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092B1 - 가압부상조의 가압수 발생 여과 및 미세기포 발생 제어기능을 갖춘 오폐수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압부상조의 가압수 발생 여과 및 미세기포 발생 제어기능을 갖춘 오폐수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092B1
KR102665092B1 KR1020230054556A KR20230054556A KR102665092B1 KR 102665092 B1 KR102665092 B1 KR 102665092B1 KR 1020230054556 A KR1020230054556 A KR 1020230054556A KR 20230054556 A KR20230054556 A KR 20230054556A KR 102665092 B1 KR102665092 B1 KR 102665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pipe
hot
bubble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4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수
신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경 이-텍
신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경 이-텍, 신용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경 이-텍
Priority to KR1020230054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부상조의 가압수 발생 여과 및 미세기포 발생 제어기능을 갖춘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응집제를 통한 응집능력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응집된 후 가압부상조로 이송된 후 가압부상조에서 기포를 이용하여 고액을 분리할 때 기포 발생 효율을 높이고,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시스템화시켜 플럭의 미소화에 따른 분리능력을 증대시킴은 물론, 자동 제어에 따른 작업성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가압부상조의 가압수 발생 여과 및 미세기포 발생 제어기능을 갖춘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압부상조의 가압수 발생 여과 및 미세기포 발생 제어기능을 갖춘 오폐수 처리시스템{Wastewater treatment system equipped with pressurized water generation filtration and microbubble control function in pressurized flotation tank}
본 발명은 가압부상조의 가압수 발생 여과 및 미세기포 발생 제어기능을 갖춘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응집제를 통한 응집능력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응집된 후 가압부상조로 이송된 후 가압부상조에서 기포를 이용하여 고액을 분리할 때 기포 발생 효율을 높이고,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시스템화시켜 플럭의 미소화에 따른 분리능력을 증대시킴은 물론, 자동 제어에 따른 작업성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가압부상조의 가압수 발생 여과 및 미세기포 발생 제어기능을 갖춘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형태로 발생되는 오폐수는 반응조와 응집조를 거쳐 가압부상조로 이송처리된다.
이때, 반응조는 유입원수에 반응제(Al2(SO4)3, NaOH 등)를 투입하여 오염원과 반응하게 하고, 유기물질 및 무기물질을 추출함과 함께 응집 반응을 유도한다.
그리고, 응집조는 반응조에서 응집이 형성된 미세 플럭(Floc)에 유기응집제를 투입하여 약품 반응을 촉진함으로써 플럭의 굵기를 굵게 형성시켜 준다.
또한, 가압부상조는 응집조에서 반응응집된 플럭을 물층과 슬러지층으로 고액 분리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가압부상조에는 압력탱크가 연결되고 가압수가 공급되는 바, 압력탱크는 슬러지 부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성품으로서,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동시에 미세기포가 응집된 플럭 주변에 포집되게 하여, 고체와 액체의 분리 역할을 용이하게 수행하게 한다.
아울러, 처리수조는 가압부상조에서 고액 분리된 처리수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준비조이다. 특히, 가압부상조에서 분리된 잉여슬러지는 스컴조로 보내어지는데, 스컴조는 부상된 슬러지를 일시 저장하여 농축조로 이송하게 된다.
또한, 스컴조의 옆으로는 농축조와 탈수기 그리고 케익저장조가 나란히 배열되는 바, 농축조는 슬러지를 일정시간 동안 정체시켜 농축시키는 역할의 조이다.
그리고, 탈수기는 오폐수 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부피를 줄이는 장치이며, 케익저장조는 탈수된 케익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조이다.
이때, 가압부상조에서 고액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용존공기부상법(Dissolved Air Flotation)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공기방울 생성효과가 떨어져 고액 분리효율이 저하되고, 공기방울 생성 및 가압 처리에 대한 자동 제어시스템을 갖추고 있지 않아 제어관련 기능이 떨어지고, 작업성과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도 있다.
무엇보다도, 플럭이 부상되지 못한 상태로 후속공정으로 흘러들어가게 되면 후속공정에 큰 부하를 주고, 후속공정 수행시 불량을 야기하기 때문에 플럭의 부상 제거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냉수일 때에 비해 적정 온도로 가열된 기포수일 때 기포 생성 및 처리효율이 더 증가함을 확인하였지만, 이를 구현시킬 기구적, 기계설 설계가 선행되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도 필요한 상황이다.
대한민국 국내 등록특허 제10-0576348호(2006.04.26.) 오폐수 처리용 가압부상조 대한민국 국내 등록특허 제10-1825328호(2018.01.29.) 대용량 오폐수처리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응집제를 통한 응집능력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응집된 후 가압부상조로 이송된 후 가압부상조에서 기포를 이용하여 고액을 분리할 때 기포 발생 효율을 높이고,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시스템화시켜 플럭의 미소화에 따른 분리능력을 증대시킴은 물론, 자동 제어에 따른 작업성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가압부상조의 가압수 발생 여과 및 미세기포 발생 제어기능을 갖춘 오폐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유입된 원수를 반응 및 응집시켜 플럭을 형성하는 반응처리부(100)와, 상기 반응처리부(100)로 원수와의 반응 및 응집에 필요한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투입부(200)와, 상기 반응처리부(100)를 통해 형성된 플럭을 공급받아 고액으로 분리하는 고액분리부(300)와, 상기 고액분리부(300)로 미세기포를 공급하도록 기포를 발생시키는 압력발생제어부(400)를 포함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반응처리부(100)는 반응조(110)와, 상기 반응조(110)에서 반응완료된 원수가 오버플로우하여 이송되는 응집조(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액분리부(300)는 고액분리조(310)를 포함하고, 상기 고액분리조(310)에는 내부 일측에 경사분리판(320)이 설치되어 내부를 구획분리하며, 상기 경사분리판(320)에 의해 분리된 공간의 바닥면에는 플럭배출박스(330)가 고정되고, 상기 플럭배출박스(330)의 상면에는 다수의 배출공(332)이 형성되며, 상기 플럭배출박스(330)의 내부로는 상기 응집조(120)에서 연결된 오버플로우관(P)의 하단이 배관되고, 상기 플럭배출박스(330)와 평행하게 상기 바닥면에는 기포배출관(340)이 배관되며, 상기 기포배출관(340)에는 다수의 기포토출헤더(350)가 조립되고; 상기 기포토출헤더(350)는 헤더하우징(352)과, 상기 헤더하우징(352)에 유동가능하게 내장된 기포발생스플(354)과, 상기 기포발생스플(354)의 둘레에 끼워지고 헤더하우징(352)에 내장되어 상기 기포발생스플(354)로 가해지는 기포수압에 따라 상기 기포발생스플(354)을 유동시키는 스프링(3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부상조의 가압수 발생 여과 및 미세기포 발생 제어기능을 갖춘 오폐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압력발생제어부(400)는 고액분리조(310)의 하단에서 분리수를 인출하는 회수라인(410)과, 상기 회수라인(410)을 통해 회수된 분리수를 가압하는 가압펌프(420)와, 상기 가압펌프(420)의 배출단에 연결된 압력탱크(430)와, 상기 압력탱크(430)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축기(440)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펌프(420)의 배출단과 압력탱크(430) 사이에는 분리수의 온도를 50-60℃로 가열하는 온도조절체(450)가 더 설치되되, 상기 온도조절체(450)는 조절체하우징(4500)과, 상기 조절체하우징(4500)의 일측에 형성된 주입구(4510)와, 상기 조절체하우징(4500)의 타측에 형성된 배출구(4520)와, 상기 주입구(4510)와 배출구(4520)를 리니어하게 연결하는 주공급관(4530)과, 상기 주입구(4510) 측에서 상기 주공급관(4530)과 직교되게 연통되는 주입구교차관(4512)과, 상기 배출구(4520) 측에서 상기 주공급관(4530)과 직교되게 연통되는 배출구교차관(4522)과, 상기 주입구교차관(4512)의 일단과 상기 배출구교차관(4522)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고 제1핫소스(S1)와 연통되는 제1핫소스순환관(4540)과, 상기 주입구교차관(4512)의 타단과 상기 배출구교차관(4522)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고 제2핫소스(S2)와 연통되는 제2핫소스순환관(4550)과, 상기 제1핫소스순환관(4540) 상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핫공급밸브(V1) 및 제1핫회수밸브(V2)와, 상기 제2핫소스순환관(4550) 상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2핫공급밸브(V3) 및 제2핫회수밸브(V4)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응집제를 통한 응집능력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응집된 후 가압부상조로 이송된 후 가압부상조에서 기포를 이용하여 고액을 분리할 때 기포 발생 효율을 높이고,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시스템화시켜 플럭의 미소화에 따른 분리능력을 증대시킴은 물론, 자동 제어에 따른 작업성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고액분리조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온도조절체의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상조의 가압수 발생 여과 및 미세기포 발생 제어기능을 갖춘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도 1의 예시와 같이, 유입된 원수를 반응 및 응집시켜 플럭을 형성하는 반응처리부(100)와, 상기 반응처리부(100)로 원수와의 반응 및 응집에 필요한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투입부(200)와, 상기 반응처리부(100)를 통해 형성된 플럭을 공급받아 고액으로 분리하는 고액분리부(300)와, 상기 고액분리부(300)로 미세기포를 공급하도록 기포를 발생시키는 압력발생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이때, 반응처리부(100)는 반응조(110)와 응집조(120)로 이루어지고, 반응조(110)에서 반응완료된 원수가 오버플로우하여 응집조(120)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반응조(110)에는 반응조교반기(112)가 설치되고, 반응조(110)에서 반응된 원수의 pH를 조절하기 위한 pH검출용 pH메터(114)가 설치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응집조(120)에도 응집조교반기(12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반응조(110)와 응집조(120)의 하부에는 수리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D)이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D)은 드레인관으로 배관되어 유량저장조(130)로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약품투입부(200)는 상기 반응조(110)로 투입할 약품인 반응조투입약품과 응집조(120)로 투입할 약품인 응집조투입약품이 각각 독립라인을 가지고 설계된다.
여기에서, 반응조투입약품은 원수의 오염원과 반응하여 유기물질 및 무기물질을 추출함과 함께 응집 반응을 유도하는 반응제로서 Al2(SO4)3, NaOH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응집조투입약품은 반응제로 추출된 유, 무기물질을 응집시켜 플럭을 만들어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수용성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중량부에 대해, 케일분말 5중량부, 탄닌 10중량부, 메틸이소치아졸리논(2-methyl-4-isothiazoline-3-one) 10중량부, 수산화칼슘 8.5중량부 및, 폴리염화알루미늄 15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조성된다.
이때, 케일분말은 양귀비목 배추과의 여러해살이 풀인 케일의 잎과 뿌리를 증숙한 후 말려 분쇄한 것으로서, 풍부한 섬유질에 의한 흡착력 강화 및 유해물질분해 기능이 뛰어나고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탄닌은 응집성을 높이는 천연재료로서, 플럭 형성에 기여한다.
그리고, 메틸이소치아졸리논(2-methyl-4-isothiazoline-3-one)은 살균, 분해력을 증대시키면서 분산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수산화칼슘은 소석회로서 대표적인 응집제지만, 플럭 형성시 중량 가중을 막기 위해 10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어야 한다.
또한, 폴리염화알루미늄은 다염기성알루미늄으로 일반식은 [A12(OH)n C16-n]m로 표시되며, 수용액에서는 [A1(H2O)]3+를 가지는 배위화합물로, OH기를 가교로 하여 다핵착체가 되어 응집력을 극대화시킨다.
이와 같은 응집조투입약품의 공급을 통해 오폐수 원수로부터 분리 추출된 유해물질들이 응집되어 플럭화되게 되며, 플럭화된 플럭들은 오버플로우관(P)을 타고고액분리부(300)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고액분리부(30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은 고액분리조(3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액분리조(310)에는 내부 일측에 경사분리판(320)이 설치되어 내부를 구획분리한다.
이 경우, 상기 경사분리판(320)은 고액분리조(310)의 바닥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4/5 높이까지 연장된다.
또한, 상기 경사분리판(320)은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경사배치되며, 경사분리판(320)에 의해 분리된 공간의 바닥면에는 플럭배출박스(330)가 고정되고, 상기 플럭배출박스(330)의 상면에는 다수의 배출공(332)이 형성되며, 상기 플럭배출박스(330)의 내부로는 오버플로우관(P)의 하단이 배관된다.
아울러, 상기 플럭배출박스(330)와 평행하게 상기 바닥면에는 기포배출관(340)이 배관되고, 상기 기포배출관(340)에는 상기 배출공(332)의 갯수와 1:1 대응되게 기포토출헤더(350)가 조립된다.
여기에서, 상기 기포토출헤더(350)는 원(circle) 안에 확대도시한 바와 같이, 헤더하우징(352)과, 상기 헤더하우징(352)에 유동가능하게 내장된 기포발생스플(354)과, 상기 기포발생스플(354)의 둘레에 끼워지고 헤더하우징(352)에 내장되어 상기 기포발생스플(354)로 가해지는 기포수압에 따라 상기 기포발생스플(354)을 유동시키는 스프링(356)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기포수압에 따라 기포발생스플(354)이 진동하기 때문에 토출효과가 뛰어나고, 헤더 방식이기 때문에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언제든지 쉽고 빠르게 청소할 수 있으며, 토출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조절밸브를 갖출 필요가 없어 제어가 편리하고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고액분리조(310)의 상부에는 부상된 플럭을 스크래핑하여 스컴저류조(360)로 배출하는 스컴스키머(362)가 설치되고, 그 직상부에는 세척노즐(364)이 부설되어 필요시 스컴스키머(362)를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고액분리조(310)의 일측에는 분리수챔버(370)가 외측으로 돌출설치되고, 상기 분리수챔버(370)에는 다수의 배수관(372)이 설치되어 고액분리된 분리수가 오버플로우된 후 폭기조(374)로 이동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한편, 고액분리조(310)의 하방에는 압력발생제어부(400)가 구비된다.
상기 압력발생제어부(400)는 고액분리조(310)의 하단에서 분리수를 인출하는 회수라인(410)과, 상기 회수라인(410)을 통해 회수된 분리수를 가압하는 가압펌프(420)와, 상기 가압펌프(420)의 배출단에 연결된 압력탱크(430)와, 상기 압력탱크(430)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축기(4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압펌프(420)의 배출단과 압력탱크(430) 사이에는 온도조절체(4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체(450)는 분리수의 온도를 50-60℃로 유지하여 기포발생을 원활하게 하고, 플럭의 부상능력과 속도를 높이는데 기여한다.
이를 위해, 상기 온도조절체(450)는 도 5의 예시와 같이, 조절체하우징(4500)과, 상기 조절체하우징(4500)의 일측에 형성된 주입구(4510)와, 상기 조절체하우징(4500)의 타측에 형성된 배출구(4520)와, 상기 주입구(4510)와 배출구(4520)를 리니어하게 연결하는 주공급관(4530)과, 상기 주입구(4510) 측에서 상기 주공급관(4530)과 직교되게 연통되는 주입구교차관(4512)과, 상기 배출구(4520) 측에서 상기 주공급관(4530)과 직교되게 연통되는 배출구교차관(4522)과, 상기 주입구교차관(4512)의 일단과 상기 배출구교차관(4522)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고 제1핫소스(S1)와 연통되는 제1핫소스순환관(4540)과, 상기 주입구교차관(4512)의 타단과 상기 배출구교차관(4522)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고 제2핫소스(S2)와 연통되는 제2핫소스순환관(4550)과, 상기 제1핫소스순환관(4540) 상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핫공급밸브(V1) 및 제1핫회수밸브(V2)와, 상기 제2핫소스순환관(4550) 상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2핫공급밸브(V3) 및 제2핫회수밸브(V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핫공급밸브(V1)는 3-웨이밸브로서, 제1핫소스(S1)의 온수가 공급되는 공급라인과, 제1핫소스순환관(4540)을 통해 배출구교차관(4522)을 거친 후 주공급관(4530)으로 토출하는 토출라인과, 제1핫소스순환관(4540)을 통해 제1핫소스(S1)로 리턴되는 회수라인의 개도를 조절하여 유량과 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핫회수밸브(V2)는 2-웨이밸브로서, 주입구교차관(4512)과 제1핫소스순환관(4540)을 통해 제1핫소스(S1)로 회수되는 리턴라인과, 상기 제1핫공급밸브(V1)를 거친 다음 제1핫소스순환관(4540)을 통해 제1핫소스(S1)로 리턴되는 회수라인의 개도를 조절하여 유량과 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2핫공급밸브(V3)는 3-웨이밸브로서, 제2핫소스(S2)의 온수가 공급되는 공급라인과, 제2핫소스순환관(4550)을 통해 배출구교차관(4522)을 거친 후 주공급관(4530)으로 토출하는 토출라인과, 제2핫소스순환관(4550)을 통해 제2핫소스(S2)로 리턴되는 회수라인의 개도를 조절하여 유량과 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핫회수밸브(620)는 2-웨이밸브로서, 주입구교차관(4512)과 제2핫소스순환관(4550)을 통해 제2핫소스(S2)로 회수되는 리턴라인과, 상기 제2핫공급밸브(V3)를 거친 다음 제2핫소스순환관(4550)을 통해 제2핫소스(S2)로 리턴되는 회수라인의 개도를 조절하여 유량과 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펌프(420)의 배출단에서 배출된 분리수의 온도가 대략 상온 부근, 즉 20℃ 전후이므로 완만한 온도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1핫소스(S1)만 돌려 온도를 조절하고, 단시간내에 온도를 올려야 할 경우에는 제1핫소스(S1) 및 제2핫소스(S2) 모두를 돌려 조절한다.
그러면, 아주 빠른 시간내에 분리수의 온도를 50-60℃까지 승온시킬 수 있게 되어 기포 발생효율을 높이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응집제를 통한 응집능력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응집된 후 가압부상조로 이송된 후 가압부상조에서 기포를 이용하여 고액을 분리할 때 기포 발생 효율을 높이고,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시스템화시켜 플럭의 미소화에 따른 분리능력을 증대시킴은 물론, 자동 제어에 따른 작업성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100: 반응처리부
200: 약품투입부
300: 고액분리부
400: 압력발생제어부

Claims (2)

  1. 삭제
  2. 유입된 원수를 반응 및 응집시켜 플럭을 형성하는 반응처리부(100)와, 상기 반응처리부(100)로 원수와의 반응 및 응집에 필요한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투입부(200)와, 상기 반응처리부(100)를 통해 형성된 플럭을 공급받아 고액으로 분리하는 고액분리부(300)와, 상기 고액분리부(300)로 미세기포를 공급하도록 기포를 발생시키는 압력발생제어부(400)를 포함하고; 반응처리부(100)는 반응조(110)와, 상기 반응조(110)에서 반응완료된 원수가 오버플로우하여 이송되는 응집조(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액분리부(300)는 고액분리조(310)를 포함하고, 상기 고액분리조(310)에는 내부 일측에 경사분리판(320)이 설치되어 내부를 구획분리하며, 상기 경사분리판(320)에 의해 분리된 공간의 바닥면에는 플럭배출박스(330)가 고정되고, 상기 플럭배출박스(330)의 상면에는 다수의 배출공(332)이 형성되며, 상기 플럭배출박스(330)의 내부로는 상기 응집조(120)에서 연결된 오버플로우관(P)의 하단이 배관되고, 상기 플럭배출박스(330)와 평행하게 상기 바닥면에는 기포배출관(340)이 배관되며, 상기 기포배출관(340)에는 다수의 기포토출헤더(350)가 조립되고; 상기 기포토출헤더(350)는 헤더하우징(352)과, 상기 헤더하우징(352)에 유동가능하게 내장된 기포발생스플(354)과, 상기 기포발생스플(354)의 둘레에 끼워지고 헤더하우징(352)에 내장되어 상기 기포발생스플(354)로 가해지는 기포수압에 따라 상기 기포발생스플(354)을 유동시키는 스프링(356)을 포함하는 가압부상조의 가압수 발생 여과 및 미세기포 발생 제어기능을 갖춘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압력발생제어부(400)는 고액분리조(310)의 하단에서 분리수를 인출하는 회수라인(410)과, 상기 회수라인(410)을 통해 회수된 분리수를 가압하는 가압펌프(420)와, 상기 가압펌프(420)의 배출단에 연결된 압력탱크(430)와, 상기 압력탱크(430)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축기(440)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펌프(420)의 배출단과 압력탱크(430) 사이에는 분리수의 온도를 50-60℃로 가열하는 온도조절체(450)가 더 설치되되,
    상기 온도조절체(450)는 조절체하우징(4500)과, 상기 조절체하우징(4500)의 일측에 형성된 주입구(4510)와, 상기 조절체하우징(4500)의 타측에 형성된 배출구(4520)와, 상기 주입구(4510)와 배출구(4520)를 리니어하게 연결하는 주공급관(4530)과, 상기 주입구(4510) 측에서 상기 주공급관(4530)과 직교되게 연통되는 주입구교차관(4512)과, 상기 배출구(4520) 측에서 상기 주공급관(4530)과 직교되게 연통되는 배출구교차관(4522)과, 상기 주입구교차관(4512)의 일단과 상기 배출구교차관(4522)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고 제1핫소스(S1)와 연통되는 제1핫소스순환관(4540)과, 상기 주입구교차관(4512)의 타단과 상기 배출구교차관(4522)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고 제2핫소스(S2)와 연통되는 제2핫소스순환관(4550)과, 상기 제1핫소스순환관(4540) 상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핫공급밸브(V1) 및 제1핫회수밸브(V2)와, 상기 제2핫소스순환관(4550) 상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2핫공급밸브(V3) 및 제2핫회수밸브(V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부상조의 가압수 발생 여과 및 미세기포 발생 제어기능을 갖춘 오폐수 처리시스템.
KR1020230054556A 2023-04-26 2023-04-26 가압부상조의 가압수 발생 여과 및 미세기포 발생 제어기능을 갖춘 오폐수 처리시스템 KR102665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556A KR102665092B1 (ko) 2023-04-26 2023-04-26 가압부상조의 가압수 발생 여과 및 미세기포 발생 제어기능을 갖춘 오폐수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556A KR102665092B1 (ko) 2023-04-26 2023-04-26 가압부상조의 가압수 발생 여과 및 미세기포 발생 제어기능을 갖춘 오폐수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5092B1 true KR102665092B1 (ko) 2024-05-10

Family

ID=91071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556A KR102665092B1 (ko) 2023-04-26 2023-04-26 가압부상조의 가압수 발생 여과 및 미세기포 발생 제어기능을 갖춘 오폐수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509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348B1 (ko) 2004-07-23 2006-05-03 주식회사 기술환경 오폐수 처리용 가압부상조
JP2011245612A (ja) * 2010-04-28 2011-12-08 Shibaura Mechatronics Corp 浄化装置
KR20150133502A (ko) * 2014-05-20 2015-11-30 금호산업주식회사 가변유량대응형 미세기포 발생노즐
KR101825328B1 (ko) 2017-06-27 2018-02-06 주식회사 대양환경기술 대용량 오폐수처리시스템
KR101844734B1 (ko) * 2018-01-17 2018-05-18 한순련 부상분리식 하폐수처리장치
KR101877935B1 (ko) * 2017-02-08 2018-07-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압력조절식 미세기포 가압부상분리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가압부상분리 방법 및 이들을 이용하는 수처리 시스템
KR102093758B1 (ko) * 2019-08-23 2020-03-27 주식회사 케이디 와류식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활용한 장방형 고효율 가압고액분리 수처리장치
KR102095469B1 (ko) * 2019-07-29 2020-03-31 (주)화인테크워터 생물막여과기를 이용한 고도 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348B1 (ko) 2004-07-23 2006-05-03 주식회사 기술환경 오폐수 처리용 가압부상조
JP2011245612A (ja) * 2010-04-28 2011-12-08 Shibaura Mechatronics Corp 浄化装置
KR20150133502A (ko) * 2014-05-20 2015-11-30 금호산업주식회사 가변유량대응형 미세기포 발생노즐
KR101877935B1 (ko) * 2017-02-08 2018-07-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압력조절식 미세기포 가압부상분리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가압부상분리 방법 및 이들을 이용하는 수처리 시스템
KR101825328B1 (ko) 2017-06-27 2018-02-06 주식회사 대양환경기술 대용량 오폐수처리시스템
KR101844734B1 (ko) * 2018-01-17 2018-05-18 한순련 부상분리식 하폐수처리장치
KR102095469B1 (ko) * 2019-07-29 2020-03-31 (주)화인테크워터 생물막여과기를 이용한 고도 수처리장치
KR102093758B1 (ko) * 2019-08-23 2020-03-27 주식회사 케이디 와류식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활용한 장방형 고효율 가압고액분리 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40967B (zh) 一种有机废水减量化、资源化处理方法及处理系统
US4173532A (en) Method for treating plant effluent
EP1803689B1 (en) System for treating wastewater of an industrial plant, in particular of a power plant
US4293416A (en) Apparatus for treating plant effluent
CN105555717B (zh) 有机污水的处理装置以及处理方法
EA019136B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сбросной воды или пластовой воды
CN108275820A (zh) 水处理方法
CN105084587A (zh) 一种高含盐废水的处理方法及设备
PT1937600E (pt) Aparelho de clarificação das águas e processo de utilização
KR102169490B1 (ko) 고농도 폐수의 다단계 진공 증발 농축을 이용한 무방류 폐수 처리시스템
CN105254096B (zh) 一种造气含氨含氰含酚的循环水预处理方法及装置
US20170297924A1 (en) Water treatment process employing dissolved air flotation to remove suspended solids
CN105923903A (zh) 一种印染废水零排放系统与工艺
CN102139983A (zh) 一种废水处理方法及系统
CN109011668A (zh) 一种基于高含盐废水的结晶盐分离提纯系统
PL206144B1 (pl) Sposób uzdatniania szlamu pochodzącego z zakładu wodociągowego lub instalacji uzdatniania ścieków i urządzenie do uzdatniania szlamu pochodzącego z zakładu wodociągowego lub instalacji uzdatniania ścieków
CN109836020A (zh) 一种用于老龄垃圾渗滤液零排放的处理系统及方法
CN105540939B (zh) 一种去除废水中钙、镁、氟和硅元素的装置及方法
CN108408991A (zh) 一种工业循环冷却水零排放系统
CN109882129A (zh) 一种油田钻井废弃泥浆滤液处理工艺及设备
KR102665092B1 (ko) 가압부상조의 가압수 발생 여과 및 미세기포 발생 제어기능을 갖춘 오폐수 처리시스템
CN108658355A (zh) 一种燃煤电厂全厂废水排放系统及其使用方法
CN204939142U (zh) 一种烟气脱硫系统排放的脱硫废水的处理设备
CN106904777A (zh) 全碱短流程节能高含盐工业废水的处理方法
CN105152405A (zh) 一种烟气脱硫系统排放的脱硫废水的处理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