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3490A -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 - Google Patents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490A
KR20240003490A KR1020220081087A KR20220081087A KR20240003490A KR 20240003490 A KR20240003490 A KR 20240003490A KR 1020220081087 A KR1020220081087 A KR 1020220081087A KR 20220081087 A KR20220081087 A KR 20220081087A KR 20240003490 A KR20240003490 A KR 20240003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member
cover
hous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아
조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립
박건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립, 박건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립
Priority to KR1020220081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3490A/ko
Publication of KR20240003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는, 흡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일측과 이에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되는 귀걸이, 상기 배출구에 제공되어 공기의 일방향에 대한 유동을 허용하는 밸브 모듈, 및 상기 흡입구에 제공되는 필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모듈은,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필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PORTABLE MASK FOR USING IN DISASTERS}
본 발명은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화재발생 사고 건수는 감소되지 않고 오히려 증가 일로에 있으며, 대형 화재 사고 소식도 매스컴에 빈번히 오르내리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재발생 시 골든타임은 발화 지점만 연소하고 있어 개인적 대응이 가능한 최적 시간으로써 단 1분이며, 3분이면 연소 공간의 급속한 확대로 연기 및 유독가스로 인한 인명 피해가 발생하며 개인적 화재 대응능력이 상실되고, 5분이면 소방차가 도착하나 이미 전소 단계에 진입하여 심각한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화재에 의한 인명피해는 대부분 연소 시 발생하는 연기와 유해가스 흡입에 의한 폐손상, 질식 및, 전신 독성 등을 들 수 있으며, 화재 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로는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이산화황(SO2), 염화수소(HCl), 시안화수소(HCN), 포름알데하이드(HCHO), 불화수소(HF), 브롬화수소(HBr), 일산화질소(NO), 이산화질소(NO2)와 같은 산성가스와 톨루엔, 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를 들 수 있다.
화재 시 발생하는 유해가스 중에서도 탄소화합물의 불완전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무색, 무미, 무취의 일산화탄소는 혈액 중 헤모글로빈과 강하게 결합하여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CO-Hb)을 형성한 후 해리되지 않아 헤모글로빈의 산소와의 결합을 저지하여 산소 공급을 차단하므로 특히 중요하며, 일산화탄소는 두통, 무력감, 졸음, 구토, 졸도, 혼수상태, 호흡곤란 등의 중독증상과 질식사를 초래하며, 시각 및 청각장애, 언어장애, 발작, 운동 장애 등과 같은 뇌 조직 및 신경계통 장애 후유증을 유발한다.
따라서, 화재에 대한 대책으로써 효율적인 화재감시 시스템 및 자동 소화설비의 적용, 그리고 준불연성 내지 불연성 마감재 사용을 법제화하는 것과 아울러, 화재에 의한 긴급 재난 발생 시 골든타임 또는 연소 공간 확대 타임 내에 질식이나 중독을 피하면서 안전한 장소로 신속하게 대피함에 도움을 주는 개인보호 장비로써의 대피용 마스크의 비치가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종래 대피용 마스크는 직결식 또는 격리식 정화통이 연결되고, 흡배기 밸브, 안면부, 머리끈이 형성된 전면형 면체 또는 반면형 면체와 안경의 조합체 형태로 되어 있어, 착용이 번거롭고 착용에 시간이 소요되며 사용 시에는 정화통의 위아래 마개를 개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그 부피 및 무게가 크기 때문에 휴대 및 비치(보관)에 어려움이 있으며,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어, 교통수단이나 지하역사, 공공시설물, 일반 상업용 건물, 선박 등에 이러한 대피용 마스크를 다수 비치한다는 것은 투자 대비 효율성이 만족스럽지 못하여 널리 적용되지 못하고 있음이 현실이다.
따라서, 착용성, 경박단소 특성, 고성능, 기능성, 경제성 및 안정성을 갖추며 기존의 정화통을 구비하지 않고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에 부합하는 정화통(필터모듈)을 갖춘 대피용 마스크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화재 재난 시 발생하는 대표적 유독가스인 일산화탄소 등과 같은 유독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함과 아울러 방연함으로써, 호흡곤란이나 혼미로 인한 판단력 저하, 또는 질식을 피하면서 골든 타임 내에 안전한 장소로 대피함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는, 흡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일측과 이에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되는 귀걸이, 상기 배출구에 제공되어 공기의 일방향에 대한 유동을 허용하는 밸브 모듈, 및 상기 흡입구에 제공되는 필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모듈은,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필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는, 상기 필터 유닛이, 공기 중의 먼지 및 수증기를 포함하는 부유물을 필터링할 수 있는 제1 필터부재, 공기 중의 일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가스를 필터링할 수 있는 제2 필터부재, 및 공기 중의 상기 가스를 분해할 수 있는 제3 필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는, 상기 필터 유닛이 상기 제1 필터부재, 상기 제2 필터부재, 상기 제3 필터부재, 상기 제2 필터부재 및 상기 제1 필터부재가 차례로 적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는, 상기 제1 필터부재가 SMMS 부직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부재가 직경이 2nm 이하인 기공이 형성된 활성탄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필터부재가 Mn, Cu 및 O 기반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는, 상기 필터 하우징이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홀이 상보적으로 마련되어 서로 결합 가능한 제1 필터 하우징 및 제2 필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 하우징 및 상기 제2 필터 하우징에 각각 형성된 제1 리브부 및 제2 리브부가 상기 필터 유닛의 일측과 타측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는, 상기 커버가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제공되어 착용자의 얼굴에 접촉되는 상부 날개부 및 하부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를 쉽게 착용할 수 있고, 유독가스를 효과적으로 필터링하여, 화재 재난 시 안전한 장소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필터 하우징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필터 하우징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제1 필터 하우징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제2 필터 하우징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제2 필터 하우징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필터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1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10)는 별도의 정화통을 조립하지 않고도, 일산화탄소, 시안화수소, 염화수소, 이산화황, 사이클로핵세인, 이크롤레인, 벤젠, 톨루엔과 같은 유독가스가 포함된 공기의 유동을 제한적으로 허용함으로써 화재와 같은 긴급 상황에서 안전한 장소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마스크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10)는 커버(100), 귀걸이(200), 밸브 모듈(300) 및 필터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00)는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10)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착용자의 코와 입을 포함한 얼굴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100)는 착용자의 편안한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입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커버(100)는 전면부(110)와, 상부 날개부(120) 및 하부 날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흡입구(111) 및 배출구(112)는 전면부(110)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흡입구(111) 및 배출구(112)의 배치는 전면부(11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착용자의 편의나 전면부(110)와 상부 날개부(120) 및 하부 날개부(130)의 형태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상부 날개부(120)는 전면부(1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착용자가 마스크(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콧대 부분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부 날개부(120)에서 착용자의 콧대 부분에 밀착되는 영역에는 굴곡진 콧대 부분에 맞춰 변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철선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날개부(130)는 전면부(1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착용자가 마스크(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턱 부분에 밀착될 수 있다.
전면부(110)와 상부 날개부(120) 및 하부 날개부(130)를 포함하여 입체로 형성되는 커버(100)는 상부 날개부(120) 및 하부 날개부(130)가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된 상태로 공기의 흡입을 차단하고, 전면부(110)는 착용자의 얼굴과 이격된 상태로, 착용자의 편안한 착용 상태, 예를 들어 대화가 가능하고 편리하게 호흡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부 날개부(120)와 하부 날개부(130)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상부 날개부(120) 및 하부 날개부(130)와 착용자의 얼굴 사이의 밀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착용자가 마스크(10)를 착용하기 전 점착제가 도포된 부분에 이물이 붙어 점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형지가 부착될 수 있다. 이형지는 마스크(10) 착용 시에 점착제가 도포된 부분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커버(100)는 착용자가 휴대형 마스크(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얼굴이 위치하는 내측과 이에 대응하는 외측 사이에서 미세 입자를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커버(100)는 통기성이 없고, 난연소재로서 내산화 및 내열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빛에 대한 재귀반사(반사) 성능을 함께 가지는 방염과 반사가 동시에 되는 부직포(원단)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상황에 따라서 다른 특성을 갖는 부직포 및 직물, 필름 형태의 면상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마스크(10)의 착용을 위해 커버(100)의 일측과 타측에 귀걸이(200)가 마련될 수 있다. 귀걸이(200)는 커버(100)와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또는, 귀걸이(200)는 커버(100)와 별도로 제조된 후 커버(10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마스크(10) 착용 시나 착용 중에 커버(100)와 귀걸이(200)의 연결 부분이 파손되지 않도록, 귀걸이(200)를 커버(100)에 여러 번 융착하거나 봉제하는 공정을 추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귀걸이(200)는 귀에 걸 수 있도록 커버(100)에 부착된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마스크(10)를 착용자의 얼굴에 고정 유지시키기 위한 구성임을 고려하여, 피부(예를 들어 착용자의 볼)에 직접 부착될 수 있는 점착성이 있는 물질로서 커버(100)에 도포되는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커버(100)에는 커버(10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어, 착용자가 휴대형 마스크(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얼굴이 위치하는 내측과 이에 대향하는 외측 사이에 대한 공기의 유동을 허용할 수 있다. 복수의 개구 중 일부는, 착용자의 들숨에 의하여 공기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흡입되는 흡입구(111)가 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착용자의 날숨에 의한 공기가 내측에서 외측으로 배출되는 배출구(112)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커버(100)의 전면부(110)에는 3개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3개의 개구 중에서 2개의 개구는 흡입구(111)가 되고, 나머지 하나는 배출구(112)가 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흡입구(111) 사이에 하나의 배출구(112)가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111)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배출구(112)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1)와 배출구(112)의 개수와 배치 및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커버(100)의 형태와 공기 유동의 효율성 및 착용자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변형될 수 있다.
배출구(112)에는 밸브 모듈(300)이 마련될 수 있다. 밸브 모듈(300)은 공기가 내측에서 외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되, 공기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밸브 모듈(300)은 착용자의 날숨에 의한 공기의 배출을 허용함으로써, 착용자의 날숨에 의해 커버(100)의 내측에서 양압이 형성되어 커버(100)와 착용자의 얼굴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밸브 모듈(300)은 커버(100)의 배출구(112)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밸브 모듈(300)은 밸브 하우징(310) 및 밸브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하우징(310)은 밸브 모듈(300)의 외관을 형성하고, 밸브 부재(320)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밸브 하우징(31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밸브 하우징(310)은 제1 밸브 하우징(311) 및 제2 밸브 하우징(312)으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밸브 하우징(311) 및 제2 밸브 하우징(312)으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밸브 하우징(310)은, 제1 밸브 하우징(311)이 커버(100)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2 밸브 하우징(312)이 커버(100)의 외측에 위치하여, 커버(1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조립될 수 있다.
밸브 모듈(300)은 커버(100)의 배출구(112)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밸브 하우징(310)은 배출구(112)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밸브 하우징(310)을 관통하는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밸브 부재(320)는 밸브 하우징(310)에 수용되어, 커버(100)에 대한 공기의 유동을 일방향으로만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부재(320)는 착용자의 날숨에 의한 커버(1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의 공기의 이동을 허용하되, 착용자의 들숨에 의한 커버(10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공기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밸브 부재(320)는 실리콘 재질의 막으로 형성되어 밸브 하우징(310)을 관통하는 영역을 덮을 수 있고, 커버(100)의 내측에서 형성되는 양압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면서 밸브 하우징(310)을 관통하는 영역을 개방할 수 있다.
흡입구(111)에는 필터 모듈(400)이 마련될 수 있다. 필터 모듈(400)은 마스크(10) 외측에서 내측으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부유물과 가스를 필터링할 수 있다. 부유물은 공기 중의 먼지와 연소로 인해 생성되는 이물질 및 수증기를 포함할 수 있고, 가스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일산화탄소, 시안화수소, 염화수소, 이산화황, 벤젠, 톨루엔과 같은 유독가스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필터 모듈(400)은 커버(100)의 흡입구(111)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 모듈(400)은 필터 하우징(410) 및 필터 유닛(420)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하우징(410)은 필터 모듈(400)의 외관을 형성하고, 필터 유닛(420)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필터 하우징(410)은 필터의 성능발현에 필요한 내부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두께가 20mm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터 하우징(410)의 두께에 대응하는 내부공간의 높이가 20mm 이상으로 확보될 수 있다. 필터 하우징(41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필터 하우징(411) 및 제2 필터 하우징(412)으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필터 하우징(410)이 제1 필터 하우징(411) 및 제2 필터 하우징(412)으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경우, 제1 필터 하우징(411)은 커버(100)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2 필터 하우징(412)은 커버(100)의 외측에 위치하여, 커버(1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조립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1 필터 하우징(411)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1 필터 하우징(411)에 대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제1 필터 하우징(411)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의 제2 필터 하우징(412)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제2 필터 하우징(412)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필터 하우징(411)은 제1 베이스부(411a), 제1 측벽부(411b) 및 제1 리브부(41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411a)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 가장자리에 의해 규정되는 관통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커버의 흡입구에 필터 하우징(410)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1 베이스부(411a)의 관통영역에 의하여 커버의 외측과 내측에 대한 연통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411a)는 커버의 내측면과 밀착가능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411a)는 후술하는 제2 필터 하우징(412)의 제2 베이스부(412a)와 커버를 사이에 두고 밀착되는 부분으로, 제1 필터 하우징(411)과 제2 필터 하우징(412)의 용이한 결합을 위하여 제공되는 결합홀(411d)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벽부(411b)는 제1 베이스부(411a)의 내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제1 베이스부(411a)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1 측벽부(411b)는 후술하는 제2 필터 하우징(412)의 제2 측벽부(412b)와 밀착되는 부분으로, 제1 필터 하우징(411)과 제2 필터 하우징(412)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제공되는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해당 수단은 제1 측벽부(411b)에서 소정의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후크(411e)일 수 있다. 후크(411e)는 제1 측벽부(411b)에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브부(411c)는 제1 측벽부(411b)가 규정하는 공간에서 격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브부(411c)는 제1 베이스부(411a)의 관통영역에 의한 연통 상태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필터 하우징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필터 유닛(4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 리브부(411c)는 필터 유닛(420)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는 구성을 갖출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5를 참조하면, 제1 리브부(411c)는 돌출부(411ca)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11ca)는 제2 리브부(412c)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411ca)는 제1 리브부(411c)의 평면에 대한 고저(高低)를 형성할 수 있다. 돌출부(411ca)는 제1 리브부(411c)에서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복수로 형성된 돌출부(411ca)는 가로 세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리브부(411c)와 제2 리브부(412c)사이에 개재되는 필터 유닛(420)는 돌출부(411ca)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돌출부(411ca) 이외의 영역은 필터 유닛(420)을 통하는 공기의 유로를 확장 형성함으로써, 필터 유닛(420)을 통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필터 하우징(412)은 제2 베이스부(412a), 제2 측벽부(412b) 및 제2 리브부(41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412a)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 가장자리에 의해 규정되는 관통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커버의 흡입구에 필터 하우징(410)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2 베이스부(412a)의 관통영역에 의하여 커버의 외측과 내측에 대한 연통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412a)는 커버의 외측면과 밀착가능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412a)는 제1 베이스부(411a)에 형성된 결합홀(411d)과 결합가능한 결합돌기(412d)가 결합홀(411d)과 상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필터 하우징(411)과 제2 필터 하우징(412)이 결합할 때, 제1 베이스부(411a)와 제2 베이스부(412a)가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결합돌기(412d)가 결합홀(411d)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홀(411d) 및 결합돌기(412d)와 관련하여, 제1 베이스부(411a)에 결합돌기(412d)가 형성되고, 제2 베이스부(412a)에 결합홀(411d)이 형성되는 실시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다.
제2 측벽부(412b)는 제2 베이스부(412a)의 내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제2 베이스부(412a)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2 측벽부(412b)는 제1 측벽부(411b)에 형성된 후크(411e)와 결합가능한 후크 홈(미도시)이 후크(411e)와 상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필터 하우징(411)과 제2 필터 하우징(412)이 결합할 때, 제1 측벽부(411b)와 제2 측벽부(412b)가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후크(411e)가 후크 홈에 삽입 체결수 있다. 후크(411e) 및 후크 홈과 관련하여, 제1 측벽부(411b)에 후크 홈이 형성되고, 제2 측벽부(412b)에 후크(411e)가 형성되는 실시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다.
제2 리브부(412c)는 제2 측벽부(412b)가 규정하는 공간에서 격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리브부(412c)는 제1 리브부(411c)와 대향하여 제1 리브부(411c)가 지지하는 필터 유닛(420)의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을 지지할 수 있다. 필터 유닛(420)은 제1 리브부(411c)와 제2 리브부(412c)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필터 유닛(420)의 분해 사시도로서, 필터 유닛(420)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이 도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필터 유닛(420)은 제1 필터부재(421), 제2 필터부재(422) 및 제3 필터부재(4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부재(421)는 공기 중의 부유물을 필터링할 수 있다. 공기 중의 부유물은 제1 필터부재(421)에 흡착될 수 있다. 부유물은 공기 중의 먼지와 연소로 인해 생성되는 이물질 및 수증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부재(421)는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필터부재(421)는 스펀본드와 멜트브로잉의 혼합 부직포, 바람직하게는 SMMS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SMMS 부직포는 spunbonded / meltblown / meltblown / spunbonded의 복층구조로 형성된 부직포로서, 스펀본드와 멜트브로잉의 특성을 동시에 발현할 수 있다. 제1 필터부재(421)는 필터유닛을 통과하는 공기 중에서 상대적으로 큰 입자를 가지는 부유물을 일차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제2 필터부재(422)는 부유물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 예를 들어 공기 중의 유독가스 및/또는 수증기 등을 필터링할 수 있다. 공기 중의 유독가스 및/또는 수증기 입자는 제2 필터부재(422)에 흡착될 수 있다. 유독가스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이산화황, 염화수소, 시안화수소, 사이클로핵세인, 아크롤레인, 포름알데하이드, 불화수소, 브롬화수소, 일산화질소, 이산화질소,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필터부재(422)는 직경이 2nm 이하인 기공이 형성된 활성탄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난연소재로서, 내화, 내산화 및 내열성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3 필터부재(423)는 공기 중의 유독가스를 필터링할 수 있다. 제3 필터부재(423)는 촉매를 이용한 화학반응을 통해 유독가스를 분해 및/또는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3 필터부재(423)는 Mn, Cu 및 O 기반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필터부재(423)는 활성탄소 기반의 섬유필터에 Mn/Cu/O 기반의 촉매를 코팅하여 공기의 유입 저항을 고려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는, Mn/Cu/O 기반의 금속 산화물을 슬러지로 만들고, 이를 수 mm, 바람직하게는 1~5 mm의 지름을 갖는 원기둥 형태의 펠렛으로 제조한 후 마스크의 형태에 맞춰 판상으로 제작하거나, 얇은 섬유 형태로 뽑은 후 마스크의 형태에 맞춰 판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는, 5~15mm 바람직하게는 0.5~1.5mm의 직경을 갖는 구형 홉칼라이트를 마스크의 형태에 맞춰 판상으로 제적하여, 촉매 충진량을 높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필터 유닛(420)은 제1 필터부재(421), 제2 필터부재(422), 제3 필터부재(423), 제2 필터부재(422) 및 제1 필터부재(421)가 차례로 적층 형성될 수 있다.
커버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공기는 제1 필터부재(421), 제2 필터부재(422), 제3 필터부재(423), 제2 필터부재(422) 및 제1 필터부재(421)를 통과하여 커버의 흡입부를 통해 유동할 수 있다.
제1 필터부재(421)는 필터 유닛(420)을 통과하는 공기 중 비교적 입자가 큰 먼지, 이물질 및 수증기 등을 포함하는 부유물을 일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필터부재(422)에 부유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2 필터부재(422)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필터부재(422)는 제1 필터부재(421)을 통해 필터링된 공기 중에 포함된 유독가스 및/또는 수증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제3 필터부재(423)는 역할이 다른 촉매를 적층 구조로 배치하여 유독가스를 분해, 제거하여 일정시간 동안 유독가스의 흡입을 막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유독가스의 종류에 따라 분해되거나 제거되는 시간의 차이는 있지만 질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일산화탄소의 경우 촉매 충진량이 5.0009g에서 200ppm의 일산화탄소가 제거되는데 65분가량 소요될 수 있다. 이는 일산화탄소의 몰농도, 제3 필터부재(423)를 통과하는 유량에 의해 차이가 있고, 일산화탄소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하는 시간은 촉매 충진량에 의해 주로 결정될 수 있다. 제3 필터부재(423)는 충분한 성능확보를 위하여 14mm 이상의 두께, 28g 이상의 중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필터부재(423)를 통과한 공기 중에서, 촉매와의 반응성이 약한 VOCs는 제2 필터부재(422)를 통과하면서 흡착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필터부재(422)를 통과한 공기는 제1 필터부재(421)를 통과하면서 앞선 필터부재에서 발생되는 분말과 같은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한편, 커버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공기는 제1 필터부재(421), 제2 필터부재(422), 제3 필터부재(423), 제2 필터부재(422), 제1 필터부재(411)를 차례로 통과할 수 있는데, 제3 필터부재(423)를 기준으로 내측에 배치되는 제1 필터부재(421) 및 제2 필터부재(422)는 착용자의 날숨에 포함된 수증기 및/또는 VOCs를 필터링함으로써, 제3 필터부재(423)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마스크
100: 커버
200: 귀걸이
300: 필터 모듈
400: 밸브 모듈

Claims (5)

  1. 흡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일측과 이에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되는 귀걸이;
    상기 배출구에 제공되어 공기의 일방향에 대한 유동을 허용하는 밸브 모듈; 및
    상기 흡입구에 제공되는 필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모듈은,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은,
    공기 중의 먼지 및 수증기를 포함하는 부유물을 필터링할 수 있는 제1 필터부재;
    공기 중의 일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가스를 필터링할 수 있는 제2 필터부재; 및
    공기 중의 상기 가스를 분해할 수 있는 제3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제1 필터부재, 상기 제2 필터부재, 상기 제3 필터부재, 상기 제2 필터부재 및 상기 제1 필터부재가 차례로 적층 형성되는,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재는 SMMS 부직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부재는 직경이 2nm 이하인 기공이 형성된 활성탄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필터부재는 Mn, Cu 및 O 기반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은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홀이 상보적으로 마련되어 서로 결합 가능한 제1 필터 하우징 및 제2 필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 하우징 및 상기 제2 필터 하우징에 각각 형성된 제1 리브부 및 제2 리브부가 상기 필터 유닛의 일측과 타측을 지지하는,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
KR1020220081087A 2022-07-01 2022-07-01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 KR202400034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087A KR20240003490A (ko) 2022-07-01 2022-07-01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087A KR20240003490A (ko) 2022-07-01 2022-07-01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490A true KR20240003490A (ko) 2024-01-09

Family

ID=89538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087A KR20240003490A (ko) 2022-07-01 2022-07-01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34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3464A (en) Filter respirator for protection against smoke and toxic gases
US6761169B2 (en) Bi/multi-directional filter cartridge and filter platform for mounting the cartridge thereon
JPH10504982A (ja) 緊急時に煙を吸入することを防止する方法及び装置
KR102173429B1 (ko) 산소 증강형 미세 먼지 제거 마스크
WO2003035181A1 (en) Inhalation protection apparatuses
KR100579691B1 (ko) 휴대용 다용도 방연/방독 마스크
KR20150125905A (ko) 화재 대피용 방독·방진 마스크
WO2004108048A2 (en) Protective mask
KR101294333B1 (ko) 구난호흡기
KR20240003490A (ko) 재난용 휴대형 마스크
CN112221030A (zh) 一种多功能防护面具
CN215841290U (zh) 新型过滤式消防自救呼吸器
KR100932838B1 (ko) 화재용 공기 정화 호흡 장치
CN218572666U (zh) 一种化学氧多功能呼吸器
GB2105177A (en) A head and face protecting hood
TW201615239A (zh) 頭巾形防毒面罩
KR102449970B1 (ko) 흡착 필터 구조 및 흡착 필터 구조가 적용된 헬멧
CN212548005U (zh) 一种过滤式防毒面具
KR102665882B1 (ko) 긴급재난 대피용 휴대형 탄소기반 마스크
CN113304410A (zh) 一种高层逃生辅助装置
JP2003062095A (ja) 緊急用防煙マスク
KR100452167B1 (ko) 개인휴대용 화재안전 방독가스 마스크
KR102108209B1 (ko) 흡배기 구조를 가지는 마스크
CN215461534U (zh) 一种可防粉尘颗粒的防毒面罩
KR102347033B1 (ko) 보편적 형태의 긴급 재난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