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930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930B1
KR102664930B1 KR1020180106108A KR20180106108A KR102664930B1 KR 102664930 B1 KR102664930 B1 KR 102664930B1 KR 1020180106108 A KR1020180106108 A KR 1020180106108A KR 20180106108 A KR20180106108 A KR 20180106108A KR 102664930 B1 KR102664930 B1 KR 102664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mdt
terminal
information
log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7818A (ko
Inventor
김상범
김성훈
배범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6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930B1/ko
Priority to EP19857222.4A priority patent/EP3846527A4/en
Priority to US17/273,222 priority patent/US20210360449A1/en
Priority to PCT/KR2019/011289 priority patent/WO2020050575A1/ko
Publication of KR20200027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9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8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different R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셀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방법은, MD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능력 정보(UE capability)를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MDT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MDT 설정 정보를 기초로 제1 MDT 측정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지국과 다른 시스템의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MDT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MDT 설정 정보를 기초로 제2 MDT 측정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REPORTING CELL MEASUREMENT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3GPP에서 정한 5G 통신 시스템은 New Radio (NR) 시스템이라고 불리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었고, NR 시스템에 적용되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이하, IoT)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5G 통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것과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러한 서비스들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셀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방법은, MD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능력 정보(UE capability)를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MDT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MDT 설정 정보를 기초로 제1 MDT 측정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지국과 다른 시스템의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MDT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MDT 설정 정보를 기초로 제2 MDT 측정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MDT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MDT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LTE 기지국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NR 기지국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EN-DC 구조에서 Scheduled IP Throughput을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EN-DC 구조에서 Data Volume을 획득하는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EN-DC 구조에서 DL Packet Delay을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CU-DU 구조에서 Scheduled IP Throughput을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CU-DU 구조에서 Data Volume을 획득하는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CU-DU 구조에서 DL Packet Delay을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접속 상태 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셀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event 기반 logging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event-triggered periodic logging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one-shot logging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MDT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셀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개시에서는 5G 또는 NR, LTE 시스템에 대한 규격에서 정의하는 용어와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개시가 이러한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3GPP가 규격을 정한 통신 규격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개시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5G 또는 NR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New Radio Node B, 이하 NR NB, NR gNB 또는 NR 기지국, 1a-10)과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1a-05) 또는 NR CN(New Radio Core Network, 혹은 NG CN: Next Generation Core Network)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New Radio User Equipment, 이하 NR UE 또는 단말, 1a-15)은 NR gNB(1a-10) 및 AMF(1a-05)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1에서 NR gNB(1a-10)는 LTE 시스템의 eNB(Evolved Node B)에 대응된다. NR gNB(1a-10)는 NR UE(1a-1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더 월등한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NR gNB(1a-10)가 담당한다. 하나의 NR gNB(1a-10)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제어 및 시그날링을 총괄하는 CU(central unit)과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DU(distributed unit)로 구성될 수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5G 또는 NR 시스템)은 LTE 시스템 대비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서 기존 최대 대역폭 이상의 최대 대역폭을 가질 수 있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하여 추가적으로 빔포밍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AMF(1a-05)는 이동성 지원, 베어러 설정, QoS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AMF(1a-05)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들과 연결된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5G 또는 NR 시스템)은 LTE 시스템과도 연동될 수 있으며, AMF(1a-05)이 MME(1a-25)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MME(1a-25)는 기존 기지국인 eNB(1a-30)과 연결된다. EUTRA(LTE)-NR Dual Connectivity(EN-DC)를 지원하는 단말은 gNB(1a-10)뿐 아니라, eNB(1a-30)에도 연결을 유지하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1a-35). EN-DC에서는 LTE 시스템만 core network(MME, (1a-25))에 연결되고, LTE 시스템과 NR 기지국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망 구축 혹은 망 최적화 시, 이동통신 사업자는 통상적인 예상 서비스 영역에서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이를 근거로 서비스 영역 내의 기지국들을 배치 혹은 재조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이동통신 사업자는 일반적으로 차량에 신호 측정 장비를 싣고 이동하며 서비스 영역에서 셀 측정 정보를 수집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Drive Test라 한다. 이러한 Drive Test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된다.
단말은 셀 간 이동시 셀 재선택 혹은 핸드오버, 서빙 셀 추가 등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으로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따라서, Drive Test 대신, 서비스 영역 내의 단말을 활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MDT (Minimization of Drive Test)라고 칭한다. 이동통신 사업자는 네트워크의 여러 구성 장치들을 통해, 특정 단말들에게 MDT 동작을 설정할 수 있으며, MDT 동작이 설정된 단말들은 연결 모드(RRC_Connected), 대기 모드(RRC_Idle) 혹은 비활성 모드(RRC_Inactive)에서 서빙 셀 및 주변 셀들로부터의 신호 세기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또한, MDT 동작이 설정된 단말들은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및 신호 품질 정보 등 다양한 정보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정보는 해당 단말들이 연결 모드에 있을 때, 네트워크로 보고될 수 있으며, 이때, 저장된 정보는 특정 서버로 전달된다. MDT 측정 정보는 단말이 수집한 후, 기지국에 보고하는 정보와 기지국이 직접 측정하는 정보가 있으며, 하기와 같다.
- M1: RSRP and RSRQ measurement by UE
- M2: Power Headroom measurement by UE
- M3: Received Interference Power measurement by eNB (or gNB)
- M4: Data Volume measurement separately for DL and UL, per QCI per UE, by eNB (or gNB)
- M5: Scheduled IP Throughput for MDT measurement separately for DL and UL, per RAB per UE and per UE for the DL, per UE for the UL, by eNB (or gNB)
- M6: Packet Delay measurement, separately for DL and UL, per QCI per UE, see UL PDCP Delay, by the UE, and Packet Delay in the DL per QCI, by the eNB (or gNB)
- M7: Packet Loss rate measurement, separately for DL and UL per QCI per UE, by the eNB (or gNB)
단말이 수집하는 정보는 MDT 동작을 통해, 기지국에 보고되며, 크게 Immediate MDT와 Logged MDT로 분류된다.
Immediate MDT는 수집한 정보를 바로 네트워크에 보고하는 동작이다. Immediate MDT에서는 수집한 정보를 바로 보고해야 하므로, 연결 모드의 단말이 Immediate MDT를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Immediate MDT는 핸드오버 및 서빙 셀 추가 등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RRM(Radio Resource Measurement) 과정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등이 추가적으로 보고될 수 있다.
Logged MDT는 수집한 정보를 바로 네트워크로 보고하지 않고 저장하며, 단말이 연결 모드로 전환한 후 저장한 정보를 보고하는 동작이다. 일반적으로, 저장한 정보를 바로 네트워크로 보고할 수 없는 대기 모드의 단말이 Logged MDT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 도입된 비활성 모드의 단말은 Logged MDT를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특정 단말이 연결 모드에 있을 때, Logged MDT 동작 수행을 위한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하고, 이를 수신한 단말은 대기 모드 혹은 비활성 모드로 전환한 후, 설정된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한다.
[표 1]
Figure 112018088435315-pat00001
본 개시에서는 EN-DC 구조에서 MDT 동작을 설명하며, EN-DC 구조 혹은 CU-DU 구조에서 Scheduled IP Throughput, Data Volume, DL Packet Delay 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개시에서는 EN-DC 구조를 기반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시스템들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Dual Connectivity 구조, 예를 들어, MR(Multi-RAT)-DC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EN-DC도 MR-DC의 한 예에 속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MDT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1c-05)은 LTE 기지국(eNB, 1c-10)과 RRC establishment 과정을 통해, 연결 모드로 전환한다(1c-25). 이후, 필요 시, 추가적으로 NR 기지국과(gNB, 1c-15)도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R 기지국(1c-15)은 LTE 기지국(1c-10)과 연결되어 단말(1c-05)을 서비스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 정보, 일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LTE 기지국(1c-10)은 core network인 MME와 연결되나, NR 기지국(1c-15)은 AMF와 연결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구조를 EN-DC라고 한다. 단말(1c-05)은 LTE 기지국(1c-10)과 NR 기지국(1c-15)들 중 하나의 기지국에 단말 능력 정보(UE capability)를 보고한다(1c-30). 도 3에서는 단말(1c-05)이 LTE 기지국(1c-10)에 단말 능력 정보를 보고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1c-05)이 NR 기지국(1c-15)에 단말 능력 정보를 보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능력 정보는 MDT 동작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특히, EN-DC 등 MR-DC 구조에서 MDT 동작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단말 능력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은 EN-DC 구조에 있는 타 기지국(도 3에서는 NR 기지국(1c-15))에 이를 포워딩한다(1c-35).
일 실시예에서, LTE 기지국(1c-10)과 NR 기지국(1c-15)은 모두 단말(1c-05)에 대한 연결 모드 MDT 동작(Immediate MDT)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c-10)과 NR 기지국(1c-15)은 서로에게 MDT 설정 정보를 보고하고, 조정할 수 한다(1c-40). 이러한 조정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옵션 1: LTE 기지국(1c-10)은 자신이 트리거한 MDT 설정 정보를 NR 기지국(1c-15)에 보고하며, NR 기지국(1c-15)은 이를 반대 혹은 거절하거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NR 기지국(1c-15)은 자신이 트리거한 MDT 설정 정보를 LTE 기지국(1c-10)에 보고하며, LTE 기지국(1c-10)은 이를 반대 혹은 거절하거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옵션 2: LTE 기지국(1c-10)은 자신이 트리거한 MDT 설정 정보를 NR 기지국(1c-15)에 보고하지 않는다. 그러나, NR 기지국(1c-15)은 자신이 트리거한 MDT 설정 정보를 LTE 기지국(1c-10)에 보고하며, LTE 기지국(1c-10)은 이를 반대 혹은 거절하거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옵션 3: LTE 기지국(1c-10)과 NR 기지국(1c-15)은 자신이 트리거한 MDT 설정 정보를 상대 기지국에 보고할 필요가 없으며, 독립적으로 MDT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옵션 4: LTE 기지국(1c-10)과 NR 기지국(1c-15)은 자신이 트리거한 MDT 설정 정보를 상대 기지국에게 보고하나, 독립적으로 MDT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상대 기지국은 반대 혹은 거절하거나 변경을 요청할 수 없다.
상술한 조정 방법과는 별개로, 단말 능력이 제한되어, 동시에 MDT 동작을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동시에 MDT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옵션 1 혹은 옵션 2가 적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정 과정을 통해, LTE 기지국(1c-10) 혹은 NR 기지국(1c-15)은 단말(1c-05)에게 MDT 동작을 설정한다. LTE 기지국(1c-10)은 소정의 RRC 메시지를 통해, MDT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1c-45). 이때, 소정의 RRC 메시지는 SRB1에 속한다. NR 기지국(1c-15)은 SRB3에 속한 소정의 RRC 메시지를 통해, MDT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1c-50). 단말(1c-05)은 수신한 MDT 설정 정보에 따라 MDT 동작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LTE 기지국(1c-10)과 NR 기지국(1c-15)이 각각 동시에 독립적인 MDT 설정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때, 단말(1c-05)은 MDT 설정 정보에 따라, 두 가지의 MDT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1c-55). 단말(1c-05)은 각 설정 정보에 지시된 주파수, 셀들로부터 측정한 신호 세기, 품질을 수집하고, LTE 기지국(1c-100)과 NR 기지국(1c-15)에 보고할 각각의 정보를 구성한다. 단말(1c-05)은 LTE 기지국(1c-10)에게 측정 결과를 보고한다(1c-60). LTE 기지국(1c-10)은 단말(1c-05)과 관련된 측정 정보를 수집한다(1c-65). 단말(1c-05)은 NR 기지국(1c-15)에게 측정 결과를 보고한다(1c-70). NR 기지국(1c-15)은 단말(1c-05)과 관련된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1c-75), 이를 LTE 기지국(1c-10)에 포워딩한다(1c-80). LTE 기지국(1c-10)은 자신이 수집한 정보뿐 아니라, NR 기지국(1c-15)이 포워딩한 정보를 TCE(Trace Collection Entity) 서버로 전송한다(1c-85).
MDT 측정 정보에는 단말이 수집하여 보고하는 정보와 기지국이 획득하는 정보가 존재한다. Scheduled IP throughput, Data Volume, DL Packet Delay 등은 기지국이 획득하는 정보에 속한다. 이러한 정보는 PDCP, RLC, MAC 등 다양한 계층들이 관여하여 획득된다. EN-DC에서는 PDCP 계층과 RLC, MAC 계층이 다른 기지국에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MDT 측정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두 기지국이 서로 필요한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
도 4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MDT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1d-05)은 LTE 기지국(eNB, 1d-10)과 RRC establishment 과정을 통해, 연결 모드로 전환한다(1d-25). 이후, 필요 시, 추가적으로 NR 기지국과(gNB, 1d-15)도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R 기지국(1d-15)은 LTE 기지국(1d-10)과 연결되어 단말(1d-05)을 서비스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 정보, 일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LTE 기지국(1d-10)은 core network인 MME와 연결되나, NR 기지국(1d-15)은 AMF와 연결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구조를 EN-DC라 한다. 단말(1d-05)은 LTE 기지국(1d-10)과 NR 기지국(1d-15)들 중 하나의 기지국에 단말 능력 정보(UE capability)를 보고한다(1d-30). 도 4에서는 단말(1d-05)이 LTE 기지국(1d-10)에 단말 능력 정보를 보고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1d-05)이 NR 기지국(1d-15)에 단말 능력 정보를 보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능력 정보는 MDT 동작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특히, EN-DC 등 MR-DC 구조에서 MDT 동작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단말 능력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은 EN-DC 구조에 있는 타 기지국(도 4에서는 NR 기지국(1d-15))에 이를 포워딩한다(1d-35).
일 실시예에서, LTE 기지국(1d-10)과 NR 기지국(1d-15)은 모두 단말(1d-05)에 대한 연결 모드 MDT 동작(Immediate MDT)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d-10)과 NR 기지국(1d-15)은 서로에게 MDT 설정 정보를 보고하고, 조정할 수 한다(1c-40). 이러한 조정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옵션 1: LTE 기지국(1d-10)은 자신이 트리거한 MDT 설정 정보를 NR 기지국(1d-15)에 보고하며, NR 기지국(1d-15)은 이를 반대 혹은 거절하거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NR 기지국(1d-15)은 자신이 트리거한 MDT 설정 정보를 LTE 기지국(1d-10)에 보고하며, LTE 기지국(1d-10)은 이를 반대 혹은 거절하거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옵션 2: LTE 기지국(1d-10)은 자신이 트리거한 MDT 설정 정보를 NR 기지국(1d-15)에 보고하지 않는다. 그러나, NR 기지국(1d-15)은 자신이 트리거한 MDT 설정 정보를 LTE 기지국(1d-10)에 보고하며, LTE 기지국(1d-10)은 이를 반대 혹은 거절하거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옵션 3: LTE 기지국(1d-10)과 NR 기지국(1d-15)은 자신이 트리거한 MDT 설정 정보를 상대 기지국에 보고할 필요가 없으며, 독립적으로 MDT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옵션 4: LTE 기지국(1d-10)과 NR 기지국(1d-15)은 자신이 트리거한 MDT 설정 정보를 상대 기지국에게 보고하나, 독립적으로 MDT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상대 기지국은 반대 혹은 거절하거나 변경을 요청할 수 없다.
상술한 조정 방법과는 별개로, 단말 능력이 제한되어, 동시에 MDT 동작을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동시에 MDT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옵션 1 혹은 옵션 2가 적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정 과정을 통해, LTE 기지국(1d-10) 혹은 NR 기지국(1d-15)은 단말(1d-05)에게 MDT 동작을 설정한다. LTE 기지국(1d-10)은 소정의 RRC 메시지를 통해, MDT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1d-45). 이때, 소정의 RRC 메시지는 SRB1에 속한다. NR 기지국(1d-15)은 SRB3에 속한 소정의 RRC 메시지를 통해, MDT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1d-50). 단말(1d-05)은 수신한 MDT 설정 정보에 따라 MDT 동작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LTE 기지국(1d-10)과 NR 기지국(1d-15)이 각각 동시에 독립적인 MDT 설정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때, 단말(1d-05)은 MDT 설정 정보에 따라, 두 가지의 MDT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1d-55). 단말(1d-05)은 각 설정 정보에 지시된 주파수, 셀들로부터 측정한 신호 세기, 품질을 수집하고, LTE 기지국(1d-10)과 NR 기지국(1d-15)에 보고할 각각의 정보를 구성한다. 단말(1c-15)은 LTE 기지국(1d-10)에게 측정 결과를 보고한다(1d-60). LTE 기지국(1d-10)은 단말(1d-05)과 관련된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1d-65), 이를 TCE(Trace Collection Entity) 서버로 전송한다(1d-70). 단말(1d-05)은 NR 기지국(1d-15)에게 측정 결과를 보고한다(1d-75). NR 기지국(1d-15)은 단말(1d-05)과 관련된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1d-80), 이를 TCE 서버로 전송한다(1d-85).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e-05 단계에서, 단말은(EN-DC 구조에서) MD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지시하는 단말 능력 정보를 기지국에게 보고한다.
1e-10 단계에서, 단말은 LTE 기지국으로부터 MDT 설정 정보를 제공받는다.
1e-15 단계에서, 단말은 MDT 설정 정보에 따라, MDT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LTE 기지국에 보고한다.
1e-20 단계에서, 단말은 NR 기지국으로부터 MDT 설정 정보를 제공받는다.
1e-25 단계에서, 단말은 MDT 설정 정보에 따라, MDT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NR 기지국에 보고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LTE 기지국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f-05 단계에서, LTE 기지국은 단말로부터(EN-DC에서의) MDT 동작을 지원할 수 있음을 지시하는 단말 능력 정보를 보고받는다.
1f-10 단계에서, LTE 기지국은 EN-DC의 상대 NR 기지국에게 상기 능력 정보를 포워딩한다.
1f-15 단계에서, LTE 기지국은 단말에 대해 MDT 동작을 트리거하고, NR 기지국과 MDT 설정 정보를 조정한다.
1f-20 단계에서, LTE 기지국은 조정된 MDT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한다.
1f-25 단계에서, LTE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MDT 측정 정보를 보고받는다.
1f-30 단계에서, LTE 기지국은 NR 기지국이 수집한 MDT 측정 정보를 보고받는다.
1f-35 단계에서, LTE 기지국은 단말과 NR 기지국으로부터 수집한 MDT 측정 정보를 TCE 서버로 보고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NR 기지국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g-05 단계에서, NR 기지국은 상대 LTE 기지국으로부터 특정 단말의(EN-DC에서의) MDT 동작을 지원할 수 있음을 지시하는 단말 능력 정보를 보고받는다.
1g-10 단계에서, NR 기지국은 단말에 대해 MDT 동작을 트리거하고, LTE 기지국과 MDT 설정 정보를 조정한다.
1g-15 단계에서, NR 기지국은 조정된 MDT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한다.
1g-20 단계에서, NR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MDT 측정 정보를 보고받는다.
1g-25 단계에서, NR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집한 MDT 측정 정보를 TCE 서버로 직접 보고하거나, LTE 기지국으로 포워딩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EN-DC 구조에서 Scheduled IP Throughput을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하향링크의 Scheduled IP Throughput는 하기와 같은 수식으로 도출된다.
[표 2]
Figure 112018088435315-pat00002
[표 3]
Figure 112018088435315-pat00003
상향링크의 Scheduled IP Throughput는 하기와 같은 수식으로 도출된다.
[표 4]
Figure 112018088435315-pat00004
[표 5]
Figure 112018088435315-pat00005
Scheduled IP throughput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PDCP 계층에서 data volume(PDCP SDU 기준)이 측정되어야 하며, MAC 계층에서 유효 전송 시간이 측정되어야 한다. 즉, T1, T2 값은 TTI 전송 기준으로 도출되므로, MAC lower SAP 에서 MAC PDU가 PHY로 전달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에 대한 전송 성공 여부는 MAC upper SAP(MAC과 RLC 계층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출된 값들을 통해, Scheduled IP throughput을 계산한다. EN-DC 구조에서는 특정 radio bearer(RB)에 대해 PDCP 계층과 MAC 및 RLC 계층이 다른 기지국에 속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EN-DC에서의 MN terminated SCG bearer(1h-10)는 MN(Master Node)인 LTE 기지국(1h-30)에 PDCP 계층(1h-15)이 있고, SN(Secondary Node)인 NR 기지국(1h-35)에 RLC(1h-20), MAC(1h-25)계층이 있다. LTE 기지국의 PDCP 계층의 upper SAP에 도착한 PDCP SDU(1h-05)는 가공되어, NR 기지국의 RLC 계층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Scheduled IP throughput을 계산하는 기지국이 필요한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기지국 간 이를 공유해야 한다.
본 개시에서, Scheduled IP throughput을 계산하는 기지국을 PDCP 계층을 가진 기지국이라고 할 수 있다. 만약, 특정 radio bearer(RB)에 대한 RLC, MAC 계층이 PDCP 계층을 가진 기지국에 속해 있지 않고 다른 기지국이 속해 있다면, 다른 기지국의 RLC, MAC 계층에서 수집한 정보를 PDCP 계층을 가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전송해야 하는 정보는 T1, T2 혹은 ThpTimeDL, ThpTimeUL 등의 값이다. 이러한 정보는 X2 인터페이스의 소정의 제어 메시지를 통해 전송된다.
다른 방법으로, Scheduled IP throughput을 계산하는 기지국을 MDT 설정 정보를 제공한 기지국이라고 할 수 있다. PDCP, RLC, MAC 계층에서 수집한 정보를 MDT 설정 정보를 제공했던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전송해야 하는 정보는 Scheduled IP throughput을 도출하는데 필요한 모든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X2 인터페이스의 소정의 제어 메시지를 통해 전송된다. PDCP, RLC, MAC 계층이 MDT 설정 정보를 제공했던 기지국에 속하는 경우, 속한 계층이 측정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이 필요없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EN-DC 구조에서 Data Volume을 획득하는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 하향링크 Data Volume에 대한 정의는 하기와 같다.
[표 6]
Figure 112018088435315-pat00006
[표 7]
Figure 112018088435315-pat00007
상술한 정의에 따라, PDCP SDU(1i-05)가 Data Volume을 측정하는 기준이다. 따라서, PDCP 계층(1i-15)만이 해당 측정 정보에 관여한다.
본 개시에서는 Data Volume을 계산하는 기지국을 PDCP 계층을 가진 기지국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N-DC의 MN terminated SCG bearer(1i-10)에서 LTE 기지국(1i-20)은 PDCP 계층(1i-15)을 가진 기지국일 수 있다. PDCP 계층을 가진 기지국과 MDT 설정 정보를 제공했던 기지국이 상이할 경우, Data Volume 정보가 MDT 설정 정보를 제공한 기지국으로 보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MDT 설정 정보를 제공한 기지국이 EN-DC에서 NR 기지국(1i-25)이고, 특정 bearer에 대한 PDCP 계층을 가진 기지국이 LTE 기지국이라면, LTE 기지국은 수집한 Data Volume 정보를 NR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X2 인터페이스의 소정의 제어 메시지를 통해 전송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EN-DC 구조에서 DL Packet Delay을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하향링크 Packet Delay는 하기와 같은 수식으로 도출된다.
[표 8]
Figure 112018088435315-pat00008
[표 9]
Figure 112018088435315-pat00009
DL Packet Delay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PDCP 계층에서 tArrive, I(T) 값이 측정되어야 하며, MAC 계층에서 각 PDCP SDU의 HARQ feeback이 수신된 시점, tAck이 측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획득한 값들을 통해, Packet Delay을 계산한다. EN-DC 구조에서는 특정 radio bearer(RB)에 대해 PDCP 계층과 MAC 계층이 다른 기지국에 속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EN-DC에서의 MN terminated SCG bearer(1j-10)는 MN(Master Node)인 LTE 기지국(1j-30)에 PDCP 계층(1j-15)이 있고, SN(Secondary Node)인 NR 기지국(1j-35)에 RLC(1j-20), MAC(1j-25)계층이 있을 수 있다. LTE 기지국의 PDCP 계층의 upper SAP에 도착한 PDCP SDU(1j-05)는 가공되어, NR 기지국의 RLC 계층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Packet Delay을 계산하는 기지국이 필요한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기지국간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
본 개시에서는 Packet Delay을 계산하는 기지국을 PDCP 계층을 가진 기지국이라고 할 수 있다. 만약, 특정 radio bearer(RB)에 대한 MAC 계층이 PDCP 계층을 가진 기지국에 속해 있지 않고 다른 기지국이 속해 있다면, 다른 기지국의 MAC 계층에서 수집한 정보를 PDCP 계층을 가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전송해야 하는 정보는 rAck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X2 인터페이스의 소정의 제어 메시지를 통해 전송된다.
다른 방법으로, Packet Delay을 계산하는 기지국을 MDT 설정 정보를 제공한 기지국이라고 할 수 있다. PDCP, MAC 계층에서 수집한 정보를 MDT 설정 정보를 제공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전송해야 하는 정보는 Packet Delay을 도출하는데 필요한 모든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X2 인터페이스의 소정의 제어 메시지를 통해 전송된다. PDCP, MAC 계층이 상기 MDT 설정 정보를 제공한 기지국에 속하는 경우, 속한 계층이 측정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이 필요없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CU-DU 구조에서 Scheduled IP Throughput을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U-DU 구조란, PDCP 계층(1k-15) 이상의 계층을 갖는 노드(CU, 1k-05)와 RLC(1k-20), MAC(1k-25), PHY(1k-30) 계층을 갖는 노드(DU, 1k-10)가 위치적 혹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기지국 구조를 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Scheduled IP Throughput, DL Packet Delay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여러 프로토콜 계층이 관여하며, CU-DU 구조에서는 모든 프로토콜 계층이 동일한 노드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PDCP 계층을 가진 CU가 측정 정보를 계산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DU로부터 제공받아 측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CU가 도출된 측정 정보를 TCE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본 개시에서는 Scheduled IP throughput을 계산하는 노드를 PDCP 계층을 가진 CU라고 할 수 있다 DU의 RLC, MAC 계층에서 수집한 정보를 PDCP 계층을 가진 CU로 전송한다. 전송해야 하는 정보는 T1, T2 혹은 ThpTimeDL, ThpTimeUL 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X2 인터페이스 혹은 F1-AP 인터페이스의 소정의 제어 메시지를 통해 전송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CU-DU 구조에서 Data Volume을 획득하는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Data Volume은 PDCP와 RLC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PDCP SDU(1l-15)의 비트 양으로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서, CU(1l-05)의 PDCP 계층이 DU(1l-10)로 전송되는 비트 양을 카운트하여 획득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CU-DU 구조에서 DL Packet Delay을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에서 Packet Delay을 계산하는 노드를 PDCP 계층을 가진 CU(1m-05)라고 할 수 있다. DU(1m-10)의 MAC 계층(1m-20)에서 수집한 정보를 PDCP 계층을 가진 CU로 전송한다. 전송해야 하는 정보는 rAck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X2 인터페이스 혹은 F1-AP 인터페이스의 소정의 제어 메시지를 통해 전송된다. CU의 PDCP 계층(1m-15)은 tArriv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4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을 참고하면, 단말은 RF(Radio Frequency)처리부(1n-10), 기저대역(baseband)처리부(1n-20), 저장부(1n-30), 제어부(1n-40)를 포함한다.
RF처리부(1n-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RF처리부(1n-10)는 기저대역처리부(1n-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예를 들어, RF처리부(1n-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에서는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단말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RF처리부(1n-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RF처리부(1n-10)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을 위해, RF처리부(1n-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RF 처리부는 MIMO를 수행할 수 있으며, MIMO 동작 수행 시 여러 개의 레이어를 수신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1n-2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n-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n-20)은 RF처리부(1n-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n-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n-20)은 RF처리부(1n-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기저대역처리부(1n-20) 및 RF처리부(1n-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기저대역처리부(1n-20) 및 RF처리부(1n-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또는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나아가, 기저대역처리부(1n-20) 및 RF처리부(1n-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저대역처리부(1n-20) 및 RF처리부(1n-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무선 랜(예: IEEE 802.11), 셀룰러 망(예: L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NRHz, NR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n-30)는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부(1n-30)는 제어부(1n-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1n-40)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n-40)는 기저대역처리부(1n-20) 및 RF처리부(1n-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n-40)는 저장부(1n-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제어부(1n-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n-4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RF처리부(1o-10), 저대역처리부(1o-20), 백홀통신부(1o-30), 저장부(1o-40), 제어부(1o-50)를 포함한다.
RF처리부(1o-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RF처리부(1o-10)는 기저대역처리부(1o-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RF처리부(1o-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서는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RF처리부(1o-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RF처리부(1o-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을 위해, RF처리부(1o-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RF 처리부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전송함으로써 하향 MIMO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1o-20)는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o-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o-20)은 RF처리부(1o-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o-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o-20)은 RF처리부(1o-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기저대역처리부(1o-20) 및 RF처리부(1o-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기저대역처리부(1o-20) 및 RF처리부(1o-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통신부 또는 무선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백홀통신부(1o-30)는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통신부(1o-30)는 주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보조기지국,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저장부(1o-40)는 주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o-40)는 접속된 단말에 할당된 베어러에 대한 정보, 접속된 단말로부터 보고된 측정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o-40)는 단말에게 다중 연결을 제공하거나, 중단할지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o-40)는 제어부(1o-5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1o-50)는 주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o-50)는 기저대역처리부(1o-20) 및 RF처리부(1o-10)을 통해 또는 백홀통신부(1o-3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o-50)는 저장부(1o-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제어부(1o-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5G 또는 NR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New Radio Node B, 이하 NR NB, NR gNB 또는 NR 기지국, 2a-10)과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2a-05) 또는 NR CN(New Radio Core Network, 혹은 NG CN: Next Generation Core Network)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New Radio User Equipment, 이하 NR UE 또는 단말, 2a-15)은 NR gNB(2a-10) 및 AMF(2a-05)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16에서 NR gNB(2a-10)는 LTE 시스템의 eNB(Evolved Node B)에 대응된다. NR gNB(2a-10)는 NR UE(2a-1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더 월등한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NR gNB(2a-10)가 담당한다. 하나의 NR gNB(2a-10)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제어 및 시그날링을 총괄하는 CU(central unit)과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DU(distributed unit)로 구성될 수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5G 또는 NR 시스템)은 LTE 시스템 대비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서 기존 최대 대역폭 이상의 최대 대역폭을 가질 수 있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하여 추가적으로 빔포밍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AMF(2a-05)는 이동성 지원, 베어러 설정, QoS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AMF(2a-05)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들과 연결된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5G 또는 NR 시스템)은 LTE 시스템과도 연동될 수 있으며, AMF(2a-05)이 MME(2a-25)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MME(2a-25)는 기존 기지국인 eNB(2a-30)과 연결된다. EUTRA(LTE)-NR Dual Connectivity(EN-DC)를 지원하는 단말은 gNB(2a-10)뿐 아니라, eNB(2a-30)에도 연결을 유지하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2a-35). EN-DC에서는 LTE 시스템만 core network(MME, (2a-25))에 연결되고, LTE 시스템과 NR 기지국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접속 상태 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3 가지의 무선 접속 상태(RRC state)를 가진다. 연결 모드(RRC_CONNECTED, 2b-05)는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접속 상태이다. 대기 모드(RRC_IDLE, 2b-30)는 단말이 자신에게 페이징이 전송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무선 접속 상태이다. 두 모드는 기존 LTE 시스템에도 적용되는 무선 접속 상태로, 기존 LTE 시스템의 것과 동일하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신규로 비활성(RRC_INACTIVE) 무선 접속 상태(2b-15)가 정의되었다. 무선 접속 상태에서는 UE context가 기지국과 단말에 유지되며, RAN 기반 페이징이 지원된다. 신규 무선 접속 상태의 특징을 나열하면 하기와 같다.
- Cell re-selection mobility;
- CN - NR RAN connection (both C/U-planes) has been established for UE;
- The UE AS context is stored in at least one gNB and the UE;
- Paging is initiated by NR RAN;
- RAN-based notification area is managed by NR RAN;
- NR RAN knows the RAN-based notification area which the UE belongs to;
신규 INACTIVE 무선 접속 상태는 특정 절차를 이용하여, 연결 모드 혹은 대기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Connection activation에 따라 INACTIVE 모드에서 연결 모드로 전환되며, Connection inactivation 절차를 이용하여 연결 모드에서 INACTIVE 모드로 전환된다(2b-10). Connection activation/inactivation 절차는 하나 이상의 RRC 메시지를 단말과 기지국 간 송수신되며, 하나 이상의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역시, 특정 절차에 따라 INACTIVE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 가능하다(2b-20). 상술한 특정 절차로는 특정 메시지 교환 혹은 타이머 기반 혹은 이벤트 기반 등 다양한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연결 모드과 대기 모드 간 전환은 기존의 LTE 기술을 따른다. 즉, connection establishment 혹은 release 절차를 통해, 상기 모드간 전환이 이루어진다(2b-25).
도 18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망 구축 혹은 망 최적화 시, 이동통신 사업자는 통상적인 예상 서비스 영역에서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이를 근거로 서비스 영역 내의 기지국들을 배치 혹은 재조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이동통신 사업자는 일반적으로 차량에 신호 측정 장비를 싣고 이동하며 서비스 영역에서 셀 측정 정보를 수집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Drive Test라 한다. 이러한 Drive Test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된다.
단말은 셀 간 이동시 셀 재선택 혹은 핸드오버, 서빙 셀 추가 등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으로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따라서, Drive Test 대신, 서비스 영역 내의 단말을 활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MDT (Minimization of Drive Test)라고 칭한다. 이동통신 사업자는 네트워크의 여러 구성 장치들을 통해, 특정 단말들에게 MDT 동작을 설정할 수 있으며, MDT 동작이 설정된 단말들은 연결 모드(RRC_Connected), 대기 모드(RRC_Idle) 혹은 비활성 모드(RRC_Inactive)에서 서빙 셀 및 주변 셀들로부터의 신호 세기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또한, MDT 동작이 설정된 단말들은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및 신호 품질 정보 등 다양한 정보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정보는 해당 단말들이 연결 모드에 있을 때, 네트워크로 보고될 수 있으며, 이때, 저장된 정보는 특정 서버로 전달된다.
단말이 수집하는 정보는 MDT 동작을 통해, 기지국에 보고되며, 크게 Immediate MDT와 Logged MDT로 분류된다.
Immediate MDT는 수집한 정보를 바로 네트워크에 보고하는 동작이다. Immediate MDT에서는 수집한 정보를 바로 보고해야 하므로, 연결 모드의 단말이 Immediate MDT를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Immediate MDT는 핸드오버 및 서빙 셀 추가 등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RRM(Radio Resource Measurement) 과정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등이 추가적으로 보고될 수 있다.
Logged MDT는 수집한 정보를 바로 네트워크로 보고하지 않고 저장하며, 단말이 연결 모드로 전환한 후 저장한 정보를 보고하는 동작이다. 일반적으로, 저장한 정보를 바로 네트워크로 보고할 수 없는 대기 모드의 단말이 Logged MDT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 도입된 비활성 모드의 단말은 Logged MDT를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특정 단말이 연결 모드에 있을 때, Logged MDT 동작 수행을 위한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하고, 이를 수신한 단말은 대기 모드 혹은 비활성 모드로 전환한 후, 설정된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한다.
[표 10]
Figure 112018088435315-pat00010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셀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단말(2d-05)은 LTE 기지국(eNB, 2d-10)과 RRC establishment 과정을 통해, 연결 모드로 전환한다(2d-15). LTE 기지국(2d-10)은 단말(2d-05)에게 loggedMeasurement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2d-20), logged MDT 동작을 설정한다. loggedMeasurement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2d-05)은 T330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LTE 기지국(2d-10)은 RRCConnectionRelease 메시지를 이용하여(2d-25), 단말(2d-05)을 연결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시킨다. T330 타이머가 구동 중이라면, 단말(2d-05)은 수신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logged MDT 동작을 수행한다. 즉, 단말(2d-05)은 주기적으로 소정의 측정 정보들을 수집하고 기록한다(2d-30). 이러한 동작은 T330 타이머가 구동 중이고, 대기 모드에 있을 때 수행한다. T330 타이머는 RRC state와는 상관없이 계속 구동된다. 단말(2d-05)은 T330 타이머가 아직 구동 중이나, 다시 연결 모드로 전환되면, 해당 동작을 중지한다. T330 타이머가 만료될 때, logged MDT 동작은 종료된다.
본 개시에서 logged MDT 동작을 수행하는 조건을 추가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ogged MDT 동작을 통해, 기록될 수 있는 측정 정보의 양은 단말 메모리의 크기에 제한된다. 또한, MDT 목적이 서비스 영역의 최적화이므로, 신호 품질 혹은 서비스 품질이 열약한 지역을 집중하여 MDT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문제가 있는 지역의 측정 정보만을 네트워크에 보고하므로, 불필요한 정보 전송으로 인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event 기반 logging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2e-05)은 NR 기지국(gNB, 2e-10)과 RRC establishment 혹은 RRC Resume 과정(2e-15)을 통해, 대기 모드 혹은 비활성 모드(INACTIVE)에서 연결 모드로 전환한다. 기지국(2e-10)은 소정의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2e-05)에게 logged MDT 동작을 설정한다(2e-20). logged MDT의 설정 정보는 대기 모드 혹은 비활성 모드 혹은 두 모드 모두에서 적용될 수 있다. 기지국(2e-10)이 MDT 설정 정보로 logged MDT을 수행하는 RRC state을 지시할 수도 있다. MDT 설정 정보에는 logged MD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건이 포함된다. MDT 설정 정보를 수신한 단말(2e-05)은 제1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기지국(2e-10)은 RRCRelease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2e-05)을 연결 모드에서 대기 모드 혹은 비활성 모드로 전환시킨다(2e-25). RRCRelease 메시지에 MDT 설정 정보를 수납시킬 수도 있다. 이는 MDT 설정 정보를 단말(2e-05)에게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배제하여,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기 모드 혹은 비활성 모드에 있는 단말(2e-05)이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logged MDT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2e-05)이 대기 모드(혹은 비활성 모드)이고, 제1 타이머가 구동 중이고,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logged MDT 동작을 수행한다(2e-30). 설정이 조건이 만족하는 동안, 단말(2e-05)은 주기적으로 logged MDT 동작을 수행하며, 수집된 측정 정보를 저장한다(2e-35). 만약, 설정된 조건을 다시 만족하지 않을 경우, 구동 중이던 logged MDT 동작은 중지하게 된다(2e-40). 일 실시예에서, 설정된 조건은 entering condition 및 leaving condition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혹은 logged MDT 동작을 시작시키는 조건과 중지시키는 조건이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조건들이 설정될 수 있다. 제1 타이머가 만료되면, logged MDT 동작도 종료한다(2e-45). 기록된 MDT 측정 정보는 제1 타이머가 만료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단말의 메모리에서 삭제할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event-triggered periodic logging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2f-05)은 NR 기지국(gNB, 2f-10)과 RRC establishment 혹은 RRC Resume 과정(2f-15)을 통해, 대기 모드 혹은 비활성 모드(INACTIVE)에서 연결 모드로 전환한다. 기지국(2f-10)은 소정의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2f-05)에게 logged MDT 동작을 설정한다(2f-20). logged MDT의 설정 정보는 대기 모드 혹은 비활성 모드 혹은 두 모드 모두에서 적용될 수 있다. 기지국(2f-10)이 MDT 설정 정보로 logged MDT을 수행하는 RRC state을 지시할 수도 있다. MDT 설정 정보에는 logged MD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건이 포함된다. MDT 설정 정보를 수신한 단말(2f-05)은 제1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기지국(2f-10)은 RRCRelease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2f-05)을 연결 모드에서 대기 모드 혹은 비활성 모드로 전환시킨다(2f-25). RRCRelease 메시지에 MDT 설정 정보를 수납시킬 수도 있다. 이는 MDT 설정 정보를 단말(2f-05)에게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배제하여,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기 모드 혹은 비활성 모드에 있는 단말(2f-05)이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logged MDT을 시작할 수 있다. 단말(2f-05)이 대기 모드(혹은 비활성 모드)이고, 제1 타이머가 구동 중이고,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logged MDT 동작을 시작한다 (2f-30). 상기 조건은 entering condition 이며, 제 1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logged MDT 동작을 수행한다. 즉, 주기적으로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한다(2f-35). 제1 타이머가 구동 중이나, 다시 연결 모드로 전환될 때에는 logged MDT는 중지된다. 복수 개의 시작 조건들이 설정될 수 있다. 제1 타이머가 만료되면, logged MDT 동작도 종료한다(2f-40). 기록된 MDT 측정 정보는 제1 타이머가 만료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단말의 메모리에서 삭제할 수 있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one-shot logging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2g-05)은 NR 기지국(gNB, 2g-10)과 RRC establishment 혹은 RRC Resume 과정(2g-15)을 통해, 대기 모드 혹은 비활성 모드(INACTIVE)에서 연결 모드로 전환한다. 기지국(2g-10)은 소정의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2g-05)에게 logged MDT 동작을 설정한다(2g-20). logged MDT의 설정 정보는 대기 모드 혹은 비활성 모드 혹은 두 모드 모두에서 적용될 수 있다. 기지국(2g-10)이 MDT 설정 정보로 logged MDT을 수행하는 RRC state을 지시할 수도 있다. MDT 설정 정보에는 logged MD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건이 포함된다. MDT 설정 정보를 수신한 단말(2g-05)은 제1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기지국(2g-10)은 RRCRelease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2g-05)을 연결 모드에서 대기 모드 혹은 비활성 모드로 전환시킨다(2g-25). RRCRelease 메시지에 MDT 설정 정보를 수납시킬 수도 있다. 이는 MDT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배제하여,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기 모드 혹은 비활성 모드에 있는 단말(2g-05)이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logged MDT 동작을 한번 수행할 수 있다. 단말(2g-05)이 대기 모드(혹은 비활성 모드)이고, 제1 타이머가 구동 중이고, 설정된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에만 logged MDT 동작을 한번 수행한다(2g-30). logged MDT 동작을 한번 수행한다는 것은, 가장 최근의 유효한 MDT 측정 정보의 한 세트를 수집하고, 이를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1 타이머가 구동 중이나, 다시 연결 모드로 전환될 때에는 logged MDT는 중지된다. 복수 개의 시작 조건들이 설정될 수 있다. 제1 타이머가 만료되면 logged MDT 동작도 종료한다(2g-35). 기록된 MDT 측정 정보는 제1 타이머가 만료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단말의 메모리에서 삭제할 수 있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MDT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셀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2h-05)은 NR 기지국(gNB, 2h-10)과 RRC establishment 혹은 RRC Resume 과정(2h-15)을 통해, 대기 모드 혹은 비활성 모드(INACTIVE)에서 연결 모드로 전환한다. 기지국(2h-10)은 소정의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2h-05)에게 logged MDT 동작을 설정한다(2h-20). logged MDT의 설정 정보는 대기 모드 혹은 비활성 모드 혹은 두 모드 모두에서 적용될 수 있다. 기지국(2h-10)이 MDT 설정 정보로 logged MDT을 수행하는 RRC state을 지시할 수도 있다. MDT 설정 정보에는 logged MD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건이 포함된다. MDT 설정 정보를 수신한 단말(2h-05)은 제1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기지국(2h-10)은 RRCRelease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2h-05)을 연결 모드에서 대기 모드 혹은 비활성 모드로 전환시킨다(2h-25). RRCRelease 메시지에 MDT 설정 정보를 수납시킬 수도 있다. 이는 MDT 설정 정보를 단말(2h-05)에게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배제하여,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logged MDT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설정 정보를 복수 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대기 모드 혹은 비활성 모드에 있는 단말(2h-05)이 하나 이상의 설정된 조건들 중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를 적용하여, logged MDT을 수행할 수 있다.
logged MDT 동작을 위한 설정 정보의 한 세트는 하기의 정보들로 구성될 수 있다.
- traceReference: Trace Reference
- traceRecordingSessionRef: Trace Recording Session Reference
- tce-Id: TCE 서버의 IP address
- absoluteTimeInfo: 절대 시간 정보
- areaConfiguration: logged MD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셀, 셀의 집합 혹은 Tracking Area 단위의 지역 정보
- loggingDuration: 제1 타이머 값
- loggingInterval: logging 주기
- plmn-IdentityList: logged MDT 동작을 수행하고, 기록된 정보를 보고할 수 있는 PLMN들의 아이디 (인덱스) 정보
일 실시예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다른 loggingInterval 값을 적용하여 logged MD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2h-05)이 대기 모드(혹은 비활성 모드)로 전환되면, 복수 개의 설정 정보 중 default로 간주되는 설정 정보(제1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logged MDT 동작을 수행한다(2h-25). 제1 설정 정보를 적용하여, logged MDT 동작을 수행하던 중(2h-30), 특정 설정된 조건이 만족하면(2h-35), 제2 설정 정보를 적용하여, logged MDT 동작을 수행한다(2h-40). 예를 들어, 특정 조건이 서빙 셀의 신호 세기가 일정 크기 이하로 설정하고, 제2 설정 정보가 더 짧은 logging 주기를 지시한다면, 이는 신호 품질이 열약한 지역에서 MDT 측정 정보를 더 짧은 주기로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신호 품질이 열약한 지역을 개선하는데, 더 많은 측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해당 조건이 다시 만족하지 않을 시에는(2h-45), 구동 중이던 logged MDT 동작은 다시 제1 설정 정보를 적용한다(2h-50). 일 실시예에서, 특정 조건이 entering condition 및 leaving condition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혹은 logged MDT 동작을 시작시키는 조건과 중지시키는 조건이 별도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조건들이 설정될 수 있다. 제1 타이머가 만료되면, logged MDT 동작도 종료한다(2h-55). 기록된 MDT 측정 정보는 제1 타이머가 만료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단말의 메모리에서 삭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언급된 조건은 다음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 현재 서빙 셀의 신호 세기 혹은 품질이 특정 임계값 이하인 경우
- 특정 시간 동안, 두 셀간 셀 재선택이 특정 횟수 이상 일어난 경우
이 경우, 추가적으로 하기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 # of consecutive reselections
○ Measured result right before cell reselection is executed
○ Time when reselection is executed
○ Location where reselection is executed
- If OOS (out-of-service area)이 감지될 때 (i.e. camped on any cell state or Any Cell Selection state)
이 경우, 추가적으로 하기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 Time duration when UE stays in camped on any cell state
○ Time duration when UE stays in Any Cell Selection state
○ Location info and measurement result when Any Cell Selection state starts
○ Time info when Any Cell Selection state starts
○ Location info and measurement result when UE come back to camped normally state
○ Time info when UE come back to camped normally state
- non-NR cell, NR cell 간 셀 재선택이 일어날 때
이 경우, 추가적으로 하기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 Location info and measurement result when inter-RAT cell reselection occurs
○ Time info when inter-RAT cell reselection occurs
도 24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4을 참고하면, 단말은 RF(Radio Frequency)처리부(2i-10), 기저대역(baseband)처리부(2i-20), 저장부(2i-30), 제어부(2i-40)를 포함한다.
RF처리부(2i-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RF처리부(2i-10)는 기저대역처리부(2i-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예를 들어, RF처리부(2i-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에서는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단말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RF처리부(2i-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RF처리부(2i-10)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을 위해, RF처리부(2i-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RF 처리부는 MIMO를 수행할 수 있으며, MIMO 동작 수행 시 여러 개의 레이어를 수신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2i-2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i-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i-20)은 RF처리부(2i-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i-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i-20)은 RF처리부(2i-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기저대역처리부(2i-20) 및 RF처리부(2i-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기저대역처리부(2i-20) 및 RF처리부(2i-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또는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나아가, 기저대역처리부(2i-20) 및 RF처리부(2i-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저대역처리부(2i-20) 및 RF처리부(2i-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무선 랜(예: IEEE 802.11), 셀룰러 망(예: L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NRHz, NR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i-30)는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부(2i-30)는 제어부(2i-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2i-40)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i-40)는 기저대역처리부(2i-20) 및 RF처리부(2i-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어부(2i-40)는 저장부(2i-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제어부(2i-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i-4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RF처리부(2j-10), 저대역처리부(2j-20), 백홀통신부(2j-30), 저장부(2j-40), 제어부(2j-50)를 포함한다.
RF처리부(2j-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RF처리부(2j-10)는 기저대역처리부(2j-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RF처리부(2j-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5에서는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RF처리부(2j-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RF처리부(2j-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을 위해, RF처리부(2j-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RF 처리부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전송함으로써 하향 MIMO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2j-20)는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j-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j-20)은 RF처리부(2j-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j-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j-20)은 RF처리부(2j-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기저대역처리부(2j-20) 및 RF처리부(2j-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기저대역처리부(2j-20) 및 RF처리부(2j-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통신부 또는 무선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백홀통신부(2j-30)는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통신부(2j-30)는 주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보조기지국,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저장부(2j-40)는 주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2j-40)는 접속된 단말에 할당된 베어러에 대한 정보, 접속된 단말로부터 보고된 측정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j-40)는 단말에게 다중 연결을 제공하거나, 중단할지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j-40)는 제어부(2j-5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2j-50)는 주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j-50)는 기저대역처리부(2j-20) 및 RF처리부(2j-10)을 통해 또는 백홀통신부(2j-3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어부(2j-50)는 저장부(2j-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제어부(2j-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 상의 별도의 저장 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다른 일 실시예의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다른 시스템, 예를 들어, LTE 시스템, 5G 또는 NR 시스템 등에도 상술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할 것이다.

Claims (1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로깅 기간 (logging duration) 및 logged MDT (minimization of drive test)에 대한 조건을 포함하는 logged MDT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logging duration으로 설정된 타이머 값을 갖는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타이머가 구동되는 동안에, 상기 조건이 OOS (out-of-service area)로 설정되고, 상기 단말이 any cell selection state에 있는 경우에, 상기 logged MDT 설정 정보를 기초로 MDT 측정 결과를 로깅하되, 상기 MDT 측정 결과는 상기 logging duration에서 한번 로깅되며, 상기 단말은 RRC (radio resource control) 아이들 (idle)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것인, 단계; 및
    상기 MDT 측정 결과와 연관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OOS는 상기 any cell selection state에 있는 상기 단말과 연관된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이 서빙 셀의 측정 결과와 연관되고 상기 측정 결과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 로깅 인터벌 (interval)에 기초하여 상기 MDT 측정 결과를 로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MDT 측정 결과는 상기 로깅 인터벌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로깅되는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logged MDT 설정 정보는 trace reference, trace recording session reference, TCE (trace collection entity)의 IP (internet protocol) 주소 및 절대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로깅 기간 (logging duration) 및 logged MDT (minimization of drive test)에 대한 조건을 포함하는 logged MDT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logging duration으로 설정된 타이머 값을 갖는 타이머를 시작하며,
    상기 타이머가 구동되는 동안에, 상기 조건이 OOS (out-of-service area)로 설정되고, 상기 단말이 any cell selection state에 있는 경우에, 상기 logged MDT 설정 정보를 기초로 MDT 측정 결과를 로깅하되, 상기 MDT 측정 결과는 상기 logging duration에서 한번 로깅되며, 상기 단말은 RRC (radio resource control) 아이들 (idle)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에 있고,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MDT 측정 결과와 연관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OOS는 상기 any cell selection state에 있는 상기 단말과 연관된 단말.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조건이 서빙 셀의 측정 결과와 연관되고 상기 측정 결과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 로깅 인터벌 (interval)에 기초하여 상기 MDT 측정 결과를 로깅하는 단말.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MDT 측정 결과는 상기 로깅 인터벌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로깅되는 단말.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logged MDT 설정 정보는 trace reference, trace recording session reference, TCE (trace collection entity)의 IP (internet protocol) 주소 및 절대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는 단말.
KR1020180106108A 2018-09-05 2018-09-05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64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108A KR102664930B1 (ko) 2018-09-05 2018-09-05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EP19857222.4A EP3846527A4 (en) 2018-09-05 2019-09-03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reporting cell measurement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7/273,222 US20210360449A1 (en) 2018-09-05 2019-09-03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reporting cell measurement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9/011289 WO2020050575A1 (ko) 2018-09-05 2019-09-0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108A KR102664930B1 (ko) 2018-09-05 2018-09-05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818A KR20200027818A (ko) 2020-03-13
KR102664930B1 true KR102664930B1 (ko) 2024-05-09

Family

ID=69722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108A KR102664930B1 (ko) 2018-09-05 2018-09-05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360449A1 (ko)
EP (1) EP3846527A4 (ko)
KR (1) KR102664930B1 (ko)
WO (1) WO20200505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0769A (zh) 2019-01-21 2021-08-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双连接网络中的最小化路测
WO2020150952A1 (en) * 2019-01-24 2020-07-30 Qualcomm Incorporated Minimization of drive test for dual connectivity
WO2020164051A1 (en) * 2019-02-14 2020-08-20 Zt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ation of drive tests
CN111586740B (zh) * 2019-02-15 2022-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最小化路测技术配置方法和基站
US11159967B2 (en) 2019-06-24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B201909462D0 (en) 2019-07-01 2019-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Meas and MDT
US11743199B2 (en) * 2021-03-23 2023-08-29 Nokia Technologies Oy Identification of IP blocks (bursts) and IP latency measurement in 5G
US20230068504A1 (en) * 2021-09-02 2023-03-02 Qualcomm Incorporated Data collection reporting for non-terrestrial network cells
WO2023136766A1 (en) * 2022-01-13 2023-07-20 Epiroc Rock Drills Aktiebolag Methods and control units for evaluating network performance in a mining environment
WO2024011385A1 (en) * 2022-07-11 2024-01-18 Nec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of communic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42181A1 (en) * 2015-09-11 2018-08-23 Nec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relating to minimization of drive tests (mdt) measurement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8431A (ko) * 2010-01-27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지역에 대한 MDT(Minimization of Drive Test)를 수행하는 방법
CA2789504A1 (en) * 2010-02-12 2011-08-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perform measurements
WO2011149281A2 (ko) * 2010-05-26 2011-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그된 측정 보고 방법 및 장치
JP5349422B2 (ja) * 2010-08-16 2013-11-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局
EP2624621B1 (en) * 2010-10-01 2023-07-12 Ne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AND METHOD
KR101990134B1 (ko) * 2011-08-10 2019-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모드 단말의 성능 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WO2015047051A1 (en) * 2013-09-30 2015-04-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rmining radio resource control configu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and apparatus thereof
US10039086B2 (en) * 2013-11-11 2018-07-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network environment where terminal may have dual connectivity to multiple base stations
WO2016012053A1 (en) * 2014-07-25 2016-01-2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inimization of drive tests in dual connectivity scenario
US20190306740A1 (en) * 2018-04-03 2019-10-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structing logged measurement entry and device suppor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42181A1 (en) * 2015-09-11 2018-08-23 Nec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relating to minimization of drive tests (mdt) measurement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37.320 v15.0.0*
3GPP, TS 36.331 v15.2.1, Radio Resource Control (RRC); Protocol specification, 2018.06.21.
3GPP, TS 37.320 v15.0.0, Radio measurement collection for Minimization of Drive Tests (MDT); Stage 2, 2018.07.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46527A1 (en) 2021-07-07
EP3846527A4 (en) 2021-12-29
US20210360449A1 (en) 2021-11-18
KR20200027818A (ko) 2020-03-13
WO2020050575A1 (ko)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493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50978B1 (ko)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비연속수신모드가 적용시 채널상태보고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04447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교차 링크 간섭에 대한 측정과 보고 방법 및 장치
US113688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3181215B (zh) 用于配置通信系统中的测量间隙模式的方法和装置
KR10252573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랭크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13166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artial frequency ban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03809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m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단말
KR2020009900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7510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66493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053570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73626A (ko)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조건부 핸드오버의 실패 타이머 운용방법
KR2020011205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 수행 방법 및 장치
KR2020003951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25377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실패 정보를 저장 및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191753A1 (en) Method and device for handover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21012588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c 연결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25865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3144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85457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validity area를 벗어난 셀 재선택 시 early measurement 설정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83652A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측정 갭을 요청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1421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n assistance information bit for local cache bit
US20240031041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mdt logging in case of idc proble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084366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llecting and reporting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