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311B1 - Fido 거래인증 및 did 단말인증 기반의 nft 디지털 굿즈 거래 시스템 - Google Patents

Fido 거래인증 및 did 단말인증 기반의 nft 디지털 굿즈 거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311B1
KR102665311B1 KR1020210101781A KR20210101781A KR102665311B1 KR 102665311 B1 KR102665311 B1 KR 102665311B1 KR 1020210101781 A KR1020210101781 A KR 1020210101781A KR 20210101781 A KR20210101781 A KR 20210101781A KR 102665311 B1 KR102665311 B1 KR 102665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ods
digital
fido
nft
digital go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0125A (ko
Inventor
강민구
고대화
Original Assignee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코탑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코탑미디어 filed Critical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01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311B1/ko
Publication of KR20230020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서 영상 부분 별로 대본 조각, 디지털 소품, 배우 사진, OST 음원, 스크립트, 촬영지 영상, 이스터 에그 등을 패키지화하여 디지털 굿즈를 구성하고 생체기반 DID를 통한 거래단말 인증, FIDO를 통한 거래인증, NFT에 의한 진품 보장을 통해 디지털 굿즈를 신뢰성있게 콘텐츠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디지털 굿즈 거래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라마나 영화 등에서 파생되어 나오는 디지털 굿즈의 유통을 신뢰도있게 달성하고 디지털 굿즈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디지털 굿즈의 거래를 활성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NFT 기반의 디지털 굿즈 개발과 유통을 통한 드라마 디지털 PPL의 활성화를 통하여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제작 및 시청자 전달에 기여하는 콘텐츠 제작자와 방송채널 사업자의 수익성을 재고할 수 있고, 디지털 굿즈의 가치 보존을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지털 영상 콘텐츠와 관련하여 메타버스 등과 같은 가상세계 연계와 콘텐츠 촬영지의 XR 체험센터 및 지역체험 센터에서 콘텐츠에 포함된 퀘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촬영지 탐방의 다양한 액티비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Description

FIDO 거래인증 및 DID 단말인증 기반의 NFT 디지털 굿즈 거래 시스템 {NFT digital goods transaction system by use of FIDO transaction certification and DID device certifica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영상 콘텐츠(예: 드라마, 영화, 유튜브, 뮤직비디오, 틱톡)에서 파생되는 디지털 굿즈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서 영상 부분 별로 대본 조각, 디지털 소품, 배우 사진, OST 음원, 스크립트, 촬영지 영상, 이스터 에그 등을 패키지화하여 디지털 굿즈를 구성하고 생체기반 DID를 통한 거래단말 인증, FIDO를 통한 거래인증, NFT에 의한 진품 보장을 통해 디지털 굿즈를 신뢰성있게 콘텐츠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FIDO 거래인증 및 DID 단말인증 기반의 NFT 디지털 굿즈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중 문화를 소비하는 방식이 최근들어 많이 변화하고 있는데, 특정 스타에 열광하는 팬덤 문화는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팬덤 문화에서는 팬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스타를 디자인한 각종 물건인 굿즈(goods)를 소비하는 경향이 강하고, 이 굿즈 판매는 엔터테인먼트 사업의 중요한 수익원이다.
과거에는 '굿즈'라고 하면 스마트폰 케이스, 열쇠고리, 티셔츠, 머그컵 등과 같은 유형의 사물을 의미하였는데, 최근에는 디지털 굿즈(digital goods)의 개념도 확산되고 있다. 특히, JYP엔터테인먼트나 스튜디오드래곤 등과 같은 엔터 사업자들이 음악 앨범이나 드라마 속의 인상적인 소품이나 포스터 등에 디자인 작업을 추가해 디지털 굿즈를 제작하여 판매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굿즈의 거래는 최근들어 본격적으로 연구되는 기술로서 다양한 분야에 다양한 형태로 시도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78574호(2021.07.12) "연예인 굿즈 유통 양성화를 위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71749호(2021.06.25) "라이브 언택트 스튜디오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85688호(2020.03.02) "멀티채널 네트워크 기반의 퍼블리시티권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33065호(2021.03.23) "셀럽의 맞춤형 쇼핑몰 플랫폼을 위한 서버"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영상 콘텐츠(예: 드라마, 영화, 유튜브, 틱톡)에서 파생되는 디지털 굿즈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서 영상 부분 별로 대본 조각, 디지털 소품, 배우 사진, OST 음원, 스크립트, 촬영지 영상, 이스터 에그 등을 패키지화하여 디지털 굿즈를 구성하고 생체기반 DID를 통한 거래단말 인증, FIDO를 통한 거래인증, NFT에 의한 진품 보장을 통해 디지털 굿즈를 신뢰성있게 콘텐츠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FIDO 거래인증 및 DID 단말인증 기반의 NFT 디지털 굿즈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들 사항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른 해결 과제가 이해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서 파생되는 디지털 굿즈를 FIDO 거래인증, DID 단말인증, NFT 진품검증 기반으로 거래하기 위한 디지털 굿즈 거래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FIDO 거래인증 및 DID 단말인증 기반의 NFT 디지털 굿즈 거래 시스템은, 디지털 영상 콘텐츠와 관련하여 영상 부분 별로 대본 조각 데이터와 스토리 조각 데이터의 조합을 다수 저장 관리하는 굿즈 관리 서버(100);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400)과 인터페이스하고,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단말(400)의 굿즈 요청에 대응하여 굿즈 관리 서버(100)와의 협조 동작을 통해 해당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 관련된 대본 조각 데이터와 스토리 조각 데이터를 패키징하여 디지털 굿즈를 생성하고, 디지털 굿즈를 NFT 블록체인(610)에 투입 처리하여 디지털 굿즈에 대한 진품 속성을 설정하고 FIDO 거래인증 및 DID 단말인증을 통해 디지털 굿즈에 대한 사용자 단말(400)과의 거래를 처리하는 굿즈 서비스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굿즈 관리 서버(100)는, 다수의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 대하여 다수의 영상 부분 별로 시나리오 대본의 해당 대본 조각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대본조각 데이터베이스(110); 디지털 영상 콘텐츠와 관련하여 영상 부분 별로 해당 영상 부분에 관련된 디지털 소품, 배우 사진, OST 음원, 스크립트, 촬영지 영상, 이스터 에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스토리 조각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스토리조각 데이터베이스(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굿즈 서비스 서버(200)는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재생 중인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굿즈 요청이 수신되면 OTT 서비스 서버(300)와의 협조 동작을 통해 그 재생 중인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서 굿즈 요청과 관련된 영상 부분을 식별하고, 굿즈 관리 서버(100)와의 협조 동작을 통해 그 식별된 영상 부분에 대응하는 대본 조각 데이터와 스토리 조각 데이터를 획득하고, 그 획득한 조각 데이터와 스토리 조각 데이터를 패키징하여 디지털 굿즈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400)로 응답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굿즈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그 재생 중인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 대한 굿즈 요청을 수신하는 굿즈 요청 수신부(210); 굿즈 관리 서버(100)와의 협조 동작을 통해 그 재생 중인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 관련된 하나이상의 굿즈 항목을 포함한 굿즈 리스트를 식별하는 굿즈 목록 식별부(220); 그 식별한 굿즈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400)로 응답 제시하고 이중에서 특정 굿즈에 대한 선택 입력을 제공받는 디지털 굿즈 선택부(230); 그 선택된 굿즈에 대응하는 대본 조각 데이터와 스토리 조각 데이터를 굿즈 관리 서버(100)와의 협조 동작을 통해 획득하고, 그 획득한 대본 조각 데이터와 스토리 조각 데이터를 패키징하여 디지털 굿즈를 생성하는 디지털 굿즈 생성부(240); 그 생성된 디지털 굿즈를 NFT 블록체인(610)에 투입 처리하여 디지털 굿즈에 대한 진품 속성을 설정하는 NFT 굿즈 처리부(250); 디지털 굿즈의 거래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400)에 대한 DID 단말인증을 수행하는 DID 단말인증부(260); 디지털 굿즈의 거래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400)과 FIDO 거래인증를 수행하는 FIDO 거래인증부(270); 디지털 굿즈를 사용자 단말(400)로 제공하는 디지털 굿즈 제공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굿즈 목록 식별부(220)는, OTT 서비스 서버(300)와의 협조 동작을 통해 그 재생 중인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서 굿즈 요청과 관련된 영상 부분을 식별하고, 굿즈 관리 서버(100)와의 협조 동작을 통해 그 식별된 영상 부분에 관련된 하나이상의 굿즈 항목을 포함한 굿즈 리스트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이상과 같은 FIDO 거래인증 및 DID 단말인증 기반의 NFT 디지털 굿즈 거래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저장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라마나 영화 등에서 파생되어 나오는 디지털 굿즈의 유통을 신뢰도있게 달성하고 디지털 굿즈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디지털 굿즈의 거래를 활성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NFT 기반의 디지털 굿즈 개발과 유통을 통한 드라마 디지털 PPL의 활성화를 통하여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제작 및 시청자 전달에 기여하는 콘텐츠 제작자와 방송채널 사업자의 수익성을 재고할 수 있고, 디지털 굿즈의 가치 보존을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영상 콘텐츠와 관련하여 메타버스 등과 같은 가상세계 연계와 콘텐츠 촬영지의 XR 체험센터 및 지역체험 센터에서 콘텐츠에 포함된 퀘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촬영지 탐방의 다양한 액티비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FIDO 거래인증 및 DID 단말인증 기반의 NFT 디지털 굿즈 거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서 디지털 굿즈 구성에 사용되는 대본 조각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디지털 굿즈 구성에 사용되는 스토리 조각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디지털 굿즈를 패키지 구성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굿즈 서비스 서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분산 ID 기반의 개인별 신원정보 확인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분산 ID에 대한 FIDO 거래인증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서 분산 ID에 대한 FIDO 거래인증을 위한 인증모듈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FIDO 거래인증 및 DID 단말인증 기반의 NFT 디지털 굿즈 거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디지털 굿즈 구성에 사용되는 대본 조각 데이터 및 스토리 조각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디지털 굿즈를 패키지 구성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서 파생되는 각종의 디지털 굿즈를 FIDO 거래인증, DID 단말인증, NFT 진품검증 기반으로 거래하기 위한 디지털 굿즈 거래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때, 거래의 종류는 온라인 판매나 모바일 판매 등과 같은 형태일 수도 있고 경매 방식일 수도 있으며 이벤트 지급의 형태일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NFT 디지털 굿즈 거래 시스템은 굿즈 관리 서버(100), 굿즈 서비스 서버(200), OTT 서비스 서버(300), 사용자 단말(400), FIDO 거래인증 서버(500), NFT 블록체인(610), DID 블록체인(620)의 협조 동작에 의해 작동한다. 이중에서 OTT 서비스 서버(300), 사용자 단말(400), FIDO 거래인증 서버(500), 블록체인(610, 620)은 일반적으로는 종래의 구성이 활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굿즈 관리 서버(100)와 굿즈 서비스 서버(200)는 본 발명을 위해 구축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디지털 굿즈는 디지털 영상 콘텐츠(예: 드라마, 영화 등)에서 대본 조각(scenario portion)과 스토리 조각(story portion)을 패키지화한 것이다. 대본 조각은 디지털 영상 콘텐츠의 전체 대본을 쪼갠 것이다. 대본 조각은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서 개별 영상 부분에 관련되는데, [도 2]의 (a) 내지 (g)에 대본 조각 데이터의 예가 제시되어 있다.
스토리 조각은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 스토리를 부가하는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스토리 조각의 예로는 디지털 소품, 배우 사진, OST(Original Sound Track) 음원, 스크립트(감독의 작품 의도 설명), 촬영지 영상, 이스터 에그(easter egg) 등)을 들 수 있다.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서 스토리 조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대본 조각 데이터와 스토리 조각 데이터를 패키지화하여 [도 4]에서와 같이 디지털 굿즈를 구성한다. [도 4]는 디지털 굿즈 하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시나리오 대본을 파편화한 후에 디지털 소품, 배우 사진, OST, 스크립트 등을 통해 개별 대본 부분에 스토리 가치를 부여한 패키지를 디지털 굿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굿즈 관리 서버(100)는 디지털 영상 콘텐츠와 관련하여 디지털 굿즈를 구성하기 위한 재료가 되는 영상 부분별 대본 조각 데이터와 스토리 조각 데이터의 조합을 다수 저장 관리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해, 굿즈 관리 서버(100)는 대본조각 데이터베이스(110)와 스토리조각 데이터베이스(120)를 구비한다.
대본조각 데이터베이스(110)는 다수의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 대하여 다수의 영상 부분 별로 시나리오 대본의 해당 대본 조각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구성요소이다.
스토리조각 데이터베이스(120)는 디지털 영상 콘텐츠와 관련하여 영상 부분 별로 해당 영상 부분에 관련된 디지털 소품, 배우 사진, OST 음원, 스크립트, 촬영지 영상, 이스터 에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스토리 조각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구성요소이다.
굿즈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400)과의 인터페이스, 사용자 요청에 대응한 디지털 굿즈의 생성, 디지털 굿즈에 대한 NFT 처리, 디지털 굿즈 거래를 위한 FIDO 거래인증 및 DID 단말인증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굿즈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400)의 굿즈 요청에 대응하여 굿즈 관리 서버(100)와의 협조 동작을 통해 해당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 관련된 대본 조각 데이터와 스토리 조각 데이터를 패키징하여 디지털 굿즈를 생성한다.
또한, 굿즈 서비스 서버(200)는 디지털 굿즈를 NFT 블록체인(610)에 투입 처리하여 디지털 굿즈에 대한 진품 속성을 설정한다. NFT는 Non Fungible Token의 약자로 '대체 불가능한 토큰'을 뜻한다. 디지털 그림이나 음악 등을 블록체인에 기록해 각 콘텐츠에 고유한 표식을 부여하는 암호화 기술이다. NFT는 거래 기록이 자동으로 저장되며 위변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디지털 굿즈의 원본과 복제본을 구분할 수 있으며, 디지털 굿즈의 원작자가 누구이고 언제 누구에게 판매됐는지 등의 세부 정보도 모두 NFT 블록체인(610)으로 관리되므로 디지털 굿즈의 소유자도 정확하게 검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NFT 처리를 통해 디지털 굿즈에 진품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굿즈 서비스 서버(200)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400)과의 디지털 굿즈 거래를 FIDO 거래인증 및 DID 단말인증을 통해 처리한다.
DID 단말인증을 위해, 사용자 단말(400)과 굿즈 서비스 서버(200)는 DID 블록체인(620)의 노드(node)의 역할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400)에 대한 분산 ID(Decentralized ID, DID)를 설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분산 ID의 설정을 위해 블록체인에서 공유하는 분산원장을 DID 분산원장(621)이라고 부른다. DID 블록체인(620)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400)에 대해 분산 ID를 설정함으로써 굿즈 서비스 서버(200)와 OTT 서비스 서버(300)에 대해 통일 사용자 계정(unified account)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굿즈 서비스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400)은 디지털 굿즈 구매에 따른 결제 처리를 FIDO 거래인증 기반으로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의 생체정보(예: 지문 정보, 홍채 정보)에 기초하여 FIDO 클라이언트로 기능하여 FIDO 거래인증 서버(500)와 온라인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분산 ID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굿즈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400)과 FIDO 거래인증 서버(500)를 공통 인터페이스하여 추상화시켜주고 이들 간의 FIDO(Fast Identity ONline) 기반의 온라인 인증을 매개한다. FIDO 거래인증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FIDO 클라이언트와 생체정보 기반의 온라인 인증 서비스, 바람직하게는 FIDO2 규격에 따른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400)은 분산 ID에 대한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굿즈 서비스 서버(200)와의 연동을 통해 미리 등록된 고객 결제 정보를 활용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 FIDO 기반으로 디지털 굿즈 주문자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 주문자가 이전에 등록해둔 신용카드 번호, 핸드폰 번호, 간편결제 번호 등과 같은 고객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굿즈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굿즈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고객 결제 정보(예: 신용카드 번호, 핸드폰 번호, 간편결제 번호 등)를 제공받아 분산 ID와 연계하여 등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굿즈 서비스 서버(2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 굿즈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400)과 인터페이스하고, 사용자 단말(400)의 굿즈 요청에 대응하여 굿즈 관리 서버(100)와의 협조 동작을 통해 디지털 굿즈를 생성하고, 디지털 굿즈를 NFT 블록체인(610)에 투입 처리하여 디지털 굿즈에 대한 진품 속성을 설정하고 FIDO 거래인증 및 DID 단말인증을 통해 디지털 굿즈에 대한 사용자 단말(400)과의 거래를 처리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굿즈 서비스 서버(200)는 굿즈 요청 수신부(210), 굿즈 목록 식별부(220), 디지털 굿즈 선택부(230), 디지털 굿즈 생성부(240), NFT 굿즈 처리부(250), DID 단말인증부(260), FIDO 거래인증부(270), 디지털 굿즈 제공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굿즈 요청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그 재생 중인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 대한 굿즈 요청(goods request)을 수신하는 구성요소이다.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시청하던 사용자가 특정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굿즈 혹은 해당 콘텐츠에 일반적으로 관련된 굿즈를 요청하는 메뉴 조작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 굿즈 요청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굿즈 요청을 수신한다.
굿즈 목록 식별부(220)는 위 굿즈 요청에 대응하여 굿즈 관리 서버(100)와의 협조 동작을 통해 그 재생 중인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 관련한 하나이상의 굿즈 항목을 포함한 굿즈 리스트를 식별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굿즈 리스트는 그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 관련된 다수의 굿즈 항목의 리스트로 구현될 수도 있고, 특정 조건, 예컨대 굿즈 요청이 발생된 그 재생 시점에 관련된 하나의 굿즈 항목을 표현하는 리스트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지털 굿즈 선택부(230)는 그 식별한 굿즈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400)로 응답 제시하고 이중에서 특정 굿즈에 대한 선택 입력을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제공받는 구성요소이다.
디지털 굿즈 생성부(240)는 그 선택된 굿즈에 대응하는 대본 조각 데이터와 스토리 조각 데이터를 굿즈 관리 서버(100)와의 협조 동작을 통해 획득하고, 그 획득한 대본 조각 데이터와 스토리 조각 데이터를 [도 4]와 같이 패키징하여 디지털 굿즈를 생성하는 구성요소이다.
NFT 굿즈 처리부(250)는 그 생성된 디지털 굿즈를 NFT 블록체인(610)에 투입 처리하여 디지털 굿즈에 대한 진품 속성을 설정하는 구성요소이다.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며 디지털 자산에 별도의 고유한 인식 값을 부여하고 있어 디지털 굿즈에 진품성(희소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NFT 굿즈 처리부(250)가 참여하는 블록체인을 편의상 테라피영상 NFT 블록체인(610)이라고 부른다.
DID 단말인증부(260)는 디지털 굿즈의 거래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400)에 대한 DID 단말인증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분산 ID(Decentralized Iidentifier, DID)는 "분산원장 기술 혹은 다른 형태의 분권형 네트워크에 등록되었기에 중앙화된 등록 기관에의 등록이 불필요한 전세계적으로 유일한 식별자"라고 정의되는데, 개념적으로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관리되는 개인식별정보를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분산 ID 기반의 개인별 신원정보 확인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400)은 DID 블록체인(620)을 통해 자신에 대한 통일 사용자 계정으로 사용가능한 분산 ID를 각자 설정한다. 이들 분산 ID는 디지털 굿즈 구매 과정에서는 DID 단말인증부(260)와 연동하여 전자서명이나 생체정보 등과 같은 증명(proofs)으로 인증된다. 이들 분산 ID는 생체정보 기반의 FIDO 인증과 연동된다.
FIDO 거래인증부(270)는 디지털 굿즈의 거래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400)과 FIDO 거래인증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분산 ID에 대한 FIDO 거래인증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분산 ID에 대한 FIDO 거래인증을 위한 인증모듈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반적으로 FIDO(Fast IDentity Online) 기술은 온라인 환경에서 지문인식, 홍채인식 등과 같은 생체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단말인증을 수행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서는 굿즈 서비스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400) 간의 디지털 굿즈 거래에 대해 FIDO 거래인증을 연계한다. FIDO의 구성요소에는 FIDO 서버, FIDO 클라이언트, ASM(Authenticator Specific Module), 인증기(authenticator)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FIDO 거래인증 서버(500)가 FIDO 서버의 연할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400)이 FIDO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수행한다. ASM은 FIDO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인증기에 전달하고, 여기서 생성된 응답 값을 FIDO 클라이언트로 전달한다.
오픈 ID 지원 그룹(Relying Party, RP)란 그룹 간의 신뢰를 뜻하는데 오픈 아이디를 지원하는 장치들의 그룹이라는 의미이다. 예를 들면, FIDO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버와 상호 RP 관계이기도 하다. 그리고, FIDO 클라이언트 응용서버는 RP 서버라고 부르고, 응용 서비스 클라이언트는 RP 클라이언트라고 부른다. FIDO 거래인증 서버(500)가 보내는 요청 메시지가 RP 서버에 전달되면, 네트워크를 통해 RP 클라이언트를 거쳐 FIDO 클라이언트에 도달한다.
한편, [도 7]과 [도 8]은 웹 인증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웹 인증'은 인터넷 사용자들이 여러 웹 사이트 및 디바이스에서 안전하게 인증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웹 브라우저 및 그와 연계된 웹 플랫폼 인프라에 표준화된 API 정의를 다운로드받아 인증 기능을 제공한다.
디지털 굿즈 제공부(280)는 이처럼 FIDO 거래인증, DID 단말인증, NFT 진품검증이 완료된 디지털 굿즈를 사용자 단말(400)로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한편, 굿즈 서비스 서버(200)는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재생 중인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굿즈 요청이 수신되면 OTT 서비스 서버(300)와의 협조 동작을 통해 그 재생 중인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서 굿즈 요청과 관련된 영상 부분을 식별하고, 굿즈 관리 서버(100)와의 협조 동작을 통해 그 식별된 영상 부분에 대응하는 대본 조각 데이터와 스토리 조각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들 조각 데이터와 스토리 조각 데이터를 패키징하여 디지털 굿즈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굿즈 요청을 발생시킨 바로 그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디지털 굿즈를 제공하는 구현 방식이다.
이 경우, 굿즈 서비스 서버(200)의 굿즈 목록 식별부(220)는 OTT 서비스 서버(300)와의 협조 동작을 통해 그 재생 중인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서 굿즈 요청과 관련된 영상 부분을 식별하고, 굿즈 관리 서버(100)와의 협조 동작을 통해 그 식별된 영상 부분에 관련된 하나이상의 굿즈 항목을 포함한 굿즈 리스트를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비휘발성 기록매체로는 다양한 형태의 스토리지 장치가 존재하는데 예컨대 하드디스크, SSD, CD-ROM, NAS, 자기테이프, 웹디스크, 클라우드 디스크 등이 있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스토리지 장치에 코드가 분산 저장되고 실행되는 형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특정의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 굿즈 관리 서버
110 : 대본조각 데이터베이스 120 : 스토리조각 데이터베이스
200 : 굿즈 서비스 서버
210 : 굿즈 요청 수신부 220 : 굿즈 목록 식별부
230 : 디지털 굿즈 선택부 240 : 디지털 굿즈 생성부
250 : NFT 굿즈 처리부 260 : DID 단말인증부
270 : FIDO 거래인증부 280 : 디지털 굿즈 제공부
300 : OTT 서비스 서버
400 : 사용자 단말
500 : FIDO 거래인증 서버
610 : NFT 블록체인 620 : DID 블록체인
621 : DID 분산원장

Claims (5)

  1. 디지털 영상 콘텐츠와 관련하여 각 영상 부분 별로 전체 시나리오 대본을 쪼개어 구성한 대본 조각 데이터(scenario portion data)를 저장 관리하는 대본조각 데이터베이스(110)와, 디지털 영상 콘텐츠와 관련하여 각 영상 부분 별로 스토리를 부가하는 디지털 소품, 배우 사진, OST(Original Sound Track) 음원, 감독의 작품 의도 설명인 스크립트, 촬영지 영상, 이스터 에그(easter egg)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스토리 조각 데이터(story portion data)를 저장 관리하는 스토리조각 데이터베이스(120)를 구비하여 다수의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 대해 각 영상 부분 별로 상기 대본 조각 데이터와 상기 스토리 조각 데이터의 조합을 다수 저장 관리하는 굿즈 관리 서버(100); 및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400)과 인터페이스하고, 그 재생 중인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단말(400)의 굿즈 요청(goods request)을 수신하면 외부의 OTT 서비스 서버(300)와의 협조 동작을 통해 상기 재생 중인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서 상기 굿즈 요청이 발생된 재생 지점의 영상 부분을 식별하고, 상기 굿즈 관리 서버(100)와의 협조 동작을 통해 상기 식별된 영상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대본 조각 데이터와 상기 스토리 조각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들 조각 데이터와 스토리 조각 데이터를 패키징하여 디지털 굿즈(digital goods)를 생성하고, 상기 디지털 굿즈를 NFT 블록체인(610)에 투입 처리하여 상기 디지털 굿즈에 대한 진품 속성을 설정하고 FIDO 거래인증 및 DID 단말인증을 통해 상기 디지털 굿즈에 대한 사용자 단말(400)과의 거래를 처리하는 굿즈 서비스 서버(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FIDO 거래인증 및 DID 단말인증 기반의 NFT 디지털 굿즈 거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굿즈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그 재생 중인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 대한 굿즈 요청을 수신하는 굿즈 요청 수신부(210);
    상기 굿즈 관리 서버(100)와의 협조 동작을 통해 그 재생 중인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 관련된 하나이상의 굿즈 항목을 포함한 굿즈 리스트를 식별하는 굿즈 목록 식별부(220);
    상기 식별한 굿즈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400)로 응답 제시하고 이중에서 특정 굿즈에 대한 선택 입력을 제공받는 디지털 굿즈 선택부(230);
    상기 선택된 굿즈에 대응하는 대본 조각 데이터와 스토리 조각 데이터를 상기 굿즈 관리 서버(100)와의 협조 동작을 통해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대본 조각 데이터와 스토리 조각 데이터를 패키징하여 디지털 굿즈를 생성하는 디지털 굿즈 생성부(240);
    상기 생성된 디지털 굿즈를 NFT 블록체인(610)에 투입 처리하여 상기 디지털 굿즈에 대한 진품 속성을 설정하는 NFT 굿즈 처리부(250);
    상기 디지털 굿즈의 거래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400)에 대한 DID 단말인증을 수행하는 DID 단말인증부(260);
    상기 디지털 굿즈의 거래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400)과 FIDO 거래인증를 수행하는 FIDO 거래인증부(270); 및
    상기 디지털 굿즈를 상기 사용자 단말(400)로 제공하는 디지털 굿즈 제공부(2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IDO 거래인증 및 DID 단말인증 기반의 NFT 디지털 굿즈 거래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굿즈 목록 식별부(220)는,
    OTT 서비스 서버(300)와의 협조 동작을 통해 그 재생 중인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서 상기 굿즈 요청과 관련된 영상 부분을 식별하고,
    상기 굿즈 관리 서버(100)와의 협조 동작을 통해 상기 식별된 영상 부분에 관련된 하나이상의 굿즈 항목을 포함한 굿즈 리스트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IDO 거래인증 및 DID 단말인증 기반의 NFT 디지털 굿즈 거래 시스템.
KR1020210101781A 2021-08-03 2021-08-03 Fido 거래인증 및 did 단말인증 기반의 nft 디지털 굿즈 거래 시스템 KR102665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781A KR102665311B1 (ko) 2021-08-03 2021-08-03 Fido 거래인증 및 did 단말인증 기반의 nft 디지털 굿즈 거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781A KR102665311B1 (ko) 2021-08-03 2021-08-03 Fido 거래인증 및 did 단말인증 기반의 nft 디지털 굿즈 거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125A KR20230020125A (ko) 2023-02-10
KR102665311B1 true KR102665311B1 (ko) 2024-05-10

Family

ID=85223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781A KR102665311B1 (ko) 2021-08-03 2021-08-03 Fido 거래인증 및 did 단말인증 기반의 nft 디지털 굿즈 거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53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548B1 (ko) * 2020-04-16 2020-07-30 주식회사 한국정보보호경영연구소 안면인식 기술 기반 분산화된 신원증명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243A (ko) * 2000-08-01 2002-02-08 강형훈 상거래 시스템
KR102199294B1 (ko) * 2013-10-07 2021-01-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중심의 콘텐츠 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2194A (ko) * 2019-01-24 2020-08-03 주식회사 하나은행 블록체인을 이용한 상품 위변조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278574B1 (ko) 2019-09-11 2021-07-15 이헌승 연예인 굿즈 유통 양성화를 위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KR102233065B1 (ko) 2020-08-12 2021-03-29 주식회사 엔제이브릿지 셀럽의 맞춤형 쇼핑몰 플랫폼을 위한 서버
KR102271749B1 (ko) 2021-01-04 2021-07-01 우석규 라이브 언택트 스튜디오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548B1 (ko) * 2020-04-16 2020-07-30 주식회사 한국정보보호경영연구소 안면인식 기술 기반 분산화된 신원증명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125A (ko) 2023-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467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blockchain-based content engagement platforms utilizing media wallets
US1041744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content delivery
US11138300B2 (en) Multi-factor profile and security fingerprint analysis
US11386050B2 (en) Activity verification using a distributed database
US10432693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signing and dedicating information objects
JP5016610B2 (ja) ルール駆動パンidメタデータルーティング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
US20070217648A1 (en) Fingerprinting Digital Media Content
US20070220592A1 (en) Comparing Media Files Against Database Content
US9794269B2 (en) Method and system for validating rights to digital content using a digital token
JPWO2006025308A1 (ja) コンテンツ購入処理端末と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7988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inding content playback to the pairing of a playback device and removable memory storage device
US20220329446A1 (en) Enhanced asset management using an electronic ledger
US20140373173A1 (en) Method for requiring user actions for the access or delivery of items of value
US20230120534A1 (en) Methods for Conditional Transaction Tokens, Secure Sharing of Token Assets, Wallet Spam Protection, and User Interfaces for Acceptance of Terms
US20230114684A1 (en) Cryptographic Content Co-Creation Mechanisms and Linking Physical Elements to Cryptographic Elements
US20070208763A1 (en) Computer Database Record Architecture Based on a Unique Internet Media Identifier
CN110913275B (zh) 目标对象的属性信息添加方法、系统及存储介质
KR102665311B1 (ko) Fido 거래인증 및 did 단말인증 기반의 nft 디지털 굿즈 거래 시스템
US202301299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Against Token-Based Malicious Scripts
US20230205849A1 (en) Digital and physical asset tracking and authentication via non-fungible tokens on a distributed ledger
US11636512B1 (en) Inventory management system protection for network traffic surge resistant platform
US9122844B2 (en) Proxy device for managing digital rights
EP38149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blockchain-based content engagement platforms utilizing media wallets
KR20210022173A (ko) 영상/상품 매칭 판매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20240005314A1 (en) Supply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