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461B1 - Structure for preventing movement of opposed type sliding doors - Google Patents

Structure for preventing movement of opposed type sliding do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461B1
KR102665461B1 KR1020190150058A KR20190150058A KR102665461B1 KR 102665461 B1 KR102665461 B1 KR 102665461B1 KR 1020190150058 A KR1020190150058 A KR 1020190150058A KR 20190150058 A KR20190150058 A KR 20190150058A KR 102665461 B1 KR102665461 B1 KR 102665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wer rail
guide roller
rail
sli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0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62179A (en
Inventor
윤형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0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461B1/en
Publication of KR20210062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1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4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 E05D15/10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구조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센터 레일에 로워 레일만을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장착 차량에서 도어가 차체의 높이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도어를 지지할 수 있는 유동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구조는 차체의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된 로워 레일; 상기 로워 레일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로워 레일 롤러부; 상기 로워 레일 롤러부 및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로워 레일 스윙암; 및 상기 도어에 연결된 일단과 상기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름 이동 가능한 타단을 갖는 가이드 롤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롤러부의 타단은 상기 플로어 하면과 접촉하여 구름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를 차체의 높이 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w prevention structure for an opposing sliding door, and more specifically, a flow prevention structure that can stably support the door while preventing the door from mov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in a vehicle equipped with a sliding door equipped with only a lower rail on the center rail. It is about prevention structu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flow prevention structure of the oppos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rail moun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part of the car body; a lower rail roller unit movably connected to the lower rail; a lower rail swing arm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rail roller portion and the door; and a guide roller uni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oor and the other end capable of roll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Here, the other end of the guide roller part contacts the bottom of the floor and supports the door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while rolling.

Description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구조{STRUCTURE FOR PREVENTING MOVEMENT OF OPPOSED TYPE SLIDING DOORS}{STRUCTURE FOR PREVENTING MOVEMENT OF OPPOSED TYPE SLIDING DOORS}

본 발명은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구조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센터 레일과 로워 레일만을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장착 차량에서 도어가 차체의 높이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도어를 지지할 수 있는 유동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w prevention structure for an opposing sliding door, and more specifically, a flow prevention structure that can stably support the door while preventing the door from mov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in a vehicle equipped with a sliding door equipped only with a center rail and a lower rail. It is about prevention structur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나 그 동반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차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실을 개폐하기 위해 차체에는 차실 개폐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Generally, a vehicle has a compartment of a predetermined size in which a driver or his accompanying passengers can ride, and a compartment opening/closing door is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to open and close the compartment.

차실 개폐 도어 중 슬라이딩 방식의 경우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슬라이딩 도어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에 설치된 리어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하고, 프론트 슬라이딩 도어와 리어 슬라이딩 도어는 통상적으로 차체 또는 도어에 장착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다.Among the cabin opening and closing doors, the sliding type is provided with a front sliding door installed at the fro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rear sliding door installed at the rea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front sliding door and the rear sliding door are usually installed on the car body or It is installed to move along a rail mounted on the door.

그런데 종래의 슬라이딩 방식의 차실 개폐 도어는,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 도어의 상부와 중부 및 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3개의 레일(어퍼레일, 센터 레일, 로워 레일)과 그 관련 부품들이 필요하여, 차량의 중량과 부품수를 증가시키고, 차량의 디자인 자유도를 저하시키는 결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liding type cabin opening and closing door requires three rails (upper rail, center rail, and lower rail) and related parts that support the upper, middle, and lower parts of the door, respectively, in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so the vehicle It had the drawback of increasing the weight and number of parts and reducing the freedom of design of the vehicle.

이에 따라 센터 레일 및 로워 레일만으로 슬라이딩 도어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2 레일식 차량용 도어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인 한국 등록특허 제10-1684536호(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는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된 도어 레일(센터 레일에 해당됨)과 차체에 장착된 차체 레일(로워 레일에 해당됨)이 구비되고, 도어 레일에 결합된 중앙 슬라이더 및 차체 레일에 결합된 하부 슬라이더가 이동하면서 슬라이딩 도어를 개폐시키고 있다.Accordingly, a two-rail vehicle door device is being developed that supports the sliding door with only the center rail and lower rail to enable sliding movement. For example, the prior art, Korean Patent No. 10-1684536 (Sliding Door Device for Vehicles), is provided with a door rail (corresponding to the center rail) mounted on the sliding door and a body rail (corresponding to the lower rail) mounted on the car body. , the central slider coupled to the door rail and the lower slider coupled to the car body rail move to open and close the sliding door.

그러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에 서는 슬라이딩 도어를 지지하는 지지점이 센터 레일과 중앙 슬라이더 간의 접촉지점(A)과 로워 레일과 로워 레일 롤러부 간의 접촉지점(B)으로 상하방향으로 2개 형성되고, 이러한 접촉점을 잇는 가상의 축(X)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슬라이딩 도어의 지지점이 가상의 축(X) 상에만 형성되므로 슬라이딩 도어 자체의 하중이 작용하면 그 하중 방향(가상의 축(X) 방향)으로는 접촉지점(A)이 하나 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슬라이딩 도어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없다.However,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in the sli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support point supporting the sliding door is the contact point (A) between the center rail and the central slider and the contact point (A) between the lower rail and the lower rail roller portion. B), two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roblem arises in rotation around the virtual axis (X) connecting these contact points.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point of the sliding door is formed only on the virtual axis (X), when the load of the sliding door itself acts, only one contact point (A)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load (the direction of the virtual axis (X)). Therefore, the sliding door cannot be supported stably.

한국 등록특허 제10-1684536호Korean Patent No. 10-168453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센터 레일과 로워 레일만을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장착 차량에서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 중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발명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presents a new form of invention that can prevent the sliding door from moving during the opening or closing operation of the sliding door in a vehicle equipped with a sliding door equipped only with a center rail and a lower rail. This i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구조는 차체의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된 로워 레일; 상기 로워 레일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로워 레일 롤러부; 상기 로워 레일 롤러부 및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로워 레일 스윙암; 및 상기 도어에 연결된 일단과 상기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름 이동 가능한 타단을 갖는 가이드 롤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롤러부의 타단은 상기 플로어 하면과 접촉하여 구름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를 차체의 높이 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flow prevention structure of the oppos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rail moun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part of the car body; a lower rail roller unit movably connected to the lower rail; a lower rail swing arm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rail roller portion and the door; and a guide roller uni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oor and the other end capable of roll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Here, the other end of the guide roller part contacts the bottom of the floor and supports the door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while rolling.

여기서, 상기 가이드 롤러부는, 일단이 상기 도어와 고정 연결되어 지지되는 가이드 지지부재; 및 상기 가이드 지지부재의 타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가이드 롤러;를 포함한다.Here, the guide roller unit includes a guide support member whose one end is fixedly connected to the door and supported; and a guide roll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guide support member.

또한, 상기 가이드 지지부재는 상기 도어와 연결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서 굴곡 연장되고 일단에 상기 가이드 롤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한다.Additionally, the guide support member includes a first member connected to the door, and a second member bent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member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guide roller at one en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cond member is b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closed.

한편, 상기 가이드 롤러의 회전축은 상기 가이드 롤러부가 상기 도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하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rotation axis of the guide roller is formed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when the guide roller unit is mounted on the door.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롤러부는 상기 로워 레일 스윙암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로워 레일 스윙암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guide roller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rail swing arm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lower rail swing arm.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로어 하면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롤러부의 이동 경로는 상기 로워 레일 스윙암의 회전 상태 또는 상기 로워 레일 롤러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경사진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ovement path of the guide roller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includes an inclined path depending on the rotation state of the lower rail swing arm or the movement state of the lower rail roller por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의 중부에 형성된 센터 레일 및 상기 센터 레일에 연결된 센터 레일 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지지점은, 상기 센터 레일과 상기 센터 레일 롤러부의 접촉지점과, 상기 로워 레일과 상기 로워 레일 롤러부의 접촉지점과, 상기 가이드 롤러부와 상기 차체의 접촉지점으로, 상기 도어가 3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further includes a center rail formed in the middle of the door and a center rail roller portion connected to the center rail, and the support point supporting the door includes the center rail and the center rail roller portion. The door is supported at three points, including a contact point, a contact point between the lower rail and the lower rail roller portion, and a contact point between the guide roller portion and the vehicle body.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occur.

첫째, 도어에 아래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져도 가이드 롤러가 플로어의 하면에서 반력을 발생시키므로 도어가 차체의 높이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된다.First,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oor in a downward direction, the guide roller generates a reaction force at the bottom of the floor, preventing the door from mov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둘째, 가이드 롤러부의 구름 이동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레일 등 별도의 부재를 추가할 필요 없이 종래 차량의 구성인 플로어를 이용하므로 원가 절감, 부품 수 감소 등의 효과를 가진다.Second, since the floor, which is a component of a conventional vehicle, is used to form the rolling movement path of the guide roller unit without the need to add additional members such as rails,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costs and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셋째, 도어가 열리거나 닫히는 동작 중에도 접촉지점들(A, B, C)이 유지되므로 도어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Third, the contact points (A, B, C) are maintained even during the door opening or closing operation, so the door is stably support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센터 레일과 로워 레일만으로 구성된 차량에서 슬라이딩 도어를 지지하는 지지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슬라이딩 도어가 회전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구조가 차량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유동 방지구조에서 슬라이딩 도어를 제거한 차체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차체와 연결될 슬라이딩 도어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플로어에 형성된 가이드 롤러부의 구름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S-S'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어에 작용하는 외력(F)과 가이드 롤러부에 의한 반력(F')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에 열린 상태로 이동하는 동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구조의 상태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구조를 통해 슬라이딩 도어를 지지하는 3개의 지지점이 나타난 도면이다.
도 11은 슬라이딩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구조를 통해 슬라이딩 도어를 지지하는 3개의 지지점이 나타난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support point for supporting a sliding door in a vehicle consisting of only a center rail and a lower rail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door of FIG. 1 is rotatable.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ow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vehicle.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car body with the sliding door removed from the flow prevention structure of Figure 3.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a sliding door to be connected to the car body of Figure 4.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guide roll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rolling movement path of a guide roller formed on the floor.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 along SS' of FIG. 3, showing the external force (F) acting on the door and the reaction force (F') due to the guide roller unit.
9A to 9D are diagrams showing changes in the state of the flow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sliding door moves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three support points supporting the sliding door through a flow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liding door is closed.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three support points supporting the sliding door through the flow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liding door is ope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대향형 슬라이딩의 도어의 유동 방지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structure for preventing movement of an oppos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terms or words us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with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구조가 차량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유동 방지구조에서 슬라이딩 도어를 제거한 차체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차체와 연결될 슬라이딩 도어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flow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vehicle,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vehicle body with the sliding door removed from the flow prevention structure of Figure 3, and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sliding door is removed.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sliding door to be connected to the car body of Figure 4, and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guide roll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는 센터 레일(20)(차량의 중부에 형성된 레일)과 로워 레일(10)(차량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만 있을 뿐 어퍼 레일(30)(차량의 상부에 형성된 레일)이 없다. 여기서, 센터 레일(20)은 슬라이딩 도어(1)(이하, '도어'라 함)에 형성되고, 로워 레일(10)은 차체(2)에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ly a center rail 20 (a rail formed in the middle of the vehicle) and a lower rail 10 (a rail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and an upper rail 30. ) (rail formed on the top of the vehicle) is missing. Here, the center rail 20 is formed on the sliding door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or'), and the lower rail 10 is formed on the car body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구조(이하,'유동 방지구조'라 함)는 도어(1)의 하부에 적용된다. 도어(1)는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구조는 프론트 도어 또는 리어 도어에 적용된다. 따라서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에 각각 적용되는 유동 방지구조의 구성 및 작동원리는 같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유동 방지구조가 프론트 도어 또는 리어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1)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As shown in FIG. 3, the anti-flow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ti-flow structure') of an oppos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door 1. The door 1 consists of a front door and a rear door, and the anti-flow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front door or rear door. Therefor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ng principle of the anti-flow structure applied to the front door and the rear door are the same, but in this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ase where the anti-flow structure is applied to either the front door or the rear door (1) is taken as an example. Listen and explain.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구조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차체(2)와 도어(1)를 분리하여 설명한다.Meanwhile, in this specification, the vehicle body 2 and the door 1 are described separately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the configuration of the flow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차체(2)의 중부에는 센터 마운팅 브라켓(21)이 고정 연결된다. 센터 레일 스윙암(23)의 일단은 센터 마운팅 브라켓(21)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센터 레일 스윙암(23)의 타단은 센터 레일 롤러부(25)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Referring to Figure 4, a center mounting bracket 21 is fixedly connected to the central part of the car body 2. One end of the center rail swing arm 2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enter mounting bracket 21, and the other end of the center rail swing arm 2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enter rail roller portion 2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 레일(10)은 차체(2)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직선형 레일이다. 차체(2)의 하부에는 플로어(40)가 형성되는데, 플로어(40)의 하부에 차량의 폭 방향으로 움푹 들어간 플로어 공간(42)(도 7 참조)으로 로워 레일(10)이 형성된다. 따라서, 로워 레일(10)의 상부에는 플로어(40)의 하면이 위치한다. 로워 레일(10)의 일측에는 래크(12)가 형성된다.The lower rai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lower part of the car body 2 and is a straight rail. A floor 40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body 2, and a lower rail 10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loor 40 as a floor space 42 (see FIG. 7) that is reces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ccordingly,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40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rail 10. A rack 1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rail 10.

도 5를 참조하면, 도어(1)의 중부에는 센터 레일(20)이 차체(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직선형 레일이다. 센터 레일(20)에는 센터 레일 롤러부(25)가 구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5, a center rail 20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door 1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r body 2 and is a straight rail. A center rail roller portion 25 is connected to the center rail 20 so as to be capable of rolling.

도어(1)의 하부에는 로워 마운팅 브라켓(11)이 고정 연결된다. 로워 레일 스윙암(53)의 일단은 로워 마운팅 브라켓(11)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로워 레일 스윙암(53)의 타단은 로워 레일 롤러부(6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로워 레일 롤러부(60)의 일측에는 피니언(62)이 형성된다. 로워 레일 롤러부(60)는 로워 레일(10)과 구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이때 피니언(62)과 래크(12)가 기어 연결된다. 로워 레일 롤러부(60)가 로워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피니언(62)과 래크(12)의 연결 및 감속기(64)의 동작에 따라 로워 레일 스윙암(53)의 회전이 제한된다. 도어(1)가 움직이면 로워 레일 스윙암(53)은 로워 레일 롤러부(60)를 기준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고, 로워 레일(10)을 따라 직선 운동이 가능하다.A lower mounting bracket 11 is fixed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door 1. One end of the lower rail swing arm 5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mounting bracket 11,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rail swing arm 5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rail roller portion 60. A pinion 6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rail roller portion 60. The lower rail roller unit 60 is movably connected to the lower rail 10, and at this time, the pinion 62 and the rack 12 are gear-connected. While the lower rail roller unit 60 moves along the lower rail 10, the rotation of the lower rail swing arm 53 is restrict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pinion 62 and the rack 12 and the operation of the reducer 64. . When the door (1) moves, the lower rail swing arm (53) is capable of rotational movement based on the lower rail roller portion (60) and linear movement along the lower rail (10).

로워 레일 스윙암(53)의 일측에는 가이드 롤러부(7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부(70)의 일단은 로워 마운팅 브라켓(11)에 고정 연결되고, 가이드 롤러부(70)의 타단은 차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A guide roller portion 7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rail swing arm 53. One end of the guide roller unit 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ly connected to the lower mounting bracket 11, and the other end of the guide roller unit 70 is capable of rolling movem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2. is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롤러부(70)는 로워 마운팅 브라켓(11)에 고정 연결되나, 가이드 롤러부(70)는 별도의 마운팅 브라켓(미도시)을 갖고 도어(1)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roller unit 70 is fixedly connected to the lower mounting bracket 11, but the guide roller unit 70 may be fixedly connected to the door 1 with a separate mounting bracket (not shown). there is.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부(70)는 가이드 지지부재(71)와 가이드 롤러(7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guide roller unit 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support member 71 and a guide roller 76.

가이드 지지부재(71)는 도어(1)에 차체의 높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지지하는 부재로써, 제1 부재(72)와 제2 부재(74)를 포함한다. 제1 부재(74)의 일단은 도어(1)와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굴곡 연장되어 제2 부재(74)와 연결된다. 가이드 롤러부(70)는 도어(1)와 함께 로워 레일(10)을 따라 이동한다.The guide support member 71 is a member that supports the force acting on the door 1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includes a first member 72 and a second member 74. One end of the first member 74 is fixedly connected to the door 1, and the other end is bent and extended to connect to the second member 74. The guide roller unit 70 moves along the lower rail 10 together with the door 1.

제1 부재 중심축(73)과 제2 부재 중심축(75)은 일정한 각도(angle)를 갖는다. 이러한 각도(angle)는 도어(1)와 차체(2)와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차량 마다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2 부재(74)의 타단에는 가이드 롤러(76)가 회전축(7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가이드 롤러(76)의 회전축(77)은 가이드 지지부재(71)가 도어(1)에 고정 연결된 상태에서 도어(1)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member central axis 73 and the second member central axis 75 have a constant angle. This angle can be set in various ways for each vehicle, taking into account the distance between the door 1 and the car body 2, etc. A guide roller 76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ember 74 about the rotation axis 77. At this time, the rotation axis 77 of the guide roller 76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with the door 1 while the guide support member 71 is fixedly connected to the door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부재(74)는 도어(1)가 닫히는 방향으로 제1 부재(72)에서 굴곡 연장된다. 다만, 제2 부재(74)의 굴곡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second member 7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first member 7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1 is closed. However,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member 74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set in various way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지지부재(71)는 로워 레일 스윙암(53)의 상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로워 레일 스윙암(53)의 회전을 가이드 지지부재(71)가 방해하지 않는다. 다만, 가이드 지지부재(71)는 도어(1)의 다양한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The guide support member 7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rail swing arm 53. Therefore, the guide support member 71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lower rail swing arm 53. However, the guide support member 71 may be connected to various positions on the door 1.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 지지부재(71)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지지부재(71)는 일자형으로 형성되거나, 제1 부재(72) 또는 제2 부재(74)가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support member 71 may have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guide support member 71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or may include two or more first members 72 or two second members 74.

도 7은 플로어에 형성된 가이드 롤러부의 구름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어(1) 및 로워 레일 롤러부(60)의 일부 구성을 생략하였다.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rolling movement path of a guide roller formed on the floor. Meanwhile, in FIG. 7 , some configurations of the door 1 and the lower rail roller unit 60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로워 레일(10)은 플로어 공간(42)에 형성된다. 도어(1)가 로워 레일(10)에 연결되면 가이드 롤러부(70)는 플로어 공간(42) 내부에 위치한다. 이때 가이드 롤러(76)의 회전축(77)은 가이드 롤러부(70)가 도어(1)에 장착된 상태에서 플로어(40)의 하면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가이드 롤러(76)는 플로어(40)의 하면에 닿으면서 회전이 가능하다. 즉, 플로어(40)의 하면에는 가이드 롤러부(70)가 이동하는 구름 이동 경로(P)가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lower rail 10 is formed in the floor space 42. When the door 1 is connected to the lower rail 10, the guide roller unit 70 is located inside the floor space 42. At this time, the rotation axis 77 of the guide roller 76 is formed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40 when the guide roller part 70 is mounted on the door 1, and the guide roller 76 is attached to the floor 40. It is possible to rotate while touching the bottom of the. That is, a rolling movement path P along which the guide roller unit 70 moves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40.

구체적으로, 가이드 롤러부(70)가 도어(1)에 고정 연결된 상태에서 도어(1)가 로워 레일 스윙암(53)을 통해 회전 운동을 하거나 로워 레일 롤러부(60)를 통해 로워 레일(10)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하면, 가이드 롤러(76)는 플로어(40)의 하면에 닿으면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76)의 회전축(77)은 도어(1)와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구름 이동 경로(P)는 경사진 경로를 포함하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구름 이동 경로(P)는 회전축(77)의 형성 위치, 로워 레일 스윙암(53)의 회전 운동 또는 로워 레일 롤러부(60)의 직선 운동에 따라 다양한 경로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while the guide roller unit 70 is fixedly connected to the door 1, the door 1 rotates through the lower rail swing arm 53 or rotates through the lower rail roller unit 60. ), the guide roller 76 moves while touching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40.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 axis 77 of the guide roller 7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oor 1, so the rolling movement path P includes an inclined path.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ing movement path (P) takes various paths depending on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rotation axis 77,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ower rail swing arm 53, or the linear movement of the lower rail roller unit 60. You can have it.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롤러부(70)의 구름 이동 경로(P)를 형성하기 위해 레일 등 별도의 부재를 추가할 필요 없이 종래 차량의 구성인 플로어(40)를 이용하므로 원가 절감, 부품 수 감소 등의 효과를 가진다.Therefo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r 40, which is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vehicle, is used without the need to add a separate member such as a rail to form the rolling movement path P of the guide roller unit 70, thereby reducing the cost. It has effects such as saving and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도 8은 도 3의 S-S'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어에 작용하는 외력(F)과 가이드 롤러부에 의한 반력(F')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S-S' of FIG. 3, showing the external force (F) acting on the door and the reaction force (F') generated by the guide roller unit.

도 8을 참조하면, 도어(1)에 아래 방향으로 외력(F)이 작용하면 가이드 롤러(76)는 로워 레일 롤러부(60)에 형성된 지지점을 중심으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위 방향으로 이동할 염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롤러(76)는 플로어(40)의 하면에 닿게 되고, 가이드 롤러(76)와 플로어(40)의 하면 간 접촉 지점에는 외력(F)과 동일한 반력(F')이 발생되므로 가이드 롤러(76)가 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결국, 도어(1)가 차체의 높이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8, when an external force F acts on the door 1 in a downward direction, the guide roller 76 may move upward based on the principle of a lever centered on a support point formed on the lower rail roller portion 60. There is. Howe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roller 76 touches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40, and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guide roller 76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40 has a reaction force (F) equal to the external force (F). ') is generated, so the guide roller 76 is restricted from moving upward. Ultimately, the door 1 is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도 9a 내지 도 9d는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에 열린 상태로 이동하는 동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구조의 상태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9A to 9D are diagrams showing changes in the state of the flow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sliding door moves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도 9a는 도어(1)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부(70)는 플로어 공간(42) 내부에 있고, 로워 레일 스윙암(53)은 차체(2) 방향으로 접힌 상태에 있다.Figure 9a shows the door 1 in a closed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roller unit 70 is inside the floor space 42, and the lower rail swing arm 53 is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2. It is in

도 9b는 도어(1)가 열리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어(1)가 a 방향 으로 움직인 후 열리기 시작하면, 로워 레일 스윙암(53)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워 레일(10)을 타고 b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가이드 롤러부(70)는 로워 레일 스윙암(53)의 운동에 따라 플로어(40) 하면에서 c 방향으로 이동한다.Figure 9b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door (1) begins to open. When the door (1) moves in direction a and begins to open, the lower rail swing arm (53)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moves the lower rail (10). Ride and move in direction b. At this time, the guide roller unit 70 moves in the c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4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ower rail swing arm 53.

도 9c는 도어(1)가 어느 정도 열린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로워 레일 스윙암(53)의 회전이 계속 중이라면 가이드 롤러부(70)는 도 9B에 도시된 c 방향으로 계속 이동한다. 이때, 가이드 롤러(76)는 플로어 외측(41)으로 이동한다.FIG. 9C shows a state in which the door 1 is opened to some extent. If the rotation of the lower rail swing arm 53 continues, the guide roller unit 70 continues to move in the c direction shown in FIG. 9B. At this time, the guide roller 76 moves to the outside of the floor 41.

도 9d는 도어(1)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로워 레일 스윙암(53)은 완전히 펼친 상태에 있고, 로워 레일(10)의 끝단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부재(74)는 제1 부재(72)에 대해 도어(1)가 닫히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내외부 공간으로 이동하는 물체가 가이드 롤러부(70)와 간섭하는 것이 최소화된다.Figure 9d shows the door 1 fully open, and the lower rail swing arm 53 is fully extended and located at the end of the lower rail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ember 74 is b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1 is closed with respect to the first member 72, so that an object moving into the interior or exterior space of the vehicle moves through the guide roller unit 70. Interference with is minimized.

도 10은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구조를 통해 슬라이딩 도어를 지지하는 3개의 지지점이 나타난 도면이고, 도 11은 슬라이딩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구조를 통해 슬라이딩 도어를 지지하는 3개의 지지점이 나타난 도면이다.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three support points supporting the sliding door through a flow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liding door is closed, and Figure 11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liding door is open. This is a drawing showing the three support points that support the sliding door through the anti-flow structure.

도 10을 참조하면, 도어(1)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를 지지하는 지지점은, 로워 레일(10)과 로워 레일 롤러부(60) 간의 접촉지점 A, 센터 레일(20)과 센터 레일 롤러부(25) 간의 접촉지점 B 및 가이드 롤러부(70)와 플로어(40) 간의 접촉지점C 로 이러한 3개의 지지점들(A, B, C)은 대략 삼각형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도어(1)는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도어(1)가 유동하는 것이 방지된다.Referring to FIG. 10, the support points that support the door (1) when the door (1) is closed are the contact point A between the lower rail (10) and the lower rail roller portion (60), the center rail (20), and the center rail. These three support points (A, B, C), which are the contact point B between the roller units 25 and the contact point C between the guide roller unit 70 and the floor 40, approximately form a triangle. Accordingly, the door 1 is stably supported and the door 1 is prevented from moving.

도 11을 참조하면, 도어(1)가 열린 상태에서도 접촉지점 A, 접촉지점 B 및 접촉지점 C는 삼각형을 이루면서 유지된다. 구체적으로는, 접촉지점 A는 로워 레일(10)에 형성되고, 접촉지점 C는 플로어(40)에 형성되므로 접촉지점 A와 접촉지점C는 일정 거리 떨어져 있다.Referring to FIG. 11, even when the door 1 is open, the contact point A, contact point B, and contact point C are maintained while forming a triangle. Specifically, the contact point A is formed on the lower rail 10, and the contact point C is formed on the floor 40, so the contact point A and the contact point C are separated by a certain distance.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1)가 열리거나 닫히는 동작 중에도 접촉지점들(A, B, C)이 유지되므로 도어(1)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Ultimate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points A, B, and C are maintained even during the opening or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1, so that the door 1 is stably suppor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e of the claims.

1 : 도어 2 : 차체
10 : 로워 레일 11 : 로워 마운팅 브라켓
12 : 래크 20 : 센터 레일
21 : 센터 마운팅 브라켓 23 : 센터 레일 스윙암
25 : 센터 레일 롤러부 30 : 어퍼 레일
40 : 플로어 41 : 플로어 외측
42 : 플로어 공간 53 : 로워 레일 스윙암
60 : 로워 레일 롤러부 62 : 피니언
64 : 감속기 70 : 가이드 롤러부
71 : 가이드 지지부재 72 : 제1 부재
73 : 제1 부재 중심축 74 : 제2 부재
75 : 제2 부재 중심축 76 : 가이드 롤러
77 : 회전축 P : 구름 이동 경로
F : 외력 F' : 반력
1: Door 2: Body
10: Lower rail 11: Lower mounting bracket
12: Rack 20: Center rail
21: Center mounting bracket 23: Center rail swing arm
25: Center rail roller part 30: Upper rail
40: Floor 41: Outside the floor
42: Floor space 53: Lower rail swing arm
60: Lower rail roller part 62: Pinion
64: Reducer 70: Guide roller unit
71: guide support member 72: first member
73: first member central axis 74: second member
75: Second member central axis 76: Guide roller
77: Rotation axis P: Cloud movement path
F : External force F' : Reaction force

Claims (8)

차체의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된 로워 레일;
상기 로워 레일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로워 레일 롤러부;
상기 로워 레일 롤러부 및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로워 레일 스윙암; 및
상기 도어에 연결된 일단과 상기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름 이동 가능한 타단을 갖는 가이드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부의 타단은 상기 차체의 플로어 하면과 접촉하여 구름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를 차체의 높이 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의 도어의 유동 방지구조.
A lower rail mounted along the length of the lower part of the car body;
a lower rail roller unit movably connected to the lower rail;
a lower rail swing arm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rail roller portion and the door; and
A guide roller uni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oor and the other end capable of roll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e other end of the guide roller unit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and supports the door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while roll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부는,
일단이 상기 도어와 고정 연결되어 지지되는 가이드 지지부재; 및
상기 가이드 지지부재의 타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대향형 슬라이딩의 도어의 유동 방지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roller part,
a guide support member whose one end is fixedly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door; and
A guide roll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guide support member. A structure for preventing movement of an opposing sliding door including a guide roll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지지부재는 상기 도어와 연결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서 굴곡 연장되고 일단에 상기 가이드 롤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대향형 슬라이딩의 도어의 유동 방지구조.
According to claim 2,
The guide support member includes a first member connected to the door, and a second member bent and extended from the first member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guide roller at one en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구조.
According to claim 3,
The second member is a flow prevention structure of an opposing sliding d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member is b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clos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의 회전축은 상기 가이드 롤러부가 상기 도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플로어의 하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구조.
According to claim 2,
A movement prevention structure for an opposing sliding d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axis of the guide roller is formed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when the guide roller unit is mounted on the do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부는 상기 로워 레일 스윙암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로워 레일 스윙암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flow prevention structure of an opposing sliding d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roller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rail swing arm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lower rail swing ar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하면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롤러부의 이동 경로는 상기 로워 레일 스윙암의 회전 상태 또는 상기 로워 레일 롤러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경사진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movement path of the guide roller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includes an inclined path depending on the rotation state of the lower rail swing arm or the movement state of the lower rail roller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중부에 형성된 센터 레일 및 상기 센터 레일에 연결된 센터 레일 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지지점은, 상기 센터 레일과 상기 센터 레일 롤러부의 접촉지점과, 상기 로워 레일과 상기 로워 레일 롤러부의 접촉지점과, 상기 가이드 롤러부와 상기 차체의 접촉지점으로, 상기 도어가 3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구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enter rail formed in the middle of the door and a center rail roller portion connected to the center rail,
The support points supporting the door are a contact point between the center rail and the center rail roller part, a contact point between the lower rail and the lower rail roller part, and a contact point between the guide roller part and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door has three A flow prevention structure for an opposing sliding door characterized by point support.
KR1020190150058A 2019-11-21 2019-11-21 Structure for preventing movement of opposed type sliding doors KR1026654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058A KR102665461B1 (en) 2019-11-21 2019-11-21 Structure for preventing movement of opposed type sliding do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058A KR102665461B1 (en) 2019-11-21 2019-11-21 Structure for preventing movement of opposed type sliding do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179A KR20210062179A (en) 2021-05-31
KR102665461B1 true KR102665461B1 (en) 2024-05-13

Family

ID=76150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058A KR102665461B1 (en) 2019-11-21 2019-11-21 Structure for preventing movement of opposed type sliding do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546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55014A1 (en) 2001-05-04 2002-11-0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liding door arrangement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536B1 (en) 2015-06-02 2016-12-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Sliding door devic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55014A1 (en) 2001-05-04 2002-11-0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liding door arrangement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179A (en) 202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3543B1 (en) Structure for preventing movement of opposed type sliding door
US11384580B2 (en) Dual lower rail structure for opposite sliding doors
US11365577B2 (en) Spindle structure for preventing sliding doors from swaying
KR20210069304A (en) Structure for preventing movement of opposed type sliding doors
US11313163B2 (en) Link type structure for preventing opposite sliding doors from swaying
JP2016084078A (en) Vehicle door structure
CN115003530B (en) Roller assembly for sliding vehicle door
US10480232B2 (en) Sliding door structure
KR20200144435A (en) Structure for improving breakaway rigidity of opposed sliding door
US4617756A (en) Swingable sliding door for a motor vehicle utilizing a swing arm mounted on the body of the car
KR102665461B1 (en) Structure for preventing movement of opposed type sliding doors
CN112477562A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vehicle and vehicle
KR20210152622A (en) Shield structure of side sill in vehicle having sliding door
US11585141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sliding door for vehicle from swaying
KR102622841B1 (en) Structure for preventing movement of sliding doors
JP3776802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KR20220050437A (en) Structure for preventing movement of sliding doors
KR102603222B1 (en) Lower rail double guide structure of opposed type sliding doors
KR20210074886A (en) Structure of x-type guide bar for preventing movement of opposed type sliding doors
CN212450222U (en) Elevator car door storage structure
CN114771585B (en) Variable-rotation central skirt plate pushing structure
JP2006070596A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sliding door for vehicle
JP2007321394A (en) Structure of sliding door for vehicle
JPS5821773Y2 (en) Automotive sliding door holding device
KR20030000513A (en) A Flap Door 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of B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