을 통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유독가스를 거르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또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내쉬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부를 마련하여 착용자와 마스크의 최초 착용시 밀착도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구조 요원이 마스크 착용자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코 날개 상부에 반사판을 배치하여 별다른 구조요청을 하지 않더라도 구조될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에서 유독가스가 필터링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 4b는 본 발명의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의 촉매필터부의 SEM이미지와 금속산화물 촉매필터에서 유독가스가 제거되는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에서 유독가스가 필터링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 4b는 본 발명의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의 촉매필터부의 SEM이미지와 금속산화물 촉매필터에서 유독가스가 제거되는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재를 포함해서 긴급재해 사고 발생 시 대피를 위해 유독가스로부터 인명을 보호하기 위해 정화통이 부착된 방독면, 두건 형태의 재난 대피용 마스크가 있지만 착용이 복잡하여 긴급한 상황에 대처하기가 어렵고 1분 1초가 급한 상황에서 정확하게 착용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며 부피가 클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가 높아서 충분한 수량을 비치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긴급재난 사고 발생 시 대피용 마스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는 긴급 재난 사고 발생 시 휴대할 수 있는 마스크 형태로서, 마스크로서 착용하기 위해 귀걸이가 부착되고, 마스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복수의 흡입구(110, 120)가 형성된 전면부(100)와, 전면부(100)에 형성된 흡입구(110, 120) 뒤쪽으로 배치되어 흡입구(110, 12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면서 유독가스를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촉매필터부(200)와, 촉매필터부(200)를 통과한 공기에 잔류하는 유독가스를 흡착하기 위해 촉매필터부(200)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 상에 배치되는 탄소필터(310), 상기 탄소필터의 앞뒤에 공기 내에 포함된 먼지를 포함하는 부유물을 거르는 스크리닝 필터(320, 330)로 이루어진 탄소기반 필터부(300)와, 탄소기반 필터부(300)의 배면에 결합되고,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도록 점착제가 미리 설정된 부위에 도포된 코 날개(410)와 턱 날개(420)로 이루어지는 후면부(400)와, 전면부(100)에서 후면부(400)까지 연통 형성된 배출구(500)와 배출구(500)에는 후면부(400) 안쪽의 공기를 전면부(100)로 배출하되 전면부(100) 외부의 공기가 후면부(400)로 유입되지 않도록 에어밸브(510a, 51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전면부(100)는 본 발명의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으로 마스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110, 120)가 마련되고 마스크 안쪽에 착용자의 날숨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00)가 마련된다. 또한, 마스크의 착용을 위해 양측에 귀걸이(130)가 마련된다. 전면부(100)는 마스크 외부의 공기와 마스크 안쪽을 구분하는 구성이고 마스크 외부의 공기 안에 포함된 유독가스를 거르기 위해 촉매필터부(200) 및 탄소기반 필터부(300)를 통해서만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전면부(100)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으로 된 부직포 또는 그 직물지 또는 이들의 멜트 블로운(melt blown)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KF94 정도인 평균 입자크기가 0.4um인 미세입자를 94% 이상 차단할 수 있도록 하거나 보건용 마스크와 달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흡입구(110, 120)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KF80 등급의 차단도를 갖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어떤 차단도를 갖도록 제작하든 유독가스가 흡입구(110, 120)가 아닌 전면부(100)를 통해 유입되지 않는 정도에서 사용환경, 흡입구(110, 1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저항을 고려하여 차단도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부(100)의 디자인과 색상은 본 발명의 마스크가 사용될 환경을 감안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구(110, 120)는 유독가스의 필터링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복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용 시간, 제조 원가, 공기 유입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전면부(100) 양측에 하나씩 2개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촉매필터부(200)는 촉매를 이용한 화학반응을 통해 일산화탄소와 같은 유독가스를 분해하는 구성이다. 촉매필터부(200)에는 역할이 다른 촉매를 적층구조로 배치하여 일산화탄소, 시안화수소, 염화수소, 이산화황, 벤젠, 톨루엔과 같은 유독가스를 제거하거나 분해하여 일정시간 동안 유독가스의 흡입을 막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유독가스의 종류에 따라 분해되거나 제거되는 시간의 차이는 있지만 질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일산화탄소의 경우 촉매 충진량이 5.0009g에서 200ppm의 일산화탄소가 제거되는데 65분이 소요되는데 이는 일산화탄소의 몰농도, 촉매필터부(200)를 통과하는 유량에 의해 차이가 있고, 일산화탄소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하는 시간은 촉매 충진량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또한, 도 4a, 4b에는 촉매필터부(200)의 SEM 이미지와 금속 촉매에 의해 일산화탄소가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이산화탄소로 변환되는 메카니즘이 도시되어 있는데 유독가스를 분해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활성탄소 기반의 섬유필터에 Mn/Cu/O 기반의 촉매를 코팅하여 공기의 유입 저항을 고려하여 제작할 수도 있지만 Mn/Cu/O 기반의 금속 산화물을 슬러지로 만든 후 수(1~5) mm의 지름을 갖는 원기둥 형태의 펠렛으로 제조한 후 마스크의 형태에 맞춰 판상으로 제작얇은 섬유 형태로 뽑은 후 마스크의 형태에 맞춰 판상으로 제작하면 촉매 충진량을 높이면서도 유독유도가스의 제거에 효율적이다.
촉매필터부(200)는 앞서 전면부(100)에 형성된 흡입구(110, 120)가 형성된 위치 뒤편에 배치하여 흡입구(110, 120)로 유입된 공기가 촉매필터부(200)로 바로 유입되도록 유로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흡입구(110, 120)가 전면부(100) 양측에 마련된다면 촉매필터부(200)도 흡입구(110, 120)과 맞춰 양측에 이격시켜 촉매필터부(200a, 200b)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의 마스크 중앙부에 착용자의 날숨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00)가 마련되므로 마스크의 중앙부에 촉매필터부(200)를 설치할 공간도 필요도 없으므로 흡입구(110, 120)의 위치에 맞춰 촉매필터부(200a, 200b)로 이격시켜 배치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탄소기반 필터부(300)는 촉매필터부(200)를 통과한 공기 내에 잔류한 유독가스를 흡착을 통해 제어하는 필터이다. 주로 촉매와의 반응성이 약한 VOCs를 흡착을 통해 제거하는 구성이다. 탄소기반 필터부(300)는 VOCs와 같은 유독가스를 물리적인 흡착을 통해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탄소필터(310)와 마스크 내로 유입된 공기 중의 미세먼지와 같은 부유물을 거르기 위한 스크리닝 필터(320, 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마스크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는 촉매를 통해 제거할 수 있거나 분해되는 유독가스 외에도 VOCs를 포함하여 촉매로 거를 수 없는 유독가스를 탄소필터(310)를 통해 물리적인 흡착을 통해 제거하지만 미세먼지와 같은 부유물은 탄소필터(310)를 통해 제거하기가 어려우므로 이러한 부유물은 스크리닝 필터(320, 330)를 통해 제거한다. 또한, 스크리닝 필터 중 일부(330)는 TPU 또는 PP, PC, 아크릴 등과 같은 필름으로 구성하여 전이금속을 포함하는 촉매필터부(200a, 200b)를 통해 걸러진 가스를 탄소기반 필터부(300)로 유도하고, 전면부(100)와 코 날개(410), 턱 날개(420) 사이의 가스 유입 방지, 마스크의 입체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촉매필터부(200)로 유입되는 공기를 일차적으로 걸러주는 스크리닝 필터(150)를 흡입구(110, 120)에 배치하여 촉매필터부(200)에서 유독가스를 제거하고 분해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탄소필터(310)은 비표면적이 1,200 ~ 1,750 m2/g의 범위이고, micro/(micro+meso pore) 분율이 적어도 0.7 이상인 것이 유독가스 제거효율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후면부(400)는 본 발명의 마스크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얼굴에 마스크가 밀착되도록 점착제가 도포된 코 날개(410)와 턱 날개(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코 날개(410)와 턱 날개(420)는 각각 착용자의 코 부분과 턱 부분에 밀착되는 구성으로 코 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코 날개(410) 중앙부에는 철선을 삽입하여 굴곡진 코 형상에 맞춰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턱 부분의 형상에 맞춰 미리 설정된 곡률의 직물지로 턱 날개(420)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 날개(410)와 턱 날개(420)는 모두 탄소기반 필터부(300)의 배면에 접착되는데 코 날개(410)와 턱 날개(420)의 일정 부위에는 착용자의 얼굴에 마스크를 밀착시켜 유독가스가 포함된 공기가 필터부를 통하지 않고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점착제가 도포된다. 하지만 착용자의 양쪽 뺨 부위에 코 날개(410)과 턱 날개(420) 사이에 밀착되지 않은 부위가 있을 수 있으므로 탄소기반 필터부(300)의 배면 중 일정 부위에 점착제로 도포하여 마스크와 착용자의 얼굴의 밀착도를 높이면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유독가스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가 도포된 부분에 이물이 붙어 점착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형지(140)을 부착한 후 착용시 이형지(140)을 제거한 후 착용하도록 하는 것이 점착력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코 날개(410) 상부에는 구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반사율이 높은 재질의 반사판(430)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판(430)의 반사도는 산업 및 교통 안전용 재귀반사시트의 기준인 300lux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소방관 등 구조요원이 마스크 착용자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배출구(500)는 착용자의 날숨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마스크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이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코 날개(410)와 턱 날개(420) 뿐만 아니라 탄소기반 필터부(300)의 일부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마스크와의 밀착도를 높이면서 밀착도를 유지함에 따라 착용자의 날숨을 배출하는 것이 어렵고 날숨에 의해 일시적으로 마스크 내부의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마스크와의 밀착도가 깨질 가능성이 있는데 밀착도 유지를 위해 마스크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다만, 배출구(500)에는 필터부가 배치될 필요가 없으므로 필터부가 없는데 이러한 구성의 배출구(500)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구(500)에는 마스크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면서 마스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밸브(510a, 510b)를 전면부(100)와 탄소기반 필터부(300) 배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의 착용 시 외부의 공기는 필터부를 통과하고 마스크 내부의 공기는 배출구(500)를 통해서만 배출되도록 제반 구성의 밀폐도를 유지하면서 제작하기 위해 초음파 또는 열융착을 이용한 융착을 통해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귀걸이(130)는 긴급 재난이 발생한 상황에서 마스크를 착용하여야 하므로 빠른 착용을 위해 과도한 힘이 가해질 가능성이 크고 이 때문에 파손될 가능성이 많으므로 귀걸이(130)는 파손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 여러 번 융착시키거나 귀걸이(130) 부분을 봉제하는 공정을 추가하여 통해 내구성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부 : 100 촉매필터부 : 200
탄소기반 필터부 : 300 후면부 : 400
배출구 : 500

Claims (7)

  1. 긴급 재난 시 대피용 휴대용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착용을 위한 귀걸이가 부착되고, 복수의 흡입구가 형성된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 형성된 흡입구 위치에 배치되어 흡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안의 유독가스를 필터링하는 촉매필터부와,
    상기 촉매필터부를 통과한 공기에 잔류하고 있는 유독가스를 흡착하기 위해 촉매필터부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 상에 배치되는 탄소필터, 상기 탄소필터의 앞뒤에 공기 내에 포함된 먼지를 포함하는 부유물을 거르는 스크리닝 필터로 이루어진 탄소기반 필터부와,
    상기 탄소기반 필터부의 배면에 결합되고,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도록 점착제가 미리 설정된 부위에 도포된 코 날개와 턱 날개로 이루어지는 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서 후면부까지 연통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는 후면부 안쪽의 공기를 전면부로 배출하되 전면부 외부의 공기가 후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에어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전면부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는 배출구의 양측에 착용자의 얼굴을 중심으로 양측에 하나씩 마련되며, 상기 촉매필터부는 상기 양측에 마련된 흡입구의 위치에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스크리닝 필터 중 일부는 TPU, PP, PC, 아크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필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는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
  2. 청구항 1에서,
    상기 탄소기반 필터부의 배면에는 상기 코 날개와 턱 날개와 접촉되는 부분 이외에 착용자의 얼굴과 접촉되는 부분에 점착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
  3. 청구항 1에서,
    상기 전면부의 흡입구에는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를 포함하는 부유물을 거르기 위한 흡입구 스크리닝 필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
  4. 삭제
  5. 청구항 1에서,
    상기 촉매필터부는 Mn/Cu/O 기반의 금속 산화물 촉매 필터이고,
    상기 탄소필터는 비표면적이 1,200 ~ 1,500m2/g이고, Micro+Meso 분율이 적어도 0.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
  6. 청구항 1에서,
    상기 전면부, 촉매필터부, 탄소기반 필터부 및 후면부는 전면부의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모두 촉매필터부 및 탄소기반 필터부를 통과하도록 열 및 초음파를 이용하여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
  7. 청구항 1에서,
    상기 코 날개 상부에는 빛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
KR1020210068966A 2021-05-28 2021-05-28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 KR102665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966A KR102665882B1 (ko) 2021-05-28 2021-05-28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966A KR102665882B1 (ko) 2021-05-28 2021-05-28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835A KR20220160835A (ko) 2022-12-06
KR102665882B1 true KR102665882B1 (ko) 2024-05-10

Family

ID=84407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966A KR102665882B1 (ko) 2021-05-28 2021-05-28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588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920A (ko) * 2015-06-17 2016-12-27 허태준 안면 부착형 긴급 대피용 마스크
KR20180058122A (ko) * 2016-11-23 2018-05-31 윤주영 비상탈출용 마스크
KR20210025381A (ko) * 2019-08-27 2021-03-09 (주)피노스토리 습식 가변형 다층 여과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835A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3464A (en) Filter respirator for protection against smoke and toxic gases
US5964218A (en) Face mask with back-up smoke inhalation protection and method of operation
JPH10504982A (ja) 緊急時に煙を吸入することを防止する方法及び装置
US20030075173A1 (en) Inhalation protection apparatuses
KR20150125905A (ko) 화재 대피용 방독·방진 마스크
KR101294333B1 (ko) 구난호흡기
KR101136999B1 (ko) 비상용 방독면
KR102665882B1 (ko)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
CN112221030A (zh) 一种多功能防护面具
CN106730455A (zh) 气囊式烟雾重复过滤呼吸装置
KR20220154589A (ko) 포켓용 실리콘 성형 방독면과 그 제조 방법
CN212548005U (zh) 一种过滤式防毒面具
WO1996011037A1 (en) A filtering device
KR102213155B1 (ko)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비상호흡장치
KR100452167B1 (ko) 개인휴대용 화재안전 방독가스 마스크
CN218685777U (zh) 一种安全系数高的呼吸面罩
KR102305104B1 (ko) 휴대용 구호용품
KR102398355B1 (ko) 사용의 편리성 및 탁월한 여과기능을 겸비한 방진 및 방독마스크
KR100598608B1 (ko) 휴대용 방진,방독 마스크
WO2006033597A1 (fr) Capuchon de protection
CN218280343U (zh) 一体化方便佩戴的面罩
CN208114954U (zh) 一种双管供给的消防逃生器
KR102122494B1 (ko) 골든타임 확보용 마스크
KR20240003490A (ko)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
CN220276148U (zh) 一种纳米给氧面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